KR20140135499A -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499A
KR20140135499A KR1020130055858A KR20130055858A KR20140135499A KR 20140135499 A KR20140135499 A KR 20140135499A KR 1020130055858 A KR1020130055858 A KR 1020130055858A KR 20130055858 A KR20130055858 A KR 20130055858A KR 20140135499 A KR20140135499 A KR 2014013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button
state
circuit break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759B1 (ko
Inventor
리밍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7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36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magnetic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되어 외부에서 트립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트립상태에서 핸들의 재투입이 되더라도 기구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 개폐기구부, 검출기구부 및 트립장치가 구비되며, 과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트립장치가 작동하여 개폐기구부의 래치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트립버튼삽입홈이 형성되는 트립바; 상기 트립바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트립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트립바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트립버튼; 및 상기 트립버튼의 상하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트립버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MINIATURE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OVER CURRENT PROTECTION BUTTON}
본 발명은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되어 외부에서 트립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트립상태에서 핸들의 재투입이 되더라도 기구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배성용 차단기는 교류 110/220V의 저압회로(15∼30A)를 이루는 소형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인체의 감전 사고와 누전에 의한 화재 및, 과전류 및 단락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기기구로써 주로 가정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소형 배성용 차단기는 산업용으로 쓰이는 일반적인 회로차단기와 마찬가지로 차단기는 회로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기구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부, 과전류나 단락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개폐기구부를 개리시킴으로써 선로나 부하를 보호하도록 하는 트립부, 차단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 및 냉각시기는 기능을 하는 소호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에 있어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420호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를 참조할 수 있으며, 트립상태 표시부가 있는 핸들과 관련하여서는 일본특허 JP1999-297184 '배선용 회로차단기'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성 및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OFF상태인 경우이며, 도 2는 ON상태인 경우이다.
여기서, 트립부를 구성하는 트립장치에는 과전류 트립 소자인 바이메탈(bimetal, 1)와 순시코어(instant core)가 포함된다.
도 2와 같이 정상적인 동작상태(ON상태) 중 이상전류 발생으로 인한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동작방식에는 두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1)에 열이 발생하며, 이 열로 인해 바이메탈(1)은 우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트립바(trip bar, 2)를 밀게 된다. 트립바(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기구부의 래치(3)에 대한 구속이 해지되어 회로는 개방된다.
한편, 대용량의 전류가 급격히 흐를 경우에는 코일어셈블리(4)에 형성된 코일(5)에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코일어셈블리(4) 내부의 순시코어가 움직이게 된다. 순시코어가 트립바(2)의 하단을 밀어 트립바(2)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기구부의 래치(3)에 대한 구속이 해지되어 회로는 개방된다.
두 경우 모두, 차단기 트립 후 핸들(6)은 도 1과 같은 오프(OFF)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런데, 정상상태로 돌아가기 전에 핸들(6)을 다시 투입위치(ON위치)로 놓으면 회로 및 차단기에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하거나 투입방지를 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중에서 일본특허 JP1999-297184 '배선용 회로차단기'에는 핸들(9)에 TRIP표시 위치가 구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핸들(9)을 세가지 위치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서, 단순조작방식이 되지 못하므로 위급시에 긴급하게 작동하기에 난점이 있으며, 일반적인 회로차단기와의 차이로 인한 혼동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되어 외부에서 트립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트립상태에서 핸들의 재투입이 되더라도 기구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 개폐기구부, 검출기구부 및 트립장치가 구비되며, 과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트립장치가 작동하여 개폐기구부의 래치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트립버튼삽입홈이 형성되는 트립바; 상기 트립바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트립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트립바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트립버튼; 및 상기 트립버튼의 상하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트립버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트립버튼의 하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트립버튼삽입홈에 걸려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트립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트립버튼삽입홈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트립버튼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립버튼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트립버튼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립버튼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트립버튼스프링을 지지하는 트립버튼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립버튼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기구부의 핸들이 재투입되어도 상기 트립버튼이 상기 트립바를 트립상태로 구속함에 따라서 개폐기구부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의하면,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되어 외부에서 트립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트립상태에서 핸들을 재투입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립상태에서 핸들을 재투입하더라고 기구부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로나 차단기에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OFF상태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ON상태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OFF상태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트립버튼이 장착된 부분에 대한 상세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트립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ON상태인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TRIP 개시상태인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TRIP 완료상태인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10), 개폐기구부, 검출기구부 및 트립장치가 구비되며, 과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트립장치가 작동하여 개폐기구부의 래치(30)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일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트립버튼삽입홈(35f)이 형성되는 트립바(35); 상기 트립바(35)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35)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트립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35)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트립바(35)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로 돌출되는 트립버튼(45); 및 상기 트립버튼(45)의 상하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트립버튼스프링(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가 OFF상태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트립버튼이 장착된 부분에 대한 상세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트립바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10), 개폐기구부, 검출기구부, 단자부, 과전류 트립 장치(overcurrent trip mechanism), 소호 기구(arc extinguishing mechanism, 13)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부품들을 내장하고 지지하며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주조(molding)하여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재질로는 합성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고정접촉자(15)는 전원측 또는 부하측의 어느 일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접촉자로 구성된다.
가동접촉자(16)는 전도성 접촉자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아암(17)의 일측에 설치되며, 고정접촉자(15)에 접촉되는 위치와 분리되는 위치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다.
아암(17)은 케이스(10)의 일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아암(17)의 일측에는 가동접촉자(16)가 고정 설치된다. 아암(17)의 회동에 의해 가동접촉자(16)는 고정접촉자(15)에 접촉하거나 고정접촉자(15)로부터 분리된다. 아암(17)의 중앙부에는 지지돌기부(17a)가 형성되어 접압스프링(18)이 끼워진다. 지지돌기부(17a)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샤프트 부재(19)의 제1스프링 지지돌기부(19c)가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17b)이 형성된다.
샤프트 부재(19)는 'ㄱ'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제1회동축(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샤프트 부재(19)의 머리 부분에는 링크(26)가 끼워질 수 있는 링크홈(19a)이 형성된다. 샤프트 부재(19)의 상부절곡부에는 메인스프링(20)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는 메인스프링 지지돌기부(19b)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샤프트 부재(19)의 하부에는 접압스프링(18)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스프링 지지돌 기부(19c, 19d)가 샤프트 부재(19)의 몸체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접압스프링(18)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되며, 중앙권회부가 아암(17)의 지지돌기부(17a)에 끼워져 지지되고 양단부는 각각 제1,2스프링 지지돌 기부(19c, 19d)에 의해 지지된다. 접압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접촉자(1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고정접촉자(15)에 접촉하게 된다. 즉, 가동접촉자(16)는 접압스프링(18)으로부터 탄성력을 받아 고정접촉자(15)에 접촉한 상태의 폐로 위치(ON 위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메인스프링(20)은 탄성 에너지를 축세한 위치와, 트립(TRIP)동작을 위한 구동력으로서 탄성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탄성 에너지를 방세하는 위치를 가진다. 메인스프링(20)의 일단은 샤프트 부재(19)의 메인스프링 지지돌기부(19b)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케이스(10)의 상부 커버(upper cover)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시트(spring supporting seat)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스프링(20)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스프링(20)은 메인스프링 지지돌기부(19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스프링 지지시트 측으로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를 축세(charging)하고, 메인스프링 지지돌기부(19b)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메인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신장하면서 축세한 탄성 에너지를 방세(discharging)한다.
핸들(25)은 케이스(10)의 상부에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수동 개폐조작을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링크(26)는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핸들(25)의 링크접속부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샤프트 부재(19)의 링크홈(19a)에 삽입된다.
래치(30)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회동축(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30)의 하측단은 트립바(35)에 걸리면 움직임이 구속되며, 트립바(35)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면 회동이 가능해진다. 래치(30)의 상측단은 하측단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하여 링크(26)를 구속하거나 해방시킬 수 있다.
래치(30)는 복귀스프링(3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립바(35)는 래치(30)를 구속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복귀스프링(33)의 상기 일 단 부에 의해 탄성 가압된다.
트립바(35)는 트립바회동축(35a)에 의해 지지되는 레버이다. 트립바(35)는 래치(30)의 하측단을 구속하는 위치와 래치(30)의 하측단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트립바(35)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회동축삽입홈(35b)은 트립바회동축(35a)이 끼워져 트립바(35)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홈으로서 트립바(35)의 중앙부에 마련된다.
하단부(35c)는 계단형으로 단차면이 형성되어 코일어셈블리(50)로부터 회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스프링지지부(35d)는 트립바(35)의 중앙 후위에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복귀스프링(33)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바이메탈접촉부(35e)는 바이메탈(40)에 접촉 및 가압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트립바(35)의 상단 부에서 바이메탈(40)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된다.
트립버튼삽입홈(35f)은 트립버튼(45)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홈으로 상기 바이메탈접촉부(35e)의 일측에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립버튼(45)은 사각바 형태로 형성되어 핸들(25)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0) 상부커버의 상면에는 트립버튼가이드(11)가 형성된다. 트립버튼가이드(11)는 트립버튼(4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이격한 한 쌍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트립버튼(45)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트립버튼가이드(11) 일측에는 트립버튼지지부(11a)가 돌출 형성된다. 트립버튼지지부(11a)는 트립버튼(45)의 하면 전체를 지지하지 않고 일부만을 지지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트립버튼(45)의 하면과 트립버튼지지부(11a) 사이에는 트립버튼스프링(46)이 개재된다. 트립버튼스프링(46)은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립버튼(45)의 하면 중에서 트립버튼스프링(46)이 접촉되지 않는 타부에는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편(45a)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걸림편(45a)은 트립버튼(45)이 눌러졌을 때 트립바(35)의 트립버튼삽입홈(35f)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정상상태에서는 트립버튼(45)이 눌러진 상태에 있다. 걸림편(45a)이 트립바(35)의 트립버튼삽입홈(35f)에 끼워지면 트립버튼(45)은 트립버튼스프링(46)의 탄성력을 받은 채 고정되어 있다. 만일, 트립동작이 진행되면 트립바(3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트립버튼삽입홈(35f)에서 트립버튼(45)의 걸림편(45a)이 분리된다. 트립버튼(45)은 트립버튼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트립버튼(45)이 상방으로 올라와 있는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립버튼(45)의 걸림편(45a)이 트립바(35)를 정상위치(수직위치)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있으므로 핸들(25)을 재투입하더라도 래치(30)의 구속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핸들(25)이 온(ON)상태에 고정되지 않게 되고 기구부는 작동하지 않는다.
트립작동의 일례로 코일어셈블리(50)에 의한 트립작동의 경우를 살펴보면 코일(51)의 전류변화에 따른 자기력이 발생하는 전자석을 이루어 가동코어(52)가 코일(51)의 중심축을 따라 수평이동(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트립바(35) 하단부(35c)를 밀어내도록 한다. 트립바(35)는 하단부(35c)가 외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트립바회동축(35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립버튼(45)의 걸림편(45a)이 트립버튼삽입홈(35f)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작동을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폐로 동작(circuit closing, 일명 ON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개로 위치(OFF 위치)에서, 사용자가 핸들(25)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핸들(25)의 링크접속부에 일단부가 끼워진 링크(26)도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가게 된다.
그러면 링크(26)의 타단부에 연결된 샤프트 부재(19)는 제1회동축(1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을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동하고, 이때 메인스프링(20)은 반시계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샤프트 부재(19)의 스프링지지부(19b)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에너지를 축세한다.
한편, 반시계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샤프트 부재(19)의 제1스프링 지지돌기 부(19c)가 아암(17)의 삽입홈(17b) 중에서 도면상 좌측 내벽부를 가압함에 따라 아암(17)이 제1회동축(1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아암(17)의 하부에 결합된 가동접촉자(16)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고정접촉자(15)에 접촉함으로서,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폐로 동작(ON 동작)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개로 동작(circuit opening, 일명 OFF 동작)은 폐로 동작의 반대로 이루어지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폐로 위치에서 회로상에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가동접촉자(16)와 고정접촉자(15) 간의 전자반발력이 커져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압스프링(18)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가동접촉자(16)가 고정접촉자(15)로부터 분리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한류트립동작이 개시된다.
그러면, 가동접촉자(16)와 결합(접속)된 아암(17)이 제1회동축(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코일어셈블리(50)도 큰 사고전류에 의해 코일(51)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가동코어(52)가 직선이동함에 따라 트립바(35)의 하단부(35c)를 접촉 가압하여 해방 위치로 회동시킨다.
트립바(35)가 회동함에 따라 트립버튼삽입홈(35f)에서 트립버튼(45)의 걸림편(45a)이 분리되고, 트립버튼(45)은 트립버튼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트립버튼(45)은 트립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트립바(35)가 트립바회동축(35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래치(30)의 구속을 해제한다. 래치(30)의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래치(30)는 링크(26)의 상승 이동을 허용하고, 따라서 메인스프링(20)이 신장하면서 축세한 탄성 에너지를 방세하며, 이에 메인스프링(20)의 일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샤프트 부재(19)가 제1회동축(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급격히 회동한다.
시계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샤프트 부재(19)의 제1메인스프링 지지돌기부(19b)가 아암(17)의 삽입홈(17b)의 도면상 우측 내벽부를 가압함에 의해서, 아암(17)이 제1회동축(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동한다. 아암(17)의 하부에 결합된 가동접촉자(16)도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동하면서 고정접촉자(15)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도 8 참조).
이때, 트립버튼(45)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트립버튼(45)의 걸림편(45a)이 트립바(35)를 원위치(수직위로)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있으므로 핸들(25)을 온(ON) 위치로 재투입하더라도 래치(30)의 구속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핸들(25)이 온(ON)상태에 고정되지 않게 된다. 즉, 트립상태에서는 트립버튼(45)을 다시 눌러 트립바(35)를 정상위치(수직위치)로 보내야만 핸들(25)을 재투입하여 개폐기구부를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케이스 11 트립버튼가이드
11a 트립버튼지지부 12 제2회동축
13 소호기구 14 제1회동축
15 고정접촉자 16 가동접촉자
17 아암 17a 지지돌기부
17b 삽입홈 18 접압스프링
19 샤프트 부재 19a 링크홈
19b 스프링지지부 19b 메인스프링 지지돌기부
19c 제1스프링 지지돌기부 19d 제2스프링 지지돌기부
20 메인스프링 25 핸들
26 링크 30 래치
33 복귀스프링 35 트립바
35a 트립바회동축 35b 회동축삽입홈
35c 하단부 35d 스프링지지부
35e 바이메탈접촉부 35f 트립버튼삽입홈
40 바이메탈 45 트립버튼
45a 걸림편 46 트립버튼스프링
50 코일어셈블리 51 코일
52 가동코어

Claims (5)

  1. 케이스, 개폐기구부, 검출기구부 및 트립장치가 구비되며, 과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트립장치가 작동하여 개폐기구부의 래치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트립버튼삽입홈이 형성되는 트립바;
    상기 트립바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트립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바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트립바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트립버튼; 및
    상기 트립버튼의 상하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트립버튼스프링;을 포함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버튼의 하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트립버튼삽입홈에 걸려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트립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트립버튼삽입홈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트립버튼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버튼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트립버튼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버튼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트립버튼스프링을 지지하는 트립버튼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버튼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기구부의 핸들이 재투입되어도 상기 트립버튼이 상기 트립바를 트립상태로 구속함에 따라서 개폐기구부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선용 차단기.
KR1020130055858A 2013-05-16 2013-05-16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 KR10172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58A KR101728759B1 (ko) 2013-05-16 2013-05-16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58A KR101728759B1 (ko) 2013-05-16 2013-05-16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499A true KR20140135499A (ko) 2014-11-26
KR101728759B1 KR101728759B1 (ko) 2017-04-20

Family

ID=5245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858A KR101728759B1 (ko) 2013-05-16 2013-05-16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7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9206A (zh) * 2018-12-24 2019-04-19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小型断路器操作机构及小型断路器
CN109686626A (zh) * 2018-12-28 2019-04-26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小型断路器
CN114446730A (zh) * 2022-01-24 2022-05-06 宏秀电气有限公司 一种自动重合闸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9206A (zh) * 2018-12-24 2019-04-19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小型断路器操作机构及小型断路器
CN109686626A (zh) * 2018-12-28 2019-04-26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小型断路器
CN109686626B (zh) * 2018-12-28 2024-05-07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小型断路器
CN114446730A (zh) * 2022-01-24 2022-05-06 宏秀电气有限公司 一种自动重合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759B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8007B2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
JP4816246B2 (ja) 漏電遮断器
RU2490747C1 (ru) Прерыватель цепи
US20100164658A1 (en) Trip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WO2014167603A1 (ja) 動作表示機構、回路遮断器、複合遮断器、及び表示部材
CN113035661A (zh) 漏电断路器
KR101728759B1 (ko)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
CN202940201U (zh) 一种小型断路器的操作机构
WO2011018870A1 (ja) 回路遮断器
US7064635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larm interface lever
CN102709125B (zh) 一种小型断路器的操作机构
KR101276370B1 (ko) 배선용 차단기
JP4852380B2 (ja) 回路遮断器
CN102931038B (zh) 一种小型断路器的操作机构
KR101158639B1 (ko) 차단기의 개폐기구
US20130169387A1 (en) Shortage voltage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3346483B1 (en) Magnetic trip device for circuit breaker
US10438763B2 (en) Magnetic trip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US981856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arcing between a circuit breaker line terminal and a panel board terminal
CN217333965U (zh) 剩余电流动作断路器
CN211265397U (zh) 一种结构紧凑的漏电断路器
KR102453179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
CN216054546U (zh) 一种断路器
KR20130060866A (ko) 소형 회로차단기의 강제 트립 장치
KR200481612Y1 (ko) 가정용 회로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