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473A - 급전장치, 전자기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급전장치, 전자기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473A
KR20140133473A KR1020140055251A KR20140055251A KR20140133473A KR 20140133473 A KR20140133473 A KR 20140133473A KR 1020140055251 A KR1020140055251 A KR 1020140055251A KR 20140055251 A KR20140055251 A KR 20140055251A KR 20140133473 A KR20140133473 A KR 2014013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data
control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233B1 (ko
Inventor
노부유키 쓰카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7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Abstract

급전장치는,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급전하는 급전부와,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전력을 상기 급전부를 거쳐서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급전장치, 전자기기 및 방법{POWER SUPPL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관점은, 일반적으로 무선급전을 행하는 급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넥터를 거쳐 접속하지 않고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와, 그 급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급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39283호에는, 이러한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급전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지를 충전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급전 시스템에서는, 급전장치와 전자기기가 서로 통신을 행하고, 급전장치가 전자기기와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무선급전을 제어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그 때문에, 급전장치는, 전자기기의 기능과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음에 따라서, 전자기기에의 급전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국면들은, 급전장치와 전자기기간의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에 적절하게 급전할 수 있는 급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대상으로 삼는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급전장치는,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급전하는 급전부;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전력을 상기 급전부를 거쳐서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전자기기는, 급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부와, 상기 급전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전부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급전장치와의 인증이 완료했을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된 후에 상기 급전장치로부터 상기 수전부를 거쳐서 공급된 전력에 근거하여, 직류전력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급전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WPT_RTD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은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인증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스테이터스(status) 데이터 교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은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급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9는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WPT_RTD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상기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 시스템은,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를 구비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급전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범위(300)내에 전자기기(200)가 존재할 경우, 급전장치(100)는, 전자기기(200)에 무선으로 급전을 행한다.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범위(300)내에 존재할 경우, 전자기기(200)는, 급전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범위(300)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전자기기(200)는, 급전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없다. 소정의 범위(300)는, 급전장치(100)가 전자기기(200)와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 그 소정의 범위(300)가 급전장치(100)의 하우징상의 범위이긴 하지만, 그 소정의 범위(300)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급전장치(100)는,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하여 무선으로 급전을 행할 것이다.
전자기기(200)는, 촬상장치, 재생장치이어도 되고, 휴대전화나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팩, 자동차, 디스플레이 또는 퍼스널 컴퓨터이어도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100)의 구성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급전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101), 급전부(102), 메모리(108), 표시부(109), 조작부(110), 전류검출부(111), 온도검출부(112) 및 제2의 통신부(113)를 구비한다. 급전부(102)는, 전력생성부(103), 검출부(104), 정합회로(105), 제1의 통신부(106) 및 급전안테나(107)를 구비한다.
제어부(101)는, 메모리(108)에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급전장치(100)를 제어한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와 마이크로 처리장치(MPU)를 포함한다. 제어부(101)는, 하드웨어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101)는, 타이머(101a)를 더 구비한다.
급전부(102)는, 소정의 급전 방법에 근거하여 무선으로 급전하는데 사용된다. 소정의 급전 방법은, 예를 들면 자계공명 방식을 사용한 급전 방법이다. 자계공명 방식으로,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서 공진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 급전장치(100)로부터 전자기기(200)에 전력을 전송한다.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서 공진이 일어나는 상태는, 급전장치(100)의 급전안테나(107)의 공진주파수와, 전자기기(200)의 수전 안테나(203)의 공진주파수가 일치하는 상태다.
전력생성부(103)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교류(AC)전원과 급전장치(10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AC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사용하여서,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외부에 출력되는 전력을 생성한다. 전력생성부(103)는, 전력생성부(103), 이를테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에 의해 생성된 전력의 값을 조정하기 위한 소자를 포함한다. 제어부(101)는, 전력생성부(103)에 포함된 그 FET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생성부(103)에 의해 생성된 그 전력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전력생성부(103)에 의해 생성된 전력은, 검출부(104) 및 정합회로(105)를 거쳐 급전안테나(107)에 공급된다.
검출부(104)는,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 사이의 공진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전압정재파비(VSWR)를 검출한다. 한층 더, 검출부(104)는, 검출한 VSWR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101)에 공급한다. VSWR값은, 급전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진행파와, 급전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반사파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어부(101)는, 검출부(104)로부터 공급된 VSWR데이터를 사용하여서,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 사이의 공진의 상태의 변화와 이물질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이물질은, 예를 들면, 금속이나 집적회로(IC)카드이다. 이물질은, 전지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부를 갖지 않은 기기, 급전장치(10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갖지 않은 기기, 또는 제1의 통신부(106)의 통신 규격에 따르지 않은 기기이어도 된다.
정합회로(105)는, 급전안테나(107)의 공진주파수를 설정하는 회로와, 전력생성부(103)와 급전안테나(107)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행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한다.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통신 전력 및 소정의 전력 중 어느 한쪽을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안테나(107)의 공진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f에 설정하도록 상기 정합회로(105)를 제어한다. 그 소정의 주파수f는, 예를 들면 13.56MHz다.
제1의 통신부(106)는, 예를 들면, Near Field Communication(NFC) 포럼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NFC규격에 근거하여 무선통신을 행한다. 제1의 통신부(106)의 통신 규격은, 국제표준화기구/국제전기표준 회의(ISO/IEC) 18092규격, 그 ISO/IEC 14443규격, 또는 ISO/IEC 21481규격이어도 된다. 제1의 통신부(106)는, 통신 전력이 급전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경우,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 전자기기(200)에 무선으로 급전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전력이 급전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경우, 제1의 통신부(106)는,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전자기기(200)와 통신하지 않는다. 소정의 전력이 급전안테나(107)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기간을, 이하 "소정의 시간"이라고 한다.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01)에 의해 설정된다.
제1의 통신부(106)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서 교환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NFC Data Exchange Format(NDEF)에 따른다. 이후, 그 NDEF에 따르는 데이터를, 이하 "NDEF데이터"라고 한다.
제1의 통신부(106)는, 전력생성부(103)로부터 공급된 통신 전력에 전자기기(200)에 송신되는 데이터를 중첩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NDEF데이터를 전자기기(200)에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가 중첩된 통신 전력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전자기기(200)에 송신된다.
제1의 통신부(106)는, 급전안테나(107)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이 전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기기(200)로부터 NDEF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기기(200)가 급전장치(100)에 NDEF데이터를 전자기기(200)의 내부의 부하를 변동시켜서 송신하기 때문이다. 전자기기(200)의 내부의 부하가 변화될 경우, 급전안테나(107)에 흐르는 전류는, 변화된다. 이 때문에, 제1의 통신부(106)는, 급전안테나(107)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전자기기(200)로부터 NDEF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의 통신부(106)는, NFC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리더(reader) 라이터로서 동작한다.
급전안테나(107)는, 통신 전력 및 소정의 전력 중 어느 한쪽을 전자기기(200)에 출력하기 위한 안테나다. 급전안테나(107)는, 제1의 통신부(106)가 NFC규격을 사용한 무선통신을 전자기기(200)와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메모리(108)는, 급전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한층 더, 메모리(108)는, 급전장치(100)에 관한 급전 파라미터와,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래그를 기억한다. 메모리(108)는, 급전 능력 데이터(108a)를 기억한다. 급전 능력 데이터(108a)는, 급전장치(100)가 지원한 급전의 전력 레벨(Power Level)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 능력 데이터(108a)는, 예를 들면, 로 파워(Low Power)를 나타내는 데이터, 미들 파워(Middle Power)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하이파워(High Power)를 나타내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포함된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1W이하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포함된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5W이하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포함된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10W이하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한층 더, 메모리(108)는, 전자기기(200)로부터 제1의 통신부(106) 및 제2의 통신부(113) 중 적어도 하나가 취득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부(109)는, 메모리(108) 및 제2의 통신부(113)로부터 공급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조작부(110)는, 급전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조작부(110)는, 급전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들, 스위치들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다. 제어부(101)는, 조작부(110)를 거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급전장치(100)를 제어한다.
전류검출부(111)는, 급전안테나(107)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101)에 공급한다. 제어부(101)는, 전류검출부(111)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데이터를 사용하여서, 이물질이 소정의 범위(300)내에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다.
온도검출부(112)는, 급전장치(100)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101)에 공급한다. 제어부(101)는, 온도검출부(112)로부터 공급된 온도 데이터를 사용하여서, 이물질이 소정의 범위(300)내에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다. 온도검출부(112)에 의해 검출된 급전장치(100)의 온도는, 급전장치(100)내부의 온도이어도 되거나, 급전장치(100)의 표면의 온도이어도 된다.
제2의 통신부(113)는, 제1의 통신부(106)의 통신 규격과 다른 통신 규격에 근거하여 전자기기(200)와 무선통신을 행한다. 제2의 통신부(113)의 통신 규격은, 예를 들면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 규격이나 블루투쓰(등록상표)규격이다. 제2의 통신부(113)는,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코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급전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자기기(200)에 공급한다. 그러나, "무선"의 용어는, "비접촉"이나 "무접점"으로서 표현되어도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자기기(200)의 구성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자기기(200)는, 제어부(201), 수전부(202), 전력검출부(207), 레귤레이터(208), 부하부(209), 충전부(210), 전지(211), 온도검출부(212), 메모리(213), 조작부(214) 및 제2의 통신부(215)를 구비한다. 수전부(202)는, 수전 안테나(203), 정합회로(204), 정류 및 평활회로(205) 및 제1의 통신부(206)를 구비한다.
제어부(201)는, 메모리(213)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자기기(200)를 제어한다. 제어부(201)는, 예를 들면, CPU나 MPU를 구비한다. 제어부(201)는, 하드웨어로 구성되어도 된다.
수전부(202)는, 소정의 급전 방법을 지원하고, 급전장치(100)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수전 안테나(203)는, 급전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다. 또한, 수전 안테나(203)는, 제1의 통신부(206)가 NFC규격을 사용한 무선통신을 급전장치(100)와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수전 안테나(203)를 거쳐 급전장치(100)로부터 전자기기(200)가 수신한 전력은, 정합회로(204)를 거쳐 정류 및 평활회로(205)에 공급된다.
정합회로(204)는, 수전 안테나(203)의 공진주파수를 설정하는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부(201)는, 정합회로(204)를 제어함으로써 수전 안테나(203)의 공진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정류 및 평활회로(205)는, 수전 안테나(203)에 의해 수신된 전력에 근거하여 직류(DC)전력을 생성한다. 한층 더, 정류 및 평활회로(205)는, 그 생성된 DC전력을 전력검출부(207)를 거쳐 레귤레이터(208)에 공급한다. 수전 안테나(203)에 의해 수신된 전력에 데이터가 중첩되어 있는 경우, 정류 및 평활회로(205)는, 수전 안테나(203)에 의해 수신된 전력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제1의 통신부(206)에 공급한다.
제1의 통신부(206)는, 제1의 통신부(106)와 동일한 통신 규격에 근거하여 급전장치(100)와 통신한다. 제1의 통신부(206)는, "액티브 태그" 또는 "다이내믹 태그"라고 불리는 소정의 태그를 갖는다.
제1의 통신부(206)는, 메모리(206a)를 구비한다. 메모리(206a)에는, Wireless Power Transfer_Record Type Definiton(WPT_RTD)데이터(400)를 기억한다. WPT_RTD데이터(400)는, 복수의 NDEF 데이터를 기억한다. WPT_RTD데이터(400)는,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서 무선급전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WPT_RTD데이터(400)에 관해 설명한다.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태그를 갖는 경우, 제어부(20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내부 버스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도 4에 나타낸 WPT_RTD데이터(400)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한층 더,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태그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제어부(20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내부 버스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도 4에 나타낸 WPT_RTD데이터(40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WPT_RTD데이터(400)는, 헤더(401), 식별 데이터(403), 수전 능력 데이터(404),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 및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를 포함한다.
헤더(401)는, WPT_RTD데이터(400)를 식별하기 위한 레코드 타입명(402)을 기억한다. 한층 더, 헤더(401)는,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태그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레코드 타입명(402)은, WPT_RTD데이터(400)에 기억된 데이터의 내용과 구조를 식별하기 위한 레코드 타입을 나타낸다. 레코드 타입명(402)은,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급전 방법을 사용하여서 무선급전을 지원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코드 타입명(402)은,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급전 방법을 사용하여서 무선급전을 지원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데이터 "W", "P", "T"를 포함한다.
헤더(401)는, WPT_RTD데이터(400)에 포함된 NDEF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WPT_RTD데이터(400)에 포함된 NDEF데이터의 끝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식별 데이터(403)는, 전자기기(200)의 제품ID, 제조자 명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수전 능력 데이터(404)는, 전자기기(200)가 지원한 수전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전 능력 데이터(404)는, 예를 들면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포함된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가 수전 안테나(203)를 거쳐 1W이하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포함된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가 수전 안테나(203)를 거쳐 5W이하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포함된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가 수전 안테나(203)를 거쳐 10W이하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는, 전자기기(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는, 전자기기(200)로부터 급전장치(100)에 요구한 요구 전력의 값, 전자기기(200)가 급전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전력의 값, 전지(211)의 잔용량이나 전지(211)의 충전에 관한 데이터, 및 전자기기(200)의 에러에 관한 에러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에러 데이터는, 전자기기(200)에 에러가 발생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에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태그를 갖는 경우, 제어부(201)는, 전자기기(200)의 각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사용해서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를 정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를 WPT_RTD데이터(400)에 기록한다.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는, 급전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는, 급전장치(100)의 식별 데이터, 급전장치(100)가 전자기기(200)에의 소정의 전력의 전송을 시작할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급전장치(100)로 설정된 급전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태그를 갖는 경우, 제어부(201)는, WPT_RTD데이터(400)로부터 판독된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를 사용하여서, 전자기기(200)의 각부를 제어한다.
전력검출부(207)는, 수전 안테나(203)를 거쳐서 수신된 전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201)에 공급한다.
레귤레이터(208)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정류 및 평활회로(205)로부터 공급된 전력 및 전지(211)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적어도 하나를 전자기기(200)의 각부에 공급한다.
부하부(209)는, 피사체의 광학상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회로와,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회로를 구비한다.
충전부(210)는, 전지(211)를 충전한다. 충전부(210)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레귤레이터(208)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사용해서 전지(211)를 충전할지, 전지(211)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레귤레이터(208)에 공급할지를 제어한다. 충전부(210)는, 정기적으로 전지(211)의 잔용량을 검출하고, 전지(211)의 잔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나 전지(211)의 충전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201)에 공급한다.
전지(211)는, 전자기기(200)에 접속 가능하다. 전지(211)는, 재충전 가능한 이차전지이며,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등이다. 전지(211)는, 리튬 이온 전지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온도검출부(212)는, 전자기기(200)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201)에 공급한다.
메모리(213)는, 전자기기(200)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전자기기(200)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조작부(214)는, 전자기기(200)를 조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201)는, 조작부(214)를 거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200)를 제어한다.
제2의 통신부(215)는, 급전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제2의 통신부215는, 예를 들면 상기 제2의 통신부113과 동일한 통신 규격에 근거하여, 급전장치(100)와 무선통신을 행한다.
<제어 처리>
이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100)의 무선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 처리는, 제어부(101)가 메모리(108)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단계S50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제1의 통신부(106)의 기능이 동작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급전장치(100)의 제1의 통신부(106)의 기능이 동작 가능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501에서 YES), 단계S50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급전장치(100)의 제1의 통신부(106)의 기능이 동작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501에서 NO), 본 흐름도는 종료한다.
단계S50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후술한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인증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5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간의 무선급전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502에서 상기 인증 처리가 완료하면, 메모리(108)에, 인증 성공 플래그 및 인증 실패 플래그 중 어느 한쪽이 설정된다. 메모리(108)에 인증 성공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무선급전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판정해(단계S503에서 YES), 단계S504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메모리(108)에 인증 실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무선급전의 인증이 실패했다고 판정해(단계S503에서 NO), 단계S5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04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후술한) 스테이터스 데이터 교환 처리를 행한다. 단계S504에서 스테이터스 데이터 교환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5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05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가 전자기기(200)에의 급전을 행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504에서 스테이터스 데이터 교환 처리가 완료하면, 메모리(108)에, 급전 가능 플래그 및 급전 불가 플래그 중 어느 한쪽이 설정된다. 메모리(108)에 급전 가능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가 전자기기(200)에의 급전을 행할 수 있다고 판정해(단계S505에서 YES), 단계S50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메모리(108)에 급전 불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가 전자기기(200)에의 급전을 행할 수 없다고 판정해(단계S505에서 NO), 단계S5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506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아래에 설명한) 급전 처리를 행한다. 단계S506의 급전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504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S507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메모리(108)에 기억된 급전 파라미터나 급전의 제어에 관한 플래그들을 소거한다. 그 후, 단계S501의 처리도 되돌아간다.
<인증 처리>
이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단계S502에 있어서, 제어부(101)에 의해 행해진 인증 처리에 대해서,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증 처리는, 제어부(101)가 메모리(108)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 실현된다.
단계S60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통신 전력을 출력하도록 급전부(102)를 제어한다. 제어부(101)는, 제어부(101)가 소정의 전력을 출력하는 처리를 시작할 때까지, 통신 전력이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출력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그 후, 단계S6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가 WPT_RTD데이터(400)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레코드 타입명(402)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의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S6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취득한 레코드 타입명(402)을 사용하여서, 전자기기(200)가 WPT_RTD데이터(400)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자기기(200)가 WPT_RTD데이터(400)를 가지고 있다고 판정되면(단계S603에서 YES), 단계S604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전자기기(200)가 WPT_RTD데이터(400)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단계S603에서 NO), 단계S60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레코드 타입명(402)을 취득하지 않고 있는 경우도, 단계S60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S604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헤더(401)에 포함된 데이터, 식별 데이터(403) 및 수전 능력 데이터(404)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의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로부터 제1의 통신부(106)가 취득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를 메모리(108)에 저장한다. 그 후, 단계S6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5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604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기기(200)로부터 취득한 헤더(401)에 포함된 데이터, 식별 데이터(403) 및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통신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자기기(200)로부터 취득한 헤더(401)에 포함된 데이터, 식별 데이터(403) 및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통신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S605에서 YES), 단계S60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전자기기(200)로부터 취득한 헤더(401)에 포함된 데이터, 식별 데이터(403) 및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통신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S605에서 NO), 단계S60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6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 에러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그 후, 단계S6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7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메모리(108)에 인증 실패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 후, 본 흐름도는 종료하고, 도 5의 단계S503의 처리로 진행된다.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두어졌을 경우, 급전장치(100)는, 이물질을 검출한다. 이 경우에, 급전장치(100)는, 전자기기(200)에의 급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급전장치(100)는,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기 위해서, 단계S608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S608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이물질이 소정의 범위(300)내에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두어졌을 경우, 검출부(104)로 검출된 VSWR가 급격하게 변화되기도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검출부(104)로 검출된 VSWR가 소정값이상 변화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서 이물질을 검출한다. 소정값은, 이물질의 존재를 식별하기 위한 역치다. 검출부(104)로 검출된 VSWR가 소정값이상 변화되었을 경우(단계S608에서 YES), 제어부(101)는,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검출부(104)로 검출된 VSWR가 소정값이상 변화되지 않은 경우(단계S608에서 NO), 제어부(101)는,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두어졌을 경우, 전류검출부(111)로 검출된 전류가 급격하게 상승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전류검출부(111)로 검출된 전류치가 소정의 전류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을 검출한다. 이 소정의 전류치는, 이물질의 존재를 식별하기 위한 역치다.
전류검출부(111)로 검출된 전류치가 소정의 전류치이상일 경우(단계S608에서 YES), 제어부(101)는,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전류검출부(111)로 검출된 전류치가 소정의 전류치이상이 아닐 경우(단계S608에서 NO), 제어부(101)는,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두어졌을 경우, 온도검출부(112)로 검출된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온도검출부(112)로 검출된 상기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이물질을 검출한다. 그 소정의 온도는, 이물질의 존재를 식별하기 위한 역치다.
온도검출부(112)로 검출된 상기 온도가 소정의 온도이상일 경우(단계S608에서 YES), 제어부(101)는,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온도검출부(112)로 검출된 상기 온도가 소정의 온도미만인 경우에는(단계S608에서 NO), 제어부(101)는, 그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S608에서 YES), 단계S609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S608에서 NO), 단계S61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9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이물질이 검출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그 후, 단계S6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10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로부터 취득된 레코드 타입명(402)을 사용하여서, 전자기기(200)가 급전장치(100)에 대응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가 이용한 급전 방법과 전자기기(200)가 이용한 급전 방법이 일치하는 경우, 전자기기(200)가 급전장치(100)에 대응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가 이용한 급전 방법과 전자기기(200)가 이용한 급전 방법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전자기기(200)가 급전장치(100)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전자기기(200)가 급전장치(100)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단계S610에서 NO), 단계S611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전자기기(200)가 급전장치(100)에 대응한다고 판정된 경우(단계S610에서 YES), 단계S6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1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인증 에러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그 후, 단계S6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1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604에 있어서,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취득한 헤더(401)에 포함된 데이터를 사용하여서,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태그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태그를 가지고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S612에서 YES), 단계S613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전자기기(200)가 소정의 태그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S612에서 NO), 단계S61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1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메모리(108)에 인증 성공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 후, 본 흐름도는 종료하고, 도 5의 단계S503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테이터스 데이터 교환 처리>
이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단계S504에 있어서, 제어부(101)에 의해 행해진 스테이터스 데이터 교환 처리에 대해서,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테이터스 데이터 교환 처리는, 제어부(101)가 메모리(108)에 기억된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실현된다.
단계S70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의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그 후, 단계S7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의 요구가 송신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어부(101)는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2에서 YES), 단계S705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의 요구가 송신되고 나서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2에서 NO), 단계S7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606과 마찬가지로, 통신 에러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그 후, 단계S7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4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메모리(108)에 급전 불가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 후, 본 흐름도는 종료하고, 도 5의 단계S5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5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제1의 통신부(106)가 수신한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에 근거하여, 전자기기(200)의 충전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의 충전이 완료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5에서 YES), 단계S70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의 충전이 완료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5에서 NO), 단계S7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6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의 충전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제어부(101)는, 전지(211)가 완전 충전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켜도 된다. 그 후, 단계S7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7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제1의 통신부(106)가 수신한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에 근거하여, 전자기기(200)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의 수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5)로부터 에러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에러 데이터를 해석하여 전자기기(200)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어부(101)가 전자기기(200)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7에서 YES), 단계S708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제어부(101)가 전자기기(200)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7에서 NO), 단계S709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8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에 발생한 에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켜도 된다. 그 후, 단계S7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9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608과 마찬가지로, 이물질이 소정의 범위(300)내에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단계S709에서 YES), 단계S710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단계S709에서 NO), 단계S7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10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이물질을 검출한 것을 전자기기(200)에 통지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의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그 후, 단계S71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1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이물질이 검출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그 후, 단계S7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1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아래에 설명한) 설정 처리를 행한다. 설정 처리는, 급전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다. 급전 파라미터는, 소정의 전력을 나타내는 값 및 소정의 시간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한다. 설정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71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1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를 전자기기(200)에 송신하도록 제1의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식별 데이터, 단계S712에서 설정된 급전 파라미터 및 전자기기(200)에의 소정의 전력의 전송을 시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를 생성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상기 생성된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를 전자기기(200)에 송신하도록 제1의 통신부(106)를 제어한다. 그 후, 단계S714의 처리로 진행된다.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가 WPT_RTD데이터(400)에 기억된 경우, 제1의 통신부(206)는,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가 정상적으로 WPT_RTD데이터(400)에 기록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데이터를 급전장치(100)에 송신한다.
단계S714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가 전자기기(200)에 송신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14에서 YES), 단계S71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가 송신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14에서 NO), 단계S715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한, 제1의 통신부(106)가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응답 데이터가, 급전 스테이터스 데이터(406)가 정상적으로 WPT_RTD데이터(400)에 기록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도, 단계S71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15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606과 마찬가지로, 통신 에러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그 후, 단계S7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16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메모리(108)에 급전 가능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 후, 본 흐름도는 종료하고, 도 5의 단계S505의 처리로 진행된다.
<급전 처리>
이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단계S506에 있어서 제어부(101)에 의해 행해진 급전 처리에 대해서,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급전 처리는, 제어부(101)가 메모리(108)에 기억된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실현된다.
단계S80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712에서 설정된 급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을 출력하도록 급전부(102)를 제어한다. 제어부(101)는, 상기 소정의 전력이 출력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을 계측하도록 타이머(101a)를 한층 더 제어한다. 그 후, 단계S8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80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타이머(101a)에 의해 계측된 상기 경과된 시간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이 출력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타이머(101a)에 의해 계측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이상일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이 출력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해(단계S802에서 YES), 단계S804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타이머(101a)에 의해 계측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이 출력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해(단계S802에서 NO), 단계S8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8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608과 마찬가지로, 이물질이 소정의 범위(300)내에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S803에서 YES), 단계S804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소정의 범위(300)내에 이물질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S803에서 NO), 단계S80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S804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급전부(102)를 제어한다. 그 후, 단계S8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805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통신 전력을 출력하도록 급전부(102)를 제어한다. 그 후, 본 흐름도는 종료하고, 도 5의 단계S5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설정 처리>
이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단계S712에 있어서, 제어부(101)에 의해 행해진 설정 처리에 대해서,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급전 처리는, 제어부(101)가 메모리(108)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실현된다.
단계S90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대응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대응한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대응한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대응한다고 판정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다.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일치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901에서 YES), 단계S90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901에서 NO), 단계S9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90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값을 1W이하로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효율이나 전지(211)의 잔용량에 따라, 1W를 초과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값을 5W이하로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효율이나 전지(211)의 잔용량에 따라, 5W를 초과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값을 10W이하로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효율이나 전지(211)의 잔용량에 따라, 10W를 초과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해도 된다.
소정의 전력이 설정되었을 때, 단계S9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9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902, 단계S905 및 단계S906 중 어느 하나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전력에 따라, 소정의 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전력이 1W이하의 전력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시간을 20초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전력이 1W보다도 크고, 또한, 5W이하의 전력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시간을 10초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전력이, 5W보다도 크고, 또한, 10W이하의 전력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시간을 5초로 설정한다.
단계S9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의 큰 값에 대해 보다 짧은 소정의 시간을 설정한다.
단계S902, 단계S905 및 단계S906 중 어느 하나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전력의 값과, 단계S903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시간은, 급전 파라미터로서 메모리(108)에 기록된다.
급전 파라미터가 메모리(108)에 기록된 후, 단계S71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904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과,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을 비교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이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보다도 높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이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보다도 높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a)에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또한,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이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보다도 높다고 판정한다.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이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보다도 높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904에서 YES), 단계S905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이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보다도 높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904에서 NO), 단계S9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905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값을 1W이하로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효율이나 전지(211)의 잔용량에 따라, 1W를 초과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값을 5W이하로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효율이나 전지(211)의 잔용량에 따라, 5W를 초과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전 능력 데이터(404)에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소정의 전력값을 10W이하로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효율이나 전지(211)의 잔용량에 따라, 10W를 초과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해도 된다.
소정의 전력이 설정될 때, 단계S9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906에 있어서, 단계S902와 마찬가지로,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을 설정한다. 그소정의 전력이 설정된 경우, 단계S903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렇게,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100)는, 전자기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간의 무선급전을 위한 인증을 행하고, 인증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기기(200)에 무선으로 급전을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한다. 그 때문에, 급전장치(100)는, 무선급전의 인증이 성공한 전자기기(200)에 대하여 무선급전을 행하고, 무선급전의 인증이 성공하고 있지 않는 전자기기(200)를 보호할 수 있다.
급전장치(100)는, 전자기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200)의 상태를 한층 더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자기기(200)의 상태에 근거하여, 전자기기(200)에 무선으로 급전을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한다. 그 때문에, 급전장치(100)는 수전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전자기기(200)에 대하여 무선으로 급전할 수 있고, 수전의 상태를 검출할 수 없는 전자기기(200)는 보호될 수 있다. 급전장치(100)는 에러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전자기기(200)에 대하여 무선으로 급전할 수 있고, 에러가 발생한 전자기기(200)는 보호될 수 있다. 급전장치(100)는 충전이 완료하고 있지 않는 전자기기(200)에 대하여 무선으로 급전할 수 있고, 충전이 완료한 전자기기(200)는 보호될 수 있다.
급전장치(100)가 소정의 전력을 전자기기(200)에 공급하고 있는 동안, 급전장치(100)는, 검출부(104), 전류검출부(111) 및 온도검출부(112)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전자기기(200)에 충전이나 급전에 관한 에러가 발생한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검출부(104), 전류검출부(111) 및 온도검출부(112)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전자기기(200)에 충전이나 급전에 관한 에러가 발생한 것을 급전장치(100)가 검출하는 경우, 급전장치(100)는, 소정의 전력의 출력을 정지하고, 전자기기(200)와 통신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200)에의 급전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층 더, 급전장치(100)는, 급전장치(100)가 지원한 급전의 전력 레벨과, 전자기기(200)가 지원한 수전의 전력 레벨에 따라, 소정의 전력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급전장치(100)는, 전자기기(200)에 과잉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층 더, 급전장치(100)는, 소정의 전력의 값에 따라 소정의 시간의 지속기간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전력이 보다 큰 값을 갖는 급전장치(100)는, 짧은 빈도로 상기 전자기기(200)와 통신을 행하므로, 전자기기(200)의 상태에 적합한 급전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100)는, 급전장치(100)와 전자기기(200)간의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200)에 무선으로 적절하게 급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와 다른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처리에 관하여 설명을 행한다.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과 처리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급전 능력 데이터(108a)는,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층 더,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수전 능력 데이터(404)는, 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미들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하이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2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108)에는, 급전 능력 데이터108a 대신에, 급전 능력 데이터108b가 기억되고, WPT_RTD데이터(400)에는, 수전 능력 데이터404 대신에 수전 능력 데이터407이 기억된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의 급전 능력 데이터108b는, 급전장치(100)가 지원한 급전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급전 능력 데이터108b는, 급전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의 최소값(Min Power)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와, 급전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Max Power)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제1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상기 제2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전 능력 데이터(407)에 관하여 설명을 행한다. 수전 능력 데이터(407)는, 전자기기(200)가 지원한 수전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수전 능력 데이터(407)는, 전자기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소값(Min Power)을 나타내는 제3 데이터와, 전자기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Max Power)을 나타내는 제4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제3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가 수전 안테나(203)를 거쳐서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그 제4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가 수전 안테나(203)를 거쳐서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급전장치(100)가 도 6의 인증 처리를 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로부터, 수전 능력 데이터(404) 대신에 수전 능력 데이터(407)를 취득한다.
이하,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100)에 의해 행해진 도 7의 단계S712에 나타낸 설정 처리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정 처리>
도 11에 나타낸 설정 처리는, 제어부(101)가 메모리(108)에 기억된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 실현된다.
단계S110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 능력 데이터(108b)에 포함된 제2 데이터와, 수전 능력 데이터(407)에 포함된 제4 데이터를 비교한다.
제어부(101)는, 그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급전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이 전자기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보다 큰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급전장치(1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이 전자기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보다도 크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1101에서 YES), 단계S110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급전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이 전자기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보다도 크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단계S1101에서 NO), 단계S11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102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의 수전 능력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을 설정한다. 제어부(101)는, 제3 데이터 및 제4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전자기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소값이상으로 되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효율이나 전지(211)의 잔용량에 따라,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해도 된다.
소정의 전력이 설정된 경우, 단계S11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10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단계S903과 마찬가지로, 단계S1102와 단계S1104 중 어느 한쪽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전력에 따라, 소정의 시간을 설정한다.
단계S1102와 단계S1104 중 어느 한쪽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시간 및 단계S1103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시간은, 급전 파라미터로서 메모리(108)에 기록된다.
급전 파라미터가 메모리(108)에 기록된 경우, 단계S71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104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의 급전 능력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을 설정한다. 제어부(101)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의 최소값이상으로 되도록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한다. 한층 더, 제어부(101)는, 급전 효율이나 전지(211)의 잔용량에 따라, 소정의 전력의 값을 설정해도 된다. 소정의 전력이 설정된 경우, 단계S1103의 처리로 진행된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급전장치(100)는, 급전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과, 전자기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의 최대값에 따라, 소정의 전력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급전장치(100)는, 전자기기(200)에 과잉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층 더, 급전장치(100)는, 소정의 전력의 값에 따라, 소정의 시간의 지속시간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전력의 보다 큰 값을 갖는 급전장치(100)는, 짧은 빈도로 전자기기(200)와 통신하여서, 전자기기(200)의 상태에 적합한 급전을 행한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100) 및 전자기기(200)에 있어서,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와 같은 구성과 처리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된 효과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비록, 상기 제1 및 제2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사용해서 전자기기(200)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고, 급전안테나(107)를 사용해서 제1의 통신부(106)와 전자기기(200)와의 통신을 행하지만, 상기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급전장치(100)는, 전자기기(200)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와, 제1의 통신부(106)와 전자기기(200)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다른 안테나를 가져도 된다.
비록, 상기 제1 및 제2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기(200)가 수전 안테나(203)를 사용해서 급전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수전 안테나(203)를 사용해서 급전장치(100)와 제1의 통신부(206)와의 통신을 행하지만, 상기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200)는, 급전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급전장치(100)와 제1의 통신부(206)와의 통신을 행하는 다른 안테나를 가져도 된다.
비록 제1의 통신부(106)가 NFC규격에 따르는 리더 라이터로서 동작하지만, 상기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의 통신부(106)는 NFC규격에 따르는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P2P)로서 작동하여도 된다.
소정의 급전 방법은, 자계공명 방식을 사용한 급전 방법이외의 급전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또한, 소정의 급전 방법은, 무선전력 위원회(WPC)에 규정되어 있는 규격(예를 들면, "Qi"규격)에 따르는 급전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급전 방법은, 무선전력 송신(WPT)에 규정되어 있는 규격에 따르는 급전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급전 방법은, 미국가전협회(CEA)에 규정되어 있는 규격에 따르는 급전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급전 방법은, 무선충전연합(A4WP)에 규정되어 있는 규격에 따르는 급전 방법이어도 된다.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통신 전력과 소정의 전력 중 어느 한쪽을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01)는, 급전안테나(107)의 공진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f로 설정하도록 상기 정합회로(105)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 통신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에, 제어부(101)는, 급전안테나(107)의 공진주파수를 13.56MHz로 설정하도록 정합회로(105)를 제어해도 된다. 그러나, 급전장치(100)가 급전안테나(107)를 거쳐서 소정의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에, 제어부(101)는, 급전안테나(107)의 공진주파수를 6.78MHz로 설정하도록 정합회로(105)를 제어해도 된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추가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6)

  1.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급전하는 급전부;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전력을 상기 급전부를 거쳐서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급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설정된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통신부간의 통신의 빈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통신의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을 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급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으로서 제2 전력이하인 제1 전력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데이터에 근거해서 구해지는, 급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스테이터스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급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급전부가 공급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2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급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해서 구해진 제3 전력이 상기 제2 데이터에 근거해서 구해진 제4 전력보다도 클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으로서 상기 제4 전력이하인 제5 전력을 설정하는, 급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2 데이터에 근거해서 구해진 제6 전력이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해서 구해진 제7 전력보다도 클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으로서 상기 제7 전력이하인 제8 전력을 설정하는, 급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13.56MHz의 주파수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6.78MHz의 주파수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물질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급전부를 거쳐 급전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급전장치.
  11. 급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부;
    상기 급전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전부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급전장치와의 인증이 완료했을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된 후에 상기 급전장치로부터 상기 수전부를 거쳐서 공급된 전력에 근거하여, 직류전력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급전장치가 판정하게 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기기.
  13.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급전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전력을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급전방법.
  14. 급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급전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단계;
    상기 급전장치와의 인증이 완료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된 후에 상기 급전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근거하여 직류전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전방법.
  15. 컴퓨터에 아래의 급전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급전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전력을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16. 컴퓨터에 아래의 수전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급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급전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단계;
    상기 급전장치와의 인증이 완료했을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가능한 전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급전장치에 송신된 후에 상기 급전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근거하여 직류전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40055251A 2013-05-09 2014-05-09 급전장치, 전자기기 및 방법 KR101783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9550A JP2014220944A (ja) 2013-05-09 2013-05-09 給電装置、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3-099550 2013-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73A true KR20140133473A (ko) 2014-11-19
KR101783233B1 KR101783233B1 (ko) 2017-09-29

Family

ID=5185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251A KR101783233B1 (ko) 2013-05-09 2014-05-09 급전장치, 전자기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54182B2 (ko)
JP (1) JP2014220944A (ko)
KR (1) KR101783233B1 (ko)
CN (1) CN10414386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63A1 (ko) * 2015-07-06 2017-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8093099A1 (ko) * 2016-11-15 2018-05-24 엘지전자(주) 무선 전력 전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68441B2 (en) 2015-10-29 2020-12-15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0113B2 (en) 2011-02-01 2020-04-2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Power supply device of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RF magnetic card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same
TWI661445B (zh) * 2018-07-17 2019-06-01 富達通科技股份有限公司 感應式電源供應系統之供電裝置及其射頻磁性卡片識別方法
US20150091496A1 (en) * 2013-10-01 2015-04-02 Blackberry Limit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device under charge
JP6376913B2 (ja) * 2014-09-10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6067076A (ja) * 2014-09-22 2016-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52468B2 (ja) * 2015-01-22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7402B2 (ja) * 2015-05-13 2019-07-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JP6632239B2 (ja) * 2015-07-22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可能な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80219428A1 (en) * 2015-07-27 2018-08-02 Lg Innotek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ireless power receiver
CN109478801B (zh) * 2016-07-29 2024-03-26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受电装置和电子设备
JP7005151B2 (ja) * 2017-03-0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6894B1 (ko) * 2017-08-07 2022-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7144192B2 (ja) * 2018-05-29 2022-09-29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送電装置、その制御回路
CN109606144A (zh) * 2018-12-12 2019-04-12 深圳创维汽车智能有限公司 无线充电控制方法、无线充电器及汽车
WO2023039730A1 (zh) * 2021-09-14 2023-03-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4075967A1 (ko) * 2022-10-06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빠른 인증을 통해 고전력 모드에서 무선 재충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3766B (en) * 2008-03-13 2016-12-21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coil primary and inductiv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the same
JP5361275B2 (ja) 2008-08-06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方法
US9407327B2 (en) 2009-02-13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eable and charging devices
US8332671B2 (en) 2009-07-23 2012-12-11 Fujitsu Component Limited Power suppl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of
JP5703822B2 (ja) * 2011-02-21 2015-04-22 ソニー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方法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JP5751858B2 (ja) 2011-02-22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JP5854640B2 (ja) 2011-05-25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受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35885A (ko) 2011-06-07 2012-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및 수신기 간의 양방향 통신 방법 및 상기 장치들
JP5893285B2 (ja) * 2011-08-04 2016-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4001983A1 (en) * 2012-06-29 2014-01-03 Koninklijke Philips N.V. Wireless inductive power transfer
CN103036282A (zh) 2012-12-06 2013-04-10 捷普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电压自适应无线充电装置及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63A1 (ko) * 2015-07-06 2017-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10868441B2 (en) 2015-10-29 2020-12-15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8093099A1 (ko) * 2016-11-15 2018-05-24 엘지전자(주) 무선 전력 전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82891A (ko) * 2016-11-15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073574A (zh) * 2016-11-15 2019-07-30 Lg 电子株式会社 无线电力传递方法及其设备
US11205929B2 (en) 2016-11-15 2021-12-2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ferr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11658513B2 (en) 2016-11-15 2023-05-2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ferr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10073574B (zh) * 2016-11-15 2023-12-05 Lg 电子株式会社 无线电力传递方法及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54182B2 (en) 2017-05-16
CN104143862B (zh) 2017-09-26
JP2014220944A (ja) 2014-11-20
KR101783233B1 (ko) 2017-09-29
US20140337643A1 (en) 2014-11-13
CN104143862A (zh)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233B1 (ko) 급전장치, 전자기기 및 방법
US1132969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362782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865052B1 (ko) 급전장치, 급전방법 및 기록 매체
JP6202854B2 (ja) 給電装置
JP6381305B2 (ja) 電子機器
JP6381304B2 (ja) 電子機器
US10027186B2 (en)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375639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wirelessly supplying power to power reception apparatus
JP2014007863A (ja)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77207A (ko)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송전하도록 구성된 송전장치, 송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9979231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100078B2 (ja) 給電装置、給電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076998A (ja)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10476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給電装置
JP6168869B2 (ja) 給電装置
JP2014225984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8133858A (ja) 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