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409A -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409A
KR20140133409A KR1020140012053A KR20140012053A KR20140133409A KR 20140133409 A KR20140133409 A KR 20140133409A KR 1020140012053 A KR1020140012053 A KR 1020140012053A KR 20140012053 A KR20140012053 A KR 20140012053A KR 20140133409 A KR20140133409 A KR 2014013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connection layer
drying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337B1 (ko
Inventor
김윤경
Original Assignee
김윤경
케이지이에스금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경, 케이지이에스금강(주) filed Critical 김윤경
Publication of KR2014013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9/00Adhesives based on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on derivative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01/00 -C09J107/00 or C09J189/00 - C09J19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물성 성분이 함유된 점착제를 사용하여 단열층을 벽면에 부착하도록 하되, 접착제가 단열층과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된 수분에 의해 용해(녹는 현상)되어 점착력이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호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불어 단열시트의 부착시간이 지체되더라도 단열층의 원활한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접착제가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접착력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접착제의 흘러내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 하여 항시 도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별도의 연결층을 적용하여 접착제가 연결층과 일체화 되도록 하되, 제조 과정 중 접착제의 건조 시 연결층의 형상이 변형을 방지하여 단열층과 연결층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접착제가 단열층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과정에서 공급되는 수분이 단열층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INSULATING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NSULATING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온도 유지를 위해 벽면 등에 부착되는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점착시트를 구성하는 발포물을 벽면에 부착할 때 일반 공업용 본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식물성 전분질을 포함하는 친환경적 점착제를 사용하되, 별도의 점착유도필름을 통해 발포물과 점착제 간 일체화 현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나 벽돌 등의 자재로 지어진 건축물의 벽면에는 실내열기의 외부 방사 현상을 최소화하고 실외공기의 내부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시트가 부착 설치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단열시트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물 표면에 열의 방사 및 반사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금속필름층이 적층된 구조이고, 금속필름층이 건물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부착 설치된다.
이때 단열시트를 스티로폼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단열시트와 벽면 간의 부착상태 유지를 위해 별도의 접착제가 사용되는데,
기존에는 단열시트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직전에 접착제를 단열시트 표면에 별도로 도포시킨 후 부착시켰다.
해당 방식은 작업자가 매번 접착제를 단열시트 표면에 직접 도포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단열시트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바로 벽면에 부착시키지 않을 경우 접착제가 굳어 접착력을 상실하는 문제도 갖는다.
근래에는 단열시트에 접착제가 이미 일체로 도포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위에 보호시트지가 덮여져 접착제를 보호한 후, 단열시트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직전에 보호시트지를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해당 방식은 접착제를 작업자가 일일이 도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해소할 수 있으나 보호시트지를 떼어낸 후 단열시트를 곧바로 부착시키지 않으면 접착제가 굳거나 이물질이 달라붙어 접착력이 상실되는 문제점은 그대로 갖는다.
그리고 떼어낸 보호시트지는 그대로 쓰레기가 되어 별도 수거 처리해야하고, 작업중에 일일이 단열시트에서 보호시트지를 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이러한 문제점 외에도 기존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솔벤트(Solvent), 톨루엔(Toluene) 등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많이 포함된 공업용 본드 형태이므로, 단열시트를 실내 벽면에 부착할 경우 접착제에 포함된 유해 성분들로 인해 새집 증후근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유해성분의 함유율을 최소화하고 식물성 성분으로부터 추출한 접착성분을 이용한 접착제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해당 점착제들은 기존 공업용 본드에 비해 부착 가능한 재질이 한정될 수 있다.
특히 단열시트를 구성하는 발포물 표면에 금속필름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경우 해당 접착제가 금속필름층 표면에 견고하게 접착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97366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식물성 성분이 함유된 점착제를 사용하여 단열층을 벽면에 부착하도록 하되, 접착제가 단열층과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된 수분에 의해 용해(녹는 현상)되어 점착력이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보호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불어 단열시트의 부착시간이 지체되더라도 단열층의 원활한 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접착제가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접착력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접착제의 흘러내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 하여 항시 도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별도의 연결층을 적용하여 접착제가 연결층과 일체화 되도록 하되, 제조 과정 중 접착제의 건조 시 연결층의 형상이 변형을 방지하여 단열층과 연결층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접착제가 단열층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과정에서 공급되는 수분이 단열층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기본적으로 단열층 및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적층 형성되어 있고 접착제가 도포 건조되어 있는 연결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층은 종이와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은 합성수지가 발포되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연결층이 적층 형성되는 발포층 및 상기 발포층 중 상기 연결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부착되어 있는 초배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층은 상기 연결층과 상기 발포층 사이에 적층 형성되어 있는 차단 및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및 반사층은 베이스필름 표면에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및 반사층은 베이스필름 표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막필름이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층은 부직포이고 상기 연결층 증 상기 단열층과 마주하는 면에 부착 형성된 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층은 상기 연결층 표면에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박막필름 형태일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보조층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박막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 예는,
종이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층 표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 형성시키는 접착제 도포공정, 상기 연결층에 형성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접착제 건조공정,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을 단열층 상에 적층 결합시키는 연결층 결합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은 상기 연결층을 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 적정 장력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 상기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 과정에서 실시되고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켜 경화시키는 건조 및 경화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층 결합공정은 상기 연결층을 상기 차단 및 반사층에 적층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단계 및 상기 연결층이 결합된 차단 및 반사층을 상기 발포층에 적층 결합시키는 최종 결합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는,
종이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층을 상기 차단 및 반사층 표면에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공정, 상기 보조 결합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 표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 형성시키는 접착제 도포공정,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에 형성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접착제 건조공정,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차단 및 반사층을 상기 단열층 상에 적층 결합시키는 연결층 결합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은 상기 연결층과 상기 차단 및 반사층을 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 적정 장력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 상기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실시되고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켜 경화시키는 건조 및 경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층 표면에 상기 보조층을 형성시키는 보조층 형성공정, 상기 연결층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 형성시키는 접착제 도포공정,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에 형성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접착제 건조공정,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을 상기 단열층 상에 적층 결합시키는 연결층 결합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은 상기 연결층을 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 적정 장력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 상기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실시되고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켜 경화시키는 건조 및 경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층 결합공정은 상기 연결층을 상기 차단 및 반사층에 적층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단계 및 상기 연결층이 결합된 차단 및 반사층을 상기 발포층에 적층 결합시키는 최종 결합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접착제가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접착제가 사용 전에는 굳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접착제의 보호를 위한 보호시트을 생략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재료 절감효과 및 쓰레기 발생율도 줄어드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접착제가 굳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층의 접착제 도포 지점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접착제가 용해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므로, 접착력이 발휘된 상태에서 단열점착시트를 피 부착면에 곧바로 부착시키지 않고 시간이 경과되어 접착제가 다시 굳더라도 수분을 재차 공급하면 접착력이 재차 회복되므로 단열점착시트의 부착 작업이 용이한 장점도 갖는다.
또한 식물성 성분을 갖는 접착제를 통해 단열층을 피 부착면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해당 접착제가 연결층을 매개로 하여 단열층과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기존과 달리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접착제의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단열층에 차단 및 반사층을 형성시키더라도 해당 접착제가 차단 및 반사층과 용이하게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의 건조과정에서 연결층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건조과정을 진행함에 따라, 연결층을 종이 등으로 적용하더라도 건조과정에서 주름 등의 변형 발생 현상 가능성이 최소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만약 연결층과 차단 및 반사층을 상호 적층 결합한 상태로 접착제 건조공정을 진행할 경우, 차단 및 반사층이 자체 내구성을 통해 지지체 역할을 하여 건조과정에서 연결층의 주름 발생 현상이 더욱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연결층을 종이보다 내구성이 높은 부직포로 적용할 경우, 접착제 건조 과정에서 연결층의 주름발생 현상이 더욱 줄어들고 취급 과정에서 찢어짐 등의훼손 가능성도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연결층을 부직포로 적용하였을 때, 부직포는 종이에 비해 표면에 형성된 공극이 커 접착제의 침투율이 높으므로 접착제의 도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분의 침투율도 높기 때문에 표면에 수분을 공급하였을 때 연결층에 침투되어 있는 접착제가 신속하게 반응하여 접착력을 빨리 발휘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연결층을 부직포로 적용하였을 때, 연결층 이면에 보조층을 형성시킴에 따라 접착제 도포 과정에서 접착제가 연결층을 관통하여 단열층과 불필요하게 접촉되지 않게 된다.
더불어 수분을 연결층 표면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연결층을 관통하여 불필요하게 단열층에 접촉되는 현상도 방지된다.
또한 보조층이 접착제나 수분의 관통 현상을 막는 기능과 더불어 차단 및 반사층의 기능, 즉 실내 열기의 외부 방사를 차단하고 외부열기를 반사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단열효과가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보조층을 통해 수분이나 접착제의 통과 차단기능은 물론 단열효과 상승 기능이 함께 발휘되므로 단열재의 차단 및 반사층을 생략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1은 단열점착시트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2는 전체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3은 접착제 도포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접착제 건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5는 연결층 결합공정 중 보조 결합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6은 연결층 결합공정 중 최종 결합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7은 연결층 결합공정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8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8은 전체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9는 보조 결합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10은 접착제 도포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11은 접착제 건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12는 연결층 결합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13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3은 단열점착시트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14는 전체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15는 보조층 형성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16은 접착제 도포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17은 접착제 건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18은 연결층 결합공정 중 보조 결합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19는 연결층 결합공정 중 최종 결합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20은 연결층 결합공정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제 1실시 예>
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단열점착시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단열층(100)과 연결층(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단열층(100)은 단열점착시트(1) 중 실제 단열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으로, 발포층(110)과 초배지층(120), 차단 및 반사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발포층(110)은 단열층(100) 중에서도 실질적인 단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두께 및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일반적인 스티로폼처럼 합성수지를 발포하여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발포층(110)을 이루는 합성수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을 적용하거나 그 외 발포 성형이 가능하고 성형 후 단열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선택적용될 수 있다.
초배지층(120)은 단열층(100)이 건물 벽면 등의 피 부착면에 부착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를 향해 노출된 발포층 표면에 도배지 등의 내장 시트를 원활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필름 형태이고 발포층(110) 중 피 부착면을 향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적층 형태로 부착 형성된다.
이렇게 초배지층(120)이 발포층(110) 표면에 형성됨에 따라 발포층(110) 표면이 평평하게 되어, 도배지 등의 부착이 용이하다.
참고로 만약 발포층(110)의 재질이나 표면상태 등에 따라 발포층 표면에 도배지 등을 직접 부착시킬 수 있는 상태라면 초배지층(120)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층(110) 및 초배지층(120)과 더불어 단열층(100)을 구성하는 차단 및 반사층(130)은 발포층(110)과 더불어 보조적인 단열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필름 형태이고 발포층(110) 중 초배지층(120)이 부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부착설치된다.
이러한 차단 및 반사층(130)은 열의 반사율이 높고 방사율은 낮도록 하기 위해 금속이 포함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차단 및 반사층(130)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130a) 표면에 알루미늄 등 열의 반사율이 높고 방사율은 낮은 금속재가 증착 등을 통해 형성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별도의 베이스필름(130a) 표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막필름(130b)이 적층 형성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베이스필름(130a) 없이 금속만으로 이루어진 박막필름 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단열층(100)이 차단 및 반사층(130)과 발포층(110)에 의한 다중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단열효과가 더욱 증가 되는 효과를 갖는다.
참고로 발포층(110)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 발포층(110) 만으로도 충분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차단 및 반사층(1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단열층(100)에는 연결층(200)이 결합 형성된다.
연결층(200)은 접착제를 통해 단열층(100)을 건물 벽면 등의 피 부착면(미도시)에 부착 설치시키는 과정에서 기존의 일반 공업용 본드가 아닌 식물성 성분이 함유된 친환경적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해당 접착제와 단열층(100) 간의 연결을 위한 매개체 역할과 동시에 접착제가 수분과 반응하여 용해되는 과정에서 접착제의 형성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 두께 및 단열층(10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단열층(100) 중 차단 및 반사층(130)의 표면 상에 적층 형태로 부착 결합 형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연결층(200)은 종이나 부직포 등 표면에 접착제(210)와 수분이 원활하게 도포 및 침투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되, 재질은 종이나 부직포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층(200)이 종이로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연결층(200)은 두께가 0.02 내지 0.15㎜ 정도일 수 있다.
만약 연결층(200) 두께가 0.02㎜ 미만일 경우, 특히 연결층을 종이로 적용할 경우 강도가 저하되어 후술하는 접착제(210)의 도포 과정에서 접착제가 과도하게 침투될 수 있고 접착제의 건조 과정에서 찢어짐 등의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반면 연결층(200) 께가 0.15㎜를 초과할 경우에는 후술할 접착제(210) 적정 침투율 확보를 위해 접착제의 사용량이 과도하게 증가됨은 물론 연결층의 재료 손실율이 높아질 수 있다.
물론 연결층(200)의 두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열층(100)의 두께나 피 부착면 등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층(200) 중 피 부착면(미도시)을 향하는 면에는 접착제(210)가 도포 형성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210)는 기존의 일반 본드와 달리 밀가루 등 전분질 형태의 식물성 성분이 함유된 형태로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착제(210)는 총 100중량%에 대하여 중량%로, 폴리비닐알콜수지 : 10 내지 20%, 물 : 20 내지 40%, 메탄올 : 30 내지 40%, 소포제 : 1 내지 2%, 점착보강제 3 내지 10%, 밀가루 : 5 내지 20%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된다.
특히, 이러한 접착제(210)에는 인체에 유해 성분들이 혼합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밀가루 등이 혼합되어 친환경의 원료로서 사용자의 건강에 해로움이 없고, 점착력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물은, 70 내지 90℃ 온도의 물이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콜수지는, 계면활성의 물질로써, 액체에 녹으면 용액의 표면장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폴리비닐알콜수지는, 물에 녹는 중합체로써 접착 특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그렇기 때문에 폴리비닐알콜수지는, 다른 물질과 잘 섞이면서 상기 점착혼합물(500)의 점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폴리비닐알콜수지의 중량이 10% 미만이 되면 접착제(210)의 접착력이 작아지고, 폴리비닐알콜수지의 중량이 20%를 초과하게 되면 접착제(210)의 접착력이 높아지는 대신 점착력이 작아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물은 상기 폴리비닐알콜수지, 메탄올, 밀가루 등이 상호 원활하게 교반 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밀가루의 점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물의 중량이 20% 미만일 경우, 밀가루의 글루텐 생성이 저하되어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물의 중량이 40%를 초과할 경우, 접착제(210)의 점도가 저하되므로 연결층(200)에 도포될 경우, 접착제(210)가 연결층(200) 표면에서 흘러내리거나 과도하게 침투되는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
메탄올은, 중량이 30% 미만일 경우 접착제(210)의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중량이 40%를 초과할 경우 접착제(210)의 응집력이 높아져 균일한 점착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메탄올은 점착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접착제(210)가 원활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건조 촉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소포제는 접착제(210)의 기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접착보강제는 접착제(210)의 접착력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밀가루는 접착제(210)의 전체 점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밀가루는 탄성을 발휘하는 글리아딘과 점성과 신장성을 발휘하는 글루테닌으로 이루어져 물과 혼합되면서 탄성과 점성 및 신장성을 갖춘 글루텐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밀가루의 중량이 5% 미만일 경우, 접착제(210)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단열점착시트(1)의 부착에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밀가루의 중량이 20%를 초과할 경우, 접착제(210)의 접착력은 향상되는 반면 접착제(210)의 고형화 및 응집력이 높아져 균일한 점착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접착제(210)의 함유 성분은 반드시 위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접착제(210)는 연결층(200)이 종이 외 부직포 등으로 적용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접착제(210)는 액상의 상태로 연결층(200) 중 피 부착면을 향하는 면에 도포되어 일부가 연결층(200) 내부로 침투됨과 동시에 연결층(200) 표면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접착제(210)는 연결층(200) 내부에 침투되도록 도포된 후 건조된 상태로 형성되며 추후 수분과 접촉되었을 때 수분에 의해 용해되면서 접착력이 발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접착제(210)가 연결층(200)에 침투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접착제(210)를 수용성 형태로 구현하더라도 연결층(200)과 원활하게 일체화 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연결층(200)이 단열층(10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접착제(210)와 단열층(100)도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단열층에 금속 성분을 갖는 차단 및 반사층(130)이 형성되어 표면 마찰력이 작더라도 접착제가 연결층(200)을 매개로 차단 및 반사층(130)과 원활하게 일체화된다.
또한 접착제(210)가 연결층(200) 내에 침투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추후 사용 전 수분을 연결층 표면에 공급하여 접착제가 수분에 의해 일부 용해되더라도 접착제의 흘러내림 등의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접착제(210)와 연결층(200) 간의 분리 현상도 최소화된다.
특히 접착제(210)는 연결층(200)에 침투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굳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수분이 공급되어 접촉될 경우 수분에 의해 용해됨과 동시에 밀가루 등이 갖는 점착성분에 의해 접착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단열점착시트는 설치 전 운반 또는 보관 과정에서는 접착제가 연결층(200) 내에 침투되어 굳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운반이나 보관 과정에서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시트 등이 불필요하다.
또한 이 상태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접착제(210)의 접착력이 발휘된 상태에서 단열점착시트를 곧바로 피 부착면에 부착시키지 않고 방치되어 접착제(210)가 다시 굳어지더라도 재차 수분을 공급하면 다시 접착력이 회복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1실시예에 의한 단열점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단열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접착제 도포공정(S10)과 접착제 건조공정(S30) 및 연결층 결합공정(S50)을 포함한다.
먼저 접착제 도포공정(S10)은 준비된 연결층(200)의 표면에 접착제(210)를 도포시키는 과정으로, [도 3](a),(b)와 같이 액상의 접착제(210)를 연결층(200) 중 피 부착면과 마주할 면 상에 도포시키고, 이로 인해 접착제(210)는 연결층(200)의 표면을 통해 내부로 침투된 상태로 연결층(200) 표면상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참고로 접착제(210)의 도포량은 연결층(200)의 두께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접착제 도포공정(S10)을 거친 연결층(200)은 접착제(210)가 표면에 도포 형성되되 접착제가 내부까지 침투되어, 결국 연결층(200)과 접착제(210)가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공정(S10)이 완료되면 접착제 건조공정(S30)을 실시한다.
접착제 건조공정(S30)은 연결층(200)에 도포 형성된 접착제(210)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건조 과정에서 연결층(200)의 변형 발생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과정으로, 다시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와 건조 및 경화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는 접착제(210)를 건조시키기 전에 건조과정에서 연결층(200)의 변형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전처리 단계로, 연결층(200)을 종이로 적용하였을 경우 물이 함유된 접착제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축되어 주름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연결층(200)에 주름이 형성될 경우 단열층(100)과의 부착 결합시 부착면이 고르지 못해 상호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는 이러한 연결층(200)의 수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층(200)의 양단부를 각각 별개의 롤러(400)에 연결하고 각 롤러(40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연결층(200)의 양단부가 각 롤러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져 적정 수준의 장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연결층(200)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연결층(200)의 표면은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롤러(400)는 연결층(200)의 양단부에만 연결될 수도 있고 사방의 각 테두리에 연결되어 연결층(200)을 사방에서 당기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연결층(200)을 당겨 장력을 형성시키는 구성은 반드시 롤러에 의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등 연결층(200)을 당겨 적정수준의 장력이 형성 및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와 함께 접착제 건조공정(S30)을 구성하는 건조 및 경화단계(S34)는 실질적으로 접착제(210)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경화시키는 과정으로 [도 4]와 같이 양단부가 롤러(400)에 의해 당겨져 있는 연결층(200) 표면에 별도 가열기(500)를 통해 열을 공급하여 접착제(210)가 건조되도록 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때 공급되는 열은 약 70 내지 250℃로 설정하는데, 공급되는 열의 온도가 70℃ 미만일 경우 상기 점착혼합물(500)의 건조 및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2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접착제(210)나 연결층(200)이 탄화되어 점착력을 잃게 될 수 있다.
물론 가열 온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접착제(210)의 성분이나 도포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적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공급된 열에 의해 연결층(200)에 침투되어 있는 접착제(210)는 건조됨과 동시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경화되어 굳게 된다.
이렇게 접착제(210)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연결층(200)이 종이일 경우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연결층(200)은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S32)를 통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이기 때문에 수축이 억제되고, 건조 및 경화 과정에서 연결층(200)의 표면은 평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착제(210)가 건조되면 접착제(210)는 연결층(200) 내에 침투된 상태로 경화되고, 그 후 연결층(200)을 각 롤러(400)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연결층(200)은 주름 등의 변형이 발생 되지 않고 표면이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만약 연결층(200)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따라 접착제의 건조과정에서 연결층(200)의 변형가능성이 없거나 변형 정도가 미비하여 단열층(100)과의 결합에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S32)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경화단계(S34)에서 접착제의 건조는 반드시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온건조 방식 등 접착제(210)의 건조 및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 건조공정(S30)이 완료되면 연결층 결합공정(S50)을 진행한다.
연결층 결합공정(S50)은 접착제(210)가 경화된 상태의 연결층(200)을 단열층(100)과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보조 결합단계(S52)와 최종 결합단계(S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보조 결합단계(S52)는 접착제(210)와 일체화된 상태의 연결층(200)을 단열층(100) 중 차단 및 반사층(130)과 먼저 결합시키는 단계로 [도 5]와 같이 차단 및 반사층(130)을 연결층(200) 중 접착제(210)가 도포된 면과 반대되는 쪽 면에 적층 형태로 부착시키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렇게 접착제(210)가 침투되어 경화된 상태의 연결층(200)을 차단 및 반사층(130)과 부착시켜 일체화시킴에 따라, 결국 접착제(210)도 연결층(200)을 매개로 하여 차단 및 반사층(130)과 원활하게 일체화된다.
즉 금속재의 특성상 표면 마찰력이 작은 차단 및 반사층(130) 표면에 수용성 접착제가 원활하게 일체화되는 것이다.
최종 결합단계(S54)는 이렇게 차단 및 반사층(130)과 일체화된 연결층(200)을 발포층(110)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도 6]과 같이 차단 및 반사층(130)을 발포층(110) 중 피 부착면을 향햐는 면 상에 적층 형태로 부착 결합시키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로 인해 접착제(210)가 연결층(200)을 매개로 하여 단열층(100)과 일체화된 상태의 단열점착시트(1)가 완성되고 이렇게 완성된 단열점착시트(1)는 [도 1]과 같이 발포층(110)과 차단 및 반사층(130), 연결층+접착제가 순서대로 적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최종 결합단계(S54)를 거친 후 발포층(110)에 초배지층(120)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최종 결합단계(S54) 이전에 초배지층(120)을 먼저 발포층(110)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초배지층(120)의 사용이 필요 없을 경우 초배지층(120)의 부착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층 결합공정(S50)은 [도 7]과 같이 보조 결합단계(S52)를 생략하고 발포층(110)에 차단 및 반사층(130)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층(200)을 차단 및 반사층(130)에 부착시키는 형태로 진행할 수도 있다.
<제 2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 및 공정은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와 공정에 대한 설명 중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열점착시트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 즉 발포층(110) 일면에 차단 및 반사층(130)이 적층 결합 되어 있고 차단 및 반사층(130)의 일면에는 종이 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층이 적층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층(200)에는 접착제(210)가 도포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반면 각 공정의 실시 순서에 있어서 제 1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단열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결합공정(S20)과 접착제 도포공정(S10), 접착제 건조공정(S30) 및 연결층 결합공정(S50)의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보조 결합공정(S20)은 연결층(200)을 차단 및 반사층(130)과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도 9]처럼 차단 및 반사층(130)을 연결층(200) 중 피 부착면을 향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적층 형태로 부착 결합 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때 해당 공정에서의 연결층(200)은 접착제(210)가 도포 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 및 반사층(130)과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 결합공정(S20)이 완료되면 접착제 도포공정(S10)이 실시된다.
접착제 도포공정(S10)은 차단 및 반사층(130)과 부착 결합 된 상태의 연결층(200) 표면에 접착제(210)를 도포시키는 과정으로, [도 10](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접착제(210)를 연결층(200) 중 피 부착면과 마주할 면 상에 도포시키고, 이로 인해 접착제(210)는 연결층(200)의 표면을 통해 내부로 침투된 상태로 연결층(200) 표면상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즉 접착제 도포공정(S10)을 거친 연결층(200)은 접착제(210)가 표면에 도포 형성되되 접착제가 내부까지 침투되어, 결국 접착제(210)와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접착제 도포공정(S10)은 접착제 도포 방식이 제1실시 예의 접착제 도포공정과 동일하되, 제1실시예와 달리 연결층(200)이 차단 및 반사층(1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도 접착제(210)의 도포량은 연결층(200)의 두께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공정(S10)이 완료되면 접착제 건조공정(S30)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접착제 건조공정(S30)은 제1실시예의 접착제 건조공정과 마찬가지로 연결층(200)에 도포 형성된 접착제(210)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건조 과정에서 연결층(200)의 변형 발생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과정으로, 역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와 건조 및 경화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도 접착제(210)를 건조함과 동시에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연결층(200)의 수측으로 인한 주름 발생 등의 형상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과정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 부착된 상태의 연결층(200)과 차단 및 반사층(130)의 양단부를 롤러(400)에 연결 시킨 후 반대방향으로 당겨 적정 장력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의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되 연결층(200)만을 당기는 제1실시 예와 달리, 연결층(200)과 차단 및 반사층(130)이 상호 적층 결합된 상태에서 동시에 당겨 연결층(200)과 차단 및 반사층(130)에 적정 장력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함에 차이가 있다.
이때 차단 및 반사층(13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접착제의 건조과정에서 수축에 의한 변형 발생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이렇게 연결층(200)을 차단 및 반사층(130)에 부착한 상태로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를 진행함에 따라, 차단 및 반사층(130)이 지지체 역할을 함으로써 연결층(200)의 변형 발생 가능성이 더욱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결층(200)의 표면은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도 연결층(200)을 당겨 장력을 형성시키는 구성은 반드시 롤러에 의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등 연결층(200)을 당겨 적정수준의 장력이 형성 및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와 함께 접착제 건조공정(S30)을 구성하는 건조 및 경화단계(S34)는 실질적으로 접착제(210)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경화시키는 과정으로 [도 11]과 같이 양단부가 당겨져 있는 연결층(200) 표면에 별도 가열기(500)를 통해 열을 공급하여 접착제(210)가 건조되도록 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공급되는 열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정될 뿐만 아니라, 열 공급에 의한 건조 외에 상온 건조 방식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건조 및 경화단계(S34)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결층(200)에 침투되어 있는 접착제(210)는 건조됨과 동시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경화되어 굳게 된다.
이렇게 접착제(210)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연결층(200)이 종이일 경우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연결층(200)은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S32)를 통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이고 차단 및 반사층(130)에 부착되어 지지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수축이 억제되어 표면이 평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착제(210)가 건조되면 접착제(210)는 연결층(200) 내에 침투된 상태로 경화되고, 그 후 연결층(200)을 각 롤러(400)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연결층(200)은 주름 등의 변형이 발생 되지 않고 표면이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 예 에서도 만약 연결층(200)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따라 접착제의 건조과정에서 연결층(200)의 변형가능성이 없거나 변형 정도가 미비하여 단열층(100)과의 결합에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S32)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경화단계(S34)에서 접착제의 건조는 반드시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온건조 방식 등 접착제(210)의 건조 및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 건조공정(S30)이 완료되면 연결층 결합공정(S50)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층 결합공정(S50)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착제(210)가 경화된 상태의 연결층(200)을 단열층(100)과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같이 연결층(200)과 적층 결합되어 있는 차단 및 반사층(130)을 발포층(110) 중 피 부착면을 향햐는 면 상에 적층 형태로 부착 결합시키는 형태로 진행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층 결합공정(S50)은 제1실시예와 달리 최초 이미 연결층(200)과 차단 및 반사층(130)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연결층 결합공정(S50)과정에서 제1실시예의 보조 결합단계(S52)는 생략된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도 1]과 같이 접착제(210)가 연결층(200)을 매개로 하여 단열층(100)과 일체화된 상태의 단열점착시트(1)가 완성되고 이렇게 완성된 단열점착시트(1)는 발포층(110)과 차단 및 반사층(130), 연결층+접착제가 순서대로 적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도 연결층 결합공정(S50)을 거친 후 발포층(110)에 초배지층(120)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연결층 결합공정(S50) 이전에 초배지층(120)을 먼저 발포층(110)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초배지층(120)의 사용이 필요 없을 경우 초배지층(120)의 부착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제 3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위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요소 및 공정은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와 공정에 대한 설명 중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단열점착시트(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단열층(100)과 연결층(200)이 적층 결합되어 있고 연결층(200)에는 접착제가 도포 건조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즉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처럼 단열층(100)에 연결층(200)이 적층 결합되어 있고 연결층(200)에 접착제(210)가 도포 건조 형성되어 있는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포함한다.
단열층(100)은 위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단열층과 마찬가지로 단열점착시트(1) 중 실제 단열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으로, 발포층(110)과 초배지층(120), 차단 및 반사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발포층(110)은 단열층(100) 중에서도 실질적인 단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두께 및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스티로폼처럼 합성수지를 발포하여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발포층(110) 재질도 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특정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초배지층(120)은 위 실시예들과 마찬갖로 단열층(100)이 건물 벽면 등의 피 부착면에 부착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를 향해 노출된 발포층(110) 표면에 도배지 등의 내장 시트를 원활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 형태이고 발포층(110) 중 피 부착면을 향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적층 형태로 부착 형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도 발포층(110)의 재질이나 표면상태 등에 따라 발포층 표면에 도배지 등을 직접 부착시킬 수 있는 상태라면 초배지층(120)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층(110) 및 초배지층(120)과 더불어 단열층(100)을 구성하는 차단 및 반사층(130)은 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발포층(110)과 더불어 보조적인 단열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필름 형태이고 발포층(110) 중 초배지층(120)이 부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부착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도 차단 및 반사층(130)은 열의 반사율이 높고 방사율은 낮도록 하기 위해 금속이 포함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130a) 표면에 알루미늄 등 열의 반사율이 높고 방사율은 낮은 금속재가 증착 등을 통해 형성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별도의 베이스필름(130a) 표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막필름(130b)이 적층 형성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베이스필름(130a) 없이 금속만으로 이루어진 박막필름 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단열층(100)이 차단 및 반사층(130)과 발포층(110)에 의한 다중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단열효과가 더욱 증가 되는 효과를 갖는다.
참고로 발포층(110)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 발포층(110) 만으로도 충분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후술하는 보조층(300)을 통해 보조적인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차단 및 반사층(1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단열층(100)에는 연결층(200)이 결합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층(200)은 위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통해 단열층(100)을 건물 벽면 등의 피 부착면에 부착 설치시키는 과정에서 기존의 일반 공업용 본드가 아닌 식물성 성분이 함유된 친환경적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해당 접착제와 단열층(100) 간의 연결을 위한 매개체 역할과 동시에 접착제가 수분과 반응하여 용해되는 과정에서 접착제의 형성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열층(10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단열층(100) 중 차단 및 반사층(130)의 표면 상에 적층 형태로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연결층(200)은 종이에 비해 내구성이 높은 부직포가 적용된다.
물론 연결층(200)은 부직포 외에도 종이에 비해 내구성이 높아 찢어질 우려가 적고 건조과정에서 수축에 의한 변형 가능성이 낮으며 접착제와 수분이 적정 수준으로 침투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층(200) 중 피 부착면을 향하는 면에는 접착제(210)가 도포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의 접착제(210)는 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일반 본드와 달리 밀가루 등 전분질 형태의 식물성 성분이 함유된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접착제(210)의 성분 등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도 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연결층(200)에 도포된 접착제는 연결층(200) 내부에 침투되도록 도포된 후 건조된 상태로 형성되며 추후 수분과 접촉되었을 때 수분에 의해 용해되면서 접착력이 발휘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 예도 접착제(210)가 연결층(200)에 침투 형태로 도포됨에 따라 연결층(200)과 접착제(210)가 상호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접착제(210)가 연결층(200)에 침투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접착제(210)를 수용성 형태로 구현하더라도 연결층(200)과 원활하게 일체화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연결층(200)이 단열층(10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접착제(210)와 단열층(100)도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단열층에 금속 성분을 갖는 차단 및 반사층(130)이 형성되어 표면 마찰력이 작더라도 접착제가 연결층(200)을 매개로 차단 및 반사층(130)과 원활하게 일체화된다.
또한 접착제(210)가 연결층(200) 내에 침투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추후 사용 전 수분을 연결층 표면에 공급하여 접착제가 수분에 의해 일부 용해되더라도 접착제의 흘러내림 등의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접착제(210)와 연결층(200) 간의 분리 현상도 최소화된다.
특히 접착제(210)는 연결층(200)에 침투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굳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수분이 공급되어 접촉될 경우 수분에 의해 용해됨과 동시에 밀가루 등이 갖는 점착성분에 의해 접착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단열점착시트는 설치 전 운반 또는 보관 과정에서는 접착제가 연결층(200) 내에 침투되어 굳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운반이나 보관 과정에서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시트 등이 불필요하다.
또한 이 상태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접착제(210)의 접착력이 발휘된 상태에서 단열점착시트를 곧바로 피 부착면에 부착시키지 않고 방치되어 접착제(210)가 다시 굳엊더라도 재차 수분을 공급하면 다시 접착력이 회복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이러한 연결층(200)을 부직포로 적용할 경우, 부직포는 종이에 비해 내구성이 높아 찢어짐이나 주름 등의 발생 가능성이 낮지만 공극이 크게 형성되므로 액상의 접착제(210)가 도포되어 침투되는 과정에서 접착제(210)가 연결층을 관통하여 반대쪽 면까지 불필요하게 분포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연결층(200)이 단열층(100)과 부착 결합된 상태에서 접착제(210)가 수분에 의해 용해되는 과정에서 단열층(100)과 연결층(200) 간의 부착효율에 방해가 될 수 있고 공급된 수분이 연결층을 관통할 경우 수분에 의해서도 단열층(100)과 연결층(200) 간의 부착력 저하 현상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현상등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층(200)에 별도의 보조층(300)이 형성된다.
즉 보조층(300)은 공극이 큰 형태의 연결층(200)을 사용하였을 때 접착제가 연결층을 관통하는 현상은 물론, 추후 접착제에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연결층(200)을 관통하여 단열층(100)과 연결층(200) 간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단열효과 향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연결층(200)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연결층(200) 중 접착제(210)가 도포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 즉 단열층과 마주하는 면 상에 적층 형태로 부착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층(300)은 접착제와 수분의 관통 현상을 막기 위해 기본적으로 방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박막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연결층(200) 표면에 증착 형성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박막필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보조층(300)의 재질이나 형성구조는 위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층(200)에 형성되는 접착제나 공급되는 수분이 연결층을 관통하는 것을 원활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수분이나 접착제가 통과될 수 없는 보조층(300)을 연결층(200) 표면에 형성시킴에 따라 접착제나 수분이 보조층(300)에 의해 막혀 반대쪽 면 상에 노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보조층(300)을 금속재질로 형성시킬 경우, 보조층(300)이 접착제나 수분의 통과 차단 기능은 물론, 재질의 특성 상 단열층(100)의 차단 및 반사층(130)과 동일한 단열효율 향상 기능도 발휘할 수 있다.
이렇게 보조층(300)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층(200)은 보조층(300)이 단열층(100) 중 차단 및 반사층(130) 표면 상에 적층 형태로 부착 결합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단열점착시트(1)는 [도 13]처럼 발포층(110) 일면에 차단 및 반사층(130)이 적층 형성되고 차단 및 반사층(130) 상에는 보조층(300)과 연결층(200)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연결층(200)에 형성된 접착제(210)를 비롯해 추후 공급되는 수분은 보조층(300)에 의해 연결층(200)을 통과하지 못해 단열층(100)과의 불필요한 접촉이 차단된다.
또한 보조층(300)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차단 및 반사층(130)의 적층 구조로 인해, 결국 단열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참고로 만약 보조층(300) 만으로도 충분히 단열층(100)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면 차단 및 반사층(130)은 생략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연결층(200)을 종이에 비해 내구성이 높은 부직포로 구현하함에 따라 사용과정이나 제작과정에서 연결층(200)의 주름 발생이나 찢어짐 등의 현상이 최소화되되,
단열층을 향하는 면에 보조층(300)이 형성됨에 따라, 제조 과정에서 접착제가 연결층(200)을 관통하여 단열층(100)과 원치 않게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단열점착시트(1)를 피 부착면에 부착 설치하는 과정에서 접착제(210)의 접착력 발휘를 위해 공급되는 수분이 연결층(200)을 통과하여 단열층(100)과 원치 않게 접촉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종이에 수분의 침투율이 높은 부직포를 연결층으로사용함에 따라, 공급되는 수분이 신속하게 연결층 내부로 침투되고, 그로 인해 연결층 내 접착제의 접착력 발휘 시간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2실시 예에 의한 단열점착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단열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보조층 형성공정(S40)과 접착제 도포공정(S10), 접착제 건조공정(S30) 및 연결층 결합공정(S50)을 포함한다.
먼저 보조층 형성공정(S40)은 연결층(200)에 보조층(300)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도 15]와 같이 기본적으로 방수 기능을 갖는 보조층(300)을 연결층(200) 중 단열층(100)을 향하는 면 상에 일체로 형성시킨다.
이때 보조층(300)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박막필름을 연결층(200) 표면에 부착 결합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연결층(200) 표면에 증착 형성시키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보조층 형성공정(S40)이 완료됨에 따라 연결층(200)은 일면에 보조층(30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보조층 형성공정(S40)이 완료되면 접착제 도포공정(S10)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의 접착제 도포공정(S10)은 보조층(300)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층(200) 표면에 접착제(210)를 도포시키는 과정으로, [도 16](a), (b)와 같이 액상의 접착제(210)를 연결층(200) 중 보조층(300)이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쪽 면 상에 도포시키고 도포된 접착제(210)가 연결층(200)의 공극을 통해 표면에서부터 내부까지 침투되는 형태로 진행된다.
참고로 접착제(210)의 도포량은 연결층(200)의 두께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접착제 도포공정(S10)을 거친 연결층(200)은 접착제(210)가 표면에 도포 형성되되 접착제가 내부까지 침투되어, 결국 연결층(200)과 접착제(210)가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접착제(210)가 도포되어 연결층 내부로 침투되는 과정에서 보조층(300)에 의해 막혀 연결층(200)의 반대쪽 면까지 불필요하게 침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공정(S10)이 완료되면 접착제 건조공정(S30)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접착제 건조공정(S30)은 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연결층(200)에 도포 형성된 접착제(210)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건조 과정에서 연결층(200)의 변형 발생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과정으로, 다시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와 건조 및 경화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는 접착제(210)를 건조시키기 전에 건조과정에서 연결층(200)의 변형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전처리 단계로,
본 실시예처럼 연결층(200)을 부직포로 적용할 경우 접착제(210)의 건조과정에서 수측으로 인한 주름 발생 현상이 종이에 비해 줄어들기는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는 연결층의 변형 가능성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층(3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층(200)의 양단부를 각각 별개의 롤러(400)에 연결하고 각 롤러(40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연결층(200)의 양단부가 각 롤러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져 적정 수준의 장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연결층(200)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연결층(200)의 표면은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롤러(400)는 연결층(200)의 양단부에만 연결될 수도 있고 사방의 각 테두리에 연결되어 연결층(200)을 사방에서 당기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연결층(200)을 당겨 장력을 형성시키는 구성은 반드시 롤러에 의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등 연결층(200)을 당겨 적정수준의 장력이 형성 및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S32)와 함께 접착제 건조공정(S30)을 구성하는 건조 및 경화단계(S34)는 실질적으로 접착제(210)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경화시키는 과정으로 [도 17]과 같이 양단부가 당겨져 있는 연결층(200) 표면에 별도 가열기(500)를 통해 열을 공급하여 접착제(210)가 건조되도록 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때 공급되는 열의 온도는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정 온도로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의 종류나 도포량 등을 고려하여 접착제(210)의 원활한 건조가 가능하고 접착제나 연결층이 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한다.
이렇게 공급된 열에 의해 연결층(200)에 침투되어 있는 접착제(210)는 건조됨과 동시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경화되어 굳게 된다.
본 실시예처럼 연결층(200)을 부직포로 적용하더라도 접착제(210)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축되려 하는데, 이때 연결층(200)은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S32)를 통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이기 때문에 수축이 억제되고, 건조 및 경화 과정에서 연결층(200)의 표면은 평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착제(210)가 건조되면 접착제(210)는 연결층(200) 내에 침투된 상태로 경화되고, 그 후 연결층(200)을 각 롤러(400)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연결층(200)은 주름 등의 변형이 발생 되지 않고 표면이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층(300)을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박막필름 형태로 적용할 경우 보조층(300)은 자체 내구성에 의해 연결층(200)의 수축을 억제하는 지지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는 기본적으로 연결층(200)을 부직포처럼 종이에 비해 내구성이 높은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접착제의 건조과정에서 수축에 의한 변형 가능성을 줄이되, 보조층(300)에 의해 연결층(200)의 변형 가능성이 더욱 최소화 된다.
참고로 만약 연결층(200)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따라 접착제의 건조과정에서 연결층(200)의 변형가능성이 없거나 변형 정도가 미비하여 단열층(100)과의 결합에 문제가 없을 경우, 또는 보조층(300)의 내구성 만으로 연결층(200)의 변형 가능성이 없을 경우에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S32)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경화단계(S34)에서 접착제의 건조는 반드시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온건조 방식 등 접착제(210)의 건조 및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 건조공정(S30)이 완료되면 연결층 결합공정(S50)을 진행한다.
연결층 결합공정(S50)은 접착제(210)가 경화된 상태의 연결층(200)을 단열층(100)과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보조 결합단계(S52)와 최종 결합단계(S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보조 결합단계(S52)는 접착제(210)와 일체화된 상태의 연결층(200)을 단열층(100) 중 차단 및 반사층(130)과 먼저 결합시키는 단계로 [도 18]과 같이 차단 및 반사층(130)을 보조층(300) 표면 상에 부착시키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렇게 접착제(210)가 침투되어 경화된 상태의 연결층(200)을 차단 및 반사층(130)과 부착시켜 일체화시킴에 따라, 결국 접착제(210)도 연결층(200)을 매개로 하여 차단 및 반사층(130)과 일체화 된다.
즉 금속재의 특성상 표면 마찰력이 작은 차단 및 반사층(130) 표면에 수용성 접착제가 원활하게 일체화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층(300)과 차단 및 반사층(130)이 적층됨으로써 보조층(300)을 금속재로 적용하 경우, 보조층(300)이 차단 및 반사층(130)과 더불어 단열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최종 결합단계(S54)는 이렇게 차단 및 반사층(130)과 일체화된 연결층(200)을 발포층(110)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도 19]와 같이 차단 및 반사층(130)을 발포층(110) 중 피 부착면을 향햐는 면 상에 적층 형태로 부착 결합시키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로 인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접착제(210)가 연결층(200)을 매개로 하여 단열층(100)과 일체화된 상태의 단열점착시트(1)가 완성된다.
참고로 최종 결합단계(S54)를 거친 후 발포층(110)에 초배지층(120)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최종 결합단계(S54) 이전에 초배지층(120)을 먼저 발포층(110)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초배지층(120)의 사용이 필요 없을 경우 초배지층(120)의 부착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연결층 결합공정(S50)은 [도 20]과 같이 보조 결합단계(S52)를 생략하고 발포층(110)에 차단 및 반사층(130)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조층(300)을 차단 및 반사층(130)에 부착시키는 형태로 진행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조층(300)만으로 충분한 단열효율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차단 및 반사층(130)을 생략한 형태로 연결층 결합공정(S50)을 진행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접착제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통해 점착력 등의 특성평가에 대한 내용을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의 내용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밀가루의 혼합비율에 따른 접착제의 접착도(□, ○, △, X), 고형도(□, ○, △, X)을 나타낸 것이다.(□:매우 좋음 또는 매우 높음, ○:좋음 또는 높음, △:보통, X:나쁨 또는 낮음)
밀가루(%) 점착도 고형도
1%
5%
10%
20%
3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접착제에 밀가루의 혼합비율이 5 내지 20% 일 때, 점착도와 고형도가 좋고, 접착제에 밀가루의 혼합비율이 20%를 초과할 경우, 고형도가 매우높아져 오히려 접착력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접착제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중량%로, 밀가루 : 5 내지 20%로 조성되면 점착도와 고형도를 만족시켜 상기 단열점착시트(10)가 건축물의 벽체에 원활하게 점착되도록 할 수 있다.
실험예 : 접착력 테스트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통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점착력을 테스트하였다.
여기서, 실험군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으로 도배시 사용되는 도배용 풀을 접착제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접착력 테스트는 KTR(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진행하였고, 대조군의 시험완료일자는 2013년03월 22일이며, 시험성적서 번호는 TAS-011747이고, 실험군의 시험완료일자는 2013년04월 12일이고, 시험성적서 번호는 TAS-015729이다.
여기에서의 조건은 시험판에 본 발명의 실험군인 실험군시트와 과 대조군인 대조군시트를 부착한 후, 시험판에서 180°로 당겨서 벗기면서 점착력을 확인하였다.
이때, 실험군시트와 대조군시트는 동일하게 5㎜/s의 압착속도로, 시험판에 1회 왕복 압착한 후, 압착 후의 정치시간을 2시간으로 한 후, 실험군시트와 대조군시트를 시험판에서 180°로 당겨서 벗기었다.
이때, 실험군시트와 대조군시트의 점착력 단위는 N/10㎜로 나타낸다.
시험항목 실험군시트 대조군시트
점착력(N/10㎜) 2.99 0.4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시트의 점착력은 2.99N/10㎜로 대조군시트 0.42N/10㎜에 비하여 대략 6배 이상 높은 접착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에 물을 분무하는 것만으로 접착력을 발휘함에 따라 작업의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착제에 물을 분무한 후, 용해되었던 접착제가 다시 굳더라도 다시 물을 분무하면 접착력이 활성화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단열점착시트를 간편하게 벽체 등에 점착시키면서도 별도의 추가작업과 쓰레기 등이 남지 않아 작업이 용이한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연결층에 접착제가 도포되면서도 연결층의 평활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지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 단열점착시트 100 : 단열층
110 : 발포층 120 : 초배지층
130 : 차단 및 반사층 130a : 베이스필름
130b : 박막필름 200 : 연결층
210 : 접착제 300 : 보조층
400 : 롤러 500 : 가열기
S10 : 접착제 도포공정 S30 : 접착제 건조공정
S32 : 장력 형성 및 유지단계 S34 : 건조 및 경화단계
S50 : 연결층 결합공정 S52 : 보조 결합단계
S54 : 최종 결합단계 S20 : 보조 결합공정
S40 : 보조층 형성공정

Claims (19)

  1.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적층 형성되어 있고 접착제가 도포 건조되어 있는 연결층
    을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층은 종이와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단열점착시트.
  3. 제1항에서,
    상기 단열층은,
    합성수지가 발포되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연결층이 적층 형성되는 발포층 및
    상기 발포층 중 상기 연결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부착되어 있는 초배지층
    을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4. 제3항에서,
    상기 단열층은,
    상기 연결층과 상기 발포층 사이에 적층 형성되어 있는 차단 및 반사층
    을 더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5. 제4항에서,
    상기 차단 및 반사층은 베이스필름 표면에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된
    단열점착시트.
  6. 제4항에서,
    상기 차단 및 반사층은 베이스필름 표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막필름이 접합되어 형성된
    단열점착시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인
    단열점착시트.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연결층은 부직포이고,
    상기 연결층 증 상기 단열층과 마주하는 면에 부착 형성된 보조층을 더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9. 제8항에서,
    상기 보조층은,
    상기 연결층 표면에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된
    단열점착시트.
  10. 제8항에서,
    상기 보조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박막필름 형태인
    단열점착시트.
  11. 제8항에서,
    상기 보조층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박막필름인
    단열점착시트.
  12.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으로,
    종이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층 표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공정,
    상기 연결층에 형성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접착제 건조공정,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을 단열층 상에 적층 결합시키는 연결층 결합공정
    을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은,
    상기 연결층을 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 적정 장력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
    상기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 과정에서 실시되고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켜 경화시키는 건조 및 경화단계
    을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서,
    상기 연결층 결합공정은,
    상기 연결층을 상기 차단 및 반사층에 적층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단계 및
    상기 연결층이 결합된 차단 및 반사층을 상기 발포층에 적층 결합시키는 최종 결합단계로 이루어지는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
  15.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으로,
    종이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층을 상기 차단 및 반사층 표면에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공정,
    상기 보조 결합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 표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 시키는 접착제 도포공정,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에 형성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접착제 건조공정,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차단 및 반사층을 상기 단열층 상에 적층 결합시키는 연결층 결합공정
    을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은,
    상기 연결층과 상기 차단 및 반사층을 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 적정 장력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
    상기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실시되고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켜 경화시키는 건조 및 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
  17.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으로,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층 표면에 상기 보조층을 형성시키는 보조층 형성공정,
    상기 연결층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시키는 접착제 도포공정,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접착제 건조공정,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 이후 실시되고 상기 연결층을 상기 단열층 상에 적층 결합시키는 연결층 결합공정
    을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접착제 건조공정은,
    상기 연결층을 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 적정 장력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
    상기 장력형성 및 유지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실시되고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켜 경화시키는 건조 및 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서,
    상기 연결층 결합공정은,
    상기 연결층을 상기 차단 및 반사층에 적층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단계 및
    상기 연결층이 결합된 차단 및 반사층을 상기 발포층에 적층 결합시키는 최종 결합단계로 이루어지는
    단열점착시트 제조방법.
KR1020140012053A 2013-05-07 2014-02-03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84 2013-05-07
KR20130051184 2013-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09A true KR20140133409A (ko) 2014-11-19
KR101642337B1 KR101642337B1 (ko) 2016-07-25

Family

ID=5245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053A KR101642337B1 (ko) 2013-05-07 2014-02-03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357B1 (ko) 2017-03-16 2017-11-15 롯데비피화학(주) Pva/h2o 용액의 기포 발생 억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3958A (ko) * 1999-12-02 2001-07-02 한장희 접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장치
KR100850965B1 (ko) * 2008-02-25 2008-08-12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단열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KR100973668B1 (ko) 2010-01-26 2010-08-04 김흥철 단열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86438B1 (ko) * 2011-12-29 2012-09-27 박정순 보온단열 점착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3958A (ko) * 1999-12-02 2001-07-02 한장희 접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장치
KR100850965B1 (ko) * 2008-02-25 2008-08-12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단열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KR100973668B1 (ko) 2010-01-26 2010-08-04 김흥철 단열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86438B1 (ko) * 2011-12-29 2012-09-27 박정순 보온단열 점착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337B1 (ko)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1239C (en) Roofing membranes with pre-applied, cured, pressure-sensitive seam adhesives
JP4979010B2 (ja) 粘着壁紙
KR20070106718A (ko) 자가-접착성 라미네이트
JP2018532826A (ja) 二重目的の接着剤バッキングを有する乾式壁目地テープ
JP2015147396A (ja) 粘着剤付き化粧シート
KR101642337B1 (ko)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1998056866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tructures for construction
WO2019082201A2 (en) SELF-ADHESIVE WALLPAPER WITH REDUCED ADHESIVE MATERIAL AND WATER-SOLUBLE FILM
CN102634294A (zh) 一种热塑性高分子膜复合无衬纸铝箔胶带
JP2011094454A (ja) 下張りシートおよび下張りシートの表面材および塗膜防水工法
RU175358U1 (ru) Композитный материал
JP3003109B2 (ja) 積層体
CN205439401U (zh) 一种带自粘层的防水卷材
JPH08226221A (ja) 木質化粧床材
US20070275228A1 (en) Tackable furniture panels having foam substrates
JP2011140847A (ja) 下地処理用シート
JP2014141830A (ja) 中間シート及び下張り緩衝シート及び塗膜防水工法
CN205205997U (zh) 马桶安装结构
JP2015194048A (ja) 建築下地用防水シート
JP2007210286A (ja) 塗膜防水工事用通気緩衝シート
JP2009121055A (ja) 壁紙の施工方法
JPH0621506B2 (ja) コンクリ−ト床面の防水工法
JPH1017831A (ja) 加圧接着型粘着剤層付き防音板
CN102634293A (zh) 一种热塑性高分子淋膜复合无衬纸铝箔胶带的生产工艺
JP2010090601A (ja) 防水施工用通気緩衝シート、及び防水施工屋上コンクリ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