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035A -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035A
KR20140133035A KR1020130052550A KR20130052550A KR20140133035A KR 20140133035 A KR20140133035 A KR 20140133035A KR 1020130052550 A KR1020130052550 A KR 1020130052550A KR 20130052550 A KR20130052550 A KR 20130052550A KR 20140133035 A KR20140133035 A KR 20140133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flow
flow path
distributor
sectio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3035A/ko
Publication of KR2014013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규정하는 분배기 본체; 상기 분배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공; 상기 분배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냉매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분배 유출공; 및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유로가 서로 다른 유동 단면적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내벽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유로에는,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로; 및 상기 가이드 유로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벽으로부터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버퍼부재를 가지는 버퍼 유로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istribu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란, 냉매의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을 이용하는 냉동시스템을 사용하여 소정의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가전기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냉동시스템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0), 상기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20), 상기 응축기(20)에서 응축된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에 의하여 저압의 액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다수의 모세관(40), 상기 응축기(20)에서 응축된 액상 냉매를 상기 다수의 모세관(40)으로 분배하는 분배기(30) 및 상기 모세관(40)에서 팽창된 저온저압의 액상 냉매를 기상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20)의 일측에는 공기를 불어주는 응축팬(22)이 제공되며, 상기 증발기(50)의 일측에는 증발팬(52)이 제공되며, 상기 압축기(10), 응축기(20), 분배기(30), 모세관(40) 및 증발기(50)는 냉매 배관(60)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위한 냉동시스템은 상기 압축기(10)-응축기(20)-분배기(30)-모세관(40)-증발기(50)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형성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배기(30)에는, 상기 냉매 배관(60)과 연결되는 일측부 및 상기 다수의 모세관(40)에 연결되는 타측부가 포함된다. 상기 냉매 배관(60)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분배기(30)로 유입되어 상기 다수의 모세관(40)으로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분배기에는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공존하여 유입되는데,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는 서로 비중이 상이하여 고르게 혼합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결국,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분리되어 분배기에서 토출되는 바, 일부 모세관에는 액상 냉매가 유입되고, 다른 모세관에는 기상 냉매가 유입됨으로써, 열교환사이클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분배기 내에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서로 부딪히면서 유동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냉매가 분배기를 통과한 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모세관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증가하여, 모세관의 단부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소음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규정하는 분배기 본체; 상기 분배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공; 상기 분배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냉매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분배 유출공; 및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유로가 서로 다른 유동 단면적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내벽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유로에는,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로; 및 상기 가이드 유로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벽으로부터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버퍼부재를 가지는 버퍼 유로가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는, 상기 버퍼 유로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가이드 유로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는, 상기 버퍼부재는 냉매의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유로에는, 상기 버퍼 유로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버퍼 유로의 유동 단면적보다 큰 유동 단면적을 가지는 버퍼 출구유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유로에는, 상기 버퍼 출구유로의 출구측에 형성되며, 냉매를 다수의 경로로 분지하는 다수의 배출유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는, 상기 버퍼 출구유로와 상기 다수의 배출유로의 사이에 제공되는 필터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가이드 하는 냉매배관; 상기 냉매배관에 결합되며, 냉매를 다수의 경로로 분지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의 출구측에 결합되며, 냉매를 감압시키는 다수의 모세관; 및 상기 다수의 모세관을 거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포함되며, 상기 분배기에는, 단차진 내벽을 가지는 분배기 본체;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냉매의 유동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버퍼부재; 및 상기 버퍼부재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냉매를 다수의 경로로 분지시키는 다수의 배출유로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배기 본체의 내부에 버퍼부재가 제공되어 분배기에 유입된 냉매, 특히 액상 냉매의 유속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의 충돌에 의한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 또는 난방시 제상운전 조건에서 발생되는, 분배기 또는 모세관에서의 냉매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모세관으로 분배되는 냉매의 유로, 즉 배출 유로의 입구측에 필터 부재가 제공되어 냉매 중 이물을 필터링 하고, 냉매를 미립화 함으로써 다수의 모세관으로 분배가 용이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배기 본체의 내벽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냉매의 혼합 또는 확산을 가이드 하므로, 냉매가 분배기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에서의 냉매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100)에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냉매의 유동공간을 규정하는 분배기 본체(1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100)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111) 및 상기 유입공(111)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가 분배된 후 배출되는 다수의 분배 유출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111)은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분배 유출공(115)은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면"이라 함은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의미하며, 상기 "타면"은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유입공(111)이 형성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분배 유출공(115)이 형성되는 타면까지 유동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매는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분배기에 유입되어 배출될 때까지, 상류(또는 입구측)로부터 하류(배출측)를 향하여 유동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분배기 본체(110)에는, 상기 유입공(111)으로부터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냉매 배관(60)이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배관 결합부(112)의 단부에는, 상기 냉매 배관(60)의 단부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112a)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 결합부(112)의 하류측에는, 상기 냉매 배관(60)에서 배출된 냉매를 하류측으로 가이드 하는 혼합 가이드(113)가 제공된다. 상기 혼합 가이드(113)는 냉매의 유동 단면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 가이드(113)의 하류측으로 제 1 유로(114)가 연장된다. 상기 제 1 유로(114)는 상기 혼합 가이드(113)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직선 연장된다.
따라서, 냉매는 상기 혼합 가이드(113) 및 제 1 유로(114)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내부 방향으로 모여지게 되며, 이에 따라 액상냉매와 기상냉매가 혼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4)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혼합 가이드(113)에서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114)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혼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4)를 "혼합 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4)의 하류측에는, 유동 단면적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유로(115,116a,116b,117)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유로(115,116a,116b,117)는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벽(130)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내벽(130)은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로(115,116a,116b,117)의 유동 단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유로(115,116a,116b,117)에는, 상기 제 1 유로(114)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유로(115)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유로(115)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유로(114)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114)로부터 제 2 유로(115)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확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유로(114)에서 혼합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는 제 2 유로(115)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115,116a,116b,117)에는, 상기 제 2 유로(115)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유로(116a)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유로(116a)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2 유로(115)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냉매가 상기 제 2 유로(115) 또는 제 3 유로(116a)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액상 냉매는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내벽(130)측에 인접하여 유동하고 기상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115) 또는 제 3 유로(116a)의 중앙부를 따라 유동하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냉매가 상기 제 2 유로(115)로부터 제 3 유로(116a)를 향하여 유동하는 과정에서 그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게 되므로, 냉매의 유속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 3 유로(116a)의 하류측에는, 제 4 유로(116b)가 연장된다.
상기 제 4 유로(116b)에는, 냉매의 유속이 감소되도록 완충 기능을 가지는 버퍼부재(140)가 제공된다. 상기 버퍼부재(140)는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내벽(130)으로부터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내부 방향 또는 상기 제 3 유로(116)의 중앙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부재(140)는 하류측을 향하여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부재(140)의 라운드진 형상에 의하여, 냉매는 상기 버퍼부재(140)의 충돌 과정에서 냉매의 역류 또는 난류가 방지되고, 하류측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버퍼부재(140)에 의하여, 상기 제 4 유로(116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3 유로(116a)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유로(116a)를 유동하는 냉매, 특히 액상 냉매는 상기 제 4 유로(116b)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퍼부재(140)에 부딪히면서 그 유속이 저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상 냉매의 유속이 저감됨에 따라, 상기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간 충돌에 따른 유동 소음이 저감될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116b)의 하류측에는, 제 5 유로(117)가 연장된다. 상기 제 5 유로(117)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4 유로(116b)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 3 유로(116a)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유로(116b)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감소된 냉매는 상대적으로 유동 단면적이 더 작은 제 5 유로(117)를 통과하면서 확산되며, 이에 따라 냉매의 유속은 더 감소될 수 있다. 결국,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의 유동간에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 4 유로(116b)는 냉매의 유속저감을 위하여 버퍼부재(140)가 제공되는 점에서, "버퍼 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4 유로(116b)를 지나기 이전의 제 3 유로(116a)는 상기 제 4 유로(116b)로 냉매를 가이드 하는 점에서 "가이드 유로"라 이름하고, 상기 제 5 유로(117)는 버퍼 유로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점에서, "버퍼 출구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5 유로(117)에는, 냉매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 부재(150)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부재(150)는 상기 제 5 유로(117)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냉매가 통과하는 유동 단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부재(150)에는, 메쉬(mesh) 타입의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5 유로(117)를 유동하는 냉매, 특히 액상 냉매는 필터 부재(150)의 필터면을 거치면서 미립화 되고 상기 필터 부재(15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필터 부재(150)를 거치면서 이물이 필터링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필터 부재(150)를 거치면서 분산된 냉매는 고르게 분배되어 다수의 분배공(121)을 통하여 다수의 배출유로(118)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부재(150)는 냉매를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121) 또는 다수의 배출유로(118)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필터 부재(150)는 상기 제 5 유로(117)와 다수의 배출유로(118)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5 유로(117)의 하류측에는, 냉매를 다수의 경로로 분지하는 다수의 배출유로(118)와, 상기 다수의 배출유로(118)의 일측 단부를 형성하여 냉매를 상기 다수의 배출유로(118)로 가이드 하는 다수의 분배공(121) 및 상기 다수의 배출유로(118)의 타측 단부를 형성하여 냉매를 분배기(100)로부터 배출시키는 분배 유출공(120)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 부재(150)를 거치면서 분산된 냉매는 상기 다수의 분배공(121)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배출유로(118)로 유입된다. 그리고, 각 배출유로(118)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분배 유출공(120)을 통하여 분배기(1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배출유로(118) 및 분배 유출공(120)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증발기로 유입되는 분지 경로 또는 모세관의 수에 따라 다양한 수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에서의 냉매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에서의 냉매 유동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는 냉매 배관(60)이 결합된다. 상기 냉매 배관(60)은 응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된 냉매를 가이드 하는 배관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60)은 상기 유입공(111)을 관통하여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112a)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60)을 유동한 냉매는 상기 분배기 본체(110)로 유입되어 상기 혼합 가이드(113)에 의하여 가이드 될 수 있다. 냉매가 상기 혼합 가이드(113)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대략 중앙부로 모여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는 혼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혼합 가이드(113)에 의하여 가이드 된 냉매는 상대적으로 유동 단면적이 작은 제 1 유로(114)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혼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115)를 유동한다. 냉매는 상대적으로 유동 단면적이 큰 제 2 유로(115)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확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유로(114)에서 혼합된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115)에 고르게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15)를 통과한 냉매는 상대적으로 유동 단면적이 작은 상기 제 3 유로(116a)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가 상기 제 3 유로(116a)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유속은 다소 증가되며, 액상 냉매는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내벽(130) 측에, 기상 냉매는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대략 중앙부를 따라 유동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유로(116a)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 4 유로(116b)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퍼부재(140)에 의하여 완충되어 그 유속이 저감될 수 있다. 냉매의 유속이 저감됨에 따라, 기상냉매와 액상냉매의 충돌에 따른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부재(140)에 의하여 완충된 냉매는 상기 제 5 유로(117)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5 유로(117)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4 유로(116b)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5 유로(117)로 유입되는 냉매는 확산되어 그 유속이 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 5 유로(117)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 5 유로(117)의 출구측 부분에 제공되는 필터 부재(150)를 지나면서 미립화 될 수 있고, 다수의 배출 유로(118)를 향하여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냉매 중 포함된 이물은 상기 필터 부재(15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 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 본체(110)의 타측 단부에는, 다수의 모세관(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40)의 수는 상기 배출 유로(118)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118)의 내벽에는, 상기 모세관(40)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118a)이 형성된다. 상기 모세관(40)은 상기 분배 유출공(120)을 관통하여 상기 배출 유로(118)로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118a)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2a)을 제 1 걸림턱이라 하고, 상기 걸림턱(118a)을 제 2 걸림턱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수의 배출 유로(118)를 유동한 냉매는 상기 분배 유출공(120)을 통하여 상기 분배기(100)에서 배출되며, 상기 모세관(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40)에서 감압된 냉매는 증발기로 유입되어 증발되고, 압축기로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에는 버퍼부재가 제공되어 냉매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의 충돌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분배기의 내부에 필터 부재가 제공되어 냉매를 미립화 시킴으로써 냉매의 분산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냉매의 고른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0 : 모세관 60 : 냉매 배관
100 : 분배기 110 : 분배기 본체
111 : 유입공 113 : 혼합 가이드
114 : 제 1 유로 115 : 제 2 유로
116a : 제 3 유로 116b : 제 4 유로
117 : 제 5 유로 118 : 배출 유로
120 : 분배 유출공 130 : 내벽
140 : 버퍼부재 150 : 필터 부재

Claims (13)

  1.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유로를 규정하는 분배기 본체;
    상기 분배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공;
    상기 분배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냉매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분배 유출공; 및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유로가 서로 다른 유동 단면적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내벽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유로에는,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로; 및
    상기 가이드 유로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벽으로부터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버퍼부재를 가지는 버퍼 유로가 포함되는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유로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가이드 유로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재는 냉매의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에는,
    상기 버퍼 유로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버퍼 유로의 유동 단면적보다 큰 유동 단면적을 가지는 버퍼 출구유로가 더 포함되는 분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에는,
    상기 버퍼 출구유로의 출구측에 형성되며, 냉매를 다수의 경로로 분지하는 다수의 배출유로가 더 포함되는 분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출구유로와 상기 다수의 배출유로의 사이에 제공되는 필터 부재가 더 포함되는 분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메쉬(mesh) 타입의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로에는,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를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모아주는 제 1 유로;
    상기 제 1 유로의 유동 단면적보다 큰 유동 단면적을 가지는 제 2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의 유동 단면적보다 작은 유동 단면적을 가지는 제 3 유로가 포함되는 분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유입공의 사이에는,
    냉매의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혼합 가이드가 제공되는 분배기.
  10.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가이드 하는 냉매배관;
    상기 냉매배관에 결합되며, 냉매를 다수의 경로로 분지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의 출구측에 결합되며, 냉매를 감압시키는 다수의 모세관; 및
    상기 다수의 모세관을 거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포함되며,
    상기 분배기에는,
    단차진 내벽을 가지는 분배기 본체;
    상기 분배기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냉매의 유동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버퍼부재; 및
    상기 버퍼부재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냉매를 다수의 경로로 분지시키는 다수의 배출유로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재의 입구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유로; 및
    상기 버퍼부재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버퍼 출구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버퍼부재가 제공되는 지점의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가이드 유로의 단면적 또는 상기 버퍼 출구유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출유로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냉매를 미립화 시키는 필터 부재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냉매의 유동 단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30052550A 2013-05-09 2013-05-09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40133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550A KR20140133035A (ko) 2013-05-09 2013-05-09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550A KR20140133035A (ko) 2013-05-09 2013-05-09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35A true KR20140133035A (ko) 2014-11-19

Family

ID=5245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550A KR20140133035A (ko) 2013-05-09 2013-05-09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30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8178A (zh) * 2018-01-24 2019-07-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降噪音装置及具有该降噪音装置的制冷设备
CN117647039A (zh) * 2024-01-30 2024-03-05 江苏博钧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机构的分流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8178A (zh) * 2018-01-24 2019-07-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降噪音装置及具有该降噪音装置的制冷设备
CN117647039A (zh) * 2024-01-30 2024-03-05 江苏博钧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机构的分流器
CN117647039B (zh) * 2024-01-30 2024-04-12 江苏博钧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机构的分流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301B1 (ko) 헤더 내의 다단 유체 팽창을 이용한 열교환기
KR101547353B1 (ko)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매순환시스템
CN101487669B (zh) 包括多管式分配器的热交换器
JP4887213B2 (ja) 冷媒分配器及び空気調和機
JP5020298B2 (ja) 冷媒分配器及びこの冷媒分配器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装置
EP2863161B1 (e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method
JP2008528944A (ja) 寸法を小さくしたヘッダを有する小流路熱交換器
KR20160024800A (ko) 이중 통과 증발기
JP2007139231A (ja) 冷媒分配器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EP2568247B1 (en) Air conditioner
JP2014081149A (ja) 冷媒分配器及びこれを備える冷凍サイクル装置
CN107003047B (zh) 分配器以及制冷循环装置
KR20140133035A (ko)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101589278B (zh) 带有多级膨胀装置的多通道换热器
JP7113974B2 (ja) 空気調和機
JP2002130868A (ja) 冷媒分流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3214727A (ja) 流体分配器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2137223A (ja) 熱交換器の分流器並びにその分流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2141108A (ja) 分流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10295234B2 (en) Heat exchange device suitable for low pressure refrigerant
KR101996056B1 (ko) 공기조화기
KR20140146736A (ko) 분배기
JP2013050221A (ja) 冷媒分配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機器
JP2017141999A (ja) ヘッダー分配器、ヘッダー分配器を搭載した室外機、及び空気調和装置
KR101476440B1 (ko) 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