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05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056B1
KR101996056B1 KR1020120018597A KR20120018597A KR101996056B1 KR 101996056 B1 KR101996056 B1 KR 101996056B1 KR 1020120018597 A KR1020120018597 A KR 1020120018597A KR 20120018597 A KR20120018597 A KR 20120018597A KR 101996056 B1 KR101996056 B1 KR 10199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gas
liquid
heat exchanger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962A (ko
Inventor
김각중
김동휘
사용철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0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된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냉매 분배기를 포함하고, 냉매 분배기는 내주면에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가 형성된 기액 분리관과, 기액 분리관과 연결되어 기액 분리관에서 기상냉매와 분리된 액냉매를 분산시키는 분배기 바디와; 분배기 바디에서 분산된 액냉매를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분배관과; 기액 분리관에 의해 액냉매와 분리된 기상냉매가 복수개의 냉매 유로를 바이패스하게 안내되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을 포함하여, 압력손실이 최소화되고, 실외 열교환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로 유입되는 기상 냉매가 최소화되어 액상 냉매의 상변화가 촉진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외 열교환기로 유동되는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냉매 분배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냉매가 순차적으로 압축,응축,팽창,증발되고, 냉매가 기화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액화될 때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하여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수행한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냉난방 절환밸브를 지나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될 수 있고 실내 팽창장치를 지나면서 저온저압의 2상 냉매로 상변화된 후 실내 열교환기를 지나면서 실내 공기측과 열전달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난방 운전시 냉매 흐름이 냉방 운전시와 반대로 되어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고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 각각은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 팽창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의 사이에 실외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냉매 분배기가 설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혼합된 상태로 냉매 분배기로 유입되는데, 기상 냉매가 액상 냉매와 함께 실외 열교환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로 유입되면, 기상 냉매의 유속이 빠르게 때문에 액상 냉매의 상변화를 방해할 수 있고 압력손실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된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냉매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분배기는 내주면에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가 형성된 기액 분리관과; 상기 기액 분리관과 연결되어 상기 기액 분리관에서 기상냉매와 분리된 액냉매를 분산시키는 분배기 바디와; 상기 분배기 바디에서 분산된 액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분배관과; 상기 기액 분리관에 의해 액냉매와 분리된 기상냉매가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를 바이패스하게 안내되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을 포함한다.
상기 분배기 바디는 일면의 중앙에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이 삽입되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 바디는 일면의 테두리와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 삽입공의 사이에 상기 분배관이 연통되는 분배관 연통공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는 일단이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된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냉매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분배기는 일부에 곡관부가 형성된 기액 분리관과, 상기 기액 분리관과 연결되어 상기 기액 분리관에서 기상냉매와 분리된 액냉매를 분산시키는 분배기 바디와; 상기 분배기 바디에서 분산된 액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분배관과; 상기 곡관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액 분리관에 의해 액냉매와 분리된 기상냉매가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를 바이패스하게 안내되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을 포함한다.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은 압축기의 흡입유로에 연결되는 어큐물레이터로 기상냉매를 안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매 분배기 내부에서 액상 냉매와 분리된 기상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를 바이패스하므로, 압력손실이 최소화되고, 실외 열교환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로 유입되는 기상 냉매가 최소화되어 액상 냉매의 상변화가 촉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액 분리관의 내주면에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가 형성되고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이 분배기 바디에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로 기상 냉매의 분리 및 추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액 분리관의 일부가 곡관부로 이루어져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할 수 있고,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이 곡관부에 연결되어 기상 냉매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기상 냉매의 분리 및 추출을 위한 작업 공정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냉매 분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냉매 분배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냉매 분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1)와 실외 열교환기(2)와 팽창기구(6)(8)와 실내 열교환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1)와 실외 열교환기(2)와 팽창기구(6)(8)와 실내 열교환기(10)와 압축기(1)의 순서로 순환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1)와 실내 열교환기(10)와 팽창기구(6)(8)와 실외 열교환기(2)와 압축기(1)의 순서로 순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시 냉매가 압축기(1)와 실외 열교환기(2)와 팽창기구(6)(8)와 실내 열교환기(10)를 순환하게 하고 난방시 냉매가 압축기(1)와 실내 열교환기(10)와 팽창기구(6)(8)와 실외 열교환기(2)를 순환하게 하는 냉난방 절환밸브(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할 수 있다. 압축기(1)는 복수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에는 냉매가 압축기(1)로 흡입되는 흡입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에는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압축기(1)가 병렬로 연결될 경우 흡입 유로는 복수개의 압축기(1)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토출 유로는 복수개의 압축기(1)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2)는 냉방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2)는 난방시 팽창기구(6)(8)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2)는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공기-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열교환기(2)는 물이나 부동액 등의 열원수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수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열교환기(2)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3)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냉매 유로(3)는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2)와 팽창기구(6)의 사이에는 냉매 분배기(4)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2)와 냉난방 절환밸브(14)의 사이에는 헤더(5)가 설치될 수 있다, 냉매 분배기(4)는 난방 운전시 팽창기구(6)(8)에서 복수개의 냉매 유로(3)로 유동되는 냉매를 분배시키게 설치될 수 있다. 헤더(5)는 난방 운전시, 복수개의 냉매 유로(3)를 통과한 냉매가 모아진 후 냉난방 절환밸브(14)로 유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팽창기구(6)(8)는 실외 열교환기(2)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외 팽창밸브(6)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구(6)(8)는 실내 열교환기(10)로 출입되는 냉매를 조절하는 실내 팽창밸브(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6)는 실내 팽창밸브(8)와 실외 열교환기(2)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2)와 실내 열교환기(10) 중 실외 열교환기(2)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6)는 냉방 운전시 냉매가 팽창되지 않고 난방 운전시 냉매가 팽창되게 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6)는 냉방시 풀 오픈될 수 있고, 난방시 설정 개도로 조절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6)는 실외 열교환기(2)와 실내 팽창밸브(8) 사이의 냉매관에 설치 되는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2)와 실내 팽창밸브(8) 사이의 냉매관에는 냉방시 냉매가 실내 팽창밸브(8)를 향해 유동되게 하고 난방시 냉매를 차단하여 냉매가 실외 팽창밸브(6)로 유동되게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실내 팽창밸브(8)는 실외 열교환기(2)와 실내 열교환기(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2)와 실내 열교환기(10) 중 실내 열교환기(10)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는 냉방시 팽창기구(6)(8)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는 난방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압축기(1) 사이에 설치된 어큐물레이터(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14)에서 압축기(1)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는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될 수 있고,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된 냉매 중 액냉매는 어큐물레이터(16) 내에 쌓이고,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된 냉매 중 기상냉매는 압축기(1)로 흡입될 수 있다.
냉매 분배기(4)는 압축기(1)와 실외 열교환기(2)와 실외 팽창밸브(6)와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어큐물레이터(16)와 함께 실외기(O)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는 실내 팽창밸브(8)와 함께 실내기(I)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실외기(O)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실내기(I)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매 분배기(4)는 난방 운전시, 실외 팽창밸브(6)에서 유동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함과 아울러 액상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 유로(3)로 분배시키는 기액분리기 겸용 냉매 분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 분배기(4)는 액상 냉매와 분리된 기상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로 유입되지 않고,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될 수 있다.
냉매 분배기(4)가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고, 기상 냉매와 분리된 액상 냉매만이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로 유동되면, 액상 냉매가 기상 냉매와 함께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로 유동되는 경우 보다 압력 손실은 저감되고,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에서의 액상 냉매 상변화는 촉진된다.
냉매 분배기(4)에서 액상 냉매와 분리된 기상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액상 냉매와 분리된 기상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와 냉난방 절환밸브(14)의 사이로 바이패스되는 것이 가능하고, 냉난방 절환밸브(14)와 어큐물레이터(16)의 사이로 바이패스되는 것이 가능하며, 어큐물레이터(16)로 바이패스되는 것이 가능하고, 어큐물레이터(16)와 압축기(1)의 사이로 바이패스되는 것이 가능하며, 압축기(1)로 바이패스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매 분배기(4)는 액상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를 바이패스 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액상 냉매의 일부가 기상 냉매와 함께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를 바이패스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가 어큐물레이터(16)를 통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 분배기(4)는 기액 분리관(20)과, 기액 분리관(20)과 연결되어 기액 분리관(20)에서 기상냉매와 분리된 액냉매를 분산시키는 분배기 바디(30)와; 분배기 바디(30)에서 분산된 액냉매를 실외 열교환기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분배관(40)과; 기액 분리관(20)에 의해 액냉매와 분리된 기상냉매가 복수개의 냉매 유로(2)를 바이패스하게 안내되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액 분리관(20)은 실외 팽창밸브(6)와 실외 팽창밸브 연결관(24)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냉매 분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냉매 분배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기액 분리관(20)은 내주면에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기액 분리부(22)는 기액 분리관(20)의 내주면에 기액 분리관(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기액 분리관(20)은 분배기 바디(30)와 내부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기액 분리관(20)은 실외기(O)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난방 운전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는 기액 분리관(20)의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분리될 수 있다. 냉매는 기액 분리관(22)을 통과할 때, 기상 냉매 보다 질량이 큰 액상 냉매가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를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 유동되면서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 내벽면으로 쏠리고, 액상 냉매 보다 상대적으로 질량이 적은 기상 냉매가 기액 분리부(22) 내측 공간을 통과한다.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를 따라 유동되는 액상 냉매는 분배기 바디(30)의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기액 분리관(20)은 직관부(24)(25)와 곡관부(26)를 포함할 수 있고,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는 직관부(24)(2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액 분리관(20)은 복수개의 직관부(24)(25)의 사이에 곡관부(26)가 형성될 수 있고,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는 복수개의 직관부(24)(25) 중 분배기 바디(30)에 가장 가까운 직관부(2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분배기 바디(30)는 기액 분리관(20)과 연결되는 기액 분리관 연결부(32)와, 복수개의 분배관(40)이 연결되는 분배관 연결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바디(30)는 분배관 연결부(34)의 내부 공간이 기액 분리관 연결부(32)의 내부 공간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분배관 연결부(32)는 기액 분리관(20)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분배관 연결부(32)는 하단에 기액 분리관(20)이 연결되는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관 연결부(32)는 분배관 연결부(34)로 향할수록 내부 면적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단면 형상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를 따라 유동되는 액상 냉매는 기액 분리관 연결부(32)에서 넓게 퍼지면서 확산될 수 있다. 분배관 연결부(34)는 하단이 분배관 연결부(32)와 연통되고 상단이 막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배관 연결부(34)는 원통부(35)와, 원통부(35) 상단을 막는 원판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분배관(40)은 분배기 바디(30)에서 분산된 액상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 유로(3)로 안내하는 냉매 유로이고, 복수개의 냉매 유로(3)의 개수 만큼 배치될 수 있다. 분배관(40)은 일단이 분배기 바디(3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실외 열교환기(2)에 연결될 수 있다. 분배관(40)은 분배기 바디(30)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분배기 바디(30)에서 외부로 돌출된 연결구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분배기 바디(30)는 일면의 중앙에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이 삽입되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 삽입공(37)이 형성될 수 있다. 분배기 바디(30)는 일면의 테두리(38)와 기상냉매 바이패스관 삽입공(37)의 사이에 분배관(40)이 연통되는 분배관 연통공(39)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 삽입공(37)과 분배관 연통공(39)은 분배기 바디(30)의 분배관 연결부(34)에 형성될 수 잇고, 분배관 연결부(34)의 원판부(36)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은 일단(51)이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상 냉매 바이패스관(50)은 일단이 바이패스관 삽입공(37)을 관통한 후 기액 분리부(22) 내측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은 분배기 바디(30)로 삽입되는 부분이 직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압축기(1)는 구동될 수 있고, 냉난방 절환밸브(14)는 난방 모드로 절환될 수 있다. 압축기(1)의 구동시 냉매는 압축기(1)에서 압축된 후 냉난방 절환밸브(14)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10)로 안내될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10)에서 응축될 수 있다. 응축된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8)를 통과한 후 실외 팽창밸브(6)로 유동될 수 있고, 실외 팽창밸브(6)를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저온저압의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혼재하는 2상 냉매로 변화될 수 있다. 2상 냉매는 실외 팽창밸브(6)에서 냉매 분배기(4)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 분배기(4)로 유입된 냉매는 먼저 기액 분리관(20)을 통과하고, 기액 분리관(20)을 통과하면서 액상 냉매가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를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 유동되면서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22) 내벽면으로 쏠리고, 액상 냉매 보다 상대적으로 질량이 적은 기상 냉매가 기액 분리부(22) 내측 공간을 통과한다. 기액 분리부(22)를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 유동되는 액상 냉매는 분배기 바디(30)로 유입되어 넓게 분산된 후 복수개의 분배관(40)으로 분배된다. 반면에, 기액 분리부(22) 내측 공간을 통과하는 기상 냉매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의 내부로 유입되어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에 의해 안내된다.
복수개의 분배관(40)으로는 주로 액상 냉매가 유동되고, 복수개의 분배관(40)에 안내된 액상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를 통과하면서 증발된다. 복수개의 냉매 유로(3)에는 기상 냉매가 최소화되면서 액상 냉매의 상변화가 촉진된다. 복수개의 냉매 유로(3)에서 증발된 냉매는 헤더(5)를 통과한 후 냉난방 절환밸브(14)로 유동되고, 이후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된다. 한편,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으로 안내된 기상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를 바이패스하여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된다. 어큐물레이터(16) 내의 기상 냉매는 압축기(1)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냉매 분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냉매 분배기(4)의 기액 분리관(20')의 일부에 곡관부(26')가 형성되고,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이 곡관부(26')에 연결되어 기액 분리관(20')에 의해 액냉매와 분리된 기상냉매가 복수개의 냉매 유로(3)를 바이패스하게 안내될 수 있다. 기액 분리관(20')과 기상냉매 바이패스관(5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상 냉매 바이패스관(50')은 곡관부(26')의 외측부(27a)와 곡관부(26')의 내측부(27b) 중 곡관부(26')의 내측부(27b)에 연결될 수 있다.
기액 분리관(20')은 복수개의 직관부(24)(25)의 사이에 곡관부(26')가 형성될 수 있고, 난방 운전시의 냉매 유동 방향으로 곡관부(26') 이전에 위치하는 직관부(24)를 통과한 냉매는 곡관부(26')로 유입되어 곡관부(26')를 통과할 때 질량이 곡관부(26')의 외측부(27a) 내벽면으로 쏠리면서 유동될 수 있고, 액상 냉매 보다 상대적으로 질량이 적은 기상 냉매가 곡관부(26')의 안쪽 내측부(27b) 내벽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즉, 냉매는 곡관부(26')를 따라 그 유동 방향이 전환되면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분리될 수 있고, 곡관부(26')에서 기상 냉매와 분리된 액상 냉매는 분배기 바디(30)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2)와 헤더(5)와 냉난방 절환밸브(1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될 수 있다. 곡관부(26')에서 액상 냉매와 분리된 기상 냉매는 기상 냉매 바이패스관(50')을 통과하면서 실외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3)를 바이패스하 수 있고, 이후 어큐물레이터(16)로 유입될 수 있다.
2: 실외 열교환기 3: 복수개의 냉매 유로
4: 냉매 분배기 20,20': 기액 분리관
30: 분배기 바디 40: 분배관
50: 기상냉매 바이패스관

Claims (6)

  1.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된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냉매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분배기는,
    내주면에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가 형성되고, 난방 운전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시키는 기액 분리관과;
    상기 기액 분리관과 연결되어 상기 기액 분리관에서 기상냉매와 분리된 액냉매를 분산시키는 분배기 바디와;
    상기 분배기 바디에서 분산된 액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분배관과;
    상기 기액 분리관에 의해 액냉매와 분리된 기상냉매가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를 바이패스하게 안내되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 바디는,
    일면의 중앙에 기상냉매 바이패스관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면의 테두리와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 삽입공의 사이에 분배관 연통공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은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분배관은 상기 분배관 연통공과 연통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은 일단이 나선형의 기액 분리부 내측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5.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된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냉매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분배기는 일부에 곡관부가 형성된 기액 분리관과,
    상기 기액 분리관과 연결되어 상기 기액 분리관에서 기상냉매와 분리된 액냉매를 분산시키는 분배기 바디와;
    상기 분배기 바디에서 분산된 액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분배관과;
    상기 기액 분리관에 의해 액냉매와 분리된 기상냉매가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를 바이패스하게 안내되는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을 포함하고,
    상기 곡관부는 외측부와 내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은 상기 곡관부의 내측부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냉매 바이패스관은 압축기의 흡입유로에 연결되는 어큐물레이터로 기상냉매를 안내하게 연결된 공기조화기.
KR1020120018597A 2012-02-23 2012-02-23 공기조화기 KR10199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97A KR101996056B1 (ko) 2012-02-23 2012-02-2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97A KR101996056B1 (ko) 2012-02-23 2012-02-2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62A KR20130096962A (ko) 2013-09-02
KR101996056B1 true KR101996056B1 (ko) 2019-10-01

Family

ID=4944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597A KR101996056B1 (ko) 2012-02-23 2012-02-2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550B1 (ko) * 2014-08-14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630955B1 (ko) * 2014-10-29 2016-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1060771B2 (en) 2016-10-25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ith a refrigerant ratio adjus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0523A (ja) * 2009-02-19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媒分配器
JP2011106810A (ja) * 2009-09-30 2011-06-02 Daikin Industries Ltd ガス冷媒分離器、ガス冷媒分離兼冷媒分流器、膨張弁及び冷凍装置
JP2011169496A (ja) * 2010-02-17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媒分配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0523A (ja) * 2009-02-19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媒分配器
JP2011106810A (ja) * 2009-09-30 2011-06-02 Daikin Industries Ltd ガス冷媒分離器、ガス冷媒分離兼冷媒分流器、膨張弁及び冷凍装置
JP2011169496A (ja) * 2010-02-17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媒分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62A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926B2 (en) Air conditioner and evaporator inlet header distributor therefor
EP2865967B1 (en) Heat pump
EP3045840B1 (en) Air conditioner
US11441793B2 (en) Air conditioner
JP2007046806A (ja) エジェクタ式サイクル
CN202598969U (zh) 带回热功能的气液分离器
KR20180104416A (ko) 공기조화시스템
CN109341130B (zh) 一种具有混合工质的空调系统
KR101996056B1 (ko) 공기조화기
EP2568247B1 (en) Air conditioner
KR101382084B1 (ko) 공기 조화기
KR102136878B1 (ko) 공기 조화기
KR101639514B1 (ko) 공기 조화기
US20160313036A1 (en) Subcool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2039488B1 (ko) 공기조화기
KR20090132938A (ko) 오일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EP2568233B1 (en) Air conditioner
KR102063630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2086378B1 (ko)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1626215B1 (ko) 공기 조화기
KR101416936B1 (ko) 공기조화기
CN106556186B (zh) 空调机及其控制方法
KR20150039989A (ko) 공기 조화기
KR100876356B1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
CN103322736A (zh) 闪蒸器及包括该闪蒸器的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