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778A -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778A
KR20140131778A KR1020130050812A KR20130050812A KR20140131778A KR 20140131778 A KR20140131778 A KR 20140131778A KR 1020130050812 A KR1020130050812 A KR 1020130050812A KR 20130050812 A KR20130050812 A KR 20130050812A KR 20140131778 A KR20140131778 A KR 20140131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arm
spring
damper
moveme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876B1 (ko
Inventor
임용섭
강영구
천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876B1/ko
Priority to US14/097,304 priority patent/US9134086B2/en
Priority to CN201410035765.9A priority patent/CN104142090B/zh
Publication of KR2014013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3/00Butts; Butt plates; Stocks
    • F41C23/06Stocks or firearm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recoil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10Spring-operat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02Fluid-operat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16Hybrid systems
    • F41A25/18Hydroelast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12Bolt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parallel to the barre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화기의 사격 충격력을 저감할 수 있는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지지 장치는, 베이스부와, 화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게 배치되는 화기 결합부와, 상기 화기 결합부가 주퇴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화기 결합부에 장착되는 화기의 노리쇠 뭉치가 복좌를 완료한 후에 상기 화기 결합부가 복좌가 완료되도록 상기 화기 결합부의 전진 복좌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좌 지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Apparatus for supporting firearm, firearm assembly and method for reducing shock by gunshot}
본 발명은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소총, 기관총 등의 화기를 발포 시에는 반동 충격이 발생한다. 이러한 반동 충격은 화기의 정렬 상태를 변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격의 정확성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최근에는 화기를 장착한 원격 무장 경계 로봇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원격 무장 경계 로봇의 경우에도, 사격에 의한 반동 충격력이 사격의 정확성을 떨어뜨리거나, 로봇의 기계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사격 충격력의 감소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기의 격발에 의한 사격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화기 지지 장치 및 화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지지 장치는, 베이스부와, 화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게 배치되는 화기 결합부와, 상기 화기 결합부가 주퇴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화기 결합부에 장착되는 화기의 노리쇠 뭉치가 복좌를 완료한 후에 상기 화기 결합부가 복좌가 완료되도록 상기 화기 결합부의 전진 복좌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좌 지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좌 지연부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운동 에너지를 소산시키도록, 상기 화기 결합부의 이동에 연동되는 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주퇴 시보다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시에 더 큰 감쇄력을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는 유체를 수용하는 실린더와, 상기 화기 결합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이동하는 피스톤 헤드와, 상기 화기 결합부의 주퇴 시에는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되,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시에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는 MR 댐퍼(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이며, 상기 화기 지지 장치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주퇴 시보다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시에 상기 MR 댐퍼의 내부 유체의 점성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좌 지연부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시에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이동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력 발생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력 발생 장치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이동 경로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 마찰부와, 상기 가압 마찰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좌와, 상기 스프링좌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프링좌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좌 구동 기구는 상기 화기 결합부가 복좌 시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좌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는 전진 및 후진하는 노리쇠 뭉치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주퇴 및 복좌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화기와, 상기 화기의 주퇴 이동을 것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화기의 노리쇠 뭉치가 복좌를 완료한 후에 상기 화기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상기 화기의 전진 복좌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좌 지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좌 지연부는 상기 화기의 주퇴 및 복좌 이동에 연동되는 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화기의 주퇴 시보다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 더 큰 감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는 유체를 수용하는 실린더와, 상기 화기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이동하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화기의 주퇴 시에는 상기 유체가 흐름을 허용하되,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댐퍼는 MR 댐퍼(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이며, 상기 화기의 주퇴 시보다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 상기 MR 댐퍼의 내부 유체의 점성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좌 지연부는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 상기 화기의 복좌 이동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마찰력 발생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력 발생 장치는 상기 화기의 이동 경로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 마찰부와,상기 가압 마찰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좌와, 상기 스프링좌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프링좌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좌 구동 기구는 상기 화기 결합부가 복좌 시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좌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은, 화기가 발포되는 단계와, 상기 화기의 발포에 따른 반동으로 상기 화기의 노리쇠 뭉치 및 상기 화기 전체가 주퇴되는 단계와, 상기 화기의 노리쇠 뭉치의 복좌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화기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상기 화기의 복좌를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기의 복좌를 지연시키는 단계는 상기 화기의 주퇴 시에 감쇄력 보다 상기 화기의 복좌 시의 감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기의 복좌를 지연시키는 단계는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 상기 화기에 복좌 이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및 이에 따른 화기 지지 장치 및 화기 조립체에 의하면, 화기 격발에 의한 사격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조립체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화기 조립체의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화기 조립체의 일부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화기 조립체의 화기 지지 장치에 가해지는 사격 충격력과, 도 3의 화기 조립체의 화기 지지 장치에 가해지는 사격 충격력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기 조립체의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화기 조립체의 댐퍼의 감쇄 특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a 및 도 9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내지 도 9d의 화기 조립체의 일부 구성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화기의 발포에 따른 사격 충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주퇴 및 복좌 기구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주퇴 및 복좌 기구는 주로 화기를 탄성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주퇴 및 복좌 기구를 구비하는 화기 조립체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종래의 화기 조립체(1)는, 화기(10)와, 화기(10)를 지지하며 사격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화기 지지 장치(20)를 구비한다. 화기 조립체(1)는 장갑차 등과 같은 군용 차량의 터렛(turret)에 장착되거나, 원격 무장 경계 로봇 등에 장착되기도 한다.
화기(10)는 탄환을 발포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공지의 소총 또는 기관총 등일 수 있다. 화기(10)는 그 내부에 노리쇠 뭉치(bolt assembly)(15)를 구비한다. 노리쇠 뭉치(15)는 화기(10) 내에서 후진 주퇴 이동 및 전진 복좌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진 복좌 시에는 탄알집 또는 탄환 공급 포트로부터 공급받은 탄환을 약실에 장전하고, 후진 주퇴 시에는 탄환 발포 이후에 약실에 남은 탄피를 빼내어 화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노리쇠 뭉치(15)의 후방에는 노리쇠 뭉치(15)와 함께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노리쇠 받침부(17)와, 노리쇠 받침부(17)를 탄성 지지하는 복좌 스프링(19)이 배치된다. 따라서 탄환 발포 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노리쇠 뭉치(15)가 후퇴하면 노리쇠 받침부(17) 및 스프링(19)이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사격에 의한 반동 충격을 완화한다. 또한 노리쇠 뭉치(15)가 최대한 후퇴한 이후에는 스프링(19)이 원래의 상태로 탄성 회복하면서 노리쇠 뭉치(15)를 전진 복좌시키므로 연속적인 후속적인 가능하도록 한다.
화기 지지 장치(20)는 화기(10)의 사격 충격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21), 화기 결합부(22), 탄성 지지부(26) 및 댐퍼(28)를 구비한다.
베이스부(21)는 화기 결합부(22)를 지지하는 것으로, 화기 조립체(1)가 결합되는 터렛 또는 무장 경계 로봇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21)는 화기(10)의 발사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이동 가이드(24)를 구비한다. 베이스부(21)의 전방에는 화기 결합부(22)의 전방 스트로크(stroke)를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배치된다.
화기 결합부(22)는 화기(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베이스부(21)의 이동 가이드(24)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화기(10) 및 화기 결합부(22)는 화기(10)의 발포에 따라서 일체로서 화기(10) 발사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탄성 지지부(26)는 화기 결합부(22)와 베이스부(21) 사이에 배치되며, 화기 결합부(22) 및 그에 장착된 화기(10)가 일체로서 후퇴될 때 이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탄성 지지부(26)는 화기(10)의 발포에 따라 발생하는 후방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탄성 지지부(26)는 화기 결합부(22)의 후방에 배치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탄성 지지부(26)가 화기 결합부(2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탄성 지지부(26)는 화기 결합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댐퍼(28)는 탄성 지지부(26)와 마찬가지로 화기 결합부(22)와 베이스부(21) 사이에 배치되며, 화기 결합부(22)의 전진 및 후진 이동에 연동하여 수축 또는 신장되면서 화기(10) 및 화기 결합부(22)의 후퇴에 따른 운동에너지 및 탄성 에너지를 소산시켜 충격을 완화시킨다. 도 1a 내지 도 1d에는 댐퍼가 화기 결합부(22)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댐퍼(28)는 화기 결합부(22)의 전방에 배치되어 화기 결합부(22)의 주퇴 시에는 수축하고 화기 결합부(22)가 복좌 시에는 신장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댐퍼(28)는 도면에서와 같이 탄성 지지부(26)와 분리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탄성 지지부(26)에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기 조립체(1)는 화기(10)과 함께 이동하는 화기 결합부(22)를 탄성 지지부(26) 및 댐퍼(28)로 지지하므로 화기(10)의 발포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한 실험에 따르면 종래의 화기 조립체(1)는 화기(10)에 의한 후방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화기 지지 장치(20)의 화기 결합부(22)의 복좌 시에 발생하는 전방 충격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종래의 화기 조립체(1)의 작동 형태를 분석하여, 종래의 화기 조립체(1)가 도 1a 내지 도 1d의 작동 상태를 거침을 확인하였다.
도 1a는 탄환 발포 직전의 상태에 있는 화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노리쇠 뭉치(15)가 약실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탄환의 격발이 이루어지며 가스의 압력으로 탄환이 발사된다.
도 1b는 탄환이 발포된 이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탄환의 발사와 함께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서 노리쇠 뭉치(15)가 후퇴되며, 또한 화기를 지지하고 있는 화기 결합부(22)도 소정의 거리(b1)만큼 후퇴된다. 이때 노리쇠 뭉치(15)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9) 및 화기 결합부(2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26)에 의해서 사격에 따른 충격이 후방으로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도 1c는 화기(10) 및 화기 결합부(22)가 복좌를 완료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화기 결합부(22)가 탄성 지지부(26)의 탄성 회복에 의해서 원래의 전진 위치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 화기 결합부(22)가 베이스부(21)와 충돌하면서 다소간의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1c에서 보듯이 화기 결합부(22)가 복좌를 완료한 상태에서도 화기(10)의 노리쇠 뭉치(15)는 복좌를 완료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즉 화기(10)의 노리쇠 뭉치(15)는 도 1b의 후퇴 거리(a1)보다는 전진하였으나 여전히 잔여 복좌 거리(a2)가 남아있다. 이러한 현상은 화기 지지 장치(20)의 화기 결합부(22)의 탄성 회복 속도가 화기(10)의 노리쇠 뭉치(15)의 탄성 회복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도 1d는 화기(10) 및 화기 결합부(22)가 복좌를 완료한 이후에 화기(10)의 노리쇠 뭉치(15)가 복좌를 완료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에서 보듯이 화기(10)의 노리쇠 뭉치(15)가 복좌되어 약실에 결합하면서 화기(10)의 전방으로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은 화기 지지 장치(20)에도 전달되는데 화기 지지 장치(20)에는 이러한 전방 충격을 감소시킬 만한 메카니즘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화기(10)의 노리쇠 뭉치(15)의 복좌로 인한 충격을 그대로 받게 된다. 본 출원의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노리쇠 뭉치(15)의 복좌 시에 화기 지지 장치(20)에 전달되는 충격의 크기는 화기 결합부(22)의 복좌 시의 충격과 유사한 크기에 이를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분석을 통해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이와 같이 종래의 화기 조립체(1)는 화기 결합부(22)의 복좌로 인한 충격 및 노리쇠 뭉치(15)의 복좌로 인한 충격을 차례로 받기 때문에 전방 충격력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가 제시되며, 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2)도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와 마찬가지로, 화기(100)와, 화기(100)를 지지하며 사격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화기 지지 장치(20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의 화기(100)는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의 화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실시예의 화기 지지 장치(200)의 베이스부(210), 화기 결합부(220), 탄성 지지부(260) 역시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의 베이스부(21), 화기 결합부(22), 탄성 지지부(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의 구성 중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가 가지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화기 지지 장치(200)는 종래의 화기 조립체(1)의 화기 지지 장치(20)와는 달리,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가 복좌를 완료한 후에 화기 지지 장치(200)의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시의 전진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좌 지연부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좌 지연부로써, 신축 시의 감쇄력과 압축 시의 감쇄력이 상이한 댐퍼(281)가 마련된다. 도 3a 및 도 3b는 이러한 댐퍼(281)의 작동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도 3a은 댐퍼(281)의 압축 시, 즉 화기 결합부(220)가 후퇴 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댐퍼(281)의 신장 시, 즉 화기 결합부(220)가 전진 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댐퍼(281)는 베이스부(210)에 결합되는 실린더(282)와, 화기 결합부(220)에 결합된 피스톤(285)을 구비하며, 피스톤 헤드(286)에는 체크 밸브(289)가 마련된다.
체크 밸브(289)는 피스톤 헤드(286)를 통과하는 유로(288)에 배치된 볼(2891)과, 그 볼(289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892)을 구비하는 볼 체크 밸브일 수 있다. 체크 밸브(289)는 피스톤(285)의 후진 시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유체(F)의 압력에 의해서 스프링(2892)이 압축되어 볼(2891)이 피스톤 헤드(286)의 유로(288)를 개방하는 반면, 피스톤(285)의 전진 시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891)이 스프링(2892)의 탄성력을 받아 피스톤 헤드(286)의 유로(288)를 폐쇄한다.
따라서 댐퍼(281)의 압축 시에는 댐핑 유체(F)가 체크 밸브(289)가 설치된 유로(288) 및 일반 유로(287)를 통해서 이동할 수 있어서 피스톤(285) 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작은 반면, 댐퍼(281)의 신장 시에는 댐핑 유체(F)가 체크 밸브(289)가 설치된 유로(288)를 통하지 못하고 일반 유로(287)를 통해서만 이동이 가능하여 피스톤 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댐퍼(281)의 압축시보다 커지게 된다. 즉 댐퍼(281)는 화기 결합부(220)가 이동 가이드(240)를 따라 후진 주퇴하여 압축될 때의 감쇄력에 비해서 화기 결합부(220)가 전진 복좌할 때의 감쇄력이 더 커지게 된다.
댐퍼(281)의 신장 시의 감쇄력은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가 완료된 이후에 화기 지지 장치의 화기 결합부의 복좌가 완료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는데, 이를 위해서 피스톤 헤드(286)에 형성되는 유로의 단면적 및 댐핑 유체(F)의 점성 등이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의 댐퍼(281)는 화기 지지 장치의 화기 결합부(220)가 후퇴할 때는 작은 감쇄력을 발휘하다가, 화기 결합부(220)가 복좌 시에는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가 스프링(190)에 의해서 복좌한 다음에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가 완료될 정도로 큰 감쇄력을 발휘하므로, 종래의 화기 조립체(1)와는 전방 충격력의 전달 과정이 상이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의 복좌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의 복좌 과정에서는 화기 결합부(220) 및 이에 결합된 화기(100) 전체의 복좌가 완료되기 전, 즉 잔여 복좌 거리(b2)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노리쇠 뭉치(150)가 먼저 복좌 완료된다.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 시에는 노리쇠 뭉치(150)가 약실을 타격함으로써 화기(100)의 전방으로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의 경우는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노리쇠 뭉치(150)의 전방 타격에 의한 충격력이 화기 지지 장치(200)의 베이스부(210)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탄성 지지부(260)로 전달된다. 따라서 노리쇠 뭉치(150)의 전방 타격에 의한 충격은 상당히 완충된 상태로 화기 지지 장치(200)로 전달된다. 즉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는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에 의한 전방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가 완료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기 결합부(220)가 잔여 복좌 거리(b2)를 마저 이동하고 복좌를 완료한다. 화기 결합부(220)가 복좌를 완료할 때 화기 결합부(220)가 베이스부(210)를 타격하여 화기 지지 장치(200)에 전방 충격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에 따른 전방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부(210)의 화기 결합부의 대응면에는 쿠션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2)에 의하면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에 따른 전방 타격으로 인한 전방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는 화기 발사에 따른 전방 충격력의 요인 중 하나를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사격에 따른 전체적인 전방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2)에서 발생하는 사격 충격력과 종래의 화기 조립체(2)에서 발생하는 사격 충격력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의 그래프에서 양의 값은 전방 충격력을 의미하고 음의 값은 후방 충격력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는 종래의 화기 조립체(1)에 비해서 전방 충격의 크기 및 발생 회수가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2)는 사격에 따른 전방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군용 차량 또는 원격 무장 경계 로봇에 적용되는 경우에, 사격에 따른 충격력으로 인한 사격 정확도의 저하의 문제 또는 카메라 촬영 영상의 흔들림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3)도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와 마찬가지로, 화기(100)와, 화기(100)를 지지하며 사격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화기 지지 장치(20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3)의 화기(100)는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의 화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실시예의 화기 지지 장치(201)의 베이스부(210), 화기 결합부(220), 탄성 지지부(260)도 역시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의 베이스부(21), 화기 결합부(22), 탄성 지지부(2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3)의 구성 중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3)가 가지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화기 지지 장치(201)도 화기의 노리쇠 뭉치(150)가 복좌를 완료한 후에 화기 지지 장치의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시의 전진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좌 지연부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기 지지 장치(201)는 복좌 지연부로써, 신축 시의 감쇄력과 압축 시의 감쇄력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MR 댐퍼(Magneto-rheological fluid (MR) damper)(290)를 구비한다.
도 7은 MR 댐퍼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MR 댐퍼(290)는 내부에 MR 유체(F)를 포함하며 화기 지지 장치(201)의 베이스부(210)에 결합되는 실린더(292)와, 화기 지지 장치(201)의 화기 결합부(2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피스톤(294)을 구비한다. 피스톤의 헤드(296)에는 MR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297)와,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코일(295)이 마련된다. 코일(295)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면 MR 유체의 점성이 변동되므로 댐퍼의 감쇄 특성이 변화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MR 댐퍼(290)는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가 완료된 이후에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시의 감쇄력이 주퇴 시의 감쇄력보다 크도록 제어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MR 댐퍼의 속도에 따른 감쇄력의 크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감쇄력의 방향은 탄성 지지부(260)의 스프링이 압축되는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R 댐퍼(290)의 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압축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스프링이 복귀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복위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되, 스프링의 복귀 시, 즉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시의 감쇄 계수가 스프링의 압축 시, 즉 화기 결합부의 주퇴 시의 감쇄 계수보다 큼을 알 수 있다. 한편 스프링 압축 시의 MR 댐퍼(290)의 감쇄 계수는 0에 가깝도록 설정되어, 화기 결합부(220)의 주퇴 시에 감쇄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형태로 MR 댐퍼(290)를 제어하기 위하여, MR 댐퍼(29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는 화기 결합부(220)의 후퇴를 감지하는 센서(310)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시에만 MR 댐퍼(290)의 감쇄력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집적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3)의 경우도 MR 댐퍼(290)의 감쇄력을 제어하여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를 지연시킴으로써,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완료 이전에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3)도 도 2의 화기 조립체(2)와 마찬가지로,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의 전방 타격에 의한 전방 충격력이 화기 지지 장치(201)에 전달되는 것을 현저히 저감하여 화기(100)의 격발에 의한 전체적인 전방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기 조립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4)의 일련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조립체(4)도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와 마찬가지로, 화기(100)와, 화기(100)를 지지하며 사격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화기 지지 장치(20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4)의 화기(100)는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의 화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실시예의 화기 지지 장치(202)의 베이스부(210), 화기 결합부(220), 탄성 지지부(260) 역시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의 베이스부(21), 화기 결합부(22), 탄성 지지부(2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4)의 구성 중 도 1a 내지 도 1d의 화기 조립체(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4)가 가지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기 지지 장치(202)도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가 복좌를 완료한 후에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시의 전진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좌 지연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좌 지연부로써, 마찰력 발생 장치(400)를 구비한다. 마찰력 발생 장치(400)는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시에 마찰력을 가하여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하며, 가압 마찰부(410), 스프링(420),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 및 제어부(301)를 구비한다.
가압 마찰부(410)는 화기 결합부(220)의 이동 경로의 내측으로 일부가 진입 및 후퇴 가능하도록, 마찰력 발생 장치(400)의 본체부(401)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압 마찰부(410)의 돌출량은 마찰력 발생 장치(400)의 본체(402)에 마련되는 스토퍼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스프링(420)은 가압 마찰부(410)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가압 마찰부(410)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한편 스프링(420)이 설치되는 스프링좌(430)는 스프링(420)의 신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그의 이동에 따라서 스프링(420)의 탄성력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는 스프링(420)을 지지하는 스프링좌(430)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는 리니어 모터 또는 공압 액추에이터와 같이 공지의 구동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를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화기 결합부(220)가 복좌할 때 스프링좌(430)를 화기 결합부(220)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링(420) 및 이에 연결된 가압 마찰부(410)를 화기 결합부(22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가압 마찰부(410)는 화기 결합부(220)가 복좌할 때 화기 결합부(220)의 이동 경로의 내측으로 진입된다.
도 9a는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4)의 격발 직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 및 화기 지지 장치(202)의 화기 결합부(220)가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가압 마찰부(410)는 화기 지지 장치(202)의 화기 결합부(220)에 접촉하지 않도록 화기 결합부(2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도 10a은 화기 조립체(4)가 주퇴 이동을 하기 전의 가압 마찰부(410), 스프링(420), 스프링좌(430) 및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에서 보듯이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가 스프링좌(430)를 당겨줌으로써 스프링(420) 및 이에 연결된 가압 마찰부(410)가 화기 결합부(220)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돌출량이 설정될 수 있다.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의 구동은 제어부(301)에 의해서 제어되는데 제어부(301)는 화기 지지 장치(202)의 화기 결합부(220)의 위치에 연동하여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화기 결합부(220)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31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310)는 이동 가이드(240)에 연결된 리니어 엔코더이거나, 화기 결합부(220)가 특정 위치에 위치되었음을 감지하는 홀 센서(hall effect sensor)일 수도 있다.
도 9b는 화기(100)의 격발 이후에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 및 화기 지지 장치(202)의 화기 결합부(220)가 주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 및 화기 지지 장치(202)의 화기 결합부(220)가 주퇴되면, 가압 마찰부(410)는 돌출되어 그의 일부가 화기 결합부(220)의 이동 경로의 내측으로 진입된다. 가압 마찰부(410)의 돌출은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가 스프링좌(430)를 화기 결합부(2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9c는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 및 화기 지지 장치(202)의 화기 결합부(220)가 복좌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9c를 참조하면 화기 결합부(220)가 복좌할 때 가압 마찰부(410)가 화기 결합부(220)와 접촉된다. 도 10b는 가압 마찰부(410)와 화기 결합부(220)가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0a를 참조하면 가압 마찰부(410)는 화기 결합부(220)에 의해서 밀려나면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420)이 압축되면서 가압 마찰부(410)에 탄성력을 가하여 가압 마찰부(410)가 화기 결합부(220)와 밀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 마찰부(410)와 화기 결합부(220)가 접촉함에 따라서 그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여,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속도가 감소된다.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 속도는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의 전진 이동이 먼저 완료될 정도로 감소되며, 이를 위해서 스프링(420)의 탄성 계수 또는 스프링좌(430)의 위치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의 전진 타격에 따라서 충격이 발생하지만, 화기 결합부(220)와 베이스부(210) 사이에는 잔여 복좌 거리(b2)가 있기 때문에 노리쇠 뭉치(150)의 전진 타격에 따른 충격이 상당히 완충되어 화기 지지 장치로의 전달된다.
도 9d는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가 완료된 이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노리쇠 뭉치(150)의 복좌가 이루어진 이후에 화기 결합부(220)가 복좌를 완료하여 베이스부(210)와 접촉하면서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화기 결합부(220)는 복좌 완료에 이전에 댐퍼(280)의 감쇄 작용 및 마찰력 발생 장치(400)에 의한 마찰 저항을 받기 때문에, 화기 결합부(220)의 복좌에 의한 충격은 다소 완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도 도 2 및 도 6의 화기 조립체(2,3)와 마찬가지로, 화기(100)의 노리쇠 뭉치(150)의 전방 타격에 의한 전방 충격력이 화기 지지 장치(202)에 전달되는 것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화기(100)의 격발에 의한 전체 전방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의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과 앞서 서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은, 화기를 발포하는 단계(S10), 노리쇠 뭉치 및 화기의 주퇴 단계(S20), 화기의 복좌 지연 단계(S30), 노리쇠 뭉치 복좌 완료 단계(S40) 및 화기의 복좌 완료 단계(S50)를 포함한다.
화기를 발포하는 단계(S10)는 노리쇠 뭉치 및 화기가 전방으로 전진된 상태에서 화기를 격발하여 탄환을 발사하는 단계이다.
노리쇠 뭉치 및 화기의 주퇴 단계(S20)는 화기의 격발에 의한 가스의 압력으로 화기의 노리쇠 뭉치가 후퇴되고, 화기의 격발에 따른 반작용으로 화기가 주퇴하는 단계이다. 화기의 주퇴 작용은 화기 지지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화기 결합부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노리쇠 뭉치와 화기는 후퇴된 다음, 각각 화기의 복좌 스프링 및 화기 지지 장치의 스프링의 탄성 회복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화기의 복좌 지연 단계(S30)는 노리쇠 뭉치의 복좌가 완료된 이후에, 화기의 복좌가 이루어지도록 화기의 복좌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이다. 화기의 복좌를 지연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기 복좌 시에 댐퍼의 감쇄력을 더욱 증가시키는 방법 또는 화기 복좌 시에 마찰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화기의 복좌시에 댐퍼의 감쇄력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를 이용하거나 MR 댐퍼를 이용하는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화기의 복좌가 지연되면 노리쇠 뭉치의 복좌가 먼저 완료되고(S40), 이어서 화기의 복좌가 완료된다(S50).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화기의 복좌 완료 이전에 노리쇠 뭉치의 복좌가 완료되므로, 노리쇠 뭉치의 복좌에 따른 전진 타격력이 화기 지지 장치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은 매우 효과적으로 사격에 의한 전방 충격력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발명의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의 화기 조립체(2,3,4)는 화기(100)가 화기 지지 장치(200,201,202)의 화기 결합부(2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화기(100)와 화기 결합부(220)는 일체로서 마련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화기(100)는 별도의 화기 결합부를 게재함 없이, 화기 지지 장치(200,201,202)의 베이스부(210)에 직접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만일 화기(100)가 화기 지지 장치(200,201,202)의 베이스부(210)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에는, 탄성 지지부(260) 및 댐퍼(280,280,290)도 화기(1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마찰력 발생 장치(400)도 화기(100)에 직접적으로 마찰력을 가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복좌 지연부로서 MR 댐퍼(29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좌 지연부는 MR 댐퍼(290) 대신에 ER 댐퍼(Electrorheological damper)를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b의 실시예의 스프링좌 이동 기구(440)는 전동식이 아니라, 스프링좌 이동 기구는 화기(100) 및 화기 결합부(220)의 이동에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스프링좌(430)를 이동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b의 실시예에서는 가압 마찰부(410)가 화기(100)의 복좌 시에만 마찰력을 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압 마찰부(410)는 화기(100)의 주퇴 시에도 마찰력을 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 피스톤 헤드(286)에 댐핑 유체(F)의 이동을 위한 유로(288)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댐핑 유체(F)의 유로(288)는 피스톤 헤드(286)가 아니라 실린더(282)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그 유로에도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따라 댐퍼의 댐핑 특성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실시예에서처럼, MR 댐퍼(29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체(F)의 유로는 피스톤 헤드(296)가 아니라 실린더(292)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2,3,4 ... 화기 조립체
10, 100 ... 화기
15, 150 ... 노리쇠 뭉치
20, 200, 201, 202 ... 화기 지지 장치
22, 220 ... 화기 결합부
26, 260 ... 탄성 지지부
28, 280, 281 ... 댐퍼
290 ... MR 댐퍼
400 ... 마찰력 발생 장치

Claims (15)

  1. 베이스부와,
    화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진퇴가 가능하게 배치되는 화기 결합부와,
    상기 화기 결합부가 주퇴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화기 결합부에 장착되는 화기의 노리쇠 뭉치가 복좌를 완료한 후에 상기 화기 결합부가 복좌가 완료되도록, 상기 화기 결합부의 전진 복좌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좌 지연부를 구비하는 화기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좌 지연부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운동 에너지를 소산시키도록, 상기 화기 결합부의 이동에 연동되는 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주퇴 시보다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시에 더 큰 감쇄력을 발생시키는,
    화기 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유체를 수용하는 실린더와,
    상기 화기 결합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이동하는 피스톤 헤드와,
    상기 화기 결합부의 주퇴 시에는 상기 실린더 내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되,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시에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화기 지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MR 댐퍼(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이며,
    상기 화기 결합부의 주퇴 시보다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시에 상기 MR 댐퍼의 내부 유체의 점성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기 지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좌 지연부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시에 상기 화기 결합부의 복좌 이동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마찰력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화기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발생 장치는,
    상기 화기 결합부의 이동 경로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 마찰부와,
    상기 가압 마찰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좌와,
    상기 스프링좌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프링좌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좌 구동 기구는,
    상기 화기 결합부가 복좌 시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좌를 이동시키는,
    화기 지지 장치.
  7. 베이스부와,
    전진 및 후진하는 노리쇠 뭉치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주퇴 및 복좌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화기와,
    상기 화기의 주퇴 이동을 것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화기의 노리쇠 뭉치가 복좌를 완료한 후에 상기 화기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상기 화기의 전진 복좌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좌 지연부를 구비하는 화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좌 지연부는,
    상기 화기의 주퇴 및 복좌 이동에 연동되는 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화기의 주퇴 시보다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 더 큰 감쇄력을 발생시키는,
    화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유체를 수용하는 실린더와,
    상기 화기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이동하는 피스톤 헤드와,
    상기 화기의 주퇴 시에는 상기 실린더 내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되,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는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유체의 흐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화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MR 댐퍼(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이며,
    상기 화기의 주퇴 시보다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 상기 MR 댐퍼의 내부 유체의 점성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기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좌 지연부는,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 상기 화기의 복좌 이동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마찰력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화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발생 장치는,
    상기 화기의 이동 경로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 마찰부와,
    상기 가압 마찰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좌와,
    상기 스프링좌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프링좌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좌 구동 기구는,
    상기 화기 결합부가 복좌 시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좌를 이동시키는,
    화기 조립체.
  13. 화기가 발포되는 단계;
    상기 화기의 발포에 따른 반동으로 상기 화기의 노리쇠 뭉치 및 상기 화기 전체가 주퇴되는 단계;
    상기 화기의 노리쇠 뭉치의 복좌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화기의 복좌가 완료되도록, 상기 화기의 복좌를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의 복좌를 지연시키는 단계는,
    상기 화기의 주퇴 시에 감쇄력 보다 상기 화기의 복좌 시의 감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의 복좌를 지연시키는 단계는,
    상기 화기의 복좌 시에 상기 화기에 복좌 이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KR1020130050812A 2013-05-06 2013-05-06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KR10205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812A KR102050876B1 (ko) 2013-05-06 2013-05-06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US14/097,304 US9134086B2 (en) 2013-05-06 2013-12-05 Apparatus for supporting firearm, firearm assembly, and method of reducing shock of firing
CN201410035765.9A CN104142090B (zh) 2013-05-06 2014-01-24 用于支撑枪械的设备、枪械组件和减小射击的冲击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812A KR102050876B1 (ko) 2013-05-06 2013-05-06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78A true KR20140131778A (ko) 2014-11-14
KR102050876B1 KR102050876B1 (ko) 2019-12-03

Family

ID=5184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812A KR102050876B1 (ko) 2013-05-06 2013-05-06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34086B2 (ko)
KR (1) KR102050876B1 (ko)
CN (1) CN104142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9266B1 (en) * 2013-01-03 2017-11-28 Vadum, Inc. Lightweight platform recoil apparatus and method
US20150226507A1 (en) * 2013-06-06 2015-08-13 GREGORY Wilson PALMER Recoil mitigating apparatus and methods
US9863450B1 (en) * 2014-04-16 2018-01-09 Rockwell Collins, Inc. Hydro-mechanical device with preloaded flow regulating assembly
US9212861B2 (en) * 2014-04-25 2015-12-15 David Panak Feedback-controlled re-targeting apparatus for automatic firearm
US9506728B2 (en) * 2014-08-04 2016-11-29 Harris Corporation Recoil absorbing mechanism
WO2017200619A2 (en) * 2016-02-24 2017-11-23 Elsner Jeff Firearm recoil control system
CN106871713A (zh) * 2017-01-20 2017-06-20 重庆大学 火炮旋转型磁流变反后坐装置
US10704855B2 (en) * 2017-09-29 2020-07-07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firearm operating characteristics
ES1203449Y (es) * 2017-12-12 2018-04-13 Vazquez Jose Antonio Dominguez Dispositivo de chasis externo con anclaje movil interno para armas largas
US10955212B2 (en) * 2018-04-16 2021-03-23 Eagle Technology, Llc Lightweight recoil management
US11187486B2 (en) * 2019-02-19 2021-11-30 Design West Technologies, Inc. Recoil buffer for machine gun mount
TR201906011A1 (tr) * 2019-04-24 2020-11-23 Asis Elektronik Ve Bilisim Sistemleri Anonim Sirketi Otomati̇k atiş stabi̇li̇zasyon si̇stem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819A (en) * 1977-10-25 1979-04-24 Tayco Developments, Inc. Recoil-counter-recoil system
US5056410A (en) * 1989-09-22 1991-10-15 Zero Coil, Inc. Firearm recoil absorb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4761A (en) * 1919-09-02 Rapid-pibe gtyit
US2731829A (en) * 1956-01-24 Pistol mount for shooting tests
US15244A (en) * 1856-07-01 Improved gun-carriage
US1520343A (en) * 1924-06-27 1924-12-23 Norris P Green Combined blasting gun and chute
US2433637A (en) * 1945-10-19 1947-12-30 Bell Aircraft Corp Shock absorbing machine gun mount
US3672255A (en) * 1965-02-23 1972-06-27 Us Army Equal impulse firearm
DE1703764B1 (de) * 1968-07-06 1972-01-20 Rheinmetall Gmbh Pneumatisches Vorholsystem fuer Geschuetze
US4019423A (en) * 1968-11-28 1977-04-26 Johnson James H Automatic or semi-automatic firearm
US3677135A (en) * 1969-11-19 1972-07-18 Us Army Machine gun having a firing system means for obtaining substantially constant and minimum recoil forces
US3698284A (en) * 1970-07-16 1972-10-17 Us Army Buffer system for decelerating a reciprocating gun
US4063487A (en) * 1973-07-18 1977-12-20 Werkzeugmaschinenfabrik Oerlikon-Buhrle Ag Automatic firing weapon
CH572603A5 (ko) * 1973-11-01 1976-02-13 Oerlikon Buehrle Ag
US4732075A (en) * 1986-08-14 1988-03-22 Hurd Bruce W Elastomeric buffer unit for a weapon recoil system
JPH0814796A (ja) 1994-06-28 1996-01-19 Japan Steel Works Ltd:The 駐退復座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ショックアブソーバ
BE1016372A3 (fr) * 2005-01-27 2006-09-05 Fn Herstal Sa Arme a feu a precision de tir en rafale amelioree et dispositif utilise a cet effet.
US8448561B2 (en) * 2006-08-24 2013-05-28 Raytheon Company Weapon mount
FR2905997B1 (fr) * 2006-09-14 2008-11-28 Conseil Et Tech Sarl Dispositif a friction pour le controle d'effort, et un amortisseur a friction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KR20090088618A (ko) 2008-02-15 2009-08-20 에스앤티대우(주) 충격흡수식 화기거치대
US8297174B1 (en) * 2008-12-09 2012-10-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pparatus and method for gun recoil mitigation
KR101081281B1 (ko) 2009-02-24 2011-11-09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총기거치대
CN102117050B (zh) * 2010-01-06 2013-06-19 王炅 火炮反后坐用磁流变阻尼器控制装置
US8109028B2 (en) * 2010-02-12 2012-02-07 Roberts Kent S Gun mount
KR101673641B1 (ko) * 2012-05-22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업소버
CN103017604B (zh) * 2012-12-19 2014-12-03 东风汽车公司 一种减震式武器支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819A (en) * 1977-10-25 1979-04-24 Tayco Developments, Inc. Recoil-counter-recoil system
US5056410A (en) * 1989-09-22 1991-10-15 Zero Coil, Inc. Firearm recoil absor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2090B (zh) 2018-02-13
US20140325885A1 (en) 2014-11-06
US9134086B2 (en) 2015-09-15
CN104142090A (zh) 2014-11-12
KR102050876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1778A (ko) 화기 지지 장치, 화기 조립체 및 사격 충격력 저감 방법
JP6229082B2 (ja) 銃におけるボルトストップ緩衝装置
US8651010B2 (en) Semiautomatic pistol
JP5739569B1 (ja) 銃火器の弾丸発射時における銃反動低減装置
CN107532872B (zh) 仿真枪中的活塞机构的缓冲装置
US11378347B2 (en) Buffer with magnetic bias
EP3371541B1 (en) Self-loading pistol with selective slide lock delaying the opening movement during firing but facilitating manual cocking.
JP5517380B1 (ja) 電動式玩具銃
JP5894863B2 (ja) 玩具銃における反動発生装置
US20190383571A1 (en) Spring system for blowback action for pistol-caliber firearms
KR101849355B1 (ko) 화기 지지 장치
US10330407B2 (en) Bolt stop buffer device in gun
TWI598563B (zh) Toy gun recoil generating mechanism
KR101216260B1 (ko)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KR100706289B1 (ko) 완구총의 리코일 쇼크 장치
JP5591393B1 (ja) 玩具銃の反作用発生機構
JP6612823B2 (ja) 駆動装置と制御スライダを有する小速射砲
US20200269402A1 (en) Pyrotechnic driving tool
WO2015198393A1 (ja) 模擬銃における威力抑制装置
KR850001673B1 (ko)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JPH07225097A (ja) エアーソフトガンの発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