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673B1 -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 Google Patents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673B1
KR850001673B1 KR1019810002375A KR810002375A KR850001673B1 KR 850001673 B1 KR850001673 B1 KR 850001673B1 KR 1019810002375 A KR1019810002375 A KR 1019810002375A KR 810002375 A KR810002375 A KR 810002375A KR 850001673 B1 KR850001673 B1 KR 85000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gun
gas
force
ammu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662A (ko
Inventor
제이므즈 설리반 레로이
Original Assignee
차아터어드 인더스트리이즈 오브 싱가포오르 프라이비트 리미팃드
라이천루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아터어드 인더스트리이즈 오브 싱가포오르 프라이비트 리미팃드, 라이천루웅 filed Critical 차아터어드 인더스트리이즈 오브 싱가포오르 프라이비트 리미팃드
Priority to KR101981000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673B1/ko
Publication of KR83000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작용식완전 자동총의 장축방향 단면도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공지된 가스 작용식 총에서의 최대 및 최소 공급구초과 이동을 도시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총에서의 최대 및 최소 공급구 초과 이동을 도시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공지된 가스 작용식 총의 탄약과 에너지 양이다름으로 인한 영향을 도시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제4a도 및 제4b도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탄약과 에너지 양이다름으로 인한 영향을 도시한다.
제6a도-제6e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을 따른 총에서 노리쇠 개방위치로부터 발사될때의 동작과 추진력을 계통적으로 도시한다.
제7a도-제7e도는 제6a도-제6e도에 각각 도시된 총의 반작용력/역반작용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8a도 및 제8b도는 노리쇠 개방 위치에서 발사되는 공지된 가스 작용식총의 동작을 계통적으로 및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을 따른 총의 발사자에게 가해지는 반작용력의 그래프이다.
제10도는 공지된 가스 작용식 총의 발사자에게 인가되는 반작용력을 도시하는, 제5도와 비교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가스작용식자동총에 관한 것이며, 또한 반 자동총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자동총이란, 방아쇠가 당겨지면, 방아쇠를 당기고 있는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혹은 탄약이 모두 발사될때까지 연속적으로 다수의 탄약이 발사되는 총을 말한다. 반자동 총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방아쇠가 당겨졌을 때 탄약을 발사하고 연속적으로 탄약을 방출하고, 노리쇠를 당기고 다음 탄약을 자동적으로 장전하나, 방아쇠를 놓고다시 한번 당기지 않는한 상기 다음탄약이 발사되지 않는 총을 가리켜 말한다.
자동 및 반자동 총은 여러 문헌에 잘 기술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세계의 소형 무기(small Arms of the world), 스미스(W.H.B.smith)지음, 조셉스미스(Joseph E.Smith)에 의한 완전개정 10판, 스텍폴 북스(Stackpole Books) 출판사, 미국"와 "제인스 보병병기(Janes Infantry Weapons), 1977, 데니스 아쳐(Dennis H.R. Archer) 편집, 제인스 퍼블리싱 캄파니(Janes publishing Company)"등이 있으며, 공지된 형태의 가스 작용식 자동총으로는 미국 7.62mm, 나토(NATO) M60기관총이 "세계의 소형무기"의 695-699페이지와 "제인스보병병기"의 332-337페이지에 기술되어 있으며, 5.56mmAR18 소총이 "세계의 소형무기"의 656페이지와 "제인스 보병병기"의 229-231페이지에 기술되어 있다.
자동총에는 3기지 중요한 종류, 즉 반동작동식(recoil operated) 블로우-백작용식(blow-back operated) 및 가스 작용식(gas operated)이 있다. 반동 작동식총은 받침내의 고착성과 고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손으로 잡는 총기로서는 부적당하다. 블로우-백총은 비록 아직도 보병에 의해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작은 힘의 단거리 탄약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오늘날 보병에서는 가스작용식 총이 그 개선된신뢰성 때문에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가스 작용식 총은 진흙이나 모래로 쉽게 오염되지 않고 또 상당히 고출력의 탄약도 사용가능하기 때문이다.
AR 18과 같은 가스 작용식 총은 수납부(receiver) 하우징과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갖는데,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구동 스프링에 의해 총렬을 향해 억압되며 중간의 시어(sear)를 통해 방아쇠에 의해 작동된다. 총렬(barrel)벽을 방사상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총렬길이를 띠라 정해진 길이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적으로 이 구멍과 함께 가스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가 협동 작용한다.
동작시, 노리쇠/노리쇠 운반조립체는 탄창으로 부터 탄약을 떼어내서 수납부내의 공급 영역으로 공급하며, 노리쇠는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총렬 범위내의 공급 경사부(ramp)위로 탄약을 이동시켜 약실에탄약을 장전한다. 다음에, 노리쇠는 보통 잠금 위치로 회전하여 탄약이 약실내에서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이후에, 해머(hammer)가 이완되어 공이(firing pin)를 때리거나 혹은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최종 전진운동량이 노리쇠를 회전시키고 잠겨지게 해서 노리쇠가 공이를 탄약으로 밀어붙여서 이로서 탄약을 발사시킨다. 탄약의 발사 작용으로 가스압력이 발생되며, 일단 탄알(bullet)이 방사상 구멍을 통과하고 가스 실린더속으로 들어가면 탄알이 아직 총렬내에 있는 동안 이 가스는 방사 상구멍속으로 들어간다. 물론 탄알이 일단 총렬을 떠나면 가스는 배출된다. 가동 부분으로 되어 있는 실린더는 봉에 의해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연결되어 있어서, 실린더에 가스가 채워지면 이 실린더는 가스에 의해 구동되어 노리쇠 운반체가 후방으로 구동되어, 이로써 노리쇠를 풀고, 소모된 탄약을 추출하여 방출해 버리고, 총을 당겨서 다음의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채비를 갖춘다. 똑같은 다음의 주기가 방아쇠가 당겨지는 한 그리고 물론가스를 방출할 탄약이 있는한 계속된다. 여기서 주의할 사항은 가동 실린더 또는 그에 관련된 적당한 피스톤은 노리쇠 운반조립체의 이동거리와 같은 이동거리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AR 18소총은 다른 여러자동 화기와 같이 노리쇠 패쇠 위치로부터 발사되는데, 노리쇠 페폐 위치란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항상 전진되어 있으며 탄약 1발이 이전(以前)의 주기에 의해 약실에 장전되어 있어서 방아쇠가 당겨 졌을때 해머나 혹은 다른 경량의 발사기계 장치만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노리쇠 및 운반 조립체는 발사가 일어나기 전까지는 움직이지 않으며 발사 순간 이전에는 총에 아무런 운동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것은 M60기관총과 같은 노리쇠 개방위치로부터 발사되는 총과는 다르며, 이개방 위치에서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이전의 주기에 의해 공급영역뒤로 후퇴되어 있으며 노리쇠 운반체는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구동 스프링에 의해 전진 구동되기전에 시어(sear)에 의해 붙잡혀진다. 따라서, 처음에는 탄약이 약실에 장전되어 있지 않다가 방아쇠가 당겨지면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이완되어 주(主)스프링에 의해 전진 구동되어 탄약을 약실에 장전하고 발사한다. 노리쇠 개방 위치에서 발사할때, 구동스프링이 노리쇠 운반체를 전진방향으로미는 반작용에 의해 발사순간이전에 총에 후진방향의힘이 가해진다.
동작주기에서, 노리쇠 운반체는 다음 탄약이 약실에 공급되어 장전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후퇴위치로 이동한다. 그러한 공급초과 이동은 여기서 노리쇠의 선단(노리쇠 운반체에 대해 확장된 위치에서)과 공급구(feed), 즉 탄창의 실탄출구(magazine delivery port)에 있는, 실탄의 밑판(base)사이의 거리(단위는 미터)로 정의되는데, 이때 노리쇠 운반체의 후단부가 전방정지구(positive stop)에 살짝 닿는 위치에서 측정되며 전방 정지구는 완충부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노리쇠선단은 보통, 탄약의 밑판을 접촉하여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전진이동함에 따라 탄약을 공급구로부터 떼어내어 약실쪽으로 전진 구동시키는 스트립핑쇼울더(stripping shoulder)임을 주의하라, "스트립핑 쇼울더"란 말은 노리쇠 선단으로 탄약을 끌어내지 않는 병기에서 "노리쇠 선단"이란 말 대신 사용된다.
공지된 가스 작용식 총에서 노리쇠 운반체가 후퇴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수납부의 뒷벽과 충돌하는 것은 통례적인 일이며, 많은 공지의 총에서 예를들면 "세계의 소헝무기'"의 650-653페이지와 "제인스 보병병기"의 226-228페이지에 기술되어 있는 M16에서는 중간의 완충부위를 통해 충돌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된 "완충부위(buffer)"란 용어는 노리쇠 운반조립체와 정지구사이에 위치하여 노리쇠 운반체를 재빨이 감속시키며, 다른 모든 연관된 탄성력의 평균치보다 최소한 2배 큰힘을 갖는 수단을 의미한다.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든 자동 및 반자동총은 노리쇠/노리쇠 운반체가 충분한 힘을 가지고탄약공급 지역을 초과 이동하도록 해야하며, 그러한 초과 이동은 탄약이 한 위치로 이동할 시간을 허용할만큼 충분히 커야하며 이로써 탄약이 예를들면 노리쇠의 스트립핑 쇼울더에 의해 다른 탄약들로부터 떼어내지도록 한다. 비록 가스 작동식 총이 오염에 덜민감하긴 하지만, 이것들도 역시 더러워 지기 때문에 총의 설계자는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충분한 힘을 가지고 총이 오염된 상태에서도 공급지역을 초과이동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런 이유로 인해, 어떤 가스 작용식 총에는 수동식 가스 조절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총의 사용자가 탄약이 공급지역까지 이동할 충분한 시간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느껴지면 가스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스 조절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가스 작용식 총에서는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악조건하에서도 공급지역을 초과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갖게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 Ml6소총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이 노리쇠 운반체의 후퇴 이동 범위는 수납부 뒷벽의완충부위와의 충돌로 제한되는 것이 보통이며, 완충부위는 노리쇠 운반체가 수납부 뒷벽과 충돌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된다. 완충부위가 있든 없든간에 노리쇠 조립체는 수납부 뒷벽과 부딪혀 튀기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후퇴방향 구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스 장치의 가스 압력을 증가시키면 이에 따라 노리쇠 운반체가 수납부 뒷벽과 충돌하는 힘도 증가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한 영향으로서, 탄약이 공급지역으로 이동할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는 최소초과 이동 위치로부터 노리쇠 스트립핑 쇼울더가 주 스프링에 의해 전진 구동되어 탄약을 끌어내려하는 시간까지의 이동시간이 감소되는데, 왜냐하면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후퇴방향으로 신속히 구동되어 뒷벽과 충돌하고 전진 방향으로 신속히 귀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스 압력에 의해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인가되는 힘이규정치를 초과하면, 탄약이 공급지역으로 이동할 시간이 충분히 허용되지 않는다.
가스 작용식총에서 노리쇠 운반체가 수납부 뒷벽을 때리는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시도가 있었으나, 이 시도들은 수납부의 뒷벽을 후방으로 때리는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충격효과를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 이 현상을 "복원(력)(restitution)"이라 하며, 이것은 고정된 고체물체와 충돌할때 충돌 물체 에의해 가해지는 힘중에서 충돌물체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힘을 말한다. 따라서, 강철로 된 노리쇠 운반체가 강철로 된 수납부 뒷벽과 충돌하면, 노리쇠 운반제의 충돌에너지의 대부분은 수납부뒷벽에 의해 운반체에 반대방향으로 되돌아 온다. 그런 경우의 약 100%에 가까운 복원이 이루어지며, AR 18이 그 본보기이다.
Ml6소총에서는, 노리쇠 운반체 후단에 완충부위를 설치하여 노리쇠가 수납부 뒷벽에 충돌하는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복원력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완충부위는 수납부 뒷벽과 노리쇠 운반체 후단사이에서 압축가능하다. 비록 M16의 복원 계수가 낮다고 하나, 아직도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의해 충돌되는 수납부 뒷벽에 의해 상당한 반발력의 발생되며, 또한 직접적인 연관성으로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상당한 양의 에너지로 반발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병기에서의 탄약 공급(송탄)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려는데 관련된 충격이라는 악영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 가스 작용식 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국면을 따라 수납부와 노리쇠 수단을 갖는 가스 작용식 자동 및 반자동 총이 제공되는데, 상기 수납부는한 단부에서 뒷벽을, 다른 단부에서총신을 갖고 또한 탄약 공급지역을 가지며, 상기 수납부내에서 이동 가능한 노리쇠 수단은 주(主)구동 스프링과 협동작용하고 상기 주구동스프링은 노리쇠 수단을 총신을 향하여 억압하며, 수납부와 노리쇠 수단은 공급구초과 이동이 실탄의 전장(全長) 이상이 되고 노리쇠 수단이 상기 뒷벽과 충돌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공급구 초과 이동이 실탄의 전장 이상인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과 비교해 여분의 초과이동이 제공되며, 따라서 실탄이 공급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이 크게 증가된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노리쇠 수단의 후퇴 이동 범위는 정상적으로 노리쇠 수단이 수납부 뒷벽을 충돌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충돌과 관련된 반발력등의 문제가 극복된다. 이상 언급한 바와 같이,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은 반동력(recoil)에 의해 악영향을 끼치는테, 이 총이 사용자에게 주는 반동력은 노리쇠 운반조립체가 수납부 뒷벽을 때릴때 가해질 뿐 아니라, 탄약이 발사될 때도 반동력을 준다. 따라서 한번 주기의 양끝 부분에서 2번의 반동력이 일어나며, 즉 한번은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최종 후퇴위치에 있을 때와 다른 한번은 총렬 근처의 최종 전진 위치에 있을 때이다. 총을 사용하는 자에게 가해지는 이 반동력으로 인해 첫발을 발사하고 다음 한발을 발사할때 총렬이 위로 들려 총알이 표적의 위를 맞추게 된다. 이러한 자동식 총에서 발사속도는 보통 매초 당 10발 정도에 달하며, 발사자가 반동력 영향을 보상하여 과녁을 다시 조정하는데는 약 1-2초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병기는 발사자가 조준 조절을 못하게 됨에 의해 비정확하게 될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조준 조절의 불능은 이전에 언급한 바 있는 블로우-백작용식 총과 반동 작용식 총에서는 거의 감소되었지만 이러한 총기에서 채용된 해결 방안은 작동 원리가 상이한 가스 작용식 총에서는 적용하기에 적합치 않은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가스 작용식 총에서의 반동력을 노리쇠 작용 총(bolt action gum)에 비해 작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노리쇠 작용 총은 비록 자동식 총은 아니지만 가스 작용식 총과 많은 유사점을 지니고 있다. 이런 면에서, 이들은 둘다 탄약의 추진력을 "구경(口徑)"시간 동안에 전달하려는 고정 잠김 구조를 갖고 있다. 이같이 반동력이 작은 이유는 실린더내의 가스가 가동부재(실린더 이건 혹은 피스톤이건)를 구동하여 이로써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자유 질량을 뒤로 구동할 뿐 아니라, 가스가 고정부재의 앞벽을 전진 방향으로 구동한다는 점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 작용식 총은 전술한 노리쇠 작용 총보다 "부드러운" 동작을 수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동력을 상기와 같이 여전히 존재하여 발사자는 첫발 발사후에는 조준을 잃으며, 그 이유는 많은 반동력 작용이 개별적인 강한 타격들로 계속해 들어오기 때문임은 명백하다. 반동력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어 왔으며, 예를들면 "Hatcher,s Notebook" "(Julian S.Hatcher, Telegraphpress, 3rd Edition, 1976)의 262페이지등을 참조할 수 있다.
반동력 작용이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의 제어능력에 미치는 영향때문에, 그러한 총에서 적중률을 높이려는 노력으로서 3발 연사 제한기 (three shot bursts limiters), 고속 소총(high rate rifle)등의 있는데, 이것들은 3-4발의 실탄을 총이 과녁을 벗어날 시간이 없을 정도의 빠르 시간내에 발사하며, 2중 혹은 3중탄약을 사용하여 탄약 1발마다 2-3개의 탄환이 발사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 어느것도 성공적이지는 못해서, 단지 가스 작용식 총의 정확성을 개선하려는 설계자들의 필사적 노력만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가스 작용식 총의 제어능력을 개선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 수납부와 노리쇠 수단을 갖는 총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한단부에서 뒷벽을, 다른 단부에서 총신을 갖고 또한 탄약 공급지역을 가지며, 상기 수납부내에서 이동가능한 노리쇠 수단은 주구동 스프링과 협동작용하고 상기 주구동스프링은 노리쇠 수단을 총신을 향하여 억압하되, (탄성력을 받는 중량)×(스프링 탄성력)×(순환거리)(각각은 이후에 정의 되는 바와 같음)의 곱이(0.51)2×0.5g±15%가 되도록 하며 (여기서 I는 탄약 추진력, g는 중력 가속도), 그래서 (탄성력을 받는중량)×(초기 후퇴속도)의 곱이 0.5 I와 같을 때 스프링 탄성력은 노리쇠 수단이 전방정지구에 충돌하지 않고서 운동의 후퇴방향으로 정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국면의 한 특징에 있어서, 수납부와 노리쇠 수단을 가진 가스작용식 자동 및 반자동 총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한 단부에서 뒷벽을, 다른단부에서 총신을 갖고 또한 탄약공급지역을 가지며, 상기 수납부내에서 이동가능한 노리쇠 수단은 주구동 스프링과 협동작용하고 상기 주구동 스프링은 노리쇠 수단을 총신을 향하여 억압하되, (탄성력을 받는 중량)×(스프링 탄성력)×(순환거리)(각각은 이후에 정의되는 바와 같음)의 곱이 (0.51)2×0.5g±15%가 되도록 하며 (여기서 I는 탄약추진력g는 중력가속도), 수납부와 노리쇠 수단은 노리쇠 수단이 운동의 후퇴방향으로 전방정지구와 충돌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공급구 초과이동거리는 실탄의 전장이상이 되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I 는
Figure kpo00002
로 주어지며, 예를 들면 표준 5.56×45㎜탄약의 경우,
Figure kpo00003
이다.
여기서 "스프링 탄성력"이란 탄성력을 받는 중량(이후에 정의함)이 후퇴할때 감속시키 며전진할 때가속시키는 스프링탄성력들의 평균치를 말한다. 평균치는 시간이 아니라 거리로써 결정된다. 만일 탄성력을 받는 중량이 후퇴하면서 해머나 기타 공이치기 장치를 당겨 잠그게 되면, 그러한 공이치기 장치의 탄성력은 평균치의 일부분에 포함한다.
주구동 스프링에 더해지거나 빼지거나 간에 모든 탄성력의 총개는 "스프링 탄성력"을 결정 지으며, 이에 완충부위의 힘은 포함되지 않는다. "스프링 탄성력"은 국제적 공인 기관인 Associated spring Corporation에 의해 정의된 표준스프링 수학공식에 의해 구해진다. 따라서 공이치기 해머가 사용된 경우, 탄성력을 받는 중량×스프링 탄성력×순환거리의 곱은
Figure kpo00004
[(EC+EH)(WC+WH) + (EC. WC.+EH. WH.)]로서 주어지며, 이때 EC=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에너지, EH=해머의 에너지, WC=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중량(kg), WH=해머의 중량(kg)이고, EC=노리쇠 운반조립체 주 탄성력의 평균치×노리쇠 운반조립체 순환거리(mkg), EH=해머 탄성력의 평균치×해머스프링 편향 거리(mkg)이다.
본 기술분야 숙련가라면, 해머에 비틀림 스프링이 사용된 경우, 직접적으로 선형치로 변환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탄성력을 받는 중량"이란 말은, 주 스프링에 의해 전진 구동되는 모든 부품들의 총중량(kg)을 의미한다. 가스 작동식 총의 경우, 이것은 노리쇠 조립체와 노리쇠 운반체(혹은 작동봉 조립체)및 주 구동 스프링 중량의 절반등을 보통 포함하기도 한다. 적용이 가능한 경우, 공이치기 잠금 손잡이(cocking handle) (공지된 AK-47의 경우) 및 완충부위(M-16과 같이 완충부위가 노리쇠 운반체와 함께 이동할 경우)도 포함될 것이다.
"순환거리(cycling distance)"란 용어는, 노리쇠 운반체(혹은 작동봉 조립체)의 허용가능 이동거리(단위미터)를 의미한다. 거리는 반주기에 대한 것이며, 노리쇠 운반체(혹은 작동봉 조립체)가 수납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전방 정지부"와 부딪히는 일없이 이동할 수 있는 총거리를 나타내며, 이때 "전방 정지부"는 완충부위를 포함하여 지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력을 받는 중량×스프링 탄성력×순환거리의 곱은(0.51)2×0.5g±5%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리쇠 개방 위치에서 발사되도록 하고 있다. 편의상, 노리쇠 수단은, 왕복운동 가능한 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의해 운반되는 노리쇠로서 구성된다. 보통, 노리쇠는 노리쇠 운반조립체에 대해 정해진 거리위를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노리쇠/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후퇴방향 구동시켜 주구동 스프링을 압축시키기 위해, 노리쇠 운반조립체는 총렬과 함께 전방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되어 총렬 가스구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스구는 피스톤을 갖고 있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은 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접촉하며 노리쇠 운반조립체에 후퇴방향 운동량을 주도록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주구동 스프링은 전방으로 상기 실린더에 인접하고 후방으로는 수납부 뒷벽과 인접해 위치하고 있는 안내 수단상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안내 수단의 후퇴 위치는 수납부 뒷벽의 내부에 놓여지며, 수납부 뒷벽의 외부는 개머리판과 접촉관계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한 단부를 향해 연결된 총열, 상기 수납부의 뒷벽수단에 대해 상기 수납부의 대향 단부에 연결된 개머리판, 상기 총열과 상기 뒷벽수단 사이를 왕복하고 상기 수납부안에 내장된 노리쇠 수단과, 뒷벽 수단을 향해 노리쇠 수단을 구동시키는 가스수단을 포함하는 가스작용식 자동 및 반자등 총이 제공되고, 노리쇠 수단과 가스수단은 노리쇠 수단이 상기 뒷벽수단과 충돌하지 않도록 정렬된다. "전진" "후퇴" 및 유사한 부사구들은 여기서 총구에 관련되어 사용되며, 따라서 예를들면 개머리판은 총구의 후방 혹은 후퇴 위치에 놓여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가스 작용식 자동총은 수납부(1)을 갖고, 수납부(1)의 뒷벽(100)에는 개머리판(2)가 연결되어 있고, 수납부(1)의 개머리판(2) 반대펀 단부에는 총렬(10)이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11)은 나사 및 너트에 의해 수납부(1)의 밑에 연결되며, 앞손잡이(12)는 총렬(10)의 밑면에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11)은 방아쇠 조립체(73)을 둘러싸는 방아쇠(72)을 통해 수납부(1)에 연결되며, 방아쇠 조립체(73)은 봉(731)주위로 선회할 수 있는 원호형의 손가락으로 당기는 방아쇠(730)을 갖고, 방아쇠(730)은 방아쇠 내의 막힌 구멍속에서 작용하는 스프링(732)에 의해 편항되며, 스프링의 한 끝은 막힌 구멍의 내부에 대항하며 다른 끝은 수납부에 대해 고정된 방아쇠 스프링 보지기(733)에 대항해 있다. 방아쇠(730)의 뒷쪽 윗면(735)는 통상적으로 설치된 시어 조립체(7)에 대항해 작용하며, 시어 조립체(7)은 수납부의 대향 측면들을 관통하고 있는 횡단 봉(701)상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시어(700)는 시어내의 함몰부(703)과 수납부 밑판상의 받침(704)사이에 위치한 압축 스프링(702)에 의해 비발사 위치로 편향된다.
노리쇠 운반 조립체(3)은 수납부내의 레일(101)상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레일(101)과 접촉하기 위한 적당한 형상을 하고 있는 블록(300)으로 구성되며, 이 블록내에 수직 어 잠금러그(325)가 고정되어 있되 총의 길이 축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있다(제1도에는 하나 만이 도시되어 있다). 블록(300)의 윗면에는 용접등에 의해 "P"형상의 단면을 갖는 시이트 부재(201)가 고정되어 있고, 그 형상은 말하자면 "P"자를 눕혀 놓은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P"헝상에서 둘러싸인 즉 폐쇄된 부분의 내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반동력 억제중량(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으며, "p"형상중 폐쇄되지 않은 부분에 인접해 길이방향으로는 주 구동 스프링 조립체(302)가 배치되어 있다. 설명의 편이를 위해, 주 구동 스프링 조립체(302)는 도면에서 총의 축방향 중앙선에 위치한 듯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총의 전방으로 바라볼때 중앙선의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음을 언급하는 바이다. 주 구동스프링 조립체(302)는 원형단면의 안내 봉(303)을 가지며, 안내봉(303)은 끝부분(304),(305)를 갖고 양끝의 중간 부분에는 평행면(306)이 있다. 안내봉(303)위에는 주구동 스프링(307)이 끼워져 있다.
"P"형상의 부재(301)의 단부에는, 블록(300)에서 떨어져, 함몰부(309)를 갖는 금속 통(308)이 있으며, 이 함몰부(309)내로 스프링(307)이 위치하며, 금속통(308)의 원형단면을 갖는 다른 함몰부(310)내에는 안내봉(303)의 단부(304)가 접동가능하게 수용된다. 금속통(308)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주 구동 스프링(307)의 다른 단부에는 고리(311)이 핀(312)에 의해 안내봉(303)에서 고정되며, 이 고리(311)의 목적은 스프링의 단부를 보지하며 안내봉(303)의 뒷 단부를 수납부 뒷벽(100)상의 러그(102)상에 지지하려는 것이다.
핀(312)는 수납부 측벽내의 홈을 통해 연장되어 있어서, 핀(312)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고리(311)이 러그(102)로 부터 떨어지지 않는한, 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뒷벽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총렬의 길이 축상에, 그리고 불록(300)의 내부에는 공이(313)이 압축스프링(314)에 의해 후퇴위치로 편향되어 있으며, 공이의 이동 범위는 핀(316)과 협동 작용하는 공이내의 홈(315)에 의해 제한되며, 스프링(314) 및 핀(316)은 본질적으로 공이의 제거를 위해 설치되어 있다.
공이의 앞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노리쇠(317)은 블록(300)내부의 총렬길이 축상에서 접동적으로 회전가능하며, 따라서 운반조립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노리쇠(317)에는 통상적으로 캠핀(318)이 설치되고, 이 캠핀(318)은 공지된 방식대로 블록(300)내의 캠 슬로트(도시되지 않음)와 협동 작용한다. 또한 노리쇠(317)에는 통상적 방식대로 방출기 핀(319)가 총렬길이 축에 대해 왼쪽으로 벗어난 위치(전방으로 바라보아)로 설치되어 있고, 이 핀(319)은 코일 스프링(320)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핀(319)의 전진이동 범위는 핀(319)의 홈속에서 작용하는 정지구(321)에 의해 제한된다. 노리쇠(317)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집게발을 갖고 있는데(이것은 전진방향으로 바라보아 길이축 중앙선의 우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동작시 총렬 연장부(110)내에 위치한 약실(109)로부터 탄약을 제거하기 위해 탄약의 기부홈과 맞물리게 된다.
총렬 연장부(110)의 뒷단부에 있는 잠금 러그(111)는 노리쇠(317)상의 대응하는 러그(322)사에에 끼워지며, 캠핀(318)의 그 상호협동적 슬로트내에서 작용으로 노리쇠가 회전할 때 잠금러그(111)은 노리쇠 러그(322)를 러그(111)과 맞물리도록 잠그게 되어, 노리쇠(317)이 후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공급경사부(114)는 총렬 연장부의 내부밑면 부근에 설치되어 실탄이 약실(109)로 원활히 들어가도록 한다. 총렬 연장부(110)은 총렬상의 외부나사산(112)에 의해 총렬(10)에 고정되며, 블록(113)에 의하여는 수납부(1)에 연결된다.
총렬(10)을 따라 정해진 거리에는 후방으로 경사진 가스구(900)을 갖는 가스장치(9)가 있는데, 가스구(900)는 가스 실린더(901)에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901)내에는 피스톤(902)가 작동한다. 가스 실린더(901)은 통상적인 가늠자 조립체(95)와 금속통(904)사이에 설치되며, 금속통(904)는 가스실린더(901)을 수납부(1)과 정렬되도록 해준다.
압축 스프링(903)은 피스톤(902)를 가늠자 조립체(95)를 향해 전방으로 편향시킨다. 안내봉(303)은 총렬 연장부전방으로 연장되어서 단부(304)가 금속통(904)에 인접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최종 전진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902)는 "p"형상 부재(301)의 전방 단부통(308)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총은 또한 뒷 가늠자(96)과, 수납부의 우측에 설치된 운반 손잡이(97)(간략히 도시했음)와 총검꽂이(98)과, 소염기(99)와, 탄창(4)를 포함하며, 탄창에서 부분적 점선으로 탄약(499)가 공급영역(103)내로 들어가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상의 항목들은 통상적인 구조일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총은 공이 치기 잠금 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전방으로 바라보아 수납부 좌편에 위치하여 노리쇠/노리쇠 운반 손잡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노리쇠 개방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는데, 총의 공이치기가 당겨지고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리그(325)와 맞물리는 시어(700)에 의해 후방으로 물러나 있는 그러한 위치에서 공급구초과 이동거리는 실탄의 전장(이후에 정의됨) 보다 훨씬 작게된다.
제1도에 도시된 위치에서의 동작에 있어서, 방아쇠(730)은 스프링(732)의 힘에 대항해 후방으로 당겨져서 면(735)가 봉(731) 주위로 시계방향 회전하여, 그 결과 시어(700)가 스프링(703)의 압축력에 대항해 기울어지게한다. 시어(700)가 기울어짐에 따라, 러그(325)를 이완시키고 이로써 주구동 스프링(307)을 압축시킴으로 발생된 장력에 의해 전진 구동되어 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이완시킨다. 노리쇠 운반 조립체(3)가 총력 연장부(110)을 향해 전진 이동할때, 노리쇠의 하단 주연부는 탄창(4)으로부터 실탄(499)을 끌어내고 계속 이동하여 실탄(499)이 총렬연장부(110)에 있는 공급경사부(114)위로 올라가게 해서 결국 실탄을 약실(109)에 장전시킨다.
그러나, 노리쇠 러그(322)가 총렬 연장부 러그(111)들 사이에 끼이게 됨에 따라, 노리쇠 러그(322)의 회전을 막기 위해 노리쇠 러그(322)와 정상으로 맞물러 있는 잠금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어떤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서 노리쇠를 이완시키고 (즉, 풀고), 따라서 노리쇠가 캠핀(318)에 의해 캠슬로트를 따라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노리쇠(317)의 회전은 노리쇠의 러그(322)가 회전하여 총렬 연장부(110)의 러그(111)과 결합, 즉 잠기게 하며, 따라서 노리쇠(317)이 후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잠근다. 따라서, 탄약(499)는 약실내로 고정되며 방출기 핀(319)는 뒤로 밀리며, 노리쇠 운반 조립체(3)의 계속된 전진 운동으로 공이(313)은 탄약의 뒤로 이동하며, 이로써 탄약의 장약을 점화시킨다. 그러면, "p" 형상 부재(301)의 통(308)은 단부(304)의 선단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게 된다.
탄약이 발사될 때, 가스압력이 발생되며, 탄환이 가스구(900)를 통과 함에 따라 고압 가스는 가스구(900)에 유입되어 실린더(901)내에서 팽창된 실린더(901)내의 양력은 피스톤(902)을 후방으로 구동하며, 이때 피스톤(902)은 정상적으로 안내봉상의 통(308)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공차로 인한 약간의 간격이 있을 수도 있지만), 통(308)은 후진 구동되어 주 구동 스프링(307)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902)의 이동거리는 노리쇠 운반조립체(3)의 이동 거리보다 작으며, 피스톤은 쇼울더에 부딪혀 정지되나 노리쇠 운반조립체는 가스 장치에 의한 가속 기간중에 자체 질량에 저장된 추진력 에너지에 의해 계속적으로 후퇴이동함을 주목해야 한다. 탄환이 총렬을 떠나가는 순간 총실내의 가스 압력은 소멸되기 때문에, 가스 실린더(901)에 유입되는 가스의 위치와 양은 세밀히 조정되어야 한다.
노리쇠 운반 조립체(3)의 후퇴 이동으로, 즉 캠 슬로트는 캠핀(318)이 캠 슬로트를 다시 횡단하게 하여, 이로써 노리쇠 러그(322)를 회전시켜 총렬 연장부 러그(111)로부터 잠김을 풀어준다. 계속적인 노리쇠 운반조립체의 후퇴 이동으로 노리쇠(317)이 후퇴하고, 이로써 노리쇠에 실려있는 탄피 추출 갈퀴(도시되지 않음)가 잠김 위치에 있을때에 탄피의 홈을 물고 있다가 이때 후퇴하며 탄피를 약실(109) 밖으로 끌어낸다. 노리쇠 운반 조립체(3)이 계속적으로 후퇴 이동함에 따라 탄피는 수납부 우측의 방출기 슬로트(도시되지 않음)에 정렬된다.
방출기 핀(319)는 탄피 길이축의 좌측에 치우쳐 있고 노리쇠의 갈퀴는 탄피의 우측을 붙들고 있어서, 스프링(320)의 스프링 장력과 조합하여 핀(319)는 전진 구동되면서 탄피를 방출기 슬로트로부터 방출해 버린다.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계속적인 후퇴 이동으로 탄창속의 맨 윗 탄약을 꺼내고, 러그(325)를 시어(700)의 뒤쪽 너머로 이동시켜서 이로써 다시 총의 공이치기를 뒤로 당겨 잠그게 된다.
자동 발사주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리쇠의 스트립핑 쇼울더가 공급 지역에서 탄약의 뒷면을 지나 이동하는 거리는 본 실시예에서는 1.8×실탄의 전장으로 정해지는데, 실탄의 전장은 실탄을 한정하고 있는 총의 탄창내부의 앞면과 뒷면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초과 이동거리는 실탄·전장의 1.8배인데, 종래에는 어떠한 가스 작동식 총도 이동거리가 실탄 전장의 0.8배를 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고 있는 여분의 초과 이동거리는 이후에 설명될 바와 같이 총에 여러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방아쇠(730)이 계속 눌러지는 한, 이상의 주기는 계속 반복되어, 결국 방아쇠가 놓여져서 시어(700)가 러그(325)와 재결합하든가, 혹은 탄약이 다 떨어지든가 할 때까지 계속 되다가 정지하며, 탄약이 다 소모된 후계속 방아쇠를 당기면 노리쇠는 총렬연장부에 잠겨진 채 주기를 끝내게 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을 설명하면, 노리쇠 운반 조립체(3)은 주 구동스프링(307)의 작용만으로 감속되며, 종래의 공지된 가스 작용식 자동총과는 달리 본 발명의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수납부 뒷벽(100)과 춤돌하지 않는다. 또한 M16등의 병기의 전술한 완충부위는 설치되지 않는다.
마찰, 총력, 열, 가스 장치 누설 및 탄약 성능의 불균일등 가능한 여러 변동 사항들을 수용하기 위해 모든 공지의 가스 작용식 자동총들도 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과(過) 구동(over drive)하고 있고, 다른 말로 하면 가스 장치는 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이 조립체를 만약 공급지역너머로 이송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 이상의 과다한 후진 에너지를 주는 것, 즉 공급구 초과 이동이 제공된다. 공급구 초과이동을 제공함에 있어, 모든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은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공급지역을 초과이동한 후 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어느 방법으로 든 수납부 뒷벽과 충돌하게 하여 이 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정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부위를 설치하여 충격을 줄이려는 시도가 있으나, 어쨌든 기계적인 충돌이 발생된다.
총이 오염되거나, 가스 장치가 누설되거나, 혹은 탄약이 약하거나 할 경우에도,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공급 지역을 초과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갖게하기 위해 과잉의 에너지가 요구된다. 다른 한편, 총이 청결하고 기름칠이 잘되고 있고, 가스 누설이 최소이고, 탄약의 힘이 충분하다면, 공지의 총에서 과잉 에너지로 인헤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수납부 뒷벽과 충돌할 때 강한 충격을 주게 된다. 모든 상태하에서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탄약 공급 지역으로 초과이동하며, 총이 모든 악조건하에서도 신뢰성 있게 작동해야 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탄약 추진력의 2분의 1에 해당되는 추진력으로 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후퇴이동시키며, 이것은 최상의 조건뿐 아니라 최악의 조건하에서도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공급구의 뒤를 초과해 이동할 충분한 과잉의 에너지를 제공하며, 긴 초과 이동거리와 주구동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전달된 에너지를 흡수한다.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에너지는 주 구동 스프링에 의해 흡수되어,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수납부 뒷벽에 부딪하기전에 주 구동스프링에 의해 감속되어 정지된다.
전술한 상황이 제2a도,제2b도,제3a도,제3b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2a도에는 최대 반동력 상태에 있는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노리쇠 운반 조립체(3')는 다음 실탄(499')의 공급을 허용하기 위해 수납부 뒷벽(100')과 충돌한다. 만일 공지의 총에서 최대의 반동력으로 수납부 뒷벽(100')을 치지 않는 다면, 다음 탄약을 공급할 초과 이동이 불충분하게 되어, 이로써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잘못된 공급이 일어나게 된다. 부가적으로,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노리쇠 조립체에 후진방향의 과다한 에너지가 공급되면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큰 에너지로 수납부 뒷벽에 충돌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다음 실탄이 적절한 공급 위치로(탄창으로부터) 올라오는 시간이 줄어들어, 다시 잘못된 공급이 일어나게 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실탄의 전장 이상의 공급구초과 이동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3a도에서 본 발명의 최대 반동력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노리쇠 운반 조립체(3)는 수납부 뒷벽에 충돌하지 않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며 : 제3b도에서는 악조건하에서의 최소 반동력 상태를 도시하며, 이때 비록 초과 이동거리가 본 발명에 따른 초과 이동거리보다 짧지만 다음 실탄을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초과이동을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수납부 뒷벽과의 충돌도 없다. 본 발명에서, 과잉의 초과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총은 마찰력의 44%증가, 혹은 44%의 가스 에너지 절감을 가지면서도 총의 주기를 수행하고 다응 탄약을 공급하는테 충분한 초과이동을 갖는다는 기능상의 광범위성을 갖는다. 이러한 광범위성은 이전에는 성취할 수 없었던 것이며, 더우기 수납부 뒷벽에는 아무 충격도 없다.
초과 이동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또 다른 이점은, 탄창(즉, 탄알집)속의 실탄이 공급위치로 올라오는데 충분한 긴 시간이 주어진다는 것이며, 이것은 주어진 스프링 힘 아래서 더 많은 갯수의 실탄이 탄창에 저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측면에서, 탄창은 보통 탄약이 노리쇠운반 조립체에 의해 옮겨지는 협로(峽路) 위치(throat position)를 가지며, 스프링은 탄창내의 실탄을 협로위치로 억압한다. 협로 위치에는 보통탄약이 축방향으로만 빠지도록 허용하는 1조의 립(lip)이 있으며, 즉 탄약은 탄창으로부터 노리쇠 전진방향으로만 미끄러져나갈 수 있으며, 작동시 노리쇠는 효과적으로 탄약을 립으로 부터 빼낼 수 있다. 따라서, 탄창의 스프링은 노리쇠가 당겨지교 다시 탄약을 약실에 장전하게 위해 전진이동하기 이전에 맨위의 실탄을 노리쇠 전진로 상에 올려줄 수 있도록, 탄창의 모든 실탄들을 충분히 밀어올려야 한다. 노리쇠가 복귀하기 이전에 공급구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탄창의 수용능력은 더 클 수있다.
물론, 탄창의 스프링의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탄창 수용능력을 증가시킬수 있지만, 이것은 마찰력의 증가로 인해 노리쇠가 끌리게되는 부작용을 낳는다. 더우기, 탄창 스프링 힘이 강할수록, 스프링에 인가되는 응력도 증가되어, 탄창이 가득담겼을 경우 스프링에는 탄성 피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과잉의 공급초과 이동을 제공하는 이점들들이 제4a도 및 제4b도에서 통상적인 가스 작동식총과 비교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노리쇠 운반 조립체(3')를 최종 후퇴 범위에서 수납부 뒷벽(100')과 접촉하고 있다. 특히 제4a도에서, 노리쇠 운반조립체는 E=1의 에너지를 받은 것으로 가정되었고, 수납부 뒷벽에 접촉한다. 순환시간은 T=1이다. 이제4b도에서, 노리쇠 운반조립체(3')에 주어진 에너지는 E=3으로 증가되었으며, 이경우 수납부 뒷벽과 충돌하기 때문에 노리쇠운반 조립체는 뒷벽으로부터 되튀겨서, 결과적으로 총 순환시간은 T=
Figure kpo00005
-
Figure kpo00006
=0.32이다.
이 경우,
Figure kpo00007
은 총돌이 얹었을 경우의 이동시간이고,
Figure kpo00008
는 이용가능하지 않은 이동거리로 인한 시간 손실을 나타낸다.
노리쇠 운반체가 뒷벽에 충돌할때, 에너지가 더 크면 순환 시간이 더 짧아지나, 충돌이 일어나지 않으면 에너지의 증가는 순환 시간의 증가를 가져온다. 이중 후자가 매우 유리하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4가지 중요한 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돌이 없어지면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일정한 반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비록 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의한 뒷벽과의 충돌이 없다는 사실이 그 자체로서"일정한 반동력"을 약속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단 뒷벽이나 완충부위가 충격을 받게되면 그런 가능성은 사라진다.
둘째, 순환시간이 증가하면 자동 격발 속도가 감소하며, 이것은 또 다시 반동력의 평균치를 직접적으로 감소시켜, 따라서 총의 제어능력, 즉 정확성을 증가시킨다.
세째, 순환시간의 증가, 특히 공급시간의 증가는 탄창의 수용능력을 증가시키는 기회를 제공하며, 따라서 총의 화력을 증가시킨다.
네째, 에너지의 증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다양한 조건하에서 총이 정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며, 총이 먼지로 오염된 경우에도 증가된 에너지로 인해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정상작동한다. 역으로, 총이 청결하고 잘 기름쳐 있는 경우에는, 과잉의 에너지는주 스프링 이 총의 기능수행에 필요한 길이보다 조금더 압축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총은 여러 다양한 상태하에서 더욱 신뢰성이 있게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가지 언급할 점도, 탄창 공급시간을 제외하고 총 주기의 다른 모든 기계적 기능의 신뢰성은, 충돌이 있던 없던간에, 일반적으로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지만, 이런 것들은 만일, 총 주기의 연속성에 관련해 다른 기능들에 비해 못지 않게 중요한, 탄약 탄창 공급시간이 감소되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를 갖지 못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주어진 스프링 탄성력과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질량하에서, 순환시간과 에너지를 노리쇠 운반조립체가 수납부 뒷벽과 충돌하지 않으며 증가시키는 길은 오직 노리쇠 운반체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뿐 임을 이해할 것이다.
순환 시간에 관련하여 노리쇠 운반체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킨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이점은 제 제5a도,제5b도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제5a도에서 노리쇠 운반조립체에는 E=1의 에너지가 주어졌으며 순환시간은 T=1이다. 제5b도에서, 노리쇠 운반 조립체에서 주어진 E=3의 에너지는 단순히 노리쇠 운반체가 더 먼거리를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수납부 뒷벽(100)과는 충돌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E=3의 효과는 단순히 순환시간이 T=
Figure kpo00009
=1.732로 증가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공지의 총에서는 에너지가 증가하면 순환시간이 줄어서 탄약이 공급지역으로 올라올 시간이 감소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순환시간만이 증가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에 비해 더 긴 초과 이동거리를 갖는다는 점과,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수납부 뒷벽과 충돌하지 않게되어 있다는 사실의 조합으로 인해, 본 발명은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에 비해 여러 이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의 동작 이론이 이제 기술되겠지만, 본 발명의 유용성과 유익들은 이제 기술된 이론의 정확성에 의존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 나, 다음의 이론은 옳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믿어진다.
총이 발사될 때, 그 반동력은 힘×시간으로 주어지는 탄환의 순간 추진력과 같다. 그러나, 이것은 총과 탄환이 같은 에너지를 갖는 다른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데 왜냐면 만일 총이 탄환의 무게의 천배 무겁다면 총은 탄환의 에너지의 천분의 일을 가져야 하지만 실제로는 같은 순간 추진력을 갖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하면, 무거운 물체에 높은 순간 추진력을 주는데는 아주 작은 에너지 만으로도 된다는 것이다.
만일, 발사순간에, 총에 갑자기 탄약의 순간 추진력과 같은 순간추진력을 전방으로밀어준다면, 아무런 반동력도 없을 것이고, 총이 노리쇠 작용총과 같이 견고한 고정된 구조를 가졌든지 혹은 반동작동식 총에서와 같이 총렬이 자유로이 반동할 수 있든지 간에 상관 없을 것이다. 이것은 왜냐하면 총 사용자에게 아무 운동이나 힘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이 전진방향으로 미는 것이 무거운 물체에 의해 총에 전달된다면 아주 작은 에너지만이 요구될것이다. 실제로 모든 가스작용식 총에서는 갑작스런 전진방향으로 미는 힘이 2가지 발생되는데 ;
첫째, 노리쇠가 총렬 연장부에 충돌해 총렬을 전진 구동시키는 것과,
둘째, 탄환이 총렬내의 가스구를 통과할때 고압가스는 가스 실린더에 유입되어 피스톤을 구동시키고 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뒤로 가속시키고, 동시에 총렬을 전진 방향으로 민다.
노리쇠 운반 조립체(3)은 견고한 고정된 구조의 일부가 아니며, 후방으로의 임의의 순간 충격도 주 구동 스프링(307)을 통해 총으로 천천히 전달될 수 있음은 매우 중우한 사실이다. 만일 이상 언급한 총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2가지가 추진력과 같은 순간 추진력을 갖는다면, 발사순간 발사자에게는 아무런 반동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것이다. 그대신, 후퇴하는 노리쇠 운반 조립체에 저장된 추진력은 주 구동스프링을 통해 발사자에게 서서히 전달될 것이다.
제6a도에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총이 노리쇠 개방 위치에서 자동사격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노리쇠운반체(3)은 가스피스톤(902)에 의해 발사추진력의
Figure kpo00010
에 해당하는 후퇴 방향 추진력을 받았다고 가정하면, 이때 I는 추진력이고, 주 구동 스프링 힘은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후퇴 이동에 저장된 에너지를 극복할 만큼 충분하고, 따라서 구동 스프링(307)의 힘으로 인해 노리쇠 운반체는 다른 것에 충돌하기 전에 천천히 정지한다.
이제 제7a도를 보면, 시간(T)의 가로축에 대한 반작용력(R)과 역-반작용력(CR)의 세로축의 도표가 도시되어 있다. 파단선(S)와 좌측으로는 총 주기가 2번 나타나 있고, 우측으로는 새로운 주기가 시작되고 있어서 일정한 미는 힘이 0.5 I의 스프링(307)에 의해 수납부 뒷벽 (100)상에 인가되고 있다.
주 구동스프링(307)은 일정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0.5 I의 힘은 계속 일정할 것이고, 그 결과 노리쇠 운반 조립체(3)가 총렬 연장부(110)와 충돌할 때,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0.5 I의 순간력이 스파이크 모양의 역 반동력으로 전진 방향으로 가해진다. 그러면 약실의 실탈(499)는 발사되어 1 I의 추진력을 전진 방향과 후퇴방향 두방향으로 모두 인가하나(제 6c도와 같이), 총렬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진방향 추질력은 탄환에만 전달되고 총에는 전달되지 않으며, 1 I의 후퇴방향 추진력은 잠겨진 노리쇠를 통해 수납부에 전달되어 그 결과 수납부 뒷벽(100)은 제7c도에 위로 향한 스파이크 모양으로 도시한 1 I의 반동력을 갖는다. 탄환이 가스구(900)을 통과하면 가스는 가스 실린더(901)에 유입된다. 가스 실린더내의 가스 압력은 가스 장치의 치수를 적절히 정함으로써 전진 방향과 후퇴방향으로 둘다 0.5 I의 순간 추진력을 인가한다(제6d도 참조). 그러나, 노리쇠 운반 조립체(3)와 주 구동스프링(307)조합은 후퇴방향 추진력을 전달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첫번째 효과를 총에 0.5 I의 전진방향 추진력으로서 감지되어, 이로써 총발사 순간 1 I의 총 반작용 순간력은 절반으로 감소되며, 이로써 전술한 바 있는 가스 작용식총에 있어서의 "부드러운"충격작용이 제공되게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제7d도에 도시한 제6d도에 대한 순간력 도표는 0.5 I의 역-반작용력 스파이크를 도시한다.
제6e로 위치의 노리쇠 운반조립체는 후퇴방향 이동하고 있는데, 탄환이 총렬을 떠남에 따라 전진 방향 가스 추진력은 소멸되어, 이제는 가스 피스톤(902)에 의해 가해지는 후퇴방향 순간 추진력 0.5 I는 노리쇠 운반 조립체(3)에 의해 주 구동 스프링(307)을 통해 수납부 뒷벽(100)에 전달되어, 제7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0.5 I의 순간 반동력이 비교적 일정한 힘으로 수납부 뒷벽에 인가된다. 주 구동 스프링은 후진 이동하는 노리쇠 운반조립체의 운동을 감속시킬 수 있는 충분한 편향 위치와 편향력을 가지고 있어서, 노리쇠 운반체가 뒷벽(100)을 치기전에 정지시킨다. 한주기전체를 다시 한번 나타내는 제7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약발사 순간 반동력 1 I (제6c도 및 제7c도)는 이것과 거의 동시에 일어나는 2개의 순간 반동력 0.5 I (제 6b도,제7b도 및 제6d도,제7d도)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한 주기 전체(S부터 S1까지)에 걸쳐서는 0.5 I-0.5 I +1 I-0.5 I+0.5 I =1 I의 평균 충격력 1 I가 노리쇠 운반조립체의 주기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나타나게 되며, 즉 발사 추진력 1 I 및 2개의 역-반동력 스파이크 0.5 I와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따라서, 수납부 뒷벽(100)에는 거의 일정한미는 힘이 가해지고 이것이 또한 총 발사자에게도 그대로 가해진다. 따라서 총 발사자는 거의 일정한 반동력을 받게된다. 반동력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총의 제어능력이 향상되어 총의 조준이 개선되고, 총에는 더 이상 종래의 가스작용식총에서 발생되었던 비균형된 추진력 스파이크가 없게된다. 이런 측면에서, 제8a도 및 제8b도를 살펴보면, 제6a도-제6e도 및 제7a도-제7e도와 유사한 그러나 동일하지는 않은) 부품을 갖고 있는 공지된 가스 작용식총이 도시되어 있는데, 노리쇠 운반 조립체(3')는 제6e도 및 제7e도의 위치에 있다.
통상적인 노리쇠 운반 조립체(3')와 구동 스프링 (307')은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의 공식 (이후에 정의됨)에 따라 설계되어 있지 않아서 노리쇠운반 조립체는 수납부 뒷벽(혹은 완충부위)과 충돌한다. 제8b도에서 S-S1선 사이에 전체 주기가 앞의 2번의 주기에 이어서 도시되어 있다. S에서 주기의 시작을 개시하여 노리쇠 운반 조립체(3')는 탄약 추진력에 의해 수납부의 뒷 벽(100')과 충돌할 것이며, 따라서 수납부 뒷벽에는 반동력 스파이크(A)가 발생한다. 일정하다고 가정된 스프링 힘에 의해 노리쇠운반 조립체는 전진 이동하여 총렬 연장부를 친다. 일반적으로 0.5 I 이하의 역 반동 순간력(pulse)이 발생되고, 다음에 탄약이 발사되어 1 I의 반작용 반동 순간력이 발생되고 0.5 I 미만의 후속 역 반동 추진력이 가스 실린더(901')내의 가스 팽창에 의해 발생된다. 피스톤(902')에 의해 노리쇠 운반 조립체는 후진 구동되고, 다시 스프링의 힘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된다. 종래의 순환거리와 탄성력을 받는 중량과 스프링 탄성력의 치수의 조합에 따르면(이전에 정의한 바 있음), 노리쇠 운반조립체(3')는 수납부 뒷벽과 충돌해 반동(전방)방향의 스파이크를 발생시킨다.
제9도에서, 본 발명의 첫째 국면에 따른 다수의 주기에서의 효과가 연속된 선으로써 도시되는데, 이는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거의 일정한 미는 힘을 수납부 뒷벽에 가하기 때문이다. 반면, 종래 기술의 가스작용식 총은 일련의 반동 스파이크들을 수납부 뒷벽에 발생시키며 이 모습이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두가지 경우 모두에서 도표의 실선아래 면적은 1주기당의 순간 1 I를 나타내지만, 제10도에서 순간력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총의 제어능력의 손실을 가져온다. 수납부 뒷벽을 일정하게 미는 힘은 또한 "일정한 반동력"으로 지칭될 수 있는데, 이는 반동력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다음과 같은 사실의 이해에 근거를 두는데, 이는 절반의 추진력만 있으면 가스 피스톤의 동작,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후진이동,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전진 이동 및 총렬 연장부에 충돌 등에 필요한 정확한 추진력이 충족된다는 사실이다. 이에 관련된 공식은 총의 설계에 중요한 항목들로써 표현되는데, 하나의 알려진 값, 즉 탄약 추진력과 3개의 미지수, 즉 노리쇠 운반체의 순환 이동 거리(즉, 주기 이동거리, 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감속 및 가속하는 스프링 탄성력 및 노리쇠 순환 조립체의 "탄성력을 받는 중량"을 사용한다.
이 공식은 "일정한 반동력"의 근거를 제공하며, 이 "일정한 반동력"은 노리쇠 운반 조립체가 수납부 뒷벽에 충돌하지 않아야만 실현될 수 있으며, 이것 또한 과잉의 공급구 초과 이동이 제공되어야만 실현되는 것이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노리쇠 운반 조립체의 초과이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스프링 탄성력에 여분의 에너지를 제공해야 하나, 초과 에너지가 사용되면서 동시에 노리쇠 운반체가 그 에너지를 팽창시킬 수 있는 초과이동 거리가 제공되지 않으면, 충돌이 발생되고, 총의 제어능력과 신뢰성과 화력의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신뢰성과 화력은 노리쇠 운반체의 에너지(E)에 의존되며, 제어능력은 에너지와 탄약 추진력 둘다에 의존된다. 탄약 추진력(I)와 노리쇠 운반체 에너지(E)는 하나의 공식으로 결합되는데, 이 공식은 다음 단계를 거쳐 일정한 반동력의 근거를 제공한다.
제1단계 : 추진력(I)의 운동 방정식은
Figure kpo00011
이고, 에너지(E)의 방정식은
Figure kpo00012
이며, 이때 W는(이전에 언급된 바 있는) 탄성력을 받는 중량, G는 중력 가속도, V는 노리쇠 운반조립체 속도이다.
에너지(E)의 중요성은 이것이 순환거리(D)×스프링 탄성력(F)의 곱과 같다는 것이다(D. F 둘다 이전에 정의되었음). 따라서, E의 식은
Figure kpo00013
로 나타내진다.
제2단계 : V와 I를 대입하면, E식은
Figure kpo00014
로 결합된다.
제3단계 : 추진력의 절반만이 요구되므로,
Figure kpo00015
로 된다.
제4단계 : 이 식은 결국 순환거리×탄성력×탄성력을 받는 중량=(0.5I)2×0.5g로 된다.
제5단계 : 공지된 탄약 추진력(본 실시예의 경우 표준 5.56×45mm 탄약에서 약 0.597kp-secs)을 사용하여 , D×F×W=(0.5×0.597)2×0.5×9.81 = 0.437meter.KpKg…(1)
(D의 단위는 미터(meter), W는 kg, 탄성력은 kg-중으로)
제6단계 : 3개의 미지수에 대해 D×F×W의 조합을 합리적인 총 모양에 적합하도록 제한시킨다. 이 공식을 임의의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에 적용시켜 보면, 본 발명의 둘째 국면을 위한 DFW의 값은 공지의 가스 작용식 총에 비하여 훨씬 높아야함이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조합은 0.17미터의 순환거리, 0.499kg의 노리쇠 운반체 중량이다. 따라서 (1)식에서 스프링 탄성력은 5.154kg 중=5.154×9.81Newton=50.561Newton 이다.
이상과 같은 값을 갖는 시범총을 제작하여 대표적인 종래의 총과 대비 시험발사한 결과, 시범총이 2.3 : 1로 적중률이 높아졌다.
비록 이제까지 본 발명은 손으로 쥐는 총에 대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항공기 또는 더 큰 구경을 갖는 총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공이치기 해머가 없는 총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자동발사 주기시 노리쇠 폐쇠 위치로 발사되며 첫 발이 발사된 후에는 노리쇠 운반체가 노리쇠 개방위치에서 이동한다고 말해질 수 있는 공이치기 해머작동식 총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해머 작동식 총은 선택적으로 반작용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완전자동식 가스 작용식 총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비록 완전자동식 가스 작용식 총에서 본 발명의 둘째 국면의 공식에 의한 제어능력의 개선이 가장 잘 효과를 발휘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국면(둘째 국면)에 관한 이론적 배경에 관한 정보를 이제 기술하겠다.
반동 작용식 총에서 주기 순환질량은 노리쇠와 총렬의 조합된 중량이다. 블로우-백 작용식총에서의 주기 순환 질량은 노리쇠 중량이다. 가스 작용식 총에서 주기순환질량은 주스프링에 의해 전진 구동되는 모든 부품들의 중량이다.
반동 작용식 및 블로우 백 작용식 총을 둘다 "일정한 반동력"(자동사격 중의 일정한 반동력)을 얻기 위한 동일한 원리를 사용한다. 반동 작용식 또는 블로우 백 작용식 총에서 주기 순환 질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총이 발사되면 순환질량은 후퇴방향으로 가속되어 그 추진력(질량×속도)의 탄약추진력과 같게될 때까지 후진한다. 이 결과로 원치 않은 일정치 않은 반동력이 생긴다. 이상적으로는 이 질량은 탄약 추진력의 절반의 추진력으로 후퇴 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탄약은 질량이 아직 전진 이동하고 있는 도중에 발사된다. 만일 전진 이동하는 질량의 속도가 탄약 추진력의 절반과 같으면, 탄약의 추진력의 절반은 질량을 전진시키는데 소비되고 나머지 반의 추진력으로 질량을 후퇴이동시키게 된다.
질량은 전진 이동하는 도중 총의 고정된 구조와 충돌하는 일이 결코 없을 것이며, 만일 총에 충분한 이동 공간과 스프링 힘이 있다면 질량은 서서히 감속되며 후퇴하여 뒷벽을 충돌하지 않고 정지할 수 있게된다.
이같은 조기 발사의 원리는 공인된 오칭(誤稱)인 "반동력 상쇄"라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불리운다.
탄약의 모든 반동 추진력은 아직도 총의 고정된 구조에 전달되지만, 이 반동력은 전체주기 시간에 걸쳐서 균등히 분포된다. 고정된 구조에 아무런 충돌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동 질량의 동적 추진력(질량×속도)은 스프링 힘에 의해 총에 전달되어 정적 추진력(탄성력×시간)으로 변화된다. 만일 질량이 절반의 추진력으로 후진을 시작한다면, 질량을 정지속도로 감속시키기 위한 탄성력×시간을 스프링이 이 질량을 전진방향으로 절반의 추진력에 이르기까지 가속시키는데 요구되는 것과 동일한 탄성력×시간이 된다.
스프링의 탄성력은 후진이동하는 질량을 감속시킬 때 총의 고정된 구조물을 밀게되며, 또한 질량을 전진방향으로 가속시킬 때도 구조물을 밀게 된다. 따라서 총의 고정된 구조물은 질량이 후퇴 이동하는 동안 절반의 추진력을 받게 되며, 질량의 전진 이동할 때 나머지 절반의 추진력을 받게 되어, 결국 반동력×시간인 하나의 추진력 전체를 받게 된다.
가스 작용식 총에서 반동 작용식과 블로우 백 작용식 총에서와 같은 추진력이 부드러운 전달을 이루려면, 그 주기 순환질량은 절반의 추진력으로 후퇴이동을 시작하여 주 스프링에 의해 정지속도까지 감속되고 다음에 발사되기 전에 절반의 추진력까지 가속되어서, 질량의 후퇴 및 전진 이동 중에 하나의 완전한 반동 추진력을 주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는, 반동 작용식 및 블로우 백신총과 비슷하지만, 주기 순환질량이 총렬 연장부에 가까이감에 따라 작용식 및 블로우 백 총과는 전혀 상이하다.
질량은 이미 하나의 완전한 반동 추진력을 총에 전달해야 한다는 물리학적 요구사항은 만족시켰기 때문에, 전진 이동하는 질량은 이제 절반의 추진력을 가지고 발사순간의 탄약 추진력을 "반동력 상쇄"해야한다.
3가지 일이 거의 동시에 일어 나는데,
1. 질량은 총렬(고정된 구조물)에 충돌하고 총렬을 절반의 추진력으로 전진 구동시킨다.
2. 동시에 탄약은 이때 고정된 구조물에 잠겨 있다가 발사되어 총렬을 하나의 추진력으로 후퇴 구동시킨다.
3. 탄환이 총렬내에서 절반의 추진력으로만 가속되고, 탄환이 가스구를 통과하면, 가스는 가스 실린더에 유입되어 질량을 후퇴 구동시키고 총렬을 전진 구동시키는데, 각각 절반의 추진력으로 구동시킨다.
이 3가지 일은 시간상으로 거의 중첩되어 일어나서 이 2개의 전진방향 절반의 추진력은 발사추진력을 중성화, 즉 "반동력 상쇄"시키며, 질량은 후퇴방향으로 이동되어 주기를 끝마치고, 또한 동적 추진력(MXV)를 스프링을 통해 고정된 구조물에 정적 추진력(FXT)으로 전달시킨다.
비록 "반동력 상쇄"의 효과는 3가지 종류의 총 모두에서 동일한 일정한 정적 반동력을 발생시키지만 고정 구조물과의 전진방향 추진력은 가스 작용식 총에서는 필수적인 반면, 작동식이나 블로우 백 총에서는 허용되어 있지 않다.
가스 작용식 총에서 발사시 질량은 항상 정지상태에 있다. 가스장치는 항상 같은 양의 추진력을 질량에 전달하기 때문에, 이것은 항상 같은 속도로 후퇴방향 이동을 개시한다. 질량이 전진위치의 정지된 상태에서, 즉 노리쇠 폐쇠 위치에서 연속발사의 첫발이 발사되면, 질량은 계속되는 발사시에도 첫발에서와 동일한 속도로 후퇴 이동된다. 이 경우 첫째 발사에서는 전진 이동하는 질량이 발사 직전에 총렬에 충돌하는 "반동력 상쇄"가 없게될 것이고, 따라서 첫 발 때에는 고정 구조물 상에 더욱 급격한 반동력 효과가 있을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이은 연속 발사에서의 반동력 상쇄 및 일정한 반동력과 "동기"(synchnous) 되어 있다.
만일 반동작용식이나 블로우 백 작동식 총에서 주기 순환질량이 전진 위치의 정지상태에서 발사 개시된다면(가스 작용식 총과 유사한), 첫발 발사시의 급격한 반동력은 생기지 않지만, 질량은 하나의 추진력으로 후퇴 이동되는데 그 이유는 질량의 후퇴 속도는 이전주기의 전진방향 질량 추진력에 의존해 있기 때문이다. 첫 발은 연속되는 주기들과 "비동기"되어 있어서, 연속되는 수발에 있어서는 발사 주기가 안정되기까지 "갤럽(galloping)"이라 불리우는 현상이 일어난다.
첫발의 높은 속도 때문에, 주기 순환 질량은 높은 속도와 표준속도로 작동해야 한다는 어려움을 격게되어, 정상적인 탄약 취급 기능에 있어서 (특히, 탄약 공급 및 방출) 곤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전자동식 총은(가스 작용식, 반동식, 블로우 백 모두) "노리쇠 개방" 위치에서 발사되게 할 수 있다. 주기 순환 질량은 발사하지 않을 때는 뒤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은 이전에 최종 발사시 전반의 추진력을 "비축"해 두었다가, 다음의 연속 발사를 위해 방아쇠를 당기게 되면 질량은 스프링에 의해 전진 가속되어 첫발은 다음의 연속되는 발사와 마찬가지로 반동력 상쇄된다.
노리쇠 개방 발사는 완전 자동식 발사 전용의 총에서는 적절한 해결책이 되지만, 단발발사(반자동식)도 병용하게 되어 있는 총에서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단발 발사는 정확해야 하는데, 총을 "노리쇠 개방" 위치에서 발사하면 총이 발사되기 전에 반동력 효과가 시작되어, 총이 기울고 사격은 비정확해 진다. 따라서 이중 목적, 선택적 발사 총은 단발에서는 "노리쇠 폐쇄" 위치에서; 완전 자동발사시는 "노리쇠 개방" 위치에서 발사되어야 한다.
가스 작용식 총은 3가지 종류중 정확한 단발 발사가 가능하고, 완전 자동시 반동력 상쇄가 가능하며 두가지에서 모두 신뢰성있게 동작하며, 동일한 양의 추진력으로 노리쇠 운반 조립체를 후진 구동시키며, 따라서 노리쇠 개방위치나 폐쇄위치 어느 위치에서 발사되든지간에 동일한 후퇴방향 운반체 속도 및 에너지를 갖는 유일한 총이다.
비록 반동 작동식 및 블로우 백 작동식총에서는 수십년전 반동력 상쇄가 알려져 있지만, 작동원리의 근본적 차이로 인해 본 발명 이전에는 그러한 특징을 가스 작용식 총에는 적용하지 못했던 것이다.

Claims (1)

  1. 한 단부에 뒷벽이 그리고 다른 단부에 총렬이 있으며 탄약 공급지역을 가진 수납부와, 노리쇠수단을 총렬을 향해 부세하는 주 구동 스프링과 협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수납부내에서 운동가능한 노리쇠 수단을 포함하는 가스작용식 자동 및 반자동 총에 있어서, 수납부와 노리쇠 수단은 공급 초과 이동거리가 실탄의 전장 이상이 되고 노리쇠 수단이 상기 뒷벽에 층돌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작용식 자동 및 반자동 총.
KR1019810002375A 1981-06-30 1981-06-30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KR85000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375A KR850001673B1 (ko) 1981-06-30 1981-06-30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375A KR850001673B1 (ko) 1981-06-30 1981-06-30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662A KR830006662A (ko) 1983-09-28
KR850001673B1 true KR850001673B1 (ko) 1985-11-13

Family

ID=1922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375A KR850001673B1 (ko) 1981-06-30 1981-06-30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39B1 (ko) * 2010-11-12 2011-07-01 김영준 케이2 자동소총의 공포탄 반동력을 대체한 반동력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39B1 (ko) * 2010-11-12 2011-07-01 김영준 케이2 자동소총의 공포탄 반동력을 대체한 반동력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662A (ko) 198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5438A (en) Gas operated, automatic or semi-automatic guns
US5722383A (en) Impeder for a gun firing mechanism with ammunition feeder and mode selector
CA2402482C (en) Recoil control mechanism for a weapon
US8752474B2 (en) Autoloading pistol design
EP1102022B1 (en) Automatic weapon with recoiling barrel
US7707923B2 (en) Short recoil semi-automatic shotgun
EP0288244A2 (en) Recoil system for weapons with a reciprocating breech block
US6212991B1 (en) Rapid fire mechanism for firearms
CZ237496A3 (en) Firearm
US4020740A (en) Firearms for selectively continuous and non-continuous operation
US4448109A (en) Automatic or semi-automatic firearm
KR860001010B1 (ko) 자동소총
US11313635B2 (en) Lever-coupled device for selectively preventing a firearm from discharging
CA1055745A (en) Radial percussion arrangement for firearms using self-propelling ammunition with peripheral priming
US4232583A (en) Firearm with recoil movement delaying mechanism
JPH0650696A (ja) 火器の可動部のはね返りを減速する装置
KR850001673B1 (ko) 가스 작용식자동 및 반자동 총
US3410175A (en) Recoil assembly for firearm
US7055422B1 (en) Reduced recoil anti-armor gun
CA3112152A1 (en) Automatic firearm having an inertial automatic system
KR100664792B1 (ko) 대구경 가스 작동식 소총
US3195408A (en) Firearm construction
US2590897A (en) Shoulder mortar
FI77323B (fi) Gasdrivet automatiskt eller halvautomatiskt skjutvapen.
KR100657081B1 (ko) 대구경 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