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286A -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286A
KR20140130286A KR20130048291A KR20130048291A KR20140130286A KR 20140130286 A KR20140130286 A KR 20140130286A KR 20130048291 A KR20130048291 A KR 20130048291A KR 20130048291 A KR20130048291 A KR 20130048291A KR 20140130286 A KR20140130286 A KR 20140130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venting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욱
신범영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한방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한방,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한방
Priority to KR2013004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0286A/ko
Publication of KR2014013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천연물인 식물로부터 유래하여 독성 등의 부작용이 매우 낮은 안전한 기능성 소재로서, 우울증의 예방, 지연,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는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araxaci Herba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ess or depressive disorder}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포공영 추출물의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 사회는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이 소화하기 어려울 정도의 엄청난 양의 정보가 매일 쏟아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 새로운 환경에 계속 적응해 나가야 하는 현대인들의 대부분은 많은 신체적·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 부담감을 일명 스트레스(stress)라 하고, "외부적인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유기체에게 해로운 반응 또는 변화"로 정의할 수 있다. 현대의 복잡한 사회 속에서 발생되는 정신적 손상은 과거와는 달리 커다란 심리적 충격이나 자극에 의해서 나타나기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미약하지만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것이 많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환자 스스로도 인식을 못하면서 병원에서조차 이를 간과하기 쉬운 것으로, 약한 자극이 누적되어 개인을 우울증에 시달리게 한다. 우울증은 객관적 상황과는 관계없이 일어나는 정서적 병리현상으로 환자의 모든 생활이 우울한 기분으로 덮여있고, 흥미가 감소하고 무쾌감증(anhedonia)이 되며 정신운동의 저하, 염세감, 절망에 사로잡히게 되고 자살의욕을 느껴 자살기도에까지 이르는 질병인데, 식욕저하, 불면, 변비, 성욕감퇴, 면역기능 저하로 인한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짐 등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보인다. 우울증의 발생기전과 우울증의 치료제인 항우울제의 작용기전을 완벽하게 설명하는 이론은 아직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synapse)내에 모노아민(monoamine)계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인 세로토닌(serotonin),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 도파민(dopamine) 등이 부족하게 되면 우울증이 유발된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가설이다. 그래서, 항우울제는 모두 중추 세로토닌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이는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 항우울제는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여주는 메카니즘에 따라 크게 삼환계 항우울제(TCA; tricyclic antidepressants),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MAOI;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개발된지 비교적 오래된 페넬진(phenelzine) 등과 같은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는 심장병 유발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잘 쓰이고 있지 않으며, 이미프라민 등과 같은 삼환계 항우울제 역시 항콜린성 부작용 및 진정작용, 심혈관계에 대한 부작용이 상당한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부작용이 적은 우울증 치료제로서 선택적 세로토닌(5-HT) 재흡수 저해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이하, 'SSRI'라 약칭함)를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의 개발에 초점이 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약제로서 플루옥세틴(fluoxetine, 제품명; 푸로작), 파로세틴(paroxetine, 제품명; 세로자트), 세르트랄린(sertraline, 제품명; 졸로푸트) 등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그 효능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약제 또한 전신피로감, 성기능장애, 불면증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항우울제제의 투여는 세로토닌(serotonin)양을 증가시켜 세로토닌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그것의 다운 스트림(down-stream)인 PKA의 활성을 강화시키고 나아가 CREB, 뇌-유래 신경영양성 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와 그것의 수용체인 trkB의 단백질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이것들은 항우울제제의 분자적인 수준에서 효과적인 작용표식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BDNF의 증가 혹은 세로토닌 수용체의 활성으로 특히 해마(hippocampus)에서 손상된 뇌세포가 다시 회복되는 신경세포 재생성이라는 현상이 일어나 우울증 환자의 손상된 기억력을 회복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of Psychosomatic Research 53, 687-697 (2002)). 또한, 항우울제의 투여는 보통 우울증에 걸려 있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면역저하의 대표적인 반응인 코르티솔(cortisol) 농도 감소, IL-2 농도감소, WBC 숫자감소, 림프구(lymphocyte) 숫자 감소를 정상수치로 올려주어 다시 정상적인 면역체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nn N Y Acad Sci. 917, 478-487 (2000)). 이러한 작용효과 또한 항우울제의 우울증 치료효과의 또 다른 징표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서양에서도 천연약재 추출물의 약효를 인정하고 연구하는 추세에 있으며, 우울증과 관련해서는 주로 세인트 죤의 식물(St. John's wort)이라 불리는 하이페리쿰 퍼포라툼(Hypericum perforatum)의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Neuropharmacology, 1999, 21(2), 247-257;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0, (2), CD000448; Drugs Aging, 2000, 16(3), 189-197).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의 추출물과 이미프라민(imipramine)의 약효를 비교한 연구에서, 우울증 치료에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의 추출물이 이미프라민과 동일한 정도의 효과를 보이면서도 부작용은 더 적음이 보고되었고(BMJ, 2000, 321, 536-539) 또한,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의 추출물이 인간 시토크롬 P450 효소 활성(human cytochrom P450 enzyme activity)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J Pharmacol Exp Ther, 2000, 294(1), 88-95).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의 추출물에는 중추신경계(CNS)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는 많은 수의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즉,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의 추출물은 실제 하이페리신(hypericin), 하이퍼포린(hyperforin) 등과 같은 활성화합물들 및 이량체 플라본류(dimeric flavones)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동물 및 인간에 있어서 항우울 작용 및 불안해소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작용기전을 살펴보면, 하이페리신은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의 추출물 중에 함유된 이량체의 프로시아니딘(dimeric procyanidines)의 존재 하에서 항우울 작용이 입증되었고(Regensburg,Germany, V. Butterwecke et.al., 45차 Annual Congress of the Society for Medicinal Plant Research, 1997, Abstract No. 011), 하이퍼포린(hyperforin)은 마우스의 시상하부(hypothalamus)와 해마에서의 5-HT(serotonine) 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하이퍼포린(hyperforin)의 항우울 효과는 세로토닌 시스템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J Pharm Pharmacol, 2001, 53(5), 583-600; Pharmacopsychiatry, 2000, 33(2), 60-65). 그러나, 우울증 환자들 중에는 기존의 항우울제로 치료가 되지 않는 환자가 약 20%나 존재하고 SSRI 등 최근 개발된 항우울제들의 부작용도 기존 항우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한편, 우울증의 치료를 위한 항우울제의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우울증 동물 모델들이 시도되어 왔다. 초기에는 강한 발 쇼크(intense foot-shock), 찬물 침례(cold water immersion), 48시간 먹이 또는 물 박탈(48h food/water deprivation) 등과 같은 강한 강도의 자극을 주는 방법이 선호되었으나, 최근에는 약하면서도 지속적이고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현대 인간의 일상을 더욱 잘 모사할 수 있는 경미한 강도의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Psychopharmacology, 1984, 83, 1-16). 그 중에서도 윌너(Willner) 등이 제안한 만성적이고 약한 자극(Chronic Mild Stress, 이하 'CMS'라 약칭함) 모델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우수한 우울증 동물모델로서 인정받고 있다(Neuroscience and Biobehavial Review, 1981, 5, 231-246; TIPS, 1991, 12, 131-136). 만성적이며 온화한 스트레스를 받은 랫트(Chronic mild stressed rat)는 만성적이고 약한 자극(CMS)에 의해 유발된 행위적 변화가 몇 주간의 지속적 투약기간 동안 관찰되어지고 이것이 습관적으로 일어나지 않거나, 그 습관화가 일정한 한도적 범위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Psychopharmacology, 1997, 134, 319-320). 일반적 실험에서는 24시간 광 주기(overnight illumimation), 일정기간 먹이 또는 물 박탈(periods of food and/or water deprivation), 케이지 경사(cage tilt), 케이지 배우자의 변화(change of cage mate) 등과 같은 다양한 만성적이고 약한 자극원이 이용된다(Psychopharmacology, 1997, 134, 319-320). 이와 같은 스트레스 절차를 반복하면 흰쥐들은 우울증의 대표적 증상이라고 볼 수 있는 무쾌감증에 상응하는 증상으로, 자당용액(sucrose solution)의 섭취량에서 상당한 감소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섭취량의 감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CMS 절차를 철회하고 난 후에도 수 주간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수의 항우울제들은 CMS 처치에 따른 자당섭취량의 감소를 원래 수준으로 회복시켜 주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Psychopharmacology, 1992, 109, 433-438).
한편, 포공영은 국화과의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또는 동속 식물의 전초를 말린 약재로서, 꽃이 금비녀의 머리처럼 생겨서 금잠초(金簪草)라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포공영을 해열, 발한, 건위, 강장, 해독, 임파선염, 급성기관지염, 위렴, 간염, 담낭염, 부인병 등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여 왔다. 예로부터 민들레는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약초 및 식품으로 이용되고, 뿌리는 커피 대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중국 및 북미에서는 전통적인 민간 약초로 알려져 상처치유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생채 등으로 식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건강식품 재료로 그 소비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포공영의 대표적인 활성 성분으로는 taraxastenol, taraxarol, taraxerol 등이 보고되었으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발암물질을 억제하는 성분이 있으며, 유기 게르마늄이 풍부해서 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와 관련하여 포공영 또는 이의 추출물의 효능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공영 추출물의 신규 용도, 구체적으로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합성 화학물질에 비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우울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백 종의 천연 식물 유래 추출물을 탐색한 결과, 포공영 추출물이 항우울 약효의 생체 내(in vivo) 검색법인 생쥐 강제 수영 시험(Fored swimming test)과 생쥐 꼬리 현수 시험(Tail suspension test)에서 부동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포공영은 Taraxacum 속 식물의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전초(全草, Whole plant) 등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Taraxacum platycarpum, Taraxacum mongolicum, Taraxacum sinicum 및 Taraxacum corea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초(全草)로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Taraxacum platycarpum의 전초이다. 또한, 상기 포공영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천연 식물의 활성 물질을 추출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은 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포공영 추출물은 바람직한 일 예로 포공영에 포공영 건조 중량 대비 5~20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60~120℃에서 1~8시간 동안 환류 추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고형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천연물인 식물로부터 유래하여 독성 등의 부작용이 매우 낮은 안전한 기능성 소재로서, 우울증의 예방, 지연,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는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포공영 추출물이 우울증 동물 모델의 강제 수영 시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포공영 추출물이 우울증 동물 모델의 꼬리 현수 시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개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특정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우울증은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인성 우울증(Endogenous depressions)인 단극성 우울증(unipolar depression) 및 양극성 우울증(bipolar depression), 우울 신경증(Depressive neurosis), 민감성 우울증(Reactive depression), 분열정동장애의 경우에 우울증(Depressive in case of schizoaffective psychosis), 조직상에 기초한 우울증(Organically-based depression), 치매 우울 증상(Depressive symptoms in dementia)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우울증 동물 모델을 이용한 강제 수영 시험(Fored swimming test)과 꼬리 현수 시험(Tail suspension test)에서 투여량 의존적으로 부동 상태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포공영 추출물은 국화과의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또는 이의 동속 식물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를 들어, 잎, 꽃, 뿌리, 줄기 또는 전초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뿌리 또는 전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전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공영 추출물을 얻기 위한 민들레속(Taraxacum)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Taraxacum platycarpum, Taraxacum mongolicum, Taraxacum sinicum 및 Taraxacum corea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포공영 추출물 제조시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중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은 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포공영 추출물은 포공영에 포공영 건조 중량 대비 5~20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60~120℃에서 1~8시간 동안 환류 추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고형화한 것일 수 있다. 이때, 물의 사용량은 포공영 건조 중량 대비 8~12배 부피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 온도는 추출 효율과 활성 물질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7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 시간은 추출 공정의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1~5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공영 추출액의 고형화는 감압농축 후 농축액을 열풍 건조, 동결 건조, 스프레이 드라이 등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추출 용매로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은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포공영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다른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 내지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해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 1998;479: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임계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고,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로 제거하고, 동결 건조하는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하는데, 포공영의 발효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포공영을 100~500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을 1~50g/L를 첨가하고 효모균주 또는 유산균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5일 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은 활성 물질로 araxastenol, taraxarol, taraxer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포공영 추출물의 활성 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라 구체적인 성분의 종류나 함량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사용 목적 내지 양상에 따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특히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포공영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30 중량%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공영 추출물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포공영 추출물 외에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 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포공영 추물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는 피부 외용,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유효성분인 포공영 추출물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1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이고, 더 바람지하게는 50~100 ㎎/㎏이며, 하루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포공영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포공영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예를 들어 포공영 추출물 0.1 ~ 20 중량%, 지방분해효소(Lipase) 0.001 ~ 0.01 중량%, 제 3 인산칼슘 1 ~ 20 중량%, 비타민 E 0.01 ~ 0.1 중량%, 효소분말 1 ~ 10 중량%, 유산균 0.1 ~ 10 중량%,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 0.01 ~ 10 중량% 및 포도당 20 ~ 90 중량%로 구성될 수 있으나, 포공영 추출물이 유효량으로 함유되어 있다면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량이란, 가금류, 가축 등이 꾸준히 섭취함으로써 우울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양, 또는 대장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한다. 또한, 첨가에 의한 이익을 넘는 악영향이 생기지 않는 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가금류 및 가축 등에 허용되는 공지의 담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공지의 담체 외에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형상은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가금류 및 가축 등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포공영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
휴먼허브(Gyeongbuk, Korea)에서 구입한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의 전초) 500g을 완전히 건조하고 분쇄한 후, 포공영의 건조 중량 대비 10배 부피(v/w)의 증류수를 가하고 환류 냉각장치(pyrex, CD1100-300)에서 80~100℃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을 완료한 후, 추출액을 여과지(Whatman No. 1 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약 40℃에서 감압농축하고, 이후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포공영 추출물(이하, "WTP"로 표기함) 약 55.8g을 수득하였다. 추출 수율은 약 11.2%이었다.
2. 포공영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 확인 시험
(1) 실험 동물의 준비
5주령의 ICR 생쥐(23~25g)를 (주) 오리엔트(Seoul, Korea)에서 공급받아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산업대학의 소독 케이지(clean cage)에 약 5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3±2℃), 습도(55±10%) 및 명암주기(12 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2) 통계 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일원변량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Student-Newman-Keuls Test를 사용하여 p < 0.05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3) 강제 수영 시험(Forced Swimming test)에 항우울 활성 평가
강제 수영 시험에 의한 포공영 추출물의 항우울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포설트(Porsult)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R.D. Porsolt, et al., Behavioral despair in mice: a primary screening test for antidepressants, Arch Int Pharmacodyn Ther, 229, pp.327-336, 1977).
강제 수영을 하는 생쥐는 활동과 부동자세(Immobility duration)를 교대로 보이는데, 항우울제는 용량 의존적으로 부동자세를 보이는 시간, 즉 부동 시간(Immobility time)을 감소시키므로, 부동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항우울 활성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포공영 추출물(WTP)을 생쥐에 경구로 투여하고, 약 1시간 경과한 후에 소음이 차단된 방에서 지름 14㎝, 높이 25㎝의 실린더에 20㎝까지 물(23~26℃)을 채운 후, 각 군당 10마리씩 하여, 실린더에 생쥐를 넣고 6분 동안 강제 수영을 시행하여 나중 4분의 부동자세를 보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강제 수영 시험을 이용한 항우울 활성의 측정 시, 대조군은 약물 대신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플루오세틴(Fluoxetin, 15 ㎎/㎏, Sigma-Aldrich Chemistry)을 투여한 후 부동 시간을 측정하였다.
도 1은 포공영 추출물이 우울증 동물 모델의 강제 수영 시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강제 수영 시험을 통해 포공영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용량 의존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포공영 추출물(WTP)의 투여 용량이 50 ㎎/㎏ 및 100 ㎎/㎏일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부동 시간의 감소(각각 8.8% 및 10.3%)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꼬리 현수 시험(Tail suspension test)에 의한 항우울 활성 평가
꼬리 현수 시험에 의한 포공영 추출물의 항우울 활성의 측정은 스테루(Steru) 등의 방법으로 시행하였다(Steru L. et al., The tail suspension test: a new method for screening antidepressants in mice. Psychopharmacology 85, pp.367-370, 1985).
꼬리가 매달린 생쥐는 활동과 부동자세를 교대로 보이는데, 항우울제는 용량 의존적으로 부동자세를 보이는 시간, 즉 부동 시간을 감소시키므로, 부동 시간(Immobility time)을 측정함으로써 항우울 활성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포공영 추출물(WTP)을 생쥐에 경구로 투여하고, 1시간 경과 후에 소음이 차단된 방에서 6분 동안 꼬리 현수 시험을 시행하여 부동자세를 보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꼬리 현수 시험을 이용한 항우울 활성의 측정 시, 대조군은 약물 대신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플루오세틴(Fluoxetin, 15 ㎎/㎏, Sigma-Aldrich Chemistry)을 투여한 후 부동 시간을 측정하였다.
도 2는 포공영 추출물이 우울증 동물 모델의 꼬리 현수 시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꼬리 현수 시험을 통해 포공영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용량 의존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포공영 추출물(WTP)의 투여 용량이 50 ㎎/㎏ 및 100 ㎎/㎏일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부동시간의 감소(각각 23.9% 및 22.4%)를 확인할 수 있었다.
(5) 열린 공간에서의 로코모터 활성 측정
포공영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가 단순한 운동성 변화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열린 공간 시험(open field test)에서 마우스의 로코모터 활성(locomotor activity)를 측정하였다.
로코모터 활성(Locomotor activity)은 자가 제조된 열린 공간 시험용 박스(box)에서 측정하였는데 이 박스는 가로 41.5㎝, 세로 41.5㎝, 높이 43㎝가 되도록 만들었으며, 하나의 박스에서 한 마리씩 5분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플루오세틴 투여군)의 총 이동 거리는 각각 1760.71±71.16㎝, 1794.47±414.51㎝ 였고, 포공영 추출물을 25 ㎎/㎏, 50 ㎎/㎏, 100 ㎎/㎏ 및 200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실험군의 이동 거리는 각각 1739.84±79.448㎝, 1757.79±97.68㎝, 1817.19±95.60㎝ 및 1764.68±85.07㎝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강제 수영 시험 및 꼬리 현수 시험에서의 포공영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가 단순한 운동성의 변화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
<3-1> 산제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3-2> 정제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3> 캡슐제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3-4> 환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3-5> 과립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3-6> 주사제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이중 2㎖를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4.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4-1> 밀가루 식품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4-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4-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4-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5~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4-6>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g), 올리고당(2g), 설탕(2g), 식염(0.5g), 물(75g)과 같은 부재료와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7> 야채 주스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8> 과일 주스의 제조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5.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5-1> 사료 첨가제 1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0.1 ~ 20 중량부, 지방분해효소(Lipase) 0.001 ~ 0.01 중량부, 제 3 인산칼슘 1 ~ 20 중량부, 비타민 E 0.01 ~ 0.1 중량부, 효소 분말 1 ~ 10 중량부, 유산균 0.1 ~ 10 중량부,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 0.01 ~ 10% 중량부 및 포도당 20 ~ 90 중량부를 배합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5-2> 사료 첨가제 2
제조예 1의 포공영 추출물 24 중량부, 어성초 추출 분말 24 중량부, 유산균 1 중량부, 효모 10 중량부, 초유 1 중량부, 포도당 20 중량부 및 알팔파 가루 20 중량부를 배합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은 Taraxacum platycarpum, Taraxacum mongolicum, Taraxacum sinicum 및 Taraxacum corea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초(全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공영 추출물은 포공영에 포공영 건조 중량 대비 5~20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60~120℃에서 1~8시간 동안 환류 추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고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48291A 2013-04-30 2013-04-30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0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291A KR20140130286A (ko) 2013-04-30 2013-04-30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291A KR20140130286A (ko) 2013-04-30 2013-04-30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286A true KR20140130286A (ko) 2014-11-10

Family

ID=5245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8291A KR20140130286A (ko) 2013-04-30 2013-04-30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028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797A (zh) * 2014-11-21 2015-01-28 鹿树军 一种治疗产后抑郁症的中药组合物
CN104645246A (zh) * 2015-03-15 2015-05-27 陈明友 一种用于女性更年期抑郁的药物制剂
CN104888124A (zh) * 2015-06-17 2015-09-09 山东仁和堂药业有限公司 盐酸米安色林的合成工艺及其检测方法
CN104888152A (zh) * 2015-07-02 2015-09-09 程美霞 一种治疗产后抑郁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998027A (zh) * 2015-08-11 2015-10-28 王胜果 治疗肝郁脾虚型绝经抑郁症的中药
CN105012864A (zh) * 2015-06-17 2015-11-04 山东仁和堂药业有限公司 盐酸米安色林新晶型及其检测方法和应用
CN110151630A (zh) * 2019-06-26 2019-08-23 广州三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护肤组合物
KR20200069845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파미니티 실크 펩타이드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21143144A (ja) * 2020-03-11 2021-09-24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797A (zh) * 2014-11-21 2015-01-28 鹿树军 一种治疗产后抑郁症的中药组合物
CN104645246A (zh) * 2015-03-15 2015-05-27 陈明友 一种用于女性更年期抑郁的药物制剂
CN104888124A (zh) * 2015-06-17 2015-09-09 山东仁和堂药业有限公司 盐酸米安色林的合成工艺及其检测方法
CN105012864A (zh) * 2015-06-17 2015-11-04 山东仁和堂药业有限公司 盐酸米安色林新晶型及其检测方法和应用
CN104888152A (zh) * 2015-07-02 2015-09-09 程美霞 一种治疗产后抑郁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998027A (zh) * 2015-08-11 2015-10-28 王胜果 治疗肝郁脾虚型绝经抑郁症的中药
KR20200069845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파미니티 실크 펩타이드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10151630A (zh) * 2019-06-26 2019-08-23 广州三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护肤组合物
JP2021143144A (ja) * 2020-03-11 2021-09-24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JP6989976B2 (ja) 2020-03-11 2022-01-12 株式会社ファミニティー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0286A (ko)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20160146007A (ko) 곰보배추 특정 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정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7727A (ko) 산조인 및 복령의 조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증 또는 불면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10285B1 (ko) 산청목, 오리목, 포공영, 대계, 창이자, 갈화, 지구목 및 갈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22892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345653B1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2149254B1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42959B1 (ko) 다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3928B1 (ko) 녹용 및 당귀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 증진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42806B1 (ko) 증숙 후 발효시킨 더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0347B1 (ko) 황금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96155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5 또는 진세노사이드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98009B1 (ko)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2128510B1 (ko) 홍삼 추출물 및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9103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367885B1 (ko) 인삼 및 비티스속 식물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학습능력 향상,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83916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183915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