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040A - 수지 적층체 - Google Patents

수지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040A
KR20140130040A KR20140051288A KR20140051288A KR20140130040A KR 20140130040 A KR20140130040 A KR 20140130040A KR 20140051288 A KR20140051288 A KR 20140051288A KR 20140051288 A KR20140051288 A KR 20140051288A KR 20140130040 A KR20140130040 A KR 2014013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h
acrylate
resi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키타무라
신이치 이와시타
메구미 사토우
요시히사 고토
히로아키 야마다
나오타카 쿠마타
마사요시 이소자키
케이이치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높은 표면경도를 갖고 있음과 아울러 고투명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3차원 가교 구조를 갖고서 25㎛ 이상 25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의 단층 또는 2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로서, 상기 경질 수지층은 단독에서의 인장탄성률이 2,000∼4,000㎫임과 아울러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고, 또한 기재층의 합계 두께 t1과 경질 수지층의 두께 t2의 비(t1/t2)가 0.25 이상 10 이하이며, 수지 적층체의 스크래치 경도가 40g 이상인 수지 적층체이다.

Description

수지 적층체{RESIN LAMINATE}
본 발명은 우수한 표면 경도, 투명성, 및 성형 가공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투명 다층 시트로서 디스플레이 면판에 적합한 수지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기판으로서,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면을 상처나 오염 등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보호판 등으로서,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적층체를 형성하는 수지는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리에 비해서 깨지기 어렵다고 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 종래에는 유리가 사용되고 있던 분야에도 널리 사용되게 되고 있다. 그러나,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에 비해서 표면경도, 내마노성, 내찰상성이 떨어지고, 상처나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수지 적층체의 표면 개질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를 기재 표면에 코팅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이들 코팅이 실시된 수지 적층체에 있어서는 내마모성, 내찰상성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개선이 보여지지만, 표면경도에 관해서는 불충분하고, 유리에 비해 표면경도가 낮아 실용상 큰 문제가 있다.
투명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서 표면경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코팅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에 고경도의 필러를 혼입함으로써 표면경도를 향상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유사의 방법으로서, 하드코팅층의 막두께를 크게 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완화하기 위해서 무기 및/또는 유기 가교 입자를 혼입하거나, 그 입자의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하여 하드코팅층의 수지와 부분적으로 가교시키는, 소위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의 방법이 검토되어 있다(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참조). 또한, 하드코팅층을 다층화하고, 코팅 전체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높은 표면경도를 얻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6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의 구체예로서 나타내어진 것은, 기재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보다 애초 연필경도가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연필경도를 4H에서 6H까지 달성하고, 그 효과를 실증하고는 있지만, 얇은 하드코팅층만으로는 연필경도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단단한 하지층이나 무기재료의 보조적 기능이 필수이다. 그 때문에, 이들 하지층이나 무기재료는 투명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장치용으로서는 부적합하다.
또한, 연필경도가 낮은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2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올리고머, 다관능 모노머, 단관능 모노머를 함유하여 특정의 관능기수를 가진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특정의 막두께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기재 상에 2층으로 형성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있지만, 이 기술에 있어서 연필경도는 최대로 4H이며 충분하지는 않다(특허문헌 7 참조).
또한, 상기 특허문헌 7은 JIS K 5600-5-4에 준해서 연필법에 의한 스크래치 경도에 의한 평가를 하고 있지만, 열가소성 수지층 상에 하드코팅층이나 경질 수지층을 적층한 것은 열가소성 수지와 경질 수지층의 성질이나 두께에 따라 하층인 열가소성 수지의 영향을 받아 오목부에 의한 소성변형이나 탄성변형이 생기며, 일견하여 표면이 패이는 것 뿐인지 스크래치에 의한 상처인지의 판별이 어렵다. 또한, 경질 수지층의 재질에 따라서는 본래 상정하고 있지 않은 오목부에 의한 변형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연필경도만에 의한 측정으로는 올바른 표면경도는 측정이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보호판 등의 용도로 사용한 경우, 일상생활에 있어서는 보다 단단한 금속이나 광물 등에 의한 상처에 대한 보호를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금속이나 광물에 비해서 부드러운 연필법에 의한 판정에서는 실제의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내마모성, 내찰상성과는 괴리되어 있을 우려가 많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2-10756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060526호 공보 WO2010/035764 팜플릿 일본 특허공개 2000-11237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10388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052472호 공보 일본 특허 제 462646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높은 표면경도를 갖고 있음과 아울러 고투명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표면경도가 우수하면서도 높은 투명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소정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구비한 수지 적층체로 함으로써 이것들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3차원 가교 구조를 갖고서 25㎛ 이상 25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의 단층 또는 2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로서, 상기 경질 수지층은 단독에서의 인장탄성률이 2,000∼4,000㎫임과 아울러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고, 또한 기재층의 합계 두께 t1과 경질 수지층의 두께 t2의 비(t1/t2)가 0.25 이상 10 이하이며, 수지 적층체의 스크래치 경도가 4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적층체의 경도의 평가는 ISO 1518-2에 준한 평가방법에 의한 스크래치 경도이다. 이 방법은 변동부하법에 의한 평가방법이기 때문에 상층인 경질 수지층과 하층인 열가소성 수지 전체의 성질은 두께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적층체로서의 평가의 불균일도 없이 경도의 평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경질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 단량체의 관능기 수가 4 이상인 것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 40g 이상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경질 수지층과 기재층이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 접착층에 대해서는 점착성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광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은 이접착층을 개재해서 적층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질 수지층이 기재층의 표리 양면에 구비되어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질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가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가, 하기 식(1)
(R1SiO3/2)n(R2R3SiO2/2)m(R4R5R6SiO1/2)l (1)
[식 중 R1∼R6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페닐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비닐기, 또는 옥시란환을 갖는 기이며, 각각 동일의 기여도 다른 기를 포함하여도 좋지만 식 중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기를 갖고, 또한 n, m, l은 평균값이며, n은 6∼14의 수이고, m은 0∼4의 수이며, l은 0∼4의 수를 나타내고, 또한 m≤l을 충족한다]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는 투명성을 유지한 채로 높은 표면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충격이나 굽힘에 대해여 충분한 내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이나 절삭, 펀칭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면판이나 디자인성이 우수한 하우징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형태 발명의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형태 발명의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 발명의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경질 수지층>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있어서의 경질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즉,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예시된다.
이 중,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장쇄 지방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르산 변성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글리세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화 이소시아누레이트, 비스(아크릴옥시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 비스페놀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S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인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인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메타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모노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산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로서 경화성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화성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케이형 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1SiO3/2)n(R2R3SiO2/2)m(R4R5R6SiO1/2)l (1)
[식 중 R1∼R6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페닐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비닐기, 또는 옥시란환을 갖는 기이며, 각각 동일의 기여도 다른 기를 포함하여도 좋지만 식(1) 중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기를 갖고, 또한 n, m, l은 평균값이며, n은 6∼14의 수이고, m은 0∼4의 수이며, l은 0∼4의 수를 나타내고, 또한 m≤l을 충족한다]
상기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수지는 케이지를 구성하는 규소원자 전체에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유기 관능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로 이루어지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고서 분자량 분포 및 분자 구조의 제어된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가 알킬기, 페닐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관계 없고, 또한 완전히 폐쇄된 다면체 구조가 아니라 일부가 개열된 구조라도 좋다. 일부가 개열된 구조의 경우, 연결되는 실리콘쇄에 (메타)아크릴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은 두께는 25㎛ 이상 25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두께가 25㎛ 미만에서는 충분한 스크래치 경도가 얻어지지 않고, 두께가 250㎛를 초과하면 전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디스플레이 등에 필요한 투명성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질 수지층의 단체에서의 인장탄성률이 2,000∼4,000㎫이다. 인장탄성률이 2,000㎫ 미만이면 수지 적층체의 스크래치 경도가 40g 미만으로 되고, 4,000㎫을 초과하면 성형이나 절삭, 펀칭 등의 가공성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질 수지층은 디스플레이 면판에 적합한 것 등으로부터 그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일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경질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메타)아크릴 단량체의 관능기 수가 4 이상인 것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 40g 이상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 단량체의 관능기 수가 4 이상인 것이 40g보다 적으면 두께가 25㎛ 이상에서도 충분한 스크래치 경도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는 수지 적층체로서 충분한 스크래치 경도를 얻음과 아울러, 절삭, 펀칭 등의 기계적 가공을 양호하게 하는 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의 (메타)아크릴기의 몰수가 0.6∼0.9의 범위인 것이 좋다. 여기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의 (메타)아크릴기의 몰수는 이하의 식으로 산출된다.
(100g당의 (메타)아크릴기의 몰수)=(100/분자량)×1분자 중의 (메타)아크릴기의 수
또한,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 복수종의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배합 비율에 따라서 산출한 평균의 (메타)아크릴기의 몰수를 사용하고, 실리카 등의 충전제를 배합한 경우에는 그 중량도 포함한 후에 (메타)아크릴기의 몰수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또한,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의 (메타)아크릴기의 몰수가 0.6∼0.9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조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단,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일정량 이상 배합하면 표면경도가 저하되는 경향으로 되기 때문에 점도 조정 등의 목적으로 배합하는 경우도 최저한에 머무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운데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아크릴레이트, 에이코데실아크릴레이트, n-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류,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모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알킬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4-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모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로콜모노아크릴레이트, 상기의 수산기 함유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에 ε-카프로락톤 등의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부가시킨 것,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시딜에테르,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화합물과 아크릴산의 부가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에틸-2-메틸-1,3-디옥소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2-이소부틸-2-메틸-1,3-디옥소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이것을 라디칼 공중합함으로써 (메타)아크릴 수지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메타)아크릴 수지 공중합체의 물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또는 라디칼 공중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여러가지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반응을 촉진하는 첨가제로서 열중합 개시제, 열중합 촉진제, 광중합 개시제, 광개시 조제, 예감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또는 열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고, 0.1∼3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첨가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가 불충분해져서 얻어지는 경질 수지층의 강도, 강성이 낮아지며, 한편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질 수지층의 착색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광경화성 조성물로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옥산톤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등의 화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페닐글리옥실산 메틸에스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1,2-옥탄디온,1-[4-(페닐티오)-,2-(O-벤조일옥심)], 에탄온,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온,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벤조페논,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옥산톤을 예시할 수 있고,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배합해서 가열 또는 광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평면이나 곡면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경질 수지층을 제조할 수 있다. 가열에 의해 임의의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제조할 경우, 그 성형 온도는 열중합 개시제와 촉진제의 선택에 따라 실온부터 200℃ 전후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내나 스틸 벨트 상에서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소망의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광조사에 의해서 경질 수지층을 제조하는 경우, 파장 10∼400㎚의 자외선이나 파장 400∼700㎚의 가시광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사용하는 광의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파장 200∼400㎚의 근자외선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자외선 발생원으로서 사용되는 램프로서는, 저압 수은 램프(출력 : 0.4∼4W/㎝), 고압 수은 램프(40∼160W/㎝), 초고압 수은 램프(173∼435W/㎝), 메탈 할라이드 램프(80∼160W/㎝), 펄스 크세논 램프(80∼120W/㎝), 무전극 방전 램프(80∼120W/㎝)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자외선 램프는 각각 그 분광분포에 특징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광개시제의 종류에 따라서 선정된다.
광조사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임의의 캐비티 형상을 갖고, 석영 유리 등의 투명 소재로 구성된 금형 내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 경화를 행하고, 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킴으로써 소망의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제조하는 방법이나, 금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동하는 스틸 벨트 상에 닥터블레이드나 롤 형상의 코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로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시트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제조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기재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층으로서는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염화비닐(PVC),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노보네인 함유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셀로판,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각종 수지 필름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무연신의 것도, 연신 가공을 실시한 것도 사용 가능하지만, 이것들 중 내열성, 투명성, 내후성, 내용제성, 내충격성, 가공성,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층은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강성을 부여하고, 충격이나 굽힘에 대해서 충분한 내성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경질 수지층이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한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면 바람직하게는 스크래치 강도가 40g 이상의 높은 표면경도를 구비할 수 있지만,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경질 수지층의 두께를 250㎛ 이하로 하면 내충격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층에 의해서 충격이나 굽힘 등에 대한 충분한 내성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 기재층에 대해서는 그 총두께가 0.5∼2000㎛, 바람직하게는 10∼1000㎛인 것이 좋다. 0.5㎛ 미만에서는 충분한 강성이 얻어지지 않고, 2000㎛를 초과하면 성형이나 절삭, 펀칭 등의 가공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재층의 합계 두께 t1과 경질 수지층의 두께 t2의 비(t1/t2)는 0.25 이상 10 이하이다. 이 두께의 비가 0.25 미만이면 성형이나 절삭, 펀칭 등의 가공성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10을 초과하면 스크래치 경도가 40g 미만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다.
<접착층>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적층체는 경질 수지층과 기재층을 필름, 시트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바인더층(접착층)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바인더층으로서는, 그 두께가 0.01∼30㎛, 바람직하게는 0.1∼10㎛인 것이 좋다. 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접착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고, 30㎛를 이상에서는 적층체의 스크래치 경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접착층으로서의 바인더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는, 점착성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광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으로서 아크릴 접착제, 우레탄 접착제, 에폭시 접착제,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폴리비닐알콜 접착제, 폴리올레핀 접착제, 변성 폴리올레핀 접착제, 폴리비닐알킬에테르 접착제, 고무 접착제,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공중합체) 접착제, 그 수소첨가물(SEBS 공중합체)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접착제,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접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접착성, 투명성, 가공성이 양호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접착층>
또한, 바인더층을 구성하는 다른 것으로서는 이접착층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은 난접착성인 수지의 표면에 있어서 화학적 이접착능 또는 물리적 이접착능을 실시하는 처리가 이루어진 층이다. 이 중, 화학적 이접착능이란 상세하게는 기재층 상에 관능기를 갖는 수지의 박막층을 형성하여 경질 수지층과 화학적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밀착력을 얻는 것이며, 한편 물리적 이접착능이란 기재층 상에 요철을 갖는 수지 박막층 또는 무기 박막층을 형성함으로써 앵커 효과에 의해 경질 수지층과의 밀착력을 얻는 것이다. 화학적 이접착능을 갖는 재료로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에폭시류, 티올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물리적 이접착능을 갖는 재료로서는 SiO2, SiN, SiC 등의 증착막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적층체의 제 1 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낸 수지 적층체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3)의 양면에 바인더층(2)을 끼우고, 그 상하 양면에 경질 수지층(1)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형태에 의한 수지 적층체에서는 편측의 경질 수지층(1)에 인쇄층(4)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바인더층(2)은 경질 수지층(1)과 기재층(3)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접착층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적층체의 하면에 인쇄층(4)을 형성함으로써 모양, 문자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인쇄층(4)의 인쇄 무늬로서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나뭇결, 돌결, 직물결, 모래결, 기하학 모양, 문자, 전면 고체, 메탈릭 등의 도안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있어서의 바인더층(2)은 상기 접착층 또는 이접착층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인쇄층(4)에는 경질 수지층이나 기재층과의 상성이 좋은 수지 성분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알키드 수지 및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인쇄의 박리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4)의 형성시에는 적절한 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하는 착색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인쇄층(4)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옵셋 인쇄법, 그라비아 윤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 롤코팅법, 스프레이코팅법 등의 코팅법 및 플렉소그래프 인쇄법을 들 수 있다.
인쇄층(4)의 두께로서는 수지 적층체에 있어서 소망의 표면 외관이 얻어지도록 적당한 두께를 선택하면 되고, 통상 0.5∼30㎛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는 제 2, 제 3 실시형태로서 도 2, 도 3에 나타내는 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층(3b)의 상면에 인쇄층(4)을 형성하고, 그 인쇄층(4)측 상부와 인쇄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각각 감압성 접착제층(5)을 끼우고, 인쇄층(4)측에 경질 수지층(1)을, 또한 인쇄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기재층(3)을 형성한다.
도 2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재층(3b)으로서는 투명성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층(3)의 상면에 바인더층(2)을 개재하여 경질 수지층(1)을 형성하고, 또한 기재층(3)의 하면에 인쇄층(4)을 형성하며, 그 하부에 감압성 접착제층(5)을 개재하여 제 2의 기재층(3)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한 감압성 접착제층(5)은 공지의 감압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계 수지, 합성 고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필요한 광투과성, 점착성, 내후성을 얻을 수 있으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층 구성에 따라서는 색소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자외선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는 UV 흡수제(벤조트리아졸 등)를 점착제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성 접착제층(5)으로서는, 그 평균 두께가 0.01∼30㎛, 바람직하게는 0.1∼10㎛인 것이 좋다. 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인쇄층의 요철을 흡수하여 평탄화하는 효과도 저하된다. 또한, 30㎛ 초과에서는 적층체의 스크래치 경도를 저하시켜 버리는 요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실시형태 도 1, 도 3에 있어서는, 수지 적층체의 상태로 열성형에 의해 3차원적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 도 3에 있어서의 기재층(3)은 열에 의해 성형 가능하고, 경질 수지층(1)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기재층(3)의 형상에 추종하여 바인더층(2)을 통해서 일체 성형품으로 할 수 있다. 열성형으로서는 진공 성형, 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도 2에 나타내는 수지 적층체와 같은 층 구성의 경우, 미리 개개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A파트[경질 수지층(1), 감압성 접착제층(5), 인쇄층(4), 기재층(3b)]와 B파트([감압성 접착제층(5), 기재층(3)]를 감압성 접착제층(5)을 통해서 서로 붙여도 좋고, 또한 B파트를 구성하는 기재층(3)은 미리 A파트에 감압성 접착체층(5)을 형성한 것을 소망의 형상의 금형 내에 장전한 후, 사출성형에 의해서 사출성형용 수지로서 주입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도 1∼도 3에는 각각 인쇄층(4)이 형성되어 있지만, 인쇄층(4)은 생략할 수도 있고, 또한 적층체 구조 프로세스에 맞추어서 임의의 층간에 임의의 인쇄방법으로 형성하면 된다.
기재층(3)을 사출성형하는 경우, 사출성형용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염화비닐(PVC),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노보네인 함유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셀로판,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각종 수지 필름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내열성, 투명성, 내후성, 내용제성, 강도,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충격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경도의 평가벙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ISO 1518-2에는 선단의 형상이 예각인 압자를 이용한 변동 하중법에 의한 스크래치 경도 측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하중을 가해서 시료의 표면에 압자를 압박한 상태로 시료를 이동시켜서 압자에 의한 상처가 관찰되었을 때의 하중으로부터 하기에 나타내어지는 식을 이용하여 경도 Fc(g)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Fc={(100-d)/100}×(Ff-Fi)
d : 측정 개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거리가 100㎜일 때의 상처 발생 시작부터 종점까지의 거리(㎜)
Ff : 종점에서의 하중(g)
Fi : 측정 개시점에서의 하중(g)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재료에 대해서 경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연필경도에서는 판정할 수 없었던 상처나기 어려움을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때의 재료 특성에 대해서 고찰했다. 즉 변동 하중법에 의한 스크래치 경도가 4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범위이다. 이 범위보다 값이 작으면 적은 하중으로 간단하게 상처가 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스크래치 경도의 값이 극단적으로 큰 경우에 대해서 보충설명하면, 큰 하중을 가해도 상처가 나지 않는다는 것은 가공의 곤란함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뜻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경질 수지층이 하중에 의해서 휘는 성질을 갖는 경우에도 스크래치 경도의 값이 커지는 경우가 있지만, 상처가 나지 않아도 패인 흔적이 남거나, 질감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변동 하중법에 의한 스크래치 경도를 측정할 때의 하중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측정 개시점에 있어서 대략 0∼수백g, 종점에 있어서 수십∼수백g의 범위에서 측정을 행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평가방법 및 기호는 이하와 같다.
1) 스크래치 경도 : ISO 1518-2(도료 및 바니시 스크래치 저항의 측정 - 제 2부 : 변동 부하법)에 준해서 선단의 R이 0.03±0.005㎜인 사파이어침을 이용하여, 침의 이동속도 10㎜/s, 하중을 0∼200g의 범위에서 늘려 가서 현미경 관찰에 의해 상처가 육안으로 확인되었을 때의 하중으로부터 평가했다.
2) 전광성 투과율 : JIS K 7361-1에 준해서 측정했다.
3) 막두께 : (주)미츠토요제 ID-SX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4) 인장탄성률 : JIS7127에 준해서 측정했다.
5) 가공성 : 루터 가공기(메가로테크니카사제)에 루터날(우치야마하모노제, 칼날 지름 2㎜, 직날)을 장착하고, 실시예에서 얻어진 수지 적층체를 회전수 20,000rpm, 이송속도 900㎜/분의 가공 조건에서 절삭가공을 행하고, 절단면의 현미경 관찰을 행해 절단면에 치핑이 관찰된 것을 ×, 관찰되지 않은 것을 ○로 했다.
[실시예 1]
(경질 수지층이 작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85중량부, 및 PMMA: 15중량부를 110℃로 가열 혼련하고, 그 후 광중합 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5중량부를 혼합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롤코터를 이용하여 두께 0.15㎜로 되도록 박리 처리된 PET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유연)하고, 별도의 박리 처리된 PET를 캐스팅된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라미네이트한 후 30W/㎝의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4000mJ/㎠의 적산 노광량으로 경화시키고, 박리 처리된 PET를 모두 박리 제거함으로써 소정의 두께로 한 시트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얻었다. 얻어진 경질 수지층에 대해서 인장탄성률 및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수지 적층체의 작성)
기재층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테이진사제 PC-1151, 200㎜×200㎜×두께 0.5㎜(t1)]에 양이온계 광경화성 접착제(쿄리츠 카가쿠 산교사제)를 5㎛의 두께로 되도록 도포 유연한 후, 상기에서 얻어진 경질 수지층을 폴리카보네이트의 편면측 전면에 붙여 압착한 후,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자외선을 500mJ/㎠의 비율로 양면으로부터 조사하여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적층체에 대해서 스크래치 경도 및 가공성을 평가했다. 이 때의 경질 수지층 두께(t2), 두께비율(t1/t2) 및 스크래치 경도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배합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중량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질 수지층 및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체의 평가결과를 아울러 표 1에 나타낸다.
[합성예 1]
교반기, 적하 깔대기, 온도계를 구비한 반응용기에, 용매로서 2-프로판올(IPA) 400ml와 염기성 촉매로서 5%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수용액(TMAH 수용액)을 장입했다. 적하 깔대기에 IPA 150ml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TMS : 도레이 다우코닝 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SZ-6030) 126.9g을 넣고 반응용기를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MTMS의 IPA 용액을 30분 걸쳐서 적하했다. MTMS 적하 종료 후, 가열하지 않고 2시간 교반했다. 2시간 교반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톨루엔 500ml로 용해했다. 반응용액을 포화식염수로 중성으로 될 때까지 수세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했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여과 선별하여 농축함으로써 메타크릴로일기를 모든 규소원자 상에 가진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화합물을 86g 얻었다. 이 실세스퀴옥산은 여러가지 유기용제에 가용인 무색의 점성 액체였다.
[실시예 3]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은 메타크릴로일기를 모든 규소원자 상에 가진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화합물: 25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 디시클로펜타닐디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 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5중량부를 혼합하여 투명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질 수지층을 얻은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지 적층체를 작성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9 및 비교예 1∼4]
배합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중량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질 수지층 및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체의 평가결과를 아울러 표 1에 나타낸다.
표 중의 약호는 다음과 같다.
A :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
B :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니폰 카야쿠(주) 제품 KAYARAD DPHA]
C :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교에이샤 카가쿠(주) 제품 라이트 에스테르 TMP]
D :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 카가쿠(주) 제품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PE-3A]
E :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니폰 카야쿠(주) 제품 KAYARAD DPCA-20]
F :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2[니폰 카야쿠(주) 제품 KAYARAD DPCA-30]
G : 디시클로펜타닐디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 카가쿠(주) 제품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DCP-A]
H :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카가쿠(주) 제품 NK 에스테르 DCP]
I : PMMA[(주)쿠라레 제품 파라페트 LW : 중량 평균 분자량 약 34000]
J :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교에이샤 카가쿠(주) 제품 UF-530: 수평균 분자량 약 8800]
K :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신나카무라 카가쿠(주) 제품 NK 올리고 UA-122P: 수평균 분자량 약 1100]
L :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중합 개시제, BASF 재팬(주) 제품 IRGACURE184]
Figure pat00001
1 : 경질 수지층 2 : 바인더층
3 : 기재층 3b : 기재층
4 ; 인쇄층 5 : 감압성 접착제층

Claims (8)

  1.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3차원 가교 구조를 갖고서 25㎛ 이상 25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의 단층 또는 2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로서, 상기 경질 수지층은 단독에서의 인장탄성률이 2,000∼4,000㎫임과 아울러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고, 또한 기재층의 합계 두께 t1과 경질 수지층의 두께 t2의 비(t1/t2)가 0.25 이상 10 이하이며, 수지 적층체의 스크래치 경도가 4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경질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 단량체의 관능기 수가 4 이상인 것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 40g 이상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질 수지층과 기재층은 접착층을 개재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접착층은 점착성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광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은 이접착층을 개재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질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하기 식(1)
    (R1SiO3/2)n(R2R3SiO2/2)m(R4R5R6SiO1/2)l (1)
    [식 중 R1∼R6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페닐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비닐기, 또는 옥시란환을 갖는 기이며, 각각 동일의 기여도 다른 기를 포함하여도 좋지만 식(1) 중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기를 갖고, 또한 n, m, l은 평균값이며, n은 6∼14의 수이고, m은 0∼4의 수이며, l은 0∼4의 수를 나타내고, 또한 m≤l을 충족한다]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질 수지층은 기재층의 표리 양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KR20140051288A 2013-04-30 2014-04-29 수지 적층체 KR20140130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5489A JP2014213596A (ja) 2013-04-30 2013-04-30 樹脂積層体
JPJP-P-2013-095489 2013-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040A true KR20140130040A (ko) 2014-11-07

Family

ID=5180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1288A KR20140130040A (ko) 2013-04-30 2014-04-29 수지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213596A (ko)
KR (1) KR20140130040A (ko)
CN (1) CN104129129A (ko)
TW (1) TW2015002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661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30756A (ko) * 2018-09-13 2020-03-23 한국원자력연구원 목재의 우루시올 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우루시올 개질된 목재
KR20200046024A (ko) * 2017-08-29 2020-05-06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시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경화형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6559B (zh) 2015-05-19 2016-08-21 長興材料工業股份有限公司 增光穿透塗料組合物及由其所形成之塗層
CN106005748A (zh) * 2016-06-29 2016-10-12 苏州市盛百威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精密零部件的包装盒
KR102065717B1 (ko) * 2016-12-26 2020-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편광자 보호 필름용 코팅 조성물
KR102443605B1 (ko) * 2017-09-06 2022-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JP6995580B2 (ja) * 2017-11-17 2022-01-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部品の生産方法及びタッチセンサを具備する製品の生産方法
CN112339378A (zh) * 2019-08-08 2021-02-09 住友化学株式会社 层叠体
KR102214121B1 (ko) * 2020-07-30 2021-02-10 주식회사 서연이화 플라스틱 글레이징의 제조방법
CN114574117A (zh) * 2022-02-25 2022-06-03 深圳昌茂粘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候耐介质耐高温标带及其制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024A (ko) * 2017-08-29 2020-05-06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시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경화형 조성물
KR20190080661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30756A (ko) * 2018-09-13 2020-03-23 한국원자력연구원 목재의 우루시올 개질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우루시올 개질된 목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3596A (ja) 2014-11-17
TW201500203A (zh) 2015-01-01
CN104129129A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0040A (ko) 수지 적층체
KR101415841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3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1470463B1 (ko) 하드코팅 필름
JP5046721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70464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686644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101617387B1 (ko)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플라스틱 필름
KR20160003036A (ko) 경화된 접착제 시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KR20150119214A (ko) 수지 적층체
KR102206665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40114795A (ko)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성형 방법
KR20170139600A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이용하는 경화막의 제조 방법 및 당해 경화막을 포함하는 적층체
KR20120078464A (ko)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제조 방법
KR101791232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20190111973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사용한 편광판
KR101656454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7356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2018037517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40130041A (ko) 수지 적층체
KR20140123441A (ko) 열성형용 수지 적층체 및 그 성형방법
KR20170142508A (ko)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6453755B2 (ja) ハードコート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76785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200058096A (ko) 패턴화된 단일 코팅구조의 이형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점착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