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762A -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762A
KR20140128762A KR20130047630A KR20130047630A KR20140128762A KR 20140128762 A KR20140128762 A KR 20140128762A KR 20130047630 A KR20130047630 A KR 20130047630A KR 20130047630 A KR20130047630 A KR 20130047630A KR 20140128762 A KR20140128762 A KR 20140128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magnetic
metal powder
insulating layer
magnetic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관
안성용
박노일
최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762A/ko
Priority to US13/935,297 priority patent/US20140322065A1/en
Priority to CN201310302555.7A priority patent/CN104124032A/zh
Publication of KR2014012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ixtures of metallic and non-metallic particles; metallic particles having oxide sk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8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4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by moulding or by pressing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연자성 금속 분말;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형성된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및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을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soft magnetic co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자성 물질은 인덕터 내의 코어, 모터와 같은 전기장치의 고정자, 회전자, 엑츄에이터, 센서 및 변압기 코어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전기장치 내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연자성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가공된 강판을 여러 층으로 적층한 후 고정하여 일체화 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강판을 적층하여 제조하는 경우 3차원의 복잡한 형상의 제품 제작에 어려움이 많고, 스크랩의 손실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연자성 분말을 고압성형하는 방법을 도임하고 있으며, 형상측면에서 보다 높은 자유도를 갖는 코어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때 사용되는 연자성 분말이라 함은, 전기를 인가하면 자성을 가지는 분말이다.
연자성 물질을 분사법 또는 분쇄법 등을 통해 분말형태로 만든 후에, 해당 분말에 대한 기계적인 가공 및 열처리 등을 실시하여 코어 재료로써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 연자성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준비된 연자성 분말들을 가압 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을 가지는 연자성 코어가 형성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11-233860호
본 발명은 와전류 손실이 낮고,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고효율, 고강도의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연자성 금속 분말;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형성된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및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을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를 제공한다.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의 두께는 50nm 내지 700nm일 수 있다.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입경은 50μm 내지 200μm일 수 있다.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은 철(Fe)계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철(Fe)계 분말은 규소(Si),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및 붕소(B) 중 하나 이상의 합금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30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인산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는 연자성 금속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절연층이 형성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슬러리를 가압성형하여 코어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성형체에 포함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을 산화시켜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 성형체를 열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의 두께는 50nm 내지 700nm일 수 있다.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입경은 50μm 내지 200μm일 수 있다.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은 철(Fe)계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철(Fe)계 분말은 규소(Si),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및 붕소(B) 중 하나 이상의 합금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30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인산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마련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절연층 상에 윤활용 왁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윤활용 왁스 코팅층의 두께는 300nm 내지 700nm일 수 있다.
상기 윤활용 왁스 코팅층에 포함된 윤활용 왁스의 융점은 10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윤활용 왁스는 EBS(Ethylene Bis Stearamide), 스테라인산 아연(Zn-stearat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전류 손실이 낮고,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고효율, 고강도의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연자성 코어(200)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2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200)는 연자성 금속 분말(1),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 및 절연층(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자성 코어는 표면에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 및 절연층(3)이 형성된 연자성 복합 분말(10)을 복수로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표현의 편의를 위해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1)은 도면에서 구형으로 표현되었으나, 반드시 구형일 필요는 없으며, 타원형, 다각형형 등 일반적인 분말의 형상을 모두 가질 수 있다.
(a) 연자성 금속 분말(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200)에 포함되는 연자성 금속 분말(1)은 연자성을 띠는 물질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1)의 평균 입경은 50μm 내지 200μm일 수 있다. 연자성 금속 분말(1)의 평균 입경이 50μm 미만인 경우 연자성 코어의 자속밀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고, 200μm를 초과하는 경우 자속밀도는 증가하지만 철손(core loss)이 증가하며, 특히 고주파에서 문제가 되는 맴돌이손실(eddy current loss)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1)은 50μm 내지 200 μm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1)은 순철 또는 철(Fe)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엄밀한 의미의 순철은 불순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순도 100%의 철을 지칭하지만 선철에 포함된 탄소, 질소, 규소, 인, 황 등의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순철이라 하면 다른 철에 비해 순도가 높은 철을 일컬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순철'은 상술한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철(Fe)계 합금은 철(Fe)에 철과 다른 합금 원소를 한가지 이상 첨가하여 얻어진 것으로 금속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합금원소는 전기저항을 높일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규소(Si),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및 붕소(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소(Si),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및 붕소(B)는 다른 합금원소에 비해 저항을 높이는 효과가 우수하다.
(b) 페리페로스 산화물(Fe 3 O 4 )층 (2)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1)의 표면에는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으로 인해, 절연층(3)과 연자성 금속 분말(1)과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된 연자성 코어(200)의 내부식, 내마모성, 항복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Fe3O4의 경우 Fe2O3와 달리 Fe2 +와 Fe3 +가 1:1의 비율로 같이 존재하는 구조로, Fe3+만 존재하는 α-Fe2O3에 비해서 자성 특성을 더 많이 가진다. 따라서, 코어 성형시 Fe3O4를 적용한다면, 기존의 일반 산화물인 Fe2O3에 비해서 투자율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의 두께는 50nm 내지 700nm일 수 있다.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의 두께가 50nm 미만인 경우, 절연층과 분말과의 접합력 향상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며, 페리페로스 산화물층(2)에 균열이 발생하여 터널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페리페로스 산화물층(2)이 700nm를 초과하는 경우, 연자성 코어의 항복 강도 증가효과가 포화되어, 실제 강도 증진 효과보다, 전체에서 연자성 금속 분말 대비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의 비중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코어의 전체적인 자속밀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c) 절연층 (3)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1)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 상에는 절연층(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3)은 개개의 연자성 금속 분말(1)을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와전류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절연층(3)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인산염 화합물, 에폭시 수지, 세라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절연층(3)은 30nm 내지 3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절연층의 두께가 300nm를 초과하는 경우 코어의 자속밀도가 감소하게 되며, 절연층의 두께가 30nm 미만인 경우 절연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철손(core loss)이 증가하게 된다. 나아가 가압성형시 절연층에 균열이 발생하여 터널링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절연효과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연자성 코어(200)의 제조방법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2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중복을 위해 상술한 연자성 코어(200)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은 연자성 금속 분말(1)을 마련하는 단계; 절연층(3)을 형성하는 단계; 슬러리(20)를 마련하는 단계; 코어 성형체(100)를 제조하는 단계; 및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절연층(3)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20)를 마련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절연층(3) 상에 윤활용 왁스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절연층(3)이 형성된 연자성 금속 분말(1)을 마련하는 단계
먼저 연자성 금속 분말(1)을 마련 한 다음 연자성 금속 분말 상에 절연층(3)을 형성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절연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산염 화합물, 에폭시 수지, 세라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 슬러리(20)를 마련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절연층(3)이 형성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1)을 포함하는 슬러리(20)를 제조한다. 상기 슬러리는 상기 절연층(3)이 형성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1)과 첨가제(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인더 또는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물유리,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실리콘, 페놀 수지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슬러리(20)의 점도 조절을 위해 휘발성 용매를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용매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톨루엔, 알코올 또는 메틸에틸케톤(MEK, Methyl Ethyl Keto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 코어 성형체(100)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슬러리(20)를 이용하여 원하는 얻고자 하는 연자성 코어 형상의 연자성 코어 성형체(1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코어 형상의 주형(21)에 슬러리(20)를 투입한 뒤 프레스기(22)를 이용하여 가압 성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4) 열처리 단계
다음으로 제조된 연자성 코어 성형체(100)의 열처리를 통해, 연자성 금속 분말(1)과 절연층(3) 사이에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2)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연자성 코어 성형체 표면에도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형성된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은 연자성 금속 분말과 절연층 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키며, 연자성 코어 성형체 표면에 형성된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은 연자성 코어 자체의 내부식, 내마모성, 항복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5) 윤활용 왁스 코팅층(3)을 형성하는 단계
나아가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마련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절연층(3) 상에 윤활용 왁스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개의 분말에 윤활용 왁스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연자성 복합 분말 간 또는 연자성 복합 분말과 금형 벽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절연층(3) 상에 윤활용 왁스 코팅층이 형성된 연자성 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코어를 성형하는 경우, 외부압력에 의해 분말이 서로 접촉하고 찌그러지면서 코어가 제조되는 온간성형 시 고상의 윤활용 왁스가 액상으로 변화하고 마찰력을 감소시켜, 가압성형으로 인해 생성되는 잔류응력을 감소시키고 히스테리시스 로스(hysteresis loss)를 줄여 최종적으로 철손(core loss)이 낮은 코어를 제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수μm 스케일의 윤활 분말을 연자성 금속 분말과 혼합하여 성형을 하였으나, 혼합이 균일하게 되지 않았을 때 윤활 분말이 적은 부분은 마찰력이 커져 히스테리시스 로스(hysteresis loss)가 증가하고 윤활 분말이 너무 많은 경우 성형 후 잔탄량의 증가로 인해 자성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윤활용 왁스를 절연층(3)이 형성된 연자성 금속 분말(1)의 절연층 상에 코팅을 한 경우 윤활분말의 불균일한 혼합에 의한 단점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윤활용 왁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윤활용 왁스를 액상으로 녹인 후 절연층(3)이 형성된 연자성 금속 분말(1)을 윤활용 왁스에 디핑(dipping)하거나, 연자성 금속 분말(1)의 표면에 형성된 절연층(3)에 액상의 윤활용 왁스를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윤활용 왁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윤활용 왁스는 100℃ 내지 150℃의 융점을 가진다. 이는 연자성 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코어를 성형하는 경우, 성형온도가 일반적으로 80℃ 이상인 경우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윤활용 왁스의 융점이 150℃를 초과하는 고온인 경우 성형온도에서 윤활용 왁스가 액상으로 변형하지 않아 분말 간 또는 분말과 금형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상기 윤활용 왁스는 EBS(Ethylene Bis Stearamide), 스테라인산 아연(Zn-stearat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EBS(Ethylene Bis Stearamide)의 융점은 약 141℃ 내지 146℃이고 스테라인산 아연(Zn-stearate)의 융점은 약 121℃ 내지 124℃이며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의 융점은 약 100℃ 내지 110℃이다.
상기 윤활용 왁스 코팅층은 300nm 내지 700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윤활용 왁스 코팅층의 두께가 300nm 미만인 경우 가압성형 시 분말과 분말 간 또는 분말과 금형과의 마찰을 충분히 감소시킬 만큼 용융된 윤활용 왁스가 분말을 충분히 덮어주지 못하기 때문에 절연 피막이 손상될 수 있고 절연 피막이 손상되는 경우 철손(core loss)이 증가한다. 또한 윤활용 왁스 코팅층의 두께가 700nm를 초과하는 경우 코어 내의 자성체 비율이 감소하여 성형밀도와 자속밀도가 감소하고 다시 철손(core loss)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윤활용 왁스 코팅층은 300nm 내지 700n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예
하기 표 1은 연자성 코어 내 연자성 복합 분말의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두께에 따라 생성된 물성을 나타낸다.
본 실험 예의 연자성 코어의 제조에 사용된 연자성 복합 금속분말은 D50=170μm의 철(Fe)계 분말, 인산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150nm 두께의 절연층 및 400nm 두께의 윤활용 왁스 코팅층을 포함한다.
샘플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두께(nm) 투자율(H/m) 자속밀도(T) 항복강도(MPa)
1* 0 480 1.58 90
2 50 600 1.6 140
3 100 610 1.62 200
4 200 630 1.63 250
5 300 650 1.62 300
6 400 660 1.66 450
7 500 700 1.7 500
8 700 700 1.67 500
9* 900 690 1.55 480
10* 1000 620 1.53 470
*는 비교예를 나타냄
위 실험 예에 나와있는 바와 같이, 페리페로스 산화물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투자율과 자속밀도, 항복강도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페리페로스 산화물층이 철계 분말과 절연층 사이에 열처리 후 형성되면서, 둘 사이의 접합강도를 증가시키고, 최종적으로 코어의 항복강도를 개선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페리페로스 산화물층의 두께가 임계 두께인 700nm에 도달하게 되면 투자율, 자속밀도는 물론 항복강도가 증가하지 않고 포화 되게 되며, 그 이후는 오히려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 데이터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페리페로스 산화물 층의 두께가 50nm 미만이 되는 경우 터널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페리페로스 산화물 층의 두께는 50nm 내지 7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연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 및 연자성 코어의 표면에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을 형성함으로써, 연자성 금속 분말과 절연층 사이의 접합력이 우수하고, 연자성 코어의 내부식, 내마모성, 항복강도가 향상된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연자성 금속 분말
2 :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3 : 절연층
10, 10' : 연자성 복합 분말
11 : 첨가제
20 : 슬러리
100 : 연자성 코어 성형체
200 : 연자성 코어

Claims (19)

  1. 연자성 금속 분말;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에 형성된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및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을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의 두께는 50nm 내지 700nm인 연자성 코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입경은 50μm 내지 200μm인 연자성 코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은 철(Fe)계 분말인 연자성 코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Fe)계 분말은 규소(Si),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및 붕소(B) 중 하나 이상의 합금원소를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30nm 내지 300nm 인 연자성 코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인산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
  8. 연자성 금속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절연층이 형성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슬러리를 가압성형하여 코어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 성형체에 포함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표면을 산화시켜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 성형체를 열처리하여 수행되는 것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리페로스 산화물(Fe3O4)층의 두께는 50nm 내지 700nm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의 입경은 50μm 내지 200μm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 금속 분말은 철(Fe)계 분말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철(Fe)계 분말은 규소(Si),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및 붕소(B) 중 하나 이상의 합금원소를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30nm 내지 300nm 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인산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마련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절연층 상에 윤활용 왁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용 왁스 코팅층의 두께는 300nm 내지 700nm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용 왁스 코팅층에 포함된 윤활용 왁스의 융점은 100℃ 내지 150℃인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용 왁스는 EBS(Ethylene Bis Stearamide), 스테라인산 아연(Zn-stearat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KR20130047630A 2013-04-29 2013-04-29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8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630A KR20140128762A (ko) 2013-04-29 2013-04-29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
US13/935,297 US20140322065A1 (en) 2013-04-29 2013-07-03 Soft magnetic co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201310302555.7A CN104124032A (zh) 2013-04-29 2013-07-15 软磁芯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630A KR20140128762A (ko) 2013-04-29 2013-04-29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62A true KR20140128762A (ko) 2014-11-06

Family

ID=5176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7630A KR20140128762A (ko) 2013-04-29 2013-04-29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22065A1 (ko)
KR (1) KR20140128762A (ko)
CN (1) CN1041240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159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인덕터 코어용 연자성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4288B1 (ja) * 2018-03-09 2019-04-24 Tdk株式会社 軟磁性金属粉末、圧粉磁心および磁性部品
CN111842874A (zh) * 2019-04-24 2020-10-30 昆山磁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金属粉芯绝缘阻抗特性的方法及其金属粉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159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인덕터 코어용 연자성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24032A (zh) 2014-10-29
US20140322065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02956A (ja) 軟磁性材料および圧粉磁心
JP2007088156A (ja) 軟磁性材料、圧粉磁心、軟磁性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圧粉磁心の製造方法
JP2008063651A (ja) 圧粉磁心用鉄基軟磁性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圧粉磁心
JP2008135674A (ja) 軟磁性合金粉末、圧粉体及びインダクタンス素子
TW201236031A (en) Soft magnetic powder
JP2005286145A (ja) 軟磁性材料の製造方法、軟磁性粉末および圧粉磁心
KR20140128762A (ko)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720B1 (ko) 압분 자심용 혼합 분말
KR20140081357A (ko) 이중층 복합 금속 분말, 그 제조방법 및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JP6615850B2 (ja) 複合磁性材料及びコアの製造方法
US6179894B1 (en) Method of improving compressibility of a powder and articles formed thereby
KR20140076282A (ko) 연자성 코어 및 그 제조방법
JP7066586B2 (ja) 複合磁性材料、メタルコンポジットコア、リアクトル、及びメタルコンポジットコアの製造方法
CN108698124B (zh) 新组合物和方法
WO2015098414A1 (ja) 圧粉磁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025083A (ja) 軟磁性粉末、この軟磁性粉末によって構成された圧粉磁心、軟磁性粉末の製造方法及び圧粉磁心の製造方法。
JP2010016290A (ja) 鉄系金属磁性粒子、軟磁性材料、圧粉磁心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6100292A (ja) 粉末磁性体コア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粉末磁性体コア
KR20140095362A (ko) 이중층 복합 금속 분말 및 연자성 코어의 제조방법
JP2009290128A (ja) 圧粉磁心の製造方法
JP2006310873A (ja) 圧粉磁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4856602B2 (ja) 圧粉磁心用鉄基軟磁性粉末および圧粉磁心
JP2007129093A (ja) 軟磁性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圧粉磁心
JP2016072553A (ja) 圧粉磁心及び圧粉磁心の製造方法
JP7338644B2 (ja) 焼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