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530A - 자립식 주근 서포터,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립식 주근 서포터,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530A
KR20140127530A KR1020130045958A KR20130045958A KR20140127530A KR 20140127530 A KR20140127530 A KR 20140127530A KR 1020130045958 A KR1020130045958 A KR 1020130045958A KR 20130045958 A KR20130045958 A KR 20130045958A KR 20140127530 A KR20140127530 A KR 2014012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body
supporter
pedestal
concret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철
이영학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530A/ko
Publication of KR2014012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상부근과 하부근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주근 서포터 및 이를 이용한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근 서포터는: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을 지지하는 서포터 몸체; 그리고 상기 서포터 몸체가 전도되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주근 서포터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배근을 위해 적용되며,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배근이 용이하도록 자립식 즉 외력의 작용을 받지 않고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근의 배근이 용이하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콘크리트 보의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립식 주근 서포터,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Self-standing Bar Supporter, Composite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부근(상부 주근)과 하부근(하부 주근)의 설치를 위한 주근 서포터와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립이 가능한 구조여서 능률적인 시공이 가능하고 상부근과 하부근의 배근이 용이하며 더 나아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와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 또는 토목 구조물에 있어서 보(beam)와 슬래브(Slab)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하중을 주로 휨(굽힘)으로 지탱하는 구조 요소를 뜻한다. 상기 보(beam)는 주로 중력에 따른 하중을 받지만, 돌풍 등으로 인한 풍하중, 지진하중 등을 받기도 한다. 상기 콘크리트 보(beam)에 재하된 하중은 기둥, 벽이나 거더 등을 거쳐 구조물 전체로 전달된다.
그리고, 양단이 고정된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에 하중이 재하되면, 상기 콘크리트 보와 슬래브에 압축과 인장 및 전단 응력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콘크리트 보에 가해지는 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보의 내부에는 상부근과 하부근 및 전단 보강근이 구비되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즉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성한다.
도 1의 (a)와 (b)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예로서 콘크리트 보는 콘크리트(1)와 상기 콘크리트(1)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근(2, 상부 주근), 하부근(3, 하부 주근) 및 전단 보강근(4, Stirrup)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단 보강근(4)은 늑근이라 불리며, 철근 콘크리트 보의 상하주근을 감은 철근으로서, 상기 상부근(2)과 하부근(3)을 둘러싸는 사각 고리 형태로 거푸집상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부근(2)와 하부근(3)을 지지하며,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상기 상부근(2)과 하부근(3) 및 전단 보강근(4)이 콘크리트(1)와 일체화되고, 상기 콘크리트(1)의 양생후에 상기 거푸집이 제거됨으로써 종래의 콘크리트 보(10)가 완성된다.
상기 상부근(2)은 상기 콘크리트 보의 상부를 따라 보의 축방향으로 길게 매설되어서 주로 압축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부근(3)은 상기 콘크리트 보의 하부를 따라 길게 매설되어서 인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상부근(2)과 상기 하부근(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상기 전단 보강근(4)은 상기 콘크리트 보(1)의 전단파괴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콘크리트 보(1)에 전단균열에 의해 콘크리트 보가 전단파괴되지 않도록, 상기 전단 보강근(4)이 상기 콘크리트 보(1)가 상기 전단균열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면을 기준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 보 구조물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전단 보강근(4)은 상기 콘크리트 보의 길이방향(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전단 보강근(4)은 상기 콘크리트 보의 축선에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보의 내부에 매립된다. 상기 전단 보강근(4)들의 간격은 상기 콘크리트 보에 작용하는 전단력의 크기에 맞추어 설계요구조건에 따라 조절된다.
그러나, 종래 콘크리트 보와 슬래브 등과 같은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전단 보강근(4)은 긴 철근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콘크리트 보의 내부에 매립되어 전단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데, 상기 전단 보강근(4)을 상기 콘크리트 보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시공현장에서 긴 철근을 대략 사각형으로 구부리는 벤딩(bending) 작업과 철근의 절단작업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 보강근(4)의 상부 좌우측 꼭지점에 상기 상부근(2)을 배치하고 하부 좌우측 꼭지점에 상기 하부근(3)을 배열하고 그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와이어(wire)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근(2)과 하부근(3)을 상기 전단 보강근(4)에 결속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근(2)과 하부근(3)을 상기 전단 보강근(4)에 정렬하는 작업과 고정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작업자와 긴 작업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점이라 볼 수 있다.
즉, 긴 철근이 사용되는 이러한 구조물은 철근의 절단작업, 철근을 사각링으로 구부리는 벤딩(bending) 작업, 각 철근의 결속 고정을 위한 와이어(wire) 조립 작업 및 전단 보강근의 배치작업 등의 요인에 의해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시공 과정에 오차나 작업불량이 많이 발생하고 작업 소요 시간이 길다. 따라서 복잡한 설치 작업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5743호, 2009년 1월 14일 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04985호, 2007년 8월 16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근과 하부근의 설치가 용이하고,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전단 강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여서 배열 및 배치가 용이한 자립(自立)식 주근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보 또는 슬래브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상부근과 하부근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주근 서포터 및 이를 이용한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근 서포터는: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을 지지하는 서포터 몸체; 그리고 상기 서포터 몸체가 전도되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주근 서포터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용이한 배근을 위해 적용되며, 전단 보강재로서 작용한다.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배근이 용이하도록 자립식 즉 외력의 작용을 받지 않고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가 상기 보 또는 슬래브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해서 상기 서포터 몸체의 전도를 방지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상기 제1받침부의 반대 방향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가 상기 보 또는 슬래브의 내부에 경사지게(예를 들면 보의 전단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해서 상기 서포터 몸체의 전도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부재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터 몸체와 둔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서포터 몸체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서포터 몸체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꺾인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주근 서포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받침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 고정부는, 상기 받침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터 몸체는, 상기 상부근이 설치되는 상부근 설치부와 상기 하부근이 설치되는 하부근 설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근 설치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롯 형상이며; 상기 하부근 설치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롯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서포터 몸체를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주근 서포터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서포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부러지거나 꺾인 적어도 하나의 제1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꺾인 적어도 하나의 제2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와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자립식 주근 서포터는 자체에 받침대가 구비되어서 다른 별도의 지지 수단에 의지하지 않고 일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주근 서포터의 배열 및 배치가 용이하고, 표준화 및 규격화가 가능하므로 시공오차가 감소되고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자립식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어 주근 서포터를 데크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별도의 용접 작업이 없이 타이 볼트(tie bolt)나 고정돌기 등으로 간단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근과 하부근의 배근이 용이하고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와 같은 수평부재의 상부근과 하부근이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상부근 설치부와 하부근 설치부에 배근되는 방식으로 시공되므로, 상기 수평부재를 이루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 단순화되고 용이하며 이로 인해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부재의 상부근과 하부근이 상부근 설치부와 하부근 설치부에 의해 받쳐지는 동시에 슬롯의 틈새 높이에 의해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상한이 제한되므로, 상부근과 하부근의 배근(정렬)이 용이하고 상부근과 하부근의 고정을 위한 철근(전단보강근)의 제조과정(철근 절단 및 벤딩 작업)과 와이어를 이용한 상부근과 하부근의 결속작업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자립식 주근 서포터가 구조물의 설계조건에 맞추어 상부근과 하부근의 주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전단강도를 보강하므로,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최적화 및 극대화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Punching Shear)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르면, 주근 서포터가 구조용 강판 또는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에프알피(FRP)재질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주근의 배근이 용이한 동시에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장스팬화가 가능해진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르면, 자립식 판(Plate) 형상의 주근 서포터는 설계요구 간격에 따른 배열 및 배치가 용이하고 표준화 및 규격화가 용이하므로 모듈화를 통해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대신 시공 오차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의 (a) 및 (b)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보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 및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보 구조물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립식 주근 서포터가 적용된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예로서 콘크리트 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페이서의 여러 가지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콘크리트 보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자립식 주근 서포터가 적용된 콘크리트 보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를 이용한 상부 주근과 하부 구근의 다른 설치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들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자립식 주근 서포터가 적용된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예로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 특히 전단보강재로 사용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실시예들(10, 10a)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근 서포터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근 서포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근 서포터는 자립식 구조, 즉 일정 각도, 예를 들면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쓰러지지 않고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하에서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라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립(自立)식 주근 서포터의 일 실시예(10)는, 상부근과 하부근이 거치되는 서포터 몸체(11)와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전도(넘어짐)를 방지하는 받침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몸체(11)는 상부근이 배치되는 상부근 설치부(12)와 하부근이 배치되는 하부근 설치부(13)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근 설치부(12)와 하부근 설치부(13)는 홈(또는 홀)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들 구성을 각각 상부근 설치홈과 하부근 설치홈이라고 칭하며 상기 상부근 설치부(12)와 하부근 설치부(13)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근 서포터(1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특히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와 같은 가로부재, 즉 수평부재의 내부에 상부근(20) 및 하부근(30)과 함께 매립되어서 전단 파괴에 저항하며, 상기 주근 서포터(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근(20) 및 하부근(30)의 배근된다.
상기 서포터 몸체(11)는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을 지지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상술한 상부근 설치홈(12)와 하부근 설치홈(13)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은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은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근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근(20)은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에 끼워져서 배근, 즉 정렬되고, 상기 하부근(30)은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에 끼워져서 배근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은 슬롯(Slot)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은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상부에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폭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내부에 복수의 상부근(20)들이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근 설치홈(12)과 하부근 설치홈(13)은 각각 상부근(20)과 하부근(30)을 지지하는데, 상기 상부근(20)은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바닥에 놓여져서 받쳐지게 된다.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은 상기 상부근(20)이 기설정된 높이(설계상 요구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근(20)을 일정 높이에서 받쳐주는 동시에 상기 상부근(20)의 상한을 제한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주근 서포터(10)의 상부근 설치홈(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절개된 슬롯(Slot)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근(20)이 상기 서포터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부근 삽입구(12a)를 통해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상부근의 주축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으로 끼워져서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내부에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근(20)은 상기 미끄럼(Sliding) 이동 또는 구름(Rolling)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내부에 정렬될 수 있고,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이 상기 상부근을 받쳐주는 동시에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틈새 높이를 형성하는 상단면이 상기 상부근(20)의 상측을 막아서 상기 상부근(20)의 상한을 제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상단부(11a)가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상단면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상부근(20)이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가장자리에 전술한 상부근 삽입구(12a)가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상부근(20)이 상기 주근 서포터(10), 즉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에는 걸림턱(12b)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가 개구(Open)되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상기 상부근 삽입구(12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바닥이 상기 상부근 삽입구(12a)보다 더 낮은 구조가 되면, 상기 상부근(20)이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에 배근되었을 때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바닥과 상기 상부근 삽입구(12a) 간의 단차(Step)가 상술한 걸림턱(12b)이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근(20)이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근 삽입구(12a)의 높이까지 부양되지 않는 한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내부에 갇히게 된다. 물론, 상기 상부근 삽입구(12a)의 위치가 전술한 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상부근 삽입구(12a)가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상단 등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근 설치홈(13)도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처럼 슬롯(Slo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은 상기 서포터 몸체(11)를 두께방향(주근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하부에 가로방향(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내부에 복수의 하부근(30)들이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은 상기 하부근(30)의 받치는 동시에 상기 하부근(30)의 상한을 제한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바닥에 상기 하부근(30)이 안착되어서 지지된다.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하부근(30)들이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에 끼워져서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은 상기 하부근(30)을 받쳐주는 동시에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상단면이 상기 하부근(30)의 상한을 제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하단부(11b)가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바닥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근(30)을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하부근 삽입구(13a)가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상부근(20)이 상기 주근 서포터(10), 즉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에는 걸림턱(13b)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근 삽입구(13a)가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바닥이 상기 하부근 삽입구(13a)보다 더 깊은 구조가 되면,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바닥과 상기 하부근 삽입구(13a) 간의 단차가 상기 걸림턱(13b)의 기능을 하므로, 상기 하부근(30)이 외력에 의해 상기 하부근 삽입구(13a)의 높이까지 부양되지 않는 한 자중에 의해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내부에 갇히게 된다. 물론, 상기 하부근 삽입구(13a)의 위치가 전술한 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근 설치홈(12)과 하부근 설치홈(13)은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일체로 형성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는 상기 상부근(20) 및 하부근(3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되어서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예를 들면 콘크리트 보 또는 슬래브의 내부에 매립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특히 상기 서포터 몸체(11)는 판 형상, 즉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근 설치홈(12)과 하부근 설치홈(13)은 상기 서포터 몸체(1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특히 상기 서포터 몸체(11)는 대략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는 상기 서포터 몸체(1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14)은 상기 상부근 설치홈(12)과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사이에 위치하며, 도 3에 도시된 주근 서포터(10)와 같이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하나의 관통홀(14)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다른 실시예(10a)와 같이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복수개의 관통홀(14a)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14, 14a)은 상기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10a)와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강화한다.
한편,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10a)는 자립을 위하여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전술한 받침대(60)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일체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포터 몸체(11)가 상기 받침대(6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주근 서포터의 배치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서포터 몸체(11)가 일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해서 전도를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서포터 몸체(11)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60)를 지지하거나, 상기 서포터 몸체(11)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11)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주근 서포터(10, 10a)의 일부를 구부리거나 꺾은 구조, 예를 들면 상기 주근 서포터(10, 10a)의 일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근 서포터의 하단부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를 형성해서 상기 주근 서포터(10)의 하단부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이 부분들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부리거나 꺾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용접 등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전도를 방지할 수도 있다. 다만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하고 구부리거나 꺾는 판금가공을 이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근 서포터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받침부(60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받침부(60a)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가해지는 전도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하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상기 제1받침부(60a)의 반대 방향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받침부(6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 몸체(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받침부(60a)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받침부(60b)는 상기 제1받침부와 180°를이루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하단에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받침부(60a)와 상기 제2받침부(60b)가 상기 서포터 몸체(11)와 둔각을 이룰 수도 있으며,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곡률지게 구부러지거나 꺾인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받침부(60a)와 상기 제2받침부(60b)가 동일한 폭으로서 상기 서포터 몸체(11)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1개씩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받침부(60a)와 상기 제2받침부(60b)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N개의 제1받침부(60a)들과 N-1개의 제2받침부(60b)들이 교대로 배열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60a)와 상기 제2받침부(60b)의 폭 및/또는 형상은 서로 달라도 무방하며, 상기 받침대(60)가 복수개의 제1받침부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받침부들의 폭이나 형상이 서로 달라도 무방하고, 이는 제2받침부(60b)의 경우에도 동일하며, 다만 상기 서포터 몸체(11)가 세워진 상태에서 전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받침부(60a)와 상기 제2받침부(60b)는 각각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전체 폭에 대해 대략 절반 크기로 형성되는 사각판 형상이며, 상기 서포터 몸체(11) 하단부 중앙 지점을 중심으로 점대칭(Point Symmetry)을 이루도록 구성된 예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서포터 몸체(1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하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60), 다시 말해서 상기 제1받침부(60a)와 제2받침부(6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주근 서포터(10, 10a)를 설계상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 고정부는 상기 받침대(60), 즉 상기 제1받침부(60a)와 제2받침부(60b)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6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근 서포터(10, 10a)의 배치가 요구되는 부분에 상기 주근 서포터(10, 10a)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홀(61)에 볼트(70),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이 볼트를 체결해서 상기 주근 서포터(1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주근 서포터(10)가 설치되는 부분(후술하는 스페이서나 데크 플레이트)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미도시)를 상기 고정홀(61)에 끼움으로써 상기 주근 서포터(10, 10a)가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을 배근하는 과정이나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 상기 주근 서포터(10, 10a)가 초기 배치위치를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상기 주근 서포터의 전도 방지도 더욱 완전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10a)를 이용하여 슬래브 시스템을 시공하는 할 경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10a)를 데크 플레이트(도 12 참조)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상기 타이 볼트(70)나 돌기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받침대(60)에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10a)를 이용한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예를 들면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시공에서 콘크리트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와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10a)는 FRP(섬유강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구조용 강판 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10a)와 콘크리트는 재료의 이질성, 즉 이형성으로 인해 서로 잘 붙지 않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홀(14, 14a)이 콘크리트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와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 10a)의 일체성(부착성)을 강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가 적용된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예로서 콘크리트 보(빔)의 일 실시예(40)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립식 주근 서포터가 적용된 합성 콘크리트 보의 일 실시예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스페이서의 여러 가지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합성 콘크리트 보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일 실시예(10)는 상기 콘크리트 보(40)의 축방향(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는 상기 받침대(60)로 인해 별도의 전도 방지수단 없이도 세워진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주근 서포터(10)를 이용하여 상부근(20)과 하부근(30)의 배근이 완료되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보가 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는,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의 배근 및 고정을 위해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의 주축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거치되는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을 지지하며, 상기 콘크리트 보의 전단파괴에 대해 저항하는 전단 보강재로 작용한다. 즉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는 철근(상부 주근, 하부 주근)의 정렬 및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 보강재가 된다.
상기 콘크리트 보의 일 실시예(40)에서는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가 설계 요구조건에 맞추어 상기 콘크리트 보의 축방향을 따라 일열 종대로 배치된 형태이다.
상기 주근 서포터(10)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주근 서포터의 받침대(60)를 콘크리트 보(40)의 하단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스페이서(100, Spacer)가 거푸집(도시되지 않음)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스(100) 위에 상기 주근 서포터(10)가 자립식으로 배치된다.
도 7에는 여러 가지 형상의 스페이서(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모르타르 등으로 제조되는데, 상기 스페이서(100)는 상기 주근 서포터(10)가 세워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탄한 형상 예를 들면 직육면체나 정육면체 형상이면 충분하며 건축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주근 서포터(10)는 상기 고정홀(61)에 설치되는 볼트 등의 긴결재를 이용하여 상기 스페이서(100)의 상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홀(61)에 끼워지는 돌기가 상기 스페이서(100)의 상측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자립식 주근 서포터가 적용된 콘크리트 보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경사진 형태로 적용되는 주근 서포터(이하,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라 한다)로서, 상기 받침대(60)는 판형인 서포터 몸체(11)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받침부(60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받침부(60a)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와 예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제1받침부의 반대방향을 향하며 상기 서포터 몸체와 둔각을 이루는 제2받침부(6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하단부(11b)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전방과 후방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받침부(60a)와 제2받침부(6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받침부(60a)와 제2받침부(60b)는 상호 180°를 이루도록 구부러지거나 꺾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를 이용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형태(기울어진 형태)로 세워져서 상부근(20)과 하부근(30)을 지지하는 주근 서포터(10b)가 매립된 구조의 콘크리트 보(40a)가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는 상기 콘크리트 보(40a)에서 전단면이 형성되는 방향(전단 균열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되, 이때에도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지하지 않고 상기 받침대(60)에 의해 스스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받침 고정부,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홀(61)도 본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를 이용한 상부근(20)과 하부근(30)의 배근 및 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를 설계상 요구되는 위치에 배열한다. 이때, 상기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는 상기 받침대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주근 서포터(10b)들을 먼저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에 꿰고, 그 후에 상기 주근 서포터(10b)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래브의 바닥을 구성하는 데크 플레이트(도 12 참조) 상에 상기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위에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를 올려놓고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타이 볼트(70)로 간단히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자립식 주근 서포터(10b)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의 배근이 완료된 후에는 콘크리트(41)를 타설하는 순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1의 (a) 내지 (c)는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의 다른 설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상부 주근과 하부 주근의 설치 형태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근 배치 구조(복층 구조)의 하부 주근(31, 32)이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내부에 배근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바닥에 하층 하부 주근(31)이 안착된 형태로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상단면(천장면)에 상층 하부 구근(32)이 접촉된 형태로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층 하부 주근(32)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터 몸체(11)에 결속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발근 배치 구조의 하부 주근(33)이 상기 하부근 설치홈(13)의 내부에 배근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주근(20)은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상단면(천장면)에 접촉되게 배근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상부 주근(20)은 와이어(21)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터 몸체(11)의 상단부(11a)에 결속고정될 수 있고, 상기 상부근 설치홈의 걸림턱(12b)은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입구(상부근 삽입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근 설치홈(12)의 상단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주근 서포터(10)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일 실시예(50)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 플레이트(80) 상에 상기 자립식 주근 서포터(10)를 올려놓고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타이 볼트(70)로 간단히 체결한 다음,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 및 배력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손쉽게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50)의 내부에는 배력근(부근)이 상기 상부근(20)과 하부근(30)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10a, 10b: 주근 서포터 11: 서포터 몸체
12: 상부근 설치부 13: 하부근 설치부
14, 14a: 관통홀 20: 상부근
30: 하부근 40, 40a: 콘크리트 보
50: 콘크리트 슬래브 60: 받침대
61: 고정홀 70: 타이 볼트
80: 데크 플레이트 100: 스페이서

Claims (14)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상부근과 하부근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주근 서포터로서: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을 지지하는 서포터 몸체; 그리고
    상기 서포터 몸체가 전도되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해서 상기 서포터 몸체의 전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상기 제1받침부의 반대 방향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가 상기 콘크리크 구조물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해서 상기 서포터 몸체의 전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부재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터 몸체와 둔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포터 몸체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서포터 몸체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꺾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주근 서포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받침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고정부는, 상기 받침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는, 상기 상부근이 설치되는 상부근 설치부와 상기 하부근이 설치되는 하부근 설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근 설치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롯 형상이며; 상기 하부근 설치부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롯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를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주근 서포터.
  14. 상부근; 상기 상부근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근; 및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과 함께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복수개의 주근 서포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기 주근 서포터는;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을 지지하는 서포터 몸체, 그리고
    상기 서포터 몸체가 전도되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터 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서포터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30045958A 2013-04-25 2013-04-25 자립식 주근 서포터,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20140127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958A KR20140127530A (ko) 2013-04-25 2013-04-25 자립식 주근 서포터,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958A KR20140127530A (ko) 2013-04-25 2013-04-25 자립식 주근 서포터,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530A true KR20140127530A (ko) 2014-11-04

Family

ID=5245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958A KR20140127530A (ko) 2013-04-25 2013-04-25 자립식 주근 서포터,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5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IES20100101A2 (en) A construction system
KR101531626B1 (ko)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US20070039276A1 (en) Concrete reinforcer and method
KR101722977B1 (ko) 기초보강재
US20110247291A1 (en) Reinforcement Bar Support Device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20200136127A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JP6871728B2 (ja) プレハブ構造
KR101253679B1 (ko) Pc 세그먼트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9137B1 (ko) 공간확장을 위한 pc보유닛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9030B1 (ko) 트러스형 거푸집 서포트 어셈블리
JP6849491B2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40127530A (ko) 자립식 주근 서포터,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JP7270213B2 (ja) アーチ鉄筋の組立方法
CN211369159U (zh) 一种带约束边缘节点模块的装配式剪力墙
JP4711816B2 (ja) 増設梁及び床パネルの補強方法
JP2754369B2 (ja) 建築構造物のボイドスラブ用鉄筋ユニット
CN110748039B (zh) 一种带约束边缘节点模块的装配式剪力墙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4372642B2 (ja) 柱状構造物の構築方法
JP5856829B2 (ja) 仮設足場による鉄筋先組架台とその構築方法、鉄筋籠の地組方法
KR101398435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에 의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