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045A -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045A
KR20140127045A KR1020130045558A KR20130045558A KR20140127045A KR 20140127045 A KR20140127045 A KR 20140127045A KR 1020130045558 A KR1020130045558 A KR 1020130045558A KR 20130045558 A KR20130045558 A KR 20130045558A KR 20140127045 A KR20140127045 A KR 2014012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at pad
plate
upper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824B1 (ko
Inventor
배정희
Original Assignee
배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희 filed Critical 배정희
Priority to KR20130045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2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지지대를 배열하고, 플로어 판재의 설치영역과 기계장비 설치 영역에 따라 프레임을 배열하여 엑세스 플로어 및 기계장비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내하중 강도가 향상되도록 한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측부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측부에 결속되는 클립과, 상기 클립이 형성된 타측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타측부에 결속되는 로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Flat pad and the access floor installation device }
본 발명은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지지대를 배열하고, 플로어 판재의 설치영역과 기계장비 설치 영역에 따라 프레임을 배열하여 엑세스 플로어 및 기계장비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내하중 강도가 향상되도록 한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화 교환실 등과 같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엑세스 플로어(Access floor)를 조립 시공함에 있어서, 바닥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이 지지대에 프레임과 플로어 패널을 조립하여 설치하고 있으며, 교환기 장비, 콘트롤장비와 같은 기계장비는 별도의 다이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엑세스 플로어 조립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교환국의 기계실과 같은 설치장소의 바닥면(1)에 대수개의 지지대(20)가 종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 지지대(20) 상부에는 일정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프레임(26)이 고정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지지대(20)의 상부에 프레임(26)이 결합되고, 프레임(26) 상부에 플로어 판재(27)가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0)는 베이스(21)에 지지관(2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관(22)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션 너트(23)가 결합됨과 동시에 지지관(22)에 삽입되는 볼트(24)가 엘리베이션 너트(23)와 나사 결합되고, 볼트(24)의 상단부에는 헤드(25)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20)의 헤드(25)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단면의 프레임(26)이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홈(25a)이 사방으로 형성되고, 헤드(25)의 중간부에는 플로어 판재(27)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25b)이 삽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6)은 단부에 체결공(26a)이 형성되고, 플로어 판재(27)는 측면(27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장치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프레임(26)의 단부를 지지대(20)의 헤드(25)에 형성된 고정홈(25a)에 삽입한 후 프레임(26)과 헤드(25)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28)를 삽입하여 체결하며, 이와 같이 종횡으로 배열설치되는 프레임(26) 상부에 플로어 판재(27)를 올려 결합하면 플로어 판재(27)의 경사 측면(27a)이 헤드(25)의 걸림편(25b)에 접촉되면서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립장치는 프레임(26)의 양단부를 지지대(20)의 헤드(25)에 형성한 고정홈(25a)에 걸쳐진 상태로 고정하고, 이 프레임(20) 상부에 플로어 판재(27)를 올려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프레임(20)의 체결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길이가 짧게 절단되고 약하게 체결되는 프레임(26)은 플로어 판재(27)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지탱하지 못하고, 플로어 판재(27)의 모서리부가 지지대(20)의 헤드(25)에 의해 지탱되는 구조이므로 플로어 판재(27) 자체의 하중 및 그에 가하여지는 외부 하중이 헤드(25)와 접촉된 모서리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지탱할 수 있는 하중 강도가 약하며, 이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면 플로어 판재(27)가 변형되어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임(26)의 "ㄷ"자 형상의 단부가 운반 취급시 쉽게 손상이 되고, 이와 같이 프레임(26)의 단부가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면 헤드(25)의 고정홈(25a)에 끼우기가 까다롭게 되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정한 규격의 플로어 판재(27) 만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엑세스 플로어의 하부에 지지대(20)를 설치할 수 없는 등 설치가 어렵고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장치는 교환기실, 방재센타, 콘트롤룸, EPS실 등 엑세스 플로어 하부에 처리할 케이블 배선이 많거나 또는 장비판넬 하부에 별도의 장비 다이를 일정치 않는 규격이나 간격으로 독립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고 복잡하게 되며,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30069호가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특허등록 제10-0230069호는 지지대의 상부에 볼트가 형성되고, 이 볼트에 헤드가 나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높이 조절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나 이웃하는 지지대의 헤드와의 밸런스를 맞추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플로어 판재가 안착되도록 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간격유지패드는 단지 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플로어 판재의 안착시 간격유지패드가 밀리는 등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플로어 판재를 안착시 간격유지패드를 작업자가 고정시킨 상태에서 플로어 판재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작업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포트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프레임에 플랫패드를 안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플로어 판재를 설치함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H"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을 서포트의 상부에 설치하고,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랫패드의 상판 일측부에 프레임에 끼워지는 클립이 형성되며, 타측부는 상판에 고정시켜 프레임의 타측부에 고정되는 로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프레임에 플랫패드를 설치시 이탈 및 유동하지 않고 프레임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플랫패드의 상판을 프레임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클립 및 로킹부재를 이용하여 결속 고정시킴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규격에 맞도록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플랫패드의 상부에 다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에 나사가 위치되도록 하여 프레임의 상부에 플랫패드를 안착시킨 후 나사를 이용하여 플랫패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설치시 플랫패드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플로어 판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플랫패드의 상판 상부에 밀림방지턱을 형성함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설치시 플로어 판재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플랫패드의 상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설치 후 상부에서 가하는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설치된 플로어 판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서포트의 상부에 고정판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에 다수개의 나사축이 구비되어 이 나사축에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나사축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설치시 벨런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측부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측부에 결속되는 클립과, 상기 클립이 형성된 타측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타측부에 결속되는 로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양측부에 결속되는 로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부에는 절곡 형성되어 프레임의 양측부에 결속되는 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밀림방지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림방지턱은 "-"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판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판의 양측 또는 일측부에 결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부재에는 상판의 결속공에 대응되는 고정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결속공에 끼워져 로킹부재의 고정나사공에 나사고정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플랫패드와, 상기 플랫패드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로어 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루축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는 서포트의 고정구에 결합된 스크루축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서포트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프레임에 플랫패드를 안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플로어 판재를 설치함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H"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을 서포트의 상부에 설치하고,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랫패드의 상판 일측부에 프레임에 끼워지는 클립이 형성되며, 타측부는 상판에 고정시켜 프레임의 타측부에 고정되는 로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프레임에 플랫패드를 설치시 이탈 및 유동하지 않고 프레임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랫패드의 상판을 프레임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클립 및 로킹부재를 이용하여 결속 고정시킴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규격에 맞도록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랫패드의 상부에 다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에 나사가 위치되도록 하여 프레임의 상부에 플랫패드를 안착시킨 후 나사를 이용하여 플랫패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설치시 플랫패드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플로어 판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랫패드의 상판 상부에 밀림방지턱을 형성함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설치시 플로어 판재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랫패드의 상부에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플로어 판재의 설치 후 상부에서 가하는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설치된 플로어 판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서포트의 상부에 고정판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에 다수개의 나사축이 구비되어 이 나사축에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나사축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설치시 벨런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조립장치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서포트를 보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를 보인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서포트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100)는 반도체장비실, 클린룸, 컴퓨터서브룸 등의 실내 박닥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서포트(110)와 상기 서포트(110)에 설치되는 플랫패드(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110)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112)이 구비되고, 이 바닥판(112)의 상부에는 지주(114)가 구비되며, 이 지주(114)의 상부에는 고정판(11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16)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고정구(118)가 형성되되, 이 고정구(118)에는 볼트공(118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110)는 바닥면에 횡과 종 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가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110)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판(116)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구(118)에 스크루축(120)이 상부로 돌출되게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110)의 상부에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게 안착되는 프레임(2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10)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 돌출구에는 고정판(116)에 나사 결합된 스크루축(120)이 끼워지는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10)의 관통공(212)에 스크루축(120)이 끼워져 고정될 때 프레임(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의 상, 하부에 위치되도록 스크루축(120)에 나사 결합되어 프레임(210)을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고정너트(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축(120)에 결합 고정된 프레임(210)은 고정너트(130)의 풀림과 조임에 따라 프레임(210)의 높이가 조절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프레임(210) 간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안착 결합되는 플랫패드(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플랫패드(310)는 프레임(2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312)이 구비되고, 이 상판(312)의 일측부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결속공(3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312)의 상부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되게 밀림방지턱(316)이 형성되되, 이 밀림방지턱(316)은 상판(312)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판(312)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나사공(318)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상판(312)의 일측부, 즉 결속공(314)이 형성된 타측부 하단에는 절곡 형성되어 프레임(21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클립(3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클립(320)은 상판(312)의 일측부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게 절곡시켜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클립(320)이 형성된 상판(312)의 타측부 하단에는 클립(320)이 결합된 프레임(210)의 타측부에 결속 지지되는 로킹부재(3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로킹부재(33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판(312)에 형성된 결속공(3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나사공(3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312)에 형성된 결속공(314)에 끼워져 로킹부재(330)의 고정나사공(332)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3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로킹부재(330)에 형성된 고정나사공(332) 대신 관통공을 형성하고, 고정볼트(340)를 상판(312)의 결속공(314) 및 로킹부재(330)의 관통공에 끼워 로킹부재(330)의 하부로 돌출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를 이용하여 로킹부재(330)를 상판(312)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플랫패드(310)는 상판(312)의 일측부에 형성된 클립(320)과 타측부에 구비된 로킹부재(330)에 의해 프레임(210)의 상부에 이탈되지 않고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랫패드(310)의 상판(312)은 프레임(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판(312)의 하부에 구비된 클립(320)과 로킹부재(330)에 결속된 프레임(210)의 측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플랫패드(310)가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좌, 우로 약10mm 정도의 유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랫패드(310)의 상부에는 고무재질 등 미끄럼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재(3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된 프랫패드(310)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로어 판재(4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100)는 먼저, 바닥면에 서포트(110)를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하되, 다수개를 일정 간격으로 종과 횡 방향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서포트(110)의 하부에 구비된 바닥판(112)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서포트(110)를 바닥면에 설치한 후 서포트(110)의 상부에 프레임(210)을 안착시키되, 서포트(110)의 상부에 구비된 스크루축(120)으로 프레임(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이 끼워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10)을 서포트(110)의 상부에 안착시킬 때 스크루축(120)에 고정너트(130)를 먼저 결속시킨 후 프레임(210)의 관통공(212)을 스크루축(120)에 끼워 스크루축(120)에 끼워진 고정너트(13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관통공(212)의 상부에 위치되게 또 다른 고정너트(130)를 스크루축(120)에 체결하게 되면 이 고정너트(130)에 의해 프레임(210)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11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된 프레임(210)은 고정너트(130)의 풀고 조임에 의해 이웃하는 프레임(210)과의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이웃하는 프레임(210)과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서포트(110)의 상부에 프레임(210)을 안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프레임(210)의 상부에 플랫패드(310)를 결속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10)에 플랫패드(310)를 고정시킬 때 다수개의 고정볼트(340)에 의해 상판(312)에 고정된 로킹부재(330)는 다수개의 고정볼트(340)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고정볼트(340)만 결속시켜 상판(312)과 연결시키게 되면 로킹부재(330)는 이 고정볼트(34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상판(312)에 회동 가능하게 로킹부재(330)를 구비한 상태에서 프레임(210)의 일측부에 먼저 클립(320)을 결속시킨 후 로킹부재(330)를 프레임(210)의 상단에 돌출된 돌출구의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고정볼트(340)를 조여줌과 동시에 상판(312)과 로킹부재(330)에 형성된 또 다른 다수개의 결속공(314) 및 고정나사공(332)에 고정볼트(340)를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프레임(210)에 플랫패드(310)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플랫패드(310)를 안착시킨 후 상판(312)에 형성된 나사공(318)에 나사 결합된 나사(319)를 조여주게 되면 프레임(210)에 플랫패드(310)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플랫패드(310)를 결합 고정시킨 상태에서 플랫패드(310)의 상부에 플로어 판재(410)를 안착시키게 되면 엑세스 플로어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랫패드(310)의 상부(312)에 플로어 판재(410)의 안착시 플랫패드(310)의 상판(312)에 형성된 밀림방지턱(316)에 의해 플로어 판재(410)는 정확하게 위치하개 되고, 밀리지 않아서 안전하게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패드(310)의 상판(312)에 미끄럼방지부재(350)가 구비되고, 이 상부에 플로어 판재(410)가 안착되게 되어 플로어 판재(410)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풀로어 판재(410)의 상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랫패드(310)의 상판(312) 양측부에 결속공(3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312)의 양측 하단부에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로킹부재(3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판(312)의 상부에는 밀림방지턱(316)이 형성되되, 이 밀림방지턱(316)은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랫패드 상판의 양측 하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클립(3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패드 및 이릉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110 : 서포트
112 : 받닥판 114 : 지주
116 : 고정판 118 : 고정구
118a : 볼트공 120 : 스크루축
130 : 고정너트 210 : 프레임
212 : 관통공 310 : 플랫패드
312 : 상판 314 : 결속공
316 : 밀림방지턱 318 : 나사공
320 : 클립 330 : 로킹부재
332 : 고정나사공 340 : 고정볼트
350 : 미끄럼방지부재 410 : 플로어 판재

Claims (11)

  1.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측부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측부에 결속되는 클립과,
    상기 클립이 형성된 타측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타측부에 결속되는 로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
  2.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양측부에 결속되는 로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
  3.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부에는 절곡 형성되어 프레임의 양측부에 결속되는 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밀림방지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은 "-"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양측 또는 일측부에 결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부재에는 상판의 결속공에 대응되는 고정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결속공에 끼워져 로킹부재의 고정나사공에 나사고정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
  9.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플랫패드와,
    상기 플랫패드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로어 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상부에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루축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는 서포트의 고정구에 결합된 스크루축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KR20130045558A 2013-04-24 2013-04-24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KR101510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558A KR101510824B1 (ko) 2013-04-24 2013-04-24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558A KR101510824B1 (ko) 2013-04-24 2013-04-24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45A true KR20140127045A (ko) 2014-11-03
KR101510824B1 KR101510824B1 (ko) 2015-04-10

Family

ID=5245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558A KR101510824B1 (ko) 2013-04-24 2013-04-24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954B1 (ko) * 2015-08-24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격자보형 이중마루 하부구조물
KR20170029870A (ko) 2015-09-08 2017-03-16 황윤선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KR20170001724U (ko) 2017-05-08 2017-05-17 황윤선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KR20170001774U (ko) 2017-05-08 2017-05-22 황윤선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CN112627460A (zh) * 2020-12-22 2021-04-0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式整体卫浴底盘及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9507B2 (ja) * 1996-03-29 2005-05-18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床パネルの設置構造
JP4298808B2 (ja) 1997-09-08 2009-07-22 日立機材株式会社 床板の支持脚の固定構造
KR200449679Y1 (ko) * 2008-04-11 2010-07-30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H 빔에의 소켓부재 고정용 클램핑유닛
KR101198268B1 (ko) * 2011-01-28 2012-11-07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의 바닥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의 억세스플로어의 설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954B1 (ko) * 2015-08-24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격자보형 이중마루 하부구조물
KR20170029870A (ko) 2015-09-08 2017-03-16 황윤선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KR20170001724U (ko) 2017-05-08 2017-05-17 황윤선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KR20170001774U (ko) 2017-05-08 2017-05-22 황윤선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CN112627460A (zh) * 2020-12-22 2021-04-0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式整体卫浴底盘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24B1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824B1 (ko)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KR101198268B1 (ko) 클린룸의 바닥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의 억세스플로어의 설치방법
AU2019100993A4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JP4260731B2 (ja) 地震保護位置固定装置
US6817687B1 (en) Frame to floor anchor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435131B2 (en) Portable and reusable connection device having secure anchor point
KR20160025961A (ko) 조립식 앵커
KR20150007372A (ko) 선박용 액세스 플로어의 지지장치 및 그 고정방법
US11318977B1 (en) Lift/moving system
JP2005042411A (ja) 電算機の床面固定構造体
JP2003335478A (ja) レール荷重受けブラケット装置
JP3204411U (ja) 足場用幅木および幅木固定構造
JP2566470Y2 (ja) 構築用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装置
KR20160009453A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KR102174840B1 (ko) 방진 장치
JP6914813B2 (ja) 型枠吊上げ用金具
JP4059763B2 (ja) 耐震対策用固定金具
US20240102293A1 (en) An Apparatus for a Temporary Flooring or Temporary Structure
JP2511888Y2 (ja) 二重床における設備機器類の固定装置
JP3098090U (ja) 架台用固定補助具
JP7429415B2 (ja) 天井下地固定金具
JP2011084957A (ja) 出隅用幅木
JP2018009346A (ja) 免震装置設置工法
JP2009114687A (ja)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JP5661845B2 (ja) 可搬式屋根材歩行体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