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800A -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800A
KR20140126800A KR1020130044183A KR20130044183A KR20140126800A KR 20140126800 A KR20140126800 A KR 20140126800A KR 1020130044183 A KR1020130044183 A KR 1020130044183A KR 20130044183 A KR20130044183 A KR 20130044183A KR 20140126800 A KR20140126800 A KR 20140126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link
hyperlinks
keyword
keywords
control wid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디푸르나완 사트리아
이경희
임채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4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800A/ko
Priority to US14/258,313 priority patent/US20140317485A1/en
Publication of KR2014012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는 웹문서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들을 수집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대상 하이퍼링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들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를 기동하는 상기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는 컨트롤 위젯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DISPLAYING HYPERLINKS USING KEYWORD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이퍼링크의 요소 중 키워드를 선정하여 웹문서와 별개인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기기들이 대중화 되어감에 따라 이들 터치 패널을 이용한 웹서핑 조작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웹페이지 내에 표시된 하이퍼링크를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하이퍼링크를 구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하이퍼링크를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는 경우, 하이퍼링크 간 간격이 좁아 다른 하이퍼링크를 오입력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터치 패널의 조작에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한번의 입력으로 원하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미국공개특허 제2009-0128505호는 레이아웃 조정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에서의 링크 타겟 정확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하이퍼링크에 탭을 하면, 하이퍼링크들의 간격을 넓게 하여 보여줌으로써 다른 하이퍼링크의 오입력을 방지하는 기술을 소개하였다.
또한, 미국공개특허 제2011-0197116호는 하이퍼링크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하이퍼링크에 탭을 하면, 화면을 확대하고 하이퍼링크의 모양을 변화시켜서 보여줌으로써 다른 하이퍼링크의 오입력을 방지하는 기술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하이퍼링크 표시 기술들은, 하이퍼링크의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이퍼링크들 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모양을 변화시키고, 화면을 확대하는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하이퍼링크를 직접 터치해야 하는 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하이퍼링크의 요소 중 키워드를 별도의 컨트롤 위젯으로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하이퍼링크를 직접 터치하지 아니하고, 컨트롤 위젯 내의 키워드만을 터치하여 하이퍼링크를 기동할 수 있고, 새로운 하이퍼링크 표시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퍼링크의 요소 중 키워드를 별도의 컨트롤 위젯으로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하이퍼링크에 직접 터치 입력할 때 발생하는 오입력을 방지하는 하이퍼링크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정된 수만큼만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함으로써, 컨트롤 위젯에 터치 입력할 때 발생하는 오입력을 방지하는 하이퍼링크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기분으로 키워드를 선정하되, 키워드가 동일하여 겹치는 경우, 그 다음 우측 단어를 이용하거나,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선정함으로써,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만으로 하이퍼링크들을 구분케 하는 하이퍼링크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웹문서 내 카테고리와 같은 기동 가능성이 낮은 하이퍼링크들을 표시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보다 효용성 있는 하이퍼링크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는 웹문서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들을 수집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대상 하이퍼링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들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를 기동하는 상기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는 컨트롤 위젯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위젯 표시부는 상기 키워드들을 기설정된 수만큼 상기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고, 나머지 키워드들은 좌측 숨김 상태 및 우측 숨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위젯 표시부는 상기 컨트롤 위젯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스와이프 입력 방향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상기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위젯 표시부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화면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위젯 표시부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상기 화면 내에서 높게 위치하는 순서대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컨트롤 위젯 내 좌측부터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 및 수평 배열 중 어느 배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수직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수평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기(旣)기동 하이퍼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기기동 하이퍼링크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은 웹문서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들을 수집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대상 하이퍼링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들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를 기동하는 상기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위젯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들을 기설정된 수만큼 상기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고, 나머지 키워드들은 좌측 숨김 상태 및 우측 숨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위젯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위젯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스와이프 입력 방향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상기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위젯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화면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위젯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상기 화면 내에서 높게 위치하는 순서대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컨트롤 위젯 내 좌측부터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 및 수평 배열 중 어느 배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수직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수평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기(旣)기동 하이퍼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기기동 하이퍼링크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퍼링크의 요소 중 키워드를 별도의 컨트롤 위젯으로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하이퍼링크에 직접 터치 입력할 때 발생하는 오입력을 방지하는 하이퍼링크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설정된 수만큼만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함으로써, 컨트롤 위젯에 터치 입력할 때 발생하는 오입력을 방지하는 하이퍼링크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기분으로 키워드를 선정하되, 키워드가 동일하여 겹치는 경우, 그 다음 우측 단어를 이용하거나,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선정함으로써,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만으로 하이퍼링크들을 구분케 하는 하이퍼링크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웹문서 내 카테고리와 같은 기동 가능성이 낮은 하이퍼링크들을 표시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보다 효용성 있는 하이퍼링크 표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위젯(370)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와이프 입력(41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와이프 입력(410)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스크롤 입력(61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면 스크롤 입력(610)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리스트 선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 및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는 웹문서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들을 수집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대상 하이퍼링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때,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 및 수평 배열 중 어느 배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평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기(旣)기동 하이퍼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기기동 하이퍼링크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들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때,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하이퍼링크를 기동하는 컨트롤 위젯(370)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키워드들을 기설정된 수만큼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하고, 나머지 키워드들은 좌측 숨김 상태 및 우측 숨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스와이프 입력(410) 방향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화면 스크롤 입력(610)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상기 화면 내에서 높게 위치할수록 상기 키워드를 컨트롤 위젯(370) 내 좌측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은 웹문서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들을 수집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대상 하이퍼링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한다(S310).
이 때, 단계(S3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 및 수평 배열 중 어느 배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평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3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기(旣)기동 하이퍼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기기동 하이퍼링크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은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들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한다(S320).
이 때, 단계(S32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은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하이퍼링크를 기동하는 컨트롤 위젯(370)을 화면에 표시한다(S330).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키워드들을 기설정된 수만큼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하고, 나머지 키워드들은 좌측 숨김 상태 및 우측 숨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스와이프 입력(410) 방향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화면 스크롤 입력(610)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상기 화면 내에서 높게 위치할수록 상기 키워드를 컨트롤 위젯(370) 내 좌측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위젯(370)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위젯(370)은 터치 패널(300)의 화면 내에 표시된다.
터치 패널(300)은 LCD, PDP 및 OLED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300)의 화면 내에는 웹문서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들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퍼링크들은 입력이 가능한 단어 및 밑줄의 결합을 상기 하이퍼링크들의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퍼링크들은 수평 배열 및 수직 배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이퍼링크들은 대각선 배열일 수 있다.
이 때,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을 수집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대상 하이퍼링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 및 수평 배열 중 어느 배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평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들(321 내지 325)을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수평 배열 하이퍼링크들(311 내지 313)을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들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 중 제1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1)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Digital"을 제1 키워드(371), 제2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2)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Mirrorless"를 제2 키워드(372), 제3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3)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Digital"을 제3 키워드(373), 제4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4)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Analog"을 제4 키워드(374), 제5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5)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Off-Topic"을 제5 키워드(375)로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제1 키워드(371) 및 제3 키워드(373)이 "Digital"로 동일한 경우, 제1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1)의 요소의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인 "SLR"을 제1 키워드(371), 제3 대상 하이퍼링크(323)의 요소의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인 "Point"를 제3 키워드(373)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재선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워드들을 구분케 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하이퍼링크를 기동하는 컨트롤 위젯(37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키워드들을 기설정된 수만큼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하고, 나머지 키워드들은 좌측 숨김 상태 및 우측 숨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기설정된 수가 3인 경우, 제1 키워드(371)인 "SLR", 제2 키워드(372)인 "Mirrorless" 및 제3 키워드(373)인 "Point"를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기설정된 수가 3인 경우, 제4 키워드(374)인 "Analog" 및 제5 키워드(375)인 "Off-Topic"을 우측 숨김 상태로 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기설정된 수가 4인 경우, 제1 키워드(371)인 "SLR", 제2 키워드(372)인 "Mirrorless", 제3 키워드(373)인 "Point" 및 제4 키워드(374)인 "Analog"를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기설정된 수가 4인 경우, 제5 키워드(375)인 "Off-Topic"을 우측 숨김 상태로 설정 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수는 사용자가 컨트롤 위젯(370) 내 상기 키워드들을 클릭하기 용이하도록 키워드 간격이 1cm 미만이 되지 아니하도록 설정 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스와이프 입력(410) 방향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우측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우측 숨김 상태로 설정된 제4 키워드(374) 및 제5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스와이프 입력(410) 방향에 나란하게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들(371 내지 375)이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스와이프 입력(410) 방향에 나란하게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들(371 내지 375)이 이동하도록 표시하면서,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화면으로 들어오는 상기 키워드들을 숨김 상태에서 해제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상기 키워드들을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들(371 내지 375)이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면서, 상기 이동에 따라 오른쪽에서부터 상기 화면으로 들어오는 제4 키워드(374) 및 제5 키워드(375)를 우측 숨김 상태에서 해제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왼쪽으로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제1 키워드(371) 및 제2 키워드(372)를 좌측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화면 스크롤 입력(610)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상기 화면 내에서 높게 위치하는 순서대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컨트롤 위젯(370) 내 좌측부터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 중 제1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1), 제2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2), 제3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3), 제4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4) 및 제5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5) 순서대로 상기 화면 내에서 가장 높게 위치하므로, 컨트롤 위젯(370) 내 좌측부터 제1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1)에 상응하는 제1 키워드(371)인 "SLR", 제2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2)에 상응하는 제2 키워드(372)인 "Mirrorless" 및 제3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3)에 상응하는 제3 키워드(373)인 "Point"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110)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기(旣)기동 하이퍼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기기동 하이퍼링크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제1 키워드(371) 및 제3 키워드(373)이 "Digital"로 동일한 경우, "Digital"에 "*"을 추가한 "Digital*"을 제3 키워드(373)로 재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와이프 입력(41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 수단(400)은 사용자의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스와이프 입력(410) 방향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우측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우측 숨김 상태로 설정된 제4 키워드(374) 및 제5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37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스와이프 입력(410) 방향에 나란하게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들(371 내지 375)이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스와이프 입력(410) 방향에 나란하게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들(371 내지 375)이 이동하도록 표시하면서,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화면으로 들어오는 상기 키워드들을 숨김 상태에서 해제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상기 키워드들을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컨트롤 위젯(370)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와이프 입력(410)이 있는 경우,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들(371 내지 375)이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하면서, 상기 이동에 따라 오른쪽에서부터 상기 화면으로 들어오는 제4 키워드(374) 및 제5 키워드(375)를 우측 숨김 상태에서 해제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왼쪽으로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제1 키워드(371) 및 제2 키워드(372)를 좌측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와이프 입력(410)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스와이프 입력(410)의 결과로,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들(371 내지 375)이 왼쪽으로 이동하여, 제1 키워드(371) 및 제2 키워드(372)가 좌측 숨김 상태로 설정되고, 제4 키워드(374) 및 제5 키워드(375)가 우측 숨김 상태에서 해제된 것을 알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스와이프 입력(410)의 결과로, 제3 키워드(373), 제4 키워드(374) 및 제5 키워드(375)가 컨트롤 위젯(370) 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스크롤 입력(61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 수단(400)은 사용자의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화면 스크롤 입력(610)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화면 스크롤 입력(610)이 있는 경우, 위쪽으로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화면 스크롤 입력(610)이 있는 경우, 위쪽으로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제1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1)에 상응하는 제1 키워드(371)를 좌측 숨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상기 화면 내에서 높게 위치할수록 상기 키워드를 컨트롤 위젯(370) 내 좌측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위젯 표시부(13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 중 제2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2), 제3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3), 제4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4) 및 제5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5) 순서대로 상기 화면 내에서 가장 높게 위치하므로, 컨트롤 위젯(370) 내 좌측부터 제2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2)에 상응하는 제2 키워드(372)인 "Mirrorless", 제3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3)에 상응하는 제3 키워드(373)인 "Point" 및 제4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4)에 상응하는 제4 키워드(374)인 "Analog"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면 스크롤 입력(610)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화면 스크롤 입력(610)의 결과로, 제1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1)가 위쪽으로 상기 화면을 벗어나고, 제1 키워드(371)가 좌측 숨김 상태로 설정되고, 제4 키워드(374)가 우측 숨김 상태에서 해제된 것을 알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된 화면 스크롤 입력(610)의 결과로, 제2 키워드(372), 제3 키워드(373) 및 제4 키워드(374)가 컨트롤 위젯(370) 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리스트 선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 중 제1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1)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Digital"을 제1 키워드(371), 제2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2)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Mirrorless"를 제2 키워드(372), 제3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3)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Digital"을 제3 키워드(373), 제4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4)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Analog"을 제4 키워드(374), 제5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325)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인 "Off-Topic"을 제5 키워드(375)로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제1 키워드(371) 및 제3 키워드(373)이 "Digital"로 동일한 경우, "Digital"에 "*"을 추가한 "Digital*"을 제3 키워드(373)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120)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워드들을 구분케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
120: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
130: 컨트롤 위젯 표시부
300: 터치 패널
311 내지 313: 수평 배열 하이퍼링크들
321 내지 325: 수직 배열 하이퍼링크들
370: 컨트롤 위젯
371 내지 375: 컨트롤 위젯 내 키워드들
400: 입력 수단
410: 스와이프 입력
610: 화면 스크롤 입력

Claims (20)

  1. 웹문서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들을 수집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대상 하이퍼링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들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를 기동하는 상기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는 컨트롤 위젯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위젯 표시부는
    상기 키워드들을 기설정된 수만큼 상기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고, 나머지 키워드들은 좌측 숨김 상태 및 우측 숨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숨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위젯 표시부는
    상기 컨트롤 위젯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스와이프 입력 방향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상기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위젯 표시부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화면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위젯 표시부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상기 화면 내에서 높게 위치하는 순서대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컨트롤 위젯 내 좌측부터 순서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재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리스트 생성부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 및 수평 배열 중 어느 배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수직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수평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기(旣)기동 하이퍼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기기동 하이퍼링크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11. 웹문서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들을 수집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 중 대상 하이퍼링크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하이퍼링크들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포함하는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를 기동하는 상기 키워드들을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위젯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들을 기설정된 수만큼 상기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고, 나머지 키워드들은 좌측 숨김 상태 및 우측 숨김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숨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위젯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위젯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스와이프 입력 방향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된 키워드들을 상기 컨트롤 위젯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위젯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화면 스크롤 입력에 따라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숨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위젯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가 상기 화면 내에서 높게 위치하는 순서대로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에 상응하는 상기 키워드를 컨트롤 위젯 내 좌측부터 순서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의 요소의 최좌측 단어의 우측 단어를 상기 키워드로 재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선정된 상기 키워드들 중 동일한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단어가 있는 경우, 상기 단어에 서로 다른 접미사를 추가하여 키워드로 재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수직 배열 및 수평 배열 중 어느 배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수직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수평 배열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기(旣)기동 하이퍼링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퍼링크들이 상기 기기동 하이퍼링크인 경우 상기 대상 하이퍼링크로 선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방법.
KR1020130044183A 2013-04-22 2013-04-22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40126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83A KR20140126800A (ko) 2013-04-22 2013-04-22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
US14/258,313 US20140317485A1 (en) 2013-04-22 2014-04-22 Apparatus for displaying hyperlinks using keyword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83A KR20140126800A (ko) 2013-04-22 2013-04-22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800A true KR20140126800A (ko) 2014-11-03

Family

ID=5172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183A KR20140126800A (ko) 2013-04-22 2013-04-22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17485A1 (ko)
KR (1) KR20140126800A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547B1 (en) * 1998-08-25 2001-08-28 Informix Software, Inc. Hyperlinked relational database visualization system
US7213198B1 (en) * 1999-08-12 2007-05-01 Google Inc. Link based clustering of hyperlinked documents
JP4320491B2 (ja) * 1999-11-18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文書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文書提供装置、文書処理方法、記録媒体
US6671692B1 (en) * 1999-11-23 2003-12-30 Accenture Llp System for facilitating the navigation of data
US6643641B1 (en) * 2000-04-27 2003-11-04 Russell Snyder Web search engine with graphic snapshots
US7823057B1 (en) * 2001-01-04 2010-10-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Simplified document creation
US7024629B2 (en) * 2001-08-28 2006-04-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selected hyperlinks on a web page
US20040205502A1 (en) * 2001-11-01 2004-10-14 Baird Roger T. Network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0996037B1 (ko) * 2006-12-21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하이퍼링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294669B2 (en) * 2007-11-19 2012-10-2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Link target accuracy in touch-screen mobile devices by layout adjustment
US8209599B2 (en) * 2009-04-23 2012-06-2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references in markup language documents
US8495484B2 (en) * 2011-08-02 2013-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link population and recommen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17485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468B2 (ja) スクロール・バー・コントロール
CN110121693B (zh) 多层显示系统中的内容碰撞
US1019816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2013000766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device, method of moving function ic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mprising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JP562044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6878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KR102073829B1 (ko) 탭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와이프 툴바
CN104090720A (zh) 一种基于手势操作调整终端窗口显示的方法及装置
JP2009211241A (ja) 表示画面設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画面設定方法
US20110057956A1 (en) Method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selecting a soft button displayed on a touch-sensitive screen and rela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293345A (zh) 一种应用图标显示方法及终端
JP2012226516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86254A (ja) 表示制御装置
KR20130126430A (ko) 멀티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10090165A1 (en) Interface method and display device
WO2013008615A1 (ja) 入力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98990A (ja) 表示装置
KR101231513B1 (ko)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JP2013131190A (ja) 入力システム、入力方法、及び入力プログラム
KR102297903B1 (ko)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JP201720409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97624A (ko) 화면 상의 디스플레이창을 이동시키는 디바이스 및 방법
JP6157971B2 (ja) 机型表示装置
JP2015153083A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KR20140126800A (ko) 키워드를 이용한 하이퍼링크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