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900A -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900A
KR20140125900A KR20130042753A KR20130042753A KR20140125900A KR 20140125900 A KR20140125900 A KR 20140125900A KR 20130042753 A KR20130042753 A KR 20130042753A KR 20130042753 A KR20130042753 A KR 20130042753A KR 20140125900 A KR20140125900 A KR 20140125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insertion groove
jig
wave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티
Priority to KR2013004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900A/ko
Publication of KR2014012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54T slot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2Feeding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08Clamping mechanisms or provision for cl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파관 본체(11)의 일 측으로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제 3 유로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파관 본체(111)의 중심축을 따라 일 말단이 상기 제 3 유로공(1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제 3 유로공(14)을 연통시키는 유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유로공(12)과 상기 유로(16) 및 상기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유로(16)가 서로 마주보며 만나는 위치에는 각각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을 가공하는 3축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본체(11)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1 경사 삽입홈(14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지그(140)와, 상기 도파관 본체(110)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2 경사 삽입홈(15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지그(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지그(140)와 상기 제 2 지그(150)는 그 사이에 상기 도파관(10)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3축 가공 장치의 상기 가공물 장착대(11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3-Axis Mechining Center with Zig}
본 발명은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파관 본체(11)의 일 측으로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제 3 유로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파관 본체(111)의 중심축을 따라 일 말단이 상기 제 3 유로공(1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제 3 유로공(14)을 연통시키는 유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유로공(12)과 상기 유로(16) 및 상기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유로(16)가 서로 마주보며 만나는 위치에는 각각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을 가공하며,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3축 이송 수단(111);
상기 3축 이송 수단(111)에 설치되며, 절삭 공구(120)를 장착하여 구동하는 스핀들 유닛(112);
상기 절삭 공구(120)에 의하여 가공되는 가공물을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 장착하는 가공물 장착대(1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축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본체(11)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1 경사 삽입홈(14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지그(140);
상기 도파관 본체(110)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2 경사 삽입홈(15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지그(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지그(140)와 상기 제 2 지그(150)는 그 사이에 상기 도파관(10)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가공물 장착대(11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파관'은 전송로(電送路)로 사용하는 도체로 만든 속이 빈 도관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도파관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그 내부 유로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도파관의 일례로는 도 2에서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파관 본체(11)의 일 측으로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제 3 유로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파관 본체(111)의 중심축을 따라 일 말단이 상기 제 3 유로공(1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제 3 유로공(14)을 연통시키는 유로(16)를 포함하는 구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도파관의 경우 도 2에서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직각 연결부(17a)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에, 유체가 이부분을 통과하는 동안 급격한 흐름방향의 변화가 발생하여 원활한 유체의 흐름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도파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서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파관 본체(11)의 일 측으로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제 3 유로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파관 본체(111)의 중심축을 따라 일 말단이 상기 제 3 유로공(1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제 3 유로공(14)을 연통시키는 유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유로공(12)과 상기 유로(16) 및 상기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유로(16)가 서로 마주보며 만나는 위치에는 각각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된 도파관의 경우 도 2에서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체의 흐름이 상기 라운드 연결부(17b)를 따라 부드럽게 방향을 전화하게 되므로, 원활한 유체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파관의 가공으로는 일반적으로 3축 가공장치 또는 5축 가공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기 특허문헌 1의 "5축 절삭 가공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16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장착된 절삭공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유닛 및 상기 절삭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작업대상물을 지지하고, 상기 작업대상물을 A축 및 B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5축 가공장치의 경우, 상기 라운드 연결부(17b)를 문제없이 가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5축 가공장치는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3축 가공장치에 비하여 그 구성이 복잡한 것은 물론, 대단히 고가이기에 각각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3축 가공 장치의 경우 5축 가공장치에 비하여 그 구성이 단순하고 저렴하다는 장점은 물론, 이미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을 가공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3에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유로공(14)을 통하여 절삭공구를 삽입하여 가공하는 경우에는, 절삭공구의 샤프트가 대단히 길어져야 하는 것은 물론 커터 블레이드의 직경을 대단히 크게 하지 않으면 'A'로 표시한 부분과 같은 부분의 가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절삭공구의 샤프트가 길어지고 커터 블레이드의 직경을 크게 할수록 절삭 공구가 대단히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 3축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도 3에서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유로공(12) 또는 제 2 유로공(13)을 통하여 절삭공구를 삽입하여 가공하는 경우 역시, 절삭공구의 샤프트는 제 3 유로공(14)을 통하여 절삭공구를 삽입하여 가공하는 경우에 비하여 덜 길어도 괜찮기는 하나, 커터 블레이드의 직경을 대단히 크게 하지 않으면 'B'로 표시한 부분과 같은 부분의 가공은 여전히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1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존의 3축 가공장치에 대단히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성의 지그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을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파관 본체(11)의 일 측으로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제 3 유로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파관 본체(111)의 중심축을 따라 일 말단이 상기 제 3 유로공(1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제 3 유로공(14)을 연통시키는 유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유로공(12)과 상기 유로(16) 및 상기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유로(16)가 서로 마주보며 만나는 위치에는 각각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을 가공하며,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3축 이송 수단(111);
상기 3축 이송 수단(111)에 설치되며, 절삭 공구(120)를 장착하여 구동하는 스핀들 유닛(112);
상기 절삭 공구(120)에 의하여 가공되는 가공물을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 장착하는 가공물 장착대(1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축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본체(11)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1 경사 삽입홈(14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지그(140);
상기 도파관 본체(110)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2 경사 삽입홈(15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지그(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지그(140)와 상기 제 2 지그(150)는 그 사이에 상기 도파관(10)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가공물 장착대(11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 공구(120)는,
상기 스핀들 유닛(112)에 장착되는 장착부(121);
상기 장착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감경 사프트(122);
상기 감경 사프트(122)의 말단에 결합되며, 사다리꼴 가공 톱니(124)를 구비하는 커터 블레이드(12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의 상측에는 제 1 확장 삽입홈(14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51)의 상측에는 제 2 확장 삽입홈(15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의 하측에는 제 1 하부 삽입홈(14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41)의 하측에는 제 2 하부 삽입홈(15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은 상기 제 1 지그(140)에 대하여 45°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51)은 상기 제 2 지그(150)에 대하여 45°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 연결부(17b)는 그 곡률이 8~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3축 가공장치에 대단히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성의 지그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을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도파관에서 라운드 연결부(17b)를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로 가공되는 도파관의 외관 사시도.
도 2: 기존의 직각 연결부 도파관과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의 내부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 기존 3축 가공장치에 의한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의 외관 모식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의 제 1 지그 및 제 2 지그에 도파관이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기존의 가공척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의 절삭 공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의 가공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나누어, 3축 가공 장치(110), 제 1 지그(140) 및 제 2 지그(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지그(140)와 상기 제 2 지그(150)는 그 사이에 상기 도파관(10)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가공물 장착대(11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에 의하여 가공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은 도 2에서의 (b)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파관 본체(11)의 일 측으로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제 3 유로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파관 본체(111)의 중심축을 따라 일 말단이 상기 제 3 유로공(1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제 3 유로공(14)을 연통시키는 유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유로공(12)과 상기 유로(16) 및 상기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유로(16)가 서로 마주보며 만나는 위치에는 각각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라운드 연결부(17b)는 관경에 따라 대단히 다양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일례로 상기 도파관(10)의 상기 라운드 연결부(17b)는 그 곡률이 8~12㎝인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를 구성하는 3축 가공 장치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3축 가공 장치(11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3축 이송 수단(111)과, 상기 3축 이송 수단(111)에 설치되며, 절삭 공구(120)를 장착하여 구동하는 스핀들 유닛(112)과, 상기 절삭 공구(120)에 의하여 가공되는 가공물을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 장착하는 가공물 장착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3축 가공 장치(110)를 구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실시되고 있는 수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 1 지그(140) 및 제 2 지그(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지그(140)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도파관 본체(11)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1 경사 삽입홈(14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지그(15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도파관 본체(110)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2 경사 삽입홈(15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유로공(12) 또는 상기 제 2 유로공(13)이 형성되는 부분의 외측이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의 상측에는 제 1 확장 삽입홈(14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51)의 상측에는 제 2 확장 삽입홈(15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파관(10)에 장착부재(1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의 하측에는 제 1 하부 삽입홈(14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41)의 하측에는 제 2 하부 삽입홈(15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라운드 연결부(17b)는 상기 제 1 유로공(12)과 상기 유로(16) 및 상기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유로(16) 사이에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특성을 고려할 때,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은 상기 제 1 지그(140)에 대하여 45°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51)은 상기 제 2 지그(150)에 대하여 45°각도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절삭 공구(120)가 효율적으로 상기 라운드 연결부(17b)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삭 공구(120)를 삽입하여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유로공(12) 또는 상기 제 2 유로공(13)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삭 공구(120)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스핀들 유닛(112)에 장착되는 장착부(121)와, 상기 장착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감경 사프트(122)와, 상기 감경 사프트(122)의 말단에 결합되며, 사다리꼴 가공 톱니(124)를 구비하는 커터 블레이드(1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3축 가공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지그(140) 및 제 2 지그(150) 사이에 경사지게 삽입되어 고정된 도파관(10)의 내부로 상기 절삭 공구(120)의 커터 블레이드(123)가 점선으로 표현한 것과 같이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라운드 연결부(17b)를 구성하는 표면 영역 전체에 대하여 사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도파관
11: 도파관 본체 12: 제 1 유로공
13: 제 2 유로공 14: 제 3 유로공
15: 장착부재 16: 유로
17a: 직각 연결부 17b: 라운드 연결부
100: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
110: 3축 가공장치
111: 3축 이송 수단 112: 스핀들 유닛
113: 가공물 장착대
120: 절삭 공구
121: 장착부 122: 감경 샤프트
123: 커터 블레이드 124: 사다리꼴 가공 톱니
140: 제 1 지그 141: 제 1 경사 삽입홈
142: 제 1 확장 삽입홈 143: 제 1 하부 삽입홈
150: 제 2 지그 151: 제 2 경사 삽입홈
152: 제 2 확장 삽입홈 153: 제 2 하부 삽입홈

Claims (5)

  1. 도파관 본체(11)의 일 측으로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제 3 유로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파관 본체(111)의 중심축을 따라 일 말단이 상기 제 3 유로공(1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공(12) 및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제 3 유로공(14)을 연통시키는 유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유로공(12)과 상기 유로(16) 및 상기 제 2 유로공(13)과 상기 유로(16)가 서로 마주보며 만나는 위치에는 각각 라운드 연결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도파관(10)을 가공하며,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3축 이송 수단(111);
    상기 3축 이송 수단(111)에 설치되며, 절삭 공구(120)를 장착하여 구동하는 스핀들 유닛(112);
    상기 절삭 공구(120)에 의하여 가공되는 가공물을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 장착하는 가공물 장착대(1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축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본체(11)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1 경사 삽입홈(14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지그(140);
    상기 도파관 본체(110)가 경사진 위치로 삽입될 수 있는 제 2 경사 삽입홈(151)이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지그(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지그(140)와 상기 제 2 지그(150)는 그 사이에 상기 도파관(10)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가공물 장착대(11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120)는,
    상기 스핀들 유닛(112)에 장착되는 장착부(121);
    상기 장착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감경 사프트(122);
    상기 감경 사프트(122)의 말단에 결합되며, 사다리꼴 가공 톱니(124)를 구비하는 커터 블레이드(12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100).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의 상측에는 제 1 확장 삽입홈(14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51)의 상측에는 제 2 확장 삽입홈(15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100).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의 하측에는 제 1 하부 삽입홈(14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41)의 하측에는 제 2 하부 삽입홈(15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100).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삽입홈(141)은 상기 제 1 지그(140)에 대하여 45°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 삽입홈(151)은 상기 제 2 지그(150)에 대하여 45°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 연결부(17b)는 그 곡률이 8~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100).
KR20130042753A 2013-04-18 2013-04-18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 KR20140125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753A KR20140125900A (ko) 2013-04-18 2013-04-18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753A KR20140125900A (ko) 2013-04-18 2013-04-18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00A true KR20140125900A (ko) 2014-10-30

Family

ID=5199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2753A KR20140125900A (ko) 2013-04-18 2013-04-18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59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7812A (zh) * 2015-10-12 2015-12-09 济南迈克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闸板两侧3度倾斜密封面加工设备
KR101860265B1 (ko) * 2017-06-15 2018-05-24 은유항공정밀 주식회사 항공기의 플랩 서포트 페어링 프레임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102479173B1 (ko) 2021-12-21 2022-12-20 오종혁 공작물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7812A (zh) * 2015-10-12 2015-12-09 济南迈克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闸板两侧3度倾斜密封面加工设备
KR101860265B1 (ko) * 2017-06-15 2018-05-24 은유항공정밀 주식회사 항공기의 플랩 서포트 페어링 프레임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102479173B1 (ko) 2021-12-21 2022-12-20 오종혁 공작물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603B2 (en) Spindle head for machine tool
KR100971168B1 (ko) 5축 절삭가공장치
TWI579077B (zh) A machine that can be equipped with a rotary tool unit
EP2450134A1 (en) Composite working lathe
US20070217881A1 (en) Cutter tool attachment for milling machines particularly useful to enable cutting sharp (or rounded) interior corners
KR20140125900A (ko) 지그 장치를 구비하는 라운드 연결부 도파관 가공용 3축 가공 장치
TWI767071B (zh) 安裝有工具單元之車床
JP2009233786A (ja) 工具用スピンドルとチャック用スピンドルのいずれも取り付け可能な主軸ユニット
KR102178030B1 (ko) 7축 가공기
CN211966619U (zh) 加工头和铣雕复合一体机
EA03876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естисторонней обработки заготовок
JP5368192B2 (ja) 旋回型回転工具ヘッドのケーブル接続構造
CN210359484U (zh) 铣床
CN111372719A (zh) 机床
KR101046535B1 (ko) 회전 동작 가공장치
KR100799255B1 (ko) Y축 cnc선반의 x축 슬라이딩 커버구조
WO2005102596A3 (de) Werkzeugmaschine
JP2006341360A (ja) 主軸ヘッド
EP2610028B1 (en) Triaxial driving device for an electrodischarge machine tool
TWI834618B (zh) 工具保持裝置及工作機械
KR20060073720A (ko) 자체 이송 및 위치결정이 가능한 서보 구동 방진구
KR102334184B1 (ko) 터릿 공구대
CN214353025U (zh) 一种四轴直角主轴
WO2022160341A1 (en)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ing mechanical part
US20240066714A1 (en)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chining mechanical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