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663A -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663A
KR20140124663A KR1020130042469A KR20130042469A KR20140124663A KR 20140124663 A KR20140124663 A KR 20140124663A KR 1020130042469 A KR1020130042469 A KR 1020130042469A KR 20130042469 A KR20130042469 A KR 20130042469A KR 20140124663 A KR20140124663 A KR 20140124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hermostat
determining
cooling wat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891B1 (ko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891B1/ko
Priority to US13/955,402 priority patent/US9103266B2/en
Priority to CN201310354500.0A priority patent/CN104110298B/zh
Publication of KR20140124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11/16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coola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01P2025/40Oil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 온도 및 냉각수 모델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를 초과하고,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엔진오일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1오일판단단계; 및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를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서모스탯의 오픈상태 또는 클로즈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에 대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제1진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METHOD FOR DIAGNOSING FAILURE OF THERMOSTAT}
본 발명은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웜업 이전에 EGR쿨러의 영향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서모스탯이 오픈되는 고장상황을 감지하도록 한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온 조절기 또는 정온기라고도 불리는 서모스탯(thermostat)은, 워터펌프와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밸브가 열리거나 닫혀 엔진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서모스탯은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는 왁스 또는 필릿의 재질을 이용하여 냉각수 온도가 낮으면 수축하여 밸브가 닫히게 되고, 냉각수 온도가 오르면 열팽창을 하여 밸브가 열리게 되면서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 순환시킨다.
그런데, 상기한 서모스탯이 열려 있는 상태(이하 '오픈상태'라 칭함)로 고정이 되면,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측으로 계속해서 흐르게 되는바, 특히 냉시동 초기의 경우에는 엔진의 웜업 시기가 늦어지게 되면서 연소안정성 및 촉매 활성화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서모스탯의 오픈상태에 대한 고장진단이 진행되어야 한다.
도 1은 EGR시스템이 설치된 구조에서 냉각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GR시스템이 적용될 경우, EGR쿨러(2)를 통해 열교환된 냉각수의 영향으로 인해 냉각수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게 되면, 엔진(1)이 정상적으로 웜업되기도 전에 서모스탯(3)이 열리게 되면서 엔진(1)을 냉각시키게 되는바, 엔진(1)의 웜업시기가 늦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엔진(1)의 웜업 이전에 서모스탯(3)이 미리 오픈되는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고장 진단시스템에서는 이같은 문제를 인지하지 못하고 이를 정상적인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로 인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44567호의 "가변형 워터펌프 진단장치 및 방법"이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에 의해서도 EGR쿨러에 의한 영향으로 엔진의 웜업 이전에 서모스탯이 오픈되는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1-0044567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엔진의 웜업 이전에 EGR쿨러의 영향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서모스탯이 오픈되는 고장상황을 감지하도록 한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냉각수 온도 및 냉각수 모델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를 초과하고,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엔진오일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1오일판단단계; 및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를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서모스탯의 오픈상태 또는 클로즈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에 대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제1진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이고,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면서 냉각수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1고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일판단단계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일판단단계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연료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1연료판단단계;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이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제2고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료판단단계는,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냉각용 팬을 구동한 상태에서 엔진오일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2오일판단단계;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를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서모스탯의 오픈상태 또는 클로즈상태를 판단하는 제2진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오일판단단계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오일판단단계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연료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2연료판단단계;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이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제2고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오일판단단계는,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으로 측정된 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엔진의 시동시, 냉시동 조건인지 판단하는 조건판단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서모스탯의 오픈 진단시, 엔진의 웜업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EGR쿨러의 영향에 의해 냉각수 온도만 높아지게 되는 고장상황을 진단함으로써, 이를 통해 추가적인 온도센서의 구성없이 서모스탯의 오감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EGR시스템이 적용된 상태에서 냉각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의 진단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의 진단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은, 크게 측정단계(S10)와, 제1오일판단단계(S20)와, 제1진단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의 제어흐름을 살펴보면, 냉각수 온도 및 냉각수 모델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0); 상기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를 초과하고,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엔진오일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1오일판단단계(S20); 및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를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서모스탯의 오픈상태 또는 클로즈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에 대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제1진단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 온도는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온도와 비교되는 제1기준온도는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온도로서, 엔진별로 변경 가능한 캘리브레이션값이며, 일례로 85℃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인 85℃를 초과하는 경우, 서모스탯이 오픈되었는지 진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모델온도는 엔진대상시험을 통해 냉각수온도를 엔진조건에 맞게 모델링한 값이다. 이러한, 모델링값은 반복적인 시험을 통해 나오는 값이며, 이 역시 엔진별로 변경 가능한 캘리브레이션값이다. 이때, 상기 냉각수 모델온도와 비교되는 제2기준온도는 엔진의 웜업을 판단하는 기준온도일 수 있으며, 일례로 72℃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냉각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를 초과하고,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냉각수 온도가 상승한 원인이 엔진의 정상적인 웜업 때문이 아니라 EGR쿨러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추측하고, 엔진오일의 온도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오일 온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서모스탯이 오픈상태인지 또는 클로즈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은 물론, 상기 서모스탯이 오픈상태인 경우, 상기 서모스탯이 오픈된 상태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라 함은,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측으로 통과하여 냉각수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라 함은,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측으로 통과하지 않아 냉각수의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의 진단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단계(S10)는, 상기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이고,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면서 냉각수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1고장단계(S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수 모델온도가 엔진의 웝업을 판단하는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는데도,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로 측정되면,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S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기준온도는 엔진대상시험을 통해 냉각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에 도달시, 엔진오일의 온도가 도달할 수 있는 최저 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20℃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기준온도는 엔진배기량 별 특성별 시험을 통해 변경가능한 값으로, 모델링(대상시험을 통해서 미리 예측 및 설정된 온도)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는 오일레벨센서 및 오일온도센서가 장착된 엔진에서 센서값을 받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냉각수의 온도가 EGR쿨러의 영향으로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면서, 엔진오일의 온도가 높게 측정되는바,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연료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1연료판단단계(S21);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이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제2고장단계(S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엔진 웜업 상태에서 연료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하는 점을 이용하여 제4기준온도가 설정되는 것으로, 이 값은 엔진 대상시험 등을 통해 변경 가능한 값이다. 일례로, 40℃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하이고, 연료의 온도 역시 제4기준온도 이하이면, 서모스탯이 오픈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 상태로 인해 엔진의 웜업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EGR쿨러의 영향에 의해 냉각수 온도만 높아지게 되는 문제상황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연료판단단계(S21)는, 상기 제1연료판단단계(S21)는,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냉각용 팬을 구동한 상태에서 엔진오일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2오일판단단계(S20');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를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서모스탯의 오픈상태 또는 클로즈상태를 판단하는 제2진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용 팬을 구동하여 냉각수의 냉각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서모스탯의 오픈상태 또는 클로즈상태를 추가적으로 진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용 팬은 최대한 높은 출력으로 제어하게 됨으로써, 냉각수의 냉각 유무 확인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한 제2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S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연료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2연료판단단계(S21');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이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제2고장단계(S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용 팬의 구동시, 서모스탯이 오픈되어 있으면 냉각수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엔진오일의 온도가 낮아지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연료의 온도를 판단하고,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미만이면,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진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모스탯이 오픈된 상황은 엔진이 웜업되기 전에 EGR쿨러의 영향에 의해 냉각수 온도만이 상승하여 오픈된 것으로,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고장상태로 진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냉각용 팬의 구동시, 서모스탯이 클로즈되어 있으면 냉각수의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엔진오일의 온도가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 상태를 정상상태로 진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으로 측정된 횟수(Z)가 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S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냉각용 팬을 구동하여 엔진오일의 온도를 제3기준온도와 비교하게 되는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으로 측정된 횟수(Z)가 기준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서모스탯을 클로즈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 상태를 정상상태로 진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의 흐름을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엔진을 시동하면, 현재의 엔진 조건이 서모스탯의 고장진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가능조건인지 판단한다(S9). 이때, 모니터링 가능조건은 엔진 시동시의 냉각수 온도가 -6℃~55℃ 사이이며, 엔진 회전수가 4800RPM 이하이고, 흡기온도가 -6℃ 이상일 때이다. 즉, 서모스탯의 고장진단을 위한 모니터링 가능조건은 엔진의 냉시동 조건인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엔진에는 EGR시스템이 적용되어 냉각수가 EGR쿨러를 통과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어서, 냉각수 온도를 제1기준온도와 비교한다(S11). 비교시,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냉각수 모델온도를 제2기준온도와 비교한다(S12). 비교시,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엔진오일 온도를 제3기준온도와 비교한다(S20).
비교시, 엔진오일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하이면, 연료의 온도를 제4기준온도와 비교한다(S21). 비교시,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하이면,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고장상태로 진단한다(S32).
즉,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높게 측정되는 상황에서, 냉각수 모델링 온도는 낮게 측정되는 경우, 엔진오일의 온도와 연료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에, 측정된 엔진오일 및 연료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로 측정되면, 서모스탯이 오픈되어 엔진오일 및 연료의 냉각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 상태로 인해 엔진의 웜업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EGR쿨러의 영향에 의해 냉각수 온도만 높아지게 되는 문제상황으로 고장진단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S11에서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이면, 냉각수 모델온도를 제2기준온도와 비교한다(S15). 비교시,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면, 엔진의 웜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나, 냉각수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한다(S31).
또한, S15에서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하이면, S9의 조건판단단계로 이동하여 서모스탯의 모니터링 가능조건인지 다시 판단한다.
또, S12에서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각수 온도는 물론 냉각수 모델온도가 기준온도를 모두 초과하는 상황인바,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이를 정상상태로 판단한다(S33).
그리고, S20에서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온도의 상승원인이 EGR쿨러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판단하고,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한다(S33).
아울러,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냉각용 팬을 구동하여(S24) 엔진오일의 온도를 제3기준온도와 비교한다(S20'). 즉, 냉각용 팬의 구동을 통한 엔진오일의 온도 변화를 통해 냉각수의 냉각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하고, 이를 통해 서모스탯의 오픈 또는 클로즈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용 팬에 의한 구동 제어에 의해 상기 연료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으로 측정된 횟수(Z)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3), 기준횟수를 초과한 경우 온도의 상승 원인이 EGR쿨러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상태로 판단한다(S33).
다만, 상기한 냉각용 팬의 구동 제어시, 엔진오일의 온도 및 연료의 온도가 각각의 기준온도 이하로 측정되면(S20')(S21'),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진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 상태로 인해 엔진의 웜업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EGR쿨러의 영향에 의해 냉각수 온도만 높아지게 되는 문제상황으로 고장진단을 하게 된다(S32).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S10 : 측정단계 S20 : 제1오일판단단계
S30 : 제1진단단계

Claims (9)

  1. 냉각수 온도 및 냉각수 모델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0);
    상기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를 초과하고,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엔진오일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1오일판단단계(S20); 및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를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서모스탯의 오픈상태 또는 클로즈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에 대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제1진단단계(S30);를 포함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S10)는,
    상기 냉각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하이고, 냉각수 모델온도가 제2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면서 냉각수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1고장단계(S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연료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1연료판단단계(S21);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이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제2고장단계(S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연료판단단계(S21)는,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냉각용 팬을 구동한 상태에서 엔진오일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2오일판단단계(S20');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를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서모스탯의 오픈상태 또는 클로즈상태를 판단하는 제2진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제3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연료의 온도를 판단하는 제2연료판단단계(S21');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서모스탯을 오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오픈상태를 이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제2고장단계(S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오일판단단계(S20')는,
    상기 연료의 온도가 제4기준온도 이상으로 측정된 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서모스탯을 클로즈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서모스탯의 클로즈상태를 정상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정상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시, 냉시동 조건인지 판단하는 조건판단단계(S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KR1020130042469A 2013-04-17 2013-04-17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KR10145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469A KR101459891B1 (ko) 2013-04-17 2013-04-17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US13/955,402 US9103266B2 (en) 2013-04-17 2013-07-31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failure of thermostat
CN201310354500.0A CN104110298B (zh) 2013-04-17 2013-08-14 用于判断恒温器的故障的系统和方法及永久性计算机可读介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469A KR101459891B1 (ko) 2013-04-17 2013-04-17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663A true KR20140124663A (ko) 2014-10-27
KR101459891B1 KR101459891B1 (ko) 2014-11-07

Family

ID=5170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469A KR101459891B1 (ko) 2013-04-17 2013-04-17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03266B2 (ko)
KR (1) KR101459891B1 (ko)
CN (1) CN1041102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769A (ko) * 2015-07-23 2017-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써모스탯의 고장진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8526B2 (ja) * 2010-11-11 2013-06-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水温センサ異常判定装置
US10294853B2 (en) 2015-05-07 2019-05-21 Cummi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 thermostat
US10060333B2 (en) * 2016-05-02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gine coolant system diagnostics
KR101918350B1 (ko) * 2016-09-01 2018-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치 소자 온도센서의 고장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618380B2 (en) * 2017-08-01 2020-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olant temperature sensor diagnostics
CN107956573B (zh) * 2017-11-24 2019-06-2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节温器故障诊断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09653860B (zh) * 2018-12-14 2020-07-24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节温器合理性诊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9390B1 (en) * 1996-12-17 2001-08-28 Denso Corporation Thermostat malfunction detecting system for engine cooling system
US6389889B1 (en) * 1999-05-19 2002-05-21 Curtis A. Ford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fault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oling systems
US6321695B1 (en) * 1999-11-30 2001-11-27 Delphi Technologies, Inc. Model-based diagnostic method for an engine cooling system
JP2004232519A (ja) * 2003-01-29 2004-08-19 Toyota Motor Corp サーモスタットの診断装置
KR100507185B1 (ko) * 2003-04-16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써모스텟 고장 진단 방법
KR100612964B1 (ko) * 2004-04-08 2006-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서모스탯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E102008004706B4 (de) * 2008-01-16 2010-05-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Plausibilitätsprüfung eines Temperaturwerts in einer Brennkraftmaschine, Motorsteuerung und Computerprogrammprodukt
US8046150B2 (en) * 2008-12-01 2011-10-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cooling system diagnostic for applications with two coolant sensors
CN201486658U (zh) * 2009-08-09 2010-05-26 苏民弟 汽车发动机保护装置
KR101483643B1 (ko) 2009-10-23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가변형 워터펌프 진단장치 및 방법
CN201606139U (zh) * 2010-03-05 2010-10-13 苏州工业园区驿力机车科技有限公司 车用发动机恒温控制装置
JP5531776B2 (ja) * 2010-05-24 2014-06-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温度センサの故障診断装置
DE102010044026B4 (de) * 2010-11-17 2013-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Kühlsystem eines Verbrennungsmotors
JP5321719B2 (ja) 2012-07-18 2013-10-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診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769A (ko) * 2015-07-23 2017-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써모스탯의 고장진단방법
US9869233B2 (en) 2015-07-23 2018-01-16 Hyundai Motor Company Fault diagnosis method of thermost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0298A (zh) 2014-10-22
US9103266B2 (en) 2015-08-11
KR101459891B1 (ko) 2014-11-07
CN104110298B (zh) 2017-10-10
US20140316644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891B1 (ko) 서모스탯 고장 진단방법
US8370052B2 (en) Engine cooling system onboard diagnostic strategy
US11454161B2 (en) Thermostat fault diagnosis method and device,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JP5793296B2 (ja) サーモスタット故障判定装置
US9534527B2 (en) Thermostat failure detection device and thermostat failure detection method
US101194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rmostat failure in an engine cooling system
JP3849707B2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257198A (ja) 内燃機関の診断装置
US86205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ngine material temperature sensor diagnostics
JP2016176431A (ja) 温度センサの診断装置
KR101714176B1 (ko) 써모스탯의 고장진단방법
KR101519298B1 (ko) 차량용 오일냉각회로의 바이패스밸브 진단방법 및 장치
US20150176473A1 (en) Thermostat with failure diagnosis function and mehod for failure diagnosis of thermostat using the same
KR102452470B1 (ko) 차량용 냉각수온센서 고장 진단방법
US20200326246A1 (en) Thermosta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1156093B (zh) 柴油-醇类双燃料发动机的控制方法和装置
KR20150115043A (ko) 배기가스재순환 밸브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JP5738576B2 (ja) 水温センサ故障判定装置
KR101562194B1 (ko) 수온조절기의 고장진단 방법
KR101007792B1 (ko) 엔진 냉각장치의 서머스탯 고장 판단 장치
KR102372104B1 (ko) 수온조절기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장치
CN109804153A (zh) 用于内燃发动机冷启动优化的方法和附加控制器
KR102048644B1 (ko) 피스톤 엔진의 작동 방법 및 헤드 가스켓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CN111927624B (zh) 一种诊断发动机机油压力不足的方法
KR102075137B1 (ko) 차량용 냉각시스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