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910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910A
KR20140122910A KR20130039950A KR20130039950A KR20140122910A KR 20140122910 A KR20140122910 A KR 20140122910A KR 20130039950 A KR20130039950 A KR 20130039950A KR 20130039950 A KR20130039950 A KR 20130039950A KR 20140122910 A KR20140122910 A KR 2014012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bstrate
liquid crystal
sealing portion
overcoat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경
김형준
김훈식
서오성
윤여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910A/ko
Priority to US14/023,067 priority patent/US9726935B2/en
Publication of KR2014012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7Planarisation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화소 전극,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기판,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되며 폴리실세스키옥산(polysilsesqui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 전극과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 전극,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이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여,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투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그러기 위해 액정표시장치의 두 기판 중 하부 기판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화소 전극이 구비되고, 상부기판에는 공통 전극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는 액정 분자들을 포함하는 액정층이 개재된다.
상기 액정 분자들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이 형성하는 전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한다. 그런데, 상기 액정층에 수분이 침투하면 액정 분자들의 이상 구동으로 인해 영상에 세로줄 얼룩이나 테두리 암부 등의 결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품질이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화소 전극,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기판,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되며 폴리실세스키옥산(polysilsesqui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 전극과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 전극,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상기 폴리실라잔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1]
[R4-SiO3 /2] m
[화학식 2]
[R1R2Si-NR3]n
여기서,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알켄기, 아릴기, 아릴렌기 중 어느 하나이며, m 및 n은 각각 1 내지 10,000이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액정층을 봉지하는 봉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공통 전극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봉지부와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봉지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봉지부를 커버하는 추가 봉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봉지부는 상기 폴리실라잔(polysilazane),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polysilsesquioxa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추가 봉지부와 직접 접촉하는 배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되며 컬러를 표시하는 컬러필터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리어는 상기 컬러 필터들 중 하나와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발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화소 전극,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기판,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되며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또는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 전극과 이격된 공통 전극,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액정층을 밀폐하는 봉지부, 및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봉지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봉지부를 커버하는 추가 봉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버코트층은 유기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정층 내로의 수분 침투가 차단되어 수분에 의해 발생하는 불량이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SUB1), 상기 제1 기판(SUB1)과 마주하는 제2 기판(SUB2) 및 상기 제1 기판(SUB1)과 상기 제2 기판(SUB2)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LC)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싼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 기판(SUB1)은 제1 베이스 기판(BS1)과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 상에 제공된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화소는 상기 표시 영역(DA)에 제공된다.
상기 제1 기판(SUB1)에는 상기 화소들에 연결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다수의 스토리지 라인들(STL)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다수의 스토리지 라인들(STL)은 배선부를 이룬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과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은 서로 다른 층 상에 구비되어 서로 절연되게 교차한다. 상기 다수의 스토리지 라인들(STL)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동일한 층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각 스토리지 라인(STL)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게이트 라인들(GL)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화소 영역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화소 영역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화소는 박막 트랜지스터(TR), 액정 커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라인들(STL)에는 스토리지 전압(Vst)이 인가되고, 상기 스토리지 라인들(STL)은 각 화소의 화소 전극(PE)과 오버랩되어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형성한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싼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배선부들 중 상기 데이터 라인들(DL)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의 일 단부들이 위치하는 패드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의 일 단부들이 위치하는 데이터 패드 영역(DPA)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의 일 단부들이 위치하는 게이트 패드 영역(GPA)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 영역에는 구동부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패드 영역(DPA)에는 데이터 구동부(DIC)가, 상기 게이트 패드 영역(GPA)에는 게이트 구동부(GIC)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의 일 단부에는 외부 배선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패드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는 상기 데이터 패드 영역(DPA)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의 일 단부들에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는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의 데이터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장변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가 복수로 제공된 것을 일예로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데이터 구동부(DIC)가 제공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의 일 단부에는 외부 배선과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 패드들(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GIC)는 상기 게이트 패드 영역(GPA)에서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의 일 단부들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GIC)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의 게이트 패드들에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단변을 따라서 다수의 화소행을 순차적으로 스캔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GIC)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단변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GIC)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GIC)가 복수로 제공된 것을 일예로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개의 게이트 구동부(GIC)가 제공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서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GIC)가 다수의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다수의 아몰퍼스 실리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기판(SUB1) 상에 박막 공정을 통해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패드 영역(GPA)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 구동부(GIC)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도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기판(SUB1) 상에 박막 공정을 통해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패드 영역(DPA)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가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상기 구동부,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스토리지 라인들(STL)을 연결하는 스토리지 연결 라인(STLC)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리지 연결 라인(STLC)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리지 라인들(STL)의 일 단부들에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리지 연결 라인(STLC)은 상기 스토리지 라인들(STL)의 다른 단부들을 연결하도록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연결 라인(STLC)은 외부로부터 스토리지 전압(Vst)을 입력받아서 상기 스토리지 라인들(STL)로 공급한다. 상기 스토리지 연결 라인(STLC)은 후술할 공통 전압 라인(CVL)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SUB2)은 제2 베이스 기판(BS2) 및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 상에 제공된 공통 전극(CE)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PE)과 마주하여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를 형성한다. 상기 공통 전극(CE)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며 상기 화소 전극(PE)과 전계를 형성한다.
상기 배선부는 상기 공통 전극(CE)에 상기 공통 전압(Vcom)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기판(SUB1)에는 외부로부터 공통 전압(Vcom)을 입력받는 공통 전압 라인(CVL)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은 상기 구동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은 서로 인접한 구동부들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에 상기 표시 영역(DA)의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SUB1)과 상기 제2 기판(SUB2) 사이에는 봉지부(SL), 연결부(CS), 및 액정층(LC)이 제공된다.
상기 봉지부(SL)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봉지부(SL)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상부 기판(SUB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액정층(LC)을 둘러싸며, 유기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CS)는 상기 공통 전극(CE) 및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을 상기 공통 전극(CE)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CS)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공통 전극(CE)과 중첩하며, 상기 연결부(CS)는 도전 스페이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 스페이서는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과 상기 공통 전극(CE)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CS)는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에 직접 접촉하여 연결되므로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이 제공된 영역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상기 데이터 구동부들(DIC) 사이 및 서로 인접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들(GIC) 사이에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이 제공되는 바, 상기 연결부(CS) 또한 상기 서로 인접한 상기 데이터 구동부들(DIC) 사이 및 서로 인접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들(GIC)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연결부(CS)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크기나 구성요소의 배치 등에 따라 그 개수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으로 인가된 상기 공통 전압(Vcom)은 상기 연결부(CS)를 경유하여 상기 공통 전극(CE)으로 인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CS)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에 연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은 도팅을 통해 상기 공통 전압 라인(CVL)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LC)은 상기 화소 전극(PE)과 상기 공통 전극(CE)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적층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은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 상에는 게이트 배선부, 데이터 배선부, 및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부, 상기 데이터 배선부,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 상에는 컬러 필터(CF)와 제1 댐(DM1)이 제공된다.
상기 컬러 필터(CF)는 상기 표시 영역(DA)에 제공된다. 상기 컬러 필터(CF)는 각 화소에 대응하여 컬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적색 컬러 필터, 청색 컬러 필터, 및 녹색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컬러 필터(CF)의 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이트, 사이언, 옐로우, 마젠타 등의 다양한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컬러 필터(CF)가 제1 기판(SUB1) 내에 형성된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컬러 필터(CF)이 상기 제1 기판(SUB2)이 아닌 상기 제2 기판(SUB2)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DM1)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 상에 제공되며, 상기 표시 영역(DA)의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DM1)은 후술할 제1 배향막(ALN1) 형성시 상기 제1 배향막(ALN1)이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오버플로우 하지 않도록 막는다.
상기 제1 댐(DM1)은 상기 컬러 필터(CF)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DM1)은 상기 컬러 필터(CF)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댐(DM1)은 상기 컬러 필터(CF) 중 청색 컬러 필터와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CF) 상에는 상기 화소 전극(PE)이 제공된다.
상기 화소 전극(PE) 상에는 제1 배향막(ALN1)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배향막(ALN1)은 상기 표시 영역(DA)에 제공되며, 상기 제1 댐(DM1)에 의해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 쪽으로 넘치지 않는다.
상기 제1 배향막(ALN1)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폴리실록산 등의 유/무기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향막(ALN1)은 상기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을 초기 배향하기 위한 것으로 광(예를 들어, 자외선(UV) 또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분해(decomposition), 이합체화 반응(dimerization), 이성질체화반응(isomerization) 중 하나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향막(ALN1)은 또한 반응성 메조겐이 중합된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과 같이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투명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은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보다 약간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 상에는 공통 전극(CE)이 제공된다. 상기 공통 전극(CE)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봉지부(SL)와 중첩되도록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봉지부(SL)는 상기 공통 전극(CE)의 일부, 즉 상기 공통 전극(CE)의 가장자리와 직접 접촉한다.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와 상기 공통 전극(CE)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BM)와 오버코트층(PLZ)이 제공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BM)은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된다.
상기 오버코트층(OC)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BM)와 상기 공통 전극(CE)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오버코트층(OC)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의 상면을 평탄화한다. 상기 오버코트층(OC)은 폴리실세스키옥산(polysilsesqui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 상기 폴리실라잔 및 이들의 유도체는 유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상기 오버코트층(OC)은, 유체를 사용하는 도포 방법, 예를 들어, 잉크젯,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R1-SiO3/2] m
상기 폴리실라잔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R2R3Si-NR4] n
여기서,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알켄기, 아릴기, 아릴렌기 중 어느 하나이며, m 및 n은 각각 1 내지 10,000이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상기 공통 전극(CE) 상에는 제2 댐(DM2)이 제공된다. 상기 제2 댐(DM2)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댐(DM2)은 제2 배향막(ALN2) 형성시 상기 제2 배향막(ALN2)이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오버플로우 하지 않도록 막는다. 상기 제2 댐(DM2)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댐(DM1)과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댐(DM2)이 한 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공통 전극(CE) 상에는 제2 배향막(ALN2)이 제공된다.
상기 제2 배향막(ALN2)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믹산, 폴리실록산 등의 유/무기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향막(ALN2)은 상기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을 초기 배향하기 위한 것으로 광(예를 들어, 자외선(UV) 또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분해(decomposition), 이합체화 반응(dimerization), 이성질체화반응(isomerization) 중 하나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향막(ALN2)은 또한 반응성 메조겐이 중합된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향막(ALN2)은 상기 제1 배향막(ALN1)과 동일하거나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향막(ALN2)은 상기 표시 영역(DA)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댐(DM2)에 의해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가장자리 쪽으로 넘치지 않는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라인(DL)으로 인가된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 (PE)으로 인가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가 온 상태가 되어 화소 전극(PE)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화소 전극(PE)과 상기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전극(CE)과 상기 화소 전극(PE)에 인가되는 전압의 차이에 의해 생성된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 분자들이 구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층(LCL)을 투과하는 광량이 변화되어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을 각각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봉지부(SL)를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봉지부(SL)가 형성된 기판상에 액정층(LC)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기판(SUB1)과 상기 제2 기판(SUB2)을 합착하고, 상기 봉지부(SL)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완성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OC)이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 및 상기 폴리실라잔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액정층(LC) 내로 투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공통 전극 단일막의 투습량(moisture permeability; 이하, 단위는 g/m2/366h)은 약 131 내지 약 139, 유기 고분자 오버코트층에 공통 전극이 형성된 경우의 투습량은 약 134 내지 약 139, 제2 베이스 기판에 유기 고분자 오버코트층이 형성된 경우의 투습량은 약 135 내지 약 138이었다. 그러나, 유기 고분자 오버코트층 단일막의 투습량은 약 189 내지 약 199로서 다른 경우에 비해 매우 큰 값을 갖는다. 유기 고분자 오버코트층을 갖는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즉, 봉지부가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의 측부 영역에서 수분이 오버코트층을 투과하여 액정층으로 침입함으로써, 표시 영역의 테두리에 암부가 형성되거나 세로줄 얼룩이 형성되는 결함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 유기 고분자 오버코트층이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면이 노출되어 곧바로 액정층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결함이 심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코트층이 무기막, 예를 들어, 폴리실세스키옥산, 폴리실라잔, 및 이들의 유도체로 형성됨으로써 오버코트층을 통해 습기가 액정층 내로 투과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오버코트층이 폴리실세스키옥산, 폴리실라잔, 및 이들의 유도체로 형성되는 경우의 투습량은 약 125 내지 약 131이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오버코트층이 평면상에서 볼 때 봉지부와 중첩함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오버코트층의 표면이 곧바로 액정층에 노출되지 않아 오버코트층의 수분의 투과를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봉지부(SL)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봉지부(SL)를 커버하는 추가 봉지부(ASL)가 제공된다. 상기 추가 봉지부(ASL)는 상기 봉지부(SL)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과 상기 오버코트층(OC)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을 직접 접촉하여 커버한다. 상기 추가 봉지부(ASL)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의 상면 일부와도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봉지부(ASL)는 상기 폴리실라잔(polysilazane),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polysilsesquioxa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봉지부(ASL)는 또한 발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수성 물질로는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는 폴리비닐플로라이드(polyvinylfluoride; PVF),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D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퍼플루오로알콕시폴리머(perfluoroalkoxy polymer; PFA), 플로리네이티드 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FEP),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일래스토머 (perfluorinated elastomer), 클로로플로오로에틸리덴피닐리덴 플루오라이드(fluorocarbon [chlorotrifluoroethylenevinylidene fluoride]), 퍼클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및 퍼플루오로폴리옥세탄(Perfluoropolyoxet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는 상용명이 하기한 바와 같은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edlar(DuPont), Kynar(Arkema, Inc.), Solef, Hylar(Solvay Solexis S.p.A.), Teflon(DuPont), Algoflon(Solvay Solexis S.p.A.), Polymist(Solvay Solexis S.p.A.), Kel-F (3M), Neoflon (Daikin), Hyflon(Solvay Solexis S.p.A.), Tefzel(DuPont), Fluon(Asahi Glass Company), Halar(Solvay Solexis S.p.A.), Kalrez(DuPont), Tecnoflon PFR(Solvay Solexis S.p.A.), Viton(DuPont), Tecnoflon FKM(Solvay Solexis S.p.A.), Krytox(DuPont). Fomblin(Solvay Solexis S.p.A.), (Solvay Solexis S.p.A.), Nafion(DuPont)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 상기 폴리실라잔 및 이들의 유도체, 그리고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는 유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상기 추가 봉지부(ASL)는, 유체를 사용하는 도포 방법, 예를 들어, 잉크젯,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노즐을 이용한 잉크젯 방법으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에 상기 유체를 토출하는 경우,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의 틈으로 상기 유체가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을 각각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봉지부(SL)를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봉지부(SL)가 형성된 기판상에 액정층(LC)을 형성한 후, 추가 봉지부(ASL)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기판(SUB1)과 상기 제2 기판(SUB2)을 합착하고, 상기 봉지부(SL)와 상기 추가 봉지부(ASL)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 봉지부(ASL)는 상기 봉지부(SL) 경화시에 함께 경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이 봉지재를 투과하여 액정층 내로 침투함으로써 발생하는 결함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상기 봉지재는 유기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수분이 투과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재의 외측에 추가 봉지재가 형성됨으로써 봉지재에 더해 추가 봉지재가 모두 수분에 대한 차단막으로 작용하여 수분이 액정층 내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특히, 추가 봉지재는 상기 봉지재와 상기 오버코트층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에도 외부와 액정층 사이를 효과적으로 분리한다. 또한, 상기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는 발수성이 크기 때문에 수분 침투가 매우 어렵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추가 봉지부(ASL)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배리어(BR)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BR)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추가 봉지부(ASL)와 직접 접촉한다. 상기 배리어(BR)는 상기 추가 봉지부(ASL) 형성시에 상기 추가 봉지부(ASL)를 이루는 유체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유체의 위치를 한정한다. 상기 배리어(BR)는 상기 봉지부(SL)와 구동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바, 도 6에서는 상기 봉지부(SL)와 데이터 구동부(DIC) 사이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었다. 상기 배리어(BR)에 의해 상기 유체가 상기 데이터 구동부(DIC) 상에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배리어(BR)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 상에 다른 구성 요소를 형성할 때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리어(BR)는 컬러 필터(CF) 및/또는 제1 댐(DM1)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리어(BR)는 상기 컬러 필터(CF) 및/또는 상기 제1 댐(DM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컬러 필터(CF) 중 청색 컬러 필터와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리어(BR)에 의해 상기 추가 봉지부(ASL)의 위치가 한정됨으로써, 상기 추가 봉지부(ASL)가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구동부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오버코트층(OC) 상에 발수층(HP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수층(HPL)은 상기 오버코트층(OC)의 상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오버코트층(OC)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발수층(HPL)은 상기 발수성 물질, 즉, 상기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수성 물질은 유체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상기 발수층(HPL)은 유체를 사용하는 도포 방법, 예를 들어, 잉크젯,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OC)은 폴리실세스키옥산, 폴리실라잔,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무기 고분자이거나,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유기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수층(HPL)에 의해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유기 고분자가 상기 오버코트층(OC)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발수층(HPL)에 더해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봉지부(SL)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봉지부(SL)를 커버하는 추가 봉지부(ASL)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봉지부(ASL)는 상기 봉지부(SL)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과 상기 발수층(HPL)의 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을 직접 접촉하여 커버한다. 상기 추가 봉지부(ASL)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의 상면 일부와도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7의 액정 표시 장치에 더해, 상기 추가 봉지부의 위치를 한정하는 배리어가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양립하지 않는 실시예를 제외하고는 실시예들끼리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화소 전극;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기판;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되며 폴리실세스키옥산(polysilsesqui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 전극과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 전극;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상기 폴리실라잔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 액정 표시 장치.
    [화학식 1]
    [R4-SiO3 /2] m
    [화학식 2]
    [R1R2Si-NR3]n
    여기서,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알켄기, 아릴기, 아릴렌기 중 어느 하나이며, m 및 n은 각각 1 내지 10,000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액정층을 봉지하는 봉지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봉지부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봉지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봉지부를 커버하는 추가 봉지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봉지부는 상기 폴리실라잔(polysilazane),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polysilsesquioxa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봉지부는 상기 오버코트층의 일부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추가 봉지부와 직접 접촉하는 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되며 컬러를 표시하는 컬러필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는 상기 컬러 필터들 중 하나와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발수층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발수층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는 폴리비닐플로라이드(polyvinylfluoride; PVF),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D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퍼플루오로알콕시폴리머(perfluoroalkoxy polymer; PFA), 플로리네이티드 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FEP),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일래스토머 (perfluorinated elastomer), 클로로플로오로에틸리덴피닐리덴 플루오라이드(fluorocarbon [chlorotrifluoroethylenevinylidene fluoride]), 퍼클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퍼플루오로폴리옥세탄(Perfluoropolyoxet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
  13. 제1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화소 전극;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기판;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되며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또는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 전극과 이격된 공통 전극;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액정층을 밀폐하는 봉지부; 및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봉지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봉지부를 커버하는 추가봉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봉지부는 폴리실세스키옥산(polysilsesqui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봉지부와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세스키옥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상기 폴리실라잔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 액정 표시 장치.
    [화학식 1]
    [R4-SiO3 /2] m
    [화학식 2]
    [R1R2Si-NR3]n
    여기서,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알켄기, 아릴기, 아릴렌기 중 어느 하나이며, m 및 n은 각각 1 내지 10,000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amorphous 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발수층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플루오로고분자는 폴리비닐플로라이드(polyvinylfluoride; PVF),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D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퍼플루오로알콕시폴리머(perfluoroalkoxy polymer; PFA), 플로리네이티드 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FEP),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일래스토머 (perfluorinated elastomer), 클로로플로오로에틸리덴피닐리덴 플루오라이드(fluorocarbon [chlorotrifluoroethylenevinylidene fluoride]), 퍼클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퍼플루오로폴리옥세탄(Perfluoropolyoxet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봉지부는 상기 오버코트층의 일부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 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추가 봉지부와 직접 접촉하는 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되며 컬러를 표시하는 컬러필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는 상기 컬러 필터들 중 하나와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39950A 2013-04-11 2013-04-11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22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950A KR20140122910A (ko) 2013-04-11 2013-04-11 액정 표시 장치
US14/023,067 US9726935B2 (en) 2013-04-11 2013-09-10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950A KR20140122910A (ko) 2013-04-11 2013-04-11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10A true KR20140122910A (ko) 2014-10-21

Family

ID=5168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950A KR20140122910A (ko) 2013-04-11 2013-04-11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26935B2 (ko)
KR (1) KR201401229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5459B2 (ja) 2013-12-17 2017-03-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557707B (zh) * 2015-10-27 2016-11-11 國立交通大學 資料線驅動電路、資料線驅動器及顯示裝置
JP6699195B2 (ja) * 2016-01-22 2020-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7256101B (zh) * 2017-06-30 2020-05-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98678B1 (ko) * 2017-09-07 2022-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1244039A (zh) * 2018-11-29 2020-06-05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密封结构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1999940B (zh) * 2020-08-25 2022-11-08 安徽建筑大学 一种窄边框液晶显示面板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67A (ja) 1992-06-30 1994-01-28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
JPH08184816A (ja) 1994-12-21 1996-07-16 Lg Electron Inc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付いた液晶パネル
KR100388228B1 (ko) 1995-11-20 2003-11-0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제조방법
TW477907B (en) 1997-03-07 2002-03-01 Toshiba Corp Array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US5808715A (en) 1997-03-27 1998-09-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ving undercoat and overcoat made of TiO2 --SiO2 composite material
US5953094A (en) 1997-04-04 1999-09-14 Sanyo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746925B2 (ja) 1999-08-27 2006-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103279B2 (ja) 1999-12-15 2008-06-18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4095996A (ja) 2002-09-03 2004-03-25 Seiko Epson Corp 多層膜構造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多層膜構造、カラーフィルタ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943729B1 (ko) 2003-05-20 2010-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570B1 (ko) * 2004-12-10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225589B1 (ko) * 2005-10-05 2013-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49250A (ko) 2006-11-30 2008-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기판 및 그 제조방법
GB0709987D0 (en) * 2007-05-24 2007-07-04 Liquavista Bv Electrowe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nd control system
KR20090107882A (ko) * 2008-04-10 2009-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정층을 포함하는 경사 조성 봉지 박막 및 그의 제조방법
JP5079653B2 (ja) * 2008-09-29 2012-1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撮像素子
JP5260424B2 (ja) * 2009-07-08 2013-08-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261300B2 (ja) 2009-07-08 2013-08-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457321B2 (ja) 2010-09-28 2014-04-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2116982B (zh) 2010-11-26 2012-08-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742192B1 (ko) * 2011-01-31 2017-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1562B1 (ko) * 2011-02-14 2017-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26935B2 (en) 2017-08-08
US20140307189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910A (ko) 액정 표시 장치
US920749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17578A (ko) 표시 장치
US10025143B2 (en) Array substrat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9070897B2 (en) Display panel
JP2007178726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CN103926747A (zh) 液晶显示面板
US20160320650A1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9595549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icrocavities and an encapsulation layer that seals the plurality of microcavi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34761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883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003337A (ja) パネル基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61766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036817A (ja) 液晶表示装置
CN105655292A (zh) 液晶显示面板、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US94112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10008444A (ja) 液晶表示装置
US9513523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2015021237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140786A (ja) 有機el装置
US991030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by applying a laser to remove at least a portion of a polymer thin film layer and a substrate
JP200731632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05661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209693A1 (en) Display device
US2015030139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