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553A - 광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광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553A
KR20140122553A KR1020130039381A KR20130039381A KR20140122553A KR 20140122553 A KR20140122553 A KR 20140122553A KR 1020130039381 A KR1020130039381 A KR 1020130039381A KR 20130039381 A KR20130039381 A KR 20130039381A KR 20140122553 A KR20140122553 A KR 20140122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voltage
input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687B1 (ko
Inventor
김충환
박찬용
Original Assignee
우리로광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로광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로광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687B1/ko
Priority to PCT/KR2013/003560 priority patent/WO2014168282A1/ko
Publication of KR2014012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3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486Receivers
    • G01S7/4865Time delay measurement, e.g. time-of-flight measurement, time of arrival measurement or determining the exact position of a pea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7/10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modulate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3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486Receivers
    • G01S7/4861Circuits for detection, sampling, integration or read-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수신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여 입력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광 감지부, 입력 전류 신호를 출력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전치 증폭부, 및 제1 및 제2 기준전압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출력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고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디지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수신 장치{LIGHT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광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LADAR(Laser Detection and Ranging) 수신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지형, 지물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해 LADAR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LADAR 기술은 펄스 레이저를 표적을 향해 출사시키고,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펄스 레이저의 비행 시간을 측정한 후, 빛의 속도를 이용하여 표적까지의 거리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LADAR 기술의 성능은 감도(Sensitivity), 복수의 표적에 대한 분해능(Multi-target Resolution), 동적 동작영역(Dynamic Range), 워크 에러(Walk-error), 거리 정확도(Range Accuracy) 등으로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LADAR 수신 장치는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나 어밸런치 포토 다이오드(APD: avalanche photo diode) 등의 광 수신 소자,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trans-impedance amplifier, 이하 TIA) 및 판별 회로(discriminator)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TIA는 광 수신 소자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한다. TIA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하는 구성으로 LADAR 수신 장치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즉, TIA의 이득(gain), 잡음(noise), 복귀 시간(recovery time), 동작 영역 등의 규격에 따라 LADAR 수신 장치의 성능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TIA에서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따라 R-TIA(resistive-feedback TIA) 및 C-TIA(capacitive-feedback TIA)로 구분할 수 있다. R-TIA는 부궤환(negative feedback) 소자로 저항을 이용하고, 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저항성 부궤환(resistive negative feedback)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C-TIA는 부궤환 소자로 커패시터를 이용하고, 전하량 공식에 따라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C-TIA는 입력 펄스 전류의 대부분을 부궤환 커패시터에 충전한다. 부궤환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은 전류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방전되지 않으므로, 방전을 위한 별도의 회로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방전 회로는 C-TIA의 입출력 단자에 병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의 턴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기생 커패시터 성분에 의해 전하가 주입된다. TIA는 입력 단자의 등가 저항 값이 크기 때문에, RC 시정수가 커져 안정화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이러한 방전 회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충전 속도보다 방전 속도가 느려 출력 전압 신호가 비대칭 파형으로 나타난다.
반면, R-TIA는 저항의 선형적인 특성 때문에, 출력 전압 신호의 상승 시간과 하강 시간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다. 즉, 출력 전압 신호가 거의 대칭적인 파형 형태를 갖는다. 이에, 고속의 펄스 신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광통신 시스템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LADAR 수신 장치에서 판별 회로는 주로 R-TIA의 출력 전압 신호에 대한 상승 에지를 검출하여 시각을 판별하는 상승 에지 시각 판별기(leading-edge timing discriminator)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펄스 레이저 신호가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재입사할 때의 펄스 신호 크기는 표적까지의 거리, 표적의 반사 계수 등의 물성, 표면 상태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거리가 같은 동일한 표적인 경우에도 LADAR 수신 장치는 표적에 따라 다른 크기의 반사 펄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하나의 기준 전압(threshold voltage)(Vth)만으로 반사 펄스 신호의 발생 시점을 판단하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광 신호(A)가 기준 전압(Vth) 이상이 되는 시점(t1)과 크기가 작은 광 신호(B)가 기준 전압(Vth) 이상이 되는 시점(t2) 간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거리가 같은 동일한 표적일지라도 작은 크기로 입사된 광 신호(B)에 대해 시점(t1)과 시점(t2) 간의 차이만큼 거리가 다른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워크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이용하여 수신된 펄스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방법이나, 펄스 신호의 형태를 제어하는 방법 등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개발하여도 R-TIA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수신 감도가 충분히 좋지 않아 감지 거리가 짧은 시스템에서만 적용이 가능하고, 수 km 이상의 감지 거리를 요구하는 시스템에는 적용이 어렵다. 또한, R-TIA 방식은 저항에 의한 잡음이 많다. 이 경우 저잡음 및 고감도의 R-TIA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고성능 소자를 사용해야 하므로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잡음이 상대적으로 적고, 가격이 낮은 C-TIA를 이용하여 수 km의 감지 거리를 요구하는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워크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광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광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여 입력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광 감지부; 상기 입력 전류 신호를 출력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전치 증폭부; 및 제1 및 제2 기준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출력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고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디지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치 증폭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방전 구간 동안 상기 출력 전압 신호와 미리 설정된 리셋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및 상기 디지털 검출 신호의 출력을 감지한 출력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 신호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 감지부는 포토 다이오드 또는 어밸런치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치 증폭부는 상기 입력 전류 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출력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반전 증폭기; 상기 반전 증폭기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부궤환 커패시터; 상기 부궤환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부궤환 저항; 및 상기 리셋 기준전압 및 상기 출력 감지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리셋 지속 시간 동안 상기 반전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충전된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전류 값만큼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 증폭기는 적어도 3단으로 연결된 CMOS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상기 리셋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 신호와 상기 출력 감지 신호를 논리 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논리 곱 게이트;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전류 값에 대응하는 전류를 싱크하는 전류원; 및 상기 논리 곱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전류원을 연결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치 증폭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고대역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상승 에지에 대한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고대역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치 증폭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를 증폭 및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능동 부하; 상기 능동 부하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출력 전압 신호를 반전 증폭하는 공통 소스 증폭기; 및 상기 반전 증폭된 출력 전압 신호를 버퍼링하는 소스 팔로워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전압 각각과 비교하여 제1 및 제2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 상기 제1 및 제2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부터 상기 출력 전압 신호가 제2 기준전압 이상이 되는 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램프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시간 변환부; 및 상기 램프 전압과 상기 고정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정된 지연 설정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비교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상기 제1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1 비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출력 전압 신호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상기 제2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2 비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시간 변환부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 신호 각각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비교 신호의 상승 에지부터 상기 제2 비교 신호의 상승 에지까지 제1 전압 레벨로 상승하고, 상기 제2 비교 신호의 하강 에지부터 제2 전압 레벨로 상승하는 상기 램프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시간 변환부는 제1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류원;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제2 전류원;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램프 전압을 출력하는 커패시터; 상기 제1 비교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되어 상기 제1 전류원과 상기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비교 신호의 반전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되어 상기 제2 전류원과 상기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비교 신호의 반전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램프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준전압은 상기 제1 기준전압보다 2배 높은 전압 레벨로 설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류는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고, 상기 전압-시간 변환부는 상기 램프 전압의 상기 제1 전압 레벨을 상기 제2 전압 레벨의 2배만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비교부는 상기 램프 전압이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상기 지연 설정 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디지털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별부는 상기 디지털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 및 판별하여 상기 표적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수신 장치는 잡음이 상대적으로 적고, 가격이 낮은 C-TIA를 이용하여 수 km의 감지 거리를 요구하는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워크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 감지부(100) 및 전치 증폭부(200)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전부(214)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치 증폭부(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파형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판별부(300)의 상세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비교부(310)의 상세 회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압-시간 변환부(320) 및 제2 비교부(330)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별부(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수신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수신 장치(1)는 광 감지부(100), 전치 증폭부(200) 및 판별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 감지부(100)는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여 입력 전류 신호(Iapd)로 변환한다. 광 감지부(100)를 통해 변환되는 입력 전류 신호(Iapd)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펄스 신호가 사각파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광 감지부(100)는 포토 다이오드(PD) 또는 어밸런치 포토 다이오드(AP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원거리 측정용 LADAR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광 감도가 높은 어밸런치 포토 다이오드(APD)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치 증폭부(200)는 광 감지부(100)로부터 입력 전류 신호(Iapd)를 전달받아 출력 전압 신호(Vo)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전치 증폭부(200)는 변환된 출력 전압 신호(Vo)의 펄스 파형 왜곡을 보정하고, 판별부(300)에서 판별이 가능한 크기로 출력 전압 신호(Vo)를 증폭 및 버퍼링하여 출력한다.
판별부(300)는 제1 및 제2 기준전압(VTH1, VTH2)을 이용하여 입력 전류 신호(Iapd)의 입력 시점, 즉 출력 전압 신호(Vo)가 출력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고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디지털 검출 신호(Dout)를 출력한다. 여기서, 고정 지연시간은 지연 설정전압(Vdelay)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시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 감지부(100) 및 전치 증폭부(200)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 증폭부(200)는 제1 증폭부(210), 필터부(220) 및 제2 증폭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 감지부(100)는 어밸런치 포토 다이오드(APD)를 등가 회로로 표현하였으며, 어밸런치 포토 다이오드(APD)에서 출력하는 입력 전류 신호(Iapd)를 생성하는 전류원(IS1) 및 전류원(IS1)에 병렬로 연결된 기생 캐패시터(Cp)를 포함한다.
제1 증폭부(210)는 광 감지부(100)로부터 입력 전류 신호(Iapd)를 전달받아 출력 전압 신호(Vo)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1 증폭부(210)는 입력 전류 신호(Iapd)를 적분 및 증폭하여 출력 전압 신호(Vo)를 출력하는 적분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 증폭부(210)는 입력 전류 신호(Iapd)가 입력되지 않는 방전 구간 동안 부궤환 저항(Rf)를 통해 출력 전압 신호(Vo)를 DC 바이어스 전압 레벨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증폭부(210)는 출력 전압 신호(Vo)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리셋 기준전압(Vreset) 보다 낮은 경우 입력 단자(Nin)로부터 출력 전압 신호(Vo)를 강제 방전시켜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출력 전압 신호(Vo)를 복귀시킨다. 여기서, 제1 증폭부(210)는 판별부(300)로부터 디지털 검출 신호(Dout)가 출력된 이후에 출력 전압 신호(Vo)를 강제 방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증폭부(210)는 반전 증폭기(212), 부궤환 커패시터(Cf) 및 부궤환 저항(Rf) 및 방전부(214)를 포함한다. 반전 증폭기(212)는 기생 캐패시터(Cp)와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 전류 신호(Iapd)를 입력받는 입력 단자(Nin) 및 출력 전압 신호(Vo)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Nout)를 포함한다.
여기서, 반전 증폭기(212)의 전하-전압 변환 이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ΔVo=Q/C
여기서, C는 부궤환 커패시터(Cf)의 크기, Q는 부궤환 커패시터(Cf)에 충전되는 전하의 양이다. 그리고, 기생 커패시터(Cp)로의 전류 누설을 무시할 수 있도록 기생 커패시터(Cp)의 크기를 수 pF 이내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한 [수학식 1]과 같이 전하-전압 변환 이득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반전 증폭기(212)가 동작 온도에서 입력 전류 신호(Iapd)의 펄스 지속 시간에 반비례하는 주파수 대역 이상까지 항상 높은 이득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반전 증폭기(212)를 공통 소스 증폭기나 캐스코드(cascode) 증폭기에 비해 트랜스컨덕턴스(Gm)가 큰 CMOS 인버터를 3단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부궤환 커패시터(Cf)는 입력 전류 신호(Iapd)에 대응하는 전하를 충전한다. 여기서, 부궤환 커패시터(Cf)는 반전 증폭기(212)의 입력 단자(Nin)에 연결된 일단 및 출력 단자(Nout)에 연결된 타단을 포함한다. 부궤환 커패시터(Cf)는 전하-전압 변환 이득을 크게 하기 위해 수십 fF의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궤환 저항(Rf)은 출력 전압 신호(Vo)를 DC 바이어스 전압 레벨로 안정화시킨다. 여기서, 부궤환 저항(Rf)은 부궤환 커패시터(Cf)에 병렬 연결되어 있다. 부궤환 저항(Rf)은 반전 증폭기(212)의 잡음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만큼 크기가 크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광 감지부(100)의 다이오드(예컨대, 어밸런치 포토 다이오드(APD))의 암 전류(dark current)를 보상할 수 있을 만큼 작은 범위의 저항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궤환 저항(Rf)은 최대 동작 주파수에서 부궤환 커패시터(Cf)의 임피던스보다 큰 저항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부(214)는 출력 전압 신호(Vo)와 리셋 기준전압(Vreset)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출력 전압 신호(Vo)의 전압 레벨이 리셋 기준전압(Vreset) 보다 낮으면 리셋 신호(Sreset)를 활성화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방전부(214)는 리셋 신호(Sreset)와 출력 감지 신호(Sdet)가 동시에 활성화 되는 시점에 반전 증폭기(212)의 입력 단자(Nin)에 충전된 전하를 미리 설정된 리셋 지속 시간(Treset) 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 값만큼 방전시킨다. 여기서, 출력 감지 신호(Sdet)는 판별부(300)로부터 디지털 검출 신호(Dout)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점에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방전부(2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216), 논리곱 게이트(AND1), 트랜지스터(M1) 및 전류원(IS3)을 포함한다. 비교기(216)는 출력 전압 신호(Vo)와 리셋 기준전압(Vreset)을 비교하여 리셋 신호(Sreset)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216)는 출력 전압 신호(Vo)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리셋 기준전압(Vreset)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리셋 신호(Sreset)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논리곱 게이트(AND1)는 리셋 신호(Sreset)와 출력 감지 신호(Sdet)를 논리 곱 연산하여 출력한다. 트랜지스터(M1)는 논리 합 게이트(AND1)의 출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되어 입력 단자(Nin)와 전류원(IS3)을 연결한다.
전류원(IS3)은 트랜지스터(M1)를 통해 입력 단자(Nin)에 연결되어 입력 단자(Nin)로부터 전류를 싱크시킨다. 여기서, 전류원(IS3)은 리셋 지속시간(Treset)과의 곱이 위의 [수학식 1]에서 출력 전압 신호(Vo)의 변화 량(ΔVo)을 상쇄시킬 수 있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증폭부(200)는 수신된 광 신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부궤환 저항(Rf)을 이용하여 부궤환 커패시터(Cf)에 충전된 전하를 DC 바이어스 전압 레벨로 천천히 방전시키고, 광 신호의 크기가 큰 경우 방전부(214)를 통해 부궤환 커패시터(Cf)에 충전된 전하를 빠른 속도로 DC 바이어스 전압 레벨과 근접한 레벨로 강제 방전시킨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안정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디지털 검출 신호(Dout)가 출력되는 경우, 즉 입력 전류 신호(Iapd)의 펄스가 감지된 경우에만 강제 방전시키기 때문에, 방전부(214)가 동작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무판단 시간(dead zone)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광 신호를 용이하게 감지하여 복수의 표적에 대한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 전류 신호(Iapd)의 크기가 작더라도 부궤환 저항(Rf)의 방전 속도가 느려 방전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시 입력 전류 신호(Iapd)가 입력되어 충전 전하가 누적됨에 따라 출력 전압 신호(Vo)가 리셋 기준전압(Vreset) 이하가 되면 방전부(214)가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필터부(220)는 출력 전압 신호(Vo)의 펄스 파형 왜곡을 보정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20)는 출력 전압 신호(Vo)의 고대역을 필터링하여 출력 전압 신호(Vo)의 상승 에지에 대한 RC 시정수를 감소시킨다. 즉, 필터부(220)는 출력 전압 신호(Vo)의 상승 에지에 대한 기울기를 증가시켜 출력 전압 신호(Vo)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가 좀 더 대칭적인 형태에 가까워지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필터부(220)는 커패시터(C1) 및 저항(R1)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패시터(C1)는 출력 단자(Nout)에 연결된 일단 및 저항(R1)의 일단에 연결된 타단을 포함한다.
제2 증폭부(230)는 필터부(220)로부터 출력된 출력 전압 신호(Vo)를 증폭 및 버퍼링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증폭부(230)는 판별부(300)에서 출력 전압 신호(Vo)를 판별할 때 내부의 오프셋 전압에 의한 판별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도로 크기가 큰 신호가 되도록 이득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증폭부(230)는 전류원(IS2), 커패시터(C2, C3), 저항(R2), 트랜지스터(T1~T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류원(IS2) 및 커패시터(C2)는 신호 증폭용 트랜지스터(T1) 및 버퍼용 트랜지스터(T2)의 동작 전류를 결정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3)는 저항(R2)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출력 전압 신호(Vo)를 반전 증폭하는 공통 소스 증폭기를 구성하며, 트랜지스터(T4)는 반전 증폭된 출력 전압 신호(Vo)를 버퍼링하는 소스 팔로워 버퍼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전류원(IS2)는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단자에 일정 크기의 전류를 공급한다. 커패시터(C2)는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 일단과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타단을 포함하고, 교류 전원(AC)에 대한 접지 전위를 설정한다. 커패시터(C3)는 트랜지스터(T4)의 소스 단자에 연결된 일단 및 출력 단자(OUT)에 연결된 타단을 포함한다. 저항(R2)는 전원 단자(VDD)에 연결된 일단 및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된 타단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1)는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 단자는 저항(R1)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1)의 소스 단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단자는 저항(R1)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 단자는 트랜지스터(T4)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2)의 소스 단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단자는 저항(R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단자는 저항(R2)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3)의 소스 단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단자는 저항(R2)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 단자는 전원 단자(VDD)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4)의 소스 단자는 커패시터(C3)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치 증폭부(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5의 (a)는 제1 증폭부(210)의 출력 단자(Nout)에서 출력된 출력 전압 신호(Vo)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디지털 검출 신호(Dout)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1 시점에 작은 크기의 입력 전류 신호(Iapd)가 입력되면 부궤환 커패시터(Cf)에 전하가 충전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출력 전압 신호(Vo)가 DC 바이어스 전압 레벨에서 V1 레벨만큼 낮아진다. 이때, 출력 전압 신호(Vo)는 리셋 기준전압(Vreset) 보다 높은 레벨이므로, 방전부(214)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 다음, 입력 전류 신호(Iapd)가 더 이상 입력되지 않으면 P2 시점부터 부궤환 저항(Rf)에 의해 부궤환 커패시터(Cf)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출력 전압 신호(Vo)가 DC 바이어스 전압 레벨로 천천히 상승한다.
한편, P4 시점에 크기가 큰 입력 전류 신호(Iapd)가 입력되면, 출력 전압 신호(Vo)가 리셋 기준전압(Vreset) 보다 낮은 V2 레벨로 출력된다. 그러면, 비교기(216)를 통해 리셋 신호(Sreset)가 활성화된다.
이때, P3 시점에 디지털 검출 신호(Dout)의 출력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출력 감지 신호(Sdet)가 활성화된다. 그러면, P5 시점에 트랜지스터(M1)가 턴 온되고, 미리 설정된 리셋 지속 시간(Treset) 동안 미리 설정된 전류 값으로 부궤환 커패시터(Cf)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된다. 그러면, 부궤환 저항(Rf)에 의해 부궤환 커패시터(Cf)에 잔류된 전하가 거의 방전되고, 출력 전압 신호(Vo)는 DC 바이어스 전압 레벨로 상승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치 증폭부(200)는 부궤환 저항(Rf) 및 방전부(214)를 이용하여 입력 전류 신호(Iapd)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방전시킴으로써 방전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판별부(3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별부(300)는 제1 비교부(310), 전압-시간 변환부(320), 제2 비교부(33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제1 비교부(310)는 전치 증폭부(200)로부터 출력된 출력 전압 신호(Vo)와 제1 기준전압(VTH1) 및 제2 기준전압(VTH2)과 각각 비교하여 제1 및 제2 비교 신호(COUT1, COUT2)를 출력한다.
전압-시간 변환부(320)는 제1 및 제2 비교 신호(COUT1, COUT2)에 따라 출력 전압 신호(Vo)의 출력 시작 시점부터 출력 전압 신호(Vo)가 제2 기준전압(VTH1) 이상이 되는 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램프 전압(Vramp)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전압-시간 변환부(320)는 제1 및 제2 비교 신호(COUT1, COUT2)에 따라 출력 전압 신호(Vo)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고, 제1 비교 신호(COUT1)의 상승 에지부터 제2 비교 신호(COUT2)의 상승 에지까지 제1 전압 레벨의 기울기로 상승하고, 제2 비교 신호(COUT2)의 상승 에지부터 제2 전압 레벨의 기울기로 상승하는 램프 전압(Vramp)을 생성한다.
제2 비교부(330)는 램프 전압(Vramp)과 지연 설정 전압(Vdelay)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 램프 전압(Vramp)이 지연 설정 전압(Vdelay) 이상이 되는 시점에 디지털 검출 신호(Dout)를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40)는 디지털 검출 신호(Dout)를 신호 처리 및 판별하여 표적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비교부(310)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비교부(310)는 제1 비교기(312) 및 제2 비교기(314)를 포함한다. 제1 비교기(312)는 출력 전압 신호(Vo)와 제1 기준전압(VTH1)을 비교하여 제1 비교 신호(COUT1)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1 비교기(312)는 출력 전압 신호(Vo)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제1 기준전압(VTH1)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제1 비교 신호(COUT1)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제2 비교기(314)는 출력 전압 신호(Vo)와 제2 기준전압(VTH2)을 비교하여 제2 비교 신호(COUT2)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2 비교기(314)는 출력 전압 신호(Vo)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제2 기준전압(VTH2)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제2 비교 신호(COUT2)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압-시간 변환부(320) 및 제2 비교부(330)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압-시간 변환부(320)는 전류원(IS4, IS5), 스위칭 소자(SW1~SW3) 및 커패시터(C4)를 포함한다. 전류원(IS4)은 스위칭 소자(SW1)에 의해 제어되어 커패시터(C4)에 전류(I1)를 공급한다. 전류원(IS5)은 스위칭 소자(SW2)에 의해 제어되어 커패시터(C4)에 전류(I2)를 공급한다. 여기서, 전류(I1) 및 전류(I2)는 동일한 크기의 전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SW1)는 전류원(IS4)과 커패시터(C4) 사이에 연결되어 제1 비교 신호(COUT1)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된다. 스위칭 소자(SW2)는 전류원(IS5)과 커패시터(C4) 사이에 연결되어 제2 비교 신호(COUT2)의 반전 신호(/COUT2)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된다.
커패시터(C4)는 스위칭 소자(SW1) 및 스위칭 소자(SW2)에 공통으로 연결된 일단과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타단을 포함한다. 전류원(IS4, IS5)에 의해 커패시터(C4)에 충전된 전하에 대응하여 램프 전압(Vramp)이 출력된다.
스위칭 소자(SW3)는 커패시터(C4)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1 비교 신호(COUT1)의 반전 신호(/COUT1)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된다. 스위칭 소자(SW3)에 의해 커패시터(C4)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된다.
그리고, 제2 비교부(330)는 비교기(332)를 포함한다. 비교기(332)는 램프 전압(Vramp)이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지연 설정 전압(Vdelay)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디지털 검출 신호(Dout)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별부(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서 실선은 출력 전압 신호(Vo_L)에 대응하는 것으로 표시하고, 점선은 출력 전압 신호(Vo_S)에 대응하는 것으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먼저, 판별부(300)로 입력되는 출력 전압 신호(Vo)는 제2 증폭부(230)에 의해 반전된 상태이다. 이에, 출력 전압 신호(Vo)의 상승 에지가 입력 전류 신호(Iapd)가 입력된 시점이고, 하강 에지가 부궤환 저항(Rf) 및 방전부(214)에 의해 부궤환 커패시터(Cf)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는 시점이다.
즉, 입력 전류 신호(Iapd)의 입력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출력 전압 신호(Vo)의 상승 에지를 검출해야 한다. 그런데, 전치 증폭부(200)는 입력 전류 신호(Iapd)를 적분하여 출력 전압 신호(Vo)를 출력하므로, 판별부(300)가 출력 전압 신호(Vo)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출력 전압 신호(Vo)의 전압 레벨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될 때까지 지연 시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별부(300)는 출력 전압 신호(Vo)를 이용하여 입력 전류 신호(Iapd)의 입력 시점을 역산한다. 또한, 판별부(300)는 입력 전류 신호(Iapd)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고정된 지연 시간 이후에 디지털 검출 신호(Dout)를 출력한다. 이 경우 입력 전류 신호(Iapd)의 크기와 무관하게 복수의 표적에 대한 디지털 검출 신호(Dout)의 상대적인 출력 시간이 동일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워크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교기(312)는 제1 기준전압(VTH1)과 출력 전압 신호(Vo)를 비교하여 제1 비교 신호(COUT1)를 출력한다. 이때,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펄스로 입력되는 입력 전류 신호(Iapd)에 대응하는 출력 전압 신호(Vo_L)의 경우 제1 비교 신호(COUT1)가 펄스 입력 시작 시간(ts)부터 일정 시간(t1L)이 지난 시점에 활성화된다. 여기서, 도 9에서 실선은 출력 전압 신호(Vo_L)에 대응하는 것으로 표시하고, 점선은 출력 전압 신호(Vo_S)에 대응하는 것으로 표시한다.
반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펄스로 입력되는 입력 전류 신호(Iapd)에 대응하는 출력 전압 신호(Vo_S)의 경우 제1 비교 신호(COUT1)가 펄스 입력 시작 시간(ts)부터 일정 시간(t1S)이 지난 시점에 활성화된다.
마찬가지로, 제2 비교기(314)는 제2 기준전압(VTH2)과 출력 전압 신호(Vo)를 비교하여 제2 비교 신호(COUT2)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 전압 신호(Vo_L)의 경우 제2 비교 신호(COUT2)가 펄스 입력 시작 시간(ts)부터 일정 시간(t2L)이 지난 시점에 활성화된다. 반면, 출력 전압 신호(Vo_S)의 경우 제2 비교 신호(COUT2)가 펄스 입력 시작 시간(ts)부터 일정 시간(t2S)이 지난 시점에 활성화된다.
여기서, 제2 기준전압(VTH2)이 제1 기준전압(VTH1)의 2배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은 관계 식이 성립한다.
[수학식 2]
t2n - ts = 2 x (t2n-t1n), n = L, S, …
여기서, 펄스 입력 시작 시간(ts)은 시간(t1n) 및 시간(t2n)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시간 차(t2n-t1n)의 2배만큼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 것으로 가정하면 펄스 입력 시작 시간(ts)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시간 컨버터(322)는 시간(t1n)부터 시간(t2n)까지 커패시터(C4)에 2배의 전류 값으로 충전한다. 즉, 시간(t1n)부터 시간(t2n)까지 스위칭 소자(SW1, SW2)를 동시에 턴 온시켜 커패시터(C4)에 전류(I1) 및 전류(I2)에 대응하는 전하를 충전한다.
이때, 시간(tn2) 이후에는 전압-시간 컨버터(322)는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오프되고, 커패시터(C4)에 전류(I1)에 대응하는 전하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C4)에 충전된 램프 전압(Vramp)이 지연 설정 전압(Vdelay) 이상이 되는 시점(td)에 지연부(324)를 통해 디지털 검출 신호(Dout)가 출력된다.
즉, 입력 전류 신호(Iapd)의 크기와 무관하게 지연 설정 전압(Vdelay)에 의해 설정된 고정 지연 시간(tout)과 펄스 입력 시간(ts) 간의 차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워크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수신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최소 검출 신호(MDS; minimum detectable signal)를 이용하여 10MDS, 400MDS 각각의 입력 전류 파형에 대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의 실제 입력 시점으로부터 디지털 검출 신호(Dout)의 출력 시점 간의 시간, 즉 I/O 지연 시간을 판단하여 워크 에러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수신 장치의 워크 에러는 약 2.8ns이고, 종래의 광 수신 장치의 워크 에러는 약 7.3ns로 나타나 크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광 감지부
200: 전치 증폭부
300: 판별부

Claims (16)

  1.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여 입력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광 감지부;
    상기 입력 전류 신호를 출력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전치 증폭부; 및
    제1 및 제2 기준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출력 시작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고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디지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치 증폭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방전 구간 동안 상기 출력 전압 신호와 미리 설정된 리셋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및 상기 디지털 검출 신호의 출력을 감지한 출력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 신호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부는
    포토 다이오드 또는 어밸런치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증폭부는
    상기 입력 전류 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출력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반전 증폭기;
    상기 반전 증폭기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부궤환 커패시터;
    상기 부궤환 커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부궤환 저항; 및
    상기 리셋 기준전압 및 상기 출력 감지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리셋 지속 시간 동안 상기 반전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충전된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전류 값만큼 방전시키는 방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증폭기는
    적어도 3단으로 연결된 CMOS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상기 리셋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 신호와 상기 출력 감지 신호를 논리 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논리 곱 게이트;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전류 값에 대응하는 전류를 싱크하는 전류원; 및
    상기 논리 곱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전류원을 연결하는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증폭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고대역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상승 에지에 대한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고대역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증폭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를 증폭 및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부하;
    상기 부하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출력 전압 신호를 반전 증폭하는 공통 소스 증폭기; 및
    상기 반전 증폭된 출력 전압 신호를 버퍼링하는 소스 팔로워 버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전압 각각과 비교하여 제1 및 제2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
    상기 제1 및 제2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부터 상기 출력 전압 신호가 제2 기준전압 이상이 되는 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램프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시간 변환부; 및
    상기 램프 전압과 상기 고정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정된 지연 설정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부는
    상기 출력 전압 신호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상기 제1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1 비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출력 전압 신호가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상기 제2 기준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제2 비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비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시간 변환부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 신호 각각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비교 신호의 상승 에지부터 상기 제2 비교 신호의 상승 에지까지 제1 전압 레벨로 상승하고, 상기 제2 비교 신호의 하강 에지부터 제2 전압 레벨로 상승하는 상기 램프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시간 변환부는
    제1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류원;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제2 전류원;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램프 전압을 출력하는 커패시터;
    상기 제1 비교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되어 상기 제1 전류원과 상기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비교 신호의 반전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되어 상기 제2 전류원과 상기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비교 신호의 반전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 온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램프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3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전압은 상기 제1 기준전압보다 2배 높은 전압 레벨로 설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류는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고,
    상기 전압-시간 변환부는
    상기 램프 전압의 상기 제1 전압 레벨을 상기 제2 전압 레벨의 2배만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교부는
    상기 램프 전압이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 상기 지연 설정 전압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상기 디지털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디지털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 및 판별하여 상기 표적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수신 장치.
KR1020130039381A 2013-04-10 2013-04-10 광 수신 장치 KR10155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381A KR101552687B1 (ko) 2013-04-10 2013-04-10 광 수신 장치
PCT/KR2013/003560 WO2014168282A1 (ko) 2013-04-10 2013-04-25 광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381A KR101552687B1 (ko) 2013-04-10 2013-04-10 광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553A true KR20140122553A (ko) 2014-10-20
KR101552687B1 KR101552687B1 (ko) 2015-09-15

Family

ID=5168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381A KR101552687B1 (ko) 2013-04-10 2013-04-10 광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2687B1 (ko)
WO (1) WO20141682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33431A1 (en) * 2017-07-27 2019-01-31 Seiko Epson Corporation Circuit device,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vehicle
CN111273370A (zh) * 2020-03-20 2020-06-12 杭州敏和光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红外对管的检测方法
US10962647B2 (en) 2016-11-30 2021-03-30 Yujin Robot Co., Ltd. Lidar apparatus based on time of flight and moving obj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9298B2 (en) 2017-09-20 2023-02-14 Yujin Robot Co., Ltd. Hybrid sensor and compact Lidar sensor
US11874399B2 (en) 2018-05-16 2024-01-16 Yujin Robot Co., Ltd. 3D scanning LIDAR sensor
CN115835372A (zh) * 2021-09-18 2023-03-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定位的信号的发送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0190B2 (ja) * 2001-12-05 2006-06-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ィジタル伝送システム
US7508497B2 (en) * 2003-11-26 2009-03-24 Meade Instruments Corporation Rangefinder with reduced noise receiver
KR100972033B1 (ko) * 2008-08-13 2010-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치 증폭기와 후치 증폭기가 단일로 집적된 기가비트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버스트 모드 수신기
JP5635975B2 (ja) * 2009-03-25 2014-12-03 ローム株式会社 照度センサ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半導体装置
JP5723517B2 (ja) * 2009-06-15 2015-05-27 日本信号株式会社 光測距装置
US9052381B2 (en) * 2010-05-07 2015-06-09 Flir Systems, Inc. Detector array for high speed sampling of an optical puls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2647B2 (en) 2016-11-30 2021-03-30 Yujin Robot Co., Ltd. Lidar apparatus based on time of flight and moving object
US20190033431A1 (en) * 2017-07-27 2019-01-31 Seiko Epson Corporation Circuit device,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vehicle
CN109309479A (zh) * 2017-07-27 2019-02-0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路装置、物理量测量装置、电子设备和移动体
US11662441B2 (en) * 2017-07-27 2023-05-30 Seiko Epson Corporation Circuit device,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vehicle
CN109309479B (zh) * 2017-07-27 2023-10-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路装置、物理量测量装置、电子设备和移动体
CN111273370A (zh) * 2020-03-20 2020-06-12 杭州敏和光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红外对管的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687B1 (ko) 2015-09-15
WO2014168282A1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2605B2 (ja) ガイガーモードのアバランシェフォトダイオードを有する受光器及び読み出し方法
Cho et al. A high-sensitivity and low-walk error LADAR receiver for military application
KR101552687B1 (ko) 광 수신 장치
JP6863922B2 (ja) 長測距ライダー用の高ダイナミックレンジアナログフロントエンド受信機
US9160458B2 (en) Optical signal detection circuit and optical receiver
Ngo et al. Wideband receiver for a three-dimensional ranging LADAR system
US10686412B2 (en) Trans-impedance amplifier with fast overdrive recovery
US20230061653A1 (en) Detection circuit for adjusting width of output pulses, receiving unit, laser radar
US20180059220A1 (en) Laser ranging device with beam signature and signature recognition
US20170031009A1 (en) Optical measurement system incorporating ambient light component nullification
CN110967683B (zh) 信号接收和放大电路以及具有其的激光雷达
US9151604B1 (en) Non-saturating receiver design and clamping structure for high power laser based rangefinding instruments
CN107632298B (zh) 一种应用于脉冲式激光雷达系统的高灵敏度接收电路
WO2017175458A1 (ja) 測距装置および測距方法
CN114114212A (zh) 脉冲信号的放大电路、回波信号接收系统及激光雷达
Kurtti et al. Laser radar receiver channel with timing detector based on front end unipolar-to-bipolar pulse shaping
JP4248773B2 (ja) 電流電圧変換装置
CN112583365B (zh) 带温度补偿及自动衰减功能的位敏跨阻放大器
US9837969B2 (en) Transimpedance circuit
Baharmast et al. A low noise, wide dynamic range TOF laser radar receiver based on pulse shaping techniques
Hintikka et al. A CMOS laser radar receiver for sub-ns optical pulses
CN114019482A (zh) 光电接收电路及具有该电路的激光测距装置
CN112363148A (zh) 光电检测电路及光电探测器
Kurtti et al. An integrated optical receiver with wide-range timing discrimination characteristics
CN110794384A (zh) 面向激光测距系统的一种跨阻放大器架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