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991A -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991A
KR20140120991A KR1020130036450A KR20130036450A KR20140120991A KR 20140120991 A KR20140120991 A KR 20140120991A KR 1020130036450 A KR1020130036450 A KR 1020130036450A KR 20130036450 A KR20130036450 A KR 20130036450A KR 20140120991 A KR20140120991 A KR 20140120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wall
fuel tank
vertical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682B1 (ko
Inventor
이륜한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68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8Multiple separate fuel tanks or tanks being at least partially partitioned
    • F02M37/0094Saddle tanks; Tanks having 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comprising baff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 저장되도록 밀폐되게 구성되고, 저장된 연료를 흡입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송출하는 연료흡입 파이프가 설치된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흡입 파이프의 주변에 형성되는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연료흡입 파이프 주변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 내벽과, 상기 한 쌍의 수직 내벽 사이에 배치된 수평 내벽과, 상기 한 쌍의 수직 내벽 중에 어느 하나의 수직 내벽과 이격되어 배치된 수직 외벽, 및 상기 수직 외벽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 내벽과 나란하게 배치된 수평 외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FUEL TANK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 휠로더 등과 같은 건설기계의 연료 탱크 내부에 격벽이 배치된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 등과 같이 모든 차량에는 차량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가 구비되어 있다.
통상 건설기계 등과 같은 차량은 일반적인 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들과는 달리, 지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차량의 접근이 힘든 험한 지역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지역에서 작업하는 건설기계는 탱크 로리 등과 같은 주유 차량를 이용하여 주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건설기계의 작업 지역에 주유 차량의 접근이 어려우므로 연료가 저장된 간이 주유통을 사용하여 연료 탱크에 직접 주유한다.
이때, 지면의 경사도는 물론 급발진, 급제동 시의 연료 탱크 내부에 저장된 연료의 쏠림 현상에 의해 연료가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연료 경고등이 점등되는 문제점이 이다. 또한, 이러한 상태로 계속 작업하거나 주행을 하게 되면, 건설기계의 엔진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건설기계가 장시간 기울어져 연료 탱크 내부에 저장된 연료가 연료공급 파이프로 공급되지 못하게 되면 탱크 내부에 소량의 연료가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조기에 경고등이 점등되고 시동이 꺼진다. 이로 인해, 건설기계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 탱크 내부에 소량의 연료가 남아있을 때, 외부 환경에 의해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연료공급 파이프로 연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나 차량의 시동의 꺼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건설기계용 연료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는, 연료가 저장되도록 밀폐되게 구성되고, 저장된 연료를 흡입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송출하는 연료흡입 파이프가 설치된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흡입 파이프의 주변에 형성되는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연료흡입 파이프 주변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 내벽과, 상기 한 쌍의 수직 내벽 사이에 배치된 수평 내벽과, 상기 한 쌍의 수직 내벽 중에 어느 하나의 수직 내벽과 이격되어 배치된 수직 외벽, 및 상기 수직 외벽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 내벽과 나란하게 배치된 수평 외벽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내벽 중 어느 하나의 수직 내벽의 일단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내측벽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의 수직 내벽의 일단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내측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내벽의 일부에 상기 격벽부의 외측에 위치된 연료를 상기 격벽부의 내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플랩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 도어의 상단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 격벽의 내측면과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내벽의 일부에 상기 격벽부의 외측에 위치된 연료를 상기 격벽부의 내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플랩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 도어의 상단부는 상기 수평 내벽의 내측면과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랩 도어가 일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는, 연료공급 파이프로의 연료 공급을 돕는 복수의 격벽이 설치되어 연료 탱크 내에 소량의 연료가 남아 있더라도 지면에 경사도에 따른 차량의 쏠림에 관계없이 연료공급 파이프로의 연료 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나 엔진의 시동 꺼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연료 탱크 내에 남아있는 연료가 소량이어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연료의 무효 잔량을 줄어들며, 차량의 연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건설기계의 움직임에 따른 연료 탱크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건설기계의 움직임에 따른 연료 탱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연료 탱크 내부에 배치된 격벽의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는 연료 탱크(10) 및 격벽부(20)를 포함한다.
건설기계의 일측에는 연료 탱크(10)가 배치된다. 연료 탱크(10)는 건설기계를 구동하기 위한 연료가 저장되는 용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연료 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연료가 연소함으로써 동력(에너지)를 발생시켜 차량의 작업 및 운행을 돕는다. 연료 탱크(10)는 차량의 중량에 따라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연료 탱크(10)의 상단부 일측에는 연료 탱크(10)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 주유구(12)가 배치된다. 연료 주유구(12)의 형상 및 크기도 차량의 중량에 따라 배치되는 연료 탱크(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또한, 연료 탱크(10)는 외부에서 연료 주유구(12)를 통해 주입하므로, 연료 주유구(12)는 작업자가 볼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때, 건설기계의 작업 환경에 따라 토사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연료 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마개 및 뚜껑 등을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탱크(10)의 상단부 타측에는 연료흡입 파이프(12)가 배치된다. 이 연료흡입 파이프(12)는 연료 주유구(12)를 통해 연료 탱크(10)의 내부로 주입된 연료를 건설기계의 주행 및 작업을 위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흡입 파이프(12)의 단부는 연료 탱크(10) 내에 저장된 연료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연료 탱크(10)의 최저면과 가깝게 위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따라 연료흡입 파이프(12)의 길이 및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더불어, 연료흡입 파이프(12)과 인접한 위치에는 연료회수 파이프(13)가 배치된다. 연료회수 파이프(13)는 연료 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연료가 연료흡입 파이프(12)를 통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송출되고 남은 연료를 연료 탱크(10)로 회수하게 된다.
만약, 연료 탱크(10)에 소량의 연료가 남게 될 때, 지면의 경사도에 따른 차량의 쏠림, 급정거 등에 따라 연료 탱크(10)는 기울어져 남아있는 연료도 한쪽으로 쏠리게 된다. 그러면, 연료흡입 파이프(12)로의 연료 흡입이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연료흡입 파이프(12)의 흡입을 돕기 위하여 연료흡입 파이프(12) 주변에 격벽부(20)를 설치한다.
격벽부(20)는 수직 내벽(21)과 수평 내벽(22)을 포함한다. 또한, 수직 외벽(211)과 수평 외벽(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연료흡입 파이프(12) 주변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의 수직 내벽(21)이 나란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수직 내벽(21) 사이에 수평 내벽(22)이 배치된다. 수평 내벽(22)은 한 쌍의 수직 내벽(21)의 단부를 연결한다.
이때, 한 쌍의 수직 내벽(21) 중 어느 하나의 수직 내벽(21)의 일단부는 상기 연료 탱크(10)의 내측벽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의 수직 내벽(21)의 일단부는 연료 탱크(10)의 내측벽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수직 외벽(211)은 한 쌍의 수직 내벽(21) 중에 어느 하나의 수직 내벽(21)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수직 외벽(211)은 오일 탱크(10)의 내측벽과 이격되도록 배치된 수직 내벽(21)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연료 탱크(10) 내에 저장된 연료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연료가 격벽부(20) 내에 무리하게 가득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외벽(211)의 일단부는 연료 탱크(10)의 내측벽과 접촉된다. 더불어, 수직 외벽(211)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수평 내벽(22)과 나란하게 수평 외벽(221)이 배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연료 탱크(10) 내에 소량의 연료가 남아있더라도 연료공급 파이프(12) 주변에 형성된 격벽부(20)에 의해 연료 탱크(10)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연료공급 파이프(12)로의 연료 공급이 끊기지 않게 된다.
여기서, 연료공급 파이프(12)로 흡입되지 않고 남은 연료는 격벽부(20) 내에 있거나, 연료 탱크(10)에 유동에 의해 격벽부(20)를 빠져나갈 경우 연료 탱크(10)의 일측에 마련된 연료 배수구(14)로 연료가 배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 탱크(10)내로 유입되어 격벽부(20)의 외부에 위치된 연료를 격벽부(20)의 내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수직 내벽(21) 각각의 일부에 플랩 도어(30)가 설치된다. 또한, 플랩 도어(30)는 수평 내벽(22)의 일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랩 도어(30)는 한 쌍의 수직 내벽(21) 또는 수평 내벽(22)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플랩 도어(30)는 연료가 유동하는 통로 상에 설치되어, 연료 탱크(10) 내부에서 유동하는 연료가 격벽부(20) 내부로 최대한 많이 유입되게 된다.
플랩 도어(30)의 상단부는 수직 내벽(21) 또는 수평 내벽(22)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연료공급 파이프(12)가 위치된 쪽으로만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플랩 도어(30)와 한 쌍의 수직 내벽(21)과 수평 내벽(22)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힌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힌지가 될 수 있으며, 플랩 도어(30)의 개방을 돕고 저장된 연료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은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랩 도어(30)가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은, 격벽부(20)의 외측에 저장된 연료들이 수직 내벽(21)과 수평 내벽(22)에 설치된 플랩 도어(30)를 통하여 들어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플랩 도어(20)가 양 방향으로 모두 개방되도록 형성되면, 격벽부(20)의 수직 내벽(21)과 수평 내벽(22)으로 유동된 연료가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연료 탱크(10)가 기울어질 경우, 격벽부(20)의 외측으로 쉽게 유동되므로 연료 탱크(10)에 연료가 남아있더라도 연료공급 파이프(12)로 공급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플랩 도어(30)가 연료공급 파이프(12)가 위치된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랩 도어(30)의 하단부에 스톱퍼(3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톱퍼(32)는 플랩 도어(30)가 양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 가능하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료 탱크(10)는 연료공급 파이프(12)로의 연료 공급을 돕는 복수의 격벽부(20)가 설치되어 연료 탱크(10) 내에 소량의 연료가 남아 있더라도 지면에 경사도에 따른 차량의 쏠림에 관계없이 연료공급 파이프(12)로의 연료 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나 엔진의 시동 꺼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 탱크(10) 내에 남아있는 연료가 소량이어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연료의 무효 잔량을 줄어들며, 차량의 연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연료 탱크 11: 연료 주입구
12: 연료흡입 파이프 13: 연료회수 파이프
14: 연료 배수구 20: 격벽부
21: 수직 내벽 22: 수평 내벽
211: 수직 외벽 221: 수평 외벽
30: 플랩 도어 32: 스톱퍼

Claims (5)

  1. 연료가 저장되도록 밀폐되게 구성되고, 저장된 연료를 흡입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송출하는 연료흡입 파이프(12)가 설치된 연료 탱크(10); 및
    상기 연료흡입 파이프(12)의 주변에 형성되는 격벽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20)는,
    상기 연료흡입 파이프(12) 주변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 내벽(21);
    상기 한 쌍의 수직 내벽(21) 사이에 배치된 수평 내벽(22);
    상기 한 쌍의 수직 내벽(21) 중에 어느 하나의 수직 내벽(21)과 이격되어 배치된 수직 외벽(211); 및
    상기 수직 외벽(211)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 내벽(22)과 나란하게 배치된 수평 외벽(2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 내벽(21) 중 어느 하나의 수직 내벽(21)의 일단부는 상기 연료 탱크(10)의 내측벽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의 수직 내벽(21)의 일단부는 상기 연료 탱크(10)의 내측벽과 이격되어 배치된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내벽(21)의 일부에 상기 격벽부(20)의 외측에 위치된 연료를 상기 격벽부(20)의 내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플랩 도어(3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 도어(30)의 상단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 격벽(21)의 내측면과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내벽(22)의 일부에 상기 격벽부(20)의 외측에 위치된 연료를 상기 격벽부(20)의 내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플랩 도어(3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 도어(30)의 상단부는 상기 수평 내벽(22)의 내측면과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도어(30)가 일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스톱퍼(32)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KR1020130036450A 2013-04-03 2013-04-03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KR10200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50A KR102001682B1 (ko) 2013-04-03 2013-04-03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50A KR102001682B1 (ko) 2013-04-03 2013-04-03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991A true KR20140120991A (ko) 2014-10-15
KR102001682B1 KR102001682B1 (ko) 2019-10-01

Family

ID=5199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450A KR102001682B1 (ko) 2013-04-03 2013-04-03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0802A (zh) * 2018-08-02 2018-11-13 田方年 一种汽车用防盗油箱及供油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180A (ko) 2020-06-19 2021-12-28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히터장치
KR20210157181A (ko) 2020-06-19 2021-12-28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 중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183U (ko) * 1994-12-29 1996-07-18 차량용 연료탱크
KR970035545A (ko) * 1995-12-27 1997-07-22 한승준 차량용 연료탱크의 쳄버
KR0115720Y1 (ko) * 1992-12-08 1998-04-17 이범창 차량의 연료탱크내에 설치된 연료유면확보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5720Y1 (ko) * 1992-12-08 1998-04-17 이범창 차량의 연료탱크내에 설치된 연료유면확보기구
KR960021183U (ko) * 1994-12-29 1996-07-18 차량용 연료탱크
KR970035545A (ko) * 1995-12-27 1997-07-22 한승준 차량용 연료탱크의 쳄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0802A (zh) * 2018-08-02 2018-11-13 田方年 一种汽车用防盗油箱及供油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682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3195B2 (en) Working machine
JP5949793B2 (ja) 建設機械
CN204340671U (zh) 自驱动建筑机械
KR20140120991A (ko)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JP2010248895A (ja) 掘削機
EP2748454B1 (en) Liquid fuel trap device
CN202669466U (zh) 一种全地形车油箱结构
JP2002266377A (ja) 建設機械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2000142127A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装置
US20180050727A1 (en) Working vehicle
JP2016188557A (ja) 作業機
JP2008195345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CN201143886Y (zh) 一种汽车油箱
CN206477894U (zh) 用于车辆发动机总成的油底壳以及车辆发动机总成
JPH11245676A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装置
JP4735710B2 (ja) 作動流体貯留装置
JP6859846B2 (ja) 建設機械
JP6873630B2 (ja) 小旋回型ショベル
JP6121632B1 (ja) 作業車両
JP2020011697A (ja) 作業機
CN203906044U (zh) 车辆
KR20150059264A (ko) 농업용 작업차의 연료탱크
JP2003341799A (ja) タンクの液面計
KR20140025962A (ko) 오일탱크 일체형 연료탱크
JP2015093546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