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121A - 식생 호안블럭 - Google Patents

식생 호안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121A
KR20140120121A KR20130035829A KR20130035829A KR20140120121A KR 20140120121 A KR20140120121 A KR 20140120121A KR 20130035829 A KR20130035829 A KR 20130035829A KR 20130035829 A KR20130035829 A KR 20130035829A KR 20140120121 A KR20140120121 A KR 2014012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lock body
vegetation
blo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366B1 (ko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트랜스코리아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랜스코리아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랜스코리아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36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몸체를 서로 결속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공성을 좋게 하고, 면적당 식생구멍의 수를 증가시켜 많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식물의 활착 생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블럭몸체의 시공상태를 견고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럭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식생 호안블럭은,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을 가지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식생구멍이 형성된 블럭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럭몸체의 제1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제1 결속홈부와 이 제1 결속홈부로부터 연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결속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제2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 결속홈부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 결속돌출부를 제2 연결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제3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 결속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 결속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속홈부와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에는 앵커핀을 관통시켜 상호 결속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결속구멍이 블럭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구성이다.

Description

식생 호안블럭{Vegetation Revetment Block}
본 발명은 식생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제방의 비탈면 또는 댐, 저수지, 도로 등 각종 공사로 인해 생성된 절개지에 시공되어 비탈면 또는 절개지의 보호를 위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식물류를 심어 조경을 겸함으로써 자연친화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제방의 비탈면 또는 댐, 저수지, 도로 등의 각종 공사로 인해 생성된 절개지와 같은 장소는, 호안공사 없이 그대로 방치할 경우 비탈면과 절개지의 차체 경사로 인해 원 지반에 쌓여있는 토사가 조금씩 흘러내리고 심한 경우에는 강우로 인한 홍수나 폭설시 한번에 많은 양의 토사가 유출되므로 지반이 붕괴되는 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자연환경 및 경관까지도 해치게 된다.
따라서, 하천이나 제방의 비탈면 또는 각종 절개지의 경사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호안블럭을 시공하여 토사의 자연유실 및 강우로 인한 폭우 및 강설과 같은 외압에 의한 강제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호안블럭은 표면 전체가 모두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있어 초목의 성장이 불가하고, 이로 인해 수면이나 하천 제방 주위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은 물론 미생물과 곤충 및 조류 등의 서식이 어려워 자연친화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호안블럭을 자연친화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블럭 사이에 식물의 뿌리가 원 지반에 착상될 수 있는 식생구멍을 형성하여 토양이 숨 쉬고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한 식생 호안블럭이 개발되어 있다.
식생 호안블럭의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10-0506980에 개시된 것이 있다.
등록특허 10-0506980의 식생 호안블럭은, 다공질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블럭몸체의 각 연결측면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이동홈을 형성하며, 블럭몸체의 모서리에는 다수개의 블럭몸체가 밀착되면서 고정될 때 공간을 형성하도록 절개면을 형성하고, 블럭몸체에 형성되는 고정홈의 모양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구가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고정홈에 삽입하여 블럭몸체를 서로 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식생 호안블럭은, 블럭몸체를 서로 결속시키는 작업이, 양쪽 블럭몸체의 고정홈을 서로 정확하게 맞대어 일치시킨 상태에서 별도로 제작한 고정부재의 걸림구를 양쪽 고정홈에 삽입시켜야 하고, 이러한 결속작업을 블럭몸체의 4면에서 각각 해야 하므로, 결속작업이 어렵고 신속하지 못하여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시공성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시공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식생 호안블럭은, 다수개의 블럭몸체를 연이어 결속하여 연결하는 과정에서 블럭몸체의 모서리에 형성한 절개면에 의해 식생구멍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면적당 식생공의 수가 적어 식생 호안블럭으로서의 자연친화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기 어렵고, 면적당 식생구멍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블럭몸체의 사이즈를 작게 하면, 그만큼 연결해야 할 블럭몸체의 수가 증가하여 시공성을 더욱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식생 호안블럭 시공에서는 블럭을 설치하기 전에 원지반에 부직포를 포설하는 것이 상례였고, 이는 강우시 블럭 뒤로 스며드는 침투수로부터 사면 보호를 위하여 필요하였으나, 이로 인해 식생구멍에 식재한 식물의 뿌리 활착에 지장을 주어 식물 생육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블럭몸체를 서로 결속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공성을 좋게 하고, 면적당 식생구멍의 수를 증가시켜 많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지반에 식물의 활착 생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블럭몸체의 시공상태를 견고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는 식생 호안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을 가지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식생구멍이 형성된 블럭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럭몸체의 제1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제1 결속홈부와 이 제1 결속홈부로부터 연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결속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제2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 결속홈부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 결속돌출부를 제2 연결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제3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 결속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 결속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속홈부와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에는 앵커핀을 관통시켜 상호 결속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결속구멍이 블럭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식생 호안블럭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의 두께와, 제1 및 제2 결속홈부의 깊이는 블럭몸체 두께의 1/2로 설정된 식생 호안블럭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럭몸체 내에 철근을 격자형태로 배치하여 구조적으로 보강시킨 식생 호안블럭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럭몸체의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에 다수개의 반원홈을 형성하고, 상기 반원홈은 블럭몸체의 연결시 인접한 블럭몸체의 반원홈과 일치하여 하나의 식생구멍을 형성하는 식생 호안블럭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결속돌출부와 제2 결속홈부에 형성한 제3 및 제4 결속구멍의 입구에, 앵커핀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입구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점 크게 한 경사유도구멍을 형성한 식생 호안블럭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럭몸체의 식생구멍에 삽입하여 생육시킬 수 있는 묘목폿트를 구비하고, 상기 묘목폿트는 수분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재질로 식생구멍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며, 블럭몸체의 밑에는 유공 매트 또는 간극이 작은 네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럭.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블럭몸체의 제1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1 결속홈부 및 제1 결속돌출부에, 이와 연결하기 위한 블럭몸체의 제2 및 제3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 형성한 제2 접속홈부 및 제2 결속돌출부를 결합하고, 결합시 상호 일치된 제1 내지 제4 결속구멍에 앵커핀을 관통시켜 결속시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3개의 블럭몸체를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결속구멍의 입구에 형성된 경사유도구멍에 의해서는 앵커핀의 삽입시 앵커핀의 삽입을 유도하게 되므로 위에 위치한 제1 및 제2 결속구멍과 아래에 위치한 제3 및 제4 결속구멍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쉽게 앵커핀을 삽입하여 관통시킬 수 있어 블럭몸체의 결속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생 호안블럭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전체 시공비의 감소로 공사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럭몸체의 상호 결속에 의해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에 형성한 다수개의 반원홈이 일치하여 하나의 식생구멍을 형성하게 되므로, 식생구멍을 더욱 증가시켜 더 많은 식물을 자라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식생 호안블럭으로서의 자연친화적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식생구멍에 묘목폿트를 넣어 식재하는 것에 의해 식물 뿌리가 그 구멍들을 통하여 원지반에 닿게 되므로 뿌리 활착이 원활하게 되어 생육을 왕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비탈면이나 절개지에 시공한 콘크리트 블럭이 노출되어 있어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않고 메마른 정서를 주는 곳이 많은데, 본 발명에 의한 식생 호안블럭으로 시공하면 식물로 덮여 콘크리트 블록은 보이지 않고 무성한 식물만 보이게 되어 국민 시각을 건강한 자연에 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호안블럭 밑에 포설하던 부직포를 유공 매트나 간극이 작은 네트로 대체 사용함으로써 침투수에 의한 침식을 예방하는 목적을 유지함과 동시에, 식재된 식물 뿌리가 그 구멍들을 통하여 원지반에 닿게 되므로 뿌리 활착이 원활하게 되고 생육이 왕성하게 되어 잘 뻗어 내린 뿌리에 의해 식생 호안블럭을 견고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호안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호안블럭을 뒤집어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호안블럭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호안블럭의 결속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식생 호안블럭의 결속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호안블럭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호안블럭의 시공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호안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 호안블럭은,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11,12,13,14)을 가지는 사각판 형상의 블럭몸체(10)로 이루어진다. 블럭몸체(10)는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것으로, 내부에 철근(25)을 격자형태로 배치함으로써 구조적 강도를 더욱 높이도록 되어 있다.
블럭몸체(10)의 제1 내지 제3 연결측면(11,12,13)에는 블럭몸체(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결속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블럭몸체(10)의 결속구조는, 블럭몸체(10)의 제1 내지 제3 연결측면(11,12,13)에 형성한 제1 및 제2 결속홈부(16,19)와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17,1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즉 제1 연결측면(11) 한쪽 모서리부에는 제1 결속홈부(16)와 이 제1 결속홈부(16)로부터 연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결속돌출부(17)를 구비하고, 블럭몸체(10)의 제2 연결측면(12)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 결속홈부(16)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 결속돌출부(18)를 제2 연결측면(12)으로부터 돌출 형성하고, 블럭몸체(10)의 제3 연결측면(13)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 결속돌출부(17)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 결속홈부(19)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및 제2 결속홈부(16,19)와 이에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17,18)는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17,18)의 두께와, 제1 및 제2 결속홈부(16,19)의 깊이는 블럭몸체(10) 두께의 1/2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결속홈부(16,19)와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17,18)에는 앵커핀(20)을 관통시켜 상호 결속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결속구멍(21,22,23,24)이 블럭몸체(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 결속돌출부(18)와 제2 결속홈부(19)에 형성한 제3 및 제4 결속구멍(23,24)의 입구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핀(20)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앵커핀(20)이 삽입되는 입구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점 크게 한 경사유도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블럭몸체(10)에는 식물 생육을 위한 식생구멍(15)이 형성되고, 이 식생구멍(15)은 블럭몸체(10)에 상하, 좌우로 배치하여 다수개 구비한다. 또한 식생구멍(15)은, 블럭몸체(10)의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11,12,13,14)에 형성한 다수개의 반원홈(26)에 의해서도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원홈(26)은 블럭몸체(10)의 연결시 인접한 블럭몸체(10)의 반원홈(26)과 일치하여 식생구멍(15)과 같은 하나의 식생구멍을 형성하게 되므로, 면적당 식생구멍(15)의 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식생구멍(15)은 원형으로 형성하여 블럭몸체(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시킨 것으로, 이 원형구멍에 알맞은 크기의 묘목폿트(28)를 끼워 넣음으로써 묘목의 뿌리가 원지반에 활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생 호안블럭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몸체(10)의 제1 결속홈부(16)에 제4 연결측면(14)에서 연결되는 인접한 블럭몸체(10)의 제2 결속돌출부(18)를 결합하고, 블럭몸체(10)의 제1 결속돌출부(17)는 제1 연결측면(11)에서 연결되는 인접한 블럭몸체(10)의 제2 결속홈부(19)에 결합하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홈부(16)의 제1 결속구멍(21)은 제2 결속돌출부(18)의 제3 결속구멍(23)과 일치하고, 제1 결속돌출부(17)의 제2 결속구멍(22)은 제2 결속홈부(19)의 제4 결속구멍(24)과 일치하게 되므로, 일치된 제1 내지 제4 결속구멍(21,22,23,24)에 앵커핀(20)을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3개의 블럭몸체(10)를 상호 결속할 수 있다.
이때, 도 5b에서와 같이 위에 위치한 제1 및 제2 결속구멍(21,22)이 아래에 위치한 제3 및 제4 결속구멍(23,24)과 어긋나는 경우에도 앵커핀(20)의 삽입시 앵커핀(20)의 끝단이 제3 및 제4 결속구멍(23,24)의 입구에 형성된 경사유도구멍(27)에 의해 안내되어 제3 및 제4 결속구멍(23,24)으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므로 제1 내지 제4 결속구멍(21,22,23,24)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수고가 해소되어 블럭몸체(10)의 결속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몸체(10)에 다수개의 식생구멍(15)이 형성되고, 또한 블럭몸체(1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11,12,13,14)에 형성한 다수개의 반원홈(26)이 상호 일치하여 식생구멍(15)과 같은 식생구멍을 형성하게 되므로, 면적당 식생블럭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많은 식물을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생구멍(15)에 삽입하여 생육시킬 수 있는 묘목폿트(28)를 이용한 것으로, 묘목폿트(28)에 재배하는 식물은 홍수 때 당분간 침수가 되어도 견딜 수 있는 수변식물, 즉 갈대 물억새 버들강아지 등을 심을 수 있다. 또한 수면 아래에 있는 장소에는 물속에서 생육할 수 있는 침수식물 즉 줄, 꽃창포 말 등을 심어 수중녹화에 의해 수질정화에 기여하고 어족들의 서식처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묘목폿트(28)의 직경은 식생구멍(15)보다 약간 작게 하여 삽입을 좋게 하고, 재질은 수분에 오래 접할 경우 스스로 분해되는 재질로 하여 묘목이 자라 있는 폿트를 그대로 블럭몸체(10)의 식생구멍(15)에 넣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블럭몸체(10) 밑에는 유공 매트나 간극이 작은 네트(29)를 설치하여 침투수에 의한 침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식재된 식물 뿌리가 그 구멍들을 통하여 흙 지반에 닿게 하여 뿌리 활착을 원활하게 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블럭몸체 11,12,13,14 :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
15 : 식생구멍 16,19 : 제1 및 제2 결속홈부
17,18 :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
20 : 앵커핀 21,22,23,24 : 제1 내지 제4 결속구멍
25 : 철근 26 : 반원홈
27 : 경사유도구멍 28 : 묘목폿트
29 : 네트

Claims (6)

  1.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을 가지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식생구멍이 형성된 블럭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럭몸체의 제1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제1 결속홈부와 이 제1 결속홈부로부터 연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결속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제2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 결속홈부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 결속돌출부를 제2 연결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하고, 상기 블럭몸체의 제3 연결측면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 결속돌출부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제2 결속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속홈부와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에는 앵커핀을 관통시켜 상호 결속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결속구멍이 블럭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속돌출부의 두께와, 제1 및 제2 결속홈부의 깊이는 블럭몸체 두께의 1/2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 내에 철근을 격자형태로 배치하여 구조적으로 보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럭.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제1 내지 제4 연결측면에 다수개의 반원홈을 형성하고, 상기 반원홈은 블럭몸체의 연결시 인접한 블럭몸체의 반원홈과 일치하여 하나의 식생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럭.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속돌출부와 제2 결속홈부에 형성한 제3 및 제4 결속구멍의 입구에, 앵커핀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입구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점 크게 한 경사유도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럭.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블럭몸체의 식생구멍에 삽입하여 생육시킬 수 있는 묘목폿트를 구비하고, 상기 묘목폿트는 수분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재질로 식생구멍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며, 블럭몸체의 밑에는 유공 매트 또는 간극이 작은 네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블럭.
KR1020130035829A 2013-04-02 2013-04-02 식생 호안블럭 KR101520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829A KR101520366B1 (ko) 2013-04-02 2013-04-02 식생 호안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829A KR101520366B1 (ko) 2013-04-02 2013-04-02 식생 호안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121A true KR20140120121A (ko) 2014-10-13
KR101520366B1 KR101520366B1 (ko) 2015-05-18

Family

ID=5199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829A KR101520366B1 (ko) 2013-04-02 2013-04-02 식생 호안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386A (zh) * 2020-05-18 2020-10-13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生态锚杆、边坡防护系统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805B1 (ko) 2020-12-23 2021-05-18 우태진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KR102343776B1 (ko) 2021-03-11 2021-12-24 우태진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417A (ja) * 1997-04-05 1998-10-20 Nitsushiyoku Riyokuchi Kk 水辺ブロック植生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374495B1 (ko) * 2000-09-18 2003-03-10 이호열 호안용 블럭
KR20050092070A (ko) * 2004-03-13 2005-09-16 김영진 호안블럭
KR101019540B1 (ko) * 2008-05-22 2011-03-09 주식회사 에이원콘크리트 호안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386A (zh) * 2020-05-18 2020-10-13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生态锚杆、边坡防护系统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366B1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KR101520366B1 (ko) 식생 호안블럭
Broome et al. Shoreline erosion control using marsh vegetation and low-cost structures
KR200408102Y1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KR20060105916A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KR20110121111A (ko) 자연하안을 조성하기 위한 하안재 및 자연하안 조성공법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80662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102253411B1 (ko) 식생 가능한 지반 고정구조
CN215252656U (zh) 一种用于地质灾害修复的绿植护坡结构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200327418Y1 (ko) 식생용 호안블럭
KR100381254B1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KR20120057407A (ko) 식생포대 고정장치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33038A (ko) 환경 친화형 침식방지 매트 설치방법 및 그 매트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247931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JP5663161B2 (ja) 護岸構造および護岸構造の施工方法
JP3434048B2 (ja) 湖岸緑化ブロック及び湖岸緑化築造方法
KR100446813B1 (ko) 호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수변 식생대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