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666A -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666A
KR20140119666A KR1020140101367A KR20140101367A KR20140119666A KR 20140119666 A KR20140119666 A KR 20140119666A KR 1020140101367 A KR1020140101367 A KR 1020140101367A KR 20140101367 A KR20140101367 A KR 20140101367A KR 20140119666 A KR20140119666 A KR 20140119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eight
graft copolymer
acrylat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447B1 (ko
Inventor
남상일
김윤호
김건수
최성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0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44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ⅰ) 공액디엔계 고무 코어 55 내지 85 중량%; 및 ⅱ) 상기 고무 코어를 감싸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라프트 쉘 15 내지 45 중량%;로 구성되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상기 고무 코어, 상기 그라프트 쉘, 또는 상기 고무 코어와 상기 그라프트 쉘 모두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A는 독립적으로 비닐기를 가진 치환기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이고, A'는 수소기, 알킬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이며, 상기 R은 독립적으로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상기 n은 독립적으로 5 내지 15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PMMA 수지에 적용시 충격강도 및 표면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PMMA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Graft Copolymer Improving Impact And Adhesion Resistance And PMM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PMMA 수지에 적용시 충격강도 및 표면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PMMA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는 투명성, 내후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경도, 내약품성, 표면광택, 접착성 등이 우수하여 유리의 대용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플라스틱 소재와 비교하여 내충격성이 낮아 제품의 두께가 증가되고, 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131803호(200605.25 공개)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가 포함된 PMMA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내충격성의 향상이 크지 않고, 충격보강제를 다량 사용하는 경우 경도와 투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 제1980-148729호는 2~3 단계의 유화중합으로 제조되고 외층에 매트릭스 수지와 상용성이 좋은 경질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아-쉘(Core-Shell) 구조의 충격보강제를 개시하고 있으나, 고무 함량이 적어 충분한 내충격성을 얻기 위해 다량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쉘이 두꺼워지면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특허 1981-96862 호는 고무상 중합체를 고도로 가교시켜 고무 성분의 함량이 높은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제로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고무의 탄성이 낮아 충격흡수 효과가 낮고, 매트릭스 수지와 상용성이 떨어져 가공성이 열악한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충격보강제는 PMMA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성형물의 투명성을 저하시키고, 따라서 성형물의 두께를 제한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PMMA 수지에 적용시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PMMA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공액디엔계 고무 코어 55 내지 85 중량%; 및 ⅱ) 상기 고무 코어를 감싸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라프트 쉘 15 내지 45 중량%;로 구성되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상기 고무 코어, 상기 그라프트 쉘, 또는 상기 고무 코어와 상기 그라프트 쉘 모두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A는 독립적으로 비닐기를 가진 치환기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이고, A'는 수소기, 알킬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이며, 상기 R은 독립적으로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상기 n은 독립적으로 5 내지 15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PMMA 수지에 적용시 충격강도 및 표면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PMMA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ⅰ) 공액디엔계 고무 코어 55 내지 85 중량%; 및 ⅱ) 상기 고무 코어를 감싸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라프트 쉘 15 내지 45 중량%;로 구성되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상기 고무 코어, 상기 그라프트 쉘, 또는 상기 고무 코어와 상기 그라프트 쉘 모두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A는 독립적으로 비닐기를 가진 치환기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이고, A'는 수소기, 알킬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이며, 상기 R은 독립적으로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상기 n은 독립적으로 5 내지 15이다.)
본 발명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기는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치환기를 모두 포함하며, (메트)아크릴로일기는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치환기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상기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쉘 총 100 중량부를 기준(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포함되지 않음)으로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데, 이 범위 내에서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상기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코어에 0.1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그라프트 쉘에 0.1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에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그라프트 쉘에 1.0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데, 이 범위 내에서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수평균분자량이 3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0,000인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인 것인데, 이 범위 내에서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PMMA 수지의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참고로,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타크릴레이트(PEGMA)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n은 5~15이다)
상기 ⅰ)의 공액디엔계 고무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이소프렌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ⅰ)의 공액디엔계 고무는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단량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ⅰ)의 공액디엔계 고무는 가교성 단량체를 1 내지 5 중량%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인데, 이 범위 내에서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디비닐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클릴레이트, 아릴메타크릴레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ⅱ)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ⅱ)의 그라프트 쉘은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이소프로필페닐나프탈렌, 비닐나프탈렌, C1 내지 C3의 알킬기가 치환된 스티렌, 및 할로겐이 치환된 스티렌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ⅱ)의 그라프트 쉘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형성된 제1 그라프트 쉘과 이 제1 그라프트 쉘이 형성된 후에 스티렌계 단량체를 추가 투입하고 그라프트 중합시켜 형성된 제2 그라프트 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ⅰ) 부타디엔 고무 코어 55 내지 85 중량% 및 ⅱ) 그라프트 쉘 15 내지 4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 내에서 PMMA 수지의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PMMA용 충격보강제는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PMMA 수지와 상용성 및 결합력이 우수하여 PMMA 수지의 광학특성을 만족시키고,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PMMA 수지 조성물은 상기 PMMA용 충격보강제 1 내지 20 중량% 및 PMMA 수지 80 내지 9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MMA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가소제, 착색제 및 활제 등의 첨가제를 통상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고무 라텍스(코어)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된 120 리터 고압 중합 용기에 이온 교환수 150 중량부, 첨가제로 완충용액 0.5 중량부, 올레인산칼륨 2.0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47 중량부, 황산 제1철 0.003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술폭시산 0.02 중량부 및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시드 0.1 중량부를 초기 충진시켰다. 여기에 부타디엔 100 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에서 18 시간 동안 중합하여, 공액디엔계 고무 라텍스(코어)를 얻었고, 이때 최종 중합전환율은 98%, 평균입경은 100 nm이었다.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수득한 공액디엔계 고무 라텍스의 70 중량부(고형분 기준)를 밀폐된 반응기에 투입한 후, 질소를 충진하고 여기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94 중량부, 황산 제1철 0.006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술폭시산 0.04 중량부를 투입한 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EGMA; n=10, Mn=500) 1.0 중량부, 올레인산칼륨 0.15 중량부, 이온 교환수 15 중량부, 및 t-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 0.05 중량부를 10 분 동안 첨가하여 60 ℃에서 2 시간 동안 중합을 실시하였고, 이어서 스티렌 10 중량부, 에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94 중량부, 황산 제1철 0.006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0.04 중량부, 올레인산칼륨 0.15 중량부, 이온교환수 15 중량부 및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05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 ℃에서 2 시간 동안 중합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제조>
제조된 라텍스 상태의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산화방지제(Irganox-245)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황산 수용액을 가하여 응집시킨 다음, 75 ℃에서 공중합체와 물을 분리시킨 후 탈수 건조하여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PMMA 수지 조성물 시트의 제조>
상기 수득된 분말 상태의 투명 수지 20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LG MMA사, IH830) 80 중량부에 활제 0.2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및 광안정제 0.01 중량부를 투입하고 혼련하여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이 펠렛을 다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고무 라텍스(코어)의 제조시 부타디엔과 함께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EGMA; n=10, Mn=500) 1.0 중량부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시 폴리에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EGMA; n=10, Mn=500)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에 기재된 단량체들을 그 표시된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PMMA 조성물 시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굴절율 - 투명 수지를 0.5 ㎜ 두께의 얇은 필름으로 제조한 후, ASTM D1298에 의거하여 25 ℃에서 아베굴절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충격강도 - 1/8“ 시편을 이용하여 ASTM D256에 의거하여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 시트상태(투명 또는 반투명) - PMMA 굴절율(1.4893)를 기준으로 굴절율차가 ±<0.001 경우 투명, ±>0.001경우 반투명으로 판정하였다.
* 표면경도(연필경도) - ASTM D78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표면경도(Rockwell) - 락웰 경도계(Rockwell 2000, Instron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조성 고무
중합
BD 100 100 80 49 49 49 100 80 49
BA 0 0 0 51 51 51 0 0 51
SM 0.0 0.0 19 0.0 0.0 0.0 0.0 19 0.0
DVB 0.0 0.0 1.0 1.0 0.0 0.0 0.0 1.0 1.0
PEGMA 0.0 1.0 0.0 0.0 1.0 1.0 0.0 0.0 0.0
그라프트
중합
고무 70 70 70 70 70 70 70 70 70
MMA 15 15 9.1 25.5 25.5 25.5 15 9.1 25.5
PEGMA 1.0 0.0 1.0 1.0 1.0 2.0 0.0 0.0 0.0
SM 10 10 19.3 0.0 0.0 0.0 10 19.3 0.0
EA 5 5 1.6 4.5 4.5 4.5 5 1.6 4.5
PMMA
가공
MBS 20 20 20 20 20 20 20 20 20
PMMA 80 80 80 80 80 80 80 80 80
물성 광학특성 시트상태 반투명 반투명 반투명 투명 투명 투명 반투명 반투명 투명
굴절률 1.5185 1.5185 1.5386 1.4901 1.4901 1.4901 1.5185 1.5386 1.4901
충격강도 Izod 6.0 5.5 5.0 4.5 5.5 5.5 5.0 4.5 4.0
표면강도 연필경도 2H 2H 2H 2H 2H 3H H H H
Rockwell 80 70 70 80 80 85 65 65 65
* BD: 부타디엔, SM: 스티렌 모노머, DVB: 디비닐벤젠, Izod(KJ/m2), Rockwell(M-scale)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제로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6)은 충격강도와 표면강도(연필경도 및 락웰경도) 모두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PEGMA가 사용되지 않은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제로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비교예 1 내지 3)은 충격강도 및 표면강도가 본 발명의 PMMA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덧붙여, 본 발명의 PMMA 수지 조성물 중(실시예 1 내지 6)에서 코어 및 쉘 모두에 PEGMA가 포함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제로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실시예 5 내지 6)은 충격강도 또는 충격강도와 표면강도 모두에 있어서 더욱 뛰어남(PEGMA 이외에 나머지 조건이 동일한 실시예 4와 비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ⅰ) 공액디엔계 고무 코어 55 내지 85 중량%; 및
    ⅱ) 상기 고무 코어를 감싸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쉘 15 내지 45 중량%;로 구성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상기 고무 코어와 상기 그라프트 쉘 모두에 포함되되,
    상기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쉘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무 코어에 0.1 내지 4.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고 상기 그라프트 쉘에 0.1 내지 4.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며, 상기 고무 코어 및 그라프트 쉘에 포함되는 총 함량이 0.5 내지 5 중량부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A는 독립적으로 비닐기를 가진 치환기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이고, A'는 수소기, 알킬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이며, 상기 R은 독립적으로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이고, 상기 n은 독립적으로 5 내지 15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수평균분자량이 300 내지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디엔계 고무는,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단량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디엔계 고무는, 가교성 단량체를 1 내지 5 중량%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쉘은,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단량체,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7.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이소프로필페닐나프탈렌, 비닐나프탈렌, C1 내지 C3의 알킬기가 치환된 스티렌, 및 할로겐이 치환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9. 제 1항 내지 제 6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MMA용 충격보강제.
  10. 제 9항의 충격보강제 1 내지 20 중량% 및 PMMA 수지 80 내지 9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와 표면강도가 향상된 PMMA 수지 조성물.
KR1020140101367A 2014-08-07 2014-08-07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투명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KR101584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367A KR101584447B1 (ko) 2014-08-07 2014-08-07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투명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367A KR101584447B1 (ko) 2014-08-07 2014-08-07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투명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507A Division KR20120083069A (ko) 2011-01-17 2011-01-17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666A true KR20140119666A (ko) 2014-10-10
KR101584447B1 KR101584447B1 (ko) 2016-01-11

Family

ID=5199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367A KR101584447B1 (ko) 2014-08-07 2014-08-07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투명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3845A (zh) * 2018-10-09 2019-02-01 广东裕田霸力科技股份有限公司 高性能橡胶处理剂及其生产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097B1 (ko) 2023-03-31 2023-09-14 광주과학기술원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이 개선된 pmma계 수지 및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6455A (ja) * 1995-11-29 1997-07-08 Ciba Geigy Ag コア/シェル粒子およびそれを含む硬化性エポキシ樹脂
KR100725940B1 (ko) * 2005-12-06 2007-06-11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6455A (ja) * 1995-11-29 1997-07-08 Ciba Geigy Ag コア/シェル粒子およびそれを含む硬化性エポキシ樹脂
KR100725940B1 (ko) * 2005-12-06 2007-06-11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3845A (zh) * 2018-10-09 2019-02-01 广东裕田霸力科技股份有限公司 高性能橡胶处理剂及其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447B1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56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92674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JP4907438B2 (ja) 機械的物性に優れた光拡散性樹脂組成物
KR101697393B1 (ko)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JP614511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5221148B2 (ja) Pvc樹脂用の衝撃補強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88280B1 (ko) 다층 구조를 가지는 투명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EP2530097A1 (en) Impact modifier for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50010565A (ko) 내충격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2047246B1 (ko)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6073B1 (ko) Pvc용 충격보강제,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404942B1 (ko) 투명도와 내충격 강도가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KR20150068313A (ko) 스티렌계 내화학성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584447B1 (ko)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투명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KR101651736B1 (ko) 내후성 보강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0788793B1 (ko) 저온 충격 강도와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
KR101827613B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4595728A (en) Impact-resistant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KR20120083069A (ko) 표면강도 및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뛰어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pmma 수지 조성물
KR101656919B1 (ko) 고무강화 그라프트 공중합체용 단량체 조성물, 고무강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강화 열가소성 고투명 수지
KR20080067438A (ko) 투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용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1651719B1 (ko) 광확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확산 수지 조성물
KR101716927B1 (ko) 고무강화 열가소성 고투명 수지의 제조방법
JP2782199B2 (ja) 透明耐衝撃性樹脂組成物
KR20100113841A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