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321A -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 Google Patents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321A
KR20140119321A KR1020130033936A KR20130033936A KR20140119321A KR 20140119321 A KR20140119321 A KR 20140119321A KR 1020130033936 A KR1020130033936 A KR 1020130033936A KR 20130033936 A KR20130033936 A KR 20130033936A KR 20140119321 A KR20140119321 A KR 20140119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er
auxiliary
controll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346B1 (ko
Inventor
임종철
고형열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34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21D43/11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가 적재되며, 상기 소재를 가압 성형부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적재되는 상기 소재를 설정된 온도 범위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BLANK MOVING EQUIPMENT}
본 발명은 프레스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온의 환경에서 강판 소재를 가압 성형 할 경우, 성형 전에 소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특히, 계절 변화에 따라 일정 장소에 적재되는 상태로 보관되는 소재들은 적절하지 않은 보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1066호(공개일 : 2006년 01월 06일)이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프레스 라인의 블랭크 이송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를 가압 성형하기 이전에 일정의 범위의 온도로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압 성형시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소재가 적재되며, 상기 소재를 가압 성형부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적재되는 상기 소재를 설정된 온도 범위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소재가 적재되며, 적재된 소재를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과 상기 가압 성형부를 잇는 경로 상에 배치되며, 이동되는 상기 소재를 세정하는 세정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며, 적재된 상기 소재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며, 적재된 상기 소재를 가열되는 에어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가열기와, 측정한 상기 온도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열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유닛은, 상단에 소재가 안착되며, 양단이 한 쌍의 롤러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외부 동력을 전달 받아 경로를 따라 소재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와,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가열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에어를 가열하는 가열 모듈과, 일단이 상기 가열 모듈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에 천공되는 홀에 연결되어, 가열한 상기 에어를 안착된 상기 소재에 제공하는 에어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 유닛과 상기 가압 성형부의 사이에는, 보조 가열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조 가열부는, 상기 세정 유닛의 출구단에서 대기되는 소재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보조 온도 센서와, 상기 세정 유닛의 출구단에 설치되며, 대기되는 상기 소재를 가열되는 에어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보조 가열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보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소재의 온도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보조 가열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모드 선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로 모드 센택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가열기를 사용하는 제 1모드와, 상기 보조 가열기를 사용하는 제 2모드와, 상기 가열기 및 상기 보조 가열기 모두를 사용하는 제 3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모드 선택 신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소재를 가압 성형하기 이전에 일정의 범위의 온도로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압 성형시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온도 제어부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보조 가열부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드 선택부를 통한 가열기 및 보조 가열기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는 크게 적재부(100)와, 온도 제어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적재부(100)는 이동 유닛(110)과, 세정 유닛(190)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이동 유닛(110)은 컨베이어 밸트(113)와, 지지 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밸트(113)는 상단에 소재(10)가 안착되며, 양단이 한 쌍의 롤러(111)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외부 동력을 전달 받아 경로를 따라 소재(10)를 이동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2)은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113)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111)를 회전 지지하는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롤러(111)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고, 이에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113) 역시 회전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밸트(113)의 상단에 안착된 소재(10)는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유닛(110)은 다수의 행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하를 따라 층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정 유닛(190)은 상기 이동 유닛(110)의 측부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세정 유닛(190)은 이동 유닛(110)으로부터 이송되는 소재(10)의 표면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세정 유닛(190)은 가압 성형부(700)로 소재(10)가 투입되기 전 소재(10)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온도 제어부(200)는 크게 온도 센서(210)와, 가열기(220)와, 제어기(230)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 센서(210)는 상기 적재부(100)에 적재된 소재(10)의 온도값을 측정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열기(220)는 상기 컨베이어 밸트(113)에 안착된 소재(10)에 가열된 에어를 분사하여 가열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가열기(220)는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113)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분사관(221)과, 상기 에어 분사관(221)으로 가열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분사기(222)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 분사기(222)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 분사기(222)는 제어기(2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된다.
상기 에어 분사관(221)의 일단은 이동 유닛(110)의 지지 프레임(112)에 형성되는 홀(112a)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2)에 형성되는 홀(112a)은 소재(10)의 하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가열기(220)는 제어기(2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에어 분사기(222)를 구동시키고, 이에 가열된 에어는 에어 분사관(221)을 통해 소재(10)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밸트(113)에 적재된 소재(10)는 가열된 에어에 노출되면서 가열된다.
한편, 상기 세정 유닛(190)의 측부에는 가압 성형부(700)가 배치된다.
상기 적재부(100) 및 가압 성형부(700)는 소재(10)가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소재 이송 설비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어기(230)에 기준 온도 범위를 설정한다.
이때, 다수의 소재(10)는 각각의 이동 유닛(110)에 적재되는 상태를 이룬다.
제어기(230)는 가열기(220)를 구동하여, 소재(10)를 가열한다. 가열의 방식은 상술한 구성을 통한 가열된 에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온도 센서(210)는 적재된 소재에 대한 온도값을 측정하여, 제어기(23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230)는 소재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가열기(220)를 사용하여 다수의 소재(10)를 가열한다.
그리고,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소재(10)를 가압 성형부(700)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세정 유닛(190)과 상기 가압 성형부(700)의 사이에는, 보조 가열부(3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세정 유닛(190)의 출구단에서 대기되는 소재(10)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보조 온도 센서(310)와, 상기 세정 유닛(190)의 출구단에 설치되며, 대기되는 상기 소재(10)를 가열되는 에어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보조 가열기(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230)는 상기 보조 온도 센서(310)로부터 측정된 상기 소재(10)의 온도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보조 가열기(3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먼저, 다수의 소재(10)는 각각의 이동 유닛(110)에 적재되는 상태를 이룬다.
제어기(230)는 소재(10)를 세정 유닛(190)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보조 온도 센서(310)는 세정 유닛(190)에서 세정이 완료된 후, 소재(10)에 대한 온도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값을 제어기(23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230)는 소재(10)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보조 가열기(220)를 사용하여 다수의 소재를 가열한다.
그리고,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소재(10)를 가압 성형부(700)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 유닛(110)에서 소재(10)를 가열하지 않고, 가압 성형부(700) 입구측에서 성형 전 소재(10)를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여 성형을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성형 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드 선택부(미도시)를 통한 가열기(220) 및 보조 가열기(320)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기(230)는 모드 선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230)로 모드 선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가열기(220)를 사용하는 제 1모드와, 상기 보조 가열기(320)를 사용하는 제 2모드와, 상기 가열기(220) 및 상기 보조 가열기(320) 모두를 사용하는 제 3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모드 선택 신호로 사용한다.
도 6을 참조 하면, 제어기(230)에 기준 온도 범위를 설정하고 난 이후, 제 1,2,3모드 중 어느 하나를 택할 지를 선택한다.
제 1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도 4를 참조 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하다. 즉, 적재부(100)의 이동 유닛(110) 자체에서 소재(10)를 가열하여 유지한 상태에서 세정 및 가압 성형을 진행한다.
또한, 제 2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도 5를 참조 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하다. 즉, 이동되는 소재(10)를 세정 유닛(190)에서 세정 한 이후, 소재(10)를 가압 성형 직전에서 가열하여 성형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 3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 1,2모드와의 복합적인 예로, 이동 유닛(110)에서의 가열과 세정 유닛(190)에서의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동 유닛(110)에서 가열된 후 세정 유닛으로 투입되고, 세정 유닛(190)에서 세정 이후 소재의 온도값을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재확인 하여 가압 성형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소재(10)가 적재되는 상태에서 가열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 및 세정 된 이후 가압 성형 직전에서 다시 가열하여 가압 성형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성형성을 더 효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자동차 강판의 프레스 가공 품질 향상, 즉, 동절기 크랙, 네크 불량 발생을 효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년 중 외부 온도에 영향 없이 동일한 온도 유지 즉, 기주?? 온도 범위를 20 ~ 25℃ 로 설정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에는 가공된 블랭크가 프레스 투입 전 디스테크 피딩 설비에 대기(1 ~ 2시간)하는 동안 보조적으로 가열함을 통해서 소재의 온도를 상향하여 동절기 성형불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소재를 보관하는 경우, 보관 온도 변화에 따른 불량을 감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년 중 동일한 조건(블랭크/소재 온도)으로 성형이 가능하고, 성형 조건변화를 최소화하여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소재 이송 설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적재부 110 : 이동 유닛
200 : 온도 제어부 210 : 온도 센서
220 : 가열기 300 ; 보조 가열부
310 : 보조 온도 센서 320 : 보조 가열기

Claims (6)

  1. 소재가 적재되며, 상기 소재를 가압 성형부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적재되는 상기 소재를 설정된 온도 범위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소재가 적재되며, 적재된 소재를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과 상기 가압 성형부를 잇는 경로 상에 배치되며, 이동되는 상기 소재를 세정하는 세정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며, 적재된 상기 소재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이동 유닛에 설치되며, 적재된 상기 소재를 가열되는 에어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가열기와,
    측정한 상기 온도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가열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단에 소재가 안착되며, 양단이 한 쌍의 롤러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외부 동력을 전달 받아 경로를 따라 소재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와,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에어를 가열하는 가열 모듈과,
    일단이 상기 가열 모듈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밸트에 천공되는 홀에 연결되어, 가열한 상기 에어를 안착된 상기 소재에 제공하는 에어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유닛과 상기 가압 성형부의 사이에는, 보조 가열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조 가열부는,
    상기 세정 유닛의 출구단에서 대기되는 소재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보조 온도 센서와,
    상기 세정 유닛의 출구단에 설치되며, 대기되는 상기 소재를 가열되는 에어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보조 가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보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소재의 온도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보조 가열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모드 선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로 모드 센택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가열기를 사용하는 제 1모드와, 상기 보조 가열기를 사용하는 제 2모드와, 상기 가열기 및 상기 보조 가열기 모두를 사용하는 제 3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모드 선택 신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KR1020130033936A 2013-03-28 2013-03-28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KR10152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936A KR101524346B1 (ko) 2013-03-28 2013-03-28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936A KR101524346B1 (ko) 2013-03-28 2013-03-28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321A true KR20140119321A (ko) 2014-10-10
KR101524346B1 KR101524346B1 (ko) 2015-06-01

Family

ID=5199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936A KR101524346B1 (ko) 2013-03-28 2013-03-28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98B1 (ko) * 2015-06-25 2016-02-24 주식회사 대부 차량의 에어덕트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성형장치용 예열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630Y2 (ja) * 1991-02-27 1995-05-10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レス材料の温度調整装置
JPH0840592A (ja) * 1994-07-27 1996-02-13 Nissan Motor Co Ltd プレス材料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98B1 (ko) * 2015-06-25 2016-02-24 주식회사 대부 차량의 에어덕트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성형장치용 예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346B1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7432B (zh) A method for transporting an optical film and a device using the same
CN106219187A (zh) 一种机器人焊接设备的循环式物料输送系统
CN102463734B (zh) 一种自动安装装饰条的生产工艺及生产线
CN104355111A (zh) 一种空调换热器芯体氦气检漏用自动输送装置及使用方法
KR20110059978A (ko) 어큐뮬레이터 및 어큐뮬레이터의 자동 축관성형장치
JP5910306B2 (ja) 熱間プレス成形方法及び熱間プレス成形装置
CN108565472A (zh) 燃料电池极板的全自动生产线
CN109562975B (zh) 玻璃板的制造方法以及玻璃板制造装置
KR20100127618A (ko) 태양전지의 리본 접합창지
KR101524346B1 (ko) 가압 성형 장치용 소재 이송 설비
CN203895482U (zh) 全自动电池侧边加工生产线
CN116130837A (zh) 一种电池模组加热静置装置及方法
KR101204778B1 (ko) 열간성형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한 열간성형 제조방법
CN102738050B (zh) 太阳能电池生产线硅片自动传输系统
CN106219148A (zh) 一种自动输送装置
KR20100001852A (ko) 기판세정장치
JP2012038473A (ja) 誘導加熱装置及び誘導加熱方法
JP5910305B2 (ja) 熱間プレス成形方法及び熱間プレス成形装置
CN108723774B (zh) 一种贯流风扇叶轮全自动生产设备
KR20110000188A (ko) 고속 트랜스퍼 원자재 공급시스템
CN207971598U (zh) 船舶板焊接自动送料机构
KR101581913B1 (ko) 세라믹 도포 성형시스템
KR101872731B1 (ko) 줄 가열을 이용한 핫스탬핑 공정 시스템
CN103008691B (zh) 加工轴件的双头数控机床
CN115008808A (zh) 一种新能源动力电池内部绝缘片热压合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