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098A -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용 철 함유 활물질 제조를 위한 고용체 방법 - Google Patents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용 철 함유 활물질 제조를 위한 고용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098A
KR20140116098A KR1020147019239A KR20147019239A KR20140116098A KR 20140116098 A KR20140116098 A KR 20140116098A KR 1020147019239 A KR1020147019239 A KR 1020147019239A KR 20147019239 A KR20147019239 A KR 20147019239A KR 20140116098 A KR20140116098 A KR 2014011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es
solid
oxi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 루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1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3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for non-aqueous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for non-aqueous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3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for non-aqueous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Hybrid Cel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Fe 함유 활물질(74) 제조를 위한 고용체 합성 방법을 기술하고, 여기서 Fe는 이하의 단계들 - Fe 함유 종(α)(60) 및 X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지지 종(β)(62)을 혼합(64)하여 혼합물(66)을 제공하는 단계, 고온 처리(68)하여 Fe-X-O 고용체(70)를 제공하는 단계, 및 고용체를 환원(72)하여 Fe 함유 활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여기서 Fe는 X 산화물(들)(74)과 엮여있음 - 에 의해 지지 산화물(들)과 엮여있다.

Description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용 철 함유 활물질 제조를 위한 고용체 방법{SOLID-SOLUTION METHOD FOR PRODUCING IRON-CONTAINING ACTIVE MATERIALS FOR RECHARGEABLE OXIDE-ION BATTERY CELLS}
본 발명은 고온에서 표면 영역을 유지할 수 있고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ROB) 셀의 금속 전극에서 사용되는 철 함유 활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에너지 저장은 전기 경제의 효과적 확산 및 다수의 재생가능 에너지 기술들의 구현을 위해 중요하다. 지난 20년 동안, 전기 에너지의 저장에 대한 요구는 휴대, 운송, 부하 관리, 및 중앙 백업 애플리케이션의 분야들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현재의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시스템들이 주요 새로운 시장들을 돌파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더 높은 성능이 요구되고, 환경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이 바람직하다. 주요 시장 확장을 위해 필요한 더 낮은 비용과 더 긴 수명에서 더 크고 더 빠른 에너지 저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 저장 과학 및 기술에서의 혁신적 변화가 크게 요구되고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변화는, 양이온 및/또는 음이온으로 더 신속하고 가역적으로 반응하는 더 큰 산화 환원 반응 능력의 입증을 갖는 새로운 물질 및/또는 획기적인 개념을 요구한다.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 저장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일상적인 표준 납축전지 셀에서; Kitayama가 미국 특허 제6,399,247 B1에 개시한 니켈 금속 하이브리드(NiMH) 배터리; Isenberg가 미국 특허 제4,054,729에 개시한 금속 에어 셀; Ohata가 미국 특허 제7,396,612 B2에서 개시한 리튬 이온 배터리에 이른다. 대부분의 이러한 최신의 배터리 셀들은 액체 전해질 시스템이 필요하다.
배터리는 크기에 따라 스위치에 사용되는 버튼 셀에서 메가와트 부하 관리 애플리케이션까지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최고 전력 밀도에서를 제외하고 출력 에너지가 입력 에너지의 90%를 통상 초과하는 효율적인 저장 디바이스이다.
재충전가능 배터리는 납축전지로부터 니켈 카드늄 및 니켈 금속 하이브리드(NiMH)를 거쳐 리튬 이온 배터리까지 수년에 걸쳐 발전했다. NiMH 배터리는 초기에 컴퓨터 및 휴대 전화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었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의 더 높은 에너지 저장 용량으로 인해 시장에서 거의 완전히 리튬 이온 배터리로 대체되었다. 오늘날, NiMH 기술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주요 배터리이지만, 리튬 배터리의 안전성 및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면, 더 높은 전력 에너지 및 더 낮은 비용의 리튬 배터리로 대체될 것이다. 현재의 배터리 중에, 리튬 이온은 대부분의 재충전가능 전자 디바이스용의 주된 전력원이다.
필요에 따라 고용량의 에너지를 신속 및 가역적으로 용이하게 방전 및 충전할 수 있는 극적으로 새로운 전기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큰 정비없이 수년 동안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천연 가스, 탄화수소 연료 또는 H2 등의 탄화수소 연료의 재형성된 부산물로 동작할 필요가 없는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하나의 가능성은 예를 들면, Huang 등에 의해 2011년 6월 24일 출원된 미국 출원 일련번호 13/167,900 및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11/0033769 A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ROB)이다.
ROB는 본질적으로 산소 농도차 셀이고, 금속 전극, 산화물 이온 도전성 전해질, 및 공기 캐소드를 포함한다. 금속 전극은 에너지 저장을 위한 충전 및 방전 프로세스 동안 산화 환원 과정을 겪는다.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10)의 동작 원리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방전 모드에서, 산소 분자는 x/2O2 + 2xe- → xO2 -의 캐소딕 반응에 의해 공기 전극(12)에서 산화물 이온들로 전기화학적으로 환원된다. 산화물 이온은 공기 전극(높은 산소 분압 측)으로부터 금속 전극(14, 낮은 산소 분압 측)으로 점진적 산소 화학적 포텐셜의 구동력 하에서 전해질(16)을 통해 이동한다. 이론적으로, 금속을 산화시키기 위한 2개의 가능 반응 메커니즘이 존재한다. 하나는 경로 1로서 표기된 고체 상태 확산 반응으로서, 산화물 이온이 금속을 직접 전기화학적으로 산화시켜 금속 산화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경로 2로서 표기된 기상 운반 반응(gas-phase transport reaction)으로서, 기상 산소 종의 생성 및 소모를 포함한다. 산화물 이온들을 기상 산소 종으로 변환하는 반응성 인터페이스(18)는 금속 전극 전해질 인터페이스 부근에 위치한다. 산화물 이온은 먼저 금속 전극 상에서 기체 산소 분자로 변환되고, 또한 고체-기상 메커니즘을 통해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 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 모드에서, 전기화학적 경로 1 또는 고체-기체 메커니즘 경로 2를 통해 금속 산화물을 금속으로 환원함으로써 방출된 산소 종들은 금속 전극으로부터 다시 공기 전극으로 운반된다.
ROB 금속 전극의 키 컴포넌트 중 하나로서, 금속(Me)은 충방전 과정 중에 Me + xO2 - ↔ MeOx의 전극 반응을 통해 산소를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저장소 역할을 한다. ROB의 Me는 Ti, V, Cr, Mn, Fe, Co, Ni, Cu, Mo, Y, 및 W, 바람직하게는 Mn, Fe, Mo, 및 W, 더 바람직하게는 Fe로부터 선택된다. 조밀한 산화물 스케일을 통한 활성종의 체적 확산(bulk diffusion)에 의해 제어된다면, 금속 산화 동역학(metal oxidation kinetic)은
Figure pct00001
(수식 1)의 포물선 법칙에 의해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산화물에서의 산소의 중량 분율(weight fraction)이고,
Figure pct00003
는 표면 영역당 중량 획득(g/cm2)이고,
Figure pct00004
는 포물선 반응 상수(g2/cm4/s)이고,
Figure pct00005
는 반응 시간(초)(s)이다. 활물질의 표면 영역이
Figure pct00006
(cm2/g)이고
Figure pct00007
(그램)가 총 중량 획득이라 하면,
Figure pct00008
(수식 2)이다. 상기 2개의 수식을 결합하여
Figure pct00009
에 대해
Figure pct00010
를 미분하면,
Figure pct00011
(수식 3)을 얻는다.
Figure pct00012
(수식 4)의 공식을 이용하여
Figure pct00013
는 또한 최대 전기 전류
Figure pct00014
(암페어)로 수학적으로 유도될 수 있고, 여기서,
Figure pct00015
은 산화 반응에 연관된 전기 전하의 수이고,
Figure pct00016
는 96485 쿨롬/몰의 패러데이 상수이고,
Figure pct00017
는 산화물의 화학식 량(formula weight)이다. 수식 4는 최대 전기 전류(
Figure pct00018
)가
Figure pct00019
에 비례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Figure pct00020
가 더 클수록,
Figure pct00021
가 더 높다. 활물질의 표면 영역(
Figure pct00022
)을 증가시키는 것은 전체 금속 산화 환원 반응을 개선하기 위한 유력한 해결책 중 하나로서 명확하게 드러나고, 결과적으로 에너지 저장을 위한 충방전 동작 중에 전류 측면에서 셀 성능을 신장시킨다. 따라서, 미세한 철 입자들은 ROB 애플리케이션에 바람직하다. 불행히도, 금속 입자들의 크기를 감소시킬수록 화재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Fe를 포함한 미세한 금속 입자들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처리하는 것은 심각한 위험을 내포한다. 또한, 신중하게 구현된 안전 조치가 더 미세한 금속 분말, 예들 들어 철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더라도, 고온에서의 Fe 입자의 표면 영역의 손실은 동작의 연장된 기간에 걸쳐 ROB의 셀 성능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표면 영역의 손실은 그 표면 에너지의 최소화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의 치밀화(densification) 및/또는 조대화(coarsening)의 결과이다.
따라서, 상당히 미세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셀 조립 중에 Fe 입자를 상대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미세한 Fe 입자를 함유한 활물질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 방법의 개발에 대한 긴급한 수요가 있다. 또한, 물질내의 미세한 Fe 입자들은 치밀화 및 조대화에 대해 큰 저항을 가져 고온(600℃ 내지 800℃)에서의 시간 동안 Fe 입자의 표면 영역을 보존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들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재충전가능한 산화물 이온 배터리(ROB) 셀의 금속 전극에서의 사용을 위한 Fe 함유 활물질을 제공하는 고용체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ROB 셀의 금속 전극에 사용될 활물질 제조를 위한 상기 수요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질산염 또는 탄산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철(Fe) 함유종(α)을 제공하고; X의 엘리먼트를 함유하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질산염 또는 탄산염의 형태이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지지종(β)을 제공하며 - 여기서 X는 철이 아니라 Li, Na, K, Mg, Ca, Sr, Ba, Sc, Ti, V, Cr, Mn, Co, Ni, Cu, Al, Ga, Y, Nb, Mo, Ru, W, La, Pr,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 바람직하게는 Ca, Sr, Ba, Sc, Ti, V, Mn, Co, Ni, Y, Nb, Ru, W, 및 La로부터 선택됨 - ; 철 함유종(α)과 지지종(β)을 혼합하여 α+β 혼합물을 제조함으로써 공급되고 목표 달성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α 및 β는 고체, 유체 또는 고체-액체 혼합물의 형태로 될 수 있고, 혼합 단계는 단순 블렌딩(blending), 확장 밀링(extended milling) 또는 용액 혼합 접근; Fe과 X간의 Fe-X-O의 고용체를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500℃와 2500℃, 바람직하게는 600℃와 1800℃, 가장 바람직하게는 800℃와 1400℃ 사이의 고온에 혼합물을 처리하는 것 - Fe 및 X는 미세 레벨에서 균일하게 분포됨 - ; 및 400℃ 내지 1200℃에서 H2-H2O, CO-CO2, N2-H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환원 가스에서 고용체를 환원하여 X 산화물(들)로 "엮인(interwoven)" 금속성 Fe를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엮이다"라는 용어는 도 4a, 4b, 및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되다," "분리되다," "포함되다" 또는 "데코레이트되다"를 의미할 것이다. 환원은 또한 Fe-X-O 내의 산소의 손실을 야기하고 Fe-함유 활물질 내의 공극(porosity)을 생성한다.
Fe-함유 활물질은 선택적으로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의 금속 전극에 압축되고 집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ROB) 셀의 공지된 동작 원리를 도시한다.
도 2는 금속 전극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ROB 셀의 일 실시예의 컴포넌트들의 연결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으로, ROB 셀에 적절한 Fe 함유 활물질 제조를 위한 고용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3개의 잠재적 시나리오 (a), (b) 및 (c)에서 X 산화물들과 엮인 Fe의 개략도이다.
도 5는 800℃에서 6시간 동안 95%의 N2 - 5%의 H2 환경에서 환원 전(a; 발생된 바와 같이) 및 환원 후(b; 환원된 바와 같이)의 본 발명의 (Ba 도핑된) Fe 함유 활물질의 X선 회절 패턴이다.
도 6은 800℃에서 6시간 동안 95%의 N2 - 5%의 H2 환경에서 환원시에 제어 및 본 발명의 (Ba 도핑된) Fe 함유 활물질에 대한 수축률이다.
ROB 셀의 필요조건은:
a) 2개의 전기 전하를 갖는 산화물 이온으로의 산소의 가역 변환을 위한 공기 전극 캐소드;
b) 전기 전하를 운반하기 위한 산화물 이온 도전성 전해질;
c) 산화물 이온과 연관된 전기 전하가 활성 금속 컴포넌트(들)에 의해 저장되거나 방출되고 금속 산화 환원 반응과 연관된 부피 변화를 수용하는 금속 전극;
d) 공기와 활물질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분리하는 신뢰성 있는 씰(seal);
e) 비용 효율성
을 포함한다.
금속 전극을 포함하는 평면 ROB 셀의 일 실시예의 컴포넌트들을 연결하는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공기 전극은 20으로 도시되어 있고, 사이에 낀 세라믹 중간 전극은 22로 도시되어 있고, 하부 금속 전극은 24로 도시되어 있다. 컴포넌트들(20, 22 및 24)은 멤브레인 조립체를 함께 형성한다. 도 2는 주위 금속 프레임(26)을 도시한다. 씰(28)은 멤브레인 조립체를 프레임(26)에 접속시킨다. 활물질(32), 예를 들어 Fe 함유 물질들이 금속 하우징 포켓들, 즉, 홀들(50)을 채우는 금속 하우징 구조(30)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 전류 커넥터(34)는 금속 하우징 구조(30)와 하부 금속 전극(24) 사이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비표기된 씰들도 또한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된 발명은 ROB 셀의 금속 전극에서 활물질로서 사용될 Fe 함유 활물질 - Fe 입자는 지지 산화물(들)에 의해 데코레이트되어 있음 - 을 생산하기 위한 고용체 방법을 도시하는 도 3에 기술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는 Fe 함유종(α)(60), 예컨대 철 할로겐화물, 질산염, 탄산염,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Fe2O3 - 이에 국한되지 않음 - 을 제공하고; 지지종(β)을 엘리먼트 X, 바람직하게는 X 산화물, X 할로겐화물, X 질산염 및 X 탄산염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엘리먼트 X는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상태에서 Li, Na, K, Mg, Ca, Sr, Ba, Sc, Ti, V, Cr, Mn, Co, Ni, Cu, Al, Ga, Y, Nb, Mo, Ru, W, La, Pr,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로부터 선택된다. 다음으로, Fe 함유종(α)이 비철 지지종(β)과 혼합되어(64) α+β 혼합물(66)을 생성한다. 혼합은 블렌딩, 밀링 또는 용액 기법들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그 다음, Fe 및 X가 고용체 Fe-X-O(70)를 형성하는 동안 혼합물(66)은 고온 처리(68)되고, 여기서 Fe 및 X는 미세 레벨에서 완전히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 다음, 형성된 Fe-X-O 고용체는, 고용체(70) 내의 Fe+2 및/또는 Fe+3이 0.001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0.01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 크기 범위를 갖는 X 산화물(들)(74)과 엮인 입자 금속성 Fe로 환원되는(72) 환경에서 환원된다. 환원은 또한, Fe-X-O 내의 철 이온에 결합된 산소의 손실로 인해 10 부피% 내지 70 부피%, 바람직하게는 25 부피% 내지 50 부피%의 공극을 생성하지만, X는 금속성 Fe와 엮인 그 산화물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Fe 함유 활물질에서 Fe의 치밀화 및 조대화가 진행되고, Fe는 고온에서 더 큰 표면 영역에 잔류된다. 활물질에서 Fe 종의 조대화/치밀화 제어의 효율은 α+β 혼합물에 포함된 X의 양에 의존할 수 있다. 몰 수의 측면에서 X/(X+Fe)의 비율은 0.001에서 0.6까지, 더 바람직하게는 0.01에서 0.4까지 변화한다. Fe-X-O 고용체에서의 Fe의 바람직한 환원은, Fe-X-O → Fe + X 산화물(들) + O2 반응의 Gibbs 자유 에너지가 음이 되고 Fe-X-O → Fe + 금속성 X + O2가 양이 되는 수준으로 산소 분압을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환원 결합, 예를 들면, H2-H2O, CO-CO2는 그 구성성분들 간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산소 분압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활물질(74)은 이후에 예를 들면 전극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압축 또는 형성(76)될 수 있다.
예: 바륨-철 산화물 시스템:
이하는 글리신 질산염 프로세스를 이용한 관심있는 물질들의 합성을 예시한다: 두 타입의 물질이 만들어지고, 이들 중 하나는 제어이고 다른 하나는 대상이다. 일례로서 대상을 택한다. 9.80g 바륨 질산염, 136.35g 철 질산염, 및 40.82g 글리신을 측정하고 500㎖ 비커에 놓는다. 탈이온된(deioned) 물을 추가하여 ∼300㎖의 모액(stock solution)을 만든다. 모액은 충분한 환기를 갖춘 후드 내의 열판에 위치한 스테인리스강 콘테이너(2 리터)로 옮겨진다. 이후, 한 조각의 스테인리스강 스크린(200 메쉬)이 콘테이너의 입구를 덮는데 사용된다. 이후, 열판이 모액을 가열해 끓이도록 켜지고 과잉수(excess water)를 증발시킨다. 결과적으로 점성의 물질이 점화되고 자발적 연소 단계를 겪는다. 이후, 연소된 제품이 1000℃에서 4시간 동안 수집되고 하소된다. 이후, 하소된 분말은 3mm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매체(yttria-stabilized zirconia media)를 이용해 18시간 동안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에서 볼 밀링된다(ball milled). 밀링된 물질은 분석 측정을 위해 건조되고 수집된다.
샘플 준비 및 분석 측정: ∼1 그램 분말을 지름이 12.75mm인 프레스 다이에 놓고, 2000 lbs의 부하 하에서 일축 가압한다. 이후, 형성된 압축된 디스크들은 준비된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5℃/min의 램핑 레이트(ramping rate)를 이용하여 900℃에서 6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가열된다. 일부 준비된 디스크들은 환원 실험을 위해 선택되고, 디스크들의 지름(d1)이 측정된다. 이후, 디스크들은 환원된 샘플들을 생성하기 위해 5℃/min의 램핑 레이트로 800℃에서 6시간 동안 95% N2 - 5% H2 환경의 관형 로(tubular furnace)에서 환원된다. 준비된 샘플들의 지름(d2)이 측정되어 수축률(δ)은 백분율로
Figure pct00023
로서 계산된다. 수축를(δ)은 치밀화에 대한 물질 저항의 강한 지표이다. 더 작을수록, 더 큰 저항이다. Rigaku 회절계를 이용하여 0.05°/초의 스캔 속도로 20°의 2θ(회절각)으로부터 80°까지 준비된 샘플 및 환원된 샘플들을 X선 회절 분석한다.
도 4a, 4b 및 4c는 X 산화물 및 Fe의 분포에서 Fe(84)와 엮이고 배열된 지지종 X 산화물(들)을 3개의 가능 시나리오로 나타낸다.
도 5는 800℃에서 6시간 동안 95% N2 - 5% H2 환경에서 환원 전(a; 생산됨) 및 후(b; 환원됨)의 본 발명의 (Ba 도핑된) Fe 함유 활물질의 X선 회절 패턴이다. 도 5a는 생산된 것이 BaFe2O4 및 Ba3Fe32O51 고용체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환원시에, 고용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성 Fe로 환원된다. 스펙트럼 내의 임의의 바륨 산화물에 관련한 어떠한 특징적 피크도 없는 것은 환원된 샘플에서의 바륨 산화물의 존재에 있어서 장거리 질서(long-range order)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현상은 BaO의 나노크기의 섬들이 금속성 Ni의 표면 상에 관측되는 Ba-Ni-O 시스템에서 관측되었다.
유사한 현상은 환원된 Ba-Fe-O 시스템에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800℃에서 6시간 동안 95% N2 - 5% H2 환경에서 환원시 제어 및 본 발명의 (Ba 도핑된) Fe 함유 활물질에 대한 수축률(δ%)이다. 환원시에, 제어는 5.84%의 δ%로 수축하고, 대상(본 발명)은 0.16%의 δ%만 수축한다. 극적인 결과이다. 바륨 화합물을 본 발명의 고용체 방법을 통해 Fe 함유 활물질에 포함시키는 것은 활물질의 치밀화/조대화를 크게 완화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개시의 전체 교시의 관점에서 이러한 세부사항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대안이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은 첨부 청구범위의 완전한 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의 임의의 것 및 전부로 제시된 발명의 범위로서 예시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Claims (12)

  1.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의 금속 전극에 사용될 철함유 활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고용체 방법으로서,
    i) Fe 함유종(α)을 제공하는 단계;
    ii) X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지지종(β)을 제공하는 단계 - X는 철이 아님 - ;
    iii) 상기 Fe 함유종(α)과 상기 지지종(β)을 혼합하여 α+β 혼합물을 생산하는 단계;
    iv) Fe-X-O의 고용체를 생산하기에 효과적인 기간 동안 상기 혼합물을 고온 처리하는 단계 - Fe 및 X는 미세 레벨로 균일하게 분포함 - ; 및
    v) Fe-X-O의 고용체를 환원하여 X 산화물(들)과 엮인(interwoven) 금속성 Fe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환원은 산소의 손실을 야기하여 다공성 Fe 함유 활물질을 생산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의 상기 Fe 함유종(α)은 고체, 액체 또는 고체-액체 혼합물의 형태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의 상기 지지종(β)은 고체, 액체 또는 고체-액체 혼합물의 형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항의 상기 지지종(β)은 X 산화물, X 할로겐화물, X 질산염, 및 X 탄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종(β)은 Li, Na, K, Mg, Ca, Sr, Ba, Sc, Ti, V, Cr, Mn, Co, Ni, Cu, Al, Ga, Y, Nb, Mo, Ru, W, La, Pr,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엘리먼트 X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엘리먼트 X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종(β)은 Ca, Sr, Ba, Sc, Ti, V, Mn, Co, Ni, Y, Nb, Ru, W, 및 L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몰 수의 측면에서 X/(X+Fe)의 비율은 0.001에서 0.6까지 변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i)의 상기 Fe 함유종(α) 및 지지종(β)은 블렌딩, 밀링, 및 용액 접근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v)의 상기 고온 처리는 500℃와 2,500℃ 사이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단계 v)의 환원 환경은 400℃와 1,200℃ 사이의 온도에서 N2-H2, H2-H2O, CO-CO2,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환원 가스에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최종의 환원된 Fe 입자 크기는 0.001 마이크로미터에서 1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v)에서 Fe 함유 물질의 최종 다공성은 10 부피%에서 70 부피%, 바람직하게는 25 부피%에서 50 부피%인 방법.
KR1020147019239A 2012-01-10 2013-01-08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용 철 함유 활물질 제조를 위한 고용체 방법 KR20140116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46,780 2012-01-10
US13/346,780 US8685288B2 (en) 2012-01-10 2012-01-10 Solid-solution method for producing iron-containing active materials for rechargeable oxide-ion battery cells
PCT/EP2013/050206 WO2013104615A1 (en) 2012-01-10 2013-01-08 Solid-solution method for producing iron-containing active materials for rechargeable oxide-ion battery cel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098A true KR20140116098A (ko) 2014-10-01

Family

ID=4756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239A KR20140116098A (ko) 2012-01-10 2013-01-08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용 철 함유 활물질 제조를 위한 고용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85288B2 (ko)
EP (1) EP2783411B1 (ko)
JP (1) JP5901793B2 (ko)
KR (1) KR20140116098A (ko)
CN (1) CN104040762B (ko)
WO (1) WO2013104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1474A1 (de) * 2012-07-03 2014-01-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eicherstruktur einer elektrischen Energiespeicherzelle
DE102013205407A1 (de) * 2013-03-27 2014-10-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nergiewandlerzelle mit elektrochemischer Wandler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6049A (en) * 1973-12-03 1975-07-22 Atlantic Richfield Co Method of forming co-precipitated material
US4054729A (en) 1976-10-27 1977-10-1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Rechargeable high temperature electrochemical battery
US4132547A (en) * 1977-05-27 1979-01-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producing self-supporting fully activated iron electrodes by thermal reduction-sintering
US4745038A (en) * 1983-11-10 1988-05-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grated gasification iron-air electrical system
US5851599A (en) * 1995-09-28 1998-12-2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Co., Ltd. Battery electrode substr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261720B1 (en) * 1996-09-20 2001-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lkaline storage batteries
JP2001217000A (ja) 1999-02-26 2001-08-10 Toshiba Battery Co Ltd 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
EP1643583A4 (en) 2003-07-29 2010-01-20 Panasonic Corp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5201030B2 (ja) * 2008-03-19 2013-06-05 住友化学株式会社 電極およびそれを有する電池
US8057710B2 (en) * 2009-03-30 2011-11-15 Lg Chem, Ltd. Composite for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110033769A1 (en) 2009-08-10 2011-02-10 Kevin Huang Electrical Storage Device Including Oxide-ion Battery Cell Bank and Module Configurations
CN101699640B (zh) * 2009-10-26 2012-04-25 湖南大学 动力锂离子电池Fe/ FeO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JP5541670B2 (ja) * 2009-11-18 2014-07-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リチウム空気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空気二次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3411A1 (en) 2014-10-01
US8685288B2 (en) 2014-04-01
US20130175483A1 (en) 2013-07-11
JP2015510222A (ja) 2015-04-02
WO2013104615A1 (en) 2013-07-18
CN104040762B (zh) 2016-07-06
CN104040762A (zh) 2014-09-10
JP5901793B2 (ja) 2016-04-13
EP2783411B1 (en)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64927B (zh) 二次电池系统
Park et al. Scalable integration of Li5FeO4 towards robust, high‐performance lithium‐ion hybrid capacitors
Zhao et al. Performance of solid oxide iron-air battery operated at 550 C
EP2603949B1 (en) Self-sealed metal electrode for rechargeable oxide-ion battery cells
US20210151775A1 (en) Hydrogen oxidation electrodes and electrochemical cells including the same
WO2013093044A1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Asl et al. Lithium–liquid battery: harvesting lithium from waste Li-ion batteries and discharging with water
WO2022155254A1 (en) Electrodes for alkaline iron batteries
KR101906901B1 (ko) 계면특성이 향상된 전고체 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고체 전지
KR20140116098A (ko) 재충전가능 산화물 이온 배터리 셀용 철 함유 활물질 제조를 위한 고용체 방법
Tang et al. Demonstration of 10+ hour energy storage with ϕ1′′ laboratory size solid oxide iron–air batteries
JP6483509B2 (ja) 空気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電解質型空気電池
KR20140069316A (ko) 스토리지 엘리먼트, 및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생성을 위한 방법
JP2005327528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固体電解質含有電極
Braun et al. Kinetic study of iron based storage materials for the use in rechargeable oxide batteries (ROB)
US20080233030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chemical Device
JP2004127678A (ja) 二次電池
US20150325842A1 (en) Storage structure of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cell
EP3586385B1 (en) A sulfate/sulfide based rechargeable battery and uses thereof
Zhou et al. A completely sealed high temperature carbon-air battery with carbon dioxide absorber
KR102514366B1 (ko) 동시 소결을 이용하여 형성한 금속 지지체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Lu Degradation and Performance of Oxygen Electrodes for Low and Intermediate Temperature Reversible Solid Oxide Cells for Energy Storage
Gu et al. Synthesis of LiFePO4 in an Open-air Environment
US20130266725A1 (en) Ceramic-supported metal-containing composites for rechargeable oxide-ion battery (rob) cells
Watanabe et al.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composed of hematite and oxide electroly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