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332A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332A
KR20140113332A KR1020140016073A KR20140016073A KR20140113332A KR 20140113332 A KR20140113332 A KR 20140113332A KR 1020140016073 A KR1020140016073 A KR 1020140016073A KR 20140016073 A KR20140016073 A KR 20140016073A KR 20140113332 A KR20140113332 A KR 2014011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ver
gesture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463B1 (ko
Inventor
이우용
이은주
최민석
하승태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59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79598B1/en
Priority to US14/214,069 priority patent/US9438713B2/en
Priority to AU2014201578A priority patent/AU2014201578B2/en
Priority to CN201410097722.3A priority patent/CN104049744B/zh
Publication of KR2014011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화 수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한 후,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일면(one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 물체와 인접하는 지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인접의 감지에 응답하여, 전화를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METHOD OF PERFORMING FUNC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LING A DISPLAY, AND AN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는 무선 통신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진, 음악, 동영상, 멀티미디어,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사용되도록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전면에는 다양한 기능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제공된다. 예컨대,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 장치의 전면부가 터치에 의해 감응하는 표시부(예컨대, 터치 스크린)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경우, 휴대하는 과정에서 또는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과 심미적인 목적으로 다양한 케이스, 또는 커버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예를 들어, 플립 커버 케이스(이하, 플립 커버), 슬라이딩 커버 케이스 또는 폴더 커버 케이스 등이 있다.
플립 커버는, 전자 장치의 보호라는 측면과 디자인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많지만, 전자 장치의 사용 시에는 여러 가지 불편함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플립 커버가 닫히게 되면 전자 장치의 화면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플립 커버를 수동으로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커버의 개폐 없이 장치 고유의 기능과 다양한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커버의 개폐 상태 감지 및 개폐를 판단하여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화 수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한 후,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일면(one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 물체와 인접하는 지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인접의 감지에 응답하여, 전화를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정된 화면 모드에 따라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제스처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하고 있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며 적어도 일 영역에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커버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며 적어도 일 영역에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커버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싱부;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제 2 센싱부; 및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화 수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일면(one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 물체와 인접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인접의 감지에 응답하여, 전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기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화면투영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화면투영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제스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폐 상태 감지에 의한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축소(resizing)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폐를 판단하여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 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 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 시 예에 따른 커버가 장착된 전자 장치에서 커버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 시 예에 따른 커버의 화면 투영부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부착된 커버(또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이하 '커버' 또는 '커버부'라 한다)에 형성된 화면투영부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부착된 커버가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제스처를 취할 경우, 미리 설정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제스처”란 용어는,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 또는 사용자와 연계된 물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만든 움직임을 의미하고, 손가락 또는 손 등의 특정 신체 부위의 움직임만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스처는 팔의 접힘, 고개의 움직임, 펜을 이용한 움직임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스처는 터치(touch), 터치의 해제(release), 회전(rotate), 핀치(pinch), 스프레드(spread), 터치 드래그(touch drag), 플릭(flick), 스와이프(swipe), 터치 앤 홀드(touch and hold),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멀티 스와이프(multiswipes), 쉐이크(shake), 로테이트(rotate) 등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한 상태란 터치 스크린 상에 손가락이 닿았거나 실제로 닿지 않았더라도 매우 근접하게 접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커버로 덮인 상태에서 커버의 화면투영부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각종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다.이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각 상황에 따른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화면투영부'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는 전자 장치의 커버에서 전자 장치의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화면 투영부”는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 투명 창, 반투명 창 등과 같은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화면투영부는 상기 커버에서 개구부를 형성시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커버'는 전자 장치에 부착되어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전자 장치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전자 장치에 탈부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버가 전자 장치의 표시부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구현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에 구현된 화면투영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덮는 표시부(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보여질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커버'는 케이스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거나, 케이스의 일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커버의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의 표시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현되는 어떠한 형태의 구성도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예로서 상기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또는 헤드유닛,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보안 기기, 또는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일 예는 휴대 장치(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후술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들 중에서 일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세부 구조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상태 지시부(171), 개폐 감지부(172),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2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 장치 또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서버 중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30) 및 방송 통신 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 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플래쉬(153), 모터부(154), 경통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Read Only Memory), 112)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Random Access Memory),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상태 지시부(171), 개폐 감지부(172),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개폐 감지부(172)를 통해 전자 장치(100)를 덮고 있는 커버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에 형성된 화면투영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90)의 해당 위치에 설정된 화면(예컨대, 축소(resizing)된 화면)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 유닛(168)이 터치 스크린(190)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호버링(Hovering)과 같은 사용자 입력 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호버링”이란 용어는, 외부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가 전자 장치에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에 의하여 인식 가능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 또는 제스처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및 센서모듈(17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 움직임, 홍채 인식, 생체신호 등 상기 장치(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장치(100) 내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는 이러한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을 생성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 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컨대,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컨대,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 또는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하는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전자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6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62),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잭(167) 및 입력 유닛(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160)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터치 스크린(190) 상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방송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통화 연결음,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63)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전자 장치(100)는 다른 장치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소자(164)가 동작한다. 진동 소자(164)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전원 소스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거나,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은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 삽입되어 상기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전자 장치(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있고,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즉,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를 통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 또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회전, 전자 장치(100)의 가속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전자 장치(100)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GPS 모듈(157) 등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개폐 감지부(172)를 통해 커버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서 모듈(170)을 통해 센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전자 장치(100)까지의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또는 터치 스크린(190)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에서 센싱된 값들과 현재 상태 정보들을 특정 기능에 매핑한 정보들이 상기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75)에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커버가 닫혔을 경우 표시부(예컨대, 터치 스크린(190))의 전체 영역 중 커버에 형성된 화면투영부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커버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태 정보, 사용자의 제스처 정보, 센서로부터의 센싱 정보 등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내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전자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예컨대, 손가락, 전자펜, 스타일러스펜, 장갑, 입력 유닛(168) 등에 의한 입력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도록, 각 입력 수단의 터치나 접근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지, 전자펜에 의한 입력인지, 스타일러스펜에 의한 입력인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입력인지,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는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위치뿐만 아니라 호버링 간격 또는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190)을 누르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확인된 압력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표시부의 일 예로서 터치 스크린(190)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b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질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 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 전환키(191-4)를 선택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 상태, 수신 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태 바(192)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각각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90)상에는 상기와 같은 상태 바(192)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태 정보(예컨대, 이를 ‘인디케이터(indicator)’라고도 한다)를 표시할 수 있다.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 버튼, 메뉴 버튼, 뒤로 가기 버튼은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는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의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103)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102)에는 예를 들어 전원/잠금 버튼(161d), 볼륨 증가 버튼(161f) 및 볼륨 감소 버튼(161g)을 갖는 볼륨 버튼(1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전자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 유닛(168)(예컨대, 스타일러스펜)이 장착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출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유닛(168)이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출되어 분리될 때, 전자 장치(100)에서 이를 감지함으로써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100)의 세부 구조의 예를 설명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각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생략되거나 다른 기능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며 적어도 일 영역에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커버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싱부;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제 2 센싱부; 및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화 수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일면(one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 물체와 인접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인접의 감지에 응답하여, 전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는 설정된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센싱부에서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센싱 정보가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정보는, 조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상기 입력을 수신한 후에 이루어진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설정된 키 입력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 설정된 사용자의 제2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제2 제스처는, 상기 제1 제스처와 방향이 다른 사용자 제스처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되는 커버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커버의 중앙 상부에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며, 도 3a 내지 도 3d는 커버의 좌측 또는 우측에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커버에서 화면투영부가 어떠한 형태, 위치, 크기로 배치되더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화면투영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화면투영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화면투영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설명하며,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의 설명 시, 상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도면부호 등은 상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후술하는 실시 예의 상기 커버들(200a, 200b)들을 서로 교차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화면투영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화면투영부(201a)를 포함하는 커버(200a)(또는 케이스)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a)는 전면 커버부(210a)와 후면 커버부(22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커버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00a)가 상기 전자 장치(100)에 부착된 경우, 상기 화면투영부(201a)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190) 표시부의 전체 화면 중 적어도 일부 화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면투영부(201a)는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 부재로 형성되거나,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200a)에 형성된 상기 화면투영부(201a)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이 노출될 시, 상기 표시부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면투영부(201a)를 통하여 외부로 보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화면투영부(201a)는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200a)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측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면투영부(201a)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200a) 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부(210a)에는 부착부(202a)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후면 커버부(220a)에도 부착부(203a)가 포함될 수 있다. 후술할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커버(200a)의 개폐를 감지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면 커버부(210a)에 포함된 부착부(202a)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a)의 부착부(203a)의 이격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커버(200a)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커버 개폐 감지 방법이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커버의 개폐 여부 감지 방법도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전면 특정 위치에는 상태 지시부(171)가 구비되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c는 도 2b에서 전자 장치를 덮는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00a)의 상기 후면 커버부(220a)는 배터리 커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후면 커버부(220a)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배터리(120)를 커버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a)에는 화면투영부(201a)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화면투영부(201a)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의 표시부 전체 화면 중 적어도 일부 화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화면투영부(201a)는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화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화면투영부(201a)는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 부재로 형성되거나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a)에는 상기 전면 커버부(210a)에 포함된 부착부(202a)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a)의 부착부(203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0a)에는 상기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접속단자(204a)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접속단자(204a)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단자를 통하여 상기 커버(200a)의 상기 전면 커버부(210a)에 포함된 부착부(202a)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a)의 부착부(203a)가 이격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부(202a, 203a)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부(210a)에 포함된 부착부(202a)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a)의 부착부(203a)가 이격될 시에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부(110)는 상기 커버의 접속단자(204a)와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수신하여 상기 전면 커버부(210a)에 포함된 부착부(202a)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a)의 부착부(203a) 간의 이격을 인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100) 내에 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 내에 형성된 부착부는 자석 또는 쇠와 같이 상기 커버의 전면커버부에 포함된 부착부와 자기적으로 끌릴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 내에 형성된 부착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190) 뒤나 베젤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부에 포함된 부착부와 상기 전자 장치 내에 형성된 부착부가 이격될 시에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부(110)는 상기 커버의 접속단자와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수신하여 상기 전면 커버부에 포함된 부착부와 상기 전자 장치 내에 형성된 부착부 간의 이격을 인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에서는 커버(200a)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석에 의해 커버(200a)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어떠한 방법(예컨대, 전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구비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적외선 센서 등에 의한 방법)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00)에서 상기 커버(200a)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특정한 개폐 여부 판단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폴더 타입(floder type) 또는 플립 타입(flip type)으로 결합 또는 부착된 커버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또는 커버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커버부(220a)와,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부(210a)와, 전면 커버부(210a)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 커버부(220a)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부(210a)와 후면 커버부(220a)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0a)의 유연성에 의하여 전면 커버부(210a)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방향과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의 후면 커버부(220a)를 뒤쪽에서 덮는 방향으로도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부(210a)에 설치된 자석(211a)의 자력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전면 커버부(210a)가 폐쇄되지 않고 후면 커버부(220a)의 뒤쪽을 덮는 방향으로 유동하더라도 이를 전면 커버부(210a)가 폐쇄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면 커버부(210a)가 후면 커버부(220a)를 덮는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경우에는 자석(211a)의 자력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차폐 수단(212a, 221a)이 요구될 수 있다. 차폐 수단(221a)은 전면 커버부(210a)가 전자 장치(100)를 덮는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때에만, 자석(211a)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후면 커버부(220a)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부(210a)와 후면 커버부(220a)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0a)의 유연성에 의하여 전면 커버부(210a)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방향 방향으로도 유동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각종 센서들(예컨대, 조도센서 등)에 의해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판단 할 수도 있다.
도 2e는 도 2b의 전자 장치와 커버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단자(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의 접속단자(204a)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단자(130)를 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부(210a)에 포함된 부착부(202a)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a)의 부착부(203a) 간의 이격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0a)의 후면 커버부(220a)는 도 2e과 같이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120)를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b 내지 도 2e에서는 상기 커버(200a)의 전면 커버부(210a) 상에 상기 화면투영부(201a)가 상측에 형성된 예가 설명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화면투영부(201a)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a 내지 도 3d에서와 같이, 상기 화면투영부(201b)는 상기 전면 커버부(210b)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투영부(201b)는 상기 전면 커버부(210b)의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 예들에서 도 2의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도면부호 등은 상기 도 2의 일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커버들(200a, 200b)들을 서로 교차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화면투영부(201b)를 포함하는 커버(200b)(또는 케이스)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b)는 전면 커버부(210b)와 후면 커버부(22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커버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00b)가 상기 전자 장치(100)에 부착된 경우 상기 커버(200b)의 우측에 구비된 화면투영부(201b)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190) 표시부의 전체 화면 중 적어도 일부 화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면투영부(201b)는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 부재로 형성되거나,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200b)에 형성된 상기 화면투영부(201b)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이 노출될 시, 상기 표시부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면투영부(201b)를 통하여 외부로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부(210b)에는 부착부(202b)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후면 커버부(220b)에도 부착부(203b)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커버(200b)의 개폐를 감지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면 커버부(210b)에 포함된 부착부(202b)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b)의 부착부(203b) 간의 이격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커버(200b)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전면 특정 위치에는 상태 지시부(171)가 구비되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커버 개폐 감지 방법이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커버의 개폐 여부 감지 방법도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다.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도 2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b)에는 상기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접속단자(204b)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접속단자(204b)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부(110)는 상기 연결단자를 통하여 상기 커버(200b)의 상기 전면 커버부(210b)에 포함된 부착부(202b)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b)의 부착부(203b)가 이격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부(202b, 203b)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부(210b)에 포함된 부착부(202b)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b)의 부착부(203b)가 이격될 시에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부(110)는 상기 커버의 접속단자(204b)와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수신하여 상기 전면 커버부(210b)에 포함된 부착부(202b)와 상기 후면 커버부(220b)의 부착부(203b) 간의 이격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들(202b, 203b) 간의 이격을 통해 커버(200b)의 개폐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커버는 도 2d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커버부(220b)와,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부(210b)와, 전면 커버부(210b)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 커버부(220b)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부(210b)와 후면 커버부(220b)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0b)의 유연성에 의하여 전면 커버부(210b)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방향과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의 후면 커버부(220b)를 뒤쪽에서 덮는 방향으로도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부(210b)에 설치된 자석(211b)의 자력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전면 커버부(210b)가 폐쇄되지 않고 후면 커버부(220b)의 뒤쪽을 덮는 방향으로 유동하더라도 이를 전면 커버부(210b)가 폐쇄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면 커버부(210b)가 후면 커버부(220b)를 덮는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경우에는 자석(211b)의 자력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차폐 수단(212b, 221b)이 요구될 수 있다. 차폐 수단(221b)은 전면 커버부(210b)가 전자 장치(100)를 덮는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때에만, 자석(211b)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후면 커버부(220b)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부(210b)와 후면 커버부(220b)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0b)의 유연성에 의하여 전면 커버부(210b)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방향 방향으로도 유동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각종 센서들(예컨대, 조도센서 등)에 의해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판단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401) 내지 동작(411)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동작(401) 내지 동작(411)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동작(401)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었는지를 감지한다. 동작(403)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로 판단하고, 동작(405)에서 전화 수신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407)에서 상기 전화 수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한 후, 동작(409)에서,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일면(one surface)의 선택된 부분이 외부 물체와 인접하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411)에서,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인접의 감지에 응답하여, 전화를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501) 내지 동작(513)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동작(501) 내지 동작(513)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전자 장치의 커버가 터치스크린을 덮을 때, 커버의 화면투영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상의 화면 영역을 설명의 편의상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이라 한다.
동작(501)에서, 전자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착발신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작(501)에서, 커버는 닫힌 상태(예컨대, 터치스크린이 커버에 의해 덮인 상태)라 가정한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투영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화면투영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착발신과 관련된 정보는, 호 수신을 알리는 정보, 호 수신이 있는 경우 상대 단말의 정보 및 호 발신을 위한 상대 단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503)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한 후 동작(505)으로 진행한다.
동작(505)에서, 전자 장치는, 감지된 제스처가 설정된 사용자의 제1 제스처인지 판단하고 설정된 사용자의 제1 제스처인 경우 동작(507)으로 진행한다. 사용자의 제1 제스처는, 호 착발신과 연관된 사용자 제스처일 수 있다.
동작(507)에서, 전자 장치는 착발신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중인 정보가 호 수신에 대한 정보인 경우 전자 장치는, 수신 호에 대한 착신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중인 정보가 호 발신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연락처 정보인 경우 전자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연락처 정보로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중인 연락처 정보가 다수 개인 경우 전자 장치는 가장 최근에 호 수신이 있었던 연락처 정보로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507)에서, 착발신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센싱 정보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전자장치 전체 또는 일부의 이동이 감지되고, 설정된 센싱 정보가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 정보는 조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발신을 위하여 전자 장치를 귀에 가져다 대는 경우 조도 값이 낮아질 수 있다(예컨대, 조도값이 일정 값에서 0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제스처와 설정된 센싱 정보 또는 센싱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착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착발신을 위해 전자 장치를 귀에 가져다 대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예컨대,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가 상기 귀를 호버링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들어서 귀에 가져다 댈 경우, 전자 장치의 각종 센서(예컨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에 의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귀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설정된 범위 이상(예컨대, 50% 이상)의 영역에서 호버링 동작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착발신을 위한 제스처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작(507)에서, 착발신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전자 장치는 설정된 트리거(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는 설정된 키 입력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은 전자 장치의 일 측에 구비된 물리 버튼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은, 화면 투영부 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처 터치, 스와이프(swipe), 또는 호버링 (hovering)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509)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한 후, 동작(511)으로 진행한다.
동작(511)에서, 전자 장치는 감지된 제스처가 설정된 사용자의 제2 제스처인지 판단하고, 설정된 사용자의 제2 제스처인 경우 동작(513)으로 진행한다. 사용자의 제2 제스처는, 호 착발신과 관련된 사용자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2 제스처는, 사용자의 제1 제스처와 방향이 반대인 제스처일 수 있다. 사용자의 제2 제스처를 감지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멈춤에서 아래쪽으로 움직임으로 변화하고, 다시 멈춤 등으로 변화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2 제스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513)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제스처에 따라 해당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현재 성립 중인 호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각종 상황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 제스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발신 또는 착신을 위하여 전자 장치를 들어올리는 사용자 제스처일 수 있다. 사용자의 제1 제스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 제스처는 모션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사항에 따른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멈춤, 위쪽 방향으로 움직임, 멈춤 등으로 변화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701)에서, 전자 장치는 커버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동작(703)으로 진행한다.
동작(703)에서, 전자 장치는 감지된 커버부의 개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커버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화면투영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기기는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화면 전체 또는 일부의 영역에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기기는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화면투영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화 수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한 후,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일면(one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 물체와 인접하는 지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인접의 감지에 응답하여, 전화를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물체와의 인접 여부 감지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물체와의 인접 여부 감지는, 상기 전자 장치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설정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획득된 센싱 정보가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정보는, 조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상기 입력을 수신한 후에 이루어진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설정된 키 입력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 설정된 사용자의 제2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기능을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제2 제스처는, 상기 제1 제스처와 방향이 다른 사용자 제스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정된 화면 모드에 따라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제스처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하고 있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는 플릭킹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른 화면은, 최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주소록 리스트, 음악 재생 리스트, 최근 수발신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며 적어도 일 영역에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커버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면투영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화면은, 상기 커버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이 축소(resizing)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된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가장 최근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열림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호 성립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호버링 감지를 위한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축소(resizing)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화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가 닫힌 전자 장치의 설정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커버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의 축소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전자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화면상에 나타나는 텍스트, 그림, 기호 등을 동일하거나 각각 다른 비율로 축소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그림, 기호 등의 위치 및 정렬 방식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원래의 화면(예컨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표시되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아이콘 및 전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 위젯 형태의 아이콘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는 현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위젯의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태스크 리스트 또는 사용자가 최근 사용하여 작업 태스크 관리자(task manager)에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최근 태스크 리스트(Recent Task list)가 좌우 패닝(panning) 또는 상하 스크롤(scroll) 동작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태스크 리스트는 텍스트(text) 형태의 리스트에 한정하지 않으며, 애플리케이션 화면 또는 위젯 형태 리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리스트는 상기에서 아이콘 및 위젯 형태의 이미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는 상기 지정된 또는 최근 태스크 리스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목록들(예컨대, 최신 착발신 리스트, 메시지 리스트, 음악 재생 리스트 등) 또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리스트는 모션 센서 또는 카메라의 얼굴 감지 또는 눈동자 감지 등을 통해 자동 스크롤(scroll)될 수 있다. 예컨대, 얼굴을 아래로 내리거나, 눈동자를 아래로 내리거나, 전자 장치를 아래로 기울이면 스크롤 다운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의 전체 또는 일부에는 상기 도 1b의 전자 장치(100)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고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기능을 수행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에는 상기 도 1b의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Status Bar, 192)를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디케이터를 동일하게 또는 재편집하거나 리사이징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특정 인디케이터를 일정 방향(예컨대,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할 경우, 해당 인디케이터의 명령이 실행되거나 세부 내용이 확대(resizing)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음악 재생 여부 또는 음악의 재생/정지/포즈 등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영역에서 날씨, 일정(캘린더), 메모 등의 다양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이미지는,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생성된 촬영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생성된 촬영 이미지를, 메시지 또는 전자 메일을 이용하여, 설정된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켜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인가된 사용자일 경우에는 전자 기기의 잠금을 해제(unlock)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서 커버부를 여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전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커버부를 열 경우에는 정상 인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가장 최근 사용된 또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현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호 성립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호 성립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 수신이 있고, 커버부의 열림 및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호를 성립시킬 수 있다. 또한 재생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있고 커버부의 열림 및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현재 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정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커버부가 전술한 화면투영부를 포함하는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수신을 알리는 정보가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수신을 알리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중에도 9의 (b)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가 열린 후 설정된 시간 내에 닫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수신 호를 성립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전자기기가 통화 중에 도 9의 (b)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가 열린 후 설정된 시간 내에 닫히는 경우, 전자기기는 수신 호를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호버링 감지를 위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설정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중에, 호버링 감지를 위한 모드로 진입하고, 설정된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은, 예를 들어 패닝(panning), 스크롤링(scrolling) 기능 또는 사용자가 정의한 터치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패닝, 스크롤링 기능 또는 터치 동작을 통하여, 동영상 플레이어, 음악 플레이어, 전화 관련 기능 및 메시지 송수신 관련 기능 등과 관련된 아이콘 또는 위젯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자동으로 호버링 또는 장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버링 또는 장갑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립 모드 상태에서 특정 키(예컨대, 홀드 키(hold key) 등)가 입력되면 호버링 모드 또는 장갑 모드로 재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장갑 모드는 사용자가 맨손이 아닌 장갑(예컨대, 면장갑, 가죽장갑, 고무장갑 등 각종 재질의 장갑)을 착용하고도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된 화면 또는 커버의 표면 영역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를 닫은 후, 장갑을 착용하고서도 패닝 등의 동작을 이용하여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걸 수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수신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수신이 있는 경우 상대 단말의 정보, 예를 들어, 상대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름 및 전화 번호 등을 커버의 화면투영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는 도 10의 (c) 및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발신을 위한 상대 단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에 포함된 다수의 상대 단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최근 착발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대 단말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대 단말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 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화면 투영부는 리사이징된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간, 요일, 일자, 배터리 상태, 안테나 수신 상태 등의 각종 정보들을 설정된 방법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대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제스처(예컨대, 터치 앤 드래그, 스와이프, 플릭킹 등)를 취하면, 화면이 좌우 또는 상하로 패닝(panning)되면서, 상기 대기 화면이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들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최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20), 주소록 리스트(1130), 음악 재생 리스트(1140), 최근 수발신 리스트(1150) 등의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도 11에는 각종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 시 예에 따른 커버가 장착된 전자 장치에서 커버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 부착된 커버(300)의 하단부에 화면투영창(3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 시 예에 따른 커버의 화면 투영부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커버(300)가 덮일 때 화면 투영부(310)에 대응하는 영역은 좌표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300)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저장된 좌표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 리사이징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개시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개시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휴대 장치 110 : 제어부
120 : 통신 모듈 130 : 서브 통신 모듈
140 : 멀티미디어 모듈 150 : 카메라 모듈
157 : GPS 모듈 160 : 입/출력 모듈
168 : 입력 유닛 170 : 센서 모듈
171 : 상태 지시부 172 : 개폐 감지부
175 : 저장부 180 : 전원 공급부
190 : 터치 스크린 195 :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Claims (29)

  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화 수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한 후,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일면(one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 물체와 인접하는 지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인접의 감지에 응답하여, 전화를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물체와의 인접 여부 감지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물체와의 인접 여부 감지는,
    상기 전자 장치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감지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획득된 센싱 정보가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조도 값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상기 입력을 수신한 후에 이루어진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설정된 키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 설정된 사용자의 제2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기능을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 제스처는,
    상기 제1 제스처와 방향이 다른 사용자 제스처인, 방법.
  10.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정된 화면 모드에 따라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커버가 덮인 상태로, 상기 제스처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하고 있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플릭킹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른 화면은, 최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주소록 리스트, 음악 재생 리스트, 최근 수발신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방법.
  13.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며 적어도 일 영역에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커버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능 수행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면투영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능 수행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화면은,
    상기 커버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설정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이 축소(resizing)된 화면인 기능 수행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인 기능 수행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능 수행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기능 수행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능 수행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가장 최근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인 기능 수행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열림 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호 성립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능 수행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부의 닫힘이 감지되는 경우 호버링 감지를 위한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능 수행 방법.
  23.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며 적어도 일 영역에 화면투영부가 형성된 커버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싱부;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제 2 센싱부; 및
    상기 커버가 덮인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화 수신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화 수신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일면(one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 물체와 인접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인접의 감지에 응답하여, 전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는 설정된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센싱부에서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센싱 정보가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조도 값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1 제스처가 상기 입력을 수신한 후에 이루어진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설정된 키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 설정된 사용자의 제2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 제스처는,
    상기 제1 제스처와 방향이 다른 사용자 제스처인, 전자 장치.
KR1020140016073A 2013-03-14 2014-02-1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188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9642.9A EP2779598B1 (en) 2013-03-14 2014-03-13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US14/214,069 US9438713B2 (en) 2013-03-14 2014-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AU2014201578A AU2014201578B2 (en) 2013-03-14 2014-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CN201410097722.3A CN104049744B (zh) 2013-03-14 2014-03-14 用于操作具有盖子的电子装置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84012P 2013-03-14 2013-03-14
US61/784,012 2013-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332A true KR20140113332A (ko) 2014-09-24
KR102188463B1 KR102188463B1 (ko) 2020-12-08

Family

ID=5175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073A KR102188463B1 (ko) 2013-03-14 2014-02-1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723A (ko) * 2022-06-16 2023-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6571A1 (ja) * 2007-03-16 2008-10-23 Nec Corporation 携帯端末装置、その機能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0128796A2 (ko) * 2009-05-04 201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96723A (ko) * 2011-02-23 201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6571A1 (ja) * 2007-03-16 2008-10-23 Nec Corporation 携帯端末装置、その機能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0128796A2 (ko) * 2009-05-04 201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96723A (ko) * 2011-02-23 201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723A (ko) * 2022-06-16 2023-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463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15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US100213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TWI630539B (zh) 行動裝置及顯示資訊的方法
US9772762B2 (en) Variable scale scrolling and resizing of displayed images based upon gesture speed
US99899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 function
EP2811420A2 (en) Method for quickly executing application on lock scree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US20140359493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US202103570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KR1021318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10302515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multiplayer gam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US2014033772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related to user input on screen
KR20100094754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9473605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status of electronic device
EP28435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9794396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lateral conversation
KR20150066422A (ko)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100099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8463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100642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선택 방법
KR20100133259A (ko) 이동단말기의 배면터치 입력장치 및 방법
KR1022141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입력부 운용방법
KR20100000070A (ko)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100336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026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4270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