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723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723A
KR20230172723A KR1020220073239A KR20220073239A KR20230172723A KR 20230172723 A KR20230172723 A KR 20230172723A KR 1020220073239 A KR1020220073239 A KR 1020220073239A KR 20220073239 A KR20220073239 A KR 20220073239A KR 20230172723 A KR20230172723 A KR 20230172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agnetic field
sensing current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129B1 (ko
Inventor
박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29B1/ko
Publication of KR2023017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일단에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1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일단에 자성체가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조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에 흐르는 센싱 전류를 조절하는 전원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및 상기 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오프(on/off)를 결정하고, 상기 자기장 및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 열림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센서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거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영상표시장치가 구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치를 조작한 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디스플레이가 수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을 조작한 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의 일 구성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일면이 가려진 경우, 사용자는 해당 구성에 의해 가려진 디스플레이의 일면을 외부로 노출시킨 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영상 시청과 관련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를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의 노출 여부에 대한 판단의 정확도가 낮은 경우, 사용자의 사용 의도와 다르게 디스플레이가 온/오프(on/off)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디스플레이의 온/오프(on/off)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일단에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1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일단에 자성체가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조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에 흐르는 센싱 전류를 조절하는 전원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및 상기 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오프(on/off)를 결정하고, 상기 자기장 및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 열림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센서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한 디스플레이의 온/오프(on/off)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개시를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직교좌표계에서 x축 방향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지준으로, +x를 향하는 방향은 우측방향, -x를 향하는 방향은 좌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전후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y를 향하는 방향은 전측방향, -y를 향하는 방향은 후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하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원점을 기준으로 +z를 향하는 방향은 상측방향, -z를 향하는 방향은 하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모니터 등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방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수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하우징(1), 디스플레이(180), 자기 센서(41) 및/또는 조도 센서(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은, 전력 공급이나 제어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의 내부에는, 안테나, 배터리, 제어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은,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은, 디스플레이(18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5)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 공간(15)은, 제1 하우징(2)의 측벽(11) 및 제2 하우징(3)의 측벽(13)으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제1 하우징(2)의 측벽(11)은, 제2 하우징(3)의 측벽(13)에 접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의 측벽(11) 및 제2 하우징(3)의 측벽(13)이 접하는 경우, 수용 공간(15)에 수용된 디스플레이(18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하우징(1)은, 힌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12)는,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힌지(12)는, 제1 하우징(2)의 측벽(11) 및 제2 하우징(3)의 측벽(1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은, 힌지(1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또는 rotatably) 연결될 수 있다. 힌지(12)는, 피봇 축 또는 샤프트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적어도 하나가 힌지(12)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의 측벽(11)과 제2 하우징(3)의 측벽(13)이 접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2)이 힌지(12)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자기 센서(41)는,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50)는,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50)는, 자석(magnet)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50)가 제1 하우징(2)에 배치되는 경우, 자기 센서(41)가 제2 하우징(2)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성체(50)가 제1 하우징(2)에 배치되고, 자기 센서(41)가 제2 하우징(2)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자기 센서(41)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자기 센서(41)는, 자기장의 방향, 세기, 자기장의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자기 센서(41)는, 자기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기 센서(41)가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로 구현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기 센서(41)는, 회전 코일(rotating coil), 자기 저항 소자(magnetoresistor), SQUID(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자기 센서(41)는, 자성체(50)가 배치된 제1 하우징(2)의 일영역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3)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50)가 제1 하우징(2)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자기 센서(41)는 제1 하우징(2)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기 센서(41) 및 자성체(50) 간의 이격 거리는,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센서(41) 및 자성체(50)는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의 일단에 각각 배치되고, 힌지(12)는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의 타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2)이 힌지(12)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경우, 제1 하우징(2)의 일단 및 제2 하우징(3)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자기 센서(41) 및 자성체(50)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는, 자기 센서(41)와 자성체(50)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자기 센서(41)와 자성체(50)가 각각 배치된 제1 하우징(2)의 일단 및 제2 하우징(3)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열림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가 열림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2)의 및 제2 하우징(3)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를 초과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가 열림 상태인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자기 센서(41)와 자성체(50)가 각각 배치된 제1 하우징(2)의 일단 및 제2 하우징(3)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닫힘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가 닫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2)의 및 제2 하우징(3)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가 닫힘 상태인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조도 센서(43)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주변 환경의 밝기(이하,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도의 단위는 럭스(lux), 화면 밝기의 단위는 칸델라(candel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면 밝기의 단위로 루멘(lm)이 사용될 수도 있다.
조도 센서(43)는,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도 센서(43)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43)는, 영상표시장치(100)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 제2 하우징(3)의 측벽(13)에 접하는 제1 하우징(2)의 측벽(11)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43)는, 수용 공간(15)을 향하는 제1 하우징(2)의 측벽(11)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어느 하나에 배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제1 하우징(2)의 일면에 배치되는 노트북 컴퓨터일 수 있다.
입력장치(20)는, 키보드(21) 및/또는 터치패드(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0)는, 제2 하우징(3)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5) 및/또는 조도 센서(43)는, 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된 제1 하우징(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가 열림 상태인 것에 대응하여, 입력장치(20), 카메라(25), 조도 센서(43), 디스플레이(180)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힌지(12)를 기준으로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외부에 노출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이 제2 하우징(3)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중, 방송 수신부(105)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웹 콘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등의 콘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고, 인터넷 또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40)와 메모리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또는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믹싱(mixing)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3D 영상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신호(L)와 우안 영상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기 센서(41)는, 자기장에 대응하는 신호(Shall)(이하, 자기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자기장 신호(Shall)는, 자기 센서(41)의 주변의 자기장에 따라 발생하는 홀 전압(hall voltage)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홀 전압은, 자기장의 세기 및 자기 센서(41)에 흐르는 전류(Ih)(이하, 센싱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전류(Ih)의 크기가 일정한 상태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커질수록 홀 전압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의 세기가 일정한 상태에서, 센싱 전류(Ih)의 크기가 커질수록 홀 전압이 증가할 수 있다.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은, 홀 전압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전압의 증가에 대응하여,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은, 홀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인 경우 하이(high)이고, 홀 전압이 소정 전압 미만인 경우 로우(low)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자기장 신호(Shall)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이 로우(low)인 것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회로(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회로(42)는, 자기 센서(41)에 흐르는 센싱 전류(Ih)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회로(42)는, 가변저항(potentiometer)(Rp)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전류(Ih)는,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의 증가에 대응하여, 센싱 전류(Ih)의 전류 값이 감소할 수 있다.
전원회로(42)는,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Sp)에 기초하여, 센싱 전류(Ih)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회로(42)는,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Sp)에 기초하여,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가변저항(Rp)의 저항 값 및 센싱 전류(Ih)의 전류 값에 대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특정 전류 값의 센싱 전류(Is)가 자기 센서(41)에 흐르도록, 저장부(14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특정 전류 값에 대응하는 저항 값으로 조절하는 제어신호(Sp)를 전원회로(42)에 출력할 수 있다.
조도 센서(43)는,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신호(이하, 조도 신호)(Slum)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조도 신호(Slum)에 기초하여, 주변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화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의 상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 밝기의 레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자기 센서(41)가 배치되는 위치는, 자성체(50)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제2 하우징(3)에 배치된 자기 센서(41)는, 제1 하우징(2)에 배치된 자성체(5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d1)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3)에 배치된 자기 센서(41)의 중심은, 제1 하우징(2)에 배치된 자성체(50)의 중심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제조상의 공차 등으로 인해, 자기 센서(41) 및/또는 자성체(50)가 배치되는 위치가 도 5a에 도시된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에 배치된 자성체(50)가, 도 5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제1 하우징(2)에 배치된 자성체(50)와 제2 하우징(3)에 배치된 자기 센서(41) 간의 이격 거리(d2)는, 도 5a에 도시된 일정 거리(d1)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기 센서(41) 및/또는 자성체(5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자성체(50)에 의해 자기 센서(41)의 주변에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 방향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가 자기 센서(41) 및/또는 자성체(50)가 배치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센서(41)가 감지하는 자기장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수행하는 동작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610 동작 및 S620 동작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열림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센서(41)와 자성체(50)가 각각 배치된 제1 하우징(2)의 일단 및 제2 하우징(3)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 열림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8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열림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되는 자기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센싱 전류(Is)에 대한 설정에 따라, 기 설정된 전류 값의 센싱 전류(Is)가 자기 센서(41)에 흐르도록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620 동작에서, 열림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조도는, 영상표시장치(100)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에 대응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이상인 동안,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630 동작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기준 자기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자기장은, 여기서, 기준 자기장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 자기 센서(41)가 감지하는 자기장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에서 출력되는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이 로우(low)인 경우,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것으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640 동작에서,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경우, 자기 센서(41)에 흐르는 센싱 전류(Is)가 기 설정된 최대 센싱 전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원회로(42)에 포함된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이 최대 센싱 전류에 대응하는 저항 값으로 기 설정된 경우, 자기 센서(41)에 최대 센싱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650 동작에서, 자기 센서(41)에 흐르는 센싱 전류(Is)가 최대 센싱 전류 미만인 경우, 센싱 전류(Is)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에 흐르는 센싱 전류(Is)가 최대 센싱 전류 미만인 경우,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660 동작에서, 센싱 전류(Is)가 증가하는 동안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이상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에서 출력되는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이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670 동작에서, 센싱 전류(Is)의 증가에 대응하여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센싱 전류(Is)에 대한 설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센싱 전류(Is)에 대한 설정을,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경우에 대응하는 전류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이상인 시점에서의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센싱 전류(Is)에 대한 설정을, 결정된 저항 값에 대응하는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680 동작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이고,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를 닫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열림 상태로 설정된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를 닫힘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한 영상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S690 동작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이고,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이고, 센싱 전류(Is)가 최대 센싱 전류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저조도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이고,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이고, 센싱 전류(Is)가 최대 센싱 전류 이상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열림 상태인 동안 주변 환경이 어두워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는, 영상 시청의 지속 여부에 대한 결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응답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누르는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현재 출력 중인 영상을 계속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응답하는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한 영상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출력된 후 소정 시간인 30초 동안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응답하는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통한 영상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701 동작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닫힘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702 동작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를 열림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닫힘 상태로 설정된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를 열림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703 동작에서,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기준 자기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에서 출력되는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이 하이(high)인 경우,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것으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704 동작에서,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경우, 자기 센서(41)에 흐르는 센싱 전류(Is)가 기 설정된 최소 센싱 전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원회로(42)에 포함된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이 최소 센싱 전류에 대응하는 저항 값으로 기 설정된 경우, 자기 센서(41)에 최소 센싱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705 동작에서, 자기 센서(41)에 흐르는 센싱 전류(Is)가 최소 센싱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센싱 전류(I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에 흐르는 센싱 전류(Is)가 최소 센싱 전류 이상인 경우,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706 동작에서, 센싱 전류(Is)가 감소하는 동안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에서 출력되는 자기장 신호(Shall)의 레벨이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707 동작에서, 센싱 전류(Is)의 감소에 대응하여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센싱 전류(Is)에 대한 설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센싱 전류(Is)에 대한 설정을,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경우에 대응하는 전류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인 시점에서의 가변저항(Rp)의 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센싱 전류(Is)에 대한 설정을, 결정된 저항 값에 대응하는 전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S708 동작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이고,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이상이고, 센싱 전류(Is)가 최소 센싱 전류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41)에 대하여 발생한 에러에 대한 히스토리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닫힘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길어지는 경우, 자성체(50)에 의해 자기 센서(41)의 주변에 배치된 금속 물질들이 자기적 성질을 가져 자화(magnetization)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자성체(50)가 자기 센서(41)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에도, 자화가 생긴 금속 물질들에 의한 자기장으로 인해 자기 센서(41)에 홀 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자기 센서(41)가 자성체(50)에 상응하는 자기장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센싱 전류(Is)에 대하여 설정되는 전류 값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열림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자화로 인해 기준 자기장 이상의 자기장이 자기 센서(41)를 통해 지속 감지되는 경우에는, 자기 센서(41)에 대한 에러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S709 동작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 설정된 기준 자기장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710 동작에서,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이고,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저조도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조도 센서(43)를 통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이고, 자기 센서(41)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이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경우,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8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응답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닫힘 상태로 설정된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를 열림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응답하는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상태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한 디스플레이의 온/오프(on/off)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개시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2)

  1.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일단에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1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하우징;
    일단에 자성체가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조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에 흐르는 센싱 전류를 조절하는 전원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및 상기 조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온/오프(on/off)를 결정하고,
    상기 자기장 및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 열림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센서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에 연결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각이 소정 각도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가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하인 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가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열림 상태로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는, 상기 제1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회로에 출력하고,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하여 설정된 전류 값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가 상기 열림 상태로 기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상기 열림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이고, 상기 자기장이 기 설정된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하인 닫힘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이고, 상기 자기장이 상기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를 조절한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이 기 설정된 최대값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가 증가하도록 상기 전원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 전류가 증가하는 동안 상기 자기장이 상기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상기 닫힘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센싱 전류가 상기 최대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상기 열림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류가 증가하는 동안 상기 자기장이 상기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을, 상기 자기장이 상기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경우에 대응하는 상기 센싱 전류의 전류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류가 상기 최대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입력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입력의 미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가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하인 닫힘 상태로 기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를 상기 열림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상이고, 상기 자기장이 기 설정된 기준 자기장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을 업데이트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이 기 설정된 최소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가 감소하도록 상기 전원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 전류가 감소하는 동안 상기 자기장이 상기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을, 상기 자기장이 상기 기준 자기장 미만인 경우에 대응하는 상기 센싱 전류의 전류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류에 대한 설정이 기 설정된 최소값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에 대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이고, 상기 자기장이 상기 기준 자기장 미만인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저조도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입력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시키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입력의 미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220073239A 2022-06-16 2022-06-16 영상표시장치 KR10265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39A KR102658129B1 (ko) 2022-06-16 2022-06-16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39A KR102658129B1 (ko) 2022-06-16 2022-06-16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723A true KR20230172723A (ko) 2023-12-26
KR102658129B1 KR102658129B1 (ko) 2024-04-16

Family

ID=8932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239A KR102658129B1 (ko) 2022-06-16 2022-06-16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12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297A (ko) * 2012-07-03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에러 보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113332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50043806A (ko) * 2013-10-15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12527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6193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4615A (ko) * 2015-09-21 2017-03-29 정종기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20170085317A (ko) * 2016-01-14 201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297A (ko) * 2012-07-03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에러 보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113332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50043806A (ko) * 2013-10-15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12527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6193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4615A (ko) * 2015-09-21 2017-03-29 정종기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KR20170085317A (ko) * 2016-01-14 201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129B1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66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82542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98408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local dimming thereof
US1072011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US1160021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64261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58129B1 (ko) 영상표시장치
US1154502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etecting battery condition of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60855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4001370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301798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89985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2002782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114813A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7661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80474A (ko) 영상표시장치
KR202301349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64381A (ko) 영상 표시 장치
CN114913796A (zh) 显示设备和显示亮度调整方法
KR2022009975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6366822A (zh) 显示设备、图像亮度范围的动态调整方法以及装置
KR20230017241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59235A (ko) 영상표시기기의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JP2013150217A (ja) 補正装置、補正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