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474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474A
KR20240080474A KR1020220163864A KR20220163864A KR20240080474A KR 20240080474 A KR20240080474 A KR 20240080474A KR 1020220163864 A KR1020220163864 A KR 1020220163864A KR 20220163864 A KR20220163864 A KR 20220163864A KR 20240080474 A KR20240080474 A KR 2024008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disposed
pixel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국
여환국
이선주
우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0474A/ko
Publication of KR2024008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정 영역은, 투명 기판; 상기 소정 영역에 배치되는 소정 픽셀을 구성하도록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소정 픽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지 않는 제1 구간에서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제1 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광과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제2 구간에서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제2 광을 검출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로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를 이용한 OLED 표시장치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픽셀마다 구비되어 각각의 픽셀이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viewing angle),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 없이, 픽셀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검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상 구동 여부, 열화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소정 영상이 소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조도 센서 없이, 주변 조도에 따라 영상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카메라 없이, 외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정 영역은, 투명 기판; 상기 소정 영역에 배치되는 소정 픽셀을 구성하도록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소정 픽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지 않는 제1 구간에서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제1 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광과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제2 구간에서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제2 광을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 없이, 픽셀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상 구동 여부, 열화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소정 영상이 소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조도 센서 없이, 주변 조도에 따라 영상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분되는 별도의 카메라 없이, 외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개시를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 원격제어장치(200) 및/또는 포인팅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모니터 등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방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수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장치(100)로 각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수립된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00)로는 마우스, 키보드, 공간 리모콘, 트랙볼, 조이스틱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외부 디바이스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원격제어장치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단일의 원격제어장치(200)만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원격제어장치(200)와 동시에 연결되어, 각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300)는, 포인터광(PL)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300)는,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포인터광(PL)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포인터광(PL)이 입사되는 디스플레이(180) 내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중, 방송 수신부(105)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웹 콘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등의 콘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고, 인터넷 또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40)와 메모리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미니 LED 디스플레이(Mini-LED display),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Micro-L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또는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3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믹싱(mixing)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3D 영상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신호(L)와 우안 영상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8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및 패널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복수의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픽셀은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의 교차부에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마이크로 LED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픽셀이 RGB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픽셀이 RGB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경우, 픽셀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서브 픽셀을 통해 적색광, 녹색광 및/또는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230)는,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구동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230)는, 타이밍 제어부(232), 게이트 드라이버(234) 및/또는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32)는, 제어부(170)로부터 제어 신호, 영상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32)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34) 및/또는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32)는, 영상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236)의 사양에 따라 재배치하여, 데이터 드라이버(236)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34) 및 데이터 드라이버(236)는, 타이밍 제어부(232)의 제어에 따라,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드라이버(236)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에 대응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공통전극 전압(Vcom)을 공급할 수 있고, 데이터 드라이버(236)에 감마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미지 센서를 내측에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소정 영역(50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또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광을 검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하, 외부 광)을 검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이하, 픽셀 광)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5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영상표시장치의 방향을 정의한다. 직교좌표계에서 x축 방향은 영상표시장치의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x를 향하는 방향은 좌측방향, +x를 향하는 방향은 우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y축 방향은 영상표시장치의 전후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y를 향하는 방향은 전측방향, -y를 향하는 방향은 후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z축 방향은 영상표시장치의 상하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z를 향하는 방향은 상측방향, -z를 향하는 방향은 하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소정 영역(500)은, 투명 기판(510), 전극 배선(515), 보호 레이어(520), 픽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픽셀 회로(521), 픽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522-524) 및/또는 보호 필름(53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510)은, 광을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기판(510)은,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기판(510)은, 유리 기판, 실리콘 기판 등 투명한 재료의 기판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투명 기판(510)의 일면에는, 버퍼층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은,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버퍼층은, 투명 기판(510)의 일면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버퍼층은, 수분, 이물질 등이 투명 기판(510)을 통하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은, 실리콘 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등의 무기물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유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픽셀 회로(521)는, 픽셀에 대응하여 투명 기판(5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픽셀 회로(521)는, 발광 다이오드(522-524)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캐패시터,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234)에서 출력되는 신호 및/또는 데이터 드라이버(236)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픽셀 회로(521)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픽셀 회로(521)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픽셀 회로(521)는 발광 다이오드(522-52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전극 배선(515)은, 투명 기판(510) 상에 배치된 구성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전극 배선(515)은, 픽셀 회로(5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배선(515)은, 픽셀 회로(521)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source), 발광 다이오드(522-524)의 캐소드(cathode)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 레이어(5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포함된 구성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레이어(520)는,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 레이어(520)는,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의 단일층 또는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소정 영역(500)은, 반사 레이어(525)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레이어(525)는, 투명 기판(510)과 발광 다이오드(522-5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레이어(525)는, 발광 다이오드(522-524)에서 방출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이때, 반사 레이어(525)에서 반사된 광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측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반사 레이어(525)는, 소정 수준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레이어(525)는,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팔라듐(Pd)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522-524)와 반사 레이어(525)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은, 발광 다이오드(522-524)를 반사 레이어(525)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층은, 발광 다이오드(522-524)와 반사 레이어(525)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절연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522-524)가 하부의 일 전극이 노출된 타입인 경우, 발광 다이오드(522-524)와 반사 레이어(5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접착층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호 필름(53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포함된 구성이 외부의 수분, 이물질 등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호 필름(530)은, 외부 광 중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530)은, 픽셀 광 중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투명 기판(510)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투명 기판(510)을 통과하는 광을 센싱할 수 있다. 투명 기판(510)을 통과하는 광은, 이미지 센서(540)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투명 기판(510)을 통과하는 광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투명 기판(510)을 통과하는 외부 광 및/또는 픽셀 광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배선(515) 및 픽셀 회로(521)는, 소정 영역(500) 중 반사 레이어(525)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배선(515) 및/또는 픽셀 회로(521)는, 반사 레이어(52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포함된 구성에 반사된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540)는, 보호 필름(530)에 의해 반사된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복수의 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통해, 복수의 픽셀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710)의 후측방향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1 센싱 영역(701)은, 제1 픽셀(7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픽셀(72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픽셀(720)의 후측방향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2 센싱 영역(702)은, 제1 픽셀(51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540)의 제1 센싱 영역(701)과 제2 센싱 영역(70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센싱 영역(703)은, 제1 픽셀(710) 및 제2 픽셀(72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소정 영역(500)은, 투명 레이어(526)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레이어(526)는, 투명 기판(510)과 발광 다이오드(522-5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투명 레이어(526)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레이어(526)는, 광을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레이어(526)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레이어(526)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배선(515) 및 픽셀 회로(521)는, 소정 영역(500) 중 투명 레이어(526)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배선(515) 및/또는 픽셀 회로(521)는, 투명 레이어(526)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투명 레이어(526)를 거쳐 투명 기판(510)을 통과하는 광을 센싱할 수 있다. 투명 레이어(526)는, 발광 다이오드(522-524)에서 후측방향을 향하여 방출되는 픽셀 광을 투과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540)는, 투명 레이어(526)를 거쳐 투명 기판(510)을 통과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복수의 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통해, 복수의 픽셀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910)의 후측방향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1 센싱 영역(901)은, 제1 픽셀(91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픽셀(920)의 후측방향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2 센싱 영역(902)은, 제2 픽셀(92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포함된 구성에 반사된 픽셀 광을 검출하는 경우에 비해, 픽셀 광을 보다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소정 영역(500)은, 반사 레이어(525) 및 투명 레이어(526)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영역(500) 중 반사 레이어(525)가 배치되는 영역과 투명 레이어(526)가 배치되는 영역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522-524) 중 일부는 반사 레이어(525) 상에 배치되고, 발광 다이오드(522-524) 중 다른 일부는 투명 레이어(52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발광 다이오드(522) 중 제1 발광 부분은, 반사 레이어(525) 상에 배치되고, 적색 발광 다이오드(522) 중 제2 발광 부분은, 투명 레이어(52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배선(515) 및 픽셀 회로(521)는, 소정 영역(500) 중 반사 레이어(525) 및 투명 레이어(526)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배선(515) 및/또는 픽셀 회로(521)는, 반사 레이어(525) 및 투명 레이어(526)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복수의 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통해, 복수의 픽셀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1110)의 후측방향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1 센싱 영역(1101)은, 제1 픽셀(111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픽셀(1120)의 후측방향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2 센싱 영역(1102)은, 제2 픽셀(112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는, 픽셀 광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검출하면서도,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소정 영역(500)은, 반사 레이어(525)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레이어(525)는, 발광 다이오드(522-524)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홀(527)을 포함할 수 있다. 홀(527)은, 반사 레이어(525)를 관통할 수 있다. 홀(527)의 면적은, 발광 다이오드(522-524)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522-524)는, 홀(527)을 덮도록 반사 레이어(52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을 투과하는 투명한 물질이 홀(527)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522-524)에서 후측방향을 향하여 방출되는 픽셀 광은, 홀(527)에 배치된 투명한 물질을 통과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522-524)에서 후측방향을 향하여 방출되는 픽셀 광은, 홀(527)을 통해 투명 기판(510)으로 향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540)는, 홀(527)을 거쳐 투명 기판(510)을 통과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복수의 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통해, 복수의 픽셀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540)의 복수의 영역은, 홀(527)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1310)의 후측방향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1 센싱 영역(1301)은, 제1 픽셀(131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픽셀(1320)의 후측방향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2 센싱 영역(1302)은, 제2 픽셀(132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는, 픽셀 광에 대한 검출에 있어서, 외부 광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소정 영역(500)은, 반사 레이어(525)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522-524)는, 반사 레이어(52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배선(515) 및 픽셀 회로(521)는, 전극 배선(515) 및 픽셀 회로(521)는, 소정 영역(500) 중 반사 레이어(525)가 배치되는 영역 및 반사 레이어(525)가 배치되지 않은 소정 영역(528)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배선(515) 및 픽셀 회로(521)는, 소정 영역(500) 중 반사 레이어(525)가 배치되는 영역 및 반사 레이어(525)가 배치되지 않은 소정 영역(528)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포함된 구성에 반사된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540)는, 보호 필름(530)에 의해 반사된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40)는, 복수의 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통해, 복수의 픽셀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1510)에 인접하는 소정 영역(528)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1 센싱 영역(1501)은, 제1 픽셀(151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픽셀(1520)에 인접하는 소정 영역(528)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540)의 제2 센싱 영역(1502)은, 제2 픽셀(1520)에서 방출되는 픽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포함된 구성에 반사된 픽셀 광을 검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픽셀 광을 보다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1610 동작에서, 픽셀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되는 대상인 픽셀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소정 영역(500)에 포함되는 픽셀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1620 동작에서, 픽셀의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외부 광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않는 구간(이하, 제1 구간)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센싱되는 광은, 외부 광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1630 동작에서, 픽셀 광의 검출을 위한 기준 레벨(이하, 기준 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구간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센싱된 광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 광 레벨에 대한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S1640 동작에서, 픽셀 광의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 광의 레벨은, 픽셀을 통해 방출되는 광의 색상, 밝기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픽셀 광의 레벨을 ,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 각각에 대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구간(이하, 제2 구간)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제2 구간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센싱되는 광은, 외부 광 및/또는 픽셀 광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기준 광 레벨에 대한 데이터와 제2 구간에서 검출된 광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셀 광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제2 구간에서 검출된 광의 레벨과 기준 광 레벨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 각각에 대한 픽셀 광의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 구간에서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하나의 프레임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가 1초에 60개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경우, 프레임 구간은 1/60 초에 대응할 수 있다.
프레임 구간은,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데이터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데이터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기간은, 블랭크(blank) 구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프레임 구간들 사이에서 데이터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기간은, 수직 블랭크(vertical blank) 구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프레임 구간 내에서 데이터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기간은 수평 블랭크(horizontal blank) 구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프레임 구간 중 프레임을 출력하는 소정 구간(1711) 동안 발광 다이오드(522-524)를 통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소정 구간(1711)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센싱되는 광은, 외부 광 및 픽셀 광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프레임 구간 중 프레임을 출력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1710) 동안 발광 다이오드(522-524)를 통한 광의 방출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수직 블랭크 구간(1710)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센싱되는 광은, 외부 광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복수의 프레임 구간 중 제1 프레임 구간과 수직 블랭크 구간(1720)에서, 광의 광출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 구간과 수직 블랭크 구간(1720)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센싱되는 광은, 외부 광 및 픽셀 광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8의 도면부호 180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않는 제1 구간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검출된 광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는, 외부 광에 대응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도 18의 도면부호 180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제2 구간에서, 이미지 센서(540)를 통해 검출된 광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미지는, 외부 광 및 픽셀 광에 대응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에서 출력된 픽셀 광(1810)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영상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영역(500)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522-524)를 통해 기 설정된 패턴이 출력되는 영상일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에서 출력되는 픽셀 광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상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픽셀 광이 검출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상이 출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에서 출력되는 픽셀 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에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에서 출력되는 픽셀 광이 검출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가 구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고장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고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을 통해 검출된 픽셀 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열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소정 휘도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에서 출력되는 픽셀 광의 레벨이 소정 휘도보다 낮은 휘도에 대응하는 레벨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열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열화된 정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휘도와 소정 영역(500)에 포함된 픽셀에서 출력되는 픽셀 광의 레벨에 대응하는 휘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을 통해 검출된 외부 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광의 세기는, 주변 조도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 광의 세기의 증가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영역(500)을 통해 검출된 외부 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방에 대한 외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획득한 외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10)은, 복수의 영상표시장치(100a-100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표시장치(100a-100n)는, 이미지 센서(540)가 배치되는 소정 영역(500a-500n)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표시장치(100a-100n)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구동 여부 및 열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표시장치(100a-100n)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방에 대한 외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a-100n) 각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검출된 객체에 기초하여, 소정 객체의 존재 여부, 위치, 이동 방향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1900) 없이, 픽셀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522-524)에서 방출되는 광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1900)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정상 구동 여부, 열화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구분되는 별도의 광 센서(1900)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소정 영상이 소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구분되는 별도의 조도 센서 없이, 주변 조도에 따라 영상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구분되는 별도의 카메라 없이, 외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개시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3)

  1.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정 영역은,
    투명 기판;
    상기 소정 영역에 배치되는 소정 픽셀을 구성하도록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소정 픽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픽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지 않는 제1 구간에서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제1 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광과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제2 구간에서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제2 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프레임 각각에 대한 수직 블랭크(vertical blank)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광을 반사하는 반사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셀 회로 및 상기 전극 배선은, 상기 소정 영역 중 상기 반사 레이어가 배치되는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레이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 중 상기 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일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반사 레이어가 배치되지 않는 제3 영역을 제외한 상기 소정 영역의 나머지에 해당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 중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일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광을 투과하는 투명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셀 회로 및 상기 전극 배선은, 상기 소정 영역 중 상기 투명 레이어가 배치되는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일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3 영역에,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광을 반사하는 반사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중 제1 발광 부분은, 상기 반사 레이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 중 제2 발광 부분은, 상기 투명 레이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2 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여부 및 열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상기 제2 광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영상은,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소정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기 설정된 패턴이 출력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1 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1 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대한 외부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광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정 영역은,
    투명 기판;
    상기 소정 영역에 배치되는 소정 픽셀을 구성하도록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투명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레이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홀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220163864A 2022-11-30 2022-11-30 영상표시장치 KR20240080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864A KR20240080474A (ko) 2022-11-30 2022-11-30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864A KR20240080474A (ko) 2022-11-30 2022-11-30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474A true KR20240080474A (ko) 2024-06-07

Family

ID=9148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864A KR20240080474A (ko) 2022-11-30 2022-11-30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04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KR10237044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5866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715719B2 (en)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17687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210111168A1 (en)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388995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72011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KR20160036385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1133687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90902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40080474A (ko) 영상표시장치
KR102224634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8624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7512B1 (ko) 투명 영상 표시 장치
US2024001370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5384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230164381A (ko) 영상 표시 장치
KR20240084796A (ko) 영상표시장치
KR20240003966A (ko) 영상 표시 장치
KR102658129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18720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58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5913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6007661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