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720B1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720B1
KR102218720B1 KR1020190127936A KR20190127936A KR102218720B1 KR 102218720 B1 KR102218720 B1 KR 102218720B1 KR 1020190127936 A KR1020190127936 A KR 1020190127936A KR 20190127936 A KR20190127936 A KR 20190127936A KR 102218720 B1 KR102218720 B1 KR 10221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ining pattern
clock training
condition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Clock Training Patter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단 및 신호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을 생성하는 신호 수신단을 포함하고, 신호 송신단은,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와 상이한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호 수신단의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Lock)될 때까지, 신호 송신단이 신호 세기가 더 크고, 이상적인 출력 파형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재전송할 수 있어, 신호 수신단의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 및 주파수의 언락(unlock)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로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를 이용한 OLED 표시장치 등이 대표적이다.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되는 구성들은,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종래에는,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와 같이, 데이터 신호와 클럭(clock)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인터페이스가 이용되었는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 간의 스큐(Skew) 조정 문제나, 송수신되는 데이터양이 많아질수록 클럭 주파수도 높아짐에 따라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문제가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선행기술 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613호)와 같이, 별도의 클럭을 전송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EPI(Embedded Panel Interface)나, V-by-One(Vx1)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클럭을 전송하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단은, 클럭 및 데이터 복원(Clock and Data Recovery; CDR)을 위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lock Training Pattern; CTP) 신호를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신호 수신단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이용하여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과 주파수를 고정(lock)하고, 내부 클럭의 고정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신호 송신단으로 전송한다.
한편,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신호 송신단에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설치 환경의 차이나 회로 소자의 열화 등으로 인해 신호 수신단에서 내부 클럭이 정상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경우, 즉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과 주파수가 언락(unlock)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은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수신단의 언락 상태를 감지할 수는 있으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기술자가 영상표시장치를 수리하기 전까지 시청자는 불량인 영상을 시청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신호 수신단의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 및 주파수의 언락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Clock Training Patter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단 및 신호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을 생성하는 신호 수신단을 포함하고, 신호 송신단은,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와 상이한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한, 전압 스윙(voltage swing)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룩-업(look-up)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신호 송신단은,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와 전압 스윙 조건 및 상기 프리-엠퍼시스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신호 송신단은, 소정 주기에 따라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복수 회 전송하고,복수 회 전송된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복수 회 수신하고, 복수 회 수신된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신호 수신단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고, 신호 송신단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로부터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 각각에 대하여 판단하고,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로부터 각각 수신된 응답 신호가 모두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신호를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룩-업 테이블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 각각에 대응하는 스윙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포함하고, 신호 송신단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로부터 각각 수신된 응답 신호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소스 드라이버 IC에 대하여, 룩-업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Clock Training Patter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단이, 신호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을 생성하는 신호 수신단으로,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 신호 수신단이,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신호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동작,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신호 송신단이, 영상에 대한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동작 및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신호 송신단이,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와 상이한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서,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신호 송신단이,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한, 전압 스윙(voltage swing)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룩-업(look-up)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와 전압 스윙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서,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신호 송신단이, 소정 주기에 따라,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복수 회 전송하는 동작이고,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신호 수신단이, 복수 회 수신된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복수 회 전송하는 동작이고,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복수 회 수신된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신호 송신단이,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서, 신호 수신단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고,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가 응답 신호를 신호 송신단으로 각각 전송하는 동작이고, 영상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신호 송신단이,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로부터 각각 수신된 응답 신호가 모두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신호를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로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서, 룩-업 테이블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 각각에 대응하는 스윙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포함하고, 신호 송신단이,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로부터 각각 수신된 응답 신호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소스 드라이버 IC에 대하여, 룩-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수신단의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 및 주파수의 언락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항상 양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영상표시장치의 신호 송신단 및 신호 수신단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이다.
도 7a 내지 8b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 및/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모니터 등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방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수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장치(100)로 각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수립된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00)로는 마우스, 키보드, 공간 리모콘, 트랙볼, 조이스틱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외부 디바이스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원격제어장치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단일의 원격제어장치(200)만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원격제어장치(200)와 동시에 연결되어, 각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중, 방송 수신부(105)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또는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영상표시장치의 신호 송신단 및 신호 수신단에 대한 블록도이다.
신호 송신단(410)은, 별도의 클럭을 전송하지 않는 인터페이스인, EPI(Embedded Panel Interface), Vx1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신호 수신단(420)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 및 신호 수신단(420)은,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 영상 신호 등을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로 변환하여,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과 신호 수신단(420)은, 서로 구분되는 보드(board)나 모듈(module)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나, 다양한 구성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세트보드(Set board)에 배치될 수 있고, 신호 수신단(420)은, 세트보드(Set Board)로부터 전달된 영상 신호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디스플레이(180) 등이 배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 송신단(410)은,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구성들 중,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신호 수신단(420)은,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구성들 중,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을 생성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신단(41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룩-업(look-up) 테이블에 기초하여,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룩-업(look-up) 테이블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대한, 전압 스윙(voltage swing)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 테이블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룩-업 테이블은, 기 설정된 복수의 전압 스윙 조건 및/또는 복수의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스윙 조건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에 대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프리-엠퍼시스 조건은, 주파수 변조 방식의 통신에서 변조 신호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 S/N 비가 나빠지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측에서 주파수의 특정 부분의 변조가 강하게 걸리도록 하는 것에 대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는, 기 설정된 복수의 전압 스윙 조건 및/또는 복수의 프리-엠퍼시스 조건이 포함될 수 있고,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에 대한 전압 스윙 조건 및/또는 프리-엠퍼시스 조건이, 단계별로 차이가 나도록 기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출력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에 먼저 전송한 후,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로우 로직 레벨(Low logic level)의 알림 신호를 먼저 출력할 수 있고,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하이 로직 레벨(High logic level)의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수신단(420)은, 신호 송신단(410)으로부터 수신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클럭을 생성할 수 있고,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에 대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이하, 락(Lock) 신호)를 신호 송신단(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수신단(420)은,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Lock)된 경우,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신호 송신단(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신호 수신단(420)은,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 즉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과 주파수가 언락된 경우,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신호 송신단(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송신단(410)은,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수신한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신호 송신단(410)은,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영상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RGB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은,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이전에 전송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와 상이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응답 신호로서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와 전압 스윙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이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보다 클 수 있고,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주파수의 특정 부분의 변조가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보다 더 강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송신단(410)은,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보다 신호 세기가 더 크고, 이상적인 출력 파형의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소정 주기에 따라 복수 회 전송할 수 있고, 신호 수신단(420)은, 복수 회 수신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대응하여, 락 신호를 복수 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은, 복수 회 수신된 락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이전에 전송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와 상이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은,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으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시분할적으로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으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은,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에 상이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은,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 각각에 대응하는 전압 스윙 조건 및/또는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은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에 대하여 전압 스윙 조건 및/또는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각각 확인할 수 있고,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 각각에 대응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제1 전압 스윙 조건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제1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전압 스윙 조건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제2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은,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락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은, 시분할적으로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은,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수신된 락 신호가 모두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RGB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수신된 락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신호 송신단(410)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락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압 스윙 조건 및/또는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변경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은, 복수의 신호 수신단(420)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락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420)에 대하여, 룩-업 테이블을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룩-업 테이블에 제1 신호 수신단에 대응하는 프리-엠퍼시스 조건이 제1 프리-엠퍼시스 조건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1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수신된 경우, 신호 송신단(410)은, 룩-업 테이블의 제1 신호 수신단에 대응하는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제2 프리-엠퍼시스 조건으로 변경하고, 제2 프리-엠퍼시스 조건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제1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신호 송신단(410)은, 최종 업데이트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8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및 패널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픽셀은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의 교차부에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영상표시장치(100)가 액정 표시장치(LCD)인 경우, 복수의 픽셀은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영상표시장치(100)가 OLED 표시장치인 경우, 복수의 픽셀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230)는,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구동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230)는, 타이밍 제어부(232), 게이트 드라이버(234) 및/또는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32)는, 제어부(170)로부터 제어 신호, 영상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32)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34) 및/또는 데이터 드라이버(236)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32)는, 영상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236)의 사양에 따라 재배치하여, 데이터 드라이버(236)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34) 및 데이터 드라이버(236)는, 타이밍 제어부(232)의 제어에 따라,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가 액정 표시장치(LCD)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백라이트 유닛(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5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빛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250)은, 빛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52), 광원(252)의 스캐닝 구동을 제어하는 스캔 구동부(254) 및/또는 광원(252)을 온(On)/오프(Off)하는 광원 구동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공통전극 전압(Vcom)을 공급할 수 있고, 데이터 드라이버(236)에 감마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50)에 광원(2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드라이버(236)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에 대응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이밍 제어부(232)는, 도 4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단(410)에 포함될 수 있고,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는, 도 4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을 생성하는 신호 수신단(4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타이밍 제어부(232)는, 데이터 드라이버(236)에 포함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와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232)는, EPI(Embedded Panel Interface)를 통해,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 영상 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232)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로부터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인 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타이밍 제어부(232)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가 각각 별개의 데이터 라인과 피드백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232)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가 하나의 피드백 라인을 공통 버스 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타이밍 제어부(232)가 시분할적으로 락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타이밍 제어부(232)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 각각에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타이밍 제어부(232)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에 서로 다른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소스 드라이버 IC(SDIC1)으로 전송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은 제1 전압 값, 제2 소스 드라이버 IC(SDIC2)으로 전송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은 제1 전압 값보다 작은 제2 전압 값일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 각각에 대응하는 전압 스윙 조건 및/또는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포함할 수 있고, 타이밍 제어부(232)는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에 서로 다른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32)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로부터 수신된 락 신호가 모두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RGB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IC(SDIC1 내지 SDIC6)로부터 수신된 락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타이밍 제어부(232)는,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락 신호를 전송한 소스 드라이버 IC로 전압 스윙 조건 및/또는 프리-엠퍼시스 조건을 변경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232)는, 제1 전압 스윙 조건의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한 제1 소스 드라이버 IC(SDIC1)로부터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전압 스윙 조건보다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이 크게 설정된 제2 전압 스윙 조건의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제1 소스 드라이버 IC(SDIC1)로 재전송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제어부(232)는, 제1 전압 스윙 조건의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전송한 제1 소스 드라이버 IC(SDIC1)로부터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수신되어 제2 전압 스윙 조건의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제1 소스 드라이버 IC(SDIC1)로 재전송하는 경우, 룩-업 테이블의 제1 소스 드라이버 IC(SDIC1)에 대응하는 전압 스윙 조건을 제1 전압 스윙 조건에서 제2 전압 스윙 조건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이다. 도 7a 내지 8b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송신단(410)은, S610 동작에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제1 전압 스윙 조건 및 제1 프리-엠퍼시스 조건의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은,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소정 주기에 따라 복수 회 전송할 수도 있다.
신호 송신단(410)은, S620 동작에서,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인 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수신단(420)은,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Lock)된 경우,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신호 송신단(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수신단(420)은,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 즉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과 주파수가 언락된 경우,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신호 송신단(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이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소정 주기에 따라 복수 회 전송한 경우, 신호 수신단(420)은, 락 신호를 하이 로직 레벨 또는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신호 송신단(410)으로 복수 회 전송할 수도 있다.
신호 송신단(410)은, S630 동작에서,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수신한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이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복수 회 전송한 경우, 신호 송신단(410)은,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복수 회 수신된 락 신호가 모두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복수 회 수신된 락 신호가 모두 하이 로직 레벨인 경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내지 7c의 도면부호 (a)는 신호 송신단(410)에서 출력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b)는 신호 수신단(420)에서 출력되는 락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단(410)이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소정 주기에 따라 5회 전송하고, 신호 수신단(420)이 신호 송신단(410)으로부터 5회 수신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대응하여, 락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은, 5회 전송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대하여,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5회 수신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복수 회 수신된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신단(410)은,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수신단(420)의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Lock)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a의 710 영역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 7b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단(410)으로부터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신호 수신단(420)이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Lock)됨에 따라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송신단(410)에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신호 수신단(420)에서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가 출력된 시점까지, 신호 수신단(420)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을 생성할 수 있고,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를 고정(Lock)할 수 있다.
한편, 도 7c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단(410)이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5회 전송하였으나, 신호 수신단(420)이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은, 5회 전송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대하여,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만 수신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복수 회 수신된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송신단(410)은, S640 동작에서,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수신한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RGB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신단(410)은, S650 동작에서,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수신한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전압 스윙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고, S610 동작으로 분기하여,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송신단(410)은, 신호 수신단(420)으로부터 수신한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와 전압 스윙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송신단(4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이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보다 클 수도 있고,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주파수의 특정 부분의 변조가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보다 더 강조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송신단(410)은,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출력에 대한 응답 신호인 락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신호 수신단(420)의 내부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Lock)될 때까지, 이전에 전송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보다 신호 세기가 더 크고, 이상적인 출력 파형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도 8a 및 8b의 도면부호 (a)는 신호 송신단(410)에서 출력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b)는 신호 수신단(420)에서 출력되는 락 신호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c)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단(410)이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하였으나, 신호 수신단(420)은 로우 로직 레벨의 락 신호만 일정하게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전압 스윙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810 영역을 살펴보면, 제1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이 V1(예: 262 mV)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8b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단(410)이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전송한 경우, 신호 수신단(420)이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전압 스윙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820 영역을 살펴보면, 제2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압이 V2(예: 535 mV)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송신단(410)에서 출력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에 따라, 신호 수신단(420)의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Lock)되지 않는 경우, 신호 수신단(420)의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 및 주파수가 고정(Lock)될 때까지, 신호 송신단(410)이 이전에 출력한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보다 신호 세기가 더 크고, 이상적인 출력 파형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CTP) 신호를 신호 수신단(42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호 수신단(420)의 내부 클럭의 출력 위상 및 주파수의 언락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항상 양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클럭 트레이닝 패턴(Clock Training Patter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단;
    상기 신호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을 생성하는 복수의 신호 수신단; 및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는 룩-업(look-up)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신단은,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는 조건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시분할적으로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시분할적으로 각각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하여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가 모두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영상에 대한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의 조건을 변경하고,
    상기 조건이 변경된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으로 각각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한 조건은, 전압 스윙(voltage swing)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신단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전압 스윙 조건 및 상기 프리-엠퍼시스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단은,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 각각 복수 회 전송하고,
    상기 복수 회 전송된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각각 복수 회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중, 제1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복수 회 수신된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신호 수신단에 대응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의 조건을 변경하고,
    상기 조건이 변경된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수신단으로 복수 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각각은, 소스 드라이버 IC(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단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의 조건을 변경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상기 스윙 조건 및 상기 프리-엠퍼시스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Clock Training Pattern)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신단이, 상기 신호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따라 내부 클럭을 생성하는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는 조건의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시분할적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동작;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이,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시분할적으로 상기 신호 송신단으로 각각 전송하는 응답 신호 전송 동작;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가 모두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신호 송신단이, 영상에 대한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의 조건을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조건이 변경된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으로 각각 재전송하는 제2 전송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한 조건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룩-업(look-up) 테이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의 조건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한 전압 스윙(voltage swing) 조건 및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동작은,
    상기 신호 송신단이,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으로 각각 복수 회 전송하는 동작이고,
    상기 응답 신호 전송 동작은,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이, 복수 회 수신된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각각 복수 회 전송하는 동작이고,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의 조건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중, 제1 신호 수신단으로부터 복수 회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제1 신호 수신단에 대응하는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의 조건을 변경하는 동작이고,
    상기 제2 전송 동작은,
    상기 조건이 변경된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수신단으로 복수 회 전송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수신단 각각은, 소스 드라이버 IC(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 트레이닝 패턴 신호의 조건을 변경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신호 수신단 각각에 대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상기 스윙 조건 및 상기 프리-엠퍼시스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90127936A 2019-10-15 2019-10-15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1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36A KR102218720B1 (ko) 2019-10-15 2019-10-15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36A KR102218720B1 (ko) 2019-10-15 2019-10-15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720B1 true KR102218720B1 (ko) 2021-02-19

Family

ID=7468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936A KR102218720B1 (ko) 2019-10-15 2019-10-15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7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338A (ko) * 2011-08-19 2013-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클럭 임베디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KR20170081047A (ko) *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클럭 리커버리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선로 점검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KR20190096753A (ko) * 2018-02-09 201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시스템 온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338A (ko) * 2011-08-19 2013-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클럭 임베디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KR20170081047A (ko) *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클럭 리커버리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선로 점검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KR20190096753A (ko) * 2018-02-09 201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시스템 온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26272B (zh) 图像显示装置
US1059327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sharpness of an edge area
US117985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082542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151935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072011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US1160021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18720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8624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31975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30224425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having same
EP4198961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189985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30247254A1 (en)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0855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64381A (ko) 영상 표시 장치
EP414583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179738A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21035828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40003966A (ko) 영상 표시 장치
KR20220092852A (ko) 영상처리장치
KR20240080474A (ko) 영상표시장치
KR2007005120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