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559B1 -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559B1
KR102608559B1 KR1020227005869A KR20227005869A KR102608559B1 KR 102608559 B1 KR102608559 B1 KR 102608559B1 KR 1020227005869 A KR1020227005869 A KR 1020227005869A KR 20227005869 A KR20227005869 A KR 20227005869A KR 102608559 B1 KR102608559 B1 KR 102608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impedance value
signal
signal strength
predetermined 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431A (ko
Inventor
안무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3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는 임피던스 정합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mode)가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사 손실과 관련된 기준을 만족하면서도, 방송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시킬 수 있어, 망 사업자의 망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품질의 방송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본 발명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는 모니터(monitor), TV(televis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가 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셋톱 박스(Set-top box)와 같은 장치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선행기술 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1538호)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수신하는 경우,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와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간의 차이에 의해 반사 손실(return loss)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반사 손실의 증가로 인해 케이블을 통해 되돌아가는 신호가 증가하게 되면, 방송 신호를 공급하는 방송망에 노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 일반적인 방송 수신 장치는 케이블과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고 있다.
한편, 종래의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 회로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증폭 회로가 입력 전류/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이득(gain)이 변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증가시켜 이득을 높이게 되면, 미약한 방송 신호를 더 증폭시킬 수는 있으나,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와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간의 차이가 커져 반사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mode)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여, 반사 손실과 관련된 기준을 만족하면서도, 방송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시킬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는 임피던스 정합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mode)가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거나, 저 잡음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noise amplifier)를 더 포함하고,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은, 방송 신호에 대한 반사 손실(return loss)과 관련된 소정 기준을 만족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부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부는, 케이블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를 확인하고,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고,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부는,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작을수록, 입력 임피던스 값이 작아지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부는,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 보조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1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고,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보조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제1 보조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부는, 케이블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또는 케이블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에서 방송 신호를 통해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저잡음 증폭기의 입력단에 배치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입력 임피던스 값이 조정되도록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mode)가 케이블(cable)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는 제1 동작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가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하는 제2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에서,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은, 방송 신호에 대한 반사 손실(return loss)이 소정 기준을 만족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의 제1 동작은, 방송 신호를 통해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하는 제3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의 제1 동작은,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동작,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는 제4 동작 및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하는 제5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의 제5 동작은,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작을수록, 입력 임피던스 값이 작아지도록 조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의 제5 동작은,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 보조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1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고,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보조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제1 보조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의 제2 동작 및 제3 동작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 임피던스 값을 소정 기준 값 미만인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손실과 관련된 기준을 만족하면서도, 방송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시킬 수 있어, 망 사업자의 망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품질의 방송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및 1b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a의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2b는 튜너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b의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a 및 1b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영상표시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 및/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모니터 등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방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수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장치(100)로 각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수립된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00)로는 마우스, 키보드, 공간 리모콘, 트랙볼, 조이스틱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외부 디바이스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원격제어장치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단일의 원격제어장치(200)만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원격제어장치(200)와 동시에 연결되어, 각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셋톱 박스(25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신호 처리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영상표시장치(100)는 셋톱 박스(2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셋톱 박스(25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셋톱 박스(250)가 방송 수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셋톱 박스(25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 및/또는 셋톱 박스(25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 및 셋톱 박스(250)에 연결될 수도 있고, 복수의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 및 셋톱 박스(250)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a의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2b는 방송 수신 장치에 구비되는 튜너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중, 방송 수신부(105)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한편, 튜너부(1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임피던스 정합회로(미도시)와, 수신된 방송 신호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거나, 증폭시키는 증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제어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가변 저항, 가변 인덕터, 및 가변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 회로는, 입력 전류/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이득(gain)이 변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는, 증폭 회로(112)의 입력단에 배치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는, 증폭 회로(112)의 입력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증폭 회로(112)는, 입력 전류의 크기에 따라 이득이 변하는 저잡음 증폭기(low-noise amplifier; LNA)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저항(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변 저항(R)는, 저잡음 증폭기(N)의 입력단에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저항 값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이 변경됨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의 변경에 따라, 저잡음 증폭기(N)로 입력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N)의 이득이 변경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a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모드(mode)를 설정할 수 있고,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신호의 수신 방식에 대한 모드(이하, 수신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하, 안테나 수신 모드)와,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하, 케이블 수신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에 따라, 임피던스 정합회로(111)에 구비된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을 변경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은, 방송 신호에 대한 반사 손실(return loss)과 관련된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임피던스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은,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 값(예: 75Ω)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안테나 수신 모드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반사 손실로 인해 방송망으로 되돌아가는 노이즈 신호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170)가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튜너부(110)로 입력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튜너부(110)가 저잡음 증폭기(LNA)를 구비하는 경우, 튜너부(110)로 입력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저잡음 증폭기(LNA)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영상표시장치(100)의 방송 신호에 대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와 케이블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통해 반사 손실을 줄임으로써, 방송망으로 되돌아가는 노이즈 신호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튜너부(110)로 입력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저잡음 증폭기(LNA)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의 방송 신호에 대한 수신 성능 및 채널 검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을 선택(tuning)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작을수록,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작아지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 보조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1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보조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 임피던스 값이 제1 보조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송 신호의 신호세기가 작은 경우에는, 반사 손실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방송망으로 되돌아가는 노이즈 신호의 크기가 작으며, 저잡음 증폭기(LNA)의 이득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나은 품질의 방송 영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보다 작아지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안테나 수신 모드인 경우,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입력 임피던스 값이 제2 보조 임피던스 값 이하로 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처리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처리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영상처리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처리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처리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처리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처리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영상처리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처리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a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또는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처리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처리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처리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b의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셋톱 박스(250)는, 방송 수신부(27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 저장부(258),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 및/또는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70)는, 튜너부(271) 및 복조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27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271)는, 셋톱 박스(250)의 입력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임피던스 정합회로(미도시)와, 수신된 방송 신호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거나, 증폭시키는 증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272)는, 튜너부(27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제어부(260)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TV,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표시장치(예: 영상표시장치(100))와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셋톱 박스(25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셋톱 박스(25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58)는, 제어부(2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58)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2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 동작 입력, 설정 입력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셋톱 박스(250)는, 별도의 미디어(media)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력부의 예로는, 블루레이 입력부(미도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즉, 셋톱 박스(25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미디어는 제어부(260)에서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이후, 그 표시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부(27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을 수행하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디코더 또는 음성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셋톱 박스(250)의 모드(mode)를 설정할 수 있고,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셋톱 박스(250)의 수신 모드에 따라, 튜너부(271)에 구비된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여, 셋톱 박스(25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셋톱 박스(25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 셋톱 박스(25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셋톱 박스(250)의 수신 모드가 안테나 수신 모드인 경우, 셋톱 박스(25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셋톱 박스(25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셋톱 박스(25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셋톱 박스(25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셋톱 박스(25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셋톱 박스(25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셋톱 박스(250)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260)는 셋톱 박스(25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60)는,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작을수록, 셋톱 박스(250)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작아지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예: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셋톱 박스(250))는, S510 동작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안테나 수신 모드와 케이블 수신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S520 동작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예: 75Ω)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는, S530 동작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가 아닌 경우, 즉 안테나 수신 모드인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예: 75Ω)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방송 수신 장치와 케이블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통해 반사 손실을 줄임으로써, 방송망으로 되돌아가는 노이즈 신호를 줄일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반사 손실로 인해 방송망으로 되돌아가는 노이즈 신호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방송 신호에 대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예: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셋톱 박스(250))는, S610 동작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안테나 수신 모드와 케이블 수신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S620 동작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 방송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S630 동작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안테나 수신 모드인 경우, 또는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기준 임피던스 값(예: 75Ω)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는, S640 및 S650 동작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수신 모드가 케이블 수신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를 확인할 수 있고,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S660 동작에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예: 75Ω)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는, S670 동작에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에는,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기준 임피던스 값(예: 75Ω)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는,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는, S710 동작에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이고, 보조 신호세기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S720 동작에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 보조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1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는, S730 동작에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보조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제1 보조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가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신호세기가 작아 반사 손실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방송망으로 되돌아가는 노이즈 신호의 크기가 작고, 사용자에게 나은 품질의 방송 영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이 기준 임피던스 값보다 작아지도록,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는 임피던스 정합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mode)가 케이블(cable)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통해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 채널을 검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거나, 저 잡음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noise amplifi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은,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반사 손실(return loss)과 관련된 소정 기준을 만족하도록 기 설정된 임피던스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mode)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상기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작을수록,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상기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 보조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1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상기 보조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상기 제1 보조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또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에서 상기 방송 신호를 통해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상기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정합회로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입력단에 배치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조정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9.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mode)가, 케이블(cable)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고, 상기 방송 신호를 통해 방송 채널을 검색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값을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는 제1 동작;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고, 상기 방송 신호를 통해 상기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하는 제2 동작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방송 신호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거나, 저 잡음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noise amplifier)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은,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반사 손실(return loss)이 소정 기준을 만족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모드(mode)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하는 제3 동작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은,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소정 기준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는 제4 동작; 및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상기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으로 조정하는 제5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동작은,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작을수록,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이 작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동작은,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상기 소정 기준 신호세기 미만, 보조 신호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1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메인 채널로 설정된 방송 채널의 신호세기가, 상기 보조 신호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상기 제1 보조 임피던스 값보다 작은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및 상기 제3 동작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입력 임피던스 값을 상기 소정 기준 임피던스 값 미만인 상기 제2 보조 임피던스 값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227005869A 2019-11-01 2019-11-01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608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4767 WO2021085699A1 (ko) 2019-11-01 2019-11-01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431A KR20220038431A (ko) 2022-03-28
KR102608559B1 true KR102608559B1 (ko) 2023-11-30

Family

ID=7571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869A KR102608559B1 (ko) 2019-11-01 2019-11-01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85386A1 (ko)
EP (1) EP4054178A4 (ko)
KR (1) KR102608559B1 (ko)
WO (1) WO202108569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112B1 (ko) * 2009-06-08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잡음 증폭기
US20120222082A1 (en) * 2011-02-28 2012-08-30 Yu Su Low Noise Amplifier and Method of Input Impedance Control for Terrestrial and Cable Mod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045B1 (ko) * 2005-08-17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0808244B1 (ko) * 2006-12-15 2008-03-03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모드에 따른 입력 임피던스 매칭을 이용하는 무선식별 시스템
US7408379B2 (en) * 2006-12-18 2008-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edance calib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999609B2 (en) * 2007-01-19 2011-08-16 Z-Band, Inc. Managed wideband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system with signal level enabling interface device and impedance signature detection
KR101038805B1 (ko) * 2008-07-24 2011-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튜너 입력 회로
US8975981B2 (en) * 2011-09-13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Impedance matching circuits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JP6133628B2 (ja) * 2013-03-04 2017-05-24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テレビ信号増幅装置
KR20160021538A (ko) 2014-08-18 2016-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검색 방법
US10200079B2 (en) * 2014-10-29 2019-0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ceiver arrange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80041244A1 (en) * 2016-08-05 2018-02-08 Qualcomm Incorporated Rf front end resonant matching circuit
KR102542518B1 (ko) * 2016-09-27 202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0141971B1 (en) * 2017-11-17 2018-11-27 Silicon Laboratories Inc. Transceiver circuit having a single impedance matching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112B1 (ko) * 2009-06-08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잡음 증폭기
US20120222082A1 (en) * 2011-02-28 2012-08-30 Yu Su Low Noise Amplifier and Method of Input Impedance Control for Terrestrial and Cable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4178A4 (en) 2023-08-02
US20220385386A1 (en) 2022-12-01
KR20220038431A (ko) 2022-03-28
EP4054178A1 (en) 2022-09-07
WO2021085699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241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589145B1 (ko) 영상표시장치
US2015029443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080186411A1 (en) Television receiv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214721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05501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60021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US116653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60855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5073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1798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6653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1154502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etecting battery condition of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89985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658129B1 (ko) 영상표시장치
US20230247254A1 (en)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4161084A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11922936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20230168344A (ko)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