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112B1 - 저잡음 증폭기 - Google Patents

저잡음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112B1
KR101067112B1 KR1020090050477A KR20090050477A KR101067112B1 KR 101067112 B1 KR101067112 B1 KR 101067112B1 KR 1020090050477 A KR1020090050477 A KR 1020090050477A KR 20090050477 A KR20090050477 A KR 20090050477A KR 101067112 B1 KR101067112 B1 KR 10106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switch
inpu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738A (ko
Inventor
안성민
문동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11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77Selecting one or more amplifiers from a plurality of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과, 디지털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등의 방송 환경에서 방송 신호의 광대역 증폭기에서의 신호 왜곡을 개선하도록 한 저잡음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고정전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광대역 증폭기; 상기 광대역 증폭기에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통과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스위치 회로;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 회로; 및 약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고, 강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치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잡음 증폭기가 제공된다.
저잡음 증폭기, 튜너, 아날로그, 디지털

Description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본 발명은 저잡음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과, 디지털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등의 방송 환경에서 방송 신호의 광대역 증폭기에서의 신호 왜곡을 개선하도록 한 저잡음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텔레비젼 방송이 개시되고 나서 50년 이상이 지난 현재 세계 각국은 지상 디지털 방송을 개시하여 있으며 2010년에는 아날로그 방송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별도로 이미 케이블 방송이나 BS 방송에서는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송 환경에서 텔레비젼 아날로그 방송의 수신뿐만 아니라 디지털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을 이용한 인터넷의 패킷 수신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튜너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신용 튜너는 예를 들어 미국(USA) 튜너는 470MHz 내지 860MHz를 수신하는 UHF 밴드와, 170MHz 내지 470MHz를 수신하는 VHF 고역밴드와, 54MHz 내지 170MHz를 수신하는 VHF 저역 밴드로 분할되어 각 밴드마다 수신회로를 구성한다. 단, 밴드 분할은 발송지에 따라 달라 특히 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 중에서 특정 주파수대만을 선별하여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만을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튜너를 보다 적은 사이즈로 간단하게 구현하기 위한 여러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이중 변환 방식과 단일 변환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은 UHF 밴드로 방송되고 아날로그 방송은 종래의 VHF 밴드와 UHF 밴드로 방송되고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송이 혼재되어 전파가 발사되고 있는 환경에서는 일반 가정에 들어가는 안테나 단자 레벨이 VHF 밴드는 높고, UHF 밴드는 낮은 레벨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집합주택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방송신호가 전파되는 경우에 이러한 경향은 현저하다.
즉, 안테나를 통한 TV 신호는 20dBuV로부터 100dBuV이며, 케이블 신호는 0dBmv±20dBmV의 레벨로 인가된다. 또한, 안테나를 통한 TV 신호는 파수가 적은데 반하여, 케이블 신호는 다수 캐리어이다.
따라서 TV 신호는 미약한 신호 레벨일 때에는 저잡음 증폭기를 동작시켜 이 득을 증폭하여 출력해야 하며, 강전계 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저잡음 증폭기의 동작을 오프시켜 통과시켜야 한다.
특히, 케이블 신호는 신호 레벨의 변동은 작지만 케이블 입력단으로 들어가는 총전력이 커서 왜곡이 발생하기 쉽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구성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증폭기(1)와, 다수의 스위치 회로(2-a 내지 2-d) 그리고 다수의 스위치 회로(2-a 내지 2-d)를 제어하는 스위치 드라이브(3)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저잡음 증폭기에서 약전계 무선신호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약전계 무선 신호가 입력되면 광대역 증폭기(1)에 연결된 두개의 스위치 회로(2-a, 2-b)가 스위치 드라이브(3)에 의해 온되고 광대역 증폭기(1)와 무관한 전류 경로에 위치하는 스위치 회로(2-c, 2-d)가 스위치 드라이브(3)에 의해 오프되어 저잡음 증폭기가 증폭회로로 동작하게 되며, 약전계 무선신호가 입력될 때 이득을 증폭시켜 성능이 개선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달리 강전계 무선 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광대역 증폭기(1)에 연결된 두개의 스위치 회로(2-a, 2-b)가 스위치 드라이브(3)에 의해 오프되고 광대역 증폭기(1)와 무관한 전류 경로에 위치하는 스위치 회로(2-c, 2-d)가 스위치 드라이브(3)에 의해 온되어 강전계 무선신호가 증폭 없이 통과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내부 회로가 도 2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2에 개시된 저잡음 증폭기는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C1과, 커패시터 C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 C1의 출 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R1을 포함하여 입력 신호에서 직류성분이 제거된 교류성분을 입력받는다.
또한, 이와 동일하게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C5과, 커패시터 C5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 C5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R7을 포함하여 출력 신호에서 직류성분이 제거된 교류성분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스위치 회로(2-a 내지 2-d)는 스위치 다이오드(D1 내지 D4)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위치 다이오드(D1 내지 D4)의 애노드에 일정 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스위치 다이오드(D1 내지 D4)가 온되어 전류 통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광대역 증폭기(1)는 트랜지스터(Tr1)과,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 R4, R5, R6과 출력 단자에서 출력하는 교류전압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커패시터 C3, C4를 포함하고 있으며, 출력단에서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단에 피드백 전압을 제공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피드백 저항 R3 그리고 커패시터 C2와 인덕터 L2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원공급단과 트랜지스터 Tr1의 컬렉터단자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인덕터 L1과, 전원공급단과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 R2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광대역 증폭기(1)는 스위치 다이오드 D1과 D2가 온되어 전류 통로가 형성되면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위치 드라이브(3)는 트랜지스터 Tr2와, 스위치 회로(2-c, 2-d)를 구성하는 스위치 다이오드(D3, D4)의 애노드 단자와 트랜지스터 Tr2의 컬렉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8과, 트랜지스터 Tr2의 컬렉터 단자와 전원공급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9와,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 단자와 제어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10과, 바이어스 저항 R10과 제어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11의 전원공급단자와 바이어스 저항 R10의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교류전압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커패시터 C6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위치 드라이브(3)는 제어단자에서 무선 신호가 약전계 신호임을 알려주는 하이레벨 신호(경로 선택 제어 신호라고 한다)가 입력되면 바이어스 저항 R11과 R1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단에 하이레벨 신호에 따른 전압을 인가하며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 Tr2가 온이 된다.
이처럼 트랜지스터 Tr2가 온되면 전원공급단자에서 입력되는 전류는 바이어스 저항 R9와 트랜지스터 Tr2를 통해서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급전압이 주로 바이어스 저항 R9에 분배되며 그 결과 스위치 다이오드 D3와 D4의 애노드 단자에 인가전압이 낮아지며 스위치 다이오드 D3와 D4는 오프된다.
이와 반대로 스위치 드라이브(3)의 제어단자에서 입력되는 하이레벨 신호는 바이어스 저항 R2를 통하여 스위치 다이오드 D1의 애노드에 인가되고 인덕터 L1을 통하여 스위치 다이오드 D2의 애노드에 인가되어 스위치 다이오드 D1과 D2가 온되 도록 한다.
그러면, 광대역 증폭기(1)는 스위치 다이오드 D1과 D2가 온되어 형성된 전류 통로에 따라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제어 단자에서 무선 신호가 강전계 신호임을 알려주는 로레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동작하게 되며 저잡음 증폭기는 통과 회로로 기능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전원은 MOPLL IC의 스위치 드라이브로부터 공급되고 있었다.
이때, 스위치 드라이브에 의해 공급가능한 전원은 10수 mA가 최대이며, 그 이상 흘리면 직류 전압이 단락된다.
따라서, 저잡음 증폭기에서 강전계에 의한 왜곡을 개선하려면, 트랜지스터 Tr1에서 컬렉터 단자와 이미터 단자 사이에 일정한 Vce 전압이 필요하며, 20mA이상의 전류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 저잡음 증폭기의 동작의 전환은 튜너에 입력되는 신호레벨에 따르고, AGC 전압을 읽어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저잡음 증폭기를 온/오프하였다.
또한 입력 선택 스위치를 선국 채널에 따라 TV 채널과 케이블 채널로 변경하였다. 이때 이러한 전환의 논리전압은 튜너 외부의 CPU로부터 직접 제어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잡음 증폭기의 공급 전원을 고정 전원으로부터 공급하도록 하여 광대역 증폭기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와 이미터 단자 사이의 전압을 개선하여 왜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잡음 증폭기의 광대역 증폭기의 제어와 입력 선택 스위치의 제어를 시리얼 버스를 통해 일률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채널 선국에 의해 최적인 저잡음 동작 포인트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왜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고정전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광대역 증폭기; 상기 광대역 증폭기에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통과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스위치 회로;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 회로; 및 약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고, 강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치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에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1 고역 통과 필터;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에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2 고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1 고역통과 필터와 제2 고역 통과 필터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스위치회로와 제2 스위치 회로로 통과시키는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채널 선국에 따라 상기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제1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한 무선신호와 제2 고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무선신호에서 입력 무선신호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는 입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 다이오드와 출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는 입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출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4 스위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광대역 증폭기는, 제1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제어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출력단에서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피드백 전압을 제공하는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베이스 단자가 제어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지스터;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제1 바이어스 저항과 제2 고정전원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바이어스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상기 제어 단자에 무선 신호가 약전계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온시켜 상기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를 오프시킴으로 무선 신호가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고정전원단자와 제2 고정전원단자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2 고정전원전압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3 바이어스 저항; 제어 단자와 연결되는 디커플링 저항; 상기 제1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디커플링 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4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디커플링 저항과 상기 제2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5 바이어스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상기 제어 단자에 무선 신호가 약전계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4 바이어스 저항이 제1 스위치 다이오드를 온시키고, 상기 제5 바이어스 저항이 제2 스위치 다이오드를 온시키도록 제어하여 무선 신호가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약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제 어 신호와 강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시리얼 통신 버스를 통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잡음 증폭기의 공급 전원을 고정 전원으로부터 공급하게 되어 광대역 증폭기의 트랜지스터의 컬럭터 단자 전압과 이미터 단자 전압을 개선하기 때문에 교차 변조(cross modulation)와 혼변조(inter modulation)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광대역 증폭기의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가 35mA인 경우에 컬렉터와 이미터 단자 사이의 전압은 3V이하가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광대역 증폭기의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에 흐르는 전류가 35mA일때 컬렉터와 이미터 단자 사이의 전압이 4V이상이 되어 교차 변조나 혼변조 등의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잡음 증폭기의 제어와 입력 선택 스위치의 제어를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제어하도록 하여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와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의 선국에 대응하여 저전압 증폭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왜곡의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제, 도 3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잡 음 증폭기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기본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기본 구성예는 안테나에 접속되어 있는 고역통과필터(11)와, 케이블에 접속되어 있는 고역통과필터(15)와, 안테나에 입력되는 신호와 케이블에서 입력되는 신호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12)와, 광대역 증폭기(13), 광대역 증폭기(13)를 우회하는 전류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경로 선택 스위치 회로(14) 그리고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12)와 경로 선택 스위치 회로(14)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16)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고역통과필터(11, 15)는 5~46MHz의 감쇠역을 가지고 있으며, 54MHz 이상을 통과역으로 하여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역통과필터로서, 54MHz이상의 무선 신호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스위치 드라이브(16)는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면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12)를 제어하여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선택되도록 하고, 이와 달리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면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12)를 제어하여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선택되도록 한다.
한편, 스위치 드라이브(16)는 강전계 무선 신호가 입력되면 경로 선택 스위치 회로(14)를 온시켜 입력 신호가 광대역 증폭기(13)를 우회하도록 하고, 약전계 무선 신호가 입력이 되면 경로 선택 스위치 회로(14)를 오프시켜 입력 신호가 광대역 증폭기(13)를 통과하여 증폭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광대역 증폭기(13)는 54MHz 내지 860MHz 의 광대역에 걸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 드라이브(16)는 입력 선택 스위치(12)를 온오프하기 위한 채널 선택 제어 신호를 검출 블럭으로부터 시리얼 버스(일예로 I2C 버스)를 통하여 입력받으며, 경로 선택 스위치(14)를 온오프하기 위한 경로 선택 제어 신호 또한 제어 블럭으로부터 아날로그 전압값으로 입력받아 제어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한 단일 변환 방식으로 구현된 튜너의 구조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ANT) 등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중 방송 신호, 즉 RF 신호만을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101)와, 저잡음 증폭기(101)를 통해 출력되는 RF 신호중 희망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부(102,103,104)와, 필터부(102,103,104)를 통해 입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105,106,107)와, 증폭부(105,106,107)를 통해 입력되는 RF 신호를 동조시켜 출력하는 튜너부(108,109,110)와, 발진주파수와 튜너부(108,109,110)의 RF 신호를 혼합하여 IF 신호를 출력하는 혼합부(111,112,113)와, 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혼합부(111,112, 113)에 공급하는 국부 발진기(114,115,116)와, 국부 발진기(114,115,116)에 기준 주파수를 제공하는 위상동기루프(117)와, 혼합부(111, 112, 113)로부터 출력되는 I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중간 주파수 증폭부(118) 와, 혼합부(111,112,113)에서 출력되는 IF 신호의 세기에 따라 대응되는 DC 전압을 출력하여 AGC 정보를 출력하고, 출력되는 AGC 정보에 따른 DC 전압을 읽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AGC 정보에 따른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DC 전압을 재차 출력하고, 위상동기루프(117)의 채널 선국 정보에 따른 입력 선택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블럭(12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필터부(102,103,104)는 일예로 470MHz 내지 860MHz를 수신하는 UHF 신호 밴드용 UHF 필터(102)와, 170MHz 내지 470MHz 의 신호를 수신하는 VHF 고역 신호 밴드용 VHF 고역 필터(103)와, 54MHz 내지 170MHz의 신호를 수신하는 VHF 저역 신호 밴드용 VHF 저역 필터(10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증폭부(105,106,107) 또한 UHF 신호용 UHF 증폭부(5)와, VHF 고역 신호용 VHF 고역 증폭부(106)와, VHF 저역 신호용 VHF 저역 증폭부(107)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튜너부(108, 109, 110)도 UHF 신호용 UHF 튜너부(108)와, VHF 고역 신호 용 VHF 고역 튜너부(109)와, VHF 저역 신호용 VHF 튜너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혼합부(111, 112, 113) 또한 UHF 신호용 UHF 혼합부(111)와, VHF 고역 신호용 VHF 고역 혼합부(112)와, VHF 저역 신호용 VHF 저역 혼합부(113)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국부 발진기(111, 112, 113)는 UHF 신호용 UHF 발진기(111), VHF 고역 신호용 VHF 고역 발진기(112)와, VHF 저역 신호용 VHF 저역 발진기(113)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어 블럭(22)은 혼합부(111,112,113)에서 출력되는 IF 신호의 세기에 따라 대응되는 DC 전압을 출력하여 AGC 정보를 출력하는 AGC 검출기와, AGC 검출기에서 검출되어 출력되는 AGC 정보에 따른 DC 전압을 읽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AGC 정보에 따른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DC 전압을 재차 출력하고, 위상동기루프(117)의 채널 선국 정보에 따른 입력 선택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튜너의 신호 경로는 UHF 무선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101)과, UHF 필터부(102)와, UHF 증폭부(105)와, UHF 튜너부(108)와, UHF 혼합부(111)를 통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되어 중간 주파수 증폭기(118)에서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VHF 고역 무선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101)과, VHF 고역 필터부(103)와, UHF 고역 증폭부(106)와, UHF 고역 튜너부(109)와, UHF 고역 혼합부(112)를 통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되어 중간 주파수 증폭기(118)에서 증폭되어 출력된다.
다음으로, VHF 저역 무선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101)과, VHF 저역 필터부(104)와, VHF 저역 증폭부(107)와, VHF 저역 튜너부(110)와, VHF 저역 ㅎ믹혼합부(113)를 통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되어 중간 주파수 증폭기(118)에서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은 튜너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증폭기(203)와, 다수의 스위치 회로(204-a 내지 204-d) 그리고 다수의 스위치 회로(204-a 내지 204-d)를 제어하는 스위치 드라이 브(206)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정전원공급단자(+B)에 연결되어 있으며 광대역 증폭기(203)에 전압을 공급하는 바이어스 인덕터 L11을 구비하고 있다(여기에서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저잡음 증폭기에서 약전계 무선신호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약전계 무선 신호가 입력되면 광대역 증폭기(203)에 연결된 두개의 스위치 회로(204-a, 204-b)가 스위치 드라이브(206)의 제어에 의해 온되고 광대역 증폭기(203)와 무관한 전류 경로의 스위치 회로(204-c, 204-d)가 스위치 드라이브(206)의 제어에 의해 오프되어 저잡음 증폭기가 증폭회로로 동작하도록 하여 약전계 무선신호가 입력시에 이득을 증폭시켜 성능이 개선되도록 한다.
그리고, 강전계 무선 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광대역 증폭기(203)에 연결된 두개의 스위치 회로(204-a, 204-b)가 스위치 드라이브(206)의 제어에 의해 오프되고 광대역 증폭기(203)와 무관한 스위치 회로(204-c, 204-d)가 스위치 드라이브(206)의 제어에 의해 온되어 강전계 무선신호가 이득 증폭없이 통과되도록 한다.
한편, 바이어스 인덕터 L11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전원단자(+B)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광대역 증폭기(203)에 전원공급을 전류 제한없이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광대역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가 제어단자에 의해 영향을 받아 광대역 증폭기에서 증폭되는 신호를 왜곡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광대역 증폭기(203)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단자와 분리되도록 하여 제어단자에 의해 왜곡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내부 회로가 도 6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6에 개시된 저잡음 증폭기는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C11과, 커패시터 C1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 C11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R11을 포함하여 입력 신호에서 직류 성분이 제거된 교류 성분을 입력받는 입력부(20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와 동일하게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C15과, 커패시터 C15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 C15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R17을 포함하는 출력부(207)을 포함하여 출력 신호에서 직류성분이 제거된 교류성분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스위치 회로(204-a 내지 204-d)는 스위치 다이오드(D11 내지 D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위치 다이오드(D11 내지 D14)의 애노드에 일정 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스위치 다이오드(D11 내지 D14)가 온되어 전류 통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광대역 증폭기(203)는 트랜지스터(Tr11)와,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 R14, R15, R16과 출력 단자에서 출력하는 교류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커패시터 C13, C14를 포함하고 있으며(여기에서 바이어스 저항 R14, R15, R16과 바이패스 커패시터 C13, C14를 바이어스 회로라고 칭한다), 출력단에서 트랜지스터 Tr11의 베이스단에 피드백 전압을 제공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피드백 저항 R13 그리고 커패시터 C12와 인덕터 L12를 포함하고 있으며(여기에서 피드백 저항 R13, 커패시터 C12와 인덕터 L12를 피드백 회로라고 칭한다), 고정전원공급단(+B)과 트랜 지스터 Tr11의 컬렉터단자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인덕터 L11과, 스위치 드라이브(206)와 트랜지스터 Tr11의 베이스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 R12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광대역 증폭기(203)는 스위치 다이오드 D11과 D12가 온되어 전류 통로가 형성되면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위치 드라이브(206)는 트랜지스터 Tr12와, 스위치 회로(204-c, 204-d)를 구성하는 스위치 다이오드(D13, D14)의 애노드 단자와 트랜지스터 Tr12의 컬렉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18과, 트랜지스터 Tr12의 컬렉터 단자와 고정전원공급단자(B1)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19와, 트랜지스터 Tr12의 베이스 단자와 제어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20과, 바이어스 저항 R20과 제어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21의 전원공급단자와 바이어스 저항 R20의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교류전압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커패시터 C16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위치 드라이브(206)는 제어단자에서 무선 신호가 약전계 신호임을 알려주는 하이레벨 신호(경로 선택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바이어스 저항 R21과 R2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Tr12의 베이스단에 하이레벨 신호에 따른 전압을 인가하며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 Tr12가 온이 되게 한다.
이처럼 트랜지스터 Tr12가 온되면 고정전원공급단자(B1)에서 입력되는 전류는 바이어스 저항 R19와 트랜지스터 Tr12를 통해서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급전 압이 주로 바이어스 저항 R18에 분배되며 그 결과 스위치 다이오드 D13와 D14의 애노드 단자에 인가전압이 낮아지며 스위치 다이오드 D13와 D14는 오프된다.
이와 반대로 스위치 드라이브(206)의 제어단자에서 입력되는 하이레벨 신호는 바이어스 저항 R12를 통하여 스위치 다이오드 D11의 애노드에 인가되고 인덕터 L11을 통하여 스위치 다이오드 D12의 애노드에 인가되어 스위치 다이오드 D11과 D12가 온되도록 한다.
그러면, 광대역 증폭기(203)는 스위치 다이오드 D11과 D12가 온되어 형성된 전류 통로에 따라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한편, 제어 단자에서 무선 신호가 강전계 신호임을 알려주는 로레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동작하게 되며 저잡음 증폭기는 통과 회로로 기능한다.
여기에서, 스위치 드라이브(206)는 경로 선택 제어 신호를 시리얼 통신 버스(일예로 I2C 버스)를 통하여 입력받는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내부 회로가 도 7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7에 개시된 저잡음 증폭기는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C31과, 커패시터 C3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 C31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R31을 포함하여 입력 신호에서 직류 성분이 제거된 교류 성분을 입력받는 입력부(20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와 동일하게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커패 시터 C35과, 커패시터 C35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 C35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 R37을 포함하는 출력부(207)를 포함하여 출력 신호에서 직류성분이 제거된 교류성분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스위치 회로(204-a 내지 204-d)는 스위치 다이오드(D31 내지 D34)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위치 다이오드(D31 내지 D34)의 애노드에 일정 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스위치 다이오드(D31 내지 D34)가 온되어 전류 통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광대역 증폭기(203)는 트랜지스터(Tr31)과,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 R34, R35, R36과 출력 단자에서 출력하는 교류전압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커패시터 C33, C34를 포함하고 있으며(여기에서 바이어스 저항 R34, R35, R36과 바이패스 커패시터 C33, C34를 바이어스 회로라고 칭한다), 출력단에서 트랜지스터 Tr31의 베이스단에 피드백 전압을 제공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피드백 저항 R33 그리고 커패시터 C32와 인덕터 L32를 포함하고 있으며(여기에서 피드백 저항 R33, 커패시터 C32, 인덕터 L32를 피드백 회로로 칭한다), 고정전원공급단(+B)과 트랜지스터 Tr31의 컬렉터단자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인덕터 L31과, 인덕터L31에 병렬로 연결되어 교류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커패시터 C37, 스위치 드라이브(206)와 트랜지스터 Tr31의 베이스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 R32, 트랜지스터 Tr31과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직류 잡음을 제거하는 바이패스 커패시터 C38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광대역 증폭기(203)는 스위치 다이오드 D31과 D32가 온되어 전류 통로가 형성되면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위치 드라이브(206)는 스위치 회로(204-c, 204-d)를 구성하는 스위치 다이오드(D33, D34)의 애노드 단자와 전원공급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치 다이오드(D33, D34)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 R38, R39와, 제어 단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디커플링 저항 R41과, 디커플링 저항 R41과 전원공급단자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바이패스 커패시터 C36, 디커플링 저항 R41에 스위치 다이오드 D32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이어스 저항 R4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 드라이브(206)에 있어서 제어단자에서 무선 신호가 약전계 신호임을 알려주는 하이레벨 신호가 시리얼 통신 버스(일예로 I2C 버스)를 통하여 입력되면 디커플링 저항 R41을 통하여 로 레벨 신호가 유도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바이어스 저항 R32와 다이오드 D32의 접속점에 하이레벨 신호가 인가되며 그에 따라 스위치 다이오드 D31과 D32가 온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처럼 스위치 다이오드 D31과 D32가 온되면 이와 반대로 스위치 다이오드 D33과 D34는 오프된다.
그러면, 광대역 증폭기(203)는 스위치 다이오드 D31과 D32가 온되어 형성된 전류 통로에 따라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트랜지스터 Tr11(또는 Tr31) 또는 Tr21의 공급 전원을 고정 전원(+B)으로부터 공급하게 되어 광대역 증폭기의 트랜지스터의 컬럭터 단자 전압과 이미터 단자 전압을 개선하기 때문에 교차 변조(cross modulation)와 혼변조(inter modulation)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광대역 증폭기의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가 35mA인 경우에 컬렉터와 이미터 단자 사이의 전압은 3V이하가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광대역 증폭기의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에 흐르는 전류가 35mA일때 컬렉터와 이미터 단자 사이의 전압이 4V이상이 되어 교차 변조나 혼변조 등의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잡음 증폭기의 제어와 입력 선택 스위치의 제어를 시리얼 버스(일예로 I2C 버스)를 통하여 제어하도록 하여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와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의 선국에 대응하여 저전압 증폭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왜곡의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구성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기본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한 단일 변환 방식으로 구현된 튜너의 구조를 보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5 : 고역통과필터 12 :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
13 : 광대역 증폭기 14 : 경로 선택 스위치 회로
16 : 스위치 드라이브 101 : 저잡음 증폭기
102, 103, 104 : 필터부 105, 106, 107 : 증폭부
108, 109, 110 : 튜너부 111, 112, 113 : 혼합부
114, 115, 116 : 국부 발진부 117 : 위상 동기 루프
118 : 중간 주파수 증폭부 120 : 제어 블럭
201 : 입력부 203 : 광대역 증폭기
204-a 내지 204-d : 스위치 회로 206 : 스위치 드라이브
207 : 출력부

Claims (15)

  1. 삭제
  2. 제1 고정전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광대역 증폭기;
    상기 광대역 증폭기에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통과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스위치 회로;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 회로;
    약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고, 강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치 드라이브;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에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1 고역 통과 필터;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에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2 고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1 고역통과 필터와 제2 고역 통과 필터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스위치회로와 제2 스위치 회로로 통과시키는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채널 선국에 따라 상기 입력 선택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제1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한 무선신호와 제2 고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무선신호에서 입력 무선신호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는 입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 다이오드와 출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는 입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출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4 스위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증폭기는,
    제1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제어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지스 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출력단에서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피드백 전압을 제공하는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잡음 증폭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베이스 단자가 제어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지스터;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제1 바이어스 저항과 제2 고정전원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바이어스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상기 제어 단자에 무선 신호가 약전계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온시켜 상기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를 오프시킴으로 무선 신호가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전원단자와 제2 고정전원단자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2 고정전원전압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3 바이어스 저항;
    제어 단자와 연결되는 디커플링 저항;
    상기 제1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디커플링 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4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디커플링 저항과 상기 제2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5 바이어스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상기 제어 단자에 무선 신호가 약전계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4 바이어스 저항이 제1 스위치 다이오드를 온시키고, 상기 제5 바이어스 저항이 제2 스위치 다이오드를 온시키도록 제어하여 무선 신호가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전원단자와 제2 고정전원단자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9. 제1 고정전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광대역 증폭기;
    상기 광대역 증폭기에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통과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스위치 회로;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 회로; 및
    약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고, 강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치 드라이브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약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와 강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시리얼 통신 버스를 통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10. 제1 고정전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광대역 증폭기;
    상기 광대역 증폭기에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통과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스위치 회로;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입력되는 무선신호가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 회로; 및
    약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고, 강전계 무선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우회하도록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치 드라이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는 입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 다이오드와 출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는 입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출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4 스위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증폭기는,
    제1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제어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출력단에서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피드백 전압을 제공하는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잡음 증폭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베이스 단자가 제어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지스터;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제1 바이어스 저항과 제2 고정전원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바이어스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상기 제어 단자에 무선 신호가 약전계 신호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온시켜 상기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를 오프시킴으로 무선 신호가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전원단자와 제2 고정전원단자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제3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4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제2 고정전원전압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3 바이어스 저항;
    제어 단자와 연결되는 디커플링 저항;
    상기 제1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디커플링 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4 바이어스 저항; 및
    상기 디커플링 저항과 상기 제2 스위치 다이오드의 애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5 바이어스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드라이브는 상기 제어 단자에 무선 신호가 약전계임을 알려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4 바이어스 저항이 제1 스위치 다이오드를 온시키고, 상기 제5 바이어스 저항이 제2 스위치 다이오드를 온시키도록 제어하여 무선 신호가 상기 광대역 증폭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전원단자와 제2 고정전원단자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잡음 증폭기.
KR1020090050477A 2009-06-08 2009-06-08 저잡음 증폭기 KR10106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477A KR101067112B1 (ko) 2009-06-08 2009-06-08 저잡음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477A KR101067112B1 (ko) 2009-06-08 2009-06-08 저잡음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738A KR20100131738A (ko) 2010-12-16
KR101067112B1 true KR101067112B1 (ko) 2011-09-22

Family

ID=4350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477A KR101067112B1 (ko) 2009-06-08 2009-06-08 저잡음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699A1 (ko) * 2019-11-01 202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559A (ja) 1998-07-03 2000-01-21 Nec Corp 送信出力制御回路
KR20000060423A (ko) * 1999-03-15 2000-10-16 구관영 전송선로와 스위칭 회로를 갖는 저잡음 증폭기
JP2001007653A (ja) 1999-06-18 2001-01-12 Fujitsu General Ltd 高周波電力増幅回路
KR100808244B1 (ko) 2006-12-15 2008-03-03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모드에 따른 입력 임피던스 매칭을 이용하는 무선식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559A (ja) 1998-07-03 2000-01-21 Nec Corp 送信出力制御回路
KR20000060423A (ko) * 1999-03-15 2000-10-16 구관영 전송선로와 스위칭 회로를 갖는 저잡음 증폭기
JP2001007653A (ja) 1999-06-18 2001-01-12 Fujitsu General Ltd 高周波電力増幅回路
KR100808244B1 (ko) 2006-12-15 2008-03-03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모드에 따른 입력 임피던스 매칭을 이용하는 무선식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699A1 (ko) * 2019-11-01 202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38431A (ko) * 2019-11-01 2022-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4054178A4 (en) * 2019-11-01 2023-08-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608559B1 (ko) * 2019-11-01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738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8598A (en) Uhf tuning circuit utilizing a varactor diode
KR101624630B1 (ko) 출력 당 독립적인 이득 제어를 갖는 단일-입력 다중-출력 증폭기들
US7728668B2 (en) Variable-gain amplification circuit, receiver and receiver IC
US8149049B2 (en) Low noise receiving apparatus
WO2007125895A1 (ja) 増幅回路
US7539470B2 (en) Tracking filter for selecting channel of wideband frequency
JP2012034191A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チューナシステム
US6795128B2 (en) Television tuner capable of receiving FM broadcast
US20060111067A1 (en) Tuner circuit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with the same
JP2007538450A (ja) 3帯域tv−rf入力回路
US7991370B2 (en) Amplifier circuit and receiving device
KR101067112B1 (ko) 저잡음 증폭기
JP2013070339A (ja) 低雑音コンバータ
CN101378248A (zh) 低噪声放大器以及包括该低噪声放大器的调谐器
US6876401B2 (en) FM-broadcast-receivable television tuner for preventing adjacent-channel interference
US20160156323A1 (en) Variable gain circuit and tuner system provided with same
CN107612515B (zh) 电视调谐器芯片的放大器及其方法
JP2009016899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US7030937B2 (en) Simplified TV tuner intermediate frequency circuit
JP2009206554A (ja) Am放送受信回路
JP2004297277A (ja) 高周波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信機、受信機ならびに送受信機
US20090021650A1 (en) Common receiver for terrestrial TV and CATV
JPH11220362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ナ
KR20130063953A (ko) 튜너 모듈
KR100633481B1 (ko) 아이엠디 특성 개선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