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512B1 - 투명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512B1
KR102287512B1 KR1020200016544A KR20200016544A KR102287512B1 KR 102287512 B1 KR102287512 B1 KR 102287512B1 KR 1020200016544 A KR1020200016544 A KR 1020200016544A KR 20200016544 A KR20200016544 A KR 20200016544A KR 102287512 B1 KR102287512 B1 KR 10228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nel
image region
displa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이방원
함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상 영역과 광이 투과되는 제1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패널, 및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상 영역과 광이 투과되는 제2 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제1 패널의 배면 또는 상면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2 패널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이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제2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의 중첩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영상을 표시하는 해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해상도의 영상과 투명 영상 표시가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명 영상 표시 장치 {Transparent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투명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여, 투명도와 해상도를 가변할 수 있는 투명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Transparent display device)는 광 투과도를 갖는 패널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투명하게 보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고판, 공공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패널의 화소 영역 일부가 ?돈좇羚杵? 한다.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화면 크기 및 동일한 화소 사이즈를 갖는 일반 패널에 비해 해상도(Resolution)가 낮다.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는 FHD(Full HD)가 최고 해상도인 수준이다. 따라서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상도 문제로 인하여 TV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특성 때문에 광 반사율이 높고 명암비(CR, Contrast Ratio)가 낮아 시인성이 떨어진다. TV에 사용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반사율이 약 1~2% 수준인 반면, 종래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반사율은 약 15%로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광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어두운 환경에서는 시인성이 좋은 반면, 밝은 환경에서는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불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해상도와 명암비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형의 블랙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검은 화면만 나타나므로, 미관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투명하도록 설정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상 영역과 광이 투과되는 제1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패널, 및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상 영역과 광이 투과되는 제2 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제1 패널의 배면 또는 상면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2 패널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이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제2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의 중첩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영상을 표시하는 해상도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이 일치되도록 중첩되는 경우의 제1 해상도 또는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경우의 제2 해상도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며, 제2 해상도의 가로 해상도 또는 세로 해상도는 제1 해상도의 가로 해상도 또는 세로 해상도의 2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은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제1 투과 영역과 제2 투과 영역은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투과부를 포함하며, 제1 패널은 제1 영상 영역과 제1 투과 영역이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제2 패널은 제2 영상 영역과 제2 투과 영역이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제1 투과 영역과 제2 투과 영역은 복수의 투과부를 포함하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픽셀과 투과부가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판 및 하판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의 광 투과도가 변경되도록 구동 회로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의 중첩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 OFF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원이 OFF 되기 이전에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이 일치되어 중첩되도록 구동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어부는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이 일치되도록 중첩되는 경우, 제2 영상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FF 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어부는 제1 영상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영상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홀수 번째 픽셀 또는 짝수 번째 픽셀만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제1 영상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홀수 번째 픽셀과 짝수 번째 픽셀이 영상 프레임 별로 교번하여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유기 발광 패널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투명하도록 설정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의 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패널의 픽셀 배열 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수의 패널의 위치 변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수의 패널의 위치 변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복수의 패널의 위치 변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투명도 가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복수의 패널의 픽셀 동작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투명 모드의 픽셀 동작 제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영상 표시 장치의 오프 동작시 패널의 위치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픽셀 발광 방향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패널(210, 2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80) 및 구동회로(180m)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1 패널(210) 및 제1 패널(210)의 배면 또는 상면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2 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180m)는, 제2 패널(2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1 패널(210)의 제1 영상 영역과 제2 패널(220)의 제2 영상 영역이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제2 패널(2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하는 제어부(170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변경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영역과 제2 영상 영역의 중첩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종류의 패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80)가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은, 액정표시패널 보다 패널 응답 속도가 빠르며, 색재현 효과가 뛰어나며, 색재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모니터,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5),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조도 센서(197)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신호 처리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 수신부(105)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170)는,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 표시 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197)는 영상 표시 장치(100) 주변의 광량을 측정한다. 조도 센서(197)에서 측정된 광량 정보를 신호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조도 센서(197)에서 측정된 광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 표시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7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7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7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7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생성부(340),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제1 패널(210), 제2 패널(220), 제1 인터페이스부(230), 제2 인터페이스부(231),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메모리(240), 프로세서(270), 전원 공급부(290), 전류 검출부(5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는, 신호 처리부(170)로부터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전원 공급부(290),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부(236)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구동 신호(Sda)는,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이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W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어 신호(Cs)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 신호(Sda)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에 기초하여,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510)는,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서브 픽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되는 전류는, 누적 전류 연산을 위해, 프로세서(270) 등에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510)로부터,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서브 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서브 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각 서브 픽셀의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되는 누적 전류는,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각 서브 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 이상인 경우, 번인(burn in)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각 서브 픽셀의 누적 전류가, 300000A 이상인 경우, 번인된 서브 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각 서브 픽셀 중 일부 서브 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에 근접하는 경우, 해당 서브 픽셀을, 번인이 예측되는 서브 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51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가장 누적 전류가 큰 서브 픽셀을, 번인 예측 서브 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의 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픽셀(Pix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와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 G1, B1, W1 ~ Rm, Gm, Bm, 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서브 픽셀(sub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 픽셀(SR1, SG1, SB1, S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하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b는, 도 5a의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 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 픽셀(sub pixel) 회로(CRTm)는, 능동형으로서, 스캔 스위칭 소자(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스위칭 소자(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캔 스위칭 소자(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d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HBL)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 픽셀(sub pixel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 적색, 청색 서브 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 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 적색, 청색 서브 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 적색, 청색 컬러 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 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 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서브 픽셀은 유기발광층에서 적색 광을 발광하는 R 서브 픽셀, 유기발광층에서 녹색 광을 발광하는 G 서브 픽셀 및 유기 발광층에서 청색 광을 발광하는 B 서브 픽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컬러 필터가 구비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캔 스위칭 소자(SW1)와 구동 스위칭 소자(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픽셀(Pixel)은, 단위 표시 기간 동안, 구체적으로 단위 프레임 영상 동안, 스캔 신호가 인가된 이후, 유기발광층(OLED)에서 계속 발광하는 홀드 타입의 소자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패널의 픽셀 배열 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180)는 복수개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은 동일한 종류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동일한 픽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이 유기발광패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패널(210)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광이 투과되는 제1 투과 영역(2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210)은 제1 패널(220)의 배면 또는 상면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220)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상 영역(2210)과 광이 투과되는 제2 투과 영역(2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널(220)은 제1 패널(210)의 배면 또는 상면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픽셀(2110a, 2110b, 2110c, 2210a, 2210b, 2210c)을 포함하고, 제1 투과 영역(2120)과 제2 투과 영역(2220)은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투과부(2120a, 2120b, 2120c, 2220a, 2220b, 22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210)은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1 투과 영역(2120)이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제2 패널(210)은 제2 영상 영역(2210)과 제2 투과 영역(2220)이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픽셀(2110a, 2110b, 2110c, 2210a, 2210b, 2210c)을 포함하고, 제1 투과 영역(2120)과 제2 투과 영역(2220)은 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투과부(2120a, 2120b, 2120c, 2220a, 2220b, 22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210)은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1 투과 영역(2120)이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제2 패널(210)은 제2 영상 영역(2210)과 제2 투과 영역(2220)이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c)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복수의 픽셀(2110a, 2110b, 2110c, 2210a, 2210b, 2210c)을 포함하고, 제1 투과 영역(2120)과 제2 투과 영역(2220)은 복수의 투과부(2120a, 2120b, 2120c, 2220a, 2220b, 2220c)를 포함하며,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은 픽셀과 투과부가 격자 형태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도 6의 (a), (b), (c)에서, 복수의 투과부(2120a, 2120b, 2120c, 2220a, 2220b, 2220c)는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을 구성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여 광이 투과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 및 하판은 유리(glas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은 사용자의 눈에 투명하게 인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수의 패널의 위치 변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은 서로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제1 패널(210)이 제2 패널(220)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각각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2N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N 개의 라인(A1, A2, ??, AN, B1, B2, ?? BN)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영역(2110, 2210)의 N 개의 라인(A1, A2, ??, AN, B1, B2, ?? BN)은 투과 영역(2120, 2220)의 N 개의 라인과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서로 위치가 일치하도록 앞뒤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제1 영상 영역(2110)에 가려져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는다.
제1 투과 영역(2120)과 제2 투과 영역(2220)은 위치가 일치하여 겹쳐진 투과 영역을 통해 광이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는 제1 영상 영역(2110)만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80)는 2N * N의 제1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구동 회로(180m)는 제2 패널(22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 패널(2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180m)는 제2 패널(220)을 y축 방향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제2 패널(22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선택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구동 회로(180m)는 제1 패널(2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1 패널(2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이 이동하여,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제1 투과 영역(2120)과 위치가 일치하도록 앞뒤로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가려지는 부분 없이 모두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에서 보여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 모두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2N * 2N의 제2 해상도를 가질 수 있고,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의 제1 해상도와 비교하여 세로 해상도가 2배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수의 패널의 위치 변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각각 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2N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N 개의 라인(A1, A2, ??, AN, B1, B2, ?? BN)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영역(2110, 2210)의 N 개의 라인(A1, A2, ??, AN, B1, B2, ?? BN)은 투과 영역(2120, 2220)의 N 개의 라인과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서로 위치가 일치하도록 앞뒤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제1 영상 영역(2110)에 가려져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는다.
제1 투과 영역(2120)과 제2 투과 영역(2220)은 위치가 일치하여 겹쳐진 투과 영역을 통해 광이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는 제1 영상 영역(2110)만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80)는 N * 2N의 제1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구동 회로(180m)는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을 x축 방향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선택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이 이동하여,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제1 투과 영역(2120)과 위치가 일치하도록 앞뒤로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가려지는 부분 없이 모두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에서 보여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 모두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2N * 2N의 제2 해상도를 가질 수 있고,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의 제1 해상도와 비교하여 가로 해상도가 2배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복수의 패널의 위치 변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 및 제2 영상 영역(2210)의 복수의 픽셀과 제1 투과 영역(2120) 및 제2 투과 영역(2220)의 복수의 투과부는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픽셀의 개수는 각각 N * 2N이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서로 위치가 일치하도록 앞뒤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투과 영역(2120)과 제2 투과 영역(2220)의 위치가 일치하여 겹쳐진 투과 영역을 통해 광이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는 제1 영상 영역(2110)만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80)는 N * 2N 또는 2N * N의 제1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구동 회로(180m)는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을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은 선택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이 이동하여,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제1 투과 영역(2120)과 위치가 일치하도록 앞뒤로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가려지는 부분 없이 모두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에서 보여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80)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 모두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2N * 2N의 제2 해상도를 가질 수 있고,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의 제1 해상도와 비교하여 가로 해상도 또는 세로 해상도가 2배가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투명도 가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70m)는,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변경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중첩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광 투과도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특정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광 투과도 설정 신호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광 투과도 설정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입력된 광 투과도 설정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변경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조도 센서(1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197)는 영상 표시 장치(100) 주변의 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측정된 광량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변경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m)는, 측정된 광량이 클수록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측정된 광량이 작을수록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180)의 광 투과도가 작을 수록, 디스플레이(180)는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180)의 반사율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의 반사율이 작아질 수록, 디스플레이(180)의 명암비(CR)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m)는 측정된 주변 광량이 클수록 디스플레이(180)의 광투과도가 작아지도록 하여, 디스플레이(180)의 명암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m)는, 조도 센서(197)에서 측정된 광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밝기와 광 투과도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m)는, 측정된 광량이 클수록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180)의 밝기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광량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80)의 명암비 또는 화질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 영역(2115)은 제1 투과 영역(2120) 또는 제2 투과 영역(2220)과 그 면적이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최대가 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부 중첩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의 일부가 제1 투과 영역(2120)을 가릴 수 있고,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는 최대값 보다 작아지게 된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영역(2210)이 제1 투과 영역(2120)과 더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영상 영역(2210)이 제1 투과 영역(2120)과 중첩되는 영역이 커질수록,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는 작아지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중첩되지 않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은 제1 투과 영역(2120) 전체를 가릴 수 있고,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는 최소값이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복수의 패널의 픽셀 동작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중첩 여부 또는 중첩되는 정도에 따라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픽셀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치되도록 중첩되는 경우, 제어부(170m)는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FF 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영상 영역(2210)은 제1 영상 영역(2110)에 의해 모두 가려지므로, 제어부(170m)는 제2 영상 영역(2210)의 모든 픽셀을 OFF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부 중첩되는 경우, 제어부(170m)는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FF 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영상 영역(2210)의 일부가 제1 투과 영역(2120)을 통해 보여지는 경우, 보여지는 픽셀들은 일부가 가려진 상태이다. 따라서 해당 픽셀들이 켜지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제2 영상 영역(2210)의 모든 픽셀을 OFF 하여 영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중첩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70m)는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N 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모든 픽셀이 동작하여 영상을 표시하므로,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중첩되는 않는 경우, 제어부(170m)는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FF 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 영역(2210)에 의해 제1 투과 영역(2120)은 모두 가려진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는 최소값이 되고, 디스플레이(180)는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제1 해상도의 영상을 높은 명암비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투명 모드의 픽셀 동작 제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치되도록 중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투명하게 보일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픽셀의 발광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홀수 번째 픽셀 또는 짝수 번째 픽셀만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홀수 번째 픽셀과 짝수 번째 픽셀이 영상 프레임(frame) 별로 교번하여 발광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발광하고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FF 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고, 일렬로 배치된 2N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N 개의 라인 모두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2N * N의 제1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1 해상도로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2N * 2N의 제2 해상도인 경우, 제어부(170m)는 입력되는 제2 해상도에서 홀수 번째 가로 라인들을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제2 해상도에서 짝수 번째 가로 라인들을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홀수 번째 픽셀 또는 짝수 번째 픽셀만 발광하고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FF 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고, 일렬로 배치된 2N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N 개의 라인에서 홀수 번째 픽셀 또는 짝수 번째 픽셀만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N * N의 제3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3 해상도로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2N * 2N의 제2 해상도인 경우, 제어부(170m)는 입력되는 제2 해상도에서 홀수 번째 가로 라인들을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제2 해상도에서 짝수 번째 가로 라인들을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픽셀 중 절반만 영상을 표시하므로,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나머지 픽셀들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명암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투명한 상태에서도 명암비를 높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격자 형태로 발광하고,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FF 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고 일렬로 배치된 2N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N 개의 라인에서, 홀수 번째 라인은 홀수 번째 픽셀이 발광하고 짝수 번째 라인은 짝수 번째 픽셀이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홀수 번째 라인은 짝수 번째 픽셀이 발광하고 짝수 번째 라인은 홀수 번째 픽셀이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N * N의 제3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3 해상도로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2N * 2N의 제2 해상도인 경우, 제어부(170m)는 입력되는 제2 해상도에서 홀수 번째 가로 라인들을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제2 해상도에서 짝수 번째 가로 라인들을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픽셀 중 절반만 영상을 표시하므로,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나머지 픽셀들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명암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발광하는 픽셀들의 위치가 제1 영상 영역(2110) 내에서 고르게 분포하므로, 디스플레이(180)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가 투명한 상태에서도 명암비를 높이고, 화질이 향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홀수 번째 픽셀과 짝수 번째 픽셀이 영상 프레임 별로 교번하여 발광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고, 일렬로 배치된 2N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N 개의 라인에서 홀수 번째 픽셀이 홀수 번째 프레임에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짝수 번째 픽셀이 짝수 번째 프레임에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격자 형태로 발광하며, 영상 프레임 별로 교번하여 발광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에 포함되고 일렬로 배치된 2N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N 개의 라인에서, 홀수 번째 라인은 홀수 번째 프레임에서 홀수 번째 픽셀이 발광하고 짝수 번째 프레임에서 짝수 번째 픽셀이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짝수 번째 라인은 홀수 번째 프레임에서 짝수 번째 픽셀이 발광하고 짝수 번째 프레임에서 홀수 번째 픽셀이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하는 픽셀들의 위치가 제1 영상 영역(2110) 내에서 고르게 분포하므로, 디스플레이(180)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영상 표시 장치의 오프 동작시 패널의 위치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70m)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전원 OFF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원이 OFF 되기 이전에,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치되어 중첩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특정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전원 OFF 신호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OFF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 OFF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가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중첩되지 않는 상태 또는 일부 중첩된 상태로 영상을 표시하고 경우, 제어부(170m)는 전원 OFF 신호에 따라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치되어 중첩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의 위치를 변경하기 전에, 제어부(170m)는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모든 픽셀을 OFF 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m)는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의 위치를 변경하여,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치되어 중첩된 이후에,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모든 픽셀을 OFF 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가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치되어 중첩된 상태로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0m)는 제1 패널(210) 또는 제2 패널(220)을 이동시키지 않고,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의 모든 픽셀을 OFF 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m)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전원 OFF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치되어 중첩되도록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하기 이전에, 전원 OFF 입력에 따라 화면이 투명 상태로 전환된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디스플레이(180)와 구동 회로(180m)를 제어하여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이 일치되어 중첩된 상태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동작이 OFF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m)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180)의 광 투과도가 최대가 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OFF 신호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180)의 상태는 사용자 설정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 사항은 투명 상태로 전환, 불투명 상태로 전환 또는 영상을 표시하던 상태 그대로 유지 등과 같은 설정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70m)는 사용자 설정 사항에 따라 전원 OFF 신호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18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픽셀 발광 방향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영상 영역(2110)과 제2 영상 영역(2210)에 포함되는 픽셀은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 픽셀은 전면 발광(Top Emission) 방식 또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발광할 수 있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서브 픽셀은 배면 발광 방식으로 발광할 수 있다. 서브 픽셀은 상판(510), 하판(560), 제1 전극(540a, Anode), 제2 전극(520a, Cathode), 스위칭부(550) 및 발광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550)는 하판(56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부(550)는 스캔 스위칭 소자(SW1), 저장 커패시터(Cst) 및 구동 스위칭 소자(SW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550)의 동작에 의해 발광층(530)이 발광하게 된다.
상판(510)과 하판(560)은 발광층(5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위치하며, 내부에 제1 전극(540a, Anode), 제2 전극(520a, Cathode), 스위칭부(550) 및 발광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판(510)과 하판(560)은 모두 유리(glas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510)과 하판(560)을 포함하는 투과 영역에서 광이 패널(210, 220)을 투과할 수 있다.
발광층(530)은,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백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층(530)은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RGBW 또는 RGB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HBL)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 픽셀은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은 RGBW 또는 RGB에 대응하도록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광층(530)은 적색 광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층,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층 및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540a)과 제2 전극(520a)에 전압이 인가되면, 양 전하와 음 전하는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530)로 이동하며, 발광층(530)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제1 전극(540a)은 발광층(530)에 양 전하(정공)를 인가할 수 있다. 제1 전극(540a)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540a)은 산화 인듐 주석(ITO, Indium tin-oxide) 또는 산화 인듐 아연(IZO, Indium zinc-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540a)은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520a)은 발광층(530)에 음 전하(전자)를 인가할 수 있다. 제2 전극(520a)은 광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520a)은 알루미늄(Al)이나 은(Ag)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층(530)에서 발생한 광은 제2 전극(520a)에서 반사되고, 하판(560)의 방향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 경우,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은 하판(560)이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서브 픽셀은 측면에 형성되는 격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서브 픽셀의 격벽에 의해 영상 영역(2110, 2210)과 투과 영역(2120, 2220)이 분리될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서브 픽셀은 전면 발광 방식으로 발광할 수 있다. 서브 픽셀은 상판(510), 하판(560), 제1 전극(540b, Anode), 제2 전극(520b, Cathode), 스위칭부(550) 및 발광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510), 하판(560), 스위칭부(550) 및 발광층(530)은 앞선 도 15의 (a)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전극(540b)은 광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540b)은 알루미늄(Al)이나 은(Ag)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극(520b)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540a)은 ITO 또는 IZO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전극(520b)은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층(530)에서 발생한 광은 제1 전극(540b)에서 반사되고, 상판(510)의 방향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 경우,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은 상판(510)이 디스플레이(18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70m)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신호처리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70m)는 신호처리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상 영역과 광이 투과되는 제1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패널, 및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상 영역과 광이 투과되는 제2 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의 배면 또는 상면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이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2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의 중첩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가 영상을 표시하는 해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이 일치되도록 중첩되는 경우의 제1 해상도 또는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경우의 제2 해상도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며,
    상기 제2 해상도의 가로 해상도 또는 세로 해상도는 상기 제1 해상도의 가로 해상도 또는 세로 해상도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은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과 영역과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1 투과 영역이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2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투과 영역이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과 영역과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복수의 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픽셀과 상기 투과부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은 유리(glas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광 투과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구동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의 중첩 정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 OFF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원이 OFF 되기 이전에,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이 일치되어 중첩되도록 상기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이 일치되도록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 중 배면에 위치하는 영상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OFF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 중 상면에 위치하는 영상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이 모두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 중 상면에 위치하는 영상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홀수 번째 픽셀 또는 짝수 번째 픽셀만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영상 영역과 상기 제2 영상 영역 중 상면에 위치하는 영상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 중 홀수 번째 픽셀과 짝수 번째 픽셀이 영상 프레임 별로 교번하여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유기 발광 패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200016544A 2020-02-11 2020-02-11 투명 영상 표시 장치 KR10228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44A KR102287512B1 (ko) 2020-02-11 2020-02-11 투명 영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44A KR102287512B1 (ko) 2020-02-11 2020-02-11 투명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512B1 true KR102287512B1 (ko) 2021-08-06

Family

ID=7731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544A KR102287512B1 (ko) 2020-02-11 2020-02-11 투명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5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420A (ko) *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89113A (ko) * 2016-01-26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0006A (ko) * 2018-06-21 2020-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420A (ko) *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89113A (ko) * 2016-01-26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0006A (ko) * 2018-06-21 2020-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442B1 (ko) 영상표시장치
US20080042938A1 (en) Driving method for el displays with improved uniformity
CN111798777B (zh) 信号处理设备和包括信号处理设备的图像显示装置
JP5346520B2 (ja) 画像表示装置
US1117687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468823B2 (en) Video wall including multiple displays with reduced afterimage
JP2013104912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20120112015A (ko) 표시 유닛 및 표시 방법
US1153228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361445B1 (ko) 표시장치, 그 표시패널 및 그 타이밍 컨트롤러
KR20210026293A (ko) 영상표시장치
KR102287512B1 (ko) 투명 영상 표시 장치
CN109147699B (zh) 一种双层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39090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03620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8624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13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200081174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335255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4001370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661825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57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881149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5874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240003966A (ko)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