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28796A2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28796A2
WO2010128796A2 PCT/KR2010/002848 KR2010002848W WO2010128796A2 WO 2010128796 A2 WO2010128796 A2 WO 2010128796A2 KR 2010002848 W KR2010002848 W KR 2010002848W WO 2010128796 A2 WO2010128796 A2 WO 201012879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sensor
portable terminal
sensor
user
measur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28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28796A3 (ko
Inventor
김형일
박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19,060 priority Critical patent/US8768325B2/en
Publication of WO201012879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28796A2/ko
Publication of WO201012879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28796A3/ko
Priority to US14/320,310 priority patent/US9071699B2/en
Priority to US14/731,041 priority patent/US9521242B2/en
Priority to US15/360,974 priority patent/US10038776B2/en
Priority to US16/037,918 priority patent/US10425524B2/en
Priority to US16/562,126 priority patent/US108630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 user to automatically receive and originate a call by recognizing a user's posture in a portable terminal.
  • a user has to press a button on the portable terminal or directly touch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make or receive a call.
  • a portable terminal with a touch function may not be provided with a physical button, the user must see the displayed screen in order to perform an accurate touch oper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eiving and originating a call by recognizing a user posture in a portable termina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and originating a call by detecting an operation of bringing a user to the ear of a portable terminal.
  •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call reception event occurs and when the call reception event occurs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call reception event occurs and when the call reception event occurs, And a process of detecting a motion of the user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by using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and a process of connecting a call when the motion is detected.
  •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caller number is input and if the caller number is input posture detection And a process of detecting a motion of the user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by using a sensor, and a process of sending a call to the calling number when the motion is detected.
  • a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 call using the user's posture recognition to check whether a posture detection sensor and a call reception event occurs the call reception
  • a user detects an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by using a posture detection sensor, and if the operation is detected, a control unit for connecting a call.
  • a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for making a call using a posture recognition of a user it is checked whether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and the calling number are input, and the calling number If is input, using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user to take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and if the operation is dete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sending a call to the call number.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call origination using a posture senso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call using a posture detection senso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sensor in the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user takes the operation to take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4C is a graph showing measured values of an acceleration sensor when a user takes an operation of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 4D is a graph showing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when the user takes the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measurement values and analysis examples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when a user takes an operation of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into an 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cting a user's motion of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by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seudo code for detecting a motion of a user carrying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seudo code for detecting a motion in which a user takes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osture detection sensor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 sensor, or the like to recognize a movement of the user to take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or recognize the stopped state after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and automatically Make or receive calls.
  • a posture detection sensor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 sensor, or the like to recognize a movement of the user to take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or recognize the stopped state after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and automatically Make or receive calls.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odem 110, a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a controller 125, a storage unit 130, a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an input unit 150, and an output unit 1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modem 110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terminals, and includes a radio processor and a baseband processor.
  • the wireless processor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to provide to the baseband processor, and convert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baseband processor into a radio signal to transmit the baseband signal on an actual wireless path. Send via
  • the controller 12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and the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are controlled.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a proxim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nd the like, and outputs a motion measurement value when a movement occurs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touch screen or a keypad and provide a user input to the controller 125.
  • the outpu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a vibration motor or a liquid crystal screen, and provides the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form of sound, vibration, screen display.
  • the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loads the input telephone number into a memory when an outgoing telephone numb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Subsequently, the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analyzes output data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when the user moves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when data is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 the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indicates that the user outputs a result of analyzing the output data of the posture detecting sensor 140 to a user's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for a call origination or to a state where the user stops by taking the ear. To send.
  • the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outputs data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bu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utput data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brings the user into the ear or the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for call origination. If it detects that the user presses the send button without indicating a stopped state, the call is sent to the entered telephone number.
  • the call reception event occurs in the portable terminal (where the call reception event is an event for notifying a call reception, such as a bell, vibration, or lamp flashing, and a screen display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the call reception event). In this case, it is checked whether data is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 the call reception event is an event for notifying a call reception, such as a bell, vibration, or lamp flashing, and a screen display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the call reception event.
  • the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connects a call when a result of analyzing the output data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140 indicates that the user tak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for reception of the call or stops by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posture recognizer 120 although the user has moved the portable terminal, the output data analysis result of the posture sensor 140 does not indicate the operation of the user to take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or the state brought to the ear to receive a call If you press the button on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 the call.
  • the controller 125 may perform a function of the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o configure them separately to explain each function separately.
  • all of the functions of the postur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25, and only some of the functions may be configured to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25. .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25 will be described below.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call origination using a posture senso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210 when a telephone number to be sent from a user is input (step 210), the controller loads the input telephone number into a memory (step 220).
  • the controller detects the data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step 230), that is, whe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the controller analyzes the output data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step 235).
  •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call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260 steps).
  • the controller If the controller does not detect the data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step 230), but detects that the transmit button is pressed (step 250),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call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step 260).
  • the controller detects the data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step 230), the output data analysis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step 235) results in the user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for call origination or If it is detected that the send button is pressed (step 250) without taking it to the ear (step 240), the call is sent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step 260).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call using a posture detection senso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all reception event occurs in the portable terminal (step 310) (where the call reception event is an event for notifying a call reception such as a bell, vibration, screen output, or lamp flashing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call reception event is an event for notifying a call reception such as a bell, vibration, screen output, or lamp flashing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detects the data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step 320), that is, whe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analyzes the output data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step 330).
  • step 330 whe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utput data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step 330) indicates that the user tak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for receiving a call or the state where the user stops it by taking the ear (step 340), the controller connects the call (step 340). 360 steps).
  • control unit does not detect the data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step 320), but detects that the transmission button is pressed (step 350), it connects the call (step 360).
  • control unit detects the data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step 320)
  • the output data analysis result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stops moving or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for the call origination. If it is detected that the transmission button is pressed (step 350) without indicating the status (step 340), the call is connected (step 360).
  •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among the posture detection sensor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Figure 4a is the direction of the sensor in the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state when the user takes the operation to carry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Figure 4c) shows the user to take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FIG. 4D) is a diagram showing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when the user takes the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value of the x-axis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 the value of the y-axis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in the east-west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value of the z-axis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 FIG. 4B it shows a state when the user takes an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directly placed.
  • the upper arm from the shoulder to the elbow is in a state of maintaining a certain angle.
  • the upper arm, which is the part of the user's elbow to the hand, is rotated over the shoulder to show the portable terminal held in the hand to the ear.
  • FIG. 4C a measurement value of an acceleration sensor when a user takes an operation of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is illustrated, in which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gravity acceleration G.
  • the section in which the values of the x, y, and z ax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are changed is when the user takes the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change in the values of the x, y, and z axes is reduced is the user. Shows the handheld terminal after taking it to your ear and stopping.
  • the average change rat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brought to the ear is shown, and the average change rate of the measured value with respect to the x, y, and z ax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changed.
  • the visible section is when the user tak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and the change in the x, y, and z axes after the change in convergence to zero represents the period after the user has stopped the portable terminal by bringing it to the ear.
  •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fluctuates because the portable terminal moves while the user tak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However,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after the user tak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measurement values and analysis examples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when a user takes an operation of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into an e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graph is obtained by displaying data every 20 ms from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when a user takes an operation of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gravity acceleration value in the acceleration sensor
  • the illuminance value in the illuminance sensor is obtained by displaying data every 20 ms from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when a user takes an operation of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 Bars vertically bold in the graph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stopped after the user tak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illuminance sensor When the user tak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the illuminance sensor is covered by the user's ear or face side, at which time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is kept low.
  • the measured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or fluctu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on the x, y and z axes.
  • the acceleration sensor's measured values on the x, y, and z axes and the illuminance sensor are stable within a certain range. If these values are measure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brought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brought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even with a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cting a user's motion of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610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 call reception or call origination event (step 610),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 call reception event such as a reception ringing or reception vibration, or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 call reception event.
  • a call reception event such as a reception ringing or reception vibration
  • the control unit detects a call reception event When detecting that the number to be dialed is pressed,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 control unit measures the acceleration values X (t), Y (t) and Z (t)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measurement values L (t) of the illuminance sensor in order to measure whether the user stops by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Is stored in the queue (step 620). The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measured value L (t) of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previous illuminance sensor measured value L (t-1) is calculated (step 630).
  • the illuminance value (L (t))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500), and the illuminance value (L (t))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previous illuminance value (L (t-1) I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50) (step 640),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not brought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500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stopped the portable terminal by bringing it to his ear.
  •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stopped the portable terminal by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L (t)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500) since the illuminance sensor is covered by the user's ear or face side.
  •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500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does not stop by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his ear. If it is.
  •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analysis result of the measured values X (t), Y (t), and Z (t)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is in a stopped state by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step 65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values X (t), Y (t), and Z (t)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fall within a specific range. Take it to your ear and judge it to be stopped. On the contrary, when the measured values X (t), Y (t), and Z (t)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do not belong to a specific rang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does not stop the portable terminal by bringing it to the ear. .
  • Arrow (b) shows a case where the measured valu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X (t), Y (t), Z (t)) are 174, -193, and -25, respectively,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a specific value. Or, if it is within a certain rang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stops the mobile terminal by bringing it to the ear.
  • the specific value or specific range will be described in FIGS. 7 and 8 below.
  • the controller compares and analyzes the values of the previous 20 samples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measured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o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analysis result is a normal form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step 660). ).
  • Arrow (c) shows the values of the previous 20 samples, an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an algorithm such as a time series may be used.
  • control unit analyzes the results of the illumination sensor measurement analysis (step 640), 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ment analysis (step 650), and the pattern analysis (step 670), and the user returns to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call origination. If the call is stopped, the call origination or call reception operation is performed (step 670).
  •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call origination or call reception operation.
  • the analysis result of at least one of the three analysi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user stops by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for the call origination, making the call originating or receiving the call It is possible.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seudo code for motion detection by a user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all reception event such as a screen output, a bell, vibration, or a lamp blinking is generated (if (phone call signal detected)) indicating a call recep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controller return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user. Take a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o stop and, if detected, to drive the phone call function.
  • the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he user stops by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is continuously performed until the call is disconnected or the user presses a button of the portable terminal (until (a call is missing or user catch a call by pushing a button)).
  • the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he user stops by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may be three steps of using a roughness sensor,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using a pattern analysis.
  • the sensing process of the three steps is as follows.
  • the measured value L (t-5) of the previous illuminance sensor is the measured value L (t) of the illuminance sensor. Greater than).
  •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is small because the illumination sensor is covered by the user's ear or side face.
  • LUMINANCE_DELTA_LIMIT represents a referenc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previous illuminance sensor when the user tak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LUMINANCE_PERFORMANCE represents a reference illuminance value when the illuminance sensor is covered by the user's ear or side face.
  •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measured value of the last acceleration sensor indicates the stopped state by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value of the x-axis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 the y-axis The value of the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in the east-west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value of the z-axis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stops the mobile terminal by bringing it to the ear.
  • are specific values of the measured values X (t), Y (t), Z (t)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s of FIGS. 5 and 6. Value and specific range.
  • the LUMINANCE_DELTA_LIMIT, LUMINANCE_PERFORMANCE, a specific value, and an initial value of a specific range may be a standardized value or a value preset by a manufacturer or operator.
  • the user may take the portable terminal as an ear and average the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the stopping operation to set the reference value. That is, the reference value can be set adaptively through learning.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tops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by using pattern analysis when the analysis result of 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ment value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stopped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control unit gives the measured values X (t-20,, t), Y (t-20,, t), Z (t-20,, t) of the recent acceleration sensor. It is to check whether the user's motion is a normal motion to br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by comparing with the pattern.
  • the given pattern may be the average of previous measurement values, it may be a learned value or a standardized value.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operation is a normal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controller performs the call call func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seudo code for motion detection by a user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ake a portable terminal to an ear.
  • a call reception event such as a screen output, a bell, a vibration, or a flashing lamp
  • the controller return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user. Take a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o stop and, if detected, to drive the phone call function.
  • the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he user stops by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may be two steps of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using a pattern analysis.
  • the detection process of the second step is as follows.
  • the controller uses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to check whether the user takes the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acceleration value While the user picks up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the acceleration value changes. When the user finishes mov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the acceleration value gradually decreases and stabilizes.
  • the controller repeats a process of subtracting the previous measured value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For example, ((
  • dX SUM (
  • dY SUM (
  • dZ SUM (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carri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STABLE_LIMIT represents the standard deviation that is the reference of the stabilized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when the user finishes the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d last indicates whether the user has stopped the portable terminal by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value of the x-axis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 the y-axis The value of the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in the east-west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value of the z-axis sensor represents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stops the mobile terminal by bringing it to the ear.
  • are specific values of the measured values X (t), Y (t), Z (t)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s of FIGS. 5 and 6. Value and specific range.
  • the STABLE_LIMIT, a specific value, and an initial value of a specific range may be a standardized value or a value preset by a manufacturer or operator.
  • the user may average the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and set the reference value of STABLE_LIMIT. That is, the reference value can be set adaptively through learning.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tops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by using pattern analys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sis result of 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ment value has been stopped by the user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control unit gives the measured values X (t-20,, t), Y (t-20,, t), Z (t-20,, t) of the recent acceleration sensor. It is to check whether the user's motion is a normal motion to br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by comparing with the pattern.
  • the given pattern may be the average of previous measurement values, it may be a learned value or a standardized value.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operation is a normal operation of bring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 the controller performs the call call function.
  • 7 and 8 illustrate a method of detecting a user tak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and stopping the call, but the method detects that the user stops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ear to make a call.
  •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case. That is, after the telephone number is input, when the controller detect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call may be sent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by automatically receiving or originating a call by detecting a user's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nto an 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인식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한 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호를 수신 및 발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호를 발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해서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야 했다.
하지만, 터치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는 물리적인 버튼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확한 터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아야만 한다.
통상 사용자가 SEND 버튼을 누르거나, 특정 영역을 터치하여 호를 발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은 명시적이기는 하나, SEND 버튼을 누르는 것 또는 특정 영역을 터치하는 방식을 더 단순화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호를 수신 및 발신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여 호를 수신 및 발신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한 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한 호 발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 번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발신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하여 호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자세 감지 센서와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호를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하여 호를 발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자세 감지 센서와 발신 번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상기 발신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발신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한 호 발신 시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세감지 센서를 이용한 호 수신 시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에서의 센서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c)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도시한 그래프,
도 4d)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의 평균 변화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 및 조도 센서의 측정값과 분석 예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속도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감지를 위한 의사 코드(Pseudo Code)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감지를 위한 의사 코드(Pseudo Code)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호 수신 및 호 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센서 등과 같은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인식하거나,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간 후 멈춘 상태를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호를 발신 또는 수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모뎀(110), 자세 인식부(120), 제어부(125), 저장부(130), 자세 감지 센서(140), 입력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뎀(110)은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무선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경로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25)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 및 자세 인식부(120)를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는 조도 센서,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기압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 발생시, 움직임 측정 값을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15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키패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어부(125)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60)는 스피커, 진동 모터 또는 액정 화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출력을 소리, 진동, 화면 표시의 형태로 제공한다.
상기 자세 인식부(120)는 상기 입력부(150)를 통해 발신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로딩한다. 이후, 상기 자세 인식부(12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움직인 경우, 즉,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의 출력 데이터를 분석한다.
상기 자세 인식부(120)는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의 출력 데이터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호 발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또는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
상기 자세 인식부(120)는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었지만,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의 출력 데이터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호 발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또는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지 않고, 사용자가 송신 버튼을 누른 것을 감지한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
상기 자세 인식부(120)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여기서 상기 호 수신 이벤트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벨, 진동, 또는 램프 점멸, 수신 사실을 알리는 화면 표시 등과 같은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자세 인식부(120)는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의 출력 데이터 분석 결과, 사용자가 호 수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또는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호를 연결한다.
상기 자세 인식부(12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움직였지만, 상기 자세 감지 센서(140)의 출력 데이터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호 수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또는 귀로 가져간 상태를 나타내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누른 경우 호를 연결한다.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25)는 상기 자세 인식부(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상기 자세 인식부(120)의 기능 모두를 상기 제어부(125)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능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125)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5)의 자세한 동작 과정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한 호 발신 시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발신할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210 단계), 입력된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로딩한다(220 단계).
이후,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세 감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감지한 경우(230 단계), 즉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자세 감지 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분석한다(235 단계).
이후, 제어부는 상기 자세 감지 센서의 출력 데이터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호 발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또는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240 단계), 입력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260 단계).
만약,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세 감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감지하지는 못했지만(230 단계), 송신 버튼이 눌리는 것을 감지한 경우(250 단계) 입력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260 단계).
만약,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세 감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감지했지만(230 단계), 상기 자세 감지 센서의 출력 데이터 분석(235 단계) 결과가 사용자가 호 발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또는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지 않고(240 단계), 송신 버튼이 눌리는 것을 감지한 경우(250 단계), 입력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260 단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세감지 센서를 이용한 호 수신 시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310 단계)(여기서 상기 호 수신 이벤트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벨, 진동, 또는 화면 출력, 램프 점멸과 같은 호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에는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세 감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감지한 경우(320 단계), 즉,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자세 감지 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분석한다(330 단계).
이후, 제어부는 상기 자세 감지 센서의 출력 데이터 분석(330 단계) 결과가 사용자가 호 수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또는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340 단계), 호를 연결한다(360 단계).
만약,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세 감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감지하지는 못했지만(320 단계), 송신 버튼이 눌리는 것을 감지한 경우(350 단계), 호를 연결한다(360 단계).
만약,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세 감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을 감지했지만(320 단계), 상기 자세 감지 센서의 출력 데이터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호 발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또는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지 않고(340 단계), 송신 버튼이 눌리는 것을 감지한 경우(350 단계), 호를 연결한다(360 단계).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세 감지 센서 중에서 가속도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일 실시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에서의 센서의 방향, 도 4b)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모습, 도 4c)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 도 4d)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의 평균 변화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바로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윗 방향을 북쪽 방향으로 가정할 경우, x축 센서의 값은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에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남북 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내고, y축 센서의 값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서 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내고, z축 센서의 값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직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낸다.
도 4b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가 바로 놓여진 상태에서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어깨부터 팔꿈치까지의 상완은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 상태이고, 주로 사용자의 팔꿈치부터 손까지의 부분인 하완을 어깨 위로 회전 운동하여 손에 쥔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도시한 것으로, 가로 축은 시간을 세로 축은 중력 가속도(G)를 나타낸다. 참고로, 중력 가속도(G)의 변환 식은 G=((x, y 또는 z)-512)/(512)이다.
상기 도 4c에서, 가속도 센서의 x, y, z 축의 값이 변화를 보이는 구간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이고, 이후의 x, y, z 축의 값의 변화가 감소한 구간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셔 멈춘 이후를 나타낸다.
도 4d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의 평균 변화율을 도시한 것으로, 가속도 센서의 x, y, z 축의 값에 대한 측정 값의 평균 변화율이 변화를 보이는 구간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이고, 이후의 x, y, z 축의 값의 변화가 감소하여 0에 수렴하는 구간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셔 멈춘 이후를 나타낸다.
상기 도 4c 및 도 4d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안은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이게 되므로 가속도 측정 값이 변동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간 이후에는 가속도 측정 값의 변화는 거의 없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 및 조도 센서의 측정값과 분석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할 때의 가속도 센서 및 조도 센서로부터 20ms마다 데이터를 획득하여 표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가속도 센서에 있어서는 중력 가속도 값을, 조도 센서에 있어서는 조도 값을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세로로 굵게 표시된 바(bar)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간 후 동작을 멈춘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면, 조도센서는 사용자의 귀 또는 얼굴 측면에 의해 가려지고, 이때 측정된 조도 값은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안에는 조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면서 동시에 가속도 센서의 x, y, z 축에 대한 측정 값이 변동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이후에는 가속도 센서의 x, y, z 축에 대한 측정 값과 조도 센서의 측정값은 일정 범위 내에서 안정된다. 이러한 값들이 측정될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조도 센서가 없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의 변화로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갔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속도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가 호 수신 또는 호 발신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610 단계), 즉, 제어부가 수신 벨 울림 또는 수신 진동 발생 등과 같은 호 수신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또는 제어부가 사용자가 발신할 번호를 누른 것을 감지한 경우,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셔 멈추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X(t), Y(t), Z(t))과 조도 센서의 측정값(L(t))을 큐에 저장한다(620 단계). 그리고, 조도 센서의 측정값(L(t))과 이전 조도 센서 측정값(L(t-1))과의 변화 량을 산출한다(630 단계).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 값(L(t))이 특정 값(예를 들어, 500) 보다 크고,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 값(L(t))과 이전 조도 값(L(t-1))과의 차이가 특정 값(예를 들어, 50) 미만인 경우에는(640 단계),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반대로,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 값(L(t))이 특정 값(예를 들어, 500) 이하이고,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 값(L(t))과 이전 조도 값(L(t-1))과의 차이가 특정 값(예를 들어, 50)이상인 경우에는(640 단계),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도 센서가 사용자의 귀 또는 얼굴 측면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측정한 조도 값(L(t))이 특정 값(예를 들어, 500)이하이고, 가려지는 순간에는 측정한 조도 값(L(t))과 이전 조도 값(L(t-1))과의 차이가 특정 값(예를 들어, 50)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즉, 조도 센서가 가려지는 순간의 조도 측정 값은 급격히 변한다.
화살표(a)는 조도 센서의 측정 값(L(t))과 이전 조도 센서의 측정 값(L(t-1))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셔 멈추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이다.
이후,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가 측정한 측정값(X(t), Y(t), Z(t))의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인지를 검사한다(650 단계).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가 측정한 측정값(X(t), Y(t), Z(t))이 특정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특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라고 판단한다. 반대로, 상기 가속도 센서가 측정한 측정값(X(t), Y(t), Z(t))이 특정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화살표(b)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 (X(t), Y(t), Z(t))이 각각 174, -193, -25 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 이내이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라고 판단한다. 상기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는 하기 도 7 및 8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후,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 또는 조도 센서의 측정 값의 이전 20 샘플들의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값과 비교하고 분석하여, 분석 결과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정상적인 형태인지를 판단한다(660 단계).
화살표(c)는 이전 20 샘플의 값들을 나타낸 것으로, 비교 분석 시, 시계열(time series)과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분석 과정에서, 제어부는 조도 센서 측정값 분석(640 단계), 가속도 센서 측정값 분석(650 단계), 패턴 분석(670 단계)의 분석 결과가 모두 사용자가 호 수 발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경우를 나타내면, 호 발신 또는 호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670 단계).
즉, 상기 3가지의 분석 결과가 모두, 사용자가 호 수 발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경우이어야만, 제어부는 호 발신 또는 호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 예를 고려할 경우, 전술한 3가지 분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결과가 사용자가 호 수 발신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경우이면, 호를 발신 또는 호를 수신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감지를 위한 의사 코드(Pseudo Code)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 수신을 알리는 화면 출력, 벨, 진동 또는 램프 점멸과 같은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if(phone call signal detected)),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지를 감지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감지된 경우, 호 수신 기능(the phone call function)을 구동한다.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지를 감지하는 과정은 호가 끊어지거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누를 때까지(until(a call is missing or user catch a call by pushing a button)) 계속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지를 감지하는 과정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는 과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과정, 패턴 분석을 이용하는 과정의 3단계가 될 수 있다. 상기 3단계의 감지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X(t), Y(t), Z(t))과 조도 센서의 측정 값(L(t))을 획득한다(X(t) = x axis accelerometer data, Y(t) = y axis accelerometer data, Z(t) = z axis accelerometer data, L(t) = luminance sensor data).
이후,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값(L(t))과 이전 조도 센서 측정값(예를 들어, L(t-5))과의 차이(A=L(t)-L(t-5))를 산출한다. 이는 조도 센서의 측정 값과 이전 조도 센서 측정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조도 센서가 사용자의 귀 또는 측면 얼굴에 가려지는 경우에는 이전 조도 센서의 측정 값(L(t-5))이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값(L(t))보다 더 크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자의 귀로 가져간 이후에는 조도 센서가 사용자의 귀 또는 측면 얼굴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측정되는 조도 값이 작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값(L(t))과 이전 조도 센서의 측정 값과의 차이(A=L(t)-L(t-5))가 LUMINANCE_DELTA_LIMIT 보다 크고, 조도 측정 값(L(t))이 LUMINANCE_PERFORMANCE 보다 작은 지를 검사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갔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LUMINANCE_DELTA_LIMIT 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갈 때의 조도 센서의 측정 값과 이전 조도 센서의 측정 값의 차이의 기준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LUMINANCE_PERFORMANCE 는 조도 센서가 사용자의 귀 또는 측면 얼굴에 의해 가려질 때의 기준 조도 값을 나타낸다.
제어부는 조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것으로 판단되면, 마지막으로 측정한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는지 검사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바로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윗 방향을 북쪽 방향으로 가정할 경우, x축 센서의 값은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에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남북 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내고, y축 센서의 값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서 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내고, z축 센서의 값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직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에서 X(t)의 값이 0보다 크고 Z(t)의 절대 값의 크기가 100보다 작은 경우(If (X(t) > 0 AND |Z(t)| < 100)),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라고 판단한다. 여기서, X(t)의 값, |Z(t)|의 범위가 상기 도 5및 도 6의 가속도 센서가 측정한 측정값(X(t), Y(t), Z(t))의 특정 값 및 특정 범위이다.
상기 LUMINANCE_DELTA_LIMIT, LUMINANCE_PERFORMANCE, 특정 값 및 특정 범위의 초기 값은 표준화된 값 또는 제작사 또는 사업자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 동작에 따른 측정 값을 평균하여 기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학습을 통해 적응적으로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것으로 판단하면, 패턴 분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멈추는 지를 검사한다.
상기 패턴 분석 과정은 제어부가 최근의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들(X(t-20,,,t),Y(t-20,,,t),Z(t-20,,,t))을 주어진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정상적인 동작인지 아닌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주어진 패턴은 이전 측정 값들의 평균값이 될 수도 있고, 학습된 값일 수도 있고 또는 표준화된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이전에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갔다고 판단되는 패턴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패턴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동작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정상적인 동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패턴 분석 결과,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 것을 나타낸 패턴으로 판단하는 경우, 호 수신 과정(the phone call function)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 감지를 위한 의사 코드(Pseudo Code)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 수신을 알리는 화면 출력, 벨, 진동 또는 램프 점멸과 같은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if(phone call signal detected)),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지를 감지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감지된 경우, 호 수신 기능(the phone call function)을 구동한다.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지를 감지하는 과정은 호가 끊어지거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누를 때까지(until(a call is missing or user catch a call by pushing a button)) 계속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지를 감지하는 과정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과정, 패턴 분석을 이용하는 과정의 2단계가 될 수 있다. 상기 2단계의 감지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취하는 지를 검사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들고 귀로 가져가는 동안은 가속도 값이 변화하다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간 동작을 마칠 때에는 가속도 값의 변화가 점차 감소하다가 안정화된다.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에서 이전 측정값을 빼는 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X(5)-X(4)|). (|Y(5) -Y(4)|). (|Z(5)-Z(4)|)). ((|X(4)-X(3)|). (|Y(4)-Y(3)|). (|Z(4)-Z(3)|)) 등과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이후, 각각의 축에 대해 뺀 값들을 더한다. 예를 들어, dX = SUM(|X(t)-X(t-1)|), dY = SUM (|Y(t)-Y(t-1)|), dZ=SUM(|Z(t)-Z(t-1)|) 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dX, dY, dZ 값에 대해 표준 편차를 구하고, 상기 표준 편차가 STABLE_LIMIT 보다 작은지 검사하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STABLE_LIMIT 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간 동작을 마칠 때 안정화 된 가속도 측정 값의 기준이 되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이후, 상기 표준 편차 비교 결과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마지막으로 측정한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를 나타내는지 검사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바로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윗 방향을 북쪽 방향으로 가정할 경우, x축 센서의 값은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에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남북 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내고, y축 센서의 값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서 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내고, z축 센서의 값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직방향으로의 가속도 측정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에서 X(t)의 값이 0보다 크고 Z(t)의 절대 값의 크기가 100보다 작은 경우(If (X(t) > 0 AND |Z(t)| < 100)),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상태라고 판단한다. 여기서, X(t)의 값, |Z(t)|의 범위가 상기 도 5및 도 6의 가속도 센서가 측정한 측정값(X(t), Y(t), Z(t))의 특정 값 및 특정 범위이다.
상기 STABLE_LIMIT, 특정 값 및 특정 범위의 초기 값은 표준화된 값 또는 제작사 또는 사업자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에 따른 측정 값을 평균하여 STABLE_LIMIT의 기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학습을 통해 적응적으로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춘 것으로 판단하면, 패턴 분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멈추는 지를 검사한다.
상기 패턴 분석 과정은 제어부가 최근의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들(X(t-20,,,t),Y(t-20,,,t),Z(t-20,,,t))을 주어진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정상적인 동작인지 아닌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주어진 패턴은 이전 측정 값들의 평균값이 될 수도 있고, 학습된 값일 수도 있고 또는 표준화된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이전에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갔다고 판단되는 패턴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패턴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동작이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정상적인 동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패턴 분석 결과, 제어부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 것을 나타낸 패턴으로 판단하는 경우, 호 수신 과정(the phone call function)을 수행한다.
상기 도 7 및 도 8 은 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을 호 수신시의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상기의 방법은 호 발신을 위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서 멈추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전화번호가 입력된 후, 제어부가 전술한 동작을 감지한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를 호를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호를 수신 또는 발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6)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한 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호 수신을 위한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호 수신을 위한 버튼 입력을 감지한 경우,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은,
    상기 사용자가 어깨부터 팔꿈치까지의 상완은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팔꿈치부터 손까지의 하완을 회전 운동하여 손에 쥔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은,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 분석 과정은,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변동하는 경우, 변동량을 추적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준 범위로 수렴되는지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은,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분석하는 과정과,
    조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조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과정 및 조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과 정은,
    조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값이 변동하는 경우, 상기 변동량을 추적하여 변동량 및 상기 측정 값을 기준 범위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변동량 및 상기 측정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지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은,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소정 시간 구간의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값들과 미리 정해진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측정 값들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한 호 발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 번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발신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번호가 입력된 후, 송신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버튼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발신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은,
    상기 사용자가 어깨부터 팔꿈치까지의 상완은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팔꿈치부터 손까지의 하완을 회전 운동하여 손에 쥔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은,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 분석 과정은,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변동하는 경우, 변동량을 추적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준 범위로 수렴되는지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은,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분석하는 과정과,
    조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조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과정 및 조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과정은,
    조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값이 변동하는 경우, 상기 변동량을 추적하여 변동량 및 상기 측정 값을 기준 범위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변동량 및 상기 측정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지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은,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소정 시간 구간의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값들과 미리 정해진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측정 값들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하여 호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자세 감지 센서와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호를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호 수신을 위한 버튼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호 수신을 위한 버튼 입력을 감지한 경우,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어깨부터 팔꿈치까지의 상완은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팔꿈치부터 손까지의 하완을 회전 운동하여 손에 쥔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변동하는 경우, 변동량을 추적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준 범위로 수렴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분석하고, 조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조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값이 변동하는 경우, 상기 변동량을 추적하여 변동량 및 상기 측정 값을 기준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변동량 및 상기 측정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지 검사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 및 조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소정 시간 구간의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 값들과 미리 정해진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측정 값들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사용자의 자세 인식을 이용하여 호를 발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자세 감지 센서와
    발신 번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고, 상기 발신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발신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 번호가 입력된 후, 송신 버튼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송신 버튼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발신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기압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어깨부터 팔꿈치까지의 상완은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지 검사하고,상기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팔꿈치부터 손까지의 하완을 회전 운동하여 손에 쥔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변동하는 경우, 변동량을 추적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준 범위로 수렴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분석하고, 조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조도 센서 측정 값의 분석 결과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도 센서의 측정값이 변동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 값이 변동하는 경우, 상기 변동량을 추적하여 변동량 및 상기 측정 값을 기준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변동량 및 상기 측정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지 검사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측정 값 및 조도 센서 측정 값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소정 시간 구간의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 값들과 미리 정해진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측정 값들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귀로 가져가는 동작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PCT/KR2010/002848 2009-05-04 2010-05-04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0128796A2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19,060 US8768325B2 (en) 2009-05-04 2010-05-04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4/320,310 US9071699B2 (en) 2009-05-04 2014-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4/731,041 US9521242B2 (en) 2009-05-04 2015-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5/360,974 US10038776B2 (en) 2009-05-04 2016-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6/037,918 US10425524B2 (en) 2009-05-04 2018-07-17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6/562,126 US10863017B2 (en) 2009-05-04 2019-09-05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863A KR101531561B1 (ko) 2009-05-04 2009-05-04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09-0038863 2009-05-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319,060 A-371-Of-International US8768325B2 (en) 2009-05-04 2010-05-04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4/320,310 Continuation US9071699B2 (en) 2009-05-04 2014-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8796A2 true WO2010128796A2 (ko) 2010-11-11
WO2010128796A3 WO2010128796A3 (ko) 2011-02-17

Family

ID=4305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2848 WO2010128796A2 (ko) 2009-05-04 2010-05-04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6) US8768325B2 (ko)
KR (1) KR101531561B1 (ko)
WO (1) WO201012879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9842B2 (en) 2011-02-18 2013-08-1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answering of a mobile phone
KR20140113332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WO2016169107A1 (zh) * 2015-04-23 2016-10-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来电接听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61B1 (ko) 2009-05-04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22952B1 (ko) * 2012-02-24 2013-10-29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인식의 처리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9237601B2 (en) 2012-05-18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function selection using position in relation to a user
CN102724364A (zh) * 2012-06-25 2012-10-10 华为终端有限公司 呼叫建立的方法和移动终端
US8774855B2 (en) * 2012-11-09 2014-07-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to estimate head relative handset location
DE102013001310B4 (de) 2013-01-26 2014-10-02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en Kommunikationsendgeräts sowie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US8577422B1 (en) * 2013-03-27 2013-11-05 Open Invention Network, Llc Wireless device gesture detection and operational control
US20150253351A1 (en) * 2014-03-07 2015-09-10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ng Imminent Use of a Device
CN105511748A (zh) * 2014-09-25 2016-04-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自适应调整智能终端的用户界面的方法及装置
JP6552274B2 (ja) * 2015-05-27 2019-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587918B2 (ja) * 2015-11-27 2019-10-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CN205810084U (zh) * 2016-07-06 2016-12-14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坐姿矫正设备及照明设备
WO2018006836A1 (zh) * 2016-07-06 2018-01-11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坐姿及照度集成监测设备及照明设备
JP6752732B2 (ja) * 2017-02-02 2020-09-09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端末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80116843A (ko) * 2017-04-18 2018-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573273B2 (en) * 2018-06-13 2020-02-25 Mapsted Corp.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placement based optimization techniques
CN110896425B (zh) * 2018-09-12 2021-10-22 意法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识别将移动电子设备带到用户耳朵的姿势的系统和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7488A1 (en) * 2000-07-17 2002-11-14 Hinckley Kenneth P. Mobile phone operation based upon context sensing
KR20040051202A (ko) * 2002-12-12 2004-06-18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 있어서 움직임에 의한 기능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050064913A1 (en) * 2003-08-18 2005-03-24 Kim Byung-Jin Incoming call aler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50060923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60052109A1 (en) * 2004-09-07 2006-03-09 Ashman William C Jr Motion-based user inpu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36347A1 (en) * 2005-08-06 2007-02-15 Mordechai Teicher Mobile Telephone with Ringer Mu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200B2 (ja) 1997-05-23 2000-04-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着信応答制御方法
US6498600B1 (en) * 1999-08-18 2002-12-24 Ericsson Inc.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keypads that illuminate in response to proximity of a user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electronic devices
KR20020006064A (ko) 2000-07-11 2002-01-19 홍경 귀 안착 감지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수신응답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신응답 방법
KR100621401B1 (ko) 2004-03-31 200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KR20060114541A (ko) * 2005-05-02 200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187221A (ja) 2007-01-26 2008-08-14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その通話切替方法、その通話切替プログラム、及び通話切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1394297B1 (ko) * 2007-07-10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을 이용하여 착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21895A (ko) * 2007-08-28 2009-03-0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31561B1 (ko) * 2009-05-04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7488A1 (en) * 2000-07-17 2002-11-14 Hinckley Kenneth P. Mobile phone operation based upon context sensing
KR20040051202A (ko) * 2002-12-12 2004-06-18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 있어서 움직임에 의한 기능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050064913A1 (en) * 2003-08-18 2005-03-24 Kim Byung-Jin Incoming call aler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50060923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60052109A1 (en) * 2004-09-07 2006-03-09 Ashman William C Jr Motion-based user inpu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36347A1 (en) * 2005-08-06 2007-02-15 Mordechai Teicher Mobile Telephone with Ringer Mut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9842B2 (en) 2011-02-18 2013-08-1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answering of a mobile phone
US9219804B2 (en) 2011-02-18 2015-1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answering of a mobile phone
KR20140113332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188463B1 (ko) * 2013-03-14 2020-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WO2016169107A1 (zh) * 2015-04-23 2016-10-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来电接听方法及装置
CN106161758A (zh) * 2015-04-23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来电接听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68325B2 (en) 2014-07-01
US20180343337A1 (en) 2018-11-29
US20120100889A1 (en) 2012-04-26
US9521242B2 (en) 2016-12-13
US20140315601A1 (en) 2014-10-23
KR20100119942A (ko) 2010-11-12
US10425524B2 (en) 2019-09-24
US20170155754A1 (en) 2017-06-01
WO2010128796A3 (ko) 2011-02-17
US20160142528A1 (en) 2016-05-19
US9071699B2 (en) 2015-06-30
US20190394324A1 (en) 2019-12-26
US10038776B2 (en) 2018-07-31
US10863017B2 (en) 2020-12-08
KR101531561B1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28796A2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자세에 따른 자동 호 수발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007171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voice recognizing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9045394A1 (ko)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의 근접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WO2015064844A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0708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WO2019139449A1 (ko) 발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6165667A1 (zh) 利用体感控制装置防止智能电子设备丢失的警示方法
WO2020122502A1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audio enhancement and method for the same
WO2019209075A1 (ko)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080638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32525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WO2021132852A1 (ko)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1049371A2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13191491A1 (ko) 터치 센싱 장치 및 방법
WO2019139409A1 (ko) 움직임에 기반하여, 외부의 공기와 관련된 데이터 보정 및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3076201B (zh) 一种任务指令的互斥校验方法及电子设备
WO2020159255A1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dat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0111718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CN108307020B (zh) 检测方法及移动终端
WO2020130729A1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162316A1 (ko) 오디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2231252A1 (ko) 비디오 스트림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0213869A1 (ko) 음향 진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WO2022098004A1 (ko) 통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1187869A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722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319060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7722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