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367A -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367A
KR20140110367A KR1020130024571A KR20130024571A KR20140110367A KR 20140110367 A KR20140110367 A KR 20140110367A KR 1020130024571 A KR1020130024571 A KR 1020130024571A KR 20130024571 A KR20130024571 A KR 20130024571A KR 20140110367 A KR20140110367 A KR 20140110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b
bucket
hydraulic cylinder
hydraulic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588B1 (ko
Inventor
이강창
Original Assignee
이강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창 filed Critical 이강창
Priority to KR2013002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58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구동링크 및 제2 구동링크의 동작을 통해 그래브의 회동범위를 더욱 증대시키며, 릴리프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그래브 작업 중에 버킷의 내측 회동에 따른 그래브 유압 실린더로의 역유입되는 유압을 방지하여 유압라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를 결합하여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작부와 상기 버킷을 동작시키기 위한 버킷 유압 실린더와 상기 그래브를 동작시키기 위한 그래브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동작부에 포함된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A grab bucket interlock device for linking the bucket and grab bucket of the hydraulic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구동링크 및 제2 구동링크의 동작을 통해 그래브의 회동범위를 더욱 증대시키며, 릴리프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그래브 작업 중에 버킷의 내측 회동에 따른 그래브 유압 실린더로의 역유압을 방지하여 유압라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라 함은 버킷을 부착하여 땅을 파거나 브레이커 등을 부착하여 암석과 같은 강한 지반을 분쇄할 때 사용하는 중장비로서, 필요에 따른 작업조건 및 환경에 따라 어태치먼트를 선택적으로 교환사용하게 되어 있다.
버킷에는 작업물을 신속히 수용하고 이를 안정되게 지지시킨 상태에서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동 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의 굴삭기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평상시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굴삭기의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며 유압을 통한 작동구조로 그 조작 및 사용이 편리한 보조집게가 설치될 수 있다.
종래 이러한 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1738호에 공지된 바 있으며, 도 1에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가 도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10)는 하방으로 점차 넓게 확대되고, 유압 실린더(20)는 굴삭기의 유압컨트롤러(22)와 유압라인(21)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에, 집게(10)의 작동은 굴삭기에 장착된 유압컨트롤러(22)의 제어를 통해 이와 유압라인(21)으로 연결된 유압 실린더(20)의 작동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유압 실린더(20) 로드의 연장에 따른 집게(10)의 회동에 제한이 있어 버킷(30)의 회동영역 전범위에서의 회동에 따라 집게 본체가 회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킷(30)이 굴삭기 측으로 내측회동하는 경우, 그래브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20)는 그래브를 외측회동하기 위해 유압을 전달하고 있으나, 버킷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버킷 유압 실린더의 힘이 유압 실린더(20)의 힘보다 더 크게 구비되므로 유압 실린더에 역유입되는 유압으로 인해 유압라인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다관절 링크를 그래브에 결합함으로써, 붐대의 하단 힌지부에 결합된 그래브가 외측으로 회동하는 범위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다관절 링크 중에서 제1 구동링크의 외형을 'S' 형태로 구성하여 제1 구동링크가 하향 회동하는 경우에도 제1 구동링크의 'S' 형태 중 오목한 부분이 붐대 하단 힌지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직선의 제1 구동링크보다 외측회동 각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를 제1 구동링크와 제2 구동링크의 연결부위에 함께 연결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를 제1 구동링크의 중단에 연결함으로써,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의 동작 범위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그래브 실린더를 최대로 수축할 수 있으며, 이때, 그래브의 제1 안전부재와 제2 구동링크의 제2 안전부재를 상호결합함으로써, 그래브가 하측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동작하여 버킷과 함께 작업물을 파지하는 경우에, 버킷의 회동에 대응하여 그래브가 회동함으로써, 작업물을 파지한 굴삭기의 동작영역을 확대하며, 작업물을 용이하게 파지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물을 파지한 그래브가 버킷의 내측회동에 대응하여 그래브에 동력을 전달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로의 역유압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유압라인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를 결합하여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작부와 상기 버킷을 동작시키기 위한 버킷 유압 실린더와 상기 그래브를 동작시키기 위한 그래브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동작부에 포함된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관절 링크를 그래브에 결합함으로써, 붐대의 하단 힌지부에 결합된 그래브가 외측으로 회동하는 범위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다관절 링크 중에서 제1 구동링크의 외형을 'S' 형태로 구성하여 제1 구동링크가 하향 회동하는 경우에도 제1 구동링크의 'S' 형태 중 오목한 부분이 붐대 하단 힌지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직선의 제1 구동링크보다 외측회동 각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를 제1 구동링크와 제2 구동링크의 연결부위에 함께 연결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를 제1 구동링크의 중단에 연결함으로써,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의 동작 범위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압력을 보다 효율적으로으로 전달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그래브 실린더를 최대로 수축할 수 있으며, 이때, 그래브의 제1 안전부재와 제2 구동링크의 제2 안전부재를 상호결합함으로써, 그래브가 하측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굴삭기 작업 중에 그래브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브를 동작하여 버킷과 함께 작업물을 파지하는 경우에, 버킷의 회동에 대응하여 그래브가 회동함으로써, 작업물을 파지한 굴삭기의 동작영역을 확대하며, 작업물을 용이하게 파지 또는 이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물을 파지한 그래브가 버킷의 내측회동에 대응하여 그래브에 동력을 전달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로의 역유압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유압라인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동작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링크 및 제2 구동링크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와 구동링크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붐대와 버킷의 결합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결합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동작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링크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와 구동링크의 결합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붐대와 버킷의 결합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결합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안전부재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에서 릴리프 밸브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동작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브 연동장치는 굴삭기의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2)에 결합되는 버킷(310), 붐대(320) 하단 힌지부(322)에 버킷(310)과 함께 결합되며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그래브(330), 그래브(330)를 회동시기키기 위한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수축 및 인장에 따라 그래브(330)를 회동시키기 위해 일단 힌지부(341)는 붐대(320) 상단 힌지부(321)에 결합되며, 타단 힌지부(342)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1 구동링크(340) 및 일단 힌지부(352)는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 및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에 결합되며, 타단 힌지부(353)은 그래브 구동축(332)에 결합되는 제2 구동링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341)가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에 결합되고,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에 결합됨에 따라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가 인장되거나 수축되는 경우, 붐대(420) 상단 힌지부(321)에 결합된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341)는 회전축이 되어 제1 구동링크(340)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가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1)와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에 결합되고,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는 그래브 구동축(332)에 결합됨에 따라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가 인장되거나 수축되는 경우, 그래브(330)는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2)에 결합된 위치를 회전축으로 하여 그래브(330)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가 최대로 수축하는 경우,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에 결합된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가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에 결합된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341)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구동링크(340)를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과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에 함께 힌지 결합된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과 함께 결합된 제1 구동링크(340)의 회동 반경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에 결합된 그래브 구동축(332)을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한편, 그래브(330)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것은 그래브(330)가 결합된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로드(221)가 외부로 최대 돌출하는 경우, 그래브 유압실런더 로드(221)에 결합된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가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에 결합된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341)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구동링크(340)를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과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에 함께 결합된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는 제1 구동링크(340)의 회동반경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에 결합된 그래브 구동축(332)을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한편, 그래브(330)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것은 그래브(330)가 결합된 붐대(320) 하단 힌지부(32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와 같이, 그래브(330)가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2)에 결합되는 특징과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가 제1 구동링크 및 제2 구동링크를 이용하여 그래브 구동축(332)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특징에 따라 버킷(310)이 굴삭기 외측으로 외측회동하는 경우에도 그래브(330)가 버킷(310) 방향으로 회동이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업물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래브(330)는 양측 내측면 사이의 너비는 붐대(320)의 양측 외측면 사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도 4의 (a)와 같이 그래브(330)가 붐대(320)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경우, 그래브(330)의 내측으로 붐대(320)가 수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링크 및 제2 구동링크의 구성도이다. 도 5의 (a)는 제1 구동링크(340)이며, (b)는 제2 구동링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제1 구동링크(340)는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에 결합되기 위한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341)와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과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와 함께 결합되기 위한 제1 구동링크 타단 힌지부(34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구동링크(340)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 및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에 결합되기 위해 H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 구동링크(340)의 외형은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가 최대로 돌출될 때,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1) 측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그래브(330)를 최대한 외측회동 시키기 위해 'S'자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b)에 도시된 제2 구동링크(350)는 그래브 구동축(332)에 결합되기 위한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와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 및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과 함께 결합되기 위한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구동링크(350)의 폭은 그래브(330)의 양측 내측면 사이의 너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구동링크(350)에는 그래브(330) 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안전부재(3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 안전부재(351)에는 그래브(330)의 제1 안전부재(333)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가 최대로 수축하는 경우, 그래브(330)가 상측으로 회동하고 제2 구동링크(350)가 그래브(330) 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돌출된 제2 안전부재(351)에 제1 안전부재(333)를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와 구동링크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붐대와 버킷의 결합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를 이용한 작업물을 파지하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는 제1 구동링크(340), 제2 구동링크(350) 및 그래브(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구동링크(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S'자 형태로 이루어진 양측면을 연결하여 형성되며, 'S'자 형태의 일단과 타단에는 힌지부를 구성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341)는 굴삭기의 붐대(320)에 기 형성된 상단 힌지부에 연결되며,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는 그래브(330)의 구동축(332)과 연결된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와 힌지 결합된다.
제2 구동링크(3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안전부재(351)를 포함하여 상호연결되어 있으며,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는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에 힌지결합되며,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는 그래브(330)의 구동축(332)과 힌지 결합된다.
한편, 그래브(330)는 이중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곡면형상을 연결하는 넓이는 붐대(320)를 수용할 수 있는 넓이이며, 이중 곡면형상을 연결하는 넓이 면에는 제2 구동링크(350)에 형성된 제2 안전부재(351)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브(330)의 일단 힌지부(331)는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2)의 외측면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단에는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래브(330)의 이중 곡면형상에서 작업물을 파지할 수 있는 하단부에는 작업물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는 붐대(320)에 그래브 장치가 결합되기 위해 상단 힌지부(321)와 하단 힌지부(322)가 구비되어 있다.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 및 하단 힌지부(322)는 기존에 굴삭기에 구비되던 버킷(310)과 버킷 유압 실린더(210)의 로드(211)의 끝단과 연결되어 버킷(310)의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1 구동링크(340) 및 그래브(330)를 결합하기 위한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 및 하단 힌지부(322)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굴삭기의 붐대(320)에 기 구비되어 있던 힌지부들을 이용한다.
또한, 굴삭기에는 그래브(33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 및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래브 융압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에는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와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가 함께 힌지 결합되어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에 힌지 결합된 그래브 구동축(332)을 통해 그래브(330)를 회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그래브 연동장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굴삭기에 기 구비된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 하단 힌지부(322) 및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에 각각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341), 그래브(330)의 일단 힌지부(331) 및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와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가 함께 결합되어 제1 구동링크(340) 및 제2 구동링크(350)의 관절 형태의 움직임을 통해 그래브(330)에게 넓은 회동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사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동작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 및 하단 힌지부(322)에 힌지 결합되는 제1 구동링크(340)와 그래브(330)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그래브 연동장치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링크(340)에 힌지 결합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가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에 결합되지 않고,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에 형성된 중단 힌지부(34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와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의 결합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의 결합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며,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와 그래브(330) 구동축(332)의 결합 역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을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 힌지부(343)에 힌지 결합하는 경우에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움직임이 짧아지더라도 그래브(330)가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2)를 축으로 회동하는 반경이 동일한 효과가 있으며,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서 그래브(330)를 회동하기 위해 전달하는 동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을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 힌지부(343)에 힌지 결합하는 경우, 그래브(330)의 구동축(332)과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353)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를 그래브(330)의 일단 힌지부(331)와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2)가 결합되는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최대한 그래브(3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그래브(330)가 버킷(310)과 함께 작업물을 파지하는 악력을 더욱 증가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링크의 구성도이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제1 구동링크(340)는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에 결합되기 위한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341)와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와 함께 결합되기 위한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342)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과 힌지 결합되기 위한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 힌지부(343)가 구비되어 있다.
제1 구동링크(340)는 붐대(320)의 상단 힌지부(321),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 및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352)와 각각 힌지 결합되기 위해 H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 구동링크(340)의 외형은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가 최대로 돌출될 때,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321) 측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그래브(330)를 최대한 외측회동 시키기 위해 'S'자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와 구동링크의 결합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붐대와 버킷의 결합도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그래브 연동장치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나, 제1 구동링크(340)에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 구비된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이 연결되기 위한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 힌지부(343)가 추가로 구비된다.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 힌지부(343)는 양측에 'S'자 형태로 형성된 곡면의 중단 부분에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의 끝단이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 힌지부(343)에 결합되는 경우,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서 전달되는 동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가 동작되는 거리가 짧아질 수 있기 때문에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호 결합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안전부재 구성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가 최대로 수축하는 경우, 그래브(330)의 양측 내측면 사이의 너비가 붐대(320)의 양측 외측면 사이의 너비보다 크므로 붐대(320)를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브(330)에는 작업물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가 최대로 수축 시, 제1 구동링크(340)가 상측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2 구동링크(35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그래브(330)와 일직선으로 위치하게 되며, 그래브(330)의 양측 내측면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구동링크(350)에는 그래브(330)의 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2 안전부재(351)가 돌출되어 있다. 제2 안전부재(351)는 제2 구동링크(350)에서 돌출되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브(330)와 결합되어 그래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래브(330)에는 핀 형상의 제1 안전부재(3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안전부재(333)는 그래브(330)의 양측 내측면에 삽입되는 제2 안전부재(351)의 통공에 결합되어 그래브(330)와 제2 구동링크(350)가 붐대(320) 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브 연동장치는 굴삭기의 운전석 등에 구비된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의 명령에 대응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0)와 구동부(200)의 구동력에 대응하여 각각 구동되는 동작부(3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그래브(330)의 동작을 위한 가동신호를 발생하는 페달부재(110), 버킷(310)의 동작을 위한 회동신호를 발생하는 레버부재(120) 및 페달부재(110)의 가동신호와 레버부재(120)의 회동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동작에 대응하는 버킷 제어신호 및 그래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200)의 유압제어부재(240)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모듈(130)으로 구성된다.
페달부재(110)는 그래브(3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동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페달 형태로 구비되며 페달의 중심을 축으로 전/후방 방향으로 누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페달부재(110)의 페달을 전방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그래브(330)를 굴삭기 외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가동신호를 생성하며, 페달을 후방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그래브(330)를 굴삭기 내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가동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페달부재(110)는 전방 및 후방으로 누르는 동작을 각각 다단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그래브 유압 실린더(210)를 통해 그래브(330)로 전달되는 동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단구조로 형성된 페달부재(110)의 전방 또는 후방의 누름 동작을 통해 그래브(330)가 버킷(310)과 함께 작업물을 파지하는 악력을 조절할 수 있다.
레버부재(120)는 버킷(310)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동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조이스틱 형태로 구비되며, 조이스틱을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버킷(310)을 굴삭기 외측방향으로 외측회동 시키기 위해 버킷 유압 실린더(210)의 버킷 유압 실린더 로드(211)를 수축시키며, 다른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버킷(310)을 굴삭기 내측방향으로 내측회동 시키기 위해 버킷 유압 실린더(210)의 버킷 유압 실린더 로드(211)를 돌출시킨다.
한편, 조이스틱 형태의 레버부재(120)는 굴삭기의 붐대(3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레버부재(120)의 전방 및 후방은 버킷(31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신호를 발생하며, 레버부재(120)의 좌측 및 우측은 붐대(3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레버부재(120)는 조이스틱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버킷(320)의 회동을 위한 회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구성인 경우에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어모듈(130)은 페달부재(110) 또는 레버부재(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가동신호 및 회동신호에 대응하여, 그래브 제어신호 및 버킷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200)의 유압제어부재(240)로 전송한다.
특히, 제어모듈(130)은 페달부재(110)의 다단구조를 통해 전송되는 각각의 가동신호에 대응하여 그래브(330)의 동력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그래브 제어신호를 별개의 신호로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버킷(310)과 그래브(330)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버킷 유압 실린더(210)와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100)의 제어모듈(130)로부터 전송되는 버킷 제어신호 및 그래브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각각의 버킷 유압 실린더(210) 및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 유압을 공급/회수하기 위한 유압제어부재(240)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200)는 버킷(310)과 그래브(330)를 동작시켜 작업물을 파지하는 경우, 레버부재(120)를 통해 버킷(310)을 내측회동 함에 따라 가동되는 그래브(330)에 동력을 제공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 역유압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일반적인 굴삭기의 버킷 유압 실린더(210)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 보다 더 큰 유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버킷(310)과 그래브(330)가 함께 동작하여 작업물을 파지하는 경우, 레버부재(120)의 회동신호에 따라 버킷(310)이 외측회동하는 경우에는 그래브(300)에 동력을 제공하고 있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가 지속적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힘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래브(330)가 버킷(310)의 외측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나, 레버부재(120)의 회동신호에 따라 버킷(310)이 내측회동하는 경우에는 그래브(330)에 동력을 제공하고 있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 역유압이 발생하여 유압라인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230)는 그래브(330)를 가동하여 외측회동 하기 위해 유압제어부재(240)에서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로 유압을 공급하는 제1 유압라인과 그래브(330)를 가동중지하여 내측회동 하기 위해 유압제어부재(240)에서 그래브 유압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는 제2 유압라인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후, 릴리프 밸브(230)는 그래브(330)의 가동을 위해 제1 유압라인으로 유입되는 유압과 그래브(330)의 가동중단을 위해 제2 유압라인으로 유입되는 유압은 차단하며, 그래브(330) 가동을 위해 유압제어부재(240)로부터 제1 유압라인으로 유압이 유입되고 있는 동안에 버킷(310)의 내측회동에 따라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개방된 제1 유압라인으로 버킷(310) 내측회동력에 따른 유압이 역유입되는 경우에는 릴리프 밸브(230)가 개방되어 제1 유압라인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압을 제2 유압라인 측으로 배출함으로써, 제1 유압라인이 버킷(310)의 내측회동에 따라 역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유압제어부재(240)는 제어부(100)의 제어모듈(130)로부터 전송되는 버킷 제어신호와 그래브 제어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유압을 버킷 유압 실린더(210) 및 그래브 유압 실린더(320) 측으로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더욱이 유압제어부재(240)는 다단구조의 페달부재(11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가동신호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그래브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그래브 유압 실린더(320)로 유압의 압력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버킷(31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유압의 압력도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부(300)는 구동부(200)의 버킷 유압 실린더(210)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 움직임을 수행하는 버킷(310), 구동부(200)의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 움직임을 수행하는 그래브(330), 버킷(310)과 그래브(330)를 결합하기 위한 상단 힌지부 및 하단 힌지부를 구비하는 붐대(320), 그래브(330)에게 구동부(200)의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관절 동작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제1 구동링크(340) 및 제2 구동링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구동링크(340) 및 제2 구동링크(350)는 양측 끝단에 각각 힌지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1 구동링크(340)의 일단 힌지부는 붐대(320)에 형성된 상단 힌지부에 결합되고,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는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에 결합되며, 제2 구동링크(350)의 타단 힌지부는 그래브(330)의 중단에 형성된 그래브(330) 구동축(332)에 결합되며, 그래브(330)의 일단은 붐대(320)의 하단 힌지부에 결합된다.
한편, 그래브(32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 구비된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의 끝단은 도 3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 및 제2 구동링크(350)의 일단 힌지부에 함께 결합되거나, 도 11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에 형성된 중단 힌지부에 결합되어 그래브(3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동링크(340)의 타단 힌지부 또는 제1 구동링크(340)의 중단 힌지부에 결합되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는 붐대(320)로부터 관절 형태의 제1 구동링크(340) 및 제2 구동링크(350)를 통해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서 생성되는 유압을 통해 발생하는 동력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그래브(330)의 회동에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브 연동장치에서 릴리프 밸브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230)는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측면에 위치하며, 유압제어부재(240)에서 그래브(330)의 가동에 따라 그래브(330)의 외측회동에 대응하여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1 유압라인(A)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제어부재(240)에서 그래브(330)의 가동에 따르 그래브(330)의 내측회동에 대응하여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타측으로 연결되는 제2 유압라인(B)에 연결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230)는 제1 유압라인(A)에서 소정 압력 이상의 유압이 역유입되는 경우에는 릴리프 밸브(230)가 개방되면서 제1 유압라인(A)에 역유입되는 유압을 회수하여 제2 유압라인(B)으로 회수된 유압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그래브(330)의 외측회동에 대응하여 유압제어부재(240)에서 공급되는 유압이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로 유입되면,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221)이 돌출되면서 그래브(330)가 외측회동한다. 이때, 외측회동하는 그래브(330)는 버킷(310)과 함께 작업물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버킷 유압 실린더(210)의 유압 압력은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유압 압력보다 더 크며, 그래브(330)와 함께 작업물을 파지한 버킷(310)을 내측회동하는 경우에는 그래브(330)도 함께 내측회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그래브(330)는 유압제어부재(240)으로부터 이미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에 공급된 유압으로 인해 외측회동하기 위한 동력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버킷(310)의 내측회동이 수행되는 경우,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의 제1 유압라인(A)으로는 공급된 유압이 역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제1 유압라인(A)은 버킷 유압 실린더(210)의 유압 압력으로 유압이 역유입되므로 유압제어부재(240)에서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로 공급되는 유압과 상충하여 파손이 발생한다.
릴리프 밸브(230)는 버킷(310)의 내측회동에 따라 역유입되는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로 유입되는 유압의 압력에는 개방이 되지 않으나, 버킷(310)의 내측회동에 따라 버킷 유압 실린더(210)의 힘이 전달되어 역유입 되는 유압의 압력에는 개방되어 역유입되는 유압을 제2 유압라인(B)으로 배출함으로써, 제1 유압라인(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굴삭기의 구성에 따라 유압제어부재(240)로부터 그래브 유압 실린더(220)로 유입되는 제1 유압라인(A) 및 제2 유압라인(B)는 서로 반대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제1 유압라인(A) 및 제2 유압라인(B)에 연결되는 릴리브 밸브(230)의 연결부위를 상호 반대로 형성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어부, 110 : 페달부재,
120 : 레버부재, 130 : 제어모듈,
200 : 구동부, 210 : 버킷 유압 실린더,
211 : 버킷 유압 실린더 로드, 220 : 그래브 유압 실린더,
221 : 그래브 유압 실린더 로드, 230 : 릴리프 밸브,
240 : 유압제어부재, 300 : 동작부,
310 : 버킷, 320 : 붐대,
321 : 상단 힌지부, 322 : 하단 힌지부,
330 : 그래브, 331 : 그래브 일단 힌지부,
332 : 그래브 구동축, 340 : 제1 구동링크,
341 : 제1 구동링크 일단 힌지부, 342 : 제1 구동링크 타단 힌지부,
343 : 제1 구동링크 타단 힌지부, 350 : 제2 구동링크,
351 : 제2 안전부재, 352 : 제2 구동링크 일단 힌지부,
353 : 제2 구동링크 타단 힌지부

Claims (17)

  1.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를 결합하여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작부;
    상기 버킷을 동작시키기 위한 버킷 유압 실린더와 상기 그래브를 동작시키기 위한 그래브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동작부에 포함된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버킷과 상기 그래브를 동일한 축에 힌지 결합하기 위한 하단 힌지부를 포함하는 붐대;
    일단 힌지부가 상기 붐대의 상단 힌지부에 연결되는 제1 구동링크; 및
    타단 힌지부가 상기 그래브의 중단에 연결되는 제2 구동링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링크의 타단 힌지부와 상기 제2 구동링크의 일단 힌지부가 상호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링크의 타단 힌지부 또는 중단 힌지부에는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링크는 'S'자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래브가 최대로 외측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링크의 오목한 곡면이 상기 하단 힌지부를 감싸는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는 상기 그래브 실린더가 최대로 수축하는 경우, 상기 그래브의 양측 내측면 사이에 붐대를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는 상기 그래브 실린더가 최대로 수축하는 경우, 상기 그래브 양측 내측면 사이의 상기 제2 구동링크에 형성된 제2 안전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는 상기 그래브 실린더가 최대로 수축하는 경우, 상기 제2 안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그래브를 상기 붐대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안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킷의 회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레버부재;
    상기 그래브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페달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신호 또는 상기 페달부재의 가동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버킷 유압 실린더 또는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레버부재를 통해 상기 회동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버킷을 동작시키기 위한 버킷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의 유압제어부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페달부재를 통해 상기 가동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그래브를 동작시키기 위한 그래브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의 유압제어부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재는 중심으로부터 앞과 뒤로 누름되며, 앞 또는 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를 외부이동하도록 하는 그래브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를 내부이동하도록 하는 그래브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재는 상기 그래브의 악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다단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버킷 유압 실린더 및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제어부재; 및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의 역이동에 대해 발생하는 역유입되는 유압을 회수하여, 상기 유압제어부재로 전달 위한 릴리프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부재는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을 두 개 구비하되, 제1 유압라인은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를 외부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공급하며, 제2 유압라인은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로드를 내부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브 밸브는 상기 제1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유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제2 유압라인에서 공급되는 유압은 차단하며, 상기 버킷의 내측회동에 의해 제1 유압라인으로 역유입되는 유압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유입구로 역유입되는 유압을 상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브 유압 실린더의 유압 압력은 상기 버킷 유압실런더의 유압 압력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KR20130024571A 2013-03-07 2013-03-07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KR10148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4571A KR101488588B1 (ko) 2013-03-07 2013-03-07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4571A KR101488588B1 (ko) 2013-03-07 2013-03-07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67A true KR20140110367A (ko) 2014-09-17
KR101488588B1 KR101488588B1 (ko) 2015-02-04

Family

ID=5175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4571A KR101488588B1 (ko) 2013-03-07 2013-03-07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5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9520A (zh) * 2014-12-18 2015-04-08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挖掘机用抓具
CN105780833A (zh) * 2016-04-21 2016-07-20 山东卡特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化多功能工程机械
CN105951907A (zh) * 2016-06-28 2016-09-21 天津市中机雄风机械有限公司 一种挖掘机铲斗防扬尘型装置及制备方法
KR20190142194A (ko) * 2018-06-14 2019-12-26 디아이특수장비 주식회사 개선된 굴삭기
CN111663596A (zh) * 2020-07-14 2020-09-15 李吉 一种可以抓取顶在抓斗铲齿下部污物的鹤式清污抓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1602A (en) * 1990-07-26 1992-05-12 Risch Joel V Backhoe clamp improvement
KR200201244Y1 (ko) * 2000-01-13 2000-11-01 최종선 굴삭기의 작업장치
US7818901B2 (en) * 2007-09-21 2010-10-26 Acs Industries, Inc. Progressive linkage for excavator thumb
KR20110116866A (ko) * 2010-04-20 2011-10-26 정경래 굴삭기의 집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9520A (zh) * 2014-12-18 2015-04-08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挖掘机用抓具
CN105780833A (zh) * 2016-04-21 2016-07-20 山东卡特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化多功能工程机械
CN105951907A (zh) * 2016-06-28 2016-09-21 天津市中机雄风机械有限公司 一种挖掘机铲斗防扬尘型装置及制备方法
KR20190142194A (ko) * 2018-06-14 2019-12-26 디아이특수장비 주식회사 개선된 굴삭기
CN111663596A (zh) * 2020-07-14 2020-09-15 李吉 一种可以抓取顶在抓斗铲齿下部污物的鹤式清污抓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588B1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588B1 (ko)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US6457761B1 (en) Detachable rotatable grapple
KR101760525B1 (ko) 더블 아암형 작업 기계
US6718663B1 (en) Assembly for coupling implements to excavating machines
KR101695438B1 (ko) 굴삭기용 회전가능한 퀵 커플러
KR0136104B1 (ko) 신속 분리 수단을 가진 관절식 크레인타입 기계
US6523284B1 (en) Multi-purpose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2020084755A (ja) 迅速交換連結装置、及び、その迅速交換連結装置を備えた迅速交換連結システム
US6539650B2 (en) Swivel mounting for quick attachment bracket
US20120301257A1 (en) Excavator Thumb
US3527362A (en) Crane attachment for backhoe
KR20210126722A (ko) 동력기계용 유압 레벨링 회로
US8257009B2 (en) Dipper stick with implement coupling means
JP2005232950A (ja) 作業機
KR101394863B1 (ko) 버킷 체결용 집게 링크 장치
KR101442165B1 (ko)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JP4028438B2 (ja) ピン抜差し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ピン抜差し治具
JP2019156313A (ja) クランプアームを備えた解体機械
US5271170A (en) Scoop for a mobile implement
JP3708860B2 (ja) 作業機械のクイックカプラ装置
KR101437629B1 (ko) 굴삭기용 그래브와 그 구동장치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210030757A (ko)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KR102558579B1 (ko)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
CN110552390A (zh) 一种施工机械的工具更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