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277A -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277A
KR20140110277A KR1020130024321A KR20130024321A KR20140110277A KR 20140110277 A KR20140110277 A KR 20140110277A KR 1020130024321 A KR1020130024321 A KR 1020130024321A KR 20130024321 A KR20130024321 A KR 20130024321A KR 20140110277 A KR20140110277 A KR 2014011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logistics
menu
wireless
wireless sc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권구포
송영윤
박준표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3002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0277A/ko
Publication of KR2014011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작업 전산화를 위해 사용하는 물류 전산 장비의 조작 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작업 효율화를 높이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무선 스캐너의 메뉴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스마트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여 무선 스캐너에서 조작한 메뉴의 실행을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스마트 장치의 화면을 보면서 작업 확인을 수행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스마트 장치를 반드시 소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물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MANAGEMENT OF DISTRIBUTION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물류 집하/배송에 관련된 작업 전산화에 관한 것으로, 물류 작업 전산화를 위해 사용하는 물류 전산 장비의 조작 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작업 효율화를 높이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물품 구매가 활성화됨에 따라 배송할 물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송업체에서는 배송 의뢰 관리, 배송 현황, 배차 관리, 배송 기록 등에 관한 이력을 전산화하고, 전산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좀더 편리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최근 들어서는 물류의 집하, 배송 또는 출고(picking) 관리에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장치의 화면을 보고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작업 준비 과정이 번거롭고, 스마트 장치 외에 물류를 인식할 수 있는 스캐너를 별도로 갖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물류 작업 전산화를 위해 사용하는 물류 전산 장비의 조작 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은,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를 포함한 작업에 대하여 전산 관리를 위한 메뉴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물류의 상품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무선 스캐너; 상기 무선 스캐너로부터 메뉴 화면의 실행 또는 물류 작업 시작 메뉴의 선택이 입력되면 기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고, 상기 무선 스캐너로부터 물류 작업 메뉴의 선택이 입력되면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된 메뉴의 신호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장치; 및 상기 스마트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은, (a)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와 관련한 전산 관리를 위해 무선 스캐너가 물류 작업 메뉴 화면을 실행하는 단계; (b)상기 무선 스캐너가 스마트 장치로 상기 물류 작업 메뉴 화면의 실행을 알려 상기 스마트 장치 내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장치가 구동 중인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스캐너로부터 임의 작업 메뉴의 선택 또는 변경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 장치가 수신한 작업 메뉴의 신호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무선 스캐너의 메뉴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스마트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여 무선 스캐너에서 조작한 메뉴의 실행을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스마트 장치의 화면을 보면서 작업 확인을 수행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스마트 장치를 반드시 소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물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무선 스캐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스마트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무선 스캐너를 이용하여 물류 작업을 수행하면 스마트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무선 스캐너에서 조작한 기능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작업자가 스마트 장치의 화면을 보면서 작업 확인을 수행하는 과정이 불필요한 시스템의 구성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은 무선 스캐너(100), 스마트 장치(200),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300) 등을 포함한다.
무선 스캐너(100)는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에 관한 업무를 종사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기기로서,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키, 기능키(function key), 스캐너 등이 구비된다.
무선 스캐너(100)는 기본적으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물류(택배 상품)의 집하, 배송, 출고 등에 관련한 전산 관리(System Management: SM)업무, 검수 업무 등의 물류 작업을 위한 소정의 메뉴 화면을 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표시한 메뉴 화면의 안내에 따라 작업자가 입력한 물류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기록한 물류의 작업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물류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하나의 서버를 통해 통합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물류의 작업 정보는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 등에 관한 내역과, 그에 따른 상품 정보로서 상품에 부착된 상품 코드(code)를 포함한다. 상품 코드는 전자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번호로서 바코드, RFID태그, QR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대표적인 예로 바코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무선 스캐너(100)는 물류 작업을 위한 메뉴 화면에서 메뉴 선택의 입력이 있으면 스마트 장치(200)로 선택한 메뉴에 대한 신호를 전달한다.
스마트 장치(200)는 무선 스캐너(100)가 선택한 메뉴의 신호를 수신하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고, 이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한 메뉴의 신호를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300)로 출력한다.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물류 작업의 전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무선 스캐너(1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300)는 음성 출력 장치로서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을 포함한다.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300)는 스마트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한 음성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음성으로 물류 작업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300)는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며, 스마트 장치(200) 또한 작업자가 소지하거나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소지 형태가 아니어도 가능하다.
스마트 장치(200)는 휴대가 용이한 단말로서, 핸드폰, 스마트 폰, PDA,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200)는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무선 스캐너(100)의 메뉴 선택 변경 시 해당 메뉴의 명칭을 음성으로 제공하고, 집하 또는 배송 작업의 지시 및 완료를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물류 작업의 전산화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물류 전산 장비 즉, 무선 스캐너(100) 및 스마트 장치(200)의 사용법 및 거치를 단순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무선 스캐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스캐너(100)는 통신부(110), 조작 입력부(120), 스캔 인식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특히, 스마트 장치(20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조작 입력부(120)는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키, 기능키(function key) 등이 구비되어 물류 작업에 대한 데이터 입력, 메뉴 선택 등 작업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스캔 인식부(130)는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하여 상품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한다. 상품 코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코드가 될 수 있고, RFID 태그, QR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인식부(130)는 상품 코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한다. 예컨대, 상품 코드가 바코드인 경우 스캔 인식부(130)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스캐너로 구비되며, 상품 코드가 RFID 태그인 경우 이의 태깅을 통해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스캐너를 스캔 인식부(130)로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 등에 관한 전산 관리를 위해 물류 작업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기 저장되어 있는 물류 작업 메뉴 화면을 표시부(140)로 제공하고, 표시한 메뉴 화면의 안내에 따라 조작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물류의 작업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기록한 물류의 작업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표시한 메뉴 화면의 안내에 따라 조작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한 메뉴의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스마트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표시한 메뉴 화면의 안내에 따라 물류의 작업 정보를 기록할 때 스마트 장치로부터 GPS 관련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집하처와 배송처의 위치 정보와 현재 작업 수행 장소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스마트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200)는 통신부(210), 앱 구동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 GPS 모듈(250)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주변에 존재하는 무선 스캐너와의 데이터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와 연결하여 음성 신호를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로 전달한다.
출력부(230)는 앱 구동부(220)의 제어에 따라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230)는 시각적 표시를 위한 표시 스크린(232),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2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 스크린(232)을 통한 출력 보다는 스피커(234) 또는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한 음성 출력을 더 활용한다.
저장부(240)는 본 발명의 서비스(물류 작업 전산화 서비스, 음성 출력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242)을 저장하고,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242)을 통해 무선 스캐너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40)는 음성 출력을 출력부(230) 또는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300) 중 어느 장치를 통해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GPS 모듈(250)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앱 구동부(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242)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무선 스캐너로부터 통신부(210)를 통해 물류 작업 시작 메뉴의 선택이 입력되면 저장부(240)에 저장된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고, 구동 중인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선택된 물류 작업 메뉴의 명칭을 출력부(230)로 전달하거나 또는 통신부(210)를 통해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로 전달하여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후, 물류 작업 메뉴의 선택이 변경되면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부(230) 또는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로 전달하여 음성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무선 스캐너를 통해 물류 작업 메뉴를 조작하면 매 작업 결과를 스마트 장치 또는 스마트 장치와 연계된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앱 구동부(220)는 GPS 모듈(250)을 통해 산출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무선 스캐너로 전달하여 물류 집하, 배송을 위한 데이터 입력시 현재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에 기초하여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세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은 무선 스캐너(100)와 스마트 장치(200)간 상호 연동으로 물류 작업을 전산화하는 데 필요한 조작을 단순화시킨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무선 스캐너(100)가 물류 작업을 위한 메뉴 화면이 실행되거나 메뉴 화면에서 시작 메뉴가 실행되면 스마트 장치(200)로 이의 실행 여부를 전송하여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요청한다(S100, S101).
스마트 장치(200)는 무선 스캐너(100)로부터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요청을 수신하고 이의 요청에 따라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한다(S200).
이후, 무선 스캐너(100)가 물류 작업 메뉴의 선택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102).
물류 작업 메뉴의 선택이 입력되면 무선 스캐너(100)가 스마트 장치(200)로 선택된 메뉴의 신호를 전송한다(S103).
이에 따라 스마트 장치(200)는 무선 스캐너(100)로부터 선택 변경된 메뉴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뉴의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한다(S201, S202). 음성 출력은 스마트 장치(2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지만, 작업자가 소지한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로 출력하여 작업자가 스마트 장치(200)를 소지하지 않고서도 음성을 제공받고 물류 작업시마다 조작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03).
이후, 무선 스캐너(100)는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물류 작업을 수행한다(S104). 이 과정에서도 메뉴의 선택이 입력(변경)되면 스마트 장치(200)로 선택한 메뉴의 신호를 전송하여 작업 현황을 스마트 장치(200)로 알린다.
만약,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선택한 메뉴가 물류 인식 버튼이면 무선 스캐너(100)는 해당 상품에 부착된 상품 코드를 스캐닝한다(S105, S106).
이후, 스캐닝 완료한 메시지(신호)를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한다(S108).
선택한 메뉴가 물류 인식 버튼이 아니면 무선 스캐너(100)는 해당 다른 작업을 수행한다(S107).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작업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스마트 장치의 화면을 보고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 스캐너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변경되는 메뉴를 음성으로 듣고, 원하는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 버튼 누르기를 멈추었다가 무선 스캐너(100)를 이용하여 상품 코드를 인식한 후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무선 스캐너(100)가 상기의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물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S104)에서,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스캐너(100)는 수신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작업 수행 장소로 판단하고, 현재 작업 수행 장소가 집하처 또는 배송처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작업의 실수 및 오류를 최소화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무선 스캐너 200: 스마트 장치
300: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 110: 통신부
120: 조작입력부 130: 스캔인식부
140: 표시부 150: 제어부
210: 통신부 220: 앱 구동부
230: 출력부 232: 표시스크린
234: 스피커 240: 저장부
242: 물류 관리 앱 250: GPS모듈

Claims (8)

  1.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를 포함한 작업에 대하여 전산 관리를 위한 메뉴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물류의 상품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무선 스캐너;
    상기 무선 스캐너로부터 메뉴 화면의 실행 또는 물류 작업 시작 메뉴의 선택이 입력되면 기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고, 상기 무선 스캐너로부터 물류 작업 메뉴의 선택이 입력되면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된 메뉴의 신호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장치; 및
    상기 스마트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무선 스캐너와 상기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와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부와,
    물류 작업의 전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 저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 스캐너로부터 물류 작업 시작 메뉴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하고, 상기 무선 스캐너로부터 물류 작업 메뉴의 선택이 변경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메뉴의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제공하는 앱 구동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앱 구동부는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산출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스캐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스캐너는,
    상기 스마트 장치로부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작업 수행 장소로 판단하고 상기 작업 수행 장소가 집하처와 배송처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5. (a) 물류의 집하, 배송, 출고와 관련한 전산 관리를 위해 무선 스캐너가 물류 작업 메뉴 화면을 실행하는 단계;
    (b)상기 무선 스캐너가 스마트 장치로 상기 물류 작업 메뉴 화면의 실행을 알려 상기 스마트 장치내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구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장치가 구동 중인 물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스캐너로부터 임의 작업 메뉴의 선택 또는 변경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 장치가 수신한 작업 메뉴의 신호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스마트 장치가 수신한 작업 메뉴의 신호를 내부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거나, 상기 외부의 유무선 음성 출력 장치로 전달하여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e) 상기 무선 스캐너가 선택한 작업 메뉴에 해당하는 물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한 작업 메뉴가 물류 인식 버튼이면 상기 무선 스캐너가 물류에 부착된 상품 코드를 스캐닝하고, 스캐닝 완료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무선 스캐너가 상기 스마트 장치로부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작업 수행 장소로 판단하고 상기 작업 수행 장소가 집하처와 배송처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방법.
KR1020130024321A 2013-03-07 2013-03-07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0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21A KR20140110277A (ko) 2013-03-07 2013-03-07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21A KR20140110277A (ko) 2013-03-07 2013-03-07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277A true KR20140110277A (ko) 2014-09-17

Family

ID=5175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21A KR20140110277A (ko) 2013-03-07 2013-03-07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02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90A (ko) 2016-10-07 2016-10-20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기사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1316A (ko) * 2019-06-10 2020-12-18 주식회사 유플러스아이티 스캐너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및 숫자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물류 관리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90A (ko) 2016-10-07 2016-10-20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기사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1316A (ko) * 2019-06-10 2020-12-18 주식회사 유플러스아이티 스캐너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및 숫자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물류 관리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2786B2 (en) Product and location management via voice recognition
US10621538B2 (en) Dynamic check digit utilization via electronic tag
KR101461063B1 (ko) 택배화물 배송시스템
US962162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ity guidance and monitoring
US201102956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order management
KR101955527B1 (ko) 배송기사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54686A1 (en) Auto-generation of user interface by mobile terminal and equipment control system using same
KR20120001164A (ko) 휴대용 바코드 및 rfid 무선리더기
JP2006178845A (ja) レンタ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レンタル管理プログラム
JP2007254040A (ja) 棚出し管理システム、棚出し管理方法及び棚出し管理用プログラム
US202303063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orker resource management
JP2012041099A (ja) ピッキング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ピッキング作業支援方法
KR102460039B1 (ko)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법, 기기 및 저장매체
KR101533360B1 (ko) 물류 관리 및 오더 피킹을 위한 사물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0277A (ko)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물류 작업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9614A (ko) 작업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30696A (ko) 공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5884B1 (ko)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nfc 태그를 포함하는 원칩을 이용하는 자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20032192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7783515B (zh) 一种现场设备检测及管理系统
KR20150129337A (ko) 맞춤형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관리방법
KR100859198B1 (ko) Rfid와 gps를 이용한 이동형 위치 확인 시스템
CN209980303U (zh) 基于物联网的运输流程管理系统
JP5139548B2 (ja) 上位コンピュータ、店舗コンピュータ、情報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262745B2 (ja) 発注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