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776A -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776A
KR20140106776A KR1020130020585A KR20130020585A KR20140106776A KR 20140106776 A KR20140106776 A KR 20140106776A KR 1020130020585 A KR1020130020585 A KR 1020130020585A KR 20130020585 A KR20130020585 A KR 20130020585A KR 20140106776 A KR20140106776 A KR 20140106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ignal
terminal
response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781B1 (ko
Inventor
서재민
정혜전
김은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81B1/ko
Priority to AU2014200816A priority patent/AU2014200816B2/en
Priority to TW103105185A priority patent/TWI645311B/zh
Priority to IN810CH2014 priority patent/IN2014CH00810A/en
Priority to US14/186,874 priority patent/US9319823B2/en
Priority to EP14156205.8A priority patent/EP2770705B1/en
Priority to CA2843994A priority patent/CA2843994A1/en
Priority to CN201410067257.9A priority patent/CN104010071A/zh
Priority to BR102014004604A priority patent/BR102014004604A2/pt
Priority to JP2014035416A priority patent/JP6403397B2/ja
Priority to PCT/KR2014/001557 priority patent/WO2014133314A1/en
Publication of KR2014010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이어폰 착용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전송되는 검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응답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이어폰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신호를 중단하는 제어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Application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and Earphone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ling system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의 장착 여부에 따라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을 지능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아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 크기가 확대됨과 아울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발달에 힘입어 극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한편 단말기의 액세서리 장치로서 이어폰 장치가 제공된다. 단말기 사용자들은 이어폰 장치를 단말기에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장치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다. 그런데 단말기 사용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이어폰 장치를 귀에서 탈착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이어폰 미착용 상태 이전에 오디오 신호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이어폰을 통하여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컨텐츠 청취를 희망하는 경우 이를 적절히 지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이어폰 장치 탈착 여부를 확인하여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지능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 탈착 확인을 위한 무전원 센서를 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적절한 탈착 확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어폰 착용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전송되는 검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응답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이어폰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신호를 중단하는 제어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무전원 센서를 구비하는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이어폰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의 무전원 센서에서 출력되는 검출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리더기,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검출 신호를 전송 및 검출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검출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신호를 중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오디오 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헤드부,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이어폰 장치의 접지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헤드부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 및 미착용에 따른 검출응답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무전원센서와, 상기 무전원 센서 및 상기 헤드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이폰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헤드부,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이어폰 장치의 접지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헤드부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 및 미착용에 따른 검출응답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무전원센서와, 상기 무전원 센서 및 상기 헤드부를 감싸는 케이스로 구성되며, 단말장치가 상기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이어폰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의 무전원 센서에서 출력되는 검출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리더기,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검출 신호를 전송 및 검출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검출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신호를 중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의 탈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도 탈착 확인을 위하여 무전원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이어폰 장치 구성 중 이어폰 헤드의 다양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A 내지 도 2D의 이어폰 헤드 구성 중 무전원 센서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단말기 구성 중 이어폰 인터페이스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단말기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앱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자동 통화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자동 영상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체온 정보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오디오 신호 출력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자동 볼륨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장착" 또는 "연결"은 이어폰 장치가 단말기의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삽입된 상태로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장착 해제" 또는 "삽탈", 또는 "연결 해제"는 이어폰 장치가 이어폰 인터페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로서 정의한다. 한편 "착용"은 이어폰 장치를 사용자의 일정 위치 예컨대 귀의 일정 부분에 삽입한 상태로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미착용" 또는 "착용 해제"는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 헤드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10)은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로서 단말기(100) 및 무전원 센서(210)가 배치된 이어폰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10)은 무전원 센서(210)가 배치된 이어폰 장치(200)를 단말기(100)에 연결한 상태, 이어폰 장치(200) 구성 중 무전원 센서(210)가 배치된 이어폰 헤드들(201, 202)을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 무전원 센서(210)가 배치된 이어폰 장치(200)를 단말기(100)로부터 분리한 상태 등에 따라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10)은 무전원 센서(210)를 이어폰 헤드들(201, 202)의 일정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이어폰 장치(200)를 착용하는 경우와 착용하지 않은 경우를 각각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10)은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 및 이어폰 미착용 경우 단말기(100) 운용 상태를 구분하여 각각 적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단말기 기능 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10)은 이어폰 장치(200)에 무전원 센서(210)를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센서 전원 제공 없이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10)은 효과적인 전원 관리와 운용을 기반으로 단말기(100) 기능을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될 수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하며, 이어폰 장치(200) 삽입 시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이어폰 장치(200)를 단말기에 장착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장치(200)에 출력하고, 미 장착의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를 본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 또는 미착용 여부에 따라 보다 적응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을 제어하도록 지원하거나 또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기능의 운용 제어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에 대해서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 확인 및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위한 단말기(100)의 각 구성과 구성들의 역할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에 따른 다양한 기능 제어에 대한 다양한 예시들을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폰 장치(200)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된 후 단말기(100)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어폰 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에 마련된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는 이어폰 잭(203), 이어 마이크(204), 이어폰 헤드들(201, 202)을 포함하며 각 구성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폰 잭(203)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상호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이어 마이크(204)를 포함하는 구조의 경우 4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에서 이어 마이크(204)가 제외되도록 설계되는 경우 이어폰 잭(203)은 3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는 무전원 센서(210)가 이어폰 헤드들(201, 202)에 마련됨으로써, 이어폰 헤드들(201, 202)을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이를 단말기(100)가 구분할 수 있도록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주변 환경에 따라 변화된 무전원 센서(210)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변조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제공한다. 이하 무전원 센서(210)의 배치 및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 구성 중 이어폰 헤드들(201, 20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A는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이어폰 헤드들(201, 202)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헤드들(201, 202)은 헤드부(220), 무전원 센서(210) 및 케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헤드부(220)에는 케이블(240)이 연결된다.
헤드부(220)는 케이블(240)을 통해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헤드부(220)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가지며 형성된다. 특히 헤드부(220)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정 강성 유지를 위하여 강화 플라스틱이나 에폭시 재질, 또는 기타 다양한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220)의 밑단은 케이블(240)이 연결 및 고정되며, 상단은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공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230)는 무전원 센서(210)가 배치된 헤드부(220)를 감싸는 구조물이다. 특히 케이스(230)는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는 구성으로서 이질감 제거를 위하여 특정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230)는 고무 재질, 라텍스 재질, 폴리우레탄 재질 등 탄성 재질 또는 면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특히 케이스(230)는 헤드부(220)에 배치된 무전원 센서(210)를 감싸되 외부에서 제공되는 일정 물리 환경의 변화를 무전원 센서(210)에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30)는 헤드부(220)에 마련된 음공이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전원 센서(210)는 헤드부(220) 외벽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물리 환경에 따라 특정 상태를 가진다. 예컨대 무전원 센서(210)는 일정 온도가 제공된 상태에서는 해당 온도에 대응하는 특정 물리적 변화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온도 변화에 따라 다른 물리적 변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무전원 센서(210)는 일정 압력이 제공된 상태 또는 압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에 대응하는 특정 물리적 변화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압력 변화에 따라 다른 물리적 변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무전원 센서(210)는 온도나 압력뿐만 아니라, 진동이나 가속도 변경 또는 리더기와의 거리 변경 등에 따라 물리적 상태 변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무전원 센서(210)는 SAW(Surface Acoustic Wave)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이어폰 헤드(201, 202)의 무전원 센서(210) 위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헤드들(201, 202)에서 헤드부(22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는 몸체부(221)와 몸체부(221)에 결합되는 원반형 음향 출력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향 출력부(222)는 몸체부(221)의 개구된 영역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무전원 센서(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출력부(222)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두 개의 무전원 센서(210)가 음향 출력부(222) 저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무전원 센서(210)의 또 다른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전원 센서(210)는 헤드부(220)를 덮는 케이스(23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30)는 몰드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귀착용 시 이질감 발생 방지를 위하여 고무 재질 또는 그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케이스(230)는 헤드부(220) 전면을 감싸는 베젤과 베젤의 전면에서 배치되며 다수의 타공부를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무전원 센서(210)는 베젤 내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덮개와 베젤 사이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무전원 센서(210)는 착용자의 귀에서 발산되는 체온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30) 내측에 무전원 센서(210)를 배치하기 위하여 무전원 센서(21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SAW(Surface Acoustic Wave) 센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무전원 센서(210)의 보다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전원 센서(210)의 센싱 구조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전원 센서(210)는 센싱부(213), 트랜스폰더(212) 및 안테나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싱부(213)는 외부 물리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센싱부(213)는 외부 물리 환경 변화에 따라 표면 상태가 변화되어 특정한 물리적 변화 상태를 가진다. 예컨대 센싱부(213)는 외부 압력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표면 상태가 압축되거나 확장된 물리적 변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해당 물리적 변화 상태는 트랜스폰더(212)에 전달될 수 있다.
트랜스폰더(212)는 센싱부(213)와 안테나부(2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트랜스폰더(212)는 센싱부(213)에 제공된 물리적 변화에 따라 일정 상태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폰더(212)는 안테나부(211) 등을 통해 전달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센싱부(213)에 전달하고, 센싱부(213)를 거쳐 피드백되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안테나부(211)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트랜스폰더(212) 및 센싱부(213)을 통해 전달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는 해당 구성들의 물리적 변화 상태에 따라 일정 신호 변화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에 물리적 상태 변화가 적용된 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전원 센서(210)가 무선 타입이 아닌 유선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트랜스폰더(212)는 안테나부(211) 대신에 일정 신호 라인 예컨대 이어폰 장치(200)의 이어폰 헤드들에 마련된 접지 라인들과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부(211)는 트랜스폰더(212)에 연결되어 단말기(100)에 마련된 리더기로부터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트랜스폰더(212)에 전달한다. 그리고 안테나부(211)는 트랜스폰더(212)가 제공하는 무전원 응답 신호를 리더기에 전달한다. 한편 안테나부(211)는 무전원 센서(210)가 무선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이어폰 장치(200)에 마련된 특정 신호 라인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부(211)는 이어폰 장치(200)에 마련된 신호 라인 예컨대 접지 라인들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무전원 센서(210)는 안테나부(211)와 신호 라인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에 마련된 안테나부(211)와 신호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무전원 센서(210)로부터 검출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무전원 센서(210)의 안테나부(211)에 검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신호 라인을 통하여 유선으로 검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검출 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고, 안테나부(211)로부터 송출되는 검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리더기(18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단말기(1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무전원 센서(210)가 배치된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되면 설정 이벤트에 따라 제어부(160)가 리더기(180)를 제어하여 이어폰 장치(200)의 착용 상태 확인을 위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 송출을 지원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 출력에 대응하여 수신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의 형태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여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적응적으로 활성화하거나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활성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이벤트는 이어폰 장치(200) 삽입 이후 일정 주기 도래, 실시간, 이어폰 장치(200) 착용 확인을 위한 특정 입력 신호 발생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이벤트는 이어폰 장치(200) 삽입에 관계없이 일정 주기 도래, 실시간, 이어폰 장치(200) 착용 확인을 위한 특정 입력 신호 발생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경우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110)는 제외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통신 기능 예컨대 이동통신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복수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경우 각각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2G, 3G, 4G 등의 이동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나, NFC 모듈, RFID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이어폰 장치(200)의 장착 및 이어폰 장치(200)의 착용 상태에 따라 제어부(160) 제어 하에 적응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사용자의 일정 위치에 착용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사전 정의된 특정 전화번호를 가진 타 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특정 전화번호를 가진 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상태 변경된 경우 자동으로 비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및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변경된 경우 통화 연결 종료를 위한 신호가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통화 연결 및 이어폰 장치(200) 착용 해제가 발생하면 통신부(11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는 자동으로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또는 착용 해제에 따른 기능 선택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설정 조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입력부(120)는 홈키, 사이드 키, 전원 키 등 하드웨어 물리 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가상 키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무전원 센서(210) 기반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를 디폴트로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디폴트로 적용되는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각 기능별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지원을 위하여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호출 입력 신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를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가 설정된 단말기 기능의 모드 해제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각 입력 신호 수신 시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며, 추가 입력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기능을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가 적용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설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 신호들은 생성 후 제어부(160)에 제공되어 해당 입력 신호 기능 지원을 위하여 명령어로 변경 및 적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및 오디오 신호의 수집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 구성과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설정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특정 단말기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해당 단말기 기능에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가 설정된 상태이면 그에 대응하는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이어폰 장치(200)의 장착 상태 및 이어폰 장치(200)의 착용 상태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 패스를 전환하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30)는 이어폰 장치(200)가 미장착된 상태인 경우 오디오 신호를 단말기(100) 본체에 마련된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통화 기능 수행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미장착된 경우 리시버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되고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된 경우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장치(200)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되었지만 미착용된 상태인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이어폰 장치(200)의 장착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따라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기능 운용과 관련된 화면 예컨대 음성 통화 기능 수행 화면, 영상 통화 기능 수행 화면, 폰북 화면, 오디오 파일 재생 화면, 방송 수신 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 등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특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이어폰 장치(200) 착용과 관련된 정보를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를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착용과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인디케이터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착용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팝업창으로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착용에 따라 운용 가능한 기능 관련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표시부(140) 화면의 일예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된 운영체제, 통신부(110) 운용을 위한 통신 기능 지원 응용 프로그램, 방송 수신 기능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각 기능 운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지원을 위하여 이어폰 운용 지원 프로그램(151), 기능 테이블(155) 및 기준 데이터(153)를 저장할 수 있다.
이어폰 운용 지원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착용에 따라 특정 단말기 기능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루틴을 포함한다. 예컨대 이어폰 운용 지원 프로그램(151)은 이어폰 장치(200) 장착 여부를 검출하는 루틴,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루틴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루틴은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루틴,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기준 데이터(153)와 비교하는 루틴, 비교 결과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결정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또한 이어폰 운용 지원 프로그램(151)은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 결과에 따라 특정 응용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단말기 기능을 적응적으로 변경하거나, 이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기능 제어 루틴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 제어 루틴은 단말기 기능의 종류를 확인하는 루틴, 기능 테이블(155)을 참조하여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에 따라 단말기 기능을 조절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기능 테이블(155)은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들의 종류와,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설정 시 이어폰 장치(200) 장착과 착용 여부에 따라 수행될 다양한 스케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테이블이다. 예컨대 기능 테이블(155)은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에 따라 통화 기능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제어 정보,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에 따라 통화 기능 수행 시 오디오 신호 출력 패스를 결정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 테이블(155)은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에 따라 볼륨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설계된 설정 정보, 이어폰 장치(200) 착용자의 체온에 따라 특정 정보를 출력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테이블(155)은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면 제어부(160)로부터 호출되고 특정 기능 수행여부 및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에 따른 기능 지원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153)는 이어폰 장치(200)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즉 기준 데이터(153)는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된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200)에 마련된 무전원 센서(210)로부터 수집되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때 기준 데이터(153)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에 따라 물리적 압력이 가해진 무전원 센서(210)로부터 응답되는 센서 신호, 이어폰 장치(200) 착용에 따라 일정 온도 환경이 제공된 무전원 센서(210)로부터 응답되는 센서 신호, 리더기(18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환경에 따라 무전원 센서(210)로부터 응답되는 센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153)는 이어폰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장착된 이후 리더기(180)에 의하여 이어폰 장치(200) 장착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리더기(18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에 대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리더기(180)는 수집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리더기(180)는 무전원 센서(210)의 설계 타입에 따라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거나 유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즉 리더기(180)는 무전원 센서(210)가 안테나부(211)를 포함하는 무선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무선으로 무전원 센서(210)에 송출한다. 이를 위하여 리더기(180)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 송출 및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 수신을 위해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더기(180)는 무전원 센서(210)가 유선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된 접지 단자 및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200)의 접지 라인들을 통하여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리더기(180)는 동일한 신호 라인을 통하여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리더기(180)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의 송출 및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신을 위해 별도의 안테나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장치(200)의 이어폰 잭(203)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내부에는 이어폰 잭(203)에 형성된 단자들과 접촉될 수 있도록 각 단자들이 배치된다. 예컨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C 단자, OPEN_DET 단자, EARSPK_L 단자, EARSPK_R 단자, 접지 단자(GN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 이용되지 않는 단자가 더 마련될 수 있다. OPEN_DET 단자는 이어폰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자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단자들 중에 접지 단자(GND)는 무전원 센서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지 단자(GND)는 이어폰 장치(200)의 접지 라인들과 연결된다. 각 접지 라인들은 이어폰 헤드들(201, 202)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무전원 센서(210)들이 이어폰 장치(200)의 각 접지 라인들에 연결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접지 라인들을 통하여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가 이어폰 헤드들(201, 202)에 배치된 무전원 센서(210)에 공급되며, 동일한 접지 라인들을 통하여 무전원 센서(210)의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가 단말기(100)에 전달된다.
한편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구성 중 접지 단자(GND)는 단말기(100)가 라디오 기능을 지원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라디오 모듈 예컨대 FM 모듈(190)과 연결되어 라디오 안테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접지 단자(GND)가 FM 모듈(190)과 리더기(180) 기능 운용 과정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71)는 제어부(16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71)는 디폴트로 리더기(180)와 접지 단자(GND)를 연결하도록 세팅될 수 있으며, FM 모듈(190) 운용 즉 라디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접지 단자(GND)를 FM 모듈(190)과 연결되도록 스위치(171)가 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지원 시에는 스위치(171)를 제어하여 리더기(180)와 접지 단자(GND) 간에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가지도록 지원하며, 라디오 기능 운용 시에는 FM 모듈(190)과 접지 단자(GND) 간에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가지도록 지원한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지원을 위한 신호 제어와, 데이터의 처리, 데이터의 전달, 기능의 제어 및 기능 제어를 위한 무전원 센서(210)의 상태 확인 등을 위한 처리를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 중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 신호 비교부(163) 및 기능 운용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리더기(180)를 제어하여 사전 정의된 일정 패턴의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이어폰 장치(200)에 배치된 무전원 센서(210)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일정 패턴의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사전 정의된 설정 이벤트에 따라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는 경우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이어폰 장치(200) 삽입 확인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주기 단위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이어폰 장치(2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장착 확인을 위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이어폰 장치(200) 삽입 또는 이탈 확인을 위한 단자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의 송출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방식 및 유선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우선적으로 유선 방식에 따라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 송출을 일정 횟수 이상 시도하고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의 수신 실패의 경우 무선 방식에 따라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 송출이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리더기(180)로부터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전달받으면, 이를 신호 비교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추가로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설계 방식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일정 주기 단위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검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무선 방식에 따라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의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전원 센서 기반의 이어폰 운용 시스템은 무선 방식 적용으로 구성되는 경우 무선 헤드셋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스위치(171)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즉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면 디폴트로 접지 단자(GND)와 리더기(180)가 서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FM 모듈(190) 기반의 라디오 기능 수행을 요청받는 경우 스위치(171)를 제어하여 접지 단자(GND)와 FM 모듈(190)을 연결하여 접지 단자(GND)에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200)의 접지 라인들이 FM 모듈(190)의 안테나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신호 비교부(163)는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로부터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전달 받으면 해당 신호를 기준 데이터(153)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비교부(163)는 기준 데이터(153)와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의 일치 여부 결과를 기능 운용부(165)에 제공한다. 이때 신호 비교부(163)는 기준 데이터(153)가 복수 개인 경우 수신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가 어떠한 기준 데이터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능 운용부(165)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이어폰 헤드들(201, 202)에 무전원 센서(21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무전원 센서 신호 수집부(161)는 이어폰 헤드들(201, 202) 각각에 배치된 무전원 센서(210)들에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들을 송출하도록 제어하여 그에 대응하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들을 수신하여 신호 비교부(163)에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호 비교부(163)는 이어폰 헤드들(201, 202) 각각에 배치된 무전원 센서(210)들로부터 수신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들을 기준 데이터(153)에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신호 비교부(163)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 중 제1 신호를 압력 관련 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비교부(163)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 중 제2 신호를 온도 관련 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비교부(163)는 제1 신호에 대한 압력 관련 기준 데이터 비교 결과와 제2 신호에 대한 온도 관련 기준 데이터 비교 결과를 각각 기능 운용부(165)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신호 비교부(163)는 설계 방식에 따라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들 모두를 압력 관련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온도 관련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 결과를 기능 운용부(165)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상황을 지원하기 위하여 단말기(100)는 각 상황에 맞는 기준 데이터들 예컨대 압력 관련 기준 데이터, 온도 관련 기준 데이터, 거리 관련 기준 데이터 등을 사전 저장할 수 있다. 각 기준 데이터들은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된 상태에서의 신호 값과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신호 값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 상태의 상황별 레벨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황별 레벨 값은 착용 압력 변화 레벨에 따른 데이터들, 착용자의 온도 변화 레벨에 따른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기능 운용부(165)는 신호 비교부(163)가 제공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 및 기준 데이터(153)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특정 단말기 기능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기능 운용부(165)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155)을 확인하고, 이어폰 장치(200)의 착용 상태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
예컨대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 비교 결과를 신호 비교부(163)로부터 수신하면 기능 운용부(165)는 사전 설정된 특정 오디오 파일, 동영상 파일, 이북 파일 등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그에 따른 화면 출력 및 오디오 신호 출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운용부(165)는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장치(20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운용부(165)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특정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전화번호를 가진 타 단말기와 음성 통화 채널을 자동으로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운용부(165)는 카메라를 운용하여 사용자가 표시부(140) 일정 영역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 통화 채널 대신에 영상 통화 채널을 자동으로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카메라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영상 통화 지원을 위하여 표시부(140)가 배치된 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기능 운용부(165)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인 경우 자동 음량 조절, 오디오 신호 출력 패스의 전환, 체온 정보에 따른 정보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운용부(165)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이 해제된 경우 현재 수행되고 있는 앱을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이어폰 장치(200) 착용이 재개되었거나 착용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일시 중지된 앱을 다시 재생하거나 재생 중인 앱의 재생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운용부(165)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이 해제된 경우 자동 녹음 또는 자동 녹화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이어폰 장치(200) 착용이 재개된 경우 녹음 또는 녹화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 착용 여부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701 단계에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60)가 기능 운용 대기를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지원을 위하여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을 단말기(100)의 일정 구성들에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703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705 단계로 분기하여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 또는 입력부(12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른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 연결 확인을 위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특정 단자의 신호 변화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703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707 단계로 분기하여 무전원 센서(210) 기반 이어폰 헤드들(201, 202)의 착용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사전 정의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 또는 더미 신호를 무전원 센서(210)에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리더기(180)를 제어하여 일정 패턴의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무선 방식 및 유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더미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송된 더미 신호를 일시 저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송출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에 대응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집한다. 제어부(160)는 더미 신호를 송출한 경우, 더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709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제어부(160)는 송출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와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비교 결과 값과 사전 정의된 기준 데이터(153)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더미 신호와 더미 신호의 응답 신호 간의 비교 결과 값을 기준 데이터(153)와 비교할 수 있다. 709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된 상태로 판단되면 즉 기준 데이터(153)와의 비교 결과가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에 해당하는 값이 확인되면, 제어부(160)는 711 단계로 분기하여 이어폰 장치(200) 착용에 따른 기능 운용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에 따라 사전 정의된 특정 전화번호를 이용한 자동 통화 연결, 오디오 신호 출력이 필요한 오디오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특정 방송 채널 운용을 지원하는 앱의 자동 재생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709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미착용 상태 또는 착용 해제 상태인 경우 제어부(160)는 713 단계로 분기하여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또는 착용 해제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이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착용 해제에 따라 수행 중이던 앱 기능을 일시 중지하거나 현재 수행 중인 앱 기능 실행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한 녹음 또는 녹화 기능을 자동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715 단계에서 연결된 이어폰 장치(200)의 연결 해제 여부 즉 삽탈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 해제된 경우 제어부(160)는 이어폰 기능 종료를 지원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71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 상태를 유지한 경우 707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의 확인을 사전 정의된 일정 주기 단위로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실시간으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된 이후 입력부(120) 등으로부터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 확인을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 확인 및 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앱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앱 재생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160)가 801 단계에서 설정에 따라 사전 정의된 기준파에 해당하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무전원 센서(210)에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803 단계에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에 해당하는 반사파를 수집한다.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가 수집되면 제어부(160)는 805 단계에서 기준파 대비 반사파 변화 정도를 사전 정의된 기준 데이터(153)와 비교하여 기준 데이터(153)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60)는 805 단계에서 기준파 대비 반사파 변화 정도가 기준 데이터(153) 이상인 경우 807 단계로 분기하여 수행 중인 앱을 중지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 저장을 수행하거나, 이전 수행된 앱의 저장 상태에서부터 다시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기준파 대비 반사파 변화 정도가 기준 데이터(153) 이상으로 수신되어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가 해제되었거나 또는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807 단계로 분기하여 이어폰 장치(200) 착용에 따른 일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무전원 센서(210)의 신호 변화만을 검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어 무전원 센서(210) 기반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설계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기능 수행을 위하여 기준파 대비 반사파 변화 시점의 이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기준파 대비 반사파 변화 시점 직전에 단말기(100) 상태가 특정 앱을 일시 중지한 상태인지 또는 특정 앱을 재생하고 있는 상태인지 등에 대한 이력을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기준파 대비 반사판 변화가 발생하면 이전 상태와 다른 상태 즉 일시 중지된 앱을 재생하거나, 재생 중인 앱을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805 단계에서 기준파 대비 반사파 변화가 기준 데이터 이하인 경우 즉 별도의 이어폰 장치(200) 착용 또는 미착용 상태의 변화가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809 단계로 분기하여 수행 중인 앱 운용을 이전과 동일한 상태를 가지도록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앱이 일시 중지된 상태인 경우 일시 중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앱이 재생 중인 상태인 경우 재생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811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 연결 해제가 없는 경우 8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자동 통화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 통화 운용 방법은 먼저 제어부(160)가 901 단계에서 설정에 따라 기준파에 해당하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무전원 센서(21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903 단계에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집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905 단계에서 수집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가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 확인을 위한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 및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 변화 정도를 확인하여 수행될 수 있다. 905 단계에서 수집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 확인 과정에서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907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현재 수집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 확인 과정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909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호 발신 준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통화호 발신 준비 상태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907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 유지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909 단계에서 단말기(100) 상태가 통화호 발신 준비 상태인 경우 제어부(160)는 911 단계로 분기하여 자동 통화호 발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화호 발신 준비 상태는 특정 전화번호가 입력된 상태, 폰북 정보 중 특정 전화번호가 지정된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913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연결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 연결이 해제된 경우 915 단계에서 자동 통화호 발신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913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917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연결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이 수행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160)는 919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연결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이 미수행 상태인 경우 9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907 단계, 915 단계 및 919 단계들의 수행 이후 단말기(100)의 기능 운용 대기 상태로 리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대기 화면 출력 상태로 복귀하거나, 이어폰 장치(200) 연결 직전에 수행되던 기능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영상 통화 자동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통화 자동 운용 방법은 먼저 1001 단계에서 제어부(160)가 설정에 따라 기준파에 해당하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된 경우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의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의 장착 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1003 단계에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005 단계로 분기하여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상태인 경우 1023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웹 페이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거나 파일 편집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10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1007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호 발신 준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통화호 발신 준비 상태가 아닌 경우 1023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007 단계에서 통화호 발신 준비 상태인 경우 1009 단계로 분기하여 카메라 주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통화호 발신 준비 상태인 경우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영상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수집된 영상에서 눈 및 눈동자 위치 확인을 수행한다. 여기서 눈동자 위치 또는 눈동자 각도가 사전 정의된 일정 각도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제어부(160)는 1009 단계에서의 카메라 주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1009 단계에서 사용자가 카메라를 주시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1011 단계로 분기하여 자동 영상 통화호 발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009 단계에서 사용자가 카메라를 주시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1013 단계로 분기하여 일반 통화호 자동 발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1015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연결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통화가 연결되면 1017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연결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영상 통화호 기반 통화 연결이 수행되면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 및 마이크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타 단말기가 제공한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일반 음성 통화호 기반 통화 연결이 수행되면 마이크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1015 단계에서 통화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1019 단계로 분기하여 이어폰 장치(200) 착용 해제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이 해제된 경우 1021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발신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자동 통화호 발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수락하기 이전에 이어폰 장치(200) 착용 해제가 발생하면 통화호 발신을 자동으로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019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1009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온도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온도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제어부(160)가 1101 단계에서 설정에 따라 기준파에 해당하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무전원 센서(210)에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이후 1103 단계에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집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무전원 센서(210) 기반으로 이어폰 장치(200) 착용자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기준 데이터(153) 비교 과정에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온도 정보와 관련된 기준 데이터(153)와 비교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기준 데이터(153) 마련 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에 해당하는 온도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1105 단계에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상태로 판단되면 1113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11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로 판단되면 1107 단계로 분기하여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이어폰 장치(200) 착용자의 체온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109 단계에서 검출된 체온 정보가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체온 값이 사전 정의된 일정 기준 값 이하인 경우 1113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 현재 상태 유지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1109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자의 체온 정보가 일정 기준 값 이상인 경우 1111 단계로 분기하여 체온 경고 및 관련 정보 제공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자에게 현재 체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체온 상태에서 취해야 할 행동 강령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체온 상태에 따른 행동 강령 정보를 사전 저장하여 제공하거나, 체온 상태에 따른 행동 강령 정보를 제공해주는 웹 사이트 접속 및 그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행동 강령 정보 이외에 현재 단말기(100)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의 병원 위치 정보를 지도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오디오 신호 출력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디오 신호 출력 전환 방법은 제어부(160)가 1201 단계에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하고 1203 단계에서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집하여 12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2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로 판단되면 1213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12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으로 확인되면 1207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장착 확인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209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장착 여부를 확인하여 이어폰 장치(200) 장착 상태인 경우에는 1211 단계로 분기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 패스를 단말기(100) 스피커(SPK)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209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미장착 상태인 경우 1213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이어폰 장치(200) 장착 상태를 나중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오디오 신호 출력 전환 방법은 우선 이어폰 장치(200) 장착 여부를 확인하고,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상태인 경우 오디오 신호 출력 패스를 단말기(100) 스피커(SPK)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 상태인 경우 오디오 신호 출력 패스를 이어폰 장치(200)를 포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중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은 제어부(160)가 1301 단계에서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1303 단계에서 그에 대응하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수집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13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60)는 13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상태로 판단되면 1313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13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로 판단되면 1307 단계로 분기하여 무전원 센서(2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와 기준 데이터(153) 비교 시 압력 크기 검출을 위해 마련된 기준 데이터(153)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309 단계에서 검출된 압력의 크기가 일정 기준 값 이상인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검출된 압력의 크기가 기준 값 이하인 경우 1313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검출된 압력의 크기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1311 단계로 분기하여 자동 음량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압력의 크기에 대한 복수의 레벨을 설정하고, 각 레벨에 따라 음량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하거나 더 적게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어폰 장치(200) 착용 시 사용자는 이어폰 헤드들(201, 202)을 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주변 노이즈가 더 많은 경우 이어폰 헤드들(201, 202)을 귓속에 보다 깊이 삽입하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귓바퀴에 단순히 거치하는 정도에 비하여 무전원 센서(210)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크게 검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무전원 센서(2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보다 크게 자동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반대로 무전원 센서(21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할수록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되도록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능 지원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14는 이어폰 장치(200)의 장착과 착용 상태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의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장착되고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 상태이면 1401 화면에서와 같이 이어폰 착용 상태임을 나타내는 착용 상태 정보, 이어폰 장치(200) 착용자의 체온 정보, 이어폰 장치(200)로 송출될 볼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1401 화면은 표시부(140)가 착용 상태 정보, 체온 정보 및 볼륨 정보 모두를 출력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단말기(100)는 상술한 정보들의 출력을 위하여 리더기(180)를 제어하여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접지 단자, 이어폰 장치(200)에 포함된 접지 라인들을 통하여 전송되며, 이어폰 헤드들(201, 202)에 마련된 무전원 센서(210)에 전달된다. 또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는 무선 방식으로 리더기(180)에서 송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리더기(180)는 안테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더기(180)에 포함된 안테나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 송출을 위하여 무지향성 안테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어폰 헤드들(201, 202)에 배치된 무전원 센서(210)는 무전원 센서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물리적 특성에 따라 해당 신호의 반사파에 해당하는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리더기(180)에 전달한다. 이때 무전원 센서(210)는 접지 라인들을 통하여 반사파를 리더기(180)에 전송하거나 또는 별도로 안테나부를 마련하여 무선 방식으로 리더기에 무전원 센서 응답 신호를 리더기(18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전원 센서(210)는 이어폰 헤드들(201, 202)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센싱 신호 검출을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하여 하나의 이어폰 헤드에 복수개의 무전원 센서(210)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1401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들은 일시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정보들은 표시부(140)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1403 화면에서와 같이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착용 상태에서 수행 가능한 단말기 기능들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등 오디오 신호 출력을 이어폰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하는 상황이 필요한 단말기 기능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40)에 출력된 기능 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기능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고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추가로 표시부(140)는 1401 화면 및 1403 화면에서와 같이 이어폰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장착되고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인 경우 이를 지시하는 착용 인디케이터(141)를 인디케이터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1405 화면에서와 같이 이어폰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장착되었지만 미착용 상태인 경우 그에 대응하는 미착용 인디케이터(142)를 인디케이터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상태로 변경되면 단말기(100)는 1405 화면에서와 같이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 상태임을 나타내는 미착용 상태 정보와, 이어폰 장치(200) 장착 중임을 나타내는 장착 상태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 미착용에 따른 기능 적용을 지원한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오디오 신호 출력 패스가 본체에 마련된 스피커를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단말기(100)는 오디오 신호의 이어폰 장치(200)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100)는 이어폰 장치(200)가 미착용 상태로 변경되면 수행 중인 앱을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앱의 일시 중지 정보를 저장하고, 이어폰 장치(200) 착용이 재개되면 일시 중지 정보를 이용하여 앱 재생을 재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일시 중지된 앱의 일시 중지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일시 중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시 중지 정보는 재생 중인 앱의 시간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일시 중지 정보는 오디오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일시 중시 시, 일시 중지된 시점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로부터 삽탈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1407 화면에서와 같이 이어폰 장치(200) 장착 해제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일시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메시지를 표시부(140)에서 제거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오디오 신호 출력 패스를 단말기(100) 본체의 스피커를 포함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 운용 방법은 먼저 1501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단말기(100)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어폰 장치(200)의 무전원 센서(210)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이 안테나부를 통하여 상기 검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장치(200)의 무전원 센서(210)는 상기 검출 신호를 이어폰 헤드와 연결된 신호 라인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이어폰 장치(200)의 무전원 센서(210)는 이어폰 헤드의 접지 라인을 통하여 검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1503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상기 수신된 검출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무전원 센서(210)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로 변조한다. 이때 무전원 센서(210)는 온도 및 압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른 물리적 특성이 변경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상기 검출 신호를 상기 응답 신호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전원 센서(210)가 복수개가 마련되는 경우 상기 응답 신호를 변조 하는 단계는 온도 변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경된 상기 무전원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 및 압력 변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경된 상기 무전원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1505 단계에서 이어폰 장치(200)가 상기 변조된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로 출력한다. 이러한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 운용 방법은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기(100)에게 자신의 변경 상태 특히 물리적 변경 상태에 따른 응답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이어폰 장치(200)의 무전원 센서(210)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를 기반으로 응답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장치(200)의 무전원 센서(210)는 상기 응답 신호를 이어폰 헤드와 연결된 신호 라인 특히 접지 라인을 통해 단말기(1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200)의 장착 및 착용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 확인을 위하여 무전원 센서(210)를 이용함으로써 착용 감지를 위하여 최소한의 전력 운용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200) 착용자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 예컨대 온도와 압력 변화 등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이어폰 인터페이스
180 : 리더기 190 : FM 모듈
200 : 이어폰 장치 201, 202 : 이어폰 헤드
203 : 이어폰 잭 210 : 무전원 센서
220 : 헤드부 230 : 케이스
10 :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Claims (25)

  1.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어폰 착용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전송되는 검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응답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이어폰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신호를 중단하는 제어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상기 검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이어폰에 연결된 접지라인을 통해 상기 센서의 검출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이어폰에 연결된 접지라인을 통해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검출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안테나를 구비하는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서 무선 송신되는 검출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검출응답신호를 설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어폰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중단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어폰 착용 감지 시 중단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된 상태에서 다시 실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이어폰 착용 감지 시 호 발신 어플리케이션이면 설정된 전화번호에 의한 자동 발신 통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이어폰 착용 감지 시 호 발신 어플리케이션에서 카메라가 구동되는 상태이면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오디오 신호 출력을 단말기 본체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이어폰 착용 감지 시 상기 검출 응답신호의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볼륨의 증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무전원 센서를 구비하는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이어폰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의 무전원 센서에서 출력되는 검출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리더기;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검출 신호를 전송 및 검출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검출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신호를 중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상기 무선 검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의 접지라인을 통해 상기 센서의 검출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들에 연결되는 단자들;
    상기 이어폰의 접지라인에 접지 단자;
    상기 접지 단자와 상기 리더기 또는 상기 접지 단자와 라디오 모듈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에서 출력되는 검출응답신호를 설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어폰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중단하고 저장하며, 상기 이어폰 착용 감지 시 중단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된 상태에서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착용 감지 시 호 발신 어플리케이션이면 설정된 전화번호에 의한 자동 발신 통화를 실행하는 것을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착용 감지 시 호 발신 어플리케이션에서 카메라가 구동되는 상태이면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오디오 신호 출력을 단말기 본체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착용 감지 시 상기 검출 응답신호의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볼륨의 증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이 가능한 상기 이어폰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20.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헤드부;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이어폰 장치의 접지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헤드부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 및 미착용에 따른 검출응답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무전원센서와, 상기 무전원 센서 및 상기 헤드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원 센서는
    온도 및 압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경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상기 검출 신호를 전달하고 물리적 특성에 따라 변조된 응답 신호를 전달하는 트랜스폰더;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트랜스폰더에 전달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타 단말기에 제공하는 안테나부 및 신호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검출응답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검출응답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24. 어플리케이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이이폰 장치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헤드부;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이어폰 장치의 접지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헤드부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 및 미착용에 따른 검출응답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무전원센서와,
    상기 무전원 센서 및 상기 헤드부를 감싸는 케이스로 구성되며,
    단말장치가,
    상기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이어폰에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의 무전원 센서에서 출력되는 검출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리더기;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상기 이어폰의 센서에 검출 신호를 전송 및 검출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검출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이어폰 미착용 감지 시 상기 이어폰에 출력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신호를 중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장치의 무전원 센서는
    온도 및 압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경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상기 검출 신호를 전달하고 물리적 특성에 따라 변조된 응답 신호를 전달하는 트랜스폰더;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트랜스폰더에 전달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타 단말기에 제공하는 안테나부 및 신호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30020585A 2013-02-26 2013-02-26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KR10204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585A KR102049781B1 (ko) 2013-02-26 2013-02-26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AU2014200816A AU2014200816B2 (en) 2013-02-26 2014-02-17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earphone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TW103105185A TWI645311B (zh) 2013-02-26 2014-02-18 用於行動終端機的應用程式控制方法及設備、耳機裝置和應用程式控制系統
IN810CH2014 IN2014CH00810A (ko) 2013-02-26 2014-02-19
US14/186,874 US9319823B2 (en) 2013-02-26 2014-02-21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earphone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EP14156205.8A EP2770705B1 (en) 2013-02-26 2014-02-21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earphone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CA2843994A CA2843994A1 (en) 2013-02-26 2014-02-25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earphone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CN201410067257.9A CN104010071A (zh) 2013-02-26 2014-02-26 移动终端应用控制方法和设备、耳机装置及应用控制系统
BR102014004604A BR102014004604A2 (pt) 2013-02-26 2014-02-26 método de controle de aplicativo e aparelho para terminal móvel, dispositivo de fone de ouvido e sistema de controle de aplicativo
JP2014035416A JP6403397B2 (ja) 2013-02-26 2014-02-26 端末機の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及び装置、イヤホン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
PCT/KR2014/001557 WO2014133314A1 (en) 2013-02-26 2014-02-26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earphone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585A KR102049781B1 (ko) 2013-02-26 2013-02-26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776A true KR20140106776A (ko) 2014-09-04
KR102049781B1 KR102049781B1 (ko) 2019-11-28

Family

ID=5015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585A KR102049781B1 (ko) 2013-02-26 2013-02-26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319823B2 (ko)
EP (1) EP2770705B1 (ko)
JP (1) JP6403397B2 (ko)
KR (1) KR102049781B1 (ko)
CN (1) CN104010071A (ko)
AU (1) AU2014200816B2 (ko)
BR (1) BR102014004604A2 (ko)
CA (1) CA2843994A1 (ko)
IN (1) IN2014CH00810A (ko)
TW (1) TWI645311B (ko)
WO (1) WO201413331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206A (ko) * 2014-12-31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헤드셋
KR20160111744A (ko) *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비에스엘 개별 적응 방식의 통화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통화 방법
KR20170037279A (ko)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를 기반으로 하는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080401A1 (ko)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사운드 레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30089240A (ko) * 2021-12-13 2023-06-20 (주)아이센 착용센서를 내장한 무선 이어폰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9957B2 (en) * 2012-03-08 2017-02-14 Htc Corpor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involving device identification
CN105491469A (zh) * 2014-09-15 2016-04-13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耳机佩戴状态控制音频输出模式的方法及系统
US9591396B2 (en) 2015-01-21 2017-03-07 Lg Electronics Inc. Ear set device
JP6483449B2 (ja) * 2015-01-23 2019-03-13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耳栓型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方法
CN106162489B (zh) * 2015-03-27 2019-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耳机状态检测方法及终端
WO2016196838A1 (en) 2015-06-05 2016-12-08 Apple Inc. Changing companion communication device behavior based on status of wearable device
US9686602B2 (en) * 2015-06-15 2017-06-20 Uneo Inc. Green headphone
CN105630457A (zh) * 2015-10-16 2016-06-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耳机的控制方法及系统
CN105338447B (zh) * 2015-10-19 2019-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耳机控制电路及方法、耳机以及音频输出装置及方法
CN105915710A (zh) * 2016-04-19 2016-08-31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终端及其配件
CN106325805A (zh) * 2016-08-17 2017-01-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音频播放方法及装置
US10349259B2 (en) * 2016-09-23 2019-07-09 Apple Inc. Broadcasting a device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8289340A (zh) * 2016-09-29 2018-07-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保真投影的设备、系统及方法
CN106534496A (zh) * 2016-10-31 2017-03-2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耳机的移动终端的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6528041A (zh) * 2016-11-07 2017-03-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声音输出方式的切换方法、装置及终端
CN106851455A (zh) * 2017-02-23 2017-06-13 上海与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耳机播放模式的音乐控制方法及装置
CN109313494B (zh) * 2017-03-09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耳机、终端及控制方法
CN107122161B (zh) * 2017-04-27 2019-12-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数据的播放控制方法及终端
CN107343238A (zh) * 2017-05-15 2017-11-10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多点连接控制方法及外接设备
CN107205187B (zh) * 2017-06-21 2019-10-01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耳机控制音乐播放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7577447A (zh) * 2017-08-24 2018-01-12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媒体数据输出的方法及媒体播放设备
CN108063994B (zh) * 2017-12-21 2020-07-14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移动终端及耳机检测控制方法、存储介质及耳机
CN108549529A (zh) * 2018-04-08 2018-09-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音频输出的方法及装置
CN108509176B (zh) * 2018-04-10 2021-06-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播放音频数据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08683798B (zh) * 2018-04-19 2021-04-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声音输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9168098B (zh) * 2018-08-17 2020-05-22 深圳市华冠拓展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蓝牙耳机离开耳边自动控制暂停打开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257674B (zh) * 2018-09-28 2020-03-24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的佩戴情况检测方法、装置及无线耳机
JP7495787B2 (ja) * 2019-12-02 2024-06-05 オトモア株式会社 無線再生装置
CN111885261A (zh) * 2020-07-23 2020-11-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CN112616106B (zh) * 2020-11-24 2022-11-18 广东思派康电子科技有限公司 耳机通话音频自动切换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系统
CN115037398A (zh) * 2021-03-03 2022-09-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传输方法及系统、芯片及存储介质
EP4236352A1 (en) * 2022-02-28 2023-08-30 GN Hearing A/S A hearing device
CN114615729B (zh) * 2022-04-07 2023-08-29 重庆物奇微电子有限公司 数据交互方法、耳机设备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CN115052224A (zh) * 2022-08-16 2022-09-13 歌尔股份有限公司 耳机设备的拆分使用方法、装置、耳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99A (ko) * 2005-04-07 2006-10-12 주식회사 팬택 이어폰 장착 여부의 감지를 통한 자동 멈춤 및 전원 오프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09823A (ko) * 2005-07-14 2007-01-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센서 장착 이어폰과 정보 재생 장치
US20090160645A1 (en) * 2007-12-20 2009-06-25 Symbol Technologies, Inc. Voice Over RFID
KR20100065536A (ko) * 2008-12-08 2010-06-17 박유진 착용여부를 구별하는 이어폰, 착용여부를 구별하는 이어폰이 적용된 휴대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7496B2 (ja) * 2004-07-06 2011-08-03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014207A (zh) * 2005-09-30 2007-08-08 哈拉尔德·菲利普 耳机及耳机的功率管理
US7945297B2 (en) * 2005-09-30 2011-05-17 Atmel Corporation Headsets and headset power management
JP2007121694A (ja) * 2005-10-28 2007-05-17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ヘッドホン、及び携帯端末装置の再生制御方法
US8064593B1 (en) * 2006-01-26 2011-11-22 Plantronics, Inc. Auto host disconnect on loss of power to a headset amplifier
US20070274531A1 (en) * 2006-05-24 2007-11-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ound pressure monitor
TWI329459B (en) * 2007-02-05 2010-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arphone and media player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automatic controlling the media player
JP2008289033A (ja) * 2007-05-21 2008-11-27 Seiko Epson Corp イヤホン装着検出装置と携帯用音響機器と携帯用音響機器制御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携帯用音響機器制御方法
US20100020998A1 (en) * 2008-07-28 2010-01-28 Plantronics, Inc. Headset wearing mode based operation
CN201260238Y (zh) * 2008-10-14 2009-06-17 无敌科技(西安)有限公司 一种播放装置的感应耳机
JP2011114677A (ja) * 2009-11-27 2011-06-0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音声再生システム
CN102202250A (zh) * 2010-03-25 2011-09-28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耳机、电子装置及省电方法
JP3160093U (ja) * 2010-03-31 2010-06-10 サクサ株式会社 ヘッドホンシステム
CN101895799B (zh) * 2010-07-07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音乐播放的控制方法及音乐播放终端
KR101183737B1 (ko) 2010-11-15 2012-09-17 서인아 동작 인식이 가능한 멀티 이어폰 장치 및 이 장치의 동작 인식 방법
JP2012169828A (ja) * 2011-02-14 2012-09-06 Sony Corp 音声信号出力装置、スピーカ装置、音声信号出力方法
JP2012186694A (ja) * 2011-03-07 201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音響システムおよび映像音響送信装置
US9089270B2 (en) * 2011-06-29 2015-07-28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99A (ko) * 2005-04-07 2006-10-12 주식회사 팬택 이어폰 장착 여부의 감지를 통한 자동 멈춤 및 전원 오프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09823A (ko) * 2005-07-14 2007-01-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센서 장착 이어폰과 정보 재생 장치
US20090160645A1 (en) * 2007-12-20 2009-06-25 Symbol Technologies, Inc. Voice Over RFID
KR20100065536A (ko) * 2008-12-08 2010-06-17 박유진 착용여부를 구별하는 이어폰, 착용여부를 구별하는 이어폰이 적용된 휴대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206A (ko) * 2014-12-31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헤드셋
KR20160111744A (ko) *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비에스엘 개별 적응 방식의 통화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통화 방법
KR20170037279A (ko)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를 기반으로 하는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080401A1 (ko)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사운드 레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30089240A (ko) * 2021-12-13 2023-06-20 (주)아이센 착용센서를 내장한 무선 이어폰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781B1 (ko) 2019-11-28
CA2843994A1 (en) 2014-08-26
JP2014165925A (ja) 2014-09-08
EP2770705B1 (en) 2018-08-01
US9319823B2 (en) 2016-04-19
EP2770705A2 (en) 2014-08-27
TWI645311B (zh) 2018-12-21
BR102014004604A2 (pt) 2016-01-05
JP6403397B2 (ja) 2018-10-10
US20140242964A1 (en) 2014-08-28
WO2014133314A1 (en) 2014-09-04
IN2014CH00810A (ko) 2015-04-24
AU2014200816B2 (en) 2017-06-15
EP2770705A3 (en) 2017-03-22
TW201439818A (zh) 2014-10-16
AU2014200816A1 (en) 2014-09-11
CN104010071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6776A (ko)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어폰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US1080573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switching, earphone, and earphone system
EP2645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KR101820730B1 (ko) 이어폰 접속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8683761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EP2363784A2 (en) Personal listening device having input applied to the housing to provide a desired function and method
KR102127622B1 (ko)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9032556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以及存储介质
CN103891311A (zh) 具有邻近度确定的耳机
KR20140101958A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541080B (zh) 第一电子设备与第二电子设备进行回连的方法及相关产品
CN103414982A (zh) 一种提供声音的方法和装置
CN108810198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CN110460721B (zh) 一种启动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80033185A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106299A (ko) 이어폰 장착 여부의 감지를 통한 자동 멈춤 및 전원 오프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 방법
CN109062533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以及存储介质
CN1842970A (zh) 用于音频信号播放系统的远程控制
KR20060109770A (ko) 음향 기기의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CN108668204B (zh) 复用电路、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工作模式切换方法
CN109086022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以及存储介质
CN206865523U (zh) 带骨传导扬声器的手机
KR101562272B1 (ko) 오디오 출력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10225197B (zh) 连接处理方法、终端及电子设备
CN106817650A (zh) 一种无线充电音箱、控制方法及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