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427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427A
KR20140106427A KR20140021248A KR20140021248A KR20140106427A KR 20140106427 A KR20140106427 A KR 20140106427A KR 20140021248 A KR20140021248 A KR 20140021248A KR 20140021248 A KR20140021248 A KR 20140021248A KR 20140106427 A KR20140106427 A KR 20140106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unit
cut
out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이치 카와구치
Original Assignee
리코 이메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코 이메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코 이메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Endoscop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촬상 소자에 의해 출력된 촬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촬영 화상 생성 유닛; 상기 촬영 화상 내의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 지정 유닛; 상기 컷아웃 영역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컷아웃 영역의 윤곽 화상을 생성하는 윤곽 화상 생성 유닛; 상기 촬영 화상의 일부에 상기 윤곽 화상이 결합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 화상 생성 유닛; 그리고 상기 합성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합성 화상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ING DEVICE}
본 발명은 피사체의 포커싱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 이에 상응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는, 예를 들면, 카메라 보디의 배면측에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LCD에 표시된 소위 스루 화상(through image)을 통하여, 촬영 화각, 화이트 밸런스, 노출, 포커싱 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촬영 조건을 체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스루 화상의 해상도는 낮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 조작을 통하여 포커싱 상태를 조정할 때에 포커싱 상태를 적절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포커싱 상태를 수동 조작을 통하여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8380A호(이하에서, 특허 문헌 1이라 함)는 포커싱 상태를 조정하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화상의 해상도나 픽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윤곽선이 적절하게 강조되도록 LCD에 표시된 피사체의 윤곽선을 따르는 픽셀에 소정의 색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수동 포커싱 모드로 설정되면, LCD의 표시가 채색된 윤곽 화상의 표시로 바뀐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 포커싱 조작 동안 본래의 피사체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다. 사용자가 윤곽 화상을 조정함으로써 포커싱을 수행할 때에도, 사용자는 본래의 피사체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피사체를 사용자가 의도한 구도로 촬영할 수 없거나 피사체를 적절하게 촬영할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래의 피사체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면서도 사용자의 수동 포커싱 조작을 보조하는데도 적합하게 구성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상응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 소자에 의해 출력된 촬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촬영 화상 생성 유닛, 상기 촬영 화상 내의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 지정 유닛, 상기 컷아웃 영역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컷아웃 영역의 윤곽 화상을 생성하는 윤곽 화상 생성 유닛, 상기 촬영 화상의 일부에 상기 윤곽 화상이 중첩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 화상 생성 유닛 그리고 상기 합성 화상을 표시 화면, 예를 들면, LCD, TFTLCD 또는 OLED 에 표시하는 합성 화상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촬영 화상의 전체 화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면서 윤곽 화상의 윤곽선의 강조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형태(다시 말해서, 본래의 색상, 휘도, 계조 등)로 표시된 피사체의 구도 및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전체 구도를 파악하면서 수동 조작으로 포커싱을 할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측거점 중첩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역 지정 유닛은 상기 소정의 측거점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역 지정 유닛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측거점 중첩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촬영 화상 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측거점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영역 지정 유닛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 결정된 상기 소정의 측거점의 위치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소정의 측거점에 중심을 둔 지정된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윤곽 화상을 합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복수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측거점 중첩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역 지정 유닛은 상기 복수의 측거점 중에서 포커싱에 사용되는 측거점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윤곽 화상을 포커싱에 사용된 상기 측거점을 중심으로 하고 지정된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합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촬영 화상과 상기 윤곽 화상이 합성되는 영역을 지정하는 제2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윤곽 화상을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조작 유닛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상기 촬영 화상 내의 영역에 합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윤곽 화상의 표시 배율을 지정하는 제3 조작 유닛과, 상기 윤곽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3 조작 유닛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표시 배율로 변환시키는 사이즈 변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사이즈 변환 유닛에 의해 표시 사이즈가 변환된 윤곽 화상과 상기 촬영 화상을 합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윤곽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영역 지정 유닛에 의해 지정된 컷아웃 영역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윤곽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 소자에 의해 출력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영 화상 내의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컷아웃 영역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컷아웃 영역의 윤곽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영 화상의 일부에 상기 윤곽 화상이 중첩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합성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촬영 화상의 전체 화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면서 윤곽 화상의 윤곽선의 강조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형태(다시 말해서, 본래의 색상, 휘도, 계조 등)로 표시된 피사체의 구도 및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전체 구도를 파악하면서 수동 조작으로 포커싱을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의 측거점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컷아웃 영역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촬영 화상 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측거점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 조작에 따라 결정되고;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 상기 조작에 따라 결정된 상기 소정의 측거점의 위치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화상 표시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방법들 중의 하나를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구성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보조 화상의 생성 및 표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보조 화상의 생성 및 표시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을 보충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포커싱 보조 화상이 LCD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촬영 장치의 카메라 보디의 배면측의 외관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아래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디지털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촬영 장치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예를 들면, 렌즈 교환 방식의 디지털 싱글 리플렉스 카메라(퀵 리턴 미러를 가지고 있는) 또는 미러리스 싱글 리플렉스 카메라,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스마트폰, 피처폰 또는 휴대형 게임기이다. 또한, 임의의 종류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될 수 있다.
[촬영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촬영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 DSP(Digital Signal Processor)(102), 조작 유닛(104), 촬영 렌즈(106), 조리개(108), 셔터(110), 이미지 센서(112), 조리개 및 셔터 구동 회로(114), ROM(Read Only Memory)(116), 메모리 카드 어댑터(118), LCD(Liquid Crystal Display)(120) 및 포커싱 렌즈 구동 회로(122)를 포함하고 있다. 실제로 촬영 렌즈(106)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초점 가변 렌즈이지만, 도 1에서는 편의상 상기 촬영 렌즈(106)가 단일 렌즈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116)는 EPROM, 그리고 EEPROM 또는 제어 데이터를 용이하게 저장하는데 적합한 다른 데이터 저장 장치로 될 수도 있다
조작 유닛(104)은 전원 스위치, 릴리스 스위치, 모드 설정 스위치, 십자 키, 다이얼 키, 줌 키와 같은 사용자가 촬영 장치(1)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누르면, 배터리(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촬영 장치(1)의 다양한 회로에 전원 라인을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이 공급된 후, CPU(100)는 ROM(116)에 액세스하여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내장 메모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그 다음에, 로딩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CPU(100)가 촬영 장치(1)를 완전히 제어한다. 도 1에서는, 도시의 단순화를 기하기 위해, CPU(100)와 다른 회로와의 결선은 생략한다.
DSP(102)는, 촬영 장치(1)에 설치된 TTL(Through The Lens) 노출계(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측정된 적정 노출을 얻을 수 있도록 조리개 및 셔터 구동 회로(114)를 통하여 조리개(108) 및 셔터(110)를 구동하고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개(108) 및 셔터(110)의 구동 제어는, 모드 설정 스위치에 의해 지정되는, 프로그램 AE(Automatic Exposure), 셔터 속도 우선 AE 또는 조리개 우선 AE와 같은, AE 기능 모드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DSP(102)는 AE 제어와 아울러 AF(Autofocus) 제어를 수행하고, 포커싱 렌즈 구동 회로(122)를 통하여 촬영 렌즈(106)를 구동하고 제어한다. AF 제어에는, 액티브 오토포커스(active autofocus) 방식, 위상차 검출 오토포커스(phase detection autofocus) 방식, 콘트라스트 검출 오토포커스(contrast detection autofocus)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AE 및 AF의 구성 및 제어는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촬영 렌즈(106), 조리개(108) 및 셔터(110)를 통과하고 이미지 센서(112)에 의해 수용된다. 이미지 센서(112)는, 예를 들면, 베이어(Bayer)형 픽셀 배치를 가지고 있는 단판식(single-chip) 컬러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이고, 촬상면상의 각각의 픽셀에 결상된 광학상의 광량에 대응하는 전하를 축적하고, 이 축적된 전하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102)는 색보간(color interpolation), 매트릭스 연산, Y/C 분리를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휘도 신호(Y), 색차 신호(Cb, Cr)를 생성한 다음, 이를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와 같은 소정의 포맷으로 압축한다. 압축 화상 신호(촬영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 어댑터(118)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200)에 저장된다. DSP(102)는, Y/C 분리 후의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저장함으로써 프레임 단위로 버퍼링한다. DSP(102)는, 버퍼링된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 각각의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끌어내서, 버퍼링된 신호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생성한 다음, 이 화상을 LCD(12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AE 제어 및 AF 제어에 기초하여 적정한 휘도 및 포커스로 촬영된 실시간 스루 화상을 LCD(120)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촬영 장치에 의한 포커싱 보조 화상의 생성 및 표시]
사용자에 의한 조작 유닛(104)의 조작에 의해 AF 기능이 정지되면, 촬영 장치(1)는 수동 포커스 모드로 바뀐다. 그 결과, 사용자는 포커스를 수동 조작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장치(1)가 수동 포커스 모드로 바뀌면, 포커싱 보조 화상이 LCD(120)에 표시된다. 포커싱 보조 화상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포커싱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화상이다. 이하에서, 포커싱 보조 화상의 생성 및 표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포커싱 보조 화상의 생성 및 표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에 나타낸 포커싱 보조 화상의 생성 및 표시 프로세스에 관한 설명을 보조하는 설명도이다. 도 2의 스텝 S1(화상 변환 처리) 내지 스텝 S6(포커싱 보조 화상의 표시)과 관련하여 수동 포커스 모드로의 변환 이후에 처음으로 실행된 포커싱 보조 화상의 생성 및 표시 프로세스를 설명하고, 도 2의 스텝 S7(조작에 따른 포커싱 보조 화상의 갱신)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된 포커싱 보조 화상의 갱신 및 표시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2의 S1(화상 변환 처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SP(102)는 화상 변환 처리 회로(102a)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DSP(102)를 구성하는 다양한 블록 중 상기 생성 및 표시 프로세스의 실행에 관한 블록만 나타나 있다. 화상 변환 처리 회로(102a)는 이미지 센서(112)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촬영 데이터)에 대하여 색보간, 매트릭스 연산 및 Y/C 분리를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Cb, Cr)를 생성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SP(102)는 컷아웃 처리 회로(102b) 및 합성 회로(102e)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 변환 처리 회로(102a)는 휘도 신호(Y)를 컷아웃 처리 회로(102b)로 출력하고,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b, Cr)를 합성 회로(102e)로 출력한다. 도 3A는, 스텝 S1(화상 변환 처리)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화상 변환 처리 회로(102a)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Y)를 이용하는 경우에 (다시 말해서, 색차 신호(Cb, Cr)를 이용하지 않고서) 생성된 피사체 화상(흑백 화상)을 나타낸다.
[도 2의 S2(영역 컷아웃 처리)]
컷아웃 처리 회로(102b)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 화상 변환 처리 회로(102a)로부터 입력된 휘도 신호(Y)의 일부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컷아웃 처리 회로(102b)는 피사체 화상 내의 어느 영역을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Y)의 일부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측거점이 중앙에 위치된 한 점인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컷아웃 처리 회로(102b)는 측거점(중앙의 한 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사이즈를 가지는 영역(피사체 화상의 중심 영역)을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Y)의 일부를 추출한다. 도 3B는, 스텝 S2에서의 영역 컷아웃 처리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컷아웃 처리 회로(102b)에 의해 출력된 휘도 신호(Y)를 이용함으로써 생성된 컷아웃 화상을 나타낸다.
 
[도 2의 S3(HPF(High Pass Filter)처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SP(102)는 HPF 처리 회로(102c)를 포함하고 있다. HPF 처리 회로(102c)는 컷아웃 처리 회로(102b)로부터 입력된 휘도 신호(Y)에 대해 HPF(High Pass Filter) 처리를 행하고, 휘도 신호(Y)의 고주파 성분(에지 신호(E))을 추출한다. 도 3C는, 스텝 S3에서의 HPF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HPF 처리 회로(102c)로부터 출력된 에지 신호(E)를 이용함으로써 생성된 피사체의 윤곽 화상을 나타낸다.
[도 2의 S4(사이즈 변환 처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SP(102)는 사이즈 변환 처리 회로(102d)를 포함하고 있다. 사이즈 변환 처리 회로(102d)는 윤곽 화상의 표시 배율을 지정한다. 초기에, 표시 배율은, 예를 들면, 1.2배로 설정되어 있다. 사이즈 변환 처리 회로(102d)는, HPF 처리 회로(102c)로부터 입력된 에지 신호(E)로 형성되어 있는 윤곽 화상의 사이즈가 지정된 배율로 변환되도록, 에지 신호(E)를 처리한다. 도 3D는, 스텝 S4에서의 사이즈 변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사이즈 변환 처리 회로(102d)에 의한 사이즈 변환 후(예를 들면, 1.2배)의 윤곽 화상을 나타낸다.
[도 2의 S5(합성 처리)]
합성 회로(102e)에는, 사이즈 변환 처리 회로(102d)로부터 출력된 에지 신호(E)와 함께 화상 변환 처리 회로(102a)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b, Cr)가 입력된다. 에지 신호(E)는 촬영 화각의 일부 영역을 이루는 윤곽 화상의 신호이다.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b, Cr)는 촬영 화각 전체의 화상을 이루는 신호이다. 이하에서는, 에지 신호(E)로 이루어진 화상을 "윤곽 화상(E)" 이라 하고,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b, Cr)로 이루어진 화상을 "전체 화상(YC)" 이라 한다. 합성 회로(102e)는 전체 화상(YC)과 윤곽 화상(E)을 합성하는 것에 의해 합성 화상(포커싱 보조 화상)을 생성한다. 윤곽 화상(E)이 합성되는 전체 화상(YC) 위의 영역은, 예를 들면, 도 2의 스텝 S2의 영역 컷아웃 처리에 있어서 컷아웃 처리 회로(102b)에 의해 지정된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윤곽 화상(E)은 윤곽 화상(E)의 중심이 컷아웃 영역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전체 화상(YC) 위에 합성된다.
[도 2의 S6(포커싱 보조 화상의 표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SP(102)는 화상 출력 회로(102f)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 출력 회로(102f)는 합성 회로(102e)로부터 입력된 포커싱 보조 화상의 신호에 대해 버퍼링 처리를 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끌어내어 소정의 출력 포맷으로 변환하고, LCD(12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수동 포커스 모드로 변환 후에 도 2의 스텝 S1(화상 변환 처리)에서 스텝 S6(포커싱 보조 화상의 표시)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포커싱 보조 화상이 LCD(120)에 스루 화상으로 표시된다. 도 3E는, LCD(120)에 표시된 포커싱 보조 화상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3E에 의하면, 포커싱 보조 화상은, 촬영 화각의 전체(전체 화상(YC))를 수용함과 아울러 포커싱이 수행되어야 하는 영역의 윤곽선이 강조되어 있는 화상(윤곽 화상(E))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전체 화상(YC)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면서 윤곽 화상(E)의 윤곽선의 강조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형태(본래의 색상, 휘도, 계조 등)로 표시된 피사체 및 피사체를 포함하는 전체 구도를 파악하면서 수동으로 포커싱 조작을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는 사용자로 하여 전체 구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포커싱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S7(조작에 따른 포커싱 보조 화상의 갱신)]
도 4는 포커싱 보조 화상이 LCD(120)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촬영 장치(1)의 카메라 보디의 배면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촬영 장치(1)의 카메라 보디의 배면에는, LCD(120) 및 조작 유닛(104)(십자 키(104a), 다이얼 키(104b), 줌 키(104c))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는, 편의상, 조작 유닛(104)을 구성하는 스위치와 키 중에서 스텝 S7(조작에 따른 포커싱 보조 화상의 갱신)과 관련된 스위치와 키만 도시되어 있다.
[컷아웃 영역의 변경 조작]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십자 키(104a)의 어느 부분이 길게 눌러진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합성 회로(102e)가 전체 화상(YC)과 윤곽 화상(E)을 합성하는 합성 처리를 정지하고, 대신에 전체 화상(YC)에 커서(C)가 합성된 합성 화상을 출력한다. 그 결과, LCD(120)의 온스크린(onscreen) 표시가, 전체 화상(YC)과 윤곽 화상(E)이 합성된 포커싱 보조 화상으로부터 전체 화상(YC)에 커서(C)가 합성된 합성 화상으로 바뀐다.
전체 화상(YC) 위의 커서(C)의 위치는 측거점(여기에서는, 일점 측거점)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사용자에 의한 십자 키(104a)의 조작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결정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눌러지면, 컷아웃 처리 회로(102b)는 커서(C)를 중심으로 한 소정 사이즈를 가진 영역을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Y)의 일부를 추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영역의 윤곽 화상(E)을 가지는 포커싱 보조 화상이 LCD(120)에 표시된다.
컷아웃 처리 회로(102b)에 의해 컷아웃된 컷아웃 영역의 사이즈(범위)는 소정 사이즈(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 키(104b)가 조작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컷아웃 처리 회로(102b)는 컷아웃 영역의 사이즈(범위)를 다이얼 키(104b)의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LCD(120)에 표시된 윤곽 화상(E)의 사이즈(범위)가 변경된다.
사용자는 컷아웃 처리 회로(102b)에 의해 컷아웃될 컷아웃 영역을 변경(컷아웃 영역의 위치 또는 범위를 변경)함으로써, 촬영 화각 내로 포커싱이 이루어져야 하는 피사체의 윤곽 화상(E)을 LCD(120)에 표시할 수 있다.
[윤곽 화상(E)의 표시 위치의 변경 조작]
윤곽 화상(E)이 합성되는 전체 화상(YC) 위의 영역은, 윤곽 화상(E)의 위치 및 사이즈(범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도 2의 스텝 S5(합성 처리)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컷아웃 처리 회로(102b)에 의해 지정된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그러나, 이 합성 영역(윤곽 화상(E)의 표시 위치)은 사용자에 의한 십자 키(104a)의 조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커싱 보조 화상의 표시 중에 십자키(104a)가 조작되는 경우(십자 키(104a)가 길게 눌러지는 경우는 아님)를 생각한다. 이 경우, 합성 회로(102e)는 윤곽 화상(E)의 합성 영역을 십자 키(104a)의 조작에 따라 갱신한다. 이것에 의해, LCD(120)에 표시된 윤곽 화상(E)의 표시 위치가 변경된다.
사용자는 합성 회로(102e)에 의해 형성된 윤곽 화상(E)의 표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면, 윤곽 화상(E)의 윤곽의 강조의 정도를 확인하면서 윤곽 화상(E)의 배면에 숨겨져 있는 피사체를 통상의 형태(다시 말해서, 본래의 색상, 휘도, 계조 등)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윤곽 화상(E)의 표시 배율(표시 사이즈)의 변경 조작]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줌 키(104c)가 조작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사이즈 변환 처리 회로(102d)는 윤곽 화상(E)의 표시 배율(표시 사이즈)의 설정을 줌 키(104c)의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 합성 회로(102e)는 표시 배율(표시 사이즈)이 변경된 후의 윤곽 화상(E)을 전체 화상(YC)과 합성한다. 이것에 의해, 전체 화상(YC) 위에 윤곽 화상(E)이 확대된 사이즈, 동일한 사이즈 또는 축소된 사이즈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윤곽 화상(E)을 확대시키는 것에 의해, 윤곽의 강조의 정도를 보다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윤곽 화상(E)을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윤곽 화상(E)의 배면에 숨겨져 있는 피사체를 통상의 형태(다시 말해서, 본래의 색상, 휘도, 계조 등)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이로부터 파생된 변형예의 조합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영역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조정을 위해 수동 조작을 하는 동안 포커싱 보조 화상이 표시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동 초점 조절 동안에 포커싱 보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F 측거점이 중앙의 한 점인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컷아웃 처리 회로(102b)는 AF 측거점(중앙의 한 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사이즈를 가진 영역을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한다. 합성 회로(102e)는, 예를 들면,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윤곽 화상(E)을 합성한다. 복수의 AF 측거점이 레이아웃된 다중 측거의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컷아웃 처리 회로(102b)는 복수의 AF 측거점 중의 하나이고 포커싱에 사용된 AF 측거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사이즈를 가진 영역을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한다. 이 경우, 합성 회로(102e)는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윤곽 화상(E)을 합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 초점 조절을 실행하는 동안 포커싱 보조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통상의 형태(다시 말해서, 본래의 색상, 휘도, 계조 등)로 표시된 피사체 및 이 피사체를 포함하는 전체 구도를 파악하면서 AF 포커싱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화상 표시 장치로서,
    촬상 소자에 의해 출력된 촬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촬영 화상 생성 유닛;
    상기 촬영 화상 내의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 지정 유닛;
    상기 컷아웃 영역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컷아웃 영역의 윤곽 화상을 생성하는 윤곽 화상 생성 유닛;
    상기 촬영 화상의 일부에 상기 윤곽 화상이 중첩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 화상 생성 유닛; 그리고
    상기 합성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합성 화상 표시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측거점 중첩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영역 지정 유닛은 상기 소정의 측거점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소정의 측거점에 중심을 둔 지정된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윤곽 화상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영역 지정 유닛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측거점 중첩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촬영 화상 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측거점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영역 지정 유닛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 결정된 상기 소정의 측거점의 위치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소정의 측거점에 중심을 둔 지정된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윤곽 화상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복수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측거점 중첩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영역 지정 유닛은 상기 복수의 측거점 중에서 포커싱에 사용되는 측거점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윤곽 화상을 포커싱에 사용된 상기 측거점을 중심으로 하고 지정된 컷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화상과 상기 윤곽 화상이 합성되는 영역을 지정하는 제2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윤곽 화상을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조작 유닛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상기 촬영 화상 내의 영역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화상의 표시 배율을 지정하는 제3 조작 유닛; 그리고
    상기 윤곽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3 조작 유닛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표시 배율로 변환시키는 사이즈 변환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합성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사이즈 변환 유닛에 의해 표시 사이즈가 변환된 윤곽 화상과 상기 촬영 화상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화상 생성 유닛은 상기 영역 지정 유닛에 의해 지정된 컷아웃 영역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윤곽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2. 화상 표시 방법으로서,
    촬상 소자에 의해 출력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영 화상 내의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컷아웃 영역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컷아웃 영역의 윤곽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영 화상의 일부에 상기 윤곽 화상이 중첩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합성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의 측거점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 조작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컷아웃 영역이 지정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촬영 화상에 소정의 측거점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촬영 화상 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측거점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 조작에 따라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 상기 조작에 따라 결정된 상기 소정의 측거점의 위치에 중심을 둔 영역을 상기 컷아웃 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15.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화상 표시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촬상 소자에 의해 출력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영 화상 내의 컷아웃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컷아웃 영역의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컷아웃 영역의 윤곽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영 화상의 일부에 상기 윤곽 화상이 중첩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합성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40021248A 2013-02-26 2014-02-24 화상 표시 장치 KR201401064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5633 2013-02-26
JP2013035633A JP2014165710A (ja) 2013-02-26 2013-02-26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427A true KR20140106427A (ko) 2014-09-03

Family

ID=5013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1248A KR20140106427A (ko) 2013-02-26 2014-02-24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40346A1 (ko)
EP (1) EP2770722B1 (ko)
JP (1) JP2014165710A (ko)
KR (1) KR201401064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1373B2 (en) * 2013-12-10 2016-11-08 Sody Co., Ltd. Light control apparatus for an image sensing optical device
US10067352B2 (en) * 2015-06-15 2018-09-04 Robert Joe Alderman 3D image generating lens tool
KR20180082927A (ko) 2017-01-11 2018-07-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장치의 에러정정장치 및 에러정정방법과, 에러정정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JP7135299B2 (ja) 2017-10-27 2022-09-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EP4016464A1 (en) 2020-11-26 2022-06-22 Ricoh Company, Ltd.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arrier mea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2820A1 (en) * 2004-10-05 2006-04-0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framing and sharpness of a digital image
JP2006311351A (ja) * 2005-04-28 2006-11-09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647895B (zh) * 2005-12-06 2017-09-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相机机身、相机系统及相机机身的控制方法
KR100791388B1 (ko) * 2006-12-11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선명도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464816B2 (ja) * 2008-03-27 2014-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09145201A1 (ja) * 2008-05-27 2009-12-03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US20100287493A1 (en) * 2009-05-06 2010-11-11 Cadence Design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viewing and editing an image in a magnified view
JP5326802B2 (ja) * 2009-05-19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拡大縮小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709935B1 (ko) * 2009-06-23 2017-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849474B2 (ja) * 2011-07-06 2016-01-27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FR2978894A1 (fr) * 2011-08-02 2013-02-08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Procede de previsualisation d'image dans un appareil de prise de vue numerique
US8963962B2 (en) * 2012-03-06 2015-02-24 Apple Inc. Display of multiple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0722B1 (en) 2017-09-20
EP2770722A3 (en) 2015-06-17
JP2014165710A (ja) 2014-09-08
EP2770722A2 (en) 2014-08-27
US20140240346A1 (en)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861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54583B2 (ja) 撮像装置
US8780200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which combine a first image with a second image having a wider view
JP5607260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06427A (ko) 화상 표시 장치
JP2008003335A (ja) 撮像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および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
WO2013153712A1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及びファインダの表示方法
JPH09149311A (ja) 撮像装置
KR101599881B1 (ko)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18007016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167158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JP2014220618A (ja) 画像処理装置
WO2010131724A1 (ja) デジタルカメラ
JP5882794B2 (ja) 撮像装置
US10805545B2 (en) Imaging device
JP2005039401A (ja) 立体カメラ及び立体画像の撮影方法
CN103842902A (zh) 成像装置
JP2011186375A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79634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234993A (ja) 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JP5077113B2 (ja) 電子カメラ
KR10143632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201336B2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089522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