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287A -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287A
KR20140106287A KR1020130020645A KR20130020645A KR20140106287A KR 20140106287 A KR20140106287 A KR 20140106287A KR 1020130020645 A KR1020130020645 A KR 1020130020645A KR 20130020645 A KR20130020645 A KR 20130020645A KR 20140106287 A KR20140106287 A KR 20140106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unit
siz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박세환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6287A/ko
Priority to US14/190,741 priority patent/US20140240237A1/en
Priority to CN201410067241.8A priority patent/CN104007906A/zh
Publication of KR2014010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부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키(key)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정확성과 신속성 있도록 입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예측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입력부에 배치된 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을 예상할 수 있는 제한된 데이터 베이스 내의 검색을 하는 입력의 경우 보다 사용자의 다음 입력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사용자 적합성이 높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PUTING CHARACTER FOR TERMINAL}
본 발명은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입력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 입력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 값을 기반으로 입력부의 키 크기를 조절하여서 오타 확률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동 통신이 발달 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도 휴대성을 강조하기 위해 크기가 작아지는 추세에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사용자 편의 성을 위해 표시부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및 입력부 역시 휴대성 향상 및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 크기가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단말이 표시부와 입력부를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고, 표시부 상의 입력부에 대응하는 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입력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 시키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따.
그러나 단말의 크기가 제한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한 키에 대응하는 입력을 사용자가 하는 경우에도 오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입력이 상기 단말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입력의 정확성을 늘리기 위해 키 입력 방식을 변경하여서 보다 적은 키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키 입력을 수신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입력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입력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부에 입력될 입력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을 기반으로 입력부에 배치되는 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사용자가 정확한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입력부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키(key)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키(key)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정확성과 신속성 있도록 입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예측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입력부에 배치된 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을 예상할 수 있는 제한된 데이터 베이스 내의 검색을 하는 입력의 경우 보다 사용자의 다음 입력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사용자 적합성이 높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 및 표시부 중 하나의 키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바형(Bar type), 풀립형(Flip type), 슬라이드형(Sliding type), 회전형(Rotating type) 및 이들의 조합형(Combination type)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110),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는 단말(100)의 작동과 연관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20),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는 단말(100)이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30),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엔티티(entity)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부(140) 및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 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112) 및 터치 이외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 감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외의 입력은 드래그 동작 및 터치 면적을 통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터치 감지부(112) 및 입력 감지부(114) 동일한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통상적인 단말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LCD 및 AM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110) 및 표시부(120)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10)가 식별할 수 있는 입력과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된 영역을 기반으로 입력부(110)에 원하는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10) 및 표시부(120)는 터치 스크린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입력 방식은 정전식 및 감압식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10)가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키를 표시부(120)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20)상에 표시된 키를 참고로 입력부(110) 원하는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실시 예에 따라 주소록(132) 및 입력 기록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록(132)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수신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연락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락처 정보는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우편 주소 및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주소록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단말에 저장되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기록부(134)는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 패턴 또는 자주 입력하는 문자열과 같은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판단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특정 문자열을 입력할 경우 다음에 입력될 확률이 높은 입력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송수신부(140)를 통해 송수신 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할 가능성이 높은 문자열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사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정보와 함께 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단어 사이의 입력 관계를 파악해서 입력의 빈도수가 높은 단어 사이의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부(140)는 단말(100)이 다른 엔티티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송수신부(140)는 기지국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접속한 다른 엔티티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40)의 종류는 상기 열거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이 다른 통신 엔티티와 유무선 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을 예상할 수 있는 입력 예상부(152), 입력부(110)에서 사용자의 입력를 수신할 수 있는 키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영역 조절부(154) 및 사용자의 입력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는 입력 유형 판단부(15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예상부(152)는 저장부(130)에 사용자가 입력부에 입력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및 송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다음에 입력할 입력을 예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이미 입력한 알파벳을 기반으로 완성된 단어를 만들기 위해 다음에 입력될 수 있는 단어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측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 및 송수신부(14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예측 결과는 1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 가능성에 따라 순위를 두어서 한 개 이상의 예측입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된 예측입력을 포함하는 정보는 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예상부(152)는 송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알파벳, 자음, 모음, 문장부호 및 이모티콘 중 하나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수신부(140)를 통해 접속된 통신 엔티티는 상기 통신 엔티티에 접속한 상기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및 상기 통신 엔티티에 저장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할 확률이 높은 단어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추천된 단어는 입력될 확률에 따라 순서를 두어 차등적으로 추천될 수 있으며, 상기 추천 결과를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100)은 송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할 알파벳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예상부(152)는 사용자 입력 및 다른 통신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값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알파벳, 자음, 모음, 문장부호 및 이모티콘 중 하나 이상의 확률 분포를 구할 수 있다. 상기 확률 분포에 따라 입력할 확률이 더 높은 입력부 상의 키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영역 조절부(154)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110)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부(110)의 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stu"를 입력하고, 입력 예상부(152)가 다음에 입력될 알파벳으로 f, d를 예측한 경우 입력부(110)상 상기 f 및 d 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의 크기를 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입력 유형 판단부(156)는 사용자가 입력부(110)에 입력하는 입력이 어떤 목적에 의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유형 판단부(156)는 현재 사용자의 입력이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송수신부(140)를 통해 접속한 다른 통신 엔티티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소록(132)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때는 검색될 데이터의 범위가 한정적이며 따라서 보다 높은 확률로 다음에 입력될 알파벳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유형 판단부(156)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영역 조절부(154)는 보다 조절되는 키의 크기를 크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송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력부(110)의 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와 다른 입력을 하는 확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조절된 입력부(110)의 키(key)의 영역을 표시부(1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은 입력부를 통해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은 문자, 숫자, 이모티콘 및 문장부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은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에에 따라 상기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문자 및 상기 단말에 저장된 값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키를 예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값을 기반으로도 다음에 입력될 키를 예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예측된 입력 키는 1개 이상일 수 있고, 입력될 확률과 함께 예측하여 상기 예측된 확률에 대응하는 순서로 상기 단말에 표시부 상에 예측된 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230에서 상기 단말은 예측된 키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측된 키가 없을 경우 단계 210으로 진행하여 계속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예측된 키가 있을 경우 상기 단말은 단계 240에서 예측된 키를 기반으로 입력부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키의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키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예측된 키가 복수 개 존재하고, 입력될 확률에 따라 정렬된 경우, 입력될 확률이 높은 키의 영역을 보다 넓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입력될 확률에 대응해서 키의 영역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240에서 계산한 키의 영역을 기반으로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키의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표시되는 키의 개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각 키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키의 영역이 조절 됨에 따라 키의 영역이 커진 키의 경우 보다 넓은 범위의 입력을 받는 경우에도 해당 키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 예측된 키를 기반으로 입력될 확률이 높은 키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오타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계 260에서 상기 단말은 변경된 키 크기 표시 설정이 되어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 단계 210으로 진행하여 키 입력을 계속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 단계 270으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은 표시부 상에 상기 조절된 키 영역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영역은 기존의 키를 표시한 상태에서 보조선의 형태를 추가로 표시하는 형태로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은 상기 변경된 키 영역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때 단말의 입력의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입력은 상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 및 외부 통신 엔티티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이 아닐 경우 단계 320으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은 자유 입력에 대응한 동작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유 입력에 대응한 동작은 기존에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사전에 입력된 문자,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통계적으로 입력되는 문자열 및 다른 통신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다른 사용자의 최근의 입력 경향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 키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입력 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계 320은 도 2에서 설명한 단말의 동작을 따를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이 외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 하기 위한 입력인지, 상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외부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일 경우 단계 340으로 진행하여서, 상기 단말은 입력된 키의 값을 기반으로 외부 통신 엔티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데이터는 상기 외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값을 예측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외부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이 아닐 경우 단계 350으로 진행하여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될 키를 예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계 35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주소록 검색을 위한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소록 검색의 경우 기 입력된 키 값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키 값에 따라 상기 주소록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부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소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키를 보다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외부 통신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력될 키를 예측할 수 있다.
단계 37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350 또는 단계 360에서 예측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입력부의 키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키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키의 숫자를 동일하게 하고 상기 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가장 입력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 키의 크기를 보다 크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의 표시부(400)는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418), 입력 내용 표시부(410), 예측 단어 표시부(420) 및 입력키 표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4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표시부(400)의 각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표시부(400)는 저장키(414) 및 취소키(416)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키에 해당하는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키들에 각각 할당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내용 표시부(410)는 입력키 표시부(430)에 수신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입력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문자 표시부(412)부분에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고, 도면 상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Stu"가 표시되고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 내용 표시부(410)는 상기 단말이 외부 통신 엔티티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측 단어 표시부(4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단어(421) 및 입력단어(421)를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단어(424)를 표시할 수 있다. 예측단어(424)를 표시한 영역을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된 곳에 대응하는 예측단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예측 단어를 입력 문자 표시부(412)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예측단어는 입력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정렬 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측부터 입력 확률이 높은 단어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stuff"가 가장 입력 확률이 높은 것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판단되었고 다음으로 "stupid"가 입력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입력키 표시부(430)는 실시 예에 따라 키보드의 형식의 가상 입력 키 일 수 있으며, 상기 키보드의 일 예로 "qwerty" 형식의 키보드 배열을 표시할 수 있으나 키 배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키 표시부(430)는 해당 영역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표시된 문자를 입력으로 수신하는 키영역(432) 상기 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434)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영역(434)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가장 가까운 키영역(432)의 입력으로 간주하거나, 이무런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은 키영역(432)부분에 터치 입력이 수신될 경우 "a"를 입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표시부는 예측단어 표시부(510) 및 입력키 표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어 표시부(510)에는 상기 단말에 입력된 단어를 기본으로 다음에 입력될 확률이 높은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키 표시부(520)는 실시 예에 따라 키보드의 형식일 수 있으며, 상기 키보드의 일 예로 "qwerty" 형식의 키보드 배열을 표시할 수 있으나 키 배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의 해당 영역을 터치 할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된 영역에 할당된 입력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입력부 경계선(521)은 설정에 따라 상기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해 가상의 선이라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입력부 경계선(521)을 보조선의 형태로 상기 표시부 상에 나타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 경계선(521)는 상기 단말의 입력부에 할당된 키의 영역을 나타내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표시부 경계선(523)는 상기 입력키 표시부(520)에 표시되는 각 키 사이의 경계 선일 수 있다. 표시부 경계선(523)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 경계선(523)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경우 상기 단말은 가장 가까운 키의 입력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아무런 입력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현재 사용자는 "stu"를 입력하였고, 상기 단말의 제어부는 다음에 입력할 확률이 높은 단어로 "stuff", "stupid", "stuck", "study" 및 "student"를 판단하였다. 상기 판단과 관련된 설명은 전술하였다.
따라서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예상을 하면 다음에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문자는 "f", "p", "c" 및 "d"이다. 실시 예에 따라 가장 먼저 배치된 단어가 입력될 가능성이 가장높은 단어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예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키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은 입력부 상에 할당된"f"(522), "p"(524), "c"(526)및 "d"(528) 영역을 확대하였다. 상기 확대하는 면적은 입력될 확률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될 확률이 가장넓은 "f"(522)에 할당된 영역을 가장 넓게 결정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에서 사용자가 f를 추가로 입력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예측단어 표시부(510)에 표시된 단어를 통해 판단하면 다음에 입력될 문자는 "f" 및 "d"이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은 "f"(534)에 할당된 영역을 넓힐 수 있고, "d"(532)에 할당된 영역 역시 넓힐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확률이 보다 높은 것으로 예상된 "f"(534)에 할당된 영역의 넓이를 "d"(532)에 할당된 영역보다 보다 넓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할당된 영역의 넓이를 변화시키기 전의 "f" 키에 인접한 곳을 터치 하는 경우에도 단말은 "f"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입력부의 키에 할당된 영역을 가변화 시킴으로써 오입력의 확률을 낮추고 신속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6A 및 6B는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 및 표시부 중 하나의 키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도면은 단말의 입력키 표시부 중 일부(610)를 도시하고 있다. "d" 키의 중심점(612)을 기분으로 표시부 경계선(614)가 "d" 키의 주면을 감싸고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d"키 주면의 표시부 경계선(614) 내부의 영역에 터치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단말은 "d"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것으로 예상된 알파벳 중 "d"가 포함될 경우 상기 "d"의 입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d"의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확장된 "d"입력 영역 경계선(616) 내부에 터치 입력이 수신될 경우 상기 단말은 "d"의 입력이 수신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확장된 "d"입력 영역 경계선(616)은 "d"키의 중심점(612)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확장 될 수 있으나 확장되는 방식은 인접한 키 배열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의 표시부(700)는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718), 입력 내용 표시부(710), 예측 단어 표시부(720) 및 입력키 표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7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표시부(700)의 각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입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표시부(700)는 저장키(714) 및 취소키(716)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키에 해당하는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키들에 각각 할당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내용 표시부(710)는 입력키 표시부(730)에 수신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입력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문자 표시부(712)부분에 상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 내용 표시부(710)는 상기 단말이 외부 통신 엔티티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측 단어 표시부(7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단어 및 상기 입력단어를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할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단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예측단어를 표시한 영역을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된 곳에 대응하는 예측단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예측 단어를 입력 문자 표시부(712)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예측단어는 입력 확률이 높은 순서에 따라 정렬 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측부터 입력 확률이 높은 단어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키 표시부(730)는 실시 예에 따라 키보드의 형식의 가상 입력 키 일 수 있으며, 상기 키보드의 일 예로 2벌식 형식의 키보드 배열을 표시할 수 있으나 키 배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키 표시부(730)는 해당 영역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표시된 문자를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또는 다른 통신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력 문자 표시부(712)에 "미라"가 입력되어 있다.
실시 예에서 예측 단어 표시부(720)에 이미 입력된 "미라"(722) 및 입력된 문자를 기반으로 "미래를", "미래", "미래의", "미래에"및 "미래에서"(724)를 포함하는 예측 단어가 표시될 수 있다. 미 도시된 예측 단어로는 "미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예측된 단어의 배치는 입력될 확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입력키 표시부(730)에는 "미라"다음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팝업부(735)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팝업부(735)는 기존 위치에 표시되는 자음인 "ㄹ"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ㅣ", "ㅡ" 및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팝업부(735)를 표시함으로써 입력 키 표시부(730)에 표시된 자음과 함께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모아키(moa key)"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8b는 도 7b의 팝업부(735) 근방에서 상기 단말의 입력부가 각 자음 및 모음을 수신하기 위한 영역(8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다르면 사용자 입력이 따라 "미라"가 입력되었고, 상기 단말이 상기 입력된 문자를 기반으로 예측을 하면 다음에 입력될 가능성이 높은 자음 또는 모음은 "l"(812)와 "ㄱ"(814)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부의 영역을 도 8a와 같이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의 영역은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 상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입력부의 각 키에 할당된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선(860, 868)이 있고, 각 경계선(860, 868) 내부에 터치를 할 경우 대응하는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경계선(862, 866)의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키의 영역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이 입력에 대응하여 다음에 입력될 것으로 예측하여 확장한 "ㄱ"에 대응하는 영역(866, 878)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은 "ㄱ"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다음에 입력될 것으로 예측하여 확장한 "ㅣ"에 대응하는 영역(862, 872, 874, 876)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은 "ㅣ"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예측된 다음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키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오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다른 통신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문자, 자음, 모음, 알파벳, 문장부호 및 이모티콘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문자, 자음, 모음, 알파벳, 문장부호 및 이모티콘 중 하나 이상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키(key)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값을 예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및 상기 예상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될 값을 예상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값의 확률 분포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될 값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키 영역의 넓이를 각각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된 값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부 키의 개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조절된 키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보조선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입력부의 키 영역 크기에 대응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입력화면의 키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이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이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일 경우에 상기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화면에 추가로 키를 입력 할 수 있는 팝업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팝업부 및 상기 팝업부에 인접한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화면의 변화 없이 상기 입력부의 키 영역의 크기를 소프트웨어 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키(key)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값을 예상하고, 상기 입력 및 상기 예상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키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다음에 입력될 값의 확률분포 구하고, 상기 계산된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될 값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키 영역의 넓이를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예상된 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키의 개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조절된 키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보조선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조절된 입력부의 키 크기에 대응해서 상기 표시된 입력화면의 키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이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인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이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입력일 경우에 상기 키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화면상에 추가로 키를 입력 할 수 있는 팝업부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팝업부 및 상기 팝업부에 인접한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화면의 변화 없이 상기 입력부의 키 영역의 크기를 소프트웨어 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30020645A 2013-02-26 2013-02-26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06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645A KR20140106287A (ko) 2013-02-26 2013-02-26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4/190,741 US20140240237A1 (en) 2013-02-26 2014-02-26 Character input method based on size adjustment of predicted input key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CN201410067241.8A CN104007906A (zh) 2013-02-26 2014-02-26 基于预测输入键的大小调整的字符输入法及相关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645A KR20140106287A (ko) 2013-02-26 2013-02-26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287A true KR20140106287A (ko) 2014-09-03

Family

ID=5136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645A KR20140106287A (ko) 2013-02-26 2013-02-26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40237A1 (ko)
KR (1) KR20140106287A (ko)
CN (1) CN1040079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5262A (zh) * 2013-11-01 2015-05-13 辉达公司 一种用于虚拟键盘的输入方法和输入系统
CN104238891A (zh) * 2014-09-22 2014-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指令接收方法及装置
KR101662740B1 (ko) * 2014-11-20 2016-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손가락들의 모션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6598405A (zh) * 2015-10-20 2017-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及其动态调节控件位置的方法
US20170147164A1 (en) * 2015-11-25 2017-05-25 Google Inc. Touch heat map
JP6701836B2 (ja) * 2016-03-14 2020-05-27 オムロン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CN107844199B (zh) * 2016-09-18 2022-03-0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系统和用于输入的装置
CN109213313A (zh) * 2017-07-08 2019-01-15 程梦梦 一种键盘感知和按键预测及反馈和输入的方法
KR102397414B1 (ko) * 2017-11-15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536501A (zh) * 2018-02-08 2018-09-14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输入界面响应布局生成方法、装置和服务器
KR102527892B1 (ko) * 2018-11-26 2023-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예측 단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362267B (zh) * 2019-07-11 2020-11-10 深圳市科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安检机输入设备系统
CN110825240A (zh) * 2019-11-01 2020-02-21 西南石油大学 一种按键键面尺寸可变的键盘
CN111124200B (zh) * 2019-11-28 2021-08-17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触摸按键的响应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026322A (zh) * 2019-12-02 2020-04-17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键盘布局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3844B1 (en) * 2000-01-18 2003-06-03 Microsoft Corporation Predictive keyboard
US7886233B2 (en) * 2005-05-23 2011-02-08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text input involving word completion functionality for predicting word candidates for partial word inputs
US20080140307A1 (en) * 2006-10-18 2008-06-12 Kenny Ch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arrangement for efficient data entry for navigation system
EP1953623B1 (en) * 2007-01-30 2018-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KR20080071473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터치키보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10179355A1 (en) * 2010-01-15 2011-07-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rtual information input arrangement
US8619035B2 (en) * 2010-02-10 2013-12-31 Tactus Technology, Inc. Method for assisting user input to a device
EP2745191B1 (en) * 2011-08-15 2016-04-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izing selection zones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responsive to likelihood of selection
US8484573B1 (en) * 2012-05-23 2013-07-09 Google Inc. Predictive virtual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0237A1 (en) 2014-08-28
CN104007906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6287A (ko) 단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12763B1 (ko) 문맥적 입력 방법
US10373009B2 (en) Character recognition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US8812972B2 (en) Dynamic generation of soft keyboards for mobile devices
US10095405B2 (en) Gesture keyboard input of non-dictionary character strings
KR101633842B1 (ko) 연속적인 제스쳐 입력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키보드들
US20080182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put
US20140198048A1 (en) Reducing error rates for touch based keyboards
US20140351760A1 (en) Order-independent text input
KR101484583B1 (ko) 대체 점수를 사용하여 사전-내에-없는 문자열들의 제스처 키보드 입력
JP5676113B2 (ja) 携帯電子機器
KR20120016060A (ko) 입력 방식 편집기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JP2009205303A (ja)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KR20180032591A (ko) 터치 히트 맵
WO20090742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ombined characters
US2010014919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nput order independent character input mechanism
US20070061718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 interpretation mode
US2013009145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CN105683891A (zh) 通过手势来输入声调和音符符号
JP2006293987A (ja) 文字入力装置、文書作成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9804777B1 (en) Gesture-based text selection
KR20150088974A (ko) 키 사용 빈도에 따라 인식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적용한 qwerty 키패드
KR100883116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00019266A (ko)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JPH11338608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