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266A -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9266A KR20100019266A KR1020080078206A KR20080078206A KR20100019266A KR 20100019266 A KR20100019266 A KR 20100019266A KR 1020080078206 A KR1020080078206 A KR 1020080078206A KR 20080078206 A KR20080078206 A KR 20080078206A KR 20100019266 A KR20100019266 A KR 201000192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data
- keypad
- touch pad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키에 하나의 한글 자음과 복수개의 알파벳이 할당되어 한글 자음과 알파벳의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를 채용하고, 한글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며 키패드에서 입력된 키에 할당된 첫 번째 알파벳을 두 번째, 세 번째로 할당된 알파벳으로 변경이 가능한 터치패드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데이터 입력 시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동시에 이용하여 문자데이터의 입력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용 단말기, 키패드, 터치패드, 문자입력, 텍스트입력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문자데이터의 입력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보급되는 휴대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휴대용 단말기 중 휴대단말기는 12키로 구성된 키패드를 채용하고 PDA, 스마트 폰 등은 쿼티(qwerty)자판을 채용한다.
그러나 12키로 구성된 키패드를 채용하는 경우, 하나의 키에 다수개의 한글 자음 및 영어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자음 및 알파벳을 연속적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패드의 키를 입력하고 방향키를 입력하거나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여 커서(cursor)가 이동한 이후에 키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qwerty자판을 채용한 경우 자판을 구성하는 키의 크기가 매우 작아서 사용자가 입력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스마트폰에 터치패드를 채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지만, 터치패드는 마우스를 대신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역할만 수행할 뿐,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활용도가 떨어지고 위치만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동시에 이용하여 문자데이터 입력 시 사용자의 입력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로 구성된 입력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1 데이터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입력문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글입력모드에서 상기 제1 데이터는 한글 자음, 상기 제2 데이터는 한글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어입력모드에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키패드의 키에 할당된 복수의 알파벳 중 첫 번째 알파벳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키에 할당된 다른 알파벳으로 변경하기 위한 자리수 결정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글 자음이 입력되면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글 모음이 연속하여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모음 이 이중모음을 구성하면 상기 연속된 모음을 이중모음으로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인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알파벳의 자리수를 제2 데이터만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연속하여 입력되면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데이터와 제1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입력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입력모드가 한글입력모드인지 영문입력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모드가 한글입력모드이면 상기 제1 데이터는 한글 자음, 상기 제2 데이터는 한글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모드가 영어입력모드이면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키패드의 키에 할당된 복수의 알파벳 중 첫 번째 알파벳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키에 할당된 다른 알파벳으로 변경하기 위한 자리수 결정 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한글 자음이 입력되면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쌍자음이 존재하면 상기 쌍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쌍자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와 제1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글 모음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연속된 모음이 이중모음을 구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이중모음을 구성하면 상기 연속된 모음을 이중모음으로 조합하는 단계, 상기 조합된 이중모음과 상기 자음 또는 상기 쌍자음과 조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와 제1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인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데이터인 자리수 결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첫 번째 알파벳의 자리수를 변경한 후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연속하여 입력되면 첫 번째 알파벳을 연속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데이터 입력 시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동시에 이용하여 문자데이터의 입력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문자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휴대단말기, PDA, 스마트 폰, 노트북, 포스트 PC 등과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위한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숫자 또는 특수문자 등 한글, 영어를 제외한 문자들은 본 발명의 논외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위한 장치(100, 이하, 휴대용 단말기라 함)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키패드(111), 터치패드(112), 기능키(113)를 포함하고, 제어부(120)는 키감지부(121)와 터치감지부(122)를 포함하며, 메모리(140)는 메뉴 저장부(141)를 포함한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100)는 안테나(미도시), 무선통신부(RF: Radio Frequency, 미도시), 마이크(미도시), 스피커(미도시)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관계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입력부(110)는 통상적인 키패드(111), 터치패드(112), 기능키(113)로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문자데이터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 또는 터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에 키패드(111)가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관은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인 경우 키패드(111)는 소프트웨어 현태로 구현되어 표시부(130)에 표시될 수 있고,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관은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에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키패드(111)가 도 2에서 입력부(110)를 구성하는 키패드(111)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관은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키패드(111)는 한글에 존재하는 자음에 하나씩의 키(key)가 할당되어 14개의 키로 구성되며, 한글의 자음 중 쌍자음이 존재하는 경우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쉬프트(shift)키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키패드(111)의 15개의 키 중 영어의 경우는 기존 12키의 영어 배열과 동일하게 9개의 버튼에 3개의 알파벳이 할당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패드(112)는 사용자가 터치패드(112)에 터치를 수행하면 터치의 입력방향 및 입력위치 등을 인식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기능키(113)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는 메뉴에 접근하기 위한 메뉴, 통화, 취소, 종료, 확인, 방향 키 등의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제어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문자데이터 입력모드로의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문자데이터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커서(131)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한글, 영어,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또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일 경우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문자데이터 입력모드로의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문자데이터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커서(131)와 키패드(111)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키감지부(121)는 키패드(111)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한 키에 할당된 한글의 자음 또는 영어의 알파벳 등을 추출하고, 기능키(113)에서 입력이 발생한 키에 할당된 메뉴로의 접근을 수행한다.
터치감지부(122)는 터치패드(112)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의 입력방향, 입력위치 등을 추출하여 터치에 해당하는 한글의 모음 또는 영어의 알파벳 등을 추출한 다. 또한, 터치감지부(122)는 터치패드(112)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의 입력방향, 입력위치 등에 매핑되어 메모리(140)의 메뉴저장부(141)에 저장된 메뉴를 추출한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Light), 터치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0)가 LCD일 경우 표시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문자데이터 입력모드로 진입하면 입력부(110)에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 입력위치의 기준이 되는 커서(131)를 표시하고 키패드(111)와 터치패드(112)에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일 경우 표시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문자데이터 입력모드로 진입하면 입력부(110)에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의 입력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이 되는 커서(131)와 문자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111)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키패드(111)와 터치패드(112)에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입력부(110)에서 선택되는 메뉴에 해당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지원하는 메뉴에 대한 정보 등)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지원하는 메뉴와 터치패드(112)에서 터치가 가능한 입력방향 및 입력위치를 매핑하여 즐겨찾기로 저장하는 메뉴저장부(141)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S401단계에서 제어부(120)가 기능키(113)로부터 문자데이터 입력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S402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S401단계에서 제어부(120)가 문자데이터 입력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S414단계로 진행한다.
S414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즐겨찾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신호가 기능키(113)로부터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진입신호가 입력되면 S415단계로 진행하여 즐겨찾기가 설정된 메뉴를 검색하고, 진입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S401단계로 회귀한다. 이때, S415단계의 메뉴검색 수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후, S402단계에서 제어부(120)가 기능키(113)로부터 문자데이터를 한글로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S403단계로 진행하고, 한글로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S413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문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때, S413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아울러,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일 경우, S402단계에서 제어부(120)가 기능키(113)로부터 문자데이터를 한글로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130)에 키패드(111)를 표시한 이후에 S403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S403단계에서 제어부(120)가 키패드(111)로부터 한글의 자음을 입력받으면 S404단계로 진행하고, 키패드(111)로부터 한글의 자음이 입력되지 않으면 S408단계로 진행한다. S404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키감지부(121)는 키패드(111)로부터 자음이 입력된 상태에서 쉬프트 키(shift key)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키 감지부(121)는 S405단계로 진행하여 S403단계에서 입력된 자음에 쌍자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S405단계의 판단결과 S403단계에서 입력된 자음에 쌍자음이 존재하면 제어부(120)는 S406단계로 진행하여 S403단계에서 입력된 키에 대한 쌍자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반대로, S404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키감지부(121)는 키패드(111)로부터 자음이 입력된 상태에서 쉬프트 키가 입력되지 않음을 감지하면 키 감지부(121)는 S407단계로 진행하여 S403단계에서 입력된 자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이어서, S408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터치감지부(122)는 터치패드(112)에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입력이 존재하면 S409단계로 진행하고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S412단계로 진행핸다.
S409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터치감지부(122)는 S408단계의 입력 이전에 입력된 모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모음이 존재하면 S410단계로 진행한다. S41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입력된 모음들의 조합으로 이중모음이 가능한지 판단한 후, 이중모음이 가능하면 S411단계에서 이중모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20)는 S406단계 또는 S407단계에서 표시부(130)에 표시된 쌍자음 또는 자음에 이중모음을 조합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고, S403단계와 같이 키패드(111)의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터치패드(112)에 입력이 존재하면 입력된 모음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반대로, 제어부(120)는 S408단계의 입력 이전에 기입력된 모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S406단계 또는 S407단계에서 표시부(130)에 표시된 쌍자음 또는 자음에 S409단계에서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S403단계와 같이 키패드(111)의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터치패드(112)에 입력이 존재하면 입력된 모음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이후, S412단계에서 제어부(120)는 기능키(113)로부터 문자데이터의 입력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문자데이터의 입력을 종료하고 문자데이터의 입력종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한글을 제외한 다른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문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S413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S501단계부터 S512단계를 수행한다.
S501단계에서 제어부(120)는 기능키(113)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영어로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S502단계로 진행하고, 영어로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S510단계로 진행하여 특수문자의 입력 여부를 수신한다.
이어서, S502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키 감지부(121)는 키패드(111)로부터 알파벳이 할당된 키에 입력이 발생하는지 감지하여 입력이 발생하면 S503단계로 진행하고,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S502단계로 회귀하여 키패드(111)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후, S503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키 감지부(121)는 일정 시간 내에 S502단계에서 입력된 키와 동일한 키가 재입력되는지 판단하여 재입력되면 S505단계로 진행하고, 동일한 키가 재입력되지 않으면 S504단계로 진행하여 S402단계에서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반대로, S505단계에서 제어부(120)는 S502단계와 S503단계에서 연속적으로 입력된 키에 할당된 알파벳을 연속적으로 표시하고, 커서(131)를 다음 문자가 입력될 위치로 이동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 후 S506단계로 진행한다. 이로 인해, 종래에 동일한 알파벳을 연속적으로 입력할 때 커서 이동을 위해 방향키를 입력하거나 커서 이동을 위해 일정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경우 www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w가 할당된 키패드를 입력하고 커서를 이동하기 위해 방향키를 입력한 후 다시 w를 입력하는 행위를 반복하여 총 5번의 키입력을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w에 해당하는 키를 3번만 반복하여 입력하면 되므로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반대로, S502단계에서 입력된 키와 동일한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S502단계에서 입력된 키에 할당된 알파벳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이어서, S506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터치감지부(122)는 터치패드(112)에 입 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입력이 존재하면 S507단계로 진행하고,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S502단계로 회귀하여 키패드(111)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
S507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터치감지부(122)는 터치패드(112)에 입력된 터치의 방향을 감지하여 가로방향으로 터치가 감지되었으면 S508단계로 진행하여 S502단계 또는 S503단계에서 입력된 키에 할당된 알파벳 중 2번째에 존재하는 알파벳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즉, S504단계에서 알파벳 a가 표시된 이후에 가로방향으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20)의 터치감지부(122)는 a를 b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아울러, S505단계에서 aa가 표시된 이후에 가로방향으로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감지부(122)는 늦게 입력된 a를 b로 변경하여 ab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도 4의 S412단계로 회귀한다.
반대로, S507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터치감지부(122)가 터치패드(112)에 입력된 터치의 방향을 감지한 결과 가로방향이 아니라 세로방향이면 S509단계로 진행하여 S502단계 또는 S503단계에서 입력된 키에 할당된 알파벳 중 3번째에 존재하는 알파벳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즉, S504단계에서 알파벳 a가 표시된 이후에 세로방향으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20)의 터치감지부(122)는 a를 c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아울러, S505단계에서 aa가 표시된 이후에 세로방향으로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감지부(122)는 늦게 입력된 a를 c로 변경하여 ac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도 4의 S412단계로 회귀한다.
반대로, S510단계에서 제어부(120)가 입력부(110)로부터 특수문자의 입력 여부의 수신에 따라 도 4의 S412단계로 회귀하거나, S511단계로 진행하여 키패드(111) 또는 터치패드(112)에서의 입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S512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되는 특수문자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20)는 도 4의 S412단계로 회귀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메뉴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메뉴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패드의 입력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메뉴검색을 수행하는 S415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S601단계부터 S605단계를 수행한다.
메뉴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S601단계에서 제어부(120)의 터치감지부(122)는 터치패드(112)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 S601단계에서 터치패드(112)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S601단계로 회귀하여 터치패드(112)로의 입력을 계속적으로 감지하고, 터치패드(112)로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S602단계로 진행한다.
S602단계에서 터치감지부(122)는 터치패드(112)로부터 발생한 터치에 대한 입력방향과 입력된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메뉴로 접근하기 위해서 터치패드(112)에 발생할 수 있는 터치의 입력방향과 입력위치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문자데이터, 기호 등으로 변경하 여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S603단계에서 제어부(120)는 S602단계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입력방향 및 입력위치에 매핑되어 메모리(140)의 메뉴저장부(141)에 저장된 메뉴를 추출한다. S604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추출된 메뉴로 진입하여 메뉴에 해당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고, S605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도 4로 회귀한다. 따라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로 일일이 접근하지 않아도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특정 터치와 매핑시켜 저장함으로써 보다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영문을 포함하는 문자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위한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한글을 제외한 다른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메뉴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메뉴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패드의 입력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휴대용 단말기 110: 입력부
111: 키패드 112: 터치패드
113: 기능키 120: 제어부
121: 키감지부 122: 터치감지부
130: 표시부 140: 메모리
141: 메뉴저장부
Claims (15)
- 키패드와 터치패드로 구성된 입력부;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1 데이터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입력문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한글입력모드에서 상기 제1 데이터는 한글 자음, 상기 제2 데이터는 한글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영어입력모드에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키패드의 키에 할당된 복수의 알파벳 중 첫 번째 알파벳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키에 할당된 다른 알파벳으로 변경하기 위한 자리수 결정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한글 자음이 입력되면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한글 모음이 연속하여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모음이 이중모음을 구성하면 상기 연속된 모음을 이중모음으로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제1 데이터인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알파벳의 자리수를 제2 데이터만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제1 데이터가 연속하여 입력되면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데이터와 제1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생성된 입력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입력모드가 한글입력모드인지 영문입력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모드가 한글입력모드이면 상기 제1 데이터는 한글 자음, 상기 제2 데이터는 한글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모드가 영어입력모드이면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키패드의 키에 할당된 복수의 알파벳 중 첫 번째 알파벳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키에 할당된 다른 알파벳으로 변경하기 위한 자리수 결정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는상기 한글 자음이 입력되면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결과 상기 쌍자음이 존재하면 상기 쌍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상기 판단결과 상기 쌍자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2 데이터와 제1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한글 모음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연속된 모음이 이중모음을 구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결과 이중모음을 구성하면 상기 연속된 모음을 이중모음으로 조합하는 단계;상기 조합된 이중모음과 상기 자음 또는 상기 쌍자음과 조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데이터와 제1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제1 데이터인 첫 번째 알파벳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데이터인 자리수 결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첫 번째 알파벳의 자리수를 변경한 후 입력문자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는상기 제1 데이터가 연속하여 입력되면 첫 번째 알파벳을 연속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206A KR20100019266A (ko) | 2008-08-08 | 2008-08-08 |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206A KR20100019266A (ko) | 2008-08-08 | 2008-08-08 |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266A true KR20100019266A (ko) | 2010-02-18 |
Family
ID=4208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8206A KR20100019266A (ko) | 2008-08-08 | 2008-08-08 |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1926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749B1 (ko) * | 2010-04-28 | 2012-01-11 | 지앤아이(주) | 정보입력 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패드 |
-
2008
- 2008-08-08 KR KR1020080078206A patent/KR2010001926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749B1 (ko) * | 2010-04-28 | 2012-01-11 | 지앤아이(주) | 정보입력 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패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3842B1 (ko) | 연속적인 제스쳐 입력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키보드들 | |
KR101331697B1 (ko) |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US8581849B2 (en) | Electronic device system utilizing a character input method | |
US8812972B2 (en) | Dynamic generation of soft keyboards for mobile devices | |
US20180032831A1 (en) | Character recognition an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 |
US2014032544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nu 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 |
US20140139440A1 (en) |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CN105630327B (zh) |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可选元素的显示的方法 | |
US10387033B2 (en) |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 |
KR20110014891A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
CN101290555A (zh) | 用于在终端的触摸屏上输入字符的装置和方法 | |
KR20120009200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
US20100110002A1 (en) |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bined input and display device | |
US20130091455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for | |
US9014762B2 (en) |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 |
KR101261227B1 (ko) |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 |
KR20100019266A (ko) |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 |
US10048771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chinese language input to a touch screen | |
JP2013171295A (ja) | 携帯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118530B1 (ko) |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 |
KR101255801B1 (ko) |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 |
KR101149892B1 (ko) | 휴대용 단말기, 그의 문자 입력 방법 | |
JP2014089503A (ja)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 |
KR20200018558A (ko) | 온스크린 키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 |
KR101919515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