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530B1 -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530B1
KR101118530B1 KR1020100008871A KR20100008871A KR101118530B1 KR 101118530 B1 KR101118530 B1 KR 101118530B1 KR 1020100008871 A KR1020100008871 A KR 1020100008871A KR 20100008871 A KR20100008871 A KR 20100008871A KR 101118530 B1 KR101118530 B1 KR 10111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pad
screen
access signal
key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381A (ko
Inventor
장태선
Original Assignee
장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선 filed Critical 장태선
Priority to KR102010000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5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전자 단말기(휴대폰, PDA, 전자수첩, 네비게이션 등)의 문자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반 휴대폰에서 볼 수 있는 3x4 모양의 입력 기술 분야를 비롯하여 모든 전자 단말기의 문자 입력 기술분야를 포함하며 기존 입력법의 고질적인 문제인 오타, 애매성, 높은 키 입력 회수, 키 입력간 많은 이동거리 등 효율성 및 편의성 관련 문제점 등을 해결을 하기 위해 과학적이고 스마트한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두 종류의 스크린 키패드를 구성하고 각 칸마다 가능한 합법적인 조합 문자/숫자/기호 등을 주변에 표시하여 한 번의 접속(Touch Down)으로 최대한 많은 글자를 입력하여 기존 키패드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키 입력 회수 및 이동거리의 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었고 동일키에 다수의 낱자를 배치하는 방식도 피할 수 있어 오타 및 애매성을 제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1. 전자기기에서의 입력 속도 향상(시간적 이득) 2. 전자기기에서의 입력 편의성 개선 (정신/물리적 이득) 3. 전자기기에서의 입력 통일성 및 확장성 추구 (사용자와의 합리적인 규칙 약속을 통한 응용범위 확대 가능)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Smart Input System for Characters And Numbers In A On-screen or Digital Keypad}
본 발명은 모든 전자 단말기(휴대폰, PDA, 전자수첩, 네비게이션 등)의 문자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반 휴대폰에서 볼 수 있는 입력 기술 분야를 비롯하여 모든 전자 단말기의 문자 입력 기술분야를 포함한다.
배경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PC-키보드 환경을 적용한 쿼티(QWERTY) 키보드 방식; 2) 전화기에서의 3x4 키패드를 이용한 휴대폰 방식; 그리고 3) 키패드의 총 키 수와 배치에 있어서 위 두 가지 방식과 크게 다른 방식이 있다.
1) 전 세계적으로 PC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한 키보드라는 점 때문에 휴대폰이나 소형기기에 적용되었으나 최소 30여 개의 키가 필요하므로 소형기기에서는 아날로그나 디지털 키패드에 적용하였을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키 하나의 크기가 작아 누르기가 힘들며 따라서 오타 발생률이 높아진다. 둘째, 이미 머리 속에 외우고 있는 키 배치도라 할지라도 양손을 키보드에 올려놓은 자세를 취하여지만 PC 키보드에서의 속도 및 숙련도를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성이 높은 소형 전자기기에서는 양손을 쓰기도 어려울 뿐더러 양손의 8 손가락을 올려놓을 자리도 없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익숙한 키 배치도라는 장점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셋째, 한 손/한 손가락을 사용하더라도 키와 키 간 이동거리가 길며 이동방식이 복잡하여 사용자에게 오히려 더 불편을 만든다.
2) PC에는 쿼티 키보드가 있다면 휴대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3x4(12개) 키 입력법이 있다. 영어권에서는 2부터 9까지 ABC, DEF, GHI, JKL, MNO, PQRS, TUV, WXYZ로 나눠져 있으며 불편하지만 통일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고 국내에는 영문 입력 관련하여 1부터 9까지 QZ, ABC, DEF, GHI, JKL, MNO, PRS, TUV, WXY 식으로 통일되어 있는 반면 한글 입력 관련하여 제조사별로 다양한 입력법이 존재하여 다른 제조사의 기기를 구매할 때 새 입력법에 적응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대표적인 상용 한글 입력법으로는 삼성전자의 천지인 입력법, 팬택의 SK2 입력법, LG의 EZ 입력법, 모토로라 입력법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십여 개의 다양한 특허가 존재한다. 이들 대부분의 공통점을 말하자면 키패드에서 모음 구역과 자음 구역이 확실하게 구분되어 하나의 직선(또는 한번 꺾인 선)을 그어 나눌 수 있다는 점이다. [도5 참조] 그렇지 않다면 동일키에 자모가 섞인 형태의 입력법(예: 이완수의 통일자판, 또는 으뜸 한글(Uniform Dial)[도5 참조], 서정현의 입력법, 허태호의 입력법 등)도 존재하나 애매성(ambiguity)이 해소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혼란과 불편을 일으킨다. 상용화된 입력법의 공통적인 불편함은 이중모음, 이중자음, 격자음 등을 조합하는 데에 있어서 애매성이 존재하거나(삼성의 천지인, SK2 입력법, 예: 겹자음(ㄲ, ㅃ, ㅉ, ㄸ, ㅆ 등)을 생성하기 위해 3회 연속 동일키를 입력해야 한다는 점, ㅅ과 ㅎ의 동일키 배치로 인해 생기는 ㄽ/ㅀ 애매성, ㅂ과 ㅍ의 동일키 배치로 인해 생기는 ㄼ/ㄿ 애매성 등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차 입력법을 추가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현재까지 입력된 문자를 인정하고 다음으로 넘어가게 하였음) 타수가 많아지거나 (삼성의 천지인), 이동거리가 많거나(LG의 EZ 입력법)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계속 존재한다. 이밖에 영문 입력법은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보편적인 입력법과 비슷하여 사용시 불편함은 계속 존재한다.
3) 위 두 방식을 벗어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는데 기존 숫자 키패드를 가로로 확장하여 키를 더 추가하거나(한손누리자판 또는 CrossDial 등) 기존의 쿼티 키패드를 가로로 2 자씩 묶어 14개의 키보드(3단은 유지하며 한 줄에 최대 5 키씩 배치)를 하는 방법, 키패드 형태를 기하학적으로 만드는 방법(예: 원형으로 배치, 벌집 모양으로 배치), 키 수가 많아지더라도 모든 키를 배치하는 방법 등이 대표적이다. 터치스크린의 특징을 이용하여 자음만을 표시하는 모아키 방식(도6 참조)도 있는데 자음 입력후 모음입력을 예상하여 모음입력창을 표시해주는 방식으로 편리한 부분이 있지만 15개의 키를 사용하고 숫자키 배치가 다른 점이 익숙해지는 데 있어서 불편하고 전화걸기 인터페이스(3x4 배열)과 공통적으로 사용되기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점, 이중모음 등 복잡한 모음을 생성하는 부분의 조작 및 기억법이 어려운 점이 단점이다.
자음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자주 쓰인다. 자음 중 ㅊ, ㅋ, ㅌ, ㅍ, ㅎ는 각각 ㅈ, ㄱ, ㄷ, ㅂ, ㅇ의 격자음으로 간주하며 해당키를 2회 입력하는 방법이나 획추가 키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조합이 되며, ㄲ, ㅉ, ㄸ, ㅃ, ㅆ는 각각 ㄱ, ㅈ, ㄷ, ㅂ, ㅅ의 겹자음 또는 쌍자음으로 간주하며 해당키를 2회 또는 3회 입력하는 방법이나 겹자음 키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조합을 한다. LG의 EZ 입력법과 모토로라 입력법 등이 획추가 키이나 겹자음 키를 이용한다. 종성으로 가능한 이중자음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은 여러 해당 키 입력(1회 또는 2회)을 조합하여 생성한다.
모든 모음 또는 중성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천지인, 예전의 KTF EVER입력법[도5 참조], 또는 모토로라 입력법[도5 참조]같이 단 세 개의 키를 조합하는 방법과 ㅏ, ㅓ, ㅗ, ㅜ, ㅣ같이 대표적인 5개 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 방법은 후자에 비해 입력회수가 많은 대신 이동거리가 짧다는 것이 장점이나 ㅞ, ㅖ 같은 복잡한 모음에서 입력순서가 혼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숙련기간이 더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 방법은 전자보다 조합방식이 더 합리적이고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동거리가 많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키 입력 회수의 최소화: 키 입력 회수의 최소화를 위하여 1회 Down으로 많은 글자를 얻어내는 것이 좋다. 한글의 경우, 쿼티(QWERTY) 키보드에서의 조합 회수보다 더 적으면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영문의 경우, spr, str, pr, tr, wh, ea, ai, ou 등 자주 쓰이는 복수자음 또는 이중모음을 최소타에 얻어낼 수 있으면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2. 이동거리 최소화: 다중자음, 다중모음의 생성에 있어서 유사한 반경 내에서 다 이뤄질 수 있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한글의 경우, 초성-중성-종성-초성 또는 초성-중성-초성-중성 식으로 진행되는 데에 있어서 어려운 점이 없어야 한다.
3. 오타 최소화: 3x4 패드 방식의 기존 입력법에서는 물리적 공간의 제한성으로 인해 동일키 반복입력을 통한 조합 방법이 불가피하게 되는데 동일키 사용이 기억하기 쉽다는 점이 장점인 반면 반대로 목표 회수를 초과하거나 미달하여 생기는 오타 확률이 높아지는 단점은 숙제로 남아 있다. 터치패드 같이 손가락으로부터 전달되는 미세한 압력 전달이나 정전기 발생에 좌우되는 장치는 이러한 단점이 더 부각된다. 예: 여러 입력법(천지인, 모토로라, SKY 등)이 겹자음이나 격자음을 동일키에 배치하는 데
4. 애매성 해결: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 입력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데 앞서 언급된 동일키 중복사용 및 조합의 복잡한 룰로 인해 생기는 애매성(ambiguity)을 말한다. 한글의 경우, 한 글자의 종성과 그 다음 글자의 초성이 서로 조합되었을 때 합법적인 종성을 이룬다면 전자와 후자 중에 어느 것이 옳은 지 시스템이 판단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기존 입력법의 경우, 스페이스 같은 특정키를 통하여 다음 글자 입력 대기상태로 강제로 변환해서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읽다"에서의 "일"까지 입력하고 "ㄱ"을 입력한 직후와 "일거리"에서의 "일"을 입력하고 "ㄱ"을 입력한 직후에 대한 판단이 애매할 수 있다.
5. 한글과 영문 배치도의 연관성: 한글 사용자라 하더라도 이메일주소 전송, 전문용어, 국제 문자전송 등 영문과 한글을 혼합하거나 영문을 종종 사용하는 경우가 생기는 데 가급적 비슷한 논리로 배치를 한다면 키패드 간 전환 때 혼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 구분이 뚜렷한 모든 언어(대표적인 예: 한글, 영어, 스페인어, 영어권 언어) 입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도1 참조]
모든 전자 단말기(휴대폰, PDA, 전자수첩, 네비게이션 등)의 문자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1) 단말기 입력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문자입력을 감지하는 물리적 키패드(100), 스크린 키패드(P110), 그리고 문자입력 표시부(P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기의 경우, 물리적 키패드와 스크린 키패드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스크린 키패드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소형 키패드(A, B)로 구성되며 키패드 A(P111)의 구성은 자음입력을 중심으로, 키패드 B(P112)의 구성은 모음입력을 중심으로 하여, 두 개의 키패드를 스크린에 동시에 표시하여 양손 사용 입력이 가능하게 하거나 키패드 간 전환을 허용하고 둘 중 하나를 먼저 표시하여 한 손 사용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하되,
2) 문자입력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i) 입력신호를 기다리다가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P100) 표면에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Touch Down);
ii) 접속 신호의 위치가 물리적 키패드를 구성하는 최소 입력단위인 칸 구역에 해당하는 지를 인식하는 단계;
iii) 진입된 칸 구역에 해당하는 문자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는 같은 키패드 내의 다른 합법적인(valid) 조합(예: 이중모음, 이중자음, 겹자음, 격자음 등)이 있다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스크린 키패드(P110)를 다시 재구성하여 합법적인(valid) 조합 문자들을 주변 칸에 표시하는 단계;
iii)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로부터 떨어지거나(Touch Up) 접속 신호가 계속 유지되면서 현재 진입구역에서 이탈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v-1)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로부터 떨어지면 해당 칸 구역에 표시된 문자(자음 또는 모음)를 문자입력 표시부(P120)에 노출하는 단계;
iv-2) 접속 신호가 계속 유지되면서 현재 진입 칸에서 이탈하였다면
ㄱ) 다른 칸에 진입한 채로 접속 신호가 계속 유지되면 iii)단계로 다시 가거나;
ㄴ) 현재 진입 칸에서 이탈한 채로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로부터 떨어질 때 현재 진입 칸에서 이탈된 방향으로 합법적인 조합 칸이 존재하거나 최종 인식된 칸 구역이 합법적인 조합 칸이면 그 조합 칸에 표시된 문자를 문자입력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v) 화면표시 방법이 만일 한 손 입력 방법이어서 한번에 한 개의 키패드가 화면에 표시된다면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로부터 최종 떨어져 문자가 문자입력 표시부에 노출이 되면 다른 종류의 스크린 키패드(A에서 B, B에서 A)를 화면에 노출하며 이전 종류의 키패드로 다시 돌아가고 싶을 때에는 별도의 전환방법(특정키 또는 특정 방법)을 이용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적용을 통하여 효과를 볼 수 있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1. 소형 전자기기에서의 입력 속도 향상
2. 소형 전자기기에서의 입력 편의성 개선
3. 소형 전자기기에서의 입력 통일성 및 확장성 추구
1. 본 발명을 통한 소형 전자기기에서의 입력 속도는 일반적인 PC 환경에서의 키보드를 통한 입력 속도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현재 존재하는 기존 유사 입력법보다 더 월등하고 빠른 효율성을 추구한다. 입력속도 향상에 대한 평가는 과학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나 구문의 입력 반복회수 비교, 이동거리 비교, 그리고 종합 비교를 통하여 이뤄 질 수 있는데 한글에 있어서는 삼성 천지인, LG EZ, 팬텍의 SKY2, CrossDial, 모아키 등 5개의 대표적인 입력법과 비교평가하며 영문에 있어서는 쿼티 입력법, 영어권 입력법, 국내 영문 입력법 등 3개의 대표적인 입력법과 비교평가한다.
2.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입력 편의성이란, 양손 타법, 한 손 타법, 한 손가락(엄지) 타법 등에 있어서 모두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며 애매성 해소, 키 배치의 가독성, 기억 편의, 이동거리, 전체 키의 수 등을 고려하는 것을 말한다. 위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기존 입력법과 비교평가한다.
3.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통일성이란, 기존의 전화 걸기 인터페이스인 3x4 구조와의 유사성, 한글과 영문 입력법의 유사성,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입력법 규칙의 통일(예외가 적음)을 말하며 확장성이란 한글, 영문 외의 다른 언어나 다른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고려함을 말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는 구성도 및 흐름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적용한 3x4 형태의 키패드
제 3도는 3x4 키패드에서의 한글 입력 적용 사례
제 4도는 3x4 키패드에서의 영문 입력 적용 사례
제 5도는 휴대폰에서의 종래기술
제 6도는 터치폰에서 적용된 모아키 입력법
제 7도는 이중초성, 이중중성, 그리고 이중종성이 적용된 단어의 입력 예시
제 8도는 다중자음 및 모음이 적용된 영단어 입력 예시
제 9도는 3x4 키패드 다른 배치 방법 예시
본 발명을 통하여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을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1. 키 입력 회수의 최소화: 본 발명의 특징상 한 번의 키 입력으로 해당 키패드에서 이중 또는 삼중 문자(자음 또는 모음)를 다 입력할 수 있도록 스크린 키패드 구현이 가능하므로 기존 입력법에서 낱자(자모)수만큼 입력해야 하는 것에 비해 한 음절당 2~3타 내에서 해결될 수 있어 입력 회수를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꽥'이란 글자는 기존 입력법에서 최대 6타까지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3타 내에 입력된다. 영어의 경우 spring이란 한 음절은 기존 입력법에서 6타가 소요되나 본 발명에서는 3타에 입력된다.
2.이동거리 최소화: 다중자음, 다중모음의 생성에 있어서 자주 조합되는 자모들을 최대한 가까이 배치하여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3. 오타 최소화: 기존 입력법에서는 동일키에 여러 자모를 배치하여 클릭(1타)과 더블클릭(연타)에 따라 입력결과가 달라지는데 터치스크린의 경우, 미세한 차이로 원하지 않는 입력결과가 나와 오타가 발생 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키패드를 구비하여 단일 키패드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동일키에 여러 자모를 배치하는 방식 없이도 글자조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오타율을 줄일 수 있다. 기존 입력법에서는 12개(3x4)의 기본 칸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24개의 칸을 활용할 수 있으며 스크린 키패드의 재구성을 통하여 한 칸당 11개의 추가 칸을 이용할 수 있어 최대 264개(11x24)의 가상 칸을 활용할 수 있다.
4. 애매성 해결: 기존 입력법에서는 시간차 입력이나 특정키 입력을 통해야만 조합에서 생기는 애매성을 해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물리적 키패드에서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다음 종류의 키패드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천지인, SKY, (구)KTF EVER 등에서 'ㄴ'과 'ㄹ'이 동일키에 배치되어 있어 "인력", "온누리", "콜라", "실내" 등 'ㄴ'과 'ㄹ'이 한번 씩 섞이거나 같은 낱자가 연속으로 반복될 때 애매성이 존재한다. 또 이러한 애매성은 오타로 연결이 된다. 마찬가지로 천지인에서는 'ㅇ'과 'ㅁ', SKY에서는 'ㅇ'과 'ㅎ'이 동일키에 배치되어 있어 "잉어", "강물", "동해" 등 동일키에 배치된 낱자들이 서로 섞이거나 같은 낱자가 연속으로 반복될 때 애매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키 배치를 피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5. 한글과 영문 배치도의 연관성: 기존 입력법에서는 한글 배치도와 영문 배치도 사이에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아 사용자들은 영문을 입력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음성학적으로 서로 비슷한 위치에 배치된 키를 통하여 손쉽게 영문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위 [과제 해결 수단]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고 여기서는 일부 예제를 통해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한다. 입력에 대한 표시는 0~9,*,#와 같이 숫자 키패드의 대표 기호로 하였다. 괄호() 안의 기호는 접속해제가 이루어지는 칸의 대표 기호이다. <>의 숫자는 본 발명의 키입력 회수이며 []의 숫자는 천지인의 키입력 회수이다.
1. 한글 입력 방법: (여러 가지 조합 가능성 중 도3의 대표 한글 키패드를 적용한다.) (자음의 경우, 종성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시 (5)번에서 해제하는 방식을 택하였음. 예: 살면, 인사, 잇나)
a) 초성-중성의 예: 쉽게 말하면 자음 입력 후 모음 입력이다.
[째] ㅉ + ㅐ = 1(4)4(1) <2> vs.[6]
[놔] ㄴ + ㅗ + ㅏ = 28(4) <2> vs. [5]
[괘] ㄱ + ㅗ + ㅏ + ㅣ= 77(5) <2> vs. [6]
[의] ㅇ + ㅢ = 55(9) <2> vs. [3]
b) 초성-중성-종성의 예: 초성-중성 후 받침이 추가된 경우이다.
[감] ㄱ + ㅏ + ㅁ = 740 <3> vs. [5]
[삶] ㅅ + ㅏ + ㄻ = 445(0) <3> vs. [7]
[있] ㅇ + ㅣ + ㅆ = 894(7) <3> vs. [4]
[
Figure 112010006604517-pat00001
] ㅃ + ㅞ + ㄺ = 9(#)3(5)5(7) <3> vs. [11] <도7 참조>
c) 초성-중성 + 초성-중성(a+a)의 예: a)경우의 연속이다.
[과자] 과 + 자 = 78(4)14 <4> vs. [8]
[우유] 우 + 유 = 8282(5) <4> vs. [6]
d) 초성-중성-종성 + 초성-중성 (a+b)의 예: a)와 b)의 조합이다.
[살면] 살 + 면 = 445(2)06(5)2(5) <6> vs. [12]
[삶이] 삶 + 이 = 445(0)89 <5> vs. [9]
[인사] 인 + 사 = 892(5)44 <5> vs. [6]
[잇나] 잇 + 나 = 894(5)24 <5> vs. [6]
[있어] 있 + 어 = 894(7)86 <5> vs. [8]
2. 영문 입력 방법:
a) 반복입력이 필요한 경우의 예:
[pack] 947(8) <3> vs. [8]
[spring] 6(95)12(1) <3> vs. [16] <도8 참조>
[scream] 4(75)6(4)8 <3> vs. [14]
b) 일반 경우:
[babe] 6466 <4> vs. [9]
[cake] 7486 <4> vs. [9]
스마트, 한글 입력법, 영문 입력법, 스크린 키패드, On-screen keypad, 터치스크린

Claims (5)

  1. 전자 단말기의 문자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단말기의 입력장치 구성은 기본적으로 문자입력을 감지하는 물리적 키패드(P100), 스크린 키패드(P110), 그리고 문자입력 표시부(P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 키패드는 두 개의 소형 키패드(A, B)로 구성되며,
    상기 키패드 A(P111)의 구성은 서로 유사한 종류의 문자/기호(숫자포함)를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키패드 B(P112)의 구성은 A타입과 상이하면서 서로 유사한 종류의 문자/기호(숫자포함)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키패드(A,B)를 스크린에 동시에 표시하여 양손 사용 입력이 가능하게 하거나 키패드 간 전환을 허용하고, 상기 두 개의 키패드(A,B) 중 하나를 먼저 표시하여 한 손 사용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크린 키패드(A, B)에서 키패드 A의 구성은 한글 자음입력을 중심으로, 키패드 B의 구성은 한글 모음입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크린 키패드(A, B)에서 키패드 A의 구성은 국번 및 단축키 입력을 중심으로, 키패드 B의 구성은 일반 숫자 입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시스템.
  4. 전자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i) 입력신호를 기다리다가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P100) 표면에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Touch Down);
    ii) 상기 접속 신호의 위치가 물리적 키패드를 구성하는 최소 입력단위인 칸 구역에 해당하는지를 인식하는 단계;
    iii) 상기 진입된 칸 구역에 해당하는 문자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는 같은 키패드 내의 다른 합법적인(valid) 조합(예: 이중모음, 이중자음, 겹자음, 격자음 등)이 있다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스크린 키패드(P110)를 다시 재구성하여 합법적인(valid) 조합 문자들을 주변 칸에 표시하는 단계;
    iv) 상기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로부터 떨어지거나(Touch Up) 접속 신호가 계속 유지되면서 현재 진입구역에서 이탈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v-1)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로부터 떨어지면 해당 칸 구역에 표시된 문자(자음 또는 모음)를 문자입력 표시부(P120)에 노출하는 단계;
    iv-2) 접속 신호가 계속 유지되면서 현재 진입 칸에서 이탈하였다면
    ㄱ) 다른 칸에 진입한 채로 접속 신호가 계속 유지되면 iii)단계로 다시 가거나;
    ㄴ) 현재 진입 칸에서 이탈한 채로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로부터 떨어질 때 현재 진입 칸에서 이탈된 방향으로 합법적인 조합 칸이 존재하거나 최종 인식된 칸 구역이 합법적인 조합 칸이면 그 조합 칸에 표시된 문자를 문자입력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v) 화면표시 방법이 만일 한 손 입력 방법이어서 한번에 한 개의 키패드가 화면에 표시된다면 접속 신호가 물리적 키패드로부터 최종 떨어져 문자가 문자입력 표시부에 노출이 되면 다른 종류의 스크린 키패드(A에서 B, B에서 A)를 화면에 노출하며 이전 종류의 키패드로 다시 돌아가고 싶을 때에는 별도의 전환방법(특정키 또는 특정 방법)을 이용하는 단계;
    vi) i)로 다시 돌아가 입력신호를 기다리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삭제
KR1020100008871A 2010-01-31 2010-01-31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111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871A KR101118530B1 (ko) 2010-01-31 2010-01-31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871A KR101118530B1 (ko) 2010-01-31 2010-01-31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381A KR20110089381A (ko) 2011-08-08
KR101118530B1 true KR101118530B1 (ko) 2012-03-12

Family

ID=4492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871A KR101118530B1 (ko) 2010-01-31 2010-01-31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517B1 (ko) 2015-09-24 2021-12-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987793B1 (ko) * 2018-09-14 2019-06-11 이경종 올인원방식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417A (ko) *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확장키 입력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17189A (ko) * 2006-08-21 200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난지역 조난자 탐색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00061591A (ko) * 2008-11-29 2010-06-08 김상근 2개의 자판부와 2개의 제어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417A (ko) *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확장키 입력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17189A (ko) * 2006-08-21 200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난지역 조난자 탐색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00061591A (ko) * 2008-11-29 2010-06-08 김상근 2개의 자판부와 2개의 제어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381A (ko) 201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785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mploying a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learning a context of a text input for use by a disambiguation routine
KR100464115B1 (ko) 키입력장치
US7642934B2 (en) Method of mapping a traditional touchtone keypad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US200400677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tering text
CN100539729C (zh) 在移动终端拨打电话界面中检索联系人的方法及装置
US20030064686A1 (en) Data input device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WO200905464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US20160048217A1 (en) Mobile Keyboard
US7642932B2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KR101118530B1 (ko)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CN102999639B (zh) 一种基于语音识别字符索引的查找方法及系统
KR20000007129A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CN103020306A (zh) 一种基于手势识别字符索引的查找方法及系统
JP2001331253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20060033275A (ko)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및 영어입력방법
KR20100105236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EP1921533A1 (en) Method of mapping a traditional touchtone telephone keypad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KR20100019266A (ko)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39482B1 (ko) 스마트 조합식 문자 입력 키패드
WO20040303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small computing/communications devices
KR20000060607A (ko)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KR20040022319A (ko) Pda의 문자입력방법
KR200400827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6081137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