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320A -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320A
KR20140105320A KR1020130019450A KR20130019450A KR20140105320A KR 20140105320 A KR20140105320 A KR 20140105320A KR 1020130019450 A KR1020130019450 A KR 1020130019450A KR 20130019450 A KR20130019450 A KR 20130019450A KR 20140105320 A KR20140105320 A KR 2014010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connector
contact
fastening portion
elongated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233B1 (ko
Inventor
김영호
최경해
김동희
오상준
이승훈
김훈태
김원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23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 H01R13/6599Dielectric material made conductive, e.g. plastic material coated with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판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판 구조의 전기 커넥터는,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Electrical connector having metal frame structur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커넥터의 구조를 금속 프레임 구조로 개선하여 초저배화된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컨택트의 수도 많아지고 컨택트의 협피치 및 저배화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커넥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Receptacle Contact)(12)가 본체(11)에 배열된 리셉터클(10)과, 리셉터클(10)에 끼워지고 리셉터클 컨택트(12)와 일대일 접촉되는 플러그 컨택트(Plug Contact)(22)가 본체(21)에 배열된 플러그(20)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컨택트(12)와 플러그 컨택트(22)는 각각 리셉터클측 케이블과 플러그측 케이블과 연결되거나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리셉터클(10)에 플러그(20)가 끼워져서 리셉터클 컨택트(12)와 플러그 컨택트(22)가 상호 접촉하여 도통되었을 때 리셉터클측 케이블과 플러그측 케이블 또는 회로기판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의 커넥터 장치는 사출 성형에 의한 절연성의 본체(11, 21)가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구성으로 본체(11, 12)의 부피로 인해 커넥터 장치를 소형화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커넥터 장치의 본체(11, 12)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는 선행문헌으로는 일본 공개특허 제2006-228612호 등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6-228612호에서는 탄성을 가지고 소정의 피치(pitch) 방향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한 판상의 기재와, 그 기재에 형성된 절연층과, 그 절연층상인 동시에 상기 기재의 상기 개구부 간에 형성된 복수의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형성된 도체부를 갖도록 한 구성이다.
그런데, 일본 공개특허 제2006-228612호의 경우 절연 재질의 본체의 구성을 배제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도체부의 피치 간격에 해당되는 부분을 절개한 개구부가 형성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협피치를 위해 피치 간격을 줄일 경우 정밀한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개구부에 의해 각 도체부가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특정 도체부의 비특이적 소성 변형이 야기되더라도 전체적인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 커넥터 구조를 금속 프레임 구조를 적용한 형태로 개선하여 초저배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컨택트 패턴층의 정밀한 패터닝과 안정적인 접촉을 가능하도록 하여 협피치의 구현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는,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를 통해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은 라운드 형태 또는 노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은 펀칭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택트 패턴층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이 더 형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를 통해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은 라운드 형태 또는 노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은 펀칭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판에는 베이스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실장부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장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삽입 고정되거나, 표면 상에 실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택트 패턴층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이 더 형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체결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를 통해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은 라운드 형태 또는 노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은 펀칭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실장부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장부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에 삽입 고정되거나, 표면 상에 실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택트 패턴층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이 더 형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a) 평판 구조의 금속 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판의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을 코팅하는 단계; (d)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를 통해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은 라운드 형태 또는 노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기 이전 또는 형성된 이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은 펀칭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컨택트 패턴층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구조에 금속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초저배화된 전기 커넥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패턴층의 정밀한 패터닝과 안정적인 접촉을 가능하도록 하여 협피치의 구현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프레임의 고유 특성으로 강도와 차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 몰딩과 같은 복잡한 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하고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구성과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전기 커넥터의 다른 예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컨택트 패턴층의 피치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구성과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전기 커넥터의 다른 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는, 평판 구조를 가진 금속 판(110)과, 상기 금속 판(110) 상에 일정 피치로 형성된 프리(Pre) 컨택트 패턴 라인(115)과, 상기 금속 판(110) 상에 형성된 절연층(120) 및 컨택트 패턴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가 절곡 또는 펀칭 가공되어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기 커넥터로서 기능한다.
상기 금속 판(110)은 가공성이 우수하며 탄성을 가진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판이 사용된다. 금속 판(110)은 평판 형태의 기본 구조에서 절곡 또는 펀칭 가공을 통해 커넥터 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은 상기 금속 판(110)의 일면 상에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에 대응되도록 가늘고 긴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가늘고 긴 홈(115)은 일정 피치 즉,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의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은 예컨대,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 판(110)에 홈 구조의 라인을 일정 피치로 형성된다. 이때, 가늘고 긴 홈(115)은 도 2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태를 갖는 홈 구조이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홈(115')이 노치 형태의 홈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가늘고 긴 홈(115)의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은 상기 절연층(120)이 형성된 이후, 컨택트 패턴층(130)의 형성시 패터닝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이 가늘고 긴 홈(115)의 홈 구조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은 상기 절연층(120)이 형성되기 이전에 금속 판(110)에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연층(12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층(120)은 상기 금속 판(110)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절연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절연층(120)은 상기 금속 판(110)의 절곡 또는 펀칭 가공에 의해서도 손상되지 않고 절연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절연 물질을 금속 판(110) 상에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금속 판(110)의 표면을 산화 또는 질화 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산화물이나 질화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은 상기 금속 판(110)의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이 위치한 절연층(120) 상에 도전 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은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의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형성된 가늘고 긴 홈(115)의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마찬가지로 대응 컨택트의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은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의 홈 구조에 대응되는 형태의 접촉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컨택트 패턴층(130)은 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도전 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는 가늘고 긴 홈(115)이 형성된 금속 판(110)에 절연층(120)이 코팅되고, 가늘고 긴 홈(115)이 형성된 절연층(120) 상에 기존 컨택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컨택트 패턴층(130)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를 소정의 절곡 또는 펀칭 가공을 하여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절연 수지를 인서트 몰딩과 같은 복잡한 공정으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하고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커넥터 구조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어 초저배화 설계에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이 형성되는 부위에 사전에 홈 구조의 라인 형태로 형성된 가늘고 긴 홈(115)을 형성함으로써, 컨택트 패턴층(130)의 정밀한 패터닝과 안정적인 접촉면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협피치의 구현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판(110)의 고유 특성으로 강도와 차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b)는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a)는 도 2에 도시된 평판 형태의 금속 판을 절곡 가공하여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a)는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가 절곡 가공되어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140a)가 마련된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40a)에 화살표 형태로 나타낸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가 삽입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b)는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b)는 도 2에 도시된 평판 형태의 금속 판을 절곡 가공하여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b)는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가 절곡 가공되어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140b)가 마련된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40b)가 화살표 형태로 나타낸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b)는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c)는 도 2에 도시된 평판 형태의 금속 판을 펀칭 가공하여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c)는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가 펀칭 가공되어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140c)가 마련된다. 즉,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40c)에 화살표 형태로 나타낸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가 삽입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술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a, 100b, 100c)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 판(110)에 일정 피치로 홈 구조를 갖는 가늘고 긴 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이 상기 금속 판(110)의 체결부(140a, 140b, 140c)가 형성된 부위의 상기 프리 컨택트 라인(115)의 위치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늘고 긴 홈(115)과 컨택트 패턴층(130)은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a, 100b, 100c)는 상기 금속 판(110)에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도 6의 260 참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연 몰드층(260)에 의해 컨택트 패턴층(130)이 기판의 회로 배선과 연결되기 위해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 이외에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a, 100b, 100c)는 상기 금속 판(110)에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도 9의 415 참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접촉돌기(415)에 의해 컨택트와의 체결감과 전기적 접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구성의 개념을 적용한 커넥터 어셈블리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제1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존의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구성의 사시도이고, (b)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컨택트 패턴층의 피치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7의 단면도는 이후, 제2 및 제3실시예의 컨택트 패턴층의 피치 방향의 단면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는, 베이스 기판(1)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상기 베이스 기판(1)과 전기적 체결을 이루고자 하는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에 적용되는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20)는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평판 형태의 금속 판을 절곡 가공하여 플러그 커넥터(20)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금속 판(210)에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22)와의 접속 부위에 가늘고 긴 홈 형태로 형성된 가늘고 긴 홈(215)과, 상기 금속 판(210)에 절연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절연층(220)과, 상기 가늘고 긴 홈(215)이 형성된 절연층(220) 상에 도전 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된 컨택트 패턴층(230)이 형성된 평판을 절곡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2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240)가 마련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에는 상기 베이스 기판(1)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실장부(250)가 마련된다. 상기 실장부(250)는 상기 베이스 기판(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기판(1)의 표면 상에 면접촉되어 실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24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2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체결 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컨택트(22)와의 체결과 탈착이 가능한 탄성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체결부(240)는 기존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 구조와 형태만 다를 뿐 그 기능은 동일하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컨택트 패턴층(230)은 상기 체결부(240)가 형성되는 부위의 상기 금속 판(110)에 일정 피치로 홈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가늘고 긴 홈(215)의 위치에 도전 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또한, 컨택트 패턴층(23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의 컨택트(22)와의 접촉 부위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 기판(1)의 회로 배선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트 패턴층(230)은 베이스 기판(1)에 삽입 고정되게 되는 상기 실장부(250)까지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기판(1)의 회로 배선과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에는 상기 컨택트 패턴층(230)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하는 절연 몰드층(2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연 몰드층(260)에 의해 베이스 기판(1)의 회로 배선과 연결되기 위해 연장된 부분이 전기적으로 보호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기존의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에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300)와,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과 전기적 체결을 이루는 베이스 기판(1)에 적용되는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300)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평판 형태의 금속 판을 절곡 가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금속 판(210)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컨택트(12)와의 접속 부위에 가늘고 긴 홈 형태로 형성된 가늘고 긴 홈(도 7 참조)과, 상기 금속 판(310)에 절연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절연층(320)과, 상기 가늘고 긴 홈이 위치한 절연층(320) 상에 도전 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된 컨택트 패턴층(330)이 형성된 평판을 절곡하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340)가 마련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300)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실장부(350)가 마련된다. 상기 실장부(350)는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의 표면 상에 면접촉되어 실장될 수 있도록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340)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컨택트(12)와의 체결과 탈착이 가능한 탄성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체결부(340)는 기존의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 구조와 형태만 다를 뿐 그 기능은 동일하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컨택트 패턴층(330)은 상기 체결부(340)가 형성되는 부위의 상기 금속 판(310)에 일정 피치로 가늘고 긴 형태로 형성된 가늘고 긴 홈의 위치에 도전 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또한, 컨택트 패턴층(330)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컨택트(12)와의 접촉 부위뿐만 아니라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의 회로 배선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트 패턴층(330)은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에 면접촉되는 상기 실장부(350)까지 연장 형성되어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의 회로 배선과 연결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제3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돌출된 핀 구조의 컨택트가 채용된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구성의 사시도이고, (b)는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에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400)와,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이 전기적 체결을 이루고자 하는 베이스 기판(1)에 적용되며 돌출된 핀 구조의 컨택트(32)가 채용된 리셉터클 커넥터(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셉터클 커넥터(30)는 기존에 삽입 공간 양측에 감싸듯이 배열된 컨택트 구조와 다르게 돌출된 핀 구조의 컨택트(32)가 채용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400)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평판 형태의 금속 판을 펀칭 가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0)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금속 판(410)에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컨택트(32)와의 접속 부위에 가늘고 긴 형태로 형성된 가늘고 긴 홈(도 7 참조)과, 상기 금속 판(410)에 절연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절연층(420)과, 상기 가늘고 긴 홈이 위치한 절연층(420) 상에 도전 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된 컨택트 패턴층(430)이 형성되고, 이러한 금속 판(410)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컨택트(3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440)가 마련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400)에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실장부(450)가 마련된다. 상기 실장부(450)는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의 표면 상에 면접촉되어 실장될 수 있도록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440)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컨택트(3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컨택트(33)와의 체결과 탈착이 가능한 탄성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체결부(440)는 기존의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 구조와 형태만 다를 뿐 그 기능은 동일하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 커넥터(400)에는 상기 컨택트 패턴층(430)이 형성되는 부위에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컨택트(32)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4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접촉돌기(415)에 의해 컨택트(32)와의 체결감과 전기적 접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컨택트 패턴층(430)은 상기 체결부(440)가 형성되는 부위의 상기 금속 판(410)에 일정 피치로 홈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가늘고 긴 홈의 위치에 도전 물질이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또한, 컨택트 패턴층(430)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30)의 컨택트(32)와의 접촉 부위뿐만 아니라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의 회로 배선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트 패턴층(430)은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에 면접촉되는 상기 실장부(450)까지 연장 형성되어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2)의 회로 배선과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구성의 개념이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에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구성의 개념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모두에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의 제조방법은, 평판 구조의 금속 판(110)을 준비하는 단계(S110)와, 상기 금속 판(110)의 일면 상에 일정 피치로 홈 구조를 갖는 가늘고 긴 홈(115)을 형성하는 단계(S120)와, 상기 금속 판(110)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절연 물질을 코팅하여 절연층(120)을 형성하는 단계(S130)와,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이 위치한 상기 절연층(120) 상에 도전 물질을 패터닝하여 컨택트 패턴층(130)을 형성하는 단계(S140)와, 상기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를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110)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성이 우수하며 탄성을 가진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 구조의 금속판을 준비한다. 이러한 금속 판(110)은 이후 가공 단계를 거쳐 평판 형태의 기본 구조를 절곡 또는 펀칭 가공을 통해 커넥터 구조로 변형되게 된다. 또한, 단계(S110)에서 상기 금속 판(110)은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돌기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접촉돌기에 의해 컨택트와의 체결감과 전기적 접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판(110)의 일면 상에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에 홈 구조를 가진 가늘고 긴 홈(115)을 형성한다. 프리 컨택트 라인(115)은 일정 피치 즉,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의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은 예컨대,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 판(110)에 홈 구조의 라인을 일정 피치로 형성된다. 이때, 가늘고 긴 홈(115)은 라운드 형태를 갖는 홈 구조이거나 노치 형태의 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가늘고 긴 홈(115)의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S120)에서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은 상기 단계(S130)에서 절연층(120)이 형성된 이후, 상기 단계(S140)에서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의 형성시 패터닝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이 가늘고 긴 홈(115)의 홈 구조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단계(S120)은 상기 단계(S130)에서 상기 절연층(120)이 형성되기 이전에 금속 판(110)에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계(S130)에서 상기 절연층(12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단계(S130)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판(110)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절연 물질을 코팅하여 절연층(120)을 형성한다. 이때의 절연층(120)은 상기 금속 판(110)의 절곡 또는 펀칭 가공에 의해서도 손상되지 않고 절연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절연 물질을 금속 판(110) 상에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금속 판(110)의 표면을 산화 또는 질화 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산화물이나 질화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판(110)의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이 위치한 절연층(120) 상에 도전 물질을 패터닝하여 컨택트 패턴층(13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은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의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형성된 가늘고 긴 홈(115)의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마찬가지로 대응 컨택트의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 간격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은 상기 가늘고 긴 홈(115)의 홈 구조에 대응되는 형태의 접촉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컨택트 패턴층(130)은 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도전 물질을 패터닝하여 형성된다. 또한, 단계(S140)에서 상기 금속 판(110)은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의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절연 몰드층에 의해 컨택트 패턴층(130)이 기판의 회로 배선과 연결되기 위해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 이외에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판(110)에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의 형성이 완료되면,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를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다. 즉,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를 절곡 가공하여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140)가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1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a)의 형태로 절곡 가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b, 100c)의 형태로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커넥터(100)는 가늘고 긴 홈(115)이 형성된 금속 판(110)에 절연층(120)을 코팅하고, 가늘고 긴 홈(115)이 형성된 절연층(120) 상에 기존 컨택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컨택트 패턴층(130)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판(110)의 평판 구조를 소정의 절곡 또는 펀칭 가공을 하여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절연 수지를 인서트 몰딩과 같은 복잡한 공정으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하고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커넥터 구조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어 초저배화 설계에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컨택트 패턴층(130)이 형성되는 부위에 사전에 홈 구조의 라인 형태로 형성된 가늘고 긴 홈(115)을 형성함으로써, 컨택트 패턴층(130)의 정밀한 패터닝과 안정적인 접촉면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협피치의 구현과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판(110)의 고유 특성으로 강도와 차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100a, 100b, 100c : 전기 커넥터
110 : 금속 판 120 : 절연층
130 : 컨택트 패턴층 140a, 140b, 140c : 체결부

Claims (38)

  1.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통해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은 라운드 형태 또는 노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은 펀칭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패턴층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
  9.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통해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은 라운드 형태 또는 노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은 펀칭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에는 베이스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실장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삽입 고정되거나, 표면 상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패턴층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9. 리셉터클 커넥터에 체결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통해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은 라운드 형태 또는 노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은 펀칭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실장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 또는 플랫 케이블에 삽입 고정되거나, 표면 상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패턴층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9.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이 형성되고, 이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이 코팅되며,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이 형성된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30. (a) 평판 구조의 금속 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판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판의 표면상에 얇은 두께의 절연층을 코팅하는 단계;
    (d)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에 도전 물질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컨택트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속 판을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 상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대응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통해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다수개의 가늘고 긴 홈은 라운드 형태 또는 노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기 이전 또는 형성된 이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을 절곡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금속 판은 펀칭 가공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구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금속 판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컨택트 패턴층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속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연하는 절연 몰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 구조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130019450A 2013-02-22 2013-02-22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8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50A KR101548233B1 (ko) 2013-02-22 2013-02-22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50A KR101548233B1 (ko) 2013-02-22 2013-02-22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20A true KR20140105320A (ko) 2014-09-01
KR101548233B1 KR101548233B1 (ko) 2015-08-28

Family

ID=5175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450A KR101548233B1 (ko) 2013-02-22 2013-02-22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2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79A (ko) * 2017-03-10 2018-09-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콘택트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 제조 방법
KR102038115B1 (ko) * 2018-06-19 2019-10-2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단자 접속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2738B2 (en) 2021-01-12 2024-03-26 Rockwell Collins, Inc. Assembly for chassis electrical and mechanical right-angle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0451B2 (ja) 2004-01-20 2009-06-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79444B2 (ja) 2005-02-18 2008-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287394A (ja) 2006-04-13 2007-11-01 Molex Inc 基板コネクタ及び基板コネクタ対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79A (ko) * 2017-03-10 2018-09-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콘택트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소자 어레이 블록 제조 방법
KR102038115B1 (ko) * 2018-06-19 2019-10-2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단자 접속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233B1 (ko)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14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mbedded grounding mechanism
US7160151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8821178B2 (en) Connector
CA2680734A1 (en) Edge-to-edge connector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JP2006236657A (ja) コネクタ装置
US6425766B1 (en) Impedance control in edge card connector systems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US9263829B2 (en) Durable plug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3137685U (ja) 電気コネクタ
US20110263158A1 (en) Electrical connector
JP4079444B2 (ja) コネクタ
KR20160080636A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101548233B1 (ko) 금속 프레임 구조를 가진 전기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JP200026050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121537B2 (ja) プラグコネクション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JP2017130440A (ja) 電気コネクタ
JP2603375Y2 (ja) 電気コネクタ
TWI584543B (zh) 連接器與其製作方法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JP2007122880A (ja) 電気接点の製作方法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8293892A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4697245B2 (ja) 基板間接続コネクタ
JP4486909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48008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