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605A -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605A
KR20140104605A KR1020130017923A KR20130017923A KR20140104605A KR 20140104605 A KR20140104605 A KR 20140104605A KR 1020130017923 A KR1020130017923 A KR 1020130017923A KR 20130017923 A KR20130017923 A KR 20130017923A KR 20140104605 A KR20140104605 A KR 2014010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sentence
word
hangul
displa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filed Critical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1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605A/ko
Priority to PCT/KR2014/001190 priority patent/WO2014129772A1/ko
Publication of KR2014010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계 공통어인 영어를 이용한 소통시 전체 문장을 번역하지 않고 인간의 사고력을 이용해 모든 언어의 가장 어렵고 번역기가 가장 오역을 많이 하는 부분인 형용사절(구), 명사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 등에 관한 긴 절(구) 문장을 제공받고, 영어 문장 중 잘 모르는 단어를 영어 위치에 한글로 채워놓고 한글 터치를 통해 팻말 번역 방식을 통해 전체 영어 문장을 완성하여 깊이 있는 채팅 또는 문자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거나 영작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NG A ENGLISH-BASED CHARACTER MESSAGE}
본 발명은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계 공통어인 영어를 이용한 문자 소통시 전체 문장을 번역하지 않고 인간의 사고력을 이용해 모든 언어의 가장 어렵고 번역기가 가장 오역을 많이 하는 부분인 형용사절(구), 명사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 등에 관한 긴 절(구) 문장을 제공받고, 영어 문장 중 잘 모르는 단어를 영어 위치에 한글로 채워놓고 한글 터치를 통해 팻말 번역 방식을 통해 전체 영어 문장을 완성하여 깊이 있는 채팅 또는 문자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거나 영작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고속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전자 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체이자 분배 채널이다. 인터넷에는 백화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쇼핑몰과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IP 사업 혹은 채팅이나 교류의 장으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고 그 공간적 시간적 장애가 없는 폭 넓은 분야의 콘텐츠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들 중 하나가 채팅 시스템과 영작 학습 시스템과 같은 영어 문자 소통 시스템이다.
상기 채팅 시스템은 네티즌들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네티즌들과 가상 공간 내에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자가 인터넷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는 기존의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텍스트 문자를 보내고 상대방 역시 텍스트 문자를 보내서 대화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채팅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사용 언어가 다르면 상호 대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빠른 시간 내에 자동적으로 언어를 번역하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4273호(공개일 : 2002.09.3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6768호(공개일 : 2001.11.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1619호(등록일 : 2009.08.07)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번역기술들은 아직까지 그 신뢰성이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번역을 요하는 채팅 시스템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채팅 시스템에서 종래의 번역기술은 기초적인 회화 번역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깊이 있는 복잡한 사고력을 요하는 대화를 번역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번역기가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사고력 구조인 명사를 꾸미는 형용사절(구), 명사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에 관한 긴 절(구) 문장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KR 10-2002-0074273 A, 2002. 09. 30. KR 10-2001-0096768 A, 2001. 11. 08 KR 10-0911619 B1, 2009. 08. 0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영어 번역기가 해결하지 못하는 깊은 사고력을 요하는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 등이 포함된 긴 절(구) 문장 쓰기를 긴 문장 쓰기 원리와 한글 단어가 포함된 영어 문장을 터치 팻말 단어(번역) 키를 활용해 영어 문장 전체를 완성하는 기능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앱) 기능에 포함시켜 이용자로 하여금 더 쉽게 긴 절 영어 문장을 이용해 좀 더 복잡한 사고력을 요하는 절(구) 구조 영어 문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긴 절(구) 문장 원리를 보다 간편하게 검색하여 번역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 요청이 실행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영어 문자 소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어 채팅키, 편지키, 원리키, 사전키, 기초회화키, 영작 학습키, 표시창 및 입력창이 활성화되고, 상기 영어 문자소통 서버는 상기 영어 채팅키에 응답하여 영어 채팅을 실행하는 영어채팅 실행부와, 상기 편지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편지 서문 및 맺음말을 제공하는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와, 상기 영작 학습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영작학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영작 학습 실행부와, 상기 원리키 또는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검색 암호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하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와,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에 대응하는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하는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와,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 또는 상기 사전키에 응답하여 복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영어사전 제공부와, 상기 기초회화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기초회화를 제공하는 기초회화 제공부와, 상기 영어채팅 실행부 또는 상기 영작 학습 실행부에 응답하여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 및 상기 기초회화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서문 및 맺음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편지키에 응답하여 다양한 서문 및 맺음말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형용사절(구), 명사절, 전치사구, 접속사 및 의문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원리키 또는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검색 암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형용사절(구), 명사절, 전치사구, 접속사 및 의문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 중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긴 절(구) 문장을 끊어서 블록으로 지정하거나 터치하여 선택하기 용이하도록 슬러쉬(/), 밑줄 및 상이한 색깔을 이용하여 서로 구분되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음성 검색 암호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에서 상기 한글 단어를 선택하면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 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에서 사전키를 선택하거나 상기 한글 단어를 선택하면 이와 대응하는 복수의 영어단어를 상기 한글단어의 하단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표시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열거되는 상기 영어단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가 선택된 영어단어로 변환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 전체를 상기 입력창에 복사 입력하면, 이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에서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선택하면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 상에서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선택하면 이와 대응하는 복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의 하단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표시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열거되는 상기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이 선택된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으로 변환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작학습 실행부는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미리 저장된 영작학습용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영작학습 실행부는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미리 저장된 영작학습용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임의적으로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영작학습 실행부는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학습 내역을 불러와 최근 학습한 컨텐츠를 기준으로 다음 단계의 영작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영어 채팅키를 이용하여 표시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편지키를 이용하여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문/맺음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원리키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검색 암호를 입력하여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긴 절(구) 문장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긴 절(구) 문장과 모르는 영어단어에 대응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는 영어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한글 단어를 선택하면 영어단어 제공부를 통해 상기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한글단어를 상기 영어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단어를 상기 영어 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어단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영작 학습키를 이용하여 표시창을 활성화하고, 영작 학습 실행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작 학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원리키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검색 암호를 입력하여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긴 절(구) 문장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긴 절(구) 문장과 모르는 영어 단어에 대응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한글 단어를 선택하면 영어 단어 제공부를 통해 상기 한글 단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단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한글 단어를 상기 영어 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 단어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 단어를 상기 영어 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어 단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색 암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창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창에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선택하면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를 통해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으로 자동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상기 채팅/학습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작 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미리 저장된 영작학습용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영작 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학습 내역을 불러와 최근 학습한 컨텐츠를 기준으로 다음 단계의 영작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영작 학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글 문장과 대응하는 긴 절(구) 문장 원리 및 상기 긴 절(구) 문장 원리에 포함되지 않은 영어 단어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움 어휘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긴 절(구) 문장 원리 및 도움 어휘를 참고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글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는, 한글 문장을 영어 어순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글 문장 중 긴 절(구) 문장 원리에 대응되는 부분은 구분되도록 별도의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의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갖는 전자 학습 매체 및 학습 인쇄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가 포함된 사고력을 요하는 긴 절(구) 구조의 영어 문장을 손쉽게 쓰는 길게 쓰기 원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한글 단어가 포함된 영어문장을 터치 팻말 단어(번역) 키를 활용해 영어문장 전체를 완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상호 간에 영어로 서로 쉽게 사고력을 요하는 깊은 부분까지 문자로 소통하거나 영작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문자 소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어문자소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a는 다른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다른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영작학습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2개로 구분된 표시창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원리키를 통해 제공되는 긴 절(구) 문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번역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편지키를 통해 제공되는 서문 및 맺음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원리키를 통해 제공되는 긴 절(구) 문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모르는 영어단어에 대응하는 한글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최종적으로 완성된 영어문장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형용사절(구) 목적어 및 보어 꾸미기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형용사절(구) 주어 꾸미기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명사절 호환 원리를 도시한 도면들.
도 17 및 도 18은 전치사 접속사 호환 원리를 도시한 도면들.
도 19는 짧게 말하기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의문사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단어 번역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영작 학습 전의 컨텐츠와 단어 번역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컨텐츠의 영작 후의 영어 문장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영작 학습 단계를 설명한 도면.
도 25는 도 22의 영작 학습용 컨텐츠에 적용되는 예문 다운 받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분류 문법 사전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패턴별 문법 사전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무작위 통합 문법 사전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 PDA 및 타블렛 PC 등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 형태로서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이라 함은 휴대용 단말기 중에서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백에서 수십만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예: 응용프로그램 및 앱 등)을 설치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이동중 인터넷 통신, 팩스 및 전송 등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관리기능을 포함한다. 즉,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을 말한다.
또한, 스마트폰은, WiFi, 3G(또는 4G), WiBro 등의 무선 통신망과, ADSL, VDSL 등과 같은 유선 통신망 등 일상 생활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 기반, 이동통신망 기반, WiFi 무선랜/센서네트워크 기반 위치인식기술, 또는 위성항법장치(GPS)와 WiFi 무선랜을 결합한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기지국, 위치인식서버, 단말기(스마트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이 가용지역에 해당한다.
스마트폰은 위성항법장치(GPS)의 단점인 실내와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수신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계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얻어진 위치정보와 함께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와 결합 연계되어 지도상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리정보장치(GIS)는 건물, 도로, 하천, 등고선, 행정구역경계 등과 같이 지형, 지리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출력,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지리정보를 구축, 유지관리, 편집, 분석 및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 출력 등의 과정을 통하여 공간 정보를 얻는 동시에 공간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은 통신망(30)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의 스마트폰(10)과 영어문자소통서버(4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은 사용자(고객)가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통신망(30)을 통해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부터 영작과 같은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예: 응용프로그램 및 앱 등)이 설치된다.
상기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부터 제공되거나, 혹은 기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마켓(예를 들면, 애플 앱스토어,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LCD 표시창에 표시되는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터치식 또는 버튼식)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 접속하게 된다.
스마트폰(10)은 중계기(20)를 포함하는 통신망(30)을 통해 영어문자소통서버(40)와 상호 연결되며,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부터 영어 번역 등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편지 서문/맺음말, 영작 학습용 컨텐츠, 긴 절(구) 문장, 영어단어 사전, 기초회화 등의 정보를 제공받는다.
스마트폰(10)은 통신망(30)에 연결되어 영어문자소통서버(4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10)은 영어문자소통서버(40)와 연동하여 영어 번역 등의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 직접 서비스 이용에 대한 이용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10)에는 GPS 위성(또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기 위하여 GPS 수신장치(미도시)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을 통해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스마트폰(10)은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 요청시 상기 GPS 수신장치를 통해 추출된 위치정보와 기타 개인정보 등을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 제공한다. 스마트폰(10)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자신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예를 들어 GIS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2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스마트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에서 영어문자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스마트폰의 LCD 디스플레이부의 상단에는 선택(터치 또는 버튼)이 가능한 영어 채팅키(11), 편지키(12), 원리키(13), 사전키(14), 기초회화키(15), 영작학습키(18) 및 설정키(19)가 배치되고, 그 하단에는 해당 정보를 표시하거나 채팅이나 학습을 위한 표시창(16)이 배치되며, 표시창(16)의 하단에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 보내기 위한 입력창(17)이 배치된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상기 선택키들과 창의 배열 및 형태는 필요시 보다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영어 채팅키(11)는 사용자가 영어 채팅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영어 채팅키(11)를 선택하면 영어 채팅이 개시되게 되며, 이를 통해 상대방과의 대화가 이루어진다.
편지키(12)는 사용자에게 편지의 서문과 맺음말을 제공하는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편지키(12)를 선택하면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편지의 서문과 맺음말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가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문과 맺음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를 통해 선택된 서문과 맺음말이 표시창(16)에 표시된다.
영작학습키(18)는 사용자가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 미리 등록된 다양한 이북(e-book)을 이용하여 영작 학습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영작학습키(18)를 선택하면 상기 이북들 중 하나에 등록된 영작 학습용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창(16)에 표시되어 영작 학습이 개시된다.
이때, 설정키(19)를 선택하여 표시창(16)에 표시되는 영작 학습용 컨텐츠가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부터 임의적으로 하나가 제공되도록 하거나, 여행용 회화 책자 등에 정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예컨대, 공항, 교통수단, 호텔, 식당 및 상점 등의 기초적이고 보편화된 내용들)를 표시창(16)에 표시한 후 사용자가 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직접 선택하여 표시창(16)에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불러와 그 이후의 내용부터 후속하여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원리키(13)는 사용자에게 깊은 사고력을 요하는 형용사절(구), 명사절, 전치사구, 접속사 및 의문사 등이 포함된 긴 절(구)을 제공하는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원리키(13)를 선택하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다양한 긴 절(구) 등이 입력창(17)에 표시된다.
사전키(14)는 사용자에게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사전키(14)를 선택하면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것과 대응되는 다양한 단어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단어들 중 가장 적합한 단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기초회화키(15)는 사용자에게 간단한 기초회화를 제공하는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기초회화키(15)를 선택하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다양한 기초회화 문장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외에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계친구사귀기키(21) 또는 세계문화공유키(22)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계친구사귀기키(21) 또는 세계문화공유키(22)를 선택하면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 등록되어 있거나 현재 접속되어 있는 전세계의 친구들과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문자소통서버(40)는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폰(10)과 상호 유무선 통신을 한다. 영어문자소통서버(4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개인정보 및 사용자의 학습 내역 등을 저장관리하는 한편, 영어 기반 문자 소통을 위해 필요한 편지 서문/맺음말, 다양한 영작 학습용 컨텐츠, 긴 절(구) 문장, 영어단어 사전 및 기초회화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영어문자소통서버(40)는 스마트폰(10)에 설치된 다양한 키, 예를 들면 영어 채팅키(11), 편지키(12), 원리키(13), 사전키(14), 기초회화키(15) 및 영작학습키(18) 등에 연동하여 해당 키의 명령에 대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하거나 스마트폰(10)의 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영어문자소통서버(40)로 제공한다.
영어문자소통서버(4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영어문자소통서버(4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는 전세계 가입자, 즉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 관리된다. 또한 미리 설정된 다양한 영문 편지 서문/맺음말, 영작 학습용 컨텐츠, 영문 긴 절(구) 문장, 영어단어, 다양한 영어기초회화 문장 등이 저장 관리된다.
이외에도, 영어 채팅이 가능한 다양한 정보 등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영어문자소통서버(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및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제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통신망(30)은 중계기(20)를 포함하여 스마트폰(10)과 영어문자소통서버(40)를 연결하는 망(network)으로서, 통신사에서 설치 운영하는 이동통신망(3G망, 4G망, WiBro망, LTE망 포함), 인터넷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20)는 기지국이거나 무선접속장치(Acess Point, A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기(20)가 통신망(30)과 분리되어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중계기(20)를 별도로 언급하지 않으며, 통신망(30)으로 언급된 경우 통신망(30)은 중계기(2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어문자소통서버(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어문자소통서버(40)는 영어채팅 실행부(41),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 영어사전 제공부(44), 기초회화 제공부(45), 데이터 처리부(46), 통신부(47), 영작학습 실행부(48) 및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를 포함한다.
*영어채팅 실행부(41)는 스마트폰(10)의 영어채팅키(11)에 응답하여 영어 채팅을 실행한다.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는 스마트폰(10)의 편지키(12)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서문 및 맺음말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이때,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는 필요시 다양한 서문 및 맺음말을 제공한 후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로부터 제공되거나 사용자에게 선택된 서문 및 맺음말은 스마트폰(10)의 표시창(16)에 표시된다.
영작학습 실행부(48)는 스마트폰(10)의 영작학습키(18)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다양한 이북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영작 학습용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스마트폰(10)의 표시창(16)에 제공한다.
이때, 표시창(16)에 제공되는 영작 학습용 컨텐츠는 가장 쉬운 레벨부터 단계적으로 제공되거나, 사용자의 수준에 상관없이 임의적으로 하나를 제공하도록 하느 등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여행용 회화 책자 등에 정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예컨대, 공항, 교통수단, 호텔, 식당 및 상점 등의 기초적이고 보편화된 내용들)를 표시창(16)에 표시한 후 사용자가 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직접 선택하여 표시창(16)에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학습 내역을 불러와 최근에 사용자가 학습한 레벨이나 내용과 연결하여 단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영작 학습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창(16)은 필요시 상하 두 개의 창으로 구분하여 상측 창(16a)에는 학습 전의 한글로 된 영작 학습용 컨텐츠 등을 표시하고, 하측 창(16b)에는 학습 후의 영작된 내용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영작 전후의 문장을 비교하며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여 학습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표시창(16)의 창 배열 및 구분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2 개로 구분된 창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는 일 예로서 스마트폰(10)의 입력창(17)에 입력된 검색 암호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한다.
상기 검색 암호는 필요시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입력창(17) 뿐만 아니라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음성으로도 입력할 수 있으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는 이렇게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검색 암호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해당하는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는 다른 예로서 초보자와 같이 입력창(17)에 검색 암호를 잘 모르는 사용자의 경우 검색 암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스마트폰(10)의 원리키(13)를 이용하여 다양한 긴 절(구) 문장이 표시창(16)에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로부터 제공된 다양한 긴 절(구) 문장 중 원하는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원리키(13)를 사용하는 경우 최초 원리키(13)를 클릭하는 과정,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용사절, 명사절, 접속사, 전치사 등 긴 절(구) 카테고리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사용자가 선택된 카테고리 중 원하는 원리를 선택하는 과정과 같이 최소 3번의 복잡하고 단순한 공정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본 영어문자 소통 시스템의 사용이 익숙해진 사용자의 경우 시간이 지연되고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인 검색 암호를 입력하여 긴 절(구) 문장을 제공받는 방식의 경우, 상기의 원리키(13)를 이용하는 경우의 복잡한 과정이 모두 생략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원리를 한번에 검색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시간이 단축되고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사용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예컨데, "나는/ 네가 아팠다/ 들었다" 라는 한글 문장을 영역하기 위해서,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에 해당 명사절 원리를 "NC-7" 이라는 검색 암호로 설정해 놓고, 사용자가 입력창(17) 또는 마이크를 통해 이미 알고 있는 "NC-7" 을 입력하면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다양한 원리 교재 이북으로부터 해당하는 검색 암호 "NC-7" 에 대응하는 "I heard S+V" 의 문장을 검색하여 표시창(16)에 바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NC" 는 명사절의 영문 약자이며, "7" 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통합검색번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명 "뼈대 문장 다운받아 문장 완성하기"라고 한다.
이때, 상기 한글 문장은 특히 영작 학습용으로 제공되는 경우 "나는 들었다/ 네가 아팠다고."와 같이 영어 어순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검색 암호를 각각의 어법의 이니셜을 따서 기본 어법은 BG(basic grammar)으로, 형용사 절 어법은 AC로, 명사절은 NC로, 접속사 및 전치사 어법은 CJ로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검색 암호를 설정하는 방법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는 표시창(16)에 표시되는 문장을 슬러쉬(/)로 단어와 단어 사이를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밑줄 또는 상이한 색깔 등을 이용하여 각각 구분할 수 있다. 즉, 서로 대응되는 영어 부분과 한글 부분을 동일한 색으로 표현하는 등 여러 조합을 통해 긴 절(구) 문장을 사용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표시창(16)에 표시된 긴 절(구) 문장을 상기 슬러쉬(/), 밑출 및 다양한 색상을 통해 구분하여 보다 쉽게 끊어서 블록으로 지정하거나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는 스마트폰(10)의 표시창(16)에 표시되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 회화체(속담 또는 구어체 문장) 또는 한글 이디엄(idiom: 관용구 또는 숙어 등)을 블록 지정하거나 터치하는 동작으로 선택하면 영어문자소통서버(40)과 이에 응답하여 선택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 등은 원하는 부분을 입력창(17)에 직접 입력하여 번역할 수도 있다.
이때,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는, 일 예로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에 대응하여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는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에 대응하는 다양한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표시창(16)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렇게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로부터 제공된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는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의 하단으로 대응하는 다양한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열거하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가 열거된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 중 하나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이 선택된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으로 변환되거나, 예컨대 표시창(16)이 영작 전후의 2 개의 창으로 구분되게 이루어져 있는 경우 영작 후의 창에 선택된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 전체를 입력창(17)에 복사하여 입력하면, 이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이 자동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와 유사하게 영어 회화체 및 이디엄에도 검색 암호를 지정하여 입력창(17) 또는 마이크를 통해 검색 암호를 입력하면 해당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이 바로 표시창(16)에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영어사전 제공부(44)는 스마트폰(10)의 표시창(16)에 표시되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단어를 블록 지정하거나 터치하는 동작으로 선택하면 영어문자소통서버(40)가 이에 응답하거나, 혹은 스마트폰(10)의 사전기(14)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영어단어를 제공한다.
전자의 경우, 영어사전 제공부(44)는 선택된 한글단어에 대응하여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단어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후자의 경우, 영어사전 제공부(44)는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다양한 영어단어를 표시창(16)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영어사전 제공부(44)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영어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영어사전 제공부(44)는 한글단어의 하단으로 대응하는 다양한 영어단어를 열거하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열거된 영어단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한글단어가 선택된 영어단어로 변환되거나, 예컨대 표시창(16)이 영작 전후의 2 개의 창으로 구분되게 이루어져 있는 경우 영작 후의 창에 선택된 영어단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기초회화 제공부(45)는 스마트폰(10)의 기초회화키(15)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초회화를 제공한다. 기초회화 제공부(45)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황의 기초회화를 표시창(16)에 제공하고, 사용자는 기초회화 제공부(45)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기초회화 중 원하는 문장을 선택하여 채팅이나 문자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46)는 영어채팅 실행부(41) 또는 영작학습 실행부(48)에 응답하여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 영어사전 제공부(44) 및 기초회화 제공부(45)를 제어하는 한편, 이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예: 영작학습용 콘텐츠, 편지 서문/맺음말, 기 절(구) 문장, 영어단어, 기초회화 등)을 처리하여 통신부(47)를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후, 스마트폰(10)의 LCD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어 채팅키(11)를 선택하여 대화창으로서의 표시창(16)을 활성화한다(S51).
이렇게 표시창(16)이 활성화된 후, 편지키(12)를 이용하여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문 및 맺음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내려받는다(S52).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문은 'Hi, Long time no see. How have you been. (오랜만이다)'일 수 있으며, 상기 맺음말은 'Looking forward to hearing from you. (소식 기다린다)'일 수 있다.
이후, 표시창(16)에 쓰고 싶은 내용으로서의 본문을 작성한다. 본문은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입력창(17) 또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검색 암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원리키(13) 또는 사전키(14)를 이용한 단계적 문장 선택 과정을 거쳐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창(17) 또는 마이크를 통해 검색 암호를 입력하면 이렇게 입력된 검색 암호에 대응하는 긴 절(구) 문장이 제공된다.
상기 긴 절(구) 문장은 형용사절, 명사절, 전치사, 접속사 및 의문사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 절(구) 문장은 다양한 명사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리키(13)를 사용하는 경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를 통해 제공되는 긴 절(구) 문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53).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I heard that S+V'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단계(S53)에서 제공되거나 선택된 긴 절(구) 문장에 모르는 영어 단어와 대응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여 미완성된 문장을 완성한다(S54).
즉, 모르는 영어 단어에 대응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여 문장을 완성한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heard that / you will pass this 시험.'을 완성한다.
상기 단계(S54)에서 한글 단어를 포함한 영어 문장이 완성되면, 상기 한글 단어를 블록 지정 또는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사전키(14)를 활용하여 상기 실시예의 경우 한글로 표기된 "시험"을 영어 단어로 변환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한다(S55).
일례로,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장은 "시험"을 "test"로 변환하여, 'I heard that you will pass this test.'의 완전한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한글 단어를 영어 단어로 변환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영어 수준에 따라 2가지의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영어 단어를 잘 모르는 영어 초급자에게 제공하는 영어 단어 자동변환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별도의 사전키(14)를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영어단어를 직접 선택하는 과정이 없어서 실행 단계를 한 단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이 단순하다. 다만, 영어변환과정에서 실제 한글의 뜻과 매칭되지 않는 동의어가 선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창(16)에 표시되는 한글단어를 블록 지정하거나 터치하면 미리 등록된 최적화된 영어단어로 자동변환한다.
두 번째 방법은, 어느 정도 영어단어를 알고 있는 영어 중급자 이상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어단어 변환방법으로서, 표시창(16)에 표시되는 한글 단어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다양한 영어단어가 표시되고, 이렇게 표시된 다양한 영어단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를 선택된 영어단어로 변환한다. 이 방법은 필요시 사전키(14)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영어단어 자동변환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도 11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르는 영어단어에 해당하는 한글단어 "시험"을 표시창(16) 상에서 터치하면 한글단어 "시험"이 확정된 영어단어 "test"로 자동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영어단어를 다시 터치하면 한글단어 "시험"으로 다시 재변환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영어단어 자체를 모르는 초보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두 번째 영어단어 자동변환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도 1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르는 영어단어에 해당하는 한글단어 "시험"을 입력창(17)을 통해 입력하거나, 표시창(16) 상에서 상기 한글단어 "시험"을 터치하면 그 하단에 '시험'에 해당하는 다양한 영어단어 "exam, test, examination, quiz, trial" 등이 열리듯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영어단어들 중 해당 문장에 가장 적합한 의미를 가지는 영어단어 "test"를 표시창(16) 상에서 터치하여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 "시험"이 선택된 영어단어 "test"로 변환된다.
즉, 2번의 터치 방식으로 한글단어를 영어단어로 변환할 수 있어 조작 및 사용이 간편하다. 이 방법은 영어 중급자 또는 고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창(16)에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블록 지정 또는 터치하여 선택하여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를 통해 선택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으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표시창(16)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표시창(16)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한글단어를 영어단어로 변환하는 과정과 그 방식에 있어서 일부 유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은 편지키(12)와 별도로 표시창(16)이 활성화된 후, 기초회화키(15)를 이용하여 기초회화 제공부(45)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기초회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창(16)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어 문자 소통 시스템을 이용한 다른 실시 형태의 서비스인 영작 학습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한글 단어를 영어 단어로 변환하는 과정 및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앞서 영어 문자 소통 시스템을 이용한 일 실시 형태의 서비스인 채팅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아니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후, 스마트폰(10)의 LCD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작 학습키(18)를 선택하여 표시창(16)을 활성화하고, 영작 학습 실행부(48)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영작 학습용 콘텐츠를 표시창(16)에 표시한다.
이때, 영작 학습 실행부(48)는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이북(e-book)의 영작 학습용 컨텐츠 중에 하나를 임의로 표시창(16)에 표시하거나, 여행용 회화 책자 등에 정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예컨대, 공항, 교통수단, 호텔, 식당 및 상점 등의 기초적이고 보편화 된 내용들)를 리스트로 표시창(16)에 먼저 표시한 후,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츠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직접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작 학습 실행부(48)는 필요시 영어문자소통서버(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학습 내역을 불러와 사용자가 최근에 학습한 컨텐츠를 기준으로 그 다음 단계의 영작 학습용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전 학습과 연계하여 본 학습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작 학습 실행부(48)는 영작 합슥용 컨텐츠 표시시 각각의 단락마다 검색 암호가 한글 문장 뒤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자주 사용하는 검색 암호를 빠른 시간 내에 익히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후, 표시창(16)에서 영작을 실시한다. 여기서, 영작은 하나의 표시창(16)에서 한글로 제공된 학습용 콘텐츠를 영어로 변환하여 영어 문장으로만 표시하거나, 표시창(16)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창(16a, 16b)으로 구분되게 형성된 경우, 영작이 완료된 영어 문장은 먼저 제공된 한글 학습용 콘텐츠와 별도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영작은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입력창(17) 또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검색 암호를 입력하거나 원리키(13)와 사전키(14)를 이용하여 긴 절(구) 문장 원리를 제공받는 과정을 통해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창(17) 또는 마이크를 통해 검색 암호를 입력하면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는 입력된 검색 암호에 대응하는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한다.
상기 긴 절(구) 문장은 형용사절, 명사절, 전치사, 접속사 및 의문사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영작 학습을 하고자 문장이 "3. 나는/ 네가 아팠다고/ 들었다."인 경우, 사용자는 입력창(17)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명사절의 영문 약자인 "NC"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통합 검색 번호인 "7"로 이루어진 "NC-7" 을 검색 암호로 입력할 수 있고, 이와 대응하는 "I heard S+V"의 문장 원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일명 '뼈대 문장 또는 기본 문장 다운받아 문장 완성하기' 과정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영작 학습을 하고자 하는 문장은 필요시 영어 어순 형태로서 예컨대 "나는 들었다/ 네가 아팠다고"와 같이 표시창(16)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영어 어순에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는 부가적인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3. 나는/ 네가 아팠다고 / 들었다."라는 전체 한글 문장을 복사하여 입력창(17)에 입력하면 바로 영작 정답을 볼 수 있다.
또한, 원리키(13)를 이용하여 검색 암호를 입력하는 대신에 형용사절, 명사절, 전치사, 접속사 및 의문사 등 다양한 형태의 긴 절(구) 문장을 단계적인 선택 과정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원리키(13)를 이용하는 과정은, 먼저 스마트폰(10)의 원리키(13)를 클릭하여 표시창(16)에 형용사절, 명사절, 전치사, 접속사 및 의문사 등의 긴 절(구) 문장 구조가 표시되게 하고, 사용자가 이 중 하나(본 실시 형태에서는 "NC(명사절)")를 클릭하고, 이후 검색 암호 숫자가 다시 표시창(16)에 표시되면 이 중 상기 예문에 해당하는 "7"을 클릭하여 긴 절(구) 문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원리키(13)에 의해 제공되는 문법은 기본 문법인 BG, 형용사절에 대한 AC, 명사절에 대한 NC, 접속사 및 전치사에 대한 CJ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문장 중에서 "4. 나는/ 네가 휴식을 취해야 된다고/ 생각해"라는 문장의 경우 명사절 문장 원리에 해당하므로 "NC-9" 으로, "5. 나는/ 너를 도와줄/ 친구를 알고 있어."의 경우 형용사절 문장 원리에 해당하므로 "AC-5" 로, "6. 만약 네가/ 그의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말해."의 경우 접속사 문장 원리에 해당하므로 "CJ-13" 으로, "7. 내가/ 그가 너를 도와주도록/ 부탁할게"의 경우 명사절 문장 원리에 해당하므로 "NC-11" 로 각각 검색 암호를 설정하여 해당하는 긴 절(구) 문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각각의 긴 절(구) 문장에 해당하는 한글 단어는 적색으로 표시하거나, 슬러쉬(/) 또는 밑줄(_) 등을 이용하여 별도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긴 절(구) 문장 원리를 보다 쉽게 확인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긴 절(구) 문장은 상기의 문법적인 분류 이외에 패턴에 의한 구분으로, 5형식, To 부정사 및 분사 등으로 이루어진 17 챕터 내외의 패턴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로부터 제공되거나 선택된 긴 절(구) 문장에 모르는 영어 단어에 대응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한 문장을 입력창(17)을 통해 완성한다.
즉, 아는 영어 단어들과 모르는 영어 단어에 대응하는 한글 단어가 섞여있는 문장을 완성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I heard you were 아프다(아픈)"라는 문장으로 완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글 단어 부분을 블록 지정 또는 터치하여 직접 선택하거나 사전키(14)를 활용하여 영어 단어로 변환함으로써 완전한 영어 문장을 완성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프다(아프다고, 아픈)"이라고 표시된 한글 부분을 "sick"으로 변환하여 완전한 영어 문장인 "I heard that you were sick."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표시창(16)에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블록 지정 또는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를 통해 선택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 전체를 복사하여 입력창(17)에 입력함으로써 이와 대응하는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직접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2의 "2.어떻게 지내니?"를 전체 복사하여 입력창(17)에 입력하면 이와 대응하는 "How are you doing?"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은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으로 자동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표시창(16)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49)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관련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표시창(16)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글로 표시된 부분에 대한 내용을 학습자가 잘 모르겠는 경우, 유사한 구조 예문을 다운받아 이를 참고하여 원하는 문장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heard S+V" 구조인 "I heard you were diligent."를 다운받은 후 이 문장의 구조를 보고 번역키 등을 이용하여 "I heard you were sick."이라는 본래의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 예문은 그 특성에 따라 분류 문법 예문, 패턴 문법 예문, 무작위 통합 문법 예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분류 문법 예문은 기본 문법인 BG, 형용사절에 대한 AC, 명사절에 대한 NC, 접속사 및 전치사에 대한 CJ 등의 검색 암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급 영작 학습자가 쉬운 구조의 쓰기/말하기 예문을 보고 싶을 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패턴 문법 예문은 5형식, To 부정사 및 분사 등의 17 챕터 내외의 문법 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학습자가 같은 패턴을 여러 개 보고 싶을 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무작위 통합 문법 예문은 문법의 분류 없이 통합되어 검색 번호를 이용하여 입력창(17)에서 직접 뼈대 문장(또는 기본 문장)을 입력시켜 다운받는 것이며, 고급 사용자가 간편하게 검색을 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구조 예문을 다운받을 때 상기 3가지 방법을 병행하거나 연속적으로 사용하거나 이외 다른 형식의 구조 예문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학습자가 다른 예문 공식을 보며 번역키(단어 및 숙어, 기타 문장 번역) 등의 기능과 함께 문장을 완성하게 되므로 한글과는 다른 영어 어순에도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텍스트 북을 이용한 기본 영작 학습과 같은 별도의 문법 책, 단어 사전 및 회화 사전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 다른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들을 예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형용사절(구) 목적어 및 보어 꾸미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형용사절(구) 주어 꾸미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명사절 호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7 및 도 18은 전치사 접속사 호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9는 짧게 말하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의문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단어 번역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예들과 같이 기본 문장과 여기에 결합되어 완성되는 복수의 문장을 컬러로 구분하여 나열형으로 제시하는 것이며, 이들 중 원하는 문장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최종 결합 문장이 완성되어 표현하고자 하는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전자 학습 매체 또는 학습 인쇄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인쇄물로 제작되는 경우, 영작 학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장 "나는/ 네가 아팠다고/ 들었다."를 표시하고, 그 아래에 상기 한글 문장과 대응하는 긴 절(구) 문장 원리로서 "I heard that"과 상기 긴 절(구) 문장 원리에 포함되지 않은 한글 단어 "아팠다고" 등과 대응하는 "sick, were" 등의 도움 어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긴 절(구) 문장 원리 및 도움 어휘를 참고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한글 문장은 "나는 들었다/ 네가 아팠다고"와 같이 한글 어순이 아닌 영어 어순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한글 문장의 어순은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 문장 중 긴 절(구) 문장 원리에 대응되는 "나는" 및 "들었다"는 예컨대 적색과 같이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긴 절(구) 문장 원리 및 도움 어휘의 표시를 생략하여 중급 이상의 학습자의 경우 주어진 한글 문장을 직접 번역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형태로의 구현이 또한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스마트폰 20 : 중계기
30 : 통신망 40 : 영어문자소통서버
11 : 영어 채팅키 12 : 편지키
13 : 원리키 14 : 사전키
15 : 기초회화키 16 : 채팅창
17 : 입력창 18 : 영작학습키
19 ; 설정키 41 : 영어채팅 실행부
42 :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
43 :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
44 : 영어사전 제공부 45 : 기초회화 제공부
46 : 처리부 47 : 통신부
48 ; 영작학습 실행부 49 :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

Claims (24)

  1. 사용자가 소지하고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 요청이 실행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영어문자소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어 채팅키, 편지키, 원리키, 사전키, 기초회화키, 영작 학습키, 표시창 및 입력창이 활성화되고,
    상기 영어 문자 소통 서버는, 상기 영어 채팅키에 응답하여 영어 채팅을 실행하는 영어채팅 실행부와, 상기 편지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편지 서문 및 맺음말을 제공하는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와, 상기 영작 학습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영작학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영작 학습 실행부와, 상기 원리키 또는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검색 암호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하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와,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에 대응하는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하는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와,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 또는 상기 사전키에 응답하여 복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영어사전 제공부와, 상기 기초회화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기초회화를 제공하는 기초회화 제공부와, 상기 영어채팅 실행부 또는 상기 영작 학습 실행부에 응답하여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 및 상기 기초회화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서문 및 맺음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편지키에 응답하여 다양한 서문 및 맺음말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형용사절(구), 명사절, 전치사구, 접속사 및 의문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원리키 또는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검색 암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형용사절(구), 명사절, 전치사구, 접속사 및 의문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 중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긴 절(구) 문장을 끊어서 블록을 지정하거나 터치하여 선택하기 용이하도록 슬러쉬(/), 밑줄 및 상이한 색깔을 이용하여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음성 검색 암호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에서 상기 한글단어를 선택하면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 단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에서 사전키를 선택하거나 상기 한글단어를 선택하면 이와 대응하는 복수의 영어단어를 상기 한글단어의 하단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표시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열거되는 상기 영어단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가 선택된 영어단어로 변환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 전체를 상기 입력창에 복사 입력하면, 이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에서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선택하면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창 상에서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선택하면 이와 대응하는 복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의 하단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표시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열거되는 상기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이 선택된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으로 변환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작학습 실행부는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미리 저장된 영작학습용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작학습 실행부는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사전에 저장된 영작학습용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임의적으로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작학습 실행부는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학습 내역을 불러와 최근 학습한 컨텐츠를 기준으로 다음 단계의 영작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14. 영어 채팅키를 이용하여 표시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편지키를 이용하여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문/맺음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원리키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검색 암호를 입력하여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긴 절(구) 문장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긴 절(구) 문장과 모르는 영어단어에 대응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는 영어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한글 단어를 선택하면 영어단어 제공부를 통해 상기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한글단어를 상기 영어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단어를 상기 영어 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어단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15. 영작 학습키를 이용하여 표시창을 활성화하고, 영작 학습 실행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작 학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원리키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검색 암호를 입력하여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긴 절(구) 문장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긴 절(구) 문장과 모르는 영어 단어에 대응하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한글 단어를 선택하면 영어 단어 제공부를 통해 상기 한글 단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단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한글 단어를 상기 영어 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 단어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 단어를 상기 영어 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어 단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암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창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에서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선택하면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를 통해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으로 자동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상기 채팅/학습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 회화체 또는 한글 이디엄을 상기 영어 회화체/이디엄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어 회화체 또는 영어 이디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 문장을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작 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미리 저장된 영작학습용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작 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영어 문자 소통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학습 내역을 불러와 최근 학습한 컨텐츠를 기준으로 다음 단계의 영작학습용 컨텐츠를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20. 영작 학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한글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글 문장과 대응하는 긴 절(구) 문장 원리 및 상기 긴 절(구) 문장 원리에 포함되지 않은 영어 단어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움 어휘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긴 절(구) 문장 원리 및 도움 어휘를 참고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는, 한글 문장을 영어 어순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문장 중 긴 절(구) 문장 원리에 대응되는 부분은 구분되도록 별도의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전자 학습 매체.
  24.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학습 인쇄물.
KR1020130017923A 2013-02-20 2013-02-20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4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23A KR20140104605A (ko) 2013-02-20 2013-02-20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4/001190 WO2014129772A1 (ko) 2013-02-20 2014-02-13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23A KR20140104605A (ko) 2013-02-20 2013-02-20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605A true KR20140104605A (ko) 2014-08-29

Family

ID=5139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923A KR20140104605A (ko) 2013-02-20 2013-02-20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04605A (ko)
WO (1) WO20141297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42A1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앰버스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KR101875447B1 (ko) * 2017-02-08 2018-07-10 (주)뉴로네티즘 온라인 영어 학습 서버 및 온라인 영어 학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618A (ko) * 2007-07-26 2007-08-10 주식회사 에이아이코퍼스 메신저 연동 외국어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979561B1 (ko) * 2008-05-15 2010-09-02 유우영 대화형 언어 학습 장치
KR20110116818A (ko)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에스앤에이교육 영작패턴 표준화 및 자동 첨삭 기능을 구비한 영작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101171221B1 (ko) * 2012-05-25 2012-08-06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42A1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앰버스 언어 학습을 위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KR101875447B1 (ko) * 2017-02-08 2018-07-10 (주)뉴로네티즘 온라인 영어 학습 서버 및 온라인 영어 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9772A1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gham et al. WebAnywhere: a screen reader on-the-go
TW201921267A (zh) 基於機器翻譯的自動生成重述以產生一對話式代理人的方法及系統
US20080195375A1 (en) Echo translator
US10810381B2 (en) Speech converter
KR101845304B1 (ko) 언어 학습 시스템
Vieira et al. Machine translation in society: insights from UK users
Almasoud et al. Semsignwriting: A proposed semantic system for Arabic text-to-signwriting translation
CN100565529C (zh) 一种基于多媒体的多平台间多终端多语种互译方法的装置
KR20160107383A (ko) 언어 문장 패턴 제안을 위한 생성 시스템
KR20120065071A (ko)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20140104605A (ko)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0692B1 (ko) 온라인 학습장치 및 온라인 학습방법
KR20150117985A (ko)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한 동시통역 학습 및 교육 방법
Gayathri et al. Sign language recognition for deaf and dumb people using android environment
Abdelazeez et al. Pilgrim communication using mobile phones
Jantjies et al. Mobile learning through indigenous languages: learning through a constructivist approach
KR102057770B1 (ko) 영어 교육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98377B1 (ko) 퍼즐 게임으로 어순을 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71221B1 (ko)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9136A (ko) 플래쉬 기법을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Ritchie et al. Language Landscape: supporting community-led language documentation
Yan et al. Using 3G smartphones for MALL
CN107123318A (zh) 一种基于输入法装置的外文写作学习系统
KR20120077800A (ko) 자동 번역 시스템에서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유의어를 제공하는 방법, 번역 장치 및 단말기, 그리고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151886B1 (ko) 어학 학습용 전자책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