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071A -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071A
KR20120065071A KR1020100126396A KR20100126396A KR20120065071A KR 20120065071 A KR20120065071 A KR 20120065071A KR 1020100126396 A KR1020100126396 A KR 1020100126396A KR 20100126396 A KR20100126396 A KR 20100126396A KR 20120065071 A KR20120065071 A KR 2012006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correct
learner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김동남
이응석
이은숙
김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5071A/ko
Publication of KR2012006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관리 장치는 단말기의 학습자가 제공하는 본문의 학습내용 또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문제풀이에 대한 채점, 오답 문제의 유무 분석 및 통계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본문의 학습시 또는 상기 문제풀이시 상기 학습자가 표시한 부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상기 표시한 부위가 있는 경우 상기 표시한 부위의 내용을 상기 학습자가 모르는 사항으로 판단하여 추출 및 저장하는 학습데이터 마이닝부;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 주기를 점검하고, 상기 반복학습 주기가 도래할 때 저장한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제 추출부; 및 상기 오답 문제 또는 상기 유사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사항을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알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추출한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System for Managing Learning Ability, Apparatus for Managing Learning Abi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국어 또는 영어 과목 등의 학습시 틀린 문제 및 단어 등을 분석하여 관리하고 틀린 문제 등을 재출제하거나 유사 문제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반복학습을 수행하여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려는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부분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최근 인터넷과 컴퓨터 활용에 따른 다양한 주변 환경의 변화를 통하여 우리의 교육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교육매체의 발달로 학습자는 보다 폭넓은 학습 방법을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 중 인터넷을 통한 교육서비스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저비용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각광받는 교수 학습 수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부응하여 e-러닝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달하게 되었고, 이제는 제한된 인적?물적 자원으로 오프라인 교육에서는 불가능했던 맞춤형 교육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었다. 예컨대, 학습자의 개성과 능력에 따라 세분화된 수준별 학습을 제공함으로써, 과거의 획일적인 교육 방법에서 탈피하여 학습자의 개인 역량에 따른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하나의 예로서 오프라인상에서 수험생이 오답 노트를 만들어 짧은 시간 내에 자신의 학습 능률을 높이려는 것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상에서도 수험생의 특정 단원 또는 과목에 대한 오답 노트를 만들어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런데, 종래의 오답 노트 형성 방식은 학습자가 틀린 문제에 대하여 단순히 오답 노트를 생성하여 제공해 주거나 오답 노트 생성시 학습자가 해당 문제에 대하여 실수로 틀렸는지 등을 확인하여 생성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단말기를 이용해 학습자가 진정으로 틀린 문제 또는 틀린 문제의 유사 문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것과는 거리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답 문제나 가령 영어 과목의 경우 단말기로 틀린 단어에 대하여 재출제하여 제공하거나 유사 문제를 단말기로 제공해 주어 학습자의 반복 학습을 통해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제 풀이 과정에서 제시되는 예컨대 국어나 영어 과목의 특정 지문 또는 본문 내용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밑줄이나 형광 물질을 칠하는 등과 같이 자신이 모르는 사항으로 표시한 부분에 대한 내용을 관리하고 이를 반복학습시 학습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답노트를 이용한 반복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편집한 편집노트 및 단어장을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고, 다른 학습자와 특정 오답문제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공유를 설정함으로써 해당 오답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의 공유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관리 시스템은 단말기의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하여 수행한 문제풀이의 결과에 근거하여 생성된 오답노트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반복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기 오답노트 관련 정보의 저장, 읽기 및 쓰기를 수행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반복학습을 수행할 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관리 장치는 단말기의 학습자가 제공하는 본문의 학습내용 또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문제풀이에 대한 채점, 오답 문제의 유무 분석 및 통계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본문의 학습시 또는 상기 문제풀이시 상기 학습자가 표시한 부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상기 표시한 부위가 있는 경우 상기 표시한 부위의 내용을 상기 학습자가 모르는 사항으로 판단하여 추출 및 저장하는 학습데이터 마이닝부;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 주기를 점검하고, 상기 반복학습 주기가 도래할 때 저장한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제 추출부; 및 상기 오답 문제 또는 상기 유사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사항을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알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추출한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해 수행하는 본문학습 내용 또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을 관리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로 제공하는 문제풀이부;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근거한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학습자의 조회 요청시 상기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조회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오답 목록 조회부;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학습자의 확인 요청시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 및 상기 오답 문제의 반복학습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오답 문제 또는 상기 유사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알림 창 형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알림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해 수행하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을 관리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반복학습을 위해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에서 제공한 오답문제 목록에서 임의로 선택된 특정 오답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의 결과를 생성하는 문제풀이부;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근거해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학습자의 요청시 상기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조회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제풀이의 과정에서 편집하는 특정 내용에 대한 편집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오답 문제의 공유 설정시 다른 학습자와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공유 정보를 처리하는 오답문제 목록부; 및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학습자의 확인 요청시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구동 방법은 단말기의 학습자가 제공하는 본문의 학습내용 또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문제풀이에 대한 채점, 오답 문제의 유무 분석 및 통계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본문의 학습시 또는 상기 문제풀이시 상기 학습자가 표시한 부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상기 표시한 부위가 있는 경우 상기 표시한 부위의 내용을 상기 학습자가 모르는 사항으로 판단하여 추출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오답 문제의 유무 분석을 통해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오답 문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오답 문제가 존재하거나 상기 표시한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 주기를 점검하고, 상기 반복학습 주기가 도래할 때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답 문제 또는 상기 유사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묻거나 상기 사항을 상기 단말기에 알리고, 상기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추출한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하여 수행한 문제풀이의 결과에 근거하여 생성된 오답노트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시, 특정 과목에 대한 오답노트를 선택할 수 있는 오답노트 선택 정보, 선택한 오답노트에 대한 오답문제 목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오답노트 목록 정보 및 오답문제에 대한 문제풀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풀기 정보 관련 항목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상기 오답노트 목록 정보 관련 항목을 선택한 경우, 상기 오답문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오답 문제 목록에서 선택되는 특정 오답 문제에 대한 세부 내용을 표시하며, 상기 세부 내용을 표시할 때 다른 학습자와 상기 오답 문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정보 관련 설정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답 문제의 풀이 과정에서 상기 학습자가 편집하는 특정 내용에 대한 편집 노트 관련 정보를 팝업 창 형태로 표시하거나,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특정 단어에 대한 사전 정보 및 단어장 관련 정보를 팝업 창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답 문제, 오답 문제 관련 유사 문제 또는 틀린 단어 등을 학습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반복 학습을 통한 학습을 유도하여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오답 문제에 대한 유사 문제의 제공시 하나의 특정 업체가 아닌 다양한 업체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통합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하고 수준에 맞는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오답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특정 문항만을 편집하고 특정 단어를 단어장에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자신에게 최적화된 학습 관리를 수행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문제풀이 과정에서 공유 커뮤니티를 통해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반복학습 수행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학습콘텐츠제공 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예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학습능력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의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11은 도 10에서 오답노트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0에서 오답노트 목록 실행시 표시되는 오답문제 목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a 내지 도 13g는 도 10에서 볼 때 오답문제 목록에서 선택한 특정 문제에 대한 편집, 단어검색 및 단어장 추가, 오답분석, 오답문제 공유 또는 문제풀이 기능을 실행하는 구체적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의 학습능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반복학습 수행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학습콘텐츠제공 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관리 시스템은 학습능력관리 장치(120) 및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를 포함하며, 단말기(100) 및 통신망(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형태별로 구분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스마트폰 등과, 통신 방식별로 구분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차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단말기이다. 또한 단말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넷북, 태블릿 PC, 더 나아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에 사용되는 클라우드 단말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기(100)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특정 통신사의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해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단말기(10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하는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최근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100)는 더욱 빠른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이폰용인 오페라미니(Opera Mini)와 같은 특정 통신사의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이와 연계해 단말기(100)에 근거리 통신망인 와이파이(WiFi) 및 와이브로(WiBro) 등도 함께 사용함으로써 무선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학습능력관리 장치(120) 또는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에 연동하며, 이러닝(e-learning)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의 제조시 학습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거나 학습능력관리 장치(120) 또는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로부터 별도의 다운로드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100a)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단말기(100)는 이러닝 과정에서 수행되는 본문의 학습 내용이나 문제 풀이에 대한 결과를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 제공하고, 문제 풀이에 대한 오답 문제 및 틀린 단어 등을 단말기(100)에 저장하거나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 제공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학습능력 관리 장치(120)에서 문제가 재출제되었을시 관련 문제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재출제된 문제를 다시 틀렸을 경우 1주일 또는 한 달 단위로 재발송되는 틀린 문제 및 유사 문제를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하여 주게 된다.
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의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100a)은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답 목록 조회부(200), 문제풀이부(210),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220) 및 알림정보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실질적으로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100a)을 물리적으로 구분하려는 것이기보다는 정보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기능적으로 구분하는 것에 해당될 수도 있으므로 그러한 구분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여기서, 오답 목록 조회부(200)는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숙제나 문제 등의 오답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목록에는 특정 단원과 문제 풀이를 수행한 날짜가 표시될 수 있다. 문제풀이부(210)는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키 입력 등을 통해 제공한 문제 풀이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220)는 학습자가 문제를 풀이한 결과를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로 제공했을 때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서 풀이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문제가 맞다/틀리다 또는 특정 단원에 대한 채점 결과 등을 수신 또는 저장된 결과를 불러내어 학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알림정보 처리부(230)는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서 오답 문제에 대하여 해당 문제를 재출제하거나 주기적으로 오답 문제에 대한 유사 문제를 제공할 때, 문제풀이를 수행할 것인지를 묻는 가령 팝업 창 형태의 알림 창 관련 정보를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100)의 경우에는 단문메시지(SMS)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관련 정보를 처리하여 학습자가 단문메시지를 통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 접속 후 틀린 단어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110)은 네트워크 장치로 이루어지는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며, 예컨대 무선통신망으로서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전송기 및/또는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기는 지지국 전송기와 교환국간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망(110)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다.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단말기(100) 및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에 연동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오답 내용 및 틀린 단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가 단말기(100)로 재출제하거나 유사 문제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학습자의 본문 내용 학습시 또는 학습자 문제 풀이시 문제와 함께 제공되는 예컨대 국어나 영어 지문에서 표시한 모르는 단어 또는 문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가 모르는 단어 및 새로운 단어로서 학습자에게 알릴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문제 풀이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채점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오답 문제 또는 틀린 단어 등에 대한 분석 및 통계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오답 문제에 대하여는 1주일 또는 한 달 단위로 단말기(100)로 재출제하여 제공하거나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와 연동하여 오답 문제 관련 유사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재출제된 문제 또는 유사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수신하여 다시 분석 및 통계화한다. 더 나아가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새로운 문제 또는 새로운 단어나 틀린 단어를 수신 및 풀이하겠는지에 대한 학습자의 의사를 묻는 팝업 창 형태의 알림 창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관련 정보를 단말기(100)의 학습자에게 제공한 후 단말기(100)가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처리부(400) 및 반복학습 수행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래픽 처리부(400)는 제어부(미도시) 및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서 처리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 전반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터페이스부는 통신망(110) 또는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와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가령, 인터페이스부는 그 과정에서 정보 변환 등의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복학습 수행부(410)는 문제 추출부(411), 학습데이터 마이닝부(413) 및 미디어 서비스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문제 추출부(411)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에 연동하며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른 관련 문제를 추출하고 오답 문제에 대한 유사 문제를 추출하여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문제 추출부(411)는 학습데이터 마이닝부(413)의 통계 결과로부터 특정 오답 문제에 대한 주기성을 점검하고 데이터베이스(120a)에 저장된 해당 오답 문제를 추출하여 단말기(100)로 재출제하여 제공하거나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의 연동 하에 오답 문제에 관련된 유사 문제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데이터 마이닝부(413)는 문제 추출부(411)의 연계 하에 단말기(100)로 제공한 문제에 대한 문제 풀이의 결과를 수신하여 분석 및 통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분석 결과를 통해 해당 학습 단원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습데이터 마이닝부(413)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오답 문제 관련 데이터를 문제 추출부(411)로 제공하여 주기적인 점검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학습데이터 마이닝부(413)는 학습자표시사항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학습자표시사항 판단부는 학습자가 본문이나 문제의 지문 등에서 자신이 모르는 사항으로 표시한 부분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표시한 부분의 내용을 추출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표시한 부분이란 특정 단어나 문장에 밑줄을 긋고 형광 물질을 칠하거나 동그라미 등을 그리는 등의 행위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미디어 서비스부(415)는 단말기(100)에서 학습관리 장치(130)로 학습 콘텐츠의 다운 요청을 하는 경우, 다운에 관련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또한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서 단말기(100)로 오답 문제를 재출제하거나 오답 문제의 유사 문제를 제공하게 될 때 단말기(100)의 학습자에게 해당 문제를 풀이할 것인지의 의사를 묻는 가령 팝업(pop-up) 창 형태의 알림 창 관련 정보를 처리하거나 단문 메시지(SMS) 형태로 전송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는 메가스터디, YBM 시사와 같은 유명 학원 등에서 운영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유명 학원 등과의 제휴를 통해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문제은행의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는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온라인 접속하여 요청하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또한 학습 콘텐츠를 통해 이루어지는 수준별 문제 및 오답 문제에 대한 유사 문제를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의 연계 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가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로부터 특정 단원의 특정 문제 패턴에 대한 키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는 키 정보에 부합하는 오답 문제의 유사 문제를 검색 및 추출하여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는 문제 은행의 역할 이외에도 강사 정보, 학습자 정보, 평가 항목 등 다양한 부가정보를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의 요청시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는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사정보 처리부(500), 학습자정보 처리부(510), 문제 은행부(520), 학습정보 마이닝부(530), 평가정보 처리부(540) 및 인터페이스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간략하게 살펴보면, 강사정보 처리부(500)는 단말기(100)에서 특정 학습 콘텐츠의 강사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학습자정보 처리부(510)는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한 자신의 학습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또한 문제 은행부(520)는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로부터 특정 단원의 문제 및 오답 문제의 유사 문제를 요청하는 경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관련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학습정보 마이닝부(530)는 학습에 관련되는 공지사항 등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고, 평가정보 처리부(540)는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수행한 평가 항목에 대한 과목별 점수 등의 관련 정보를 처리하며, 인터페이스부(550)는 단말기(100) 또는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 연동하도록 프로토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단말기(100)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또는 모바일 웹 방식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학습능력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가령 테블릿 PC와 같은 단말기(100)가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에 접속하여 이러닝을 수행하게 되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수행한 숙제 또는 문제 풀이의 결과를 수신한다(S601).
이의 과정에서 만약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가령 영어 지문에 연계된 문제 풀이를 할 때 해당 지문의 특정 단어 또는 문장에 밑줄을 긋거나 형광 용품 등을 사용하여 색칠을 한 경우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그에 관련되는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본문 내용만을 학습하는 경우에는 본문 학습 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숙제 또는 문제 풀이의 결과를 이용해 학습자가 해당 문제를 맞추었는지 틀렸는지를 자동 채점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는 오답 문제 또는 틀린 단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통계화하게 된다(S603).
그리고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오답 문제 또는 틀린 단어에 대하여 학습자에게 반복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주기가 도래하는지를 점검하고, 주기가 도래한 경우 해당 오답 문제 또는 틀린 단어를 추출하거나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로 오답 문제의 유사 문제를 요청하여 관련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605). 여기서, 반복 학습을 위한 주기는 단말기(100)의 학습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서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유사 문제의 수신이 완료되면 이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단말기(100)의 학습자에게 주기가 도래한 오답 문제, 틀린 단어 또는 유사 문제를 다운로드하여 당일에 문제 풀이를 수행하겠는지에 대한 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S607). 이를 위하여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화면에 팝업 창 형태의 알림 창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S605 단계 및 S607 단계는 그 순서가 바뀌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학습자의 반복 학습을 위하여 오답 문제 또는 틀린 단어의 주기가 도래한 경우 단말기(100)의 학습자에게 오답 문제에 대한 유사문제 또는 틀린 단어의 유사 단어를 당일에 다운로드하여 문제 풀이를 수행하겠는지에 대한 의사를 먼저 묻고, 이후 학습자의 요청이 있을 때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와의 연계하에 유사 문제 또는 유사 단어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오답 문제, 틀린 단어, 유사 문제 또는 유사 단어를 당일에 다운로드하여 문제를 수행하지 않고 차후에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차일에 다운로드된 문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609).
그리고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반복 학습을 위하여 당일 또는 차일에 다운로드하여 문제 풀이를 수행한 후 관련 결과를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로 전송해 주면(S611),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문제 풀이의 결과를 수신하여 다시 자동 채점을 수행하고 오답 문제 또는 틀린 단어를 분석 및 통계화한다(S613).
이후 또다시 발생한 오답 문제 또는 틀린 단어에 대하여는 1주 또는 한 달 단위를 주기로 하여 단말기(100)로 재발송하고(S615), 이때 유사 문제 또는 유사 단어의 경우에는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와의 연계 하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오답 문제 또는 틀린 단어에 대하여만 주기적으로 반복학습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학습자가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100)를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반복학습을 위한 주기가 도래한 틀린 단어 또는 모르는 단어로 체크한 새로운 단어를 데이터베이스(120a)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S617).
그리고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단문메시지(SMS)를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단말기(100)의 학습자에게 알려주고(S619),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단문메시지에 근거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 접속하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해당 틀린 단어 또는 새로운 단어를 단말기(100)로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S621).
한편, 앞서서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표시한 예컨대 영어 단어 또는 영어 문장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였는데, 가령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본문 학습 과정이나 문제풀이 과정에서 자신이 모르거나 특별히 기억하고 싶은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한 경우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표시된 단어나 문장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단어나 문장의 내용을 저장하였다가 반복학습을 위한 주기가 도래할 때 이를 단말기(100)의 학습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오답 문제나 틀린 단어에 대하여 반복학습을 수행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7은 도 1의 단말기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100a)을 구동함에 따라 문제 풀이, 문제풀이 결과 확인 및 틀린 단어 조회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의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100a)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 등으로부터 다운받아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학습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도 7의 (a)에서와 같이 단말기(100)의 화면 상단에는 오답 문제 목록, 풀이 결과 확인 및 틀린 단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혹은 아이콘이 표시되며, 오답 문제 목록이라는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오답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이 목록으로 표시된다. 이때, 오답 문제의 목록에는 특정 문제 풀이가 이루어진 단원과 문제 풀이를 수행한 날짜 등이 기록될 수 있는데, 학습자가 특정 목록을 다시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100)는 문제 풀이를 위한 화면을 추가적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
만약,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서 단말기(100)의 학습자에 대한 반복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문제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를 단말기(100)에 알릴 수 있는데, 이의 경우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도 7의 (a)에서와 같이 팝업 창 형태의 알림 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알림 창에서 만약 당일 문제 풀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보기를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100)는 문제 풀이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학습자가 도 7의 (a)에서와 같이 팝업 창 형태의 알림 창에서 닫기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100)는 학습자가 차일에 문제 풀이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날짜가 되면 도 7의 (b)에서와 같은 팝업 창 형태의 알림 창을 화면에 다시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는 학습자가 문제 풀이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에서 자동적으로 팝업 창을 구현시켜 학습자로 하여금 특정 문제 풀이를 강제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이동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100)는 문제 풀이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문제 풀이 화면이란 특정 문제를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학습자가 상단의 풀이 결과 확인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도 7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제 풀이가 이루어진 특정 단원과 단원에서 이루어진 문제 풀이의 결과에 대한 목록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문제 풀이 결과 목록의 특정 항목을 다시 선택하게 되면 도 7의 (c)에서와 같이 문제 풀이가 이루어진 구체적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에 제공한 오답 문제에 대한 정답과 해설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화면 하단의 이전/다음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학습자는 해당 단원에서 출제된 모든 문제에 대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도 7의 (a) 및 (b)의 화면에서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상단의 틀린 단어라는 아이콘을 선택하였다면 단말기(100)는 도 7의 (d)에서와 같이 틀린 단어/유사 단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학습자가 특정 단어를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100)는 선택된 단어의 유사 단어를 포함하는 화면을 추가적으로 보여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도 1의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먼저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문제 풀이 결과를 수신하여 자동 채점, 오답 문제 분석 및 통계화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본문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이 수행된 경우에는 학습자가 학습시 모르는 사항으로 표시한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표시한 부위가 있는 경우 표시한 부위의 내용을 추출 및 저장하게 된다(S801). 여기서, 자동 채점이란 특정 문제에 대하여 답이 맞는지 혹은 틀리는지에 대한 정도만을 확인하는 것이고, 오답 문제 분석이란 어떠한 문제 또는 단어를 틀렸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며, 통계화란 단원별로 오답 문제를 구분하는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문제풀이 결과로부터 오답 문제가 존재하는지 또는 본문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학습자가 학습시 모르는 사항으로 표시한 부위가 본문 학습내용에 존재하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S803).
판단 결과 오답 문제나 표시한 부위가 존재하게 되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단말기(100)가 설정한 반복학습 주기 또는 운영자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설정된 반복학습 주기를 점검하여 데이터베이스(120a) 등에 저장해 둔 오답 문제, 틀린 단어 등을 검색 및 추출하며 오답 문제에 대한 유사 문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문제 은행의 역할을 수행하는 학습콘텐츠제공 장치(130)와 같은 타 장치와 연동하여 유사 문제를 추출하게 된다(S805).
이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오답 문제, 틀린 단어 등에 대한 반복학습 주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고,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추출한 해당 오답 문제, 틀린 단어 또는 유사 문제 등을 제공하게 된다(S807). 이의 과정에서 만일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당일이 아닌 차일에 요청을 원하면 차일 요청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의 학습자에게 오답 문제 등을 수신할 지의 의사를 묻기 위하여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단말기(100)의 화면에 팝업 창과 같은 형태의 알림 창을 구현하도록 하거나 통신망(110)과의 연계하에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S803 단계에서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오답 문제나 표시한 부위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단원에 대한 반복 학습을 종료하겠지만, 반복 학습을 통해 또다시 오답 문제나 틀린 단어가 발생하게 되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반복학습 주기를 점검하여 S805 및 S807 단계의 과정을 되풀이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오답문제 목록부(900), 문제 풀이부(910) 및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920)를 포함하며, 알리정보 처리부(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답문제 목록부(900)는 오답 목록 조회부(901), 편집 및 단어정보 처리부(903), 공유정보 처리부(90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답문제 목록부(900)의 오답 목록 조회부(901)는 단말기(100)의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해 수행한 문제풀이에 대한 오답 노트 즉 특정 오답노트의 오답문제 목록 관련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편집 및 단어정보 처리부(903)는 오답문제의 문제풀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편집하는 특정 지문 또는 특정 문항 등에 대하여 가령 편집 노트를 생성 및 관리하고, 학습자가 선택한 특정 단어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단어를 단어장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팝업 창 형태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편집 및 단어정보 처리부(903)는 편집 노트의 생성 및 관리나 특정 단어에 대한 사전 정보 및 단어장 추가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능력 관리 장치(120)와 연계 하에 관련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편집 및 단어정보 처리부(903)는 팝업 창 형태의 한 예로서 가상의 아바타 도우미가 나타나 특정 단어를 발음한 후 해당 단어의 간략한 사전 정보를 제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유정보 처리부(905)는 오답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공유를 설정하는 경우 해당 오답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공유 정보를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령 공유정보 처리부(905)에서 공유설정 정보를 처리하여 학습능력 관리 장치(120)로 전송하면 학습능력 관리 장치(120)는 요청에 따른 다른 학습자의 공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문제 풀이부(910)는 학습자가 학습콘텐츠를 이용하여 수행한 문제 풀이에 대한 결과를 생성하여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 제공하고, 반복학습을 위해 학습능력관리 장치(120)에서 제공한 오답문제 목록에서 임의로 선택된 특정 오답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의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답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는 단말기(100) 내부적으로 정답을 확인할 수도 있겠지만,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로 재전송하여 새로운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문제 풀이부(910)는 예컨대 특정 오답 문제의 풀이시 가상의 아바타를 단말기(100)의 화면에 팝업 창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여 해당 문제에 대한 답을 음성으로 인식하고 답의 확인 결과를 가상의 아바타가 음성으로 학습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점에서 문제 풀이부(9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문제 풀이부(210)와 다소 차이가 있다.
이의 부분을 제외한 기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오답목록 조회부(901), 문제 풀이부(910),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920) 및 알림정보 처리부(930)와 관련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기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0의 흐름도에서 오답노트 목록 실행시 표시되는 오답문제 목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컨대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는 오답 노트에 의한 반복학습을 위하여 특정 과목의 오답 노트 선택, 오답문제 목록 및 문제풀기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 오답 노트 메인화면을 표시하고, 선택된 특정 노트에 대한 오답문제 목록들을 표시하며, 목록에서 선택한 특정 문제에 대한 편집, 단어검색 및 단어장 추가, 오답 분석, 오답문제 공유 또는 문제풀이를 실행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볼 때 오답 노트의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단말기(100)는 반복학습을 위한 학습 애플리케이션 구동시 도 11에서와 같은 오답 노트 메인화면을 먼저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100)의 학습자는 '오답노트 선택'이라는 항목에서 영어 등의 과목에 대한 노트를 선택하여 특정 과목에 대한 노트 1, 노트 2 및 노트 3과 같은 하위 오답 노트를 선택할 수 있고, 공개 오답노트에서는 학습자가 공유를 설정한 문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학습 완료 노트에서는 학습이 완료된 오답문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① 참조). 여기서, 특정 과목의 노트를 선택하려 할 때 메인 화면상에는 학습 완료율 및 취약 영역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팝업 창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오답노트 목록'이라는 항목에서 실행버튼을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오답노트 선택'이라는 항목에서 선택한 오답노트의 문제 목록으로 이동하게 된다(② 참조). 더 나아가 학습자는 '오답노트 선택'이라는 항목에서 오답노트를 선택한 후 '문제풀기'의 항목에서 문제 타입이나 문제 수 설정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실행버튼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문제풀기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③ 참조).
도 12a는 도 10에서 볼 때 선택된 특정 노트에 대한 오답문제 목록들을 표시한 도면으로서, 헤드 메뉴는 오답노트 선택과 문제 풀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답노트 선택을 터치하면 하위 오답 노트 메뉴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원하는 오답 노트를 터치하면 해당 노트 목록으로 이동하게 되며, 문제 목록에서 문제를 선택한 후 문제 풀기를 터치하면 선택된 문제의 문제풀기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① 참조). 문제 목록은 문제 뷰(view), 정렬 기준, 세부 정보 표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문제는 공간(space)에 따라 한 페이지당 2-3 문제가 배치될 수 있고, 배정된 공간에 문제의 일부만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정렬 기준은 저장일, 학습횟수, 중요도로 분류되며, 학습횟수에서는 문제풀이 횟수를 보여주고, 목록 화면 혹은 개별 문제 보기에서 해당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의 완료/미완료가 설정 가능하며, 해당 문제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어 노트의 경우에는 L/S/R/W를 표기해 주어 가령 해당 문제와 지문이 청취, 말하기, 독해, 쓰기 등에 관련되는 문제와 지문임을 학습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② 참조).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은 화면 중앙을 손으로 좌우로 밀어서 이동하게 된다(③ 참조).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목록에서 세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목록에서 학습에 대한 완료/미완료 여부를 학습자가 설정할 수 있는데, 미완료 텍스트(text)를 손가락으로 오른쪽으로 밀면 완료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완료에서 미완료로의 전환도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① 참조). 또한 목록에서 중요도 여부도 설정 가능한데, 학습자가 손가락으로 문제의 좌측 여백을 오른쪽으로 밀면 중요도 표시가 나타나게 되며 반대편으로 밀면 사라지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② 참조). 그리고 각 문제에서 문제 삭제 여부도 설정 가능할 수 있는데, 이의 경우에는 문제의 우측 끝부분을 손가락으로 오른쪽으로 밀면 삭제 버튼이 나타나게 되고, 화면의 다른 부분을 터치하면 사라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③ 참조).
도 12c는 도 12a에 나타낸 목록에서 문제보기로 이동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2a에서와 같이 나타내어지는 목록에서 특정 문제를 터치하면 문제보기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3a 내지 도 13g는 도 10에서 볼 때 목록에서 선택한 특정 문제에 대한 편집, 단어검색 및 단어장 추가, 오답분석, 오답문제 공유 또는 문제풀이 기능을 실행하는 구체적 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12a에 나타낸 목록에서 특정 문제를 터치하게 되면 단말기(100)는 도 13a에서와 같이 문제보기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도 13a에서 볼 때, 문제보기 화면은 문제영역 화면, 기능 메뉴 및 세부 정보로 구성되어 있는데, 문제영역 화면에는 문제와 문제의 지문/영상/음성 등이 모두 제시될 수 있다. 지문이 길 경우 스크롤(scroll)이 가능하고, 문제가 여러 개일 경우 페이지를 위아래로 움직이면 문제 부분만 따라 이동할 수 있다(① 참조). 기능 메뉴로는 오답분석, 공유 + 또는 공유 정보 보기 등을 포함하며(② 참조), 세부 정보로는 중요도, 영역, 완료/미완료 및 정답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③ 참조). 여기서, 영역에는 영어 과목의 경우 L/S/R/W 등의 표기가 나타날 수 있고, 정답률에서는 동일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률을 표시해 줄 수 있는데, 이때 동기 부여를 위하여 학습자에게는 조작된 결과를 표시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a에 나타낸 문제보기 화면에서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도 13b에서와 같이 문제 풀이를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3b에서 볼 때, 사용자가 문제의 정답을 선택하면, 가령 그 우측에는 ○/×를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창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정답 입력은 해당 문제의 원래 입력 방식을 따르도록 설계되므로 예컨대 보기 터치, 지문 터치, 음성 녹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성 녹음 문제일 경우에는 녹음 후 음성인식 자동평가와 자가 평가를 실행하여 평가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쓰기 문제일 경우에는 m-check 자동평가와 자가평가를 실행하여 평가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음성녹음 및 쓰기 문제의 경우에는 유료의 첨삭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① 참조). 문제 풀기 후, 결과에 따라 완료/미완료가 자동 표기될 수 있다. 정답인 경우 완료가 표기되는데, 이때 관련 사항은 자동으로 학습완료 오답 노트로 이동될 수 있으며, 오답인 경우 미완료를 표시하게 된다(② 참조). 또한 오답일 경우 각 보기의 선택률을 표시해 줄 수 있는데, 이때 선택률은 다른 학습자들에 의한 선택된 비율을 나타낸다(③ 참조). 그리고 오답일 경우 해설보기 버튼이 활성화되어 나타나고, 해설보기 버튼을 터치하면 문제에 대한 해설이 제공된다. 이때, 해설로는 텍스트나 동영상 해설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④ 참조). 만약 본 단계에서 해당 문항을 터치하는 방식이 아니라, 음성인식을 이용한 정답입력 방식으로서 평가 아바타가 사용될 경우, 단말기(100)의 화면에 아바타가 나타나 학습자가 답을 음성으로 말하면 아바타가 듣는 시늉을 하고, 들은 음성을 아바타가 다시 따라 말할 수 있으며, 정답 결과/음성 인식 평가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⑤ 참조). 물론 평가 결과를 알려주는 방식은 음성인식이 아닌 경우라 하더라도 평가 결과 제시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3c는 도 13a에 나타낸 문제보기 화면에서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단말기(100)는 편집 툴을 이용해 문제/지문/음성파일/영상파일의 길이 조정/중요부분 하이라이트 등의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편집노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문제보기 화면의 아무 곳이나 두 번 연속 터치하면 편집/노트 버튼이 활성화되어 나타나게 된다(① 참조). 편집노트 버튼을 터치하면 툴이 나타나게 되며 문제보기 화면 아무 데나 누르면 버튼이 사라지고, 편집 툴은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툴에서 오른쪽 상단의 특정 표기된 부분이 있다면 그 부위를 터치하면 저장/취소 팝업이 나타나게 된다(② 참조). 저장/취소 팝업에서 저장을 누르면 편집된 문서가 저장된 후 툴이 사라지겠지만, 취소를 터치하면 편집 문서가 저장되지 않고 편집 툴도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③ 참조).
도 13d는 도 13a에 나타낸 문제보기 화면에서 단어검색/단어장 추가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학습자가 모르는 단어를 터치하면 단어의 간략한 사전 정보가 제시된 창이 활성화되어 나타난다(① 참조). 이때, 더 보기 + 버튼을 터치하면 사전 기능이 활성화되고, 단어장 +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단어가 자동으로 단어장에 추가된다. 그리고 문제보기 화면에서 아무 데나 누르면 사전 창이 사라지게 된다(② 참조). 단어장에 추가된 단어는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③ 참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검색 도우미 아바타가 사용될 경우 학습자가 모르는 단어를 음성으로 말하면, 아바타가 나타나 듣는 시늉을 하고, 들은 음성을 아바타가 다시 따라 말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단어의 간략한 사전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④ 참조). 혹은 학습자가 특정 단어를 터치했을 때, 아바타가 관련 단어를 말하고, 사전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e는 도 13a에 나타낸 문제보기 화면에서 오답분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세부 메뉴에서 오답분석을 터치하면 오른쪽 여백으로 오답분석 목록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해서 나타나게 된다(① 참조). 제시된 목록의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완료 버튼을 터치하면 오답분석 목록이 선택항목으로만 이루어진 학습자의 오답분석 목록으로 자동 전환된다(② 참조). 여기서, 오답분석의 목록은 어휘, 발음/유창성, 문법 등의 다양한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항목별로 오답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오답분석 목록을 왼쪽으로 밀면 목록이 슬라이드해서 사라지게 된다(③ 참조). 이의 경우에도 앞서와 마찬가지로 편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문제보기 화면의 아무 곳이나 두 번 연속 터치하면 편집/노트 버튼이 나타나게 되며(④ 참조), 노트 버튼을 터치하면 노트가 나타나게 된다(⑤ 참조). 이때 노트 입력은 필기, 이미지 저장 혹은 가상(virtual)의 자판을 추가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문제보기 화면 아무 데나 누르면 버튼이 사라지고, 노트는 손가락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13f는 도 13a에 나타낸 문제보기 화면에서 오답문제 공유하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세부 메뉴에서 공유 +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문제가 바로 오답노트 커뮤니티로 공유되고 공유 완료! 표시가 나타났다 자동으로 사라지게 된다(① 참조). 공유정보 보기를 터치하면 해당 문제에 대한 공유 정보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해서 나타나게 되며, 다른 공유문제 보기를 터치하면 오답 노트 커뮤니티로 이동하게 된다(② 참조). 그리고 페이지 전체를 오른쪽으로 밀면 오답 문제 목록으로 이동하게 된다(③ 참조).
도 13g는 도 13a에 나타낸 문제보기 화면에서 문제 풀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문제풀기 영역에서 문제의 정답을 선택하면, ○/×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활성화되어 나타나게 되며, 정답 입력은 ○/×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답 입력은 해당 문제의 원래 입력 방식을 따르며, 예를 들어 보기 터치, 지문 터치, 음성 녹음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음성 녹음 문제일 경우, 녹음 후 음성인식 자동평가와 자가평가를 실행하여 평가결과가 제공되도록 하고, 이때 유료 첨삭 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쓰기 문제일 경우, m-check 자동평가와 자가평가를 실행하여 평가결과가 제공되도록 하고, 이 경우에도 유료 첨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한 지문당 문제가 여러 개일 경우 페이지를 위아래로 움직이면 문제 부분만 따라 이동하게 된다(① 참조). 또한 문제풀기 영역을 오른쪽으로 밀면 다음 문제로 이동하게 되고(② 참조), 문제 풀기를 하는 동안 진행 현황의 확인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게이지 바 형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③ 참조). 문제풀기 후 결과에 따라 완료/미완료가 자동으로 표시되며 정답인 경우 완료로 표기되고 관련 사항은 자동으로 학습완료 오답 노트로 이동되며, 오답인 경우 미완료로 표기된다. 이때 각 문항에는 다른 학습자들에 의해 선택된 선택률이 표기될 수 있을 것이다(④ 참조). 또한 오답일 경우 해설보기 버튼이 활성화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해설보기 버튼을 터치하면 문제에 대한 해설이 제공된다(⑤ 참조). 여기서, 해설은 텍스트 및 동영상 해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지금까지 살펴본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도 14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4에서 단말기(1400, 1500, 1600)는 최소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을 갖는 것으로서, 구름(cloud)과 같은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가령 학습애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에 해당되는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1420, 1530, 1620)로부터 제공받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1420, 1530, 1620)가 보유하는 학습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정보만을 제공받고, 단말기(1400, 1500, 1600)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관련 정보를 다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1420, 1530, 1620)로 제공하여 학습 관련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1420, 1530, 1620)가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관리 장치(120)는 도 14의 (a)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1420)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1의 학습능력 관리 장치(1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학습콘텐츠 제공 장치(130)가 도 14의 (b)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1530)로서 사용됨으로써 도 1의 학습콘텐츠 제공 장치(130)는 단말기(100)의 요청시 해당 학습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학습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정보만을 제공하고, 학습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관련 정보를 다시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며, 결국 필요시마다 단말기(100)에서 요청하여 새로이 이루어진 작업에 대한 학습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분 이외에 기타 단말기(1400, 1500, 1600), 통신망(1410, 1510, 1610), 학습능력 관리 장치(1520) 및 학습콘텐츠 제공 장치(143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기(100), 통신망(110), 학습능력 관리 장치(120) 및 학습콘텐츠 제공 장치(130)의 기술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답 문제, 오답 문제 관련 유사 문제 또는 틀린 단어 등을 학습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반복 학습을 통한 학습을 유도하여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오답 문제에 대한 유사 문제의 제공시 하나의 특정 업체가 아닌 다양한 업체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통합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하고 수준에 맞는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오답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특정 문항만을 편집하고 특정 단어를 단어장에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자신에게 최적화된 학습 관리를 수행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문제풀이 과정에서 공유 커뮤니티를 통해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100, 1400, 1500, 1600: 단말기 100a: 학습애플리케이션 모듈
110, 1410, 1510, 1610: 통신망 120, 1520: 학습능력관리 장치
130, 1430: 학습콘텐츠제공 장치 200, 901: 오답 목록 조회부
210, 910: 문제풀이부 220, 920: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
230, 930: 알림정보 처리부 400: 트래픽 처리부
410: 반복학습 수행부 411: 문제 추출부
413: 학습데이터 마이닝부 415: 미디어 서비스부
500: 강사정보 처리부 510: 학습자정보 처리부
520: 문제은행정보 처리부 530: 학습정보 마이닝부
540: 평가정보 처리부 550: 인터페이스부
903: 편집 및 단어 정보 처리부 905: 공유정보 처리부
1420, 1530, 1620: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Claims (20)

  1. 단말기의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하여 수행한 문제풀이의 결과에 근거하여 생성된 오답노트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반복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기 오답노트 관련 정보의 저장, 읽기 및 쓰기를 수행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 및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반복학습을 수행할 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 관리 시스템.
  2. 단말기의 학습자가 제공하는 본문의 학습내용 또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문제풀이에 대한 채점, 오답 문제의 유무 분석 및 통계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본문의 학습시 또는 상기 문제풀이시 상기 학습자가 표시한 부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상기 표시한 부위가 있는 경우 상기 표시한 부위의 내용을 상기 학습자가 모르는 사항으로 판단하여 추출 및 저장하는 학습데이터 마이닝부;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 주기를 점검하고, 상기 반복학습 주기가 도래할 때 저장한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제 추출부; 및
    상기 오답 문제 또는 상기 유사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사항을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알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추출한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데이터 마이닝부는 학습자표시사항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표시사항 판단부는 상기 본문 학습내용 또는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서 상기 표시한 부위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한 부위는 단어 또는 문장을 포함하는 것을 학습능력관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추출부는 상기 유사 문제를 저장하는 학습콘텐츠제공 장치와의 연동하에 상기 유사 문제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비스부는 상기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팝업 창 형태의 알림 창이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사항을 상기 단말기로 알리기 위하여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
  7.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해 수행하는 본문학습 내용 또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을 관리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로 제공하는 문제풀이부;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근거한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학습자의 조회 요청시 상기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조회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오답 목록 조회부;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학습자의 확인 요청시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 및
    상기 오답 문제의 반복학습 주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오답 문제 또는 상기 유사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알림 창 형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알림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문제는 틀린 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정보 처리부는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틀린 단어에 대한 정보를 단문자메시지(SMS)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단어 목록 조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어 목록 조회부는 상기 단문자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에 접속할 때 상기 틀린 단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틀린 단어의 목록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해 수행하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을 관리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반복학습을 위해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에서 제공한 오답문제 목록에서 임의로 선택된 특정 오답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의 결과를 생성하는 문제풀이부;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근거해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학습자의 요청시 상기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조회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제풀이의 과정에서 편집하는 특정 내용에 대한 편집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오답 문제의 공유 설정시 다른 학습자와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공유 정보를 처리하는 오답문제 목록부; 및
    상기 학습능력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학습자의 확인 요청시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제풀이 결과 조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문제 목록부는,
    상기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학습자의 요청시 상기 오답 문제 관련 목록 정보를 조회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오답 목록 조회부;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제풀이의 과정에서 편집하는 특정 내용에 대한 편집 정보를 처리하는 편집 및 단어정보 처리부; 및
    상기 오답 문제의 공유 설정시 다른 학습자와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공유 정보를 처리하는 공유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및 단어정보 처리부는 상기 문제풀이의 과정에서 선택되는 특정 단어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시하고, 해당 단어를 단어장에 포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및 단어정보 처리부는 상기 문제풀이의 과정에서 선택되는 특정 단어를 발음하고 사전 정보를 알려주는 가상의 검색 도우미를 활성화하여 화면에 나타내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풀이부는 상기 문제 풀이에 대한 답을 음성으로 인식하고, 결과를 상기 학습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주는 가상의 검색 도우미를 활성화하여 화면에 나타내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단말기의 학습자가 제공하는 본문의 학습내용 또는 문제풀이의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문제풀이에 대한 채점, 오답 문제의 유무 분석 및 통계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본문의 학습시 또는 상기 문제풀이시 상기 학습자가 표시한 부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상기 표시한 부위가 있는 경우 상기 표시한 부위의 내용을 상기 학습자가 모르는 사항으로 판단하여 추출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오답 문제의 유무 분석을 통해 상기 문제풀이의 결과에 오답 문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오답 문제가 존재하거나 상기 표시한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학습자의 반복학습 주기를 점검하고, 상기 반복학습 주기가 도래할 때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답 문제 또는 상기 유사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묻거나 상기 사항을 상기 단말기에 알리고, 상기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추출한 상기 오답 문제, 상기 유사 문제 또는 상기 사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문제 또는 상기 유사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수행할 지의 여부를 묻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팝업 창 형태의 알림 창이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사항은 단문메시지(SMS)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한 부위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내용에 밑줄이 그어져 있는지를 판단하거나 형광 물질이 칠해져 있는지 또는 주변에 동그라미와 같은 특정 표시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능력관리 장치의 구동 방법.
  18. 학습자가 특정 학습콘텐츠를 이용하여 수행한 문제풀이의 결과에 근거하여 생성된 오답노트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시, 특정 과목에 대한 오답노트를 선택할 수 있는 오답노트 선택 정보, 선택한 오답노트에 대한 오답문제 목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오답노트 목록 정보 및 오답문제에 대한 문제풀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풀기 정보 관련 항목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상기 메인 화면에서 상기 오답노트 목록 정보 관련 항목을 선택한 경우, 상기 오답문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오답 문제 목록에서 선택되는 특정 오답 문제에 대한 세부 내용을 표시하며, 상기 세부 내용을 표시할 때 다른 학습자와 상기 오답 문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정보 관련 설정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답 문제의 풀이 과정에서 상기 학습자가 편집하는 특정 내용에 대한 편집 노트 관련 정보를 팝업 창 형태로 표시하거나,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특정 단어에 대한 사전 정보 및 단어장 관련 정보를 팝업 창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상기 학습자가 상기 공유정보 관련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오답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공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구동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보 및 단어장 관련 정보를 팝업 창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특정 단어를 발음하는 가상의 검색 도우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1020100126396A 2010-12-10 2010-12-10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20120065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396A KR20120065071A (ko) 2010-12-10 2010-12-10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396A KR20120065071A (ko) 2010-12-10 2010-12-10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071A true KR20120065071A (ko) 2012-06-20

Family

ID=4668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396A KR20120065071A (ko) 2010-12-10 2010-12-10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50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495A1 (ko) * 2012-12-14 2014-06-19 (주)액시스소프트 학습문제풀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1683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6182178A1 (ko) * 2015-05-08 2016-11-17 주식회사 뤼이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80309A (ko) * 2017-12-28 2019-07-08 강상희 개인 맞춤형 문제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21158036A1 (en) * 2020-02-06 2021-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495A1 (ko) * 2012-12-14 2014-06-19 (주)액시스소프트 학습문제풀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1683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6182178A1 (ko) * 2015-05-08 2016-11-17 주식회사 뤼이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80309A (ko) * 2017-12-28 2019-07-08 강상희 개인 맞춤형 문제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21158036A1 (en) * 2020-02-06 2021-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775566B2 (en) 2020-02-06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김혜영 et al. Exploring smartphone applications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Borg et al. Accessibility to electronic communication for people with cognitive disabilities: a systematic search and review of empirical evidence
Leporini et al. Interacting with mobile devices via VoiceOver: usability and accessibility issues
McCarty et al. Implementing mobile language learning technologies in Japan
Shawai et al. Malay language mobile learning system (MLMLS) using NFC technology
US20140349259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US20140315163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KR101778488B1 (ko) 온라인을 통한 영어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902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language expressions using context information
US20080195375A1 (en) Echo translator
KR20120065071A (ko) 학습능력관리 시스템, 학습능력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Façanha et al. Touchscreen mobile phones virtual keyboarding for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US10957210B2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Nahar et al. “Bangla Braille learning application” in smartphone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Bangladesh
Sultan et al. Evaluation of smart phone applications accessibility for blind users
KR20120045382A (ko) 학습능력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힌트 제시 방법, 학습능력 관리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KR101640574B1 (ko) Push 메시지 기반의 쓰기와 음성 정보 전달 및 재생하는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KR100593589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다국어 통역/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20044646A (ko) 통합 어학 학습 운용 시스템, 통합 어학 학습 단말기 및 통합 어학 학습 운용 방법
KR101050173B1 (ko) 온라인 독서 학습 훈련 시스템 및 방법
JP2004144977A (ja) マルチメディアによる中国語つづり学習機能付き中国語入力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50117985A (ko)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한 동시통역 학습 및 교육 방법
KR101380692B1 (ko) 온라인 학습장치 및 온라인 학습방법
JP2003202799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学習システム
KR102082245B1 (ko) 멀티뷰 방식의 학습서비스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