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221B1 -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221B1
KR101171221B1 KR1020120055934A KR20120055934A KR101171221B1 KR 101171221 B1 KR101171221 B1 KR 101171221B1 KR 1020120055934 A KR1020120055934 A KR 1020120055934A KR 20120055934 A KR20120055934 A KR 20120055934A KR 101171221 B1 KR101171221 B1 KR 10117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key
word
sentence
c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filed Critical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5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계 공통어인 영어를 이용한 소통시 전체 문장을 번역하지 않고 인간의 사고력을 이용해 모든 언어의 가장 어렵고 번역기가 가장 오역을 많이 하는 부분인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에 관한 긴 절(구) 문장 쓰기를 긴 문장 쓰기 원리키를 통해 제공받고, 영어문장 중 잘 모르는 단어를 영어 위치에 한글로 채워놓고 한글 터치를 통해 팻말 번역 방식을 통해 전체 영어문장을 완성하여 깊이 있는 영어 문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NG A ENGLISH-BASED CHARACTER MESSAGE}
본 발명은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계 공통어인 영어를 이용한 소통시 전체 문장을 번역하지 않고 인간의 사고력을 이용해 모든 언어의 가장 어렵고 번역기가 가장 오역을 많이 하는 부분인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에 관한 긴 절(구) 문장 쓰기를 긴 문장 쓰기 원리키를 통해 제공받고, 영어문장 중 잘 모르는 단어를 영어 위치에 한글로 채워놓고 한글 터치를 통해 팻말 번역 방식을 통해 전체 영어문장을 완성하여 깊이 있는 영어 문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고속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전자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체이자 분배채널이다. 인터넷에는 백화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쇼핑몰과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IP사업 혹은 채팅이나 교류의 장으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고 그 공간적 시간적 장애가 없는 폭넓은 분야의 콘텐츠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들 중 하나가 채팅 시스템이다. 네티즌들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네티즌들과 가상공간 내에서 대화를 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인터넷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는 기존의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텍스트 문자를 보내고 상대방 역시 텍스트 문자를 보내서 대화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채팅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사용언어가 다르면 상호 대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빠른 시간 내에 자동적으로 번역하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4273호(공개일 : 2002.09.3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6768호(공개일 : 2001.11.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1619호(등록일 : 2009.08.07)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번역기술들은 아직까지 그 신뢰성이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번역을 요하는 채팅 시스템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채팅 시스템에서 종래의 번역기술은 기초적인 회화 번역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깊이 있는 복잡한 사고력을 요하는 대화를 번역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즉, 번역기가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사고력 구조인 명사를 꾸미는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에 관한 긴 절(구) 문장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KR 10-2002-0074273 A, 2002. 09. 30. KR 10-2001-0096768 A, 2001. 11. 08 KR 10-0911619 B1, 2009. 08. 0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기존의 영어 번역기가 해결하지 못하는 깊은 사고력을 요하는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가 포함된 긴 절(구) 문장 쓰기를 긴 문장 쓰기 원리 키와 한글 단어가 포함된 영어문장을 터치 팻말 단어(번역) 키를 활용해 영어문장 전체를 완성하는 기능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앱) 기능에 포함시켜 이용자로 하여금 더 쉽게 긴 절 영어문장을 이용해 좀 더 복잡한 사고력을 요하는 절(구) 구조 영어 문자를 제공할 수 있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 요청이 실행되는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영어문자 소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창에 영어 채팅키, 편지키, 원리키, 사전키, 기초회화키, 채팅창 및 입력창이 활성화되고, 상기 영어문자 소통서버는 상기 영어 채팅키에 응답하여 영어 채팅을 실행하는 영어채팅 실행부와, 상기 편지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편지 서문 및 맺음말을 제공하는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와, 상기 원리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를 제공하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와, 상기 채팅창에 표시되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 또는 상기 사전키에 응답하여 복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영어사전 제공부와, 상기 기초회화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기초회화를 제공하는 기초회화 제공부와, 상기 영어채팅 실행부에 응답하여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 및 상기 기초회화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서문 및 맺음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편지키에 응답하여 다양한 서문 및 맺음말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원리키에 응답하여 다양한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채팅창 상에서 상기 한글단어를 선택하면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전키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어단어를 상기 한글단어의 하단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채팅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열거되는 상기 영어단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가 선택된 영어단어로 자동변환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초회화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초회화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기초회화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기초회화키에 응답하여 다양한 기초회화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채팅키를 이용하여 채팅창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편지키를 이용하여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문/맺음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원리키를 이용하여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긴 절(구) 문장과 모르는 영어단어에 대응하는 한글단어를 포함하는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단계와, 영어단어 제공부를 통해 상기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 또는 사전키에 응답하여 상기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한글단어를 상기 영어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문장으로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단어를 상기 복수의 영어단어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문장을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팅키를 이용하여 채팅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후 기초회화키를 이용하여 기초회화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기초회화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가 포함된 사고력을 요하는 긴 절(구) 구조의 영어 문장을 손쉽게 쓰는 길게 쓰기 원리 키를 제공함과 동시에 한글 단어가 포함된 영어문장을 터치 팻말 단어(번역) 키를 활용해 영어문장 전체를 완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상호 간에 영어로 서로 쉽게 사고력을 요하는 깊은 부분까지 문자로 소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스마트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어문자 소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다른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스마트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원리키를 통해 제공되는 긴 절(구) 문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번역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편지키를 통해 제공되는 서문 및 맺음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원리키를 통해 제공되는 긴 절(구) 문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모르는 영어단어에 대응하는 한글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최종적으로 완성된 영어문장을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형용사절(구) 목적어 및 보어 꾸미기 원리를 도시한 도면들.
도 14 내지 도 16은 명사절 호환 원리를 도시한 도면들.
도 17 및 도 18은 전치사 접속사 호환 원리를 도시한 도면들.
도 19는 짧게 말하기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의문사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단어 번역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스마트폰이라 함은 휴대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중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관리기능을 포함한다. 즉,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을 말한다.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서, 수백에서 수십만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WiFi, 3G(또는 4G), WiBro 등 무선 통신망과, ADSL, VDSL 등과 같은 유선 통신망 등 일상 생활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 기반, 이동통신망 기반, WiFi 무선랜/센서네트워크 기반 위치인식기술, 또는 위성항법장치(GPS)와 WiFi 무선랜을 결합한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기지국, 위치인식서버, 단말기(스마트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이 가용지역에 해당한다.
스마트폰은 위성항법장치(GPS)의 단점인 실내와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수신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계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얻어진 위치정보와 함께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와 결합 연계되어 지도상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리정보장치(GIS)는 건물, 도로, 하천, 등고선, 행정구역경계 등과 같이 지형, 지리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출력,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지리정보를 구축, 유지관리, 편집, 분석 및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 출력 등의 과정을 통하여 공간 정보를 얻는 동시에 공간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은 통신망(30)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스마트폰(10)과 영어문자 소통서버(4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은 사용자(고객) 단말기로서, 통신망(30)을 통해 영어문자 소통서버(40)로부터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앱)이 설치된다. 상기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영어문자 소통서버(40)로부터 제공되거나, 혹은 기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마켓(예를 들면, 애플 앱스토어,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LCD 표시창에 표시되는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터치식 또는 버튼식)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어문자 소통서버(40)에 접속하게 된다.
스마트폰(10)은 중계기(20)를 포함하는 통신망(30)을 통해 영어문자 소통서버(40)와 연결되며, 영어문자 소통서버(40)로부터 영어문자 소통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편지 서문/맺음말, 긴 절(구) 문장, 영어단어 사전, 기초회화 등을 제공받는다. 스마트폰(10)은 통신망(30)에 연결되어 영어문자 소통서버(4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10)은 영어문자 소통서버(40)와 연동하여 영어 문자 기반 소통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 직접 서비스 이용에 대한 이용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10)에는 GPS 위성(또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기 위하여 GPS 수신장치(미도시)가 탑재되어 있다.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을 통해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스마트폰(10)은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서비스 요청시 GPS 수신장치를 통해 추출된 위치정보와 기타 개인정보 등을 영어문자 소통서버(40)로 제공한다. 스마트폰(10)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자신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예를 들어 GIS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2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스마트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에서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스마트폰의 LCD 표시창의 상단에는 선택(터치 또는 버튼)이 가능한 영어 채팅키(11), 편지키(12), 원리키(13), 사전키(14) 및 기초회화키(15)가 배치되고, 그 하단에는 채팅창(16)이 배치되며, 채팅창(16) 하단에는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창(17)이 배치된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영어 채팅키(11)는 사용자가 영어 채팅을 개시하기 위한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영어 채팅키(11)를 선택하면 영어 채팅이 개시되게 되며, 이를 통해 상대방과의 대화가 이루어진다.
편지키(12)는 사용자에게 편지의 서문과 맺음말을 제공하는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편지키(12)를 선택하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편지의 서문과 맺음말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가 영어문자 소통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문과 맺음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를 통해 선택된 서문과 맺음말이 채팅창(16)에 표시된다.
원리키(13)는 사용자에게 깊은 사고력을 요하는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가 포함된 긴 절(구)을 제공하는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원리키(13)를 선택하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다양한 긴 절(구) 등이 입력창(17)에 표시된다.
사전키(14)는 사용자에게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사전키(14)를 선택하면 영어문자 소통서버(40)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영어문자 소통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단어들 중 해당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기초회화키(15)는 사용자에게 간단한 기초회화를 제공하는 명령키로서, 사용자가 기초회화키(15)를 선택하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다양한 기초회화 문장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계친구사귀기키(21), 세계문화공유키(22)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세계친구사귀기키(21) 또는 세계문화공유키(22)를 선택하면 영어문자 소통서버(40)에 등록 또는 접속된 전세계 친구들과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문자 소통서버(40)는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폰(10)과 상호 유무선 통신을 한다. 이러한 영어문자 소통서버(4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한편, 영어 기반 문자 소통을 위해 필요한 편지 서문/맺음말, 긴 절(구) 문장, 영어단어 사전, 기초회화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영어문자 소통서버(40)는 스마트폰(10)에 설치된 다양한 키, 예를 들면 영어 채팅키(11), 편지키(12), 원리키(13), 사전키(14), 기초회화키(15) 등에 연동하여 해당 키의 명령에 대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한다.
영어문자 소통서버(4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영어문자 소통서버(4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영어문자 소통서버(40)에는 전세계 가입자, 즉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 관리된다. 또한 미리 설정된 다양한 영문 편지 서문/맺음말, 영문 긴 절(구) 문장, 영어단어, 다양한 영어기초회화 문장 등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 관리된다. 이외에도, 영어 채팅이 가능한 다양한 정보 등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영어문자 소통서버(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제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통신망(30)은 중계기(20)를 포함하여 스마트폰(10)과 영어문자 소통서버(40)를 연결하는 망(network)으로서, 통신사에서 설치 운영하는 이동통신망(3G망, 4G망, WiBro망, LTE망 포함), 인터넷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20)는 기지국이거나 무선접속장치(Acess Point, A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20)가 통신망(30)과 분리되어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중계기(20)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으며, 통신망(30)으로 언급된 경우 통신망(30)은 중계기(2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어문자 소통서버(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어문자 소통서버(40)는 영어채팅 실행부(41),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 영어사전 제공부(44), 기초회화 제공부(45), 데이터 처리부(46) 및 통신부(47)를 포함한다.
영어채팅 실행부(41)는 스마트폰(10)의 영어채팅키(11)에 응답하여 영어 채팅을 실행한다.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는 스마트폰(10)의 편지키(12)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서문 및 맺음말을 제공한다. 이렇게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로부터 제공되는 서문 및 맺음말은 스마트폰(10)의 채팅창(16)에 표시된다.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는 스마트폰(10)의 원리키(13)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한다.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긴 절(구) 문장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긴 절(구) 문장 중 원하는 문장을 선택한다.
영어사전 제공부(44)는 스마트폰(10)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한글단어를 터치하는 동작에 응답하거나, 혹은 스마트폰(10)의 사전키(14)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영어단어를 제공한다. 전자의 경우, 영어사전 제공부(44)는 한글단어에 대응하여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단어를 제공한다. 후자의 경우, 영어사전 제공부(44)는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다양한 영어단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영어사전 제공부(44)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영어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한다.
기초회화 제공부(45)는 스마트폰(10)의 기초회화키(15)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초회화를 제공한다. 기초회화 제공부(45)는 사용자에게 기초회화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기초회화 제공부(45)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기초회화 중 원하는 문장을 선택한다.
데이터 처리부(46)는 영어채팅 실행부(41)에 응답하여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42),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43), 영어사전 제공부(44), 기초회화 제공부(45)를 제어하는 한편, 이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데이터들(편지 서문/맺음말, 기 절(구) 문장, 영어단어, 기초회화 등)을 처리하여 통신부(47)를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영어 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후, 스마트폰(10)의 LCD 표시창에 표시되는 채팅키(11)를 선택하여 채팅창을 활성화한다(S51).
채팅창이 활성화된 후, 편지키(12)를 이용하여 서문 및 맺음말을 내려받는다(S52). 예를 들어, 서문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문은 'Hi, Long time no see. How have you been.'일 수 있고, 맺음말은 'Looking forward to hearing from you.'일 수 있다.
이후, 채팅창(15)에 본문을 작성한다. 본문은 원리키(13)와 사전키(14)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원리키(13)를 이용한 긴 절(구) 문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용사절, 명사절 또는 전치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명사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원리키(13)를 통해 제공되는 긴 절(구) 문장을 선택한다(S53).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heard that S+V'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 S53에서 선택된 긴 절(구) 문장에 모르는 영어단어에 대응하는 한글단어를 포함한 문장을 완성한다(S54). 즉, 모르는 영어단어에 대응하는 한글단어를 포함하여 문장을 완성한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heard that you will pass this 시험.'를 완성한다.
단계(S54)에서 한글단어를 포함한 문장이 완성되면, 사전키(14)를 활용하여 한글로 표기된 "시험"을 영어단어로 변환한다(S55). 일례로,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heard that you will pass this test.'로 변환하여 완전한 영어문장을 완성한다.
한글단어를 영어단어로 변환하는 방법은 영어수준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영어단어를 모르는 영어 초급자에게 제공하는 영어단어 자동변환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사전키(14)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동변환하기 위한 실행단계를 한 단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이 단순하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채팅창(16)에 표시되는 한글단어를 터치하면 미리 등록된 최적화된 영어단어로 자동변환한다.
두번째 방법은, 어느 정도 영어단어를 알고 있는 영어 중급자 이상인 자에게 제공하는 영어단어 자동변환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첫번째 방법과 달리 사전키(14)를 이용한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사전에 사전키(14)를 선택하면 미리 등록된 채팅창(16)에 표시되는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다양한 영어단어가 표시되고, 이렇게 표시되는 다양한 영어단어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영어단어로 자동변환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영어단어 자동변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르는 영어단어에 해당하는 한글단어 "시험"을 표시창 상에서 터치하면 한글단어 "시험"이 확정된 영어단어 "test"로 자동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영어단어를 다시 터치하면 한글단어 "시험"으로 다시 재변환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영어단어 자체를 모르는 초보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두번째 영어단어 자동변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르는 영어단어에 해당하는 한글단어 "시험"을 입력창(17)을 통해 입력하여 채팅창(16)에 표시한 상태에서 표시창 상에서 상기 한글단어 "시험"을 터치하면 그 하단에 '시험'에 해당하는 다양한 영어단어 "exam, test, examination, quiz, trial" 등이 열리듯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영어단어들 중 해당 영어단어 "test"를 표시창 상에서 터치하여 해당 영어단어 "test"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 "시험"이 선택된 영어단어 "test"로 자동으로 변환된다. 즉, 2번의 터치방식으로 한글단어를 영어단어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영어 중급자 또는 고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은 편지키와 별도로 채팅창이 활성화된 후, 기초회화키(15)를 이용하여 기초회화 제공부(45)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기초회화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채팅창(16)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들을 예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 및 도 13은 형용사절(구) 목적어 및 보어 꾸미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명사절 호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7 및 도 18은 전치사 접속사 호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9는 짧게 말하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0은 의문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1은 단어 번역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에서 도시된 예들과 같이 기본문장과 여기에 결합되어 완성되는 복수의 문장을 컬러로 구분하여 나열형으로 제시하는 것이며, 이들 중 원하는 문장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최종 결합 문장이 완성되어 표현하고자 하는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스마트폰 20 : 중계기
30 : 통신망 40 : 영어문자 소통서버
11 : 영어 채팅키 12 : 편지키
13 : 원리키 14 : 사전키
15 : 기초회화키 16 : 채팅창
17 : 입력창 41 : 영어채팅 실행부
42 :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 43 :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
44 : 영어사전 제공부 45 : 기초회화 제공부
46 : 처리부 47 : 통신부

Claims (8)

  1. 사용자가 소지하고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 요청이 실행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영어문자 소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영어문자 소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창에 영어 채팅키, 편지키, 원리키, 사전키, 기초회화키, 채팅창 및 입력창이 활성화되고,
    상기 영어문자 소통서버는 상기 영어 채팅키에 응답하여 영어 채팅을 실행하는 영어채팅 실행부와, 상기 편지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편지 서문 및 맺음말을 제공하는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와, 상기 원리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를 제공하는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와, 상기 채팅창에 표시되는 미완성된 문장에 포함된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 또는 상기 사전키에 응답하여 복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영어사전 제공부와, 상기 기초회화키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기초회화를 제공하는 기초회화 제공부와, 상기 영어채팅 실행부에 응답하여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 및 상기 기초회화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서문 및 맺음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편지키에 응답하여 다양한 서문 및 맺음말들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원리키에 응답하여 다양한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채팅창 상에서 상기 한글단어를 선택하면 미리 확정되어 등록된 하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사전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전키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어단어를 상기 한글단어의 하단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채팅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열거되는 상기 영어단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한글단어가 선택된 영어단어로 자동변환하도록 제공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회화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초회화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기초회화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기초회화키에 응답하여 다양한 기초회화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7. 채팅키를 이용하여 채팅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편지키를 이용하여 편지 서문/맺음말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문/맺음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는 단계;
    원리키를 이용하여 긴 절(구) 문장 쓰기 원리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형용사절(구), 목적어절, 전치사구 및 접속사를 포함하는 긴 절(구) 문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긴 절(구) 문장과 모르는 영어단어에 대응하는 한글단어를 포함하는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단계; 및
    영어단어 제공부를 통해 상기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 또는 사전키에 응답하여 상기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어단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글단어를 상기 영어단어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확정된 하나의 영어단어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문장으로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한글단어를 상기 복수의 영어단어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완성된 영어문장을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키를 이용하여 채팅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후,
    기초회화키를 이용하여 기초회화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기초회화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채팅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어 기반 문자 소통 방법.
KR1020120055934A 2012-05-25 2012-05-25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934A KR101171221B1 (ko) 2012-05-25 2012-05-25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934A KR101171221B1 (ko) 2012-05-25 2012-05-25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221B1 true KR101171221B1 (ko) 2012-08-06

Family

ID=4688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934A KR101171221B1 (ko) 2012-05-25 2012-05-25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72A1 (ko) * 2013-02-20 2014-08-28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72A1 (ko) * 2013-02-20 2014-08-28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85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andidate reply message
US2021014954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termin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CN103970825B (zh) 在信息提供系统中提供信息的方法及电子装置
CN103744575B (zh) 一种用于提供输入应用的输入辅助区域的方法与设备
CA2836262A1 (en) Feed translation for a social network
US9843556B2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US9571443B2 (en) Mobile device message enabled on-line community bulletin board
KR1009233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상 위치 기반의 정보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93338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171221B1 (ko)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379022B (zh) 一种基于互联网地图搜索的即时通讯方法和系统
CN102413139A (zh) 一种远程输入文字的方法及系统
KR102151322B1 (ko)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KR20080026704A (ko) 휴대 단말기에서 정보 검색 방법
US202301533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Siriteanu et al. Meetyou—Social networking on Android
KR20170104480A (ko) 정보 다국어 변환 시스템
CN113676394B (zh) 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装置
KR20140104605A (ko) 쓰기 말하기 원리를 적용한 영어 기반 문자 소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4409B1 (ko) 3차원 가상현실 영어마을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00133635A (ko) 사용자 등급에 최적화된 영어 단어장 생성 방법
KR2002000449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통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6467B1 (ko) 장애인과 일반인의 실시간 상호 정보제공 시스템
KR101506437B1 (ko) Rss 기반 콘텐츠의 내용에 나오는 단어와 상기 단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Le Grange et al. Real-time content translation framework for interactive public displa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