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827A -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827A
KR20140103827A KR1020130141199A KR20130141199A KR20140103827A KR 20140103827 A KR20140103827 A KR 20140103827A KR 1020130141199 A KR1020130141199 A KR 1020130141199A KR 20130141199 A KR20130141199 A KR 20130141199A KR 20140103827 A KR20140103827 A KR 20140103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speed dif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607B1 (ko
Inventor
마사유키 시라토리
슈이치 아이하라
마사유키 가타야나기
오사무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 (1) 는 복수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을 가지고, 각각의 레인은 고속 차동 신호 전송을 위한 2 개의 제 1 콘택트 (31), 및 2 개의 접지 콘택트 (32) 를 포함한다.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에 속하지 않는 제 2 콘택트 (40) 가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사이에 배열된다.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측에서, 콘택트 (31, 32, 40) 의 콘택팅부 (31A, 32A, 40A) 가 서로 떨어져 일렬로 배열된다. 장착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측에서, 제 1 콘택트 (31) 의 단자부 (31B) 및 접지 콘택트의 단자부 (32B) 가 콘택팅부 (31A, 32A, 40A)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은 거리로 제 1 열 (R1) 에 배열되고, 제 2 콘택트 (40) 의 단자부 (40B) 는 제 2 열 (R2) 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CONNECTOR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2013 년 2 월 18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13-029400 호에 기초하고 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본원에 전부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동 신호 쌍을 전송하기 위한 접속 전송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차동 신호 커넥터 및 차동 신호 커넥터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쌍을 이루는 2 개의 신호 라인에서 한 쌍의 역상 (opposite-phase) 신호를 포함하는 차동 신호 쌍을 전송하는 차동 전송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차동 전송 방법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달성할 수 있어서, 최근에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와 액정 디스플레이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차동 전송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 디바이스와 액정 디스플레이 각각은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에 따라 설계된 디스플레이 포트 커넥터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으로서, VESA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 1.0 및 그것의 버전 1.1a 가 공지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포트 커넥터는 차동 신호 커넥터의 한 가지 유형이고,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측 및 디바이스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쇄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측을 가지고 있다. 제 1 접속측은 접속 대상물과의 관계 때문에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에 의해 엄격히 정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반면, 제 2 접속측은 비교적 자유로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유형의 차동 신호 커넥터는 일본 특허 제 4439540 호 (특허문헌 1) (US 2008/0014803A1 에 대응함) 에 개시된다.
도 9 에 도시된 대로,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커넥터는, 하부 콘택트 군으로서, 2 쌍의 신호 콘택트 (121) 및 각 쌍의 신호 콘택트 (121) 의 양측에 배열된 복수의 접지 콘택트 (122) 를 갖는다.
제 1 접속측에서, 신호 콘택트 (121) 의 콘택팅부 (121A) 및 접지 콘택트 (122) 의 콘택팅부 (122A) 는, 도 9 에 나타난 것처럼, 미리 정해진 거리 (D1) 로 서로 떨어져 일렬로 배열된다.
제 2 접속측에서, 신호 콘택트 (121) 의 단자부 (121B) 는 제 1 열 (R1) 에 배열되고, 접지 콘택트 (122) 의 단자부 (122B) 는 제 1 열 (R1) 로부터 시프팅된 제 2 열 (R2) 에 배열된다.
상기한 배열의 경우, 단자부들 (121B, 122B) 사이의 거리 (D2) 는 콘택팅부들 (121A, 122A) 사이의 거리 (D1) 보다 더 크다. 따라서, 커넥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크기 및 미리 정해진 거리의 배열을 요구하는 관통구멍 (미도시) 에 대한 단자부들 (121B, 122B) 의 양호한 장착성을 달성하는 것이 의도된다.
하지만,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커넥터에서, 신호 콘택트 (121) 의 단자부 (121B) 및 접지 콘택트 (122) 의 단자부 (122B) 는 각각 다른 열 (R1, R2) 에 배열되고, 단자부들 (121B, 122B) 사이의 거리 (D2) 가 넓다. 따라서, 단자부들 (121B, 122B) 주위의 특성 임피던스가 다른 부분들 주위의 특성 임피던스보다 더 높다. 이 경우에, 특성 임피던스 정합 (matching) 은 달성하기 어렵다. 그 결과, 고속 신호 전송 (예를 들어, 분포 상수 회로로서 커넥터 또는 콘택트를 처리하기에 적절한 주파수 성분을 포함한 10 Gbps 이상 속도의 신호 전송) 이 어렵다.
관련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크기 감소 및 장착 대상물에 대한 커넥터의 양호한 장착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특성 임피던스의 용이한 정합을 허용하여서 고속 신호 전송 특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커넥터를 이용하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커넥터는 장착 대상물에 장착되고 접속 대상물에 접속된다. 커넥터는, 고속 차동 신호 전송에 적합하고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2 개의 제 1 콘택트들 (S), 및 상기 2 개의 제 1 콘택트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2 개의 제 1 콘택트들의 양측에 각 측에 하나씩 배열되는 2 개의 접지 콘택트들 (G) 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GSSG); 및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중 인접한 레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에 속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콘택트들, 상기 접지 콘택트들, 및 상기 제 2 콘택트 각각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될 콘택팅부, 및 장착 대상물에 접속될 단자부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측을 갖고, 제 1 접속측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들의 콘택팅부들,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콘택팅부들, 및 상기 제 2 콘택트의 콘택팅부는 서로 떨어져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장착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측을 갖고, 제 2 접속측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들의 단자부들 및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단자부들은 상기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은 거리로 제 1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콘택트의 단자부는 상기 제 1 열과는 상이한 제 2 열에 배열된다. 커넥터의 이 구성에 따라, 전술한 목적들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커넥터는 장착 대상물에 장착되고 접속 대상물에 접속된다. 커넥터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2 개의 제 1 콘택트들, 및 상기 2 개의 제 1 콘택트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2 개의 제 1 콘택트들의 양측에 각 측에 하나씩 배열되는 2 개의 접지 콘택트들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및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중 인접한 레인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콘택트들, 상기 접지 콘택트들, 및 상기 제 2 콘택트 각각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될 콘택팅부, 및 장착 대상물에 접속될 단자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콘택트들 각각은 L > (λ/20) 을 충족하는 파장 (λ) 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고속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콘택트이고, 여기서 L 은 상기 콘택팅부로부터 상기 단자부까지의 상기 제 1 콘택트의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제 2 콘택트는, 전송될 신호가 M > (λ/20) 을 충족하는 파장 (λ) 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콘택트이고, 여기서 M 은 상기 콘택팅부로부터 상기 단자부까지의 상기 제 2 콘택트의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측을 가지고, 제 1 접속측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들의 콘택팅부들,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콘택팅부들, 및 상기 제 2 콘택트의 콘택팅부는 서로 떨어져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장착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측을 가지고, 제 2 접속측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들의 단자부들 및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단자부들은 상기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은 거리로 제 1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콘택트의 단자부는 상기 제 1 열과는 상이한 제 2 열에 배열된다. 커넥터의 이 구성에 따라, 전술한 목적들이 달성된다.
상기 제 2 콘택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콘택트의 양측에 배열되는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상기 단자부들은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콘택트들 및 상기 접지 콘택트들 각각은, 상기 제 1 콘택트들 및 상기 접지 콘택트들 중 인접한 콘택트들 사이의 거리를, 상기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로 변경하기 위한 거리 변경부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거리 변경부는, 상기 콘택팅부들 및 상기 단자부들 각각의 폭보다 더 넓은 콘택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각각은,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의 2 개의 제 1 콘택트들 사이의 평면에 대해 대칭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제 2 콘택트들은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사이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사이에 배열된 상기 제 2 콘택트들은, 상기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열 및 상기 제 2 열은 서로 평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콘택트는, 제어 신호 콘택트, 전력 공급 콘택트, 접지 콘택트, 또는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에 속하지 않는 신호 전송 콘택트, 예를 들어 적은 Mbps 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 콘택트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커넥터들 중 하나를 기판에 장착함으로써 고속 차동 신호 전송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서, 제 1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단자부들은 동일한 제 1 열에 배열되고 제 2 콘택트의 단자부들은 제 2 열에 시프팅된다. 그러므로, 제 1 콘택트와 접지 콘택트의 단자부들 중 인접한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가 대응하여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크기 감소와 장착 대상물에 대한 커넥터의 양호한 장착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고속 신호 전송 특성을 개선하도록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 은 사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커넥터의 하부 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커넥터의 하부 콘택트 어셈블리가 인쇄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 4 의 선 A-A 를 따라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인쇄 기판의 하부면 측에서 바라본, 인쇄 기판에 장착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통합될 하부 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콘택트 어셈블리가 인쇄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5 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커넥터에 통합될 하부 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형태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제 1 방향 (A1) 은 복수의 콘택트가 배열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 2 방향 (A2) 은 제 1 방향 (A1) 에 수직이고 콘택트의 종방향과 동일하다. 제 3 방향 (A3) 은 제 1 방향 (A1) 및 제 2 방향 (A2) 에 수직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1) 는, 인쇄 기판 (장착 대상물) (80) 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메이팅 (mating) 커넥터 (접속 대상물) (미도시) 에 끼워 맞춰져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인쇄 기판 장착 커넥터이다. 하기 설명에서, 메이팅 커넥터 (미도시) 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1) 의 제 1 측은 제 1 접속측으로 불리고 인쇄 기판 (80) 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1) 의 바닥측은 제 2 접속측으로 불린다.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인쇄 기판 (80) 은 다층 기판이다. 도 1 및 도 6 에 나타난 것처럼, 인쇄 기판 (80) 은 다수의 관통구멍 (81) 을 구비한다. 인쇄 기판 (80) 은 복수의 랜드 (82) 를 구비한 하부면 (80B) 을 갖는다. 각각의 랜드 (82) 는 도넛 모양의 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각각의 관통구멍 (81) 의 개구부 주위에 형성된다. 랜드 (82) 중 몇몇으로부터, 복수의 배선 패턴 (84) 이 서로 병렬로 인쇄 기판 (80) 을 따라 추출된다. 관통구멍 (81) 의 위치 및 기능은 하기에서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서 알 수 있듯이, 커넥터 (1) 는 하부 콘택트 어셈블리 (10), 상부 콘택트 어셈블리 (60), 및 하부 콘택트 어셈블리 (10) 와 상부 콘택트 어셈블리 (60) 를 전체적으로 덮는 전도성 셸 (70) 을 포함한다.
도 2 에 나타난 것처럼, 상부 콘택트 어셈블리 (60) 는 복수의 전도성 콘택트를 포함하는 상부 콘택트 군 (61), 및 상부 콘택트 군 (61) 을 유지하는 절연 상부 하우징 (62) 을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난 것처럼, 상부 하우징 (62) 은 커넥터 (1) 의 제 1 접속측에서 메이팅 커넥터 (미도시) 에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끼워맞춤 돌기부 (62A) 를 갖는다. 상부 콘택트 군 (61) 의 각각의 콘택트는 상부 하우징 (62) 의 끼워맞춤 돌기부 (62A) 의 상부측에 배열된 전방 단부, 후방으로 연장된 후 수직 하방으로 구부러진 중간부, 및 SMT (표면 장착 기술) 구조에 의하여 인쇄 기판 (80) 의 상부면 (80A) 에 형성된 배선 패턴 (83) 에 납땜된 하부 단부를 갖는다
도 1 에 나타난 것처럼, 셸 (70) 은 인쇄 기판 (80) 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고정 레그 (71) 를 가지고 있다. 고정 레그 (71) 를 인쇄 기판 (80) 에 납땜함으로써, 커넥터 (1) 는 인쇄 기판 (80) 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하부 콘택트 어셈블리 (10) 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 에 나타난 것처럼, 하부 콘택트 어셈블리 (10) 는 복수의 전도성 콘택트 (31, 32, 40; 도 3) 를 포함하는 하부 콘택트 군 (20), 및 전도성 콘택트 (31, 32, 40) 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부 콘택트 군 (20) 을 유지하는 절연 하부 하우징 (50) 을 갖는다.
하기에서, 콘택트 (31, 32, 40) 는 각각 제 1 콘택트 (31), 접지 콘택트 (32), 및 제 2 콘택트 (40)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하부 콘택트 군 (20) 은 2 개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및 2 개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사이에 배치된 2 개의 제 2 콘택트 (40) 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은 총 4 개의 전도성 콘택트 (31, 32) 를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각각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2 개의 제 1 콘택트들 (31) 의 쌍, 및 제 1 콘택트들 (31) 의 쌍의 양측에 각 측에 하나씩 배치된 2 개의 접지 콘택트들 (32) 을 포함한다. 접지 콘택트 (32) 는 오로지 접지를 위한 콘택트로 제한되지 않고,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이 형성될 때 접지와 등가의 전기 기능을 보여주는 임의의 콘택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콘택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2 개의 제 1 콘택트들 (31) 의 쌍은 고속 차동 신호 (예를 들어, 10 Gbps 이상의 속도) 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쌍을 형성한다. 각각의 제 1 콘택트 (31) 는 L > (λ/20) 을 충족하는 파장 (λ) 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고속 전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고, 여기서 L 은 제 1 콘택트 (31) 의 콘택트 크기 (즉, 제 1 콘택트 (31) 의 콘택팅부 (31A) 로부터 단자부 (31B) 까지의 길이) 를 나타낸다.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의 전송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각각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은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의 2 개의 제 1 콘택트 (31) 사이의 평면 (즉, 제 2 방향 (A2) 및 제 3 방향 (A3) 에 의해 규정된 평면) 에 대해 대칭 구조를 갖는다.
제 2 콘택트 (40) 는 고속 차동 레인 (30) 에 속하지 않는다 (즉, 제 2 콘택트 (40) 는 고속 신호 전송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 2 콘택트 (40) 는 제어 신호 콘택트, 전력 공급 콘택트, 접지 콘택트, 또는 고속 차동 신호 레인 (30) 에 속하지 않는 신호 전송 콘택트 (예를 들어, 대략 Mbps 의 속도의 신호 전송을 위한 신호 전송 콘택트) 일 수도 있다. 전송될 신호가 M > (λ/20) 을 충족하는 파장 (λ) 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때 각각의 제 2 콘택트 (40) 가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M 은 제 2 콘택트 (40) 의 콘택트 크기 (즉, 제 2 콘택트 (40) 의 콘택팅부 (40A) 로부터 단자부 (40B) 까지의 길이) 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콘택트 (31) 의 콘택트 크기 (L) 는 제 2 콘택트 (40) 의 콘택트 크기 (M) 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설계된다.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하부 콘택트 군 (20) 의 콘택트 (31, 32, 40) 는 메이팅 커넥터 (미도시) 에 접속될 콘택팅부 (31A, 32A, 40A), 인쇄 기판 (80) 에 접속될 단자부 (31B, 32B, 40B), 콘택팅부 (31A, 32A, 40A) 와 단자부 (31B, 32B, 40B) 사이에 각각 형성된 굽힘부 (31C, 32C, 40C), 및 굽힘부 (31C, 32C, 40C) 와 단자부 (31B, 32B, 40B) 사이에 각각 형성된 거리 변경부 (31D, 32D, 40D) 를 갖는다.
커넥터 (1) 의 제 1 접속측에서, 콘택팅부 (31A, 32A, 40A) 는 서로 떨어져 제 1 방향 (A1) 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상부 하우징 (62) 의 끼워맞춤 돌기부 (62A) 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단자부 (31B, 32B, 40B) 는 커넥터 (1) 의 제 2 접속측에서 인쇄 기판 (80) 의 관통구멍 (81) 에 삽입되고 인쇄 기판 (80) 의 하부면 (80B) 에서 납땜에 의해 랜드 (82) 에 접속된다.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콘택트 (31) 및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1B, 32B) 는 서로 떨어져 제 1 방향 (A1) 을 따라 제 1 열 (R1) 에 배열된다. 한편,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2 개의 제 2 콘택트 (40) 의 단자부 (40B) 는, 서로 떨어져 제 2 방향 (A2) 으로, 제 1 열 (R1) 로부터 후방으로 시프팅된 제 2 열 (R2) 에 배열된다.
굽힘부 (31C, 32C, 40C) 는 콘택트 (31, 32, 40) 를 각각 수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에서, 굽힘부 (31C, 32C, 40C) 의 굽힘각이 90°로 제한되지 않음에 주목한다.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콘택트 (31) 와 접지 콘택트 (32) 는 굽힘부 (31C, 32C) 와 단자부 (31B, 32B) 사이에 각각 형성된 거리 변경부 (31D, 32D) 를 갖는다. 이런 구조 때문에, 제 1 콘택트 (31) 및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1B, 32B) 중 인접한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는 인쇄 기판 (80) 의 관통구멍 (81) 중 인접한 관통구멍 사이의 거리에 맞도록, 제 1 콘택트 (31) 및 접지 콘택트 (32) 의 콘택팅부 (31A, 32A) 중 인접한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에 비해 넓어진다.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각각의 제 2 콘택트 (40) 는 굽힘부 (40C) 와 단자부 (40B) 사이에 형성된 거리 변경부 (40D) 를 갖는다. 이런 구조 때문에, 2 개의 제 2 콘택트 (40) 의 단자부 (40B) 사이의 거리는 관통구멍 (81) 사이의 거리에 맞도록, 2 개의 제 2 콘택트 (40) 의 콘택팅부 (40A) 사이의 거리에 비해 넓어진다.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거리 변경부 (31D, 32D, 40D) 는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콘택트 (31, 32, 40) 의 나머지 부분의 폭보다 넓은 콘택트 폭을 갖는다.
하부 하우징 (50) 은 정렬된 상태로 하부 콘택트 군 (20) 을 유지하고, 도 1 에 나타난 것처럼, 인쇄 기판 (80) 에 대해 커넥터 (1) 를 위치결정하도록 하우징의 하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 보스 (51) 를 갖는다.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1) 에서, 제 1 콘택트 (31) 및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1B, 32B) 는 제 1 열 (R1) 에 배열되고 제 2 콘택트 (40) 의 단자부 (40B) 는 제 2 열 (R2) 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 1 콘택트 (31) 및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1B, 32B) 중 인접한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는, 제 1 콘택트 (31) 및 접지 콘택트 (32) 의 콘택팅부 (31A, 32A) 중 인접한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넓다.
따라서, 제 1 콘택트 (31) 와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1B, 32B) 는 동일한 제 1 열 (R1) 에 배열되고 제 2 콘택트 (40) 의 단자부 (40B) 는 제 2 열 (R2) 로 시프팅된다. 그러므로, 제 1 콘택트 (31) 및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1B, 32B) 중 인접한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는 대응하여 넓어진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1) 의 크기 감소 및 인쇄 기판 (80) 에 대한 커넥터 (1) 의 양호한 장착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고속 신호 전송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제 1 콘택트 (31) 및 접지 콘택트 (32) 의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차이점만 설명될 것이고,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기능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2 콘택트 (40) 의 쌍을 사이에 두고 제 2 콘택트 (40) 의 쌍의 양측에 배열된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2B) 는, 도 7 에 나타난 것처럼, 서로 조합되어서 일체형 구조를 형성한다.
전술한 제 2 실시형태에서, 2 개의 접지 콘택트 (32) 는 단일 구성요소로 조합된다. 이 구조로, 구성요소의 수가 감소된다. 게다가,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2B) 를 삽입하기 위한 인쇄 기판 (80) 의 관통구멍 (81) 의 수가 감소되고, 인쇄 기판 (80) 에 커넥터 (1) 를 장착하는 동안의 납땜 횟수가 또한 감소된다. 따라서, 커넥터 (1) 를 제조하고 장착하는 동안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차이점만 설명될 것이고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기능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제 2 콘택트 (40) 의 쌍을 사이에 두고 제 2 콘택트 (40) 의 쌍의 양측에 배열된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2B) 는, 도 8 에 나타난 것처럼, 인쇄 기판 (80) 의 공통 관통구멍 (81) 에 삽입된다.
전술한 제 3 실시형태에서, 접지 콘택트 (32) 의 단자부 (32B) 를 삽입하기 위한 인쇄 기판 (80) 의 관통구멍 (81) 의 수가 감소되고, 인쇄 기판 (80) 에 커넥터 (1) 를 장착하는 동안의 납땜 횟수가 또한 감소된다. 따라서, 커넥터 (1) 를 제조하고 장착하는 동안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는, 커넥터가 2 개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을 가지고 각각의 신호 레인이 2 개의 제 1 콘택트 및 2 개의 접지 콘택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되었다. 하지만, 3 개 이상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중 매 인접한 레인들 사이에 제 2 콘택트가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사이에 배열된 제 2 콘택트의 개수는 2 개이다. 하지만,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사이에 배열된 제 2 콘택트의 개수는 하나보다 작지 않은 임의의 개수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단자부들은, 제 2 콘택트의 단자부가 배열된 제 2 열보다 제 2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한 제 1 열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제 1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단자부들은, 제 2 콘택트의 단자부보다 제 2 방향으로 후방에 배열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장착 대상물에 장착되고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고속 차동 신호 전송에 적합하고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2 개의 제 1 콘택트들, 및 상기 2 개의 제 1 콘택트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2 개의 제 1 콘택트들의 양측에 각 측에 하나씩 배열되는 2 개의 접지 콘택트들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및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중 인접한 레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에 속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콘택트들, 상기 접지 콘택트들, 및 상기 제 2 콘택트 각각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될 콘택팅부, 및 장착 대상물에 접속될 단자부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측을 가지고, 제 1 접속측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들의 콘택팅부들,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콘택팅부들, 및 상기 제 2 콘택트의 콘택팅부는 서로 떨어져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장착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측을 가지고, 제 2 접속측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들의 단자부들 및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단자부들은 상기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은 거리로 제 1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콘택트의 단자부는 상기 제 1 열과는 상이한 제 2 열에 배열되는, 커넥터.
  2. 장착 대상물에 장착되고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2 개의 제 1 콘택트들, 및 상기 2 개의 제 1 콘택트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2 개의 제 1 콘택트들의 양측에 각 측에 하나씩 배열되는 2 개의 접지 콘택트들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및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중 인접한 레인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콘택트들, 상기 접지 콘택트들, 및 상기 제 2 콘택트 각각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될 콘택팅부, 및 장착 대상물에 접속될 단자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콘택트들 각각은 L > (λ/20) 을 충족하는 파장 (λ) 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고속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콘택트이고, 여기서 L 은 상기 콘택팅부로부터 상기 단자부까지의 상기 제 1 콘택트의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콘택트는, 전송될 신호가 M > (λ/20) 을 충족하는 파장 (λ) 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콘택트이고, 여기서 M 은 상기 콘택팅부로부터 상기 단자부까지의 상기 제 2 콘택트의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측을 가지고, 제 1 접속측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들의 콘택팅부들,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콘택팅부들, 및 상기 제 2 콘택트의 콘택팅부는 서로 떨어져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장착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측을 가지고, 제 2 접속측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들의 단자부들 및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단자부들은 상기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은 거리로 제 1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콘택트의 단자부는 상기 제 1 열과는 상이한 제 2 열에 배열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콘택트의 양측에 배열되는 상기 접지 콘택트들의 상기 단자부들은 서로 조합되어서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들 및 상기 접지 콘택트들 각각은, 상기 제 1 콘택트들 및 상기 접지 콘택트들 중 인접한 콘택트들 사이의 거리를, 상기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로부터 상기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로 변경하기 위한 거리 변경부를 가지고;
    상기 거리 변경부는, 상기 콘택팅부들 및 상기 단자부들 각각의 폭보다 더 넓은 콘택트 폭을 가지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각각은,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의 2 개의 제 1 콘택트들 사이의 평면에 대해 대칭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콘택트들은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 사이에 배열된 상기 제 2 콘택트들은, 상기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콘택팅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 및 상기 제 2 열은 서로 평행한,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트는, 제어 신호 콘택트, 전력 공급 콘택트, 접지 콘택트, 또는 상기 고속 차동 신호 레인들에 속하지 않는 신호 전송 콘택트 중 하나인,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함으로써 고속 차동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신호 전송 방법.
KR1020130141199A 2013-02-18 2013-11-20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KR101571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9400 2013-02-18
JP2013029400A JP5986012B2 (ja) 2013-02-18 2013-02-18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827A true KR20140103827A (ko) 2014-08-27
KR101571607B1 KR101571607B1 (ko) 2015-11-24

Family

ID=5131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199A KR101571607B1 (ko) 2013-02-18 2013-11-20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93792B2 (ko)
JP (1) JP5986012B2 (ko)
KR (1) KR101571607B1 (ko)
CN (1) CN103996933B (ko)
TW (1) TWI5300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967A (ko) * 2015-01-11 2021-05-06 몰렉스 엘엘씨 회로 기판 바이패스 조립체 및 그를 위한 구성요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1050B2 (en) 2011-02-23 2015-02-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JP6114675B2 (ja) * 2013-10-24 2017-04-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TWI607609B (zh) * 2014-03-24 2017-12-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插頭電連接器
CN106299890B (zh) * 2015-06-09 2018-11-16 东莞莫仕连接器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106329164B (zh) * 2015-07-01 2018-09-14 东莞莫仕连接器有限公司 线缆连接器
WO2017123574A1 (en) 2016-01-11 2017-07-20 Molex, Llc Routing assembly and system using same
CN108075276B (zh) * 2016-11-11 2020-01-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6423060B2 (ja) 2017-09-21 2018-11-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650910B (zh) * 2017-11-24 2019-02-11 維將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JP7044531B2 (ja) 2017-12-06 2022-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TWM567970U (zh) * 2018-04-27 2018-10-01 正崴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導電端子
JP7137349B2 (ja) * 2018-04-27 2022-09-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04385B2 (ja) 2018-09-14 2023-0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実装体
CN109390803B (zh) 2018-10-09 2020-10-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6619495B2 (ja) * 2018-10-12 2019-12-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0336162B (zh) * 2019-06-21 2020-12-22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1663236S (ko) * 2020-02-14 2020-07-06
CN111430955B (zh) * 2020-03-27 2021-11-0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线缆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2880C (zh) * 2001-06-11 2006-04-19 莫莱克斯公司 高密度阻抗调协连接器
JP2005149770A (ja) 2003-11-11 2005-06-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551868B2 (ja) * 2005-12-28 2010-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930846B1 (ko) * 2006-07-14 2009-12-1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전기적 구성요소
JP4439540B2 (ja) * 2006-07-14 2010-03-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71444B2 (ja) * 2008-02-20 2011-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282731B (zh) * 2008-11-14 2015-10-21 莫列斯公司 共振修正连接器
JP5342943B2 (ja) 2009-06-29 2013-11-13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US7883371B1 (en) * 2009-07-22 2011-02-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footprints
JP5009388B2 (ja) * 2010-02-18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電子機器
US8951050B2 (en) * 2011-02-23 2015-02-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JP5871552B2 (ja) * 2011-10-11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コンタクト群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967A (ko) * 2015-01-11 2021-05-06 몰렉스 엘엘씨 회로 기판 바이패스 조립체 및 그를 위한 구성요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35108A1 (en) 2014-08-21
CN103996933A (zh) 2014-08-20
US9093792B2 (en) 2015-07-28
JP2014157790A (ja) 2014-08-28
KR101571607B1 (ko) 2015-11-24
TWI530029B (zh) 2016-04-11
JP5986012B2 (ja) 2016-09-06
CN103996933B (zh) 2016-04-13
TW201436378A (zh)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607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JP6648185B2 (ja) インピーダンス制御電気コネクタ
US977411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layered circuit board
EP1239552B1 (en) Connector having signal contacts and ground contacts in a specific arrangement
US7824193B2 (en) Connector
KR101123524B1 (ko) 전기 커넥터
US8894451B2 (en)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US7651379B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US7500871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jogged contact tails
KR101944379B1 (ko) 차폐를 제공하는 플러그 커넥터
JP2010245041A (ja) 電気コネクタ
JP2010153242A (ja) 多極コネクタ
JP2010073436A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高速伝送コネクタ用プラグ、および、高速伝送コネクタ用ソケット
US9711912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insulative member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KR20120112497A (ko) 기판실장 커넥터
US9570858B2 (en) Connector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same
US8647151B2 (en) Contact unit a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TW200841540A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JP2012174597A (ja) 差動信号用コネクタ
JP2008041655A (ja) 多極プラグインコネクタ
WO2021075285A1 (ja) コネクタ
KR100827267B1 (ko)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2012174695A (ja) 導体板及び差動信号用コネクタ
JP2006114407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