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692A -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692A
KR20140103692A KR1020130017428A KR20130017428A KR20140103692A KR 20140103692 A KR20140103692 A KR 20140103692A KR 1020130017428 A KR1020130017428 A KR 1020130017428A KR 20130017428 A KR20130017428 A KR 20130017428A KR 20140103692 A KR20140103692 A KR 2014010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vaporator
platform
corner casting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635B1 (ko
Inventor
이민석
김윤희
Original Assignee
터보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터보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터보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6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감압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에 있어서, 개방된 상면을 가지는 직육면체로 구비되고, 상기 개방된 상면의 구석 각각에 위치되며 제1 끼움홈이 형성된 제1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압축기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감압장치가 고정 설치되는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사각의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코너 캐스팅과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제2 끼움홈이 형성된 제2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을 가지며, 상면에 상기 응축기가 고정 설치되는 플랫폼 컨테이너(PLATFORM CONTAINER); 및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상기 제1 코너 캐스팅과 상기 제2 코너 캐스팅이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보냉동기의 제조자가 고객에게 터보냉동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기계실로 전용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설치 공수가 감소되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CONTAINOR PACKAGED TURBO CHILLER}
본 발명(Disclosure)은 전체적으로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보냉동기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를 기계실로 이용한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공기조화 및 냉동시스템에서 냉방 또는 항온항습을 위하여 냉동기(Chiller)에서 저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고열원으로 열을 운반, 방출하는 프레온 냉매(Freon Refrigerant)를 이용한 압축식 냉동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압축식 냉동기는 그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예: HFC-134a(CH2FCF3)가 증발기(Evaporator)에서 저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압축기(Compressor)를 거쳐 응축기(Condenser)에서 고열원으로 열을 버린 후 감압장치(팽창밸브(Expansion Valve) 또는 오리피스)를 거쳐 다시 증발기로 되돌아가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며 이때 증발과정에서 냉각이 필요한 유체가 냉각된다.
이러한 과정(Cycle)을 위해, 압축식 냉동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감압장치(팽창밸브 또는 오리피스)를 필요한 주요 기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 2단압축 냉동기의 경우 이코노마이저(Economizer)가 추가되기도 한다.
터보냉동기(Centrifugal Chiller라고도 불림)는 압축기로 터보 임팰러(Turbo Impeller)가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응축기에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수냉식 쿨링타워 또는 순환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공냉식 응축기가 실외에 설치되고, 터보냉동기는 빌딩, 공장, 창고와 같은 대단위 건축물의 냉방에 주로 사용된다.
통상 건축물에는 터보냉동기의 설치를 위한 기계실을 필요로 하는데, 기계실은 건축물 내부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여 설치하거나 별도로 건축된 구조물을 이용한다.
따라서 터보냉동기의 설치를 위해서는 건축물 내부 공간 일부를 기계실로 구획하여 사용함으로써 건축물 내부의 공간 사용의 비효율성을 증가시키거나, 별도의 시간과 비용을 들여 건축물을 시공하여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터보냉동기의 제조자는 고객에게 터보냉동기를 공급하기 위해, 운송 파레트(Pallet), 컨테어너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고, 기계실에 설치를 위해 파레트 또는 컨테이너로부터 터보냉동기를 하역 또는 기계실 통로등이 협소할 경우에는 각 부품(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감압장치 등)을 하역하여 기계실 내부에서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공냉식 응축기의 경우 기계실 외부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그것의 운반을 위해 별도의 운송 파레트 또는 컨테이너를 필요로 하며, 하역 및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수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는 터보냉동기의 운송과 설치가 별도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자원과 공수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운송과 설치 공정에서 발생 되는 비효율을 제거한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감압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에 있어서, 개방된 상면을 가지는 직육면체로 구비되고, 상기 개방된 상면의 구석 각각에 위치되며 제1 끼움홈이 형성된 제1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압축기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감압장치가 고정 설치되는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사각의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코너 캐스팅과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제2 끼움홈이 형성된 제2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을 가지며, 상면에 상기 응축기가 고정 설치되는 플랫폼 컨테이너(PLATFORM CONTAINER); 및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상기 제1 코너 캐스팅과 상기 제2 코너 캐스팅이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끼움홈에 후크결합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너트부를 일단에 가지는 제1 후크부재; 상기 제2 끼움홈에 후크결합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너트부를 일단에 가지는 제2 후크부재; 및 상기 제1 너트부과 상기 제2 너트부에 양단이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랫폼 컨테이너가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와 상기 플랫폼 컨테이너의 하면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와 상기 플랫폼 컨테이너의 하면 테두리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타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차폐부재 고정돌기;로서, 상기 차폐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차폐부재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 및 상기 플랫폼 컨테이너는 ISO 규격에 부합하는 규격품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며,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요철(凹凸)을 가지는 철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공냉식 응축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배관연결되어 상기 증발기로 열교환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냉수펌프(Chilled Water Pump)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그 바닥면을 통한 액상의 유체 이동이 제한되도록 그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판상부재로 구획형성된 구획공간을 더 가지며, 상기 냉수펌프는 상기 구획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일 예에 의하면, 터보냉동기의 제조자가 고객에게 터보냉동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기계실로 전용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설치 공수가 감소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일 예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다른 예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2 및 도 4에서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 및 플랫폼 컨테이너의 결합 예를 보인 도면 및
도 7은 도 2 및 도 4에서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 및 플랫폼 컨테이너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이 차폐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일 예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다른 예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100)는 내부에 압축기(131)와 증발기(137) 및 감압장치(135)가 고정 설치되는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 OPEN TOP CONTAINER) 및 응축기(133)가 고정 설치되는 플랫폼 컨테이너(120, PLATFORM CONTAINER)와, 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로, 증발기(137)의 수냉식 열교환을 위해 물(Chilled Water)을 순환시키는 공급하는 냉수펌프(1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보냉동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C)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131), 응축기(133), 증발기(137) 및 감압장치(135)가 하나의 사이클(Cycle)을 이루도록 배관연결되어 구비된다.
압축기(131)는 터보 임팰러(Turbo Impeller)가 적용된 압축기가 사용된다. 또한 증발기(137)는 쉘-튜브형의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감압장치(135)는 팽창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응축기(133)는 공냉식 응축기(Air-cooled Condenser)가 사용된다.
공냉식 응축기는 냉동용량에 따라 도 2과 같이 일자형으로 구비되거나, 도 4와 같이 'V'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압축기(131), 증발기(137) 및 감압장치(135)는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공냉식 응축기(133)는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추가로 구비되는 제어유닛(C)과 냉수펌프(139)도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압축기(131), 증발기(137), 감압장치(135), 제어유닛(C) 및 냉수펌프(139)가 설치된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와 응축기(133)가 설치된 플랫폼 컨테이너(120)를 개별적으로 운송하고,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를 설치장소에 하역한 후,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개방된 상면에 플랫폼 컨테이너(120)를 결합시키고, 응축기(133)를 압축기(131) 및 감압장치(135)에 배관 연결시키는 것으로 본 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냉수펌프(139)의 일단은 고객 등이 별도로 설치된 공조기기에 배관 연결된다.
즉, 본 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100)에 의하면, 운송 후 설치를 위해 압축기(131), 증발기(137), 감압장치(135), 냉수펌프(139), 제어유닛(C) 및 응축기(133)의 분리, 이송 및 설치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설치 공수가 감소 되며, 그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획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특히 창고 등과 같이 공간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한 경우 더욱 그러하다. 또한 수출의 경우에는 공간사용의 효율성 및 설치공수의 감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는 개방된 상면을 가지는 직육면체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ISO 규격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외로 운송되는 경우 규격화된 컨테이너의 이용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20FT 또는 40FT 규격의 컨테이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냉동기의 용량 및 운송에 지장이 없는 경우 ISO 규격을 벗어나는 컨테이너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는 내부로 출입을 위한 출입구(1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설치된 압축기(131), 증발기(137) 및 감압장치(135), 그리고 냉수펌프(139), 제어유닛(C) 등이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치되는 여러 장치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내부 바닥면은 스프라이프 패턴모양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된 철재 판재로 구비되고, 설치되는 여러 장치들의 다리 또는 별도로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내부 바닥면의 요철 중 요(凹)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수펌프(139)로부터 물 또는 기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유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오염물질이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내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내부에는 그 바닥면을 통한 액상의 유체 이동이 제한되도록 그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판상부재(139s)로 구획형성된 구획공간(11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냉수펌프(139)는 구획공간(117)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는 개방된 상면의 네 개의 구석(corner)에 각각 제1 끼움홈(113a)이 형성된 제1 코너 캐스팅(113)(CORNER CASTING)이 구비된다.
코너 캐스팅은 컨테이너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컨테이너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적재할 때, 컨테이너 간의 충돌로 컨테이너의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벽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플랫폼 컨테이너(120)는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사각의 판상으로 구비되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제1 코너 캐스팅(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2 끼움홈(123a)이 형성된 제2 코너 캐스팅(123)이 구비된다.
플랫폼 컨테이너(120)는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와 같이 ISO 규격에 부합하는 규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와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결합은 각각에 형성된 제1 코너 캐스팅(113)과 그에 대응되는 제2 코너 캐스팅(123)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상면에는 응축기(133)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설치된 응축기(13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상면은 스프라이프 패턴모양으로 요철(凹凸)이 형성된 철재 판재로 구비되며 응축기(133)의 다리 또는 고정 브라켓이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상면의 요철 중 요(凹)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150)는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제1 코너 캐스팅(113)과 제2 코너 캐스팅(123)에 동시에 결합되어 양자를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 및 도 4에서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 및 플랫폼 컨테이너의 결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에 있어서, 결합부재(150)는, 제1 후크부재(151)와 제2 후크부재(152) 및 이들과 동시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53)를 포함한다.
제1 후크부재(151)는, 제1 코너 캐스팅(113)에 형성된 제1 끼움홈(153a)에 후크결합되는 일단과,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너트부(152b)를 가지는 타단으로 형성된다.
제2 후크부재(152)는, 제1 후크부재(151)와 같이 제2 코너 캐스팅(123)에 형성된 제2 끼움홈(123a)에 후크결합되는 일단과,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너트부(152b)를 가지는 타단으로 형성된다.
볼트부재(153)는 환봉의 형상을 가지며 양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다. 볼트부재(153)는 스터드볼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부재(153)의 양단에는 제1 너트부(152b)와 제2 너트부(152b)가 각각 결합되며, 볼트부재(153)의 회전에 의해 제1 너트부(152b)와 제2 너트부(152b)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한편, 규격화된 컨테이너에서 코너 캐스팅은 컨테이너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구비되는데, 코너 캐스팅이 컨테이너의 벽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예와 같이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제1 코너 캐스팅(113)과,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제2 코너 캐스팅(123)을 결합시키는 경우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측단과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상단 사이에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된 슬릿(140)이 발생되게 된다.
슬릿(140)은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계실 내부 단열에 어려움이 있고 그것은 냉동 효율의 감소로 이어지므로, 슬릿(140)을 차폐하는 차폐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도 7은 도 2 및 도 4에서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 및 플랫폼 컨테이너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이 차폐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예에 있어서, 슬릿(140)은 플랫폼 컨테이너(120)가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개방된 상면의 측단, 즉 상면의 테두리와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측단, 즉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하면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슬릿(140)을 차폐하는 차폐부재(141)가 더 구비된다.
차폐부재(14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라면 제한이 되지 않으며, 고무부재 또는 합성수지 부재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본 예에 있어서, 차폐부재(141)의 고정을 위해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개방된 상면 측단 또는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측단에 형성되며 타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차폐부재 고정돌기(143)가 더 구비된다.
한편, 본 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감압장치 및 쿨링타워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3)는 수냉식 응축기로 구비되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110)의 내부에는 압축기(131), 증발기(137) 및 감압장치(135)와 함께 응축기(133)가 설치되고, 추가로 냉수펌프(139) 및 제어유닛(C)이 설치되며, 플랫폼 컨테이너(120)의 상면에는 쿨링타워가 설치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예와 차이를 가진다. 한편,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감압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에 있어서,
    개방된 상면을 가지는 직육면체로 구비되고, 상기 개방된 상면의 구석 각각에 위치되며 제1 끼움홈이 형성된 제1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압축기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감압장치가 고정 설치되는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사각의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코너 캐스팅과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제2 끼움홈이 형성된 제2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을 가지며, 상면에 상기 응축기가 고정 설치되는 플랫폼 컨테이너(PLATFORM CONTAINER); 및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상기 제1 코너 캐스팅과 상기 제2 코너 캐스팅이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끼움홈에 후크결합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너트부를 일단에 가지는 제1 후크부재;
    상기 제2 끼움홈에 후크결합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너트부를 일단에 가지는 제2 후크부재; 및
    상기 제1 너트부과 상기 제2 너트부에 양단이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컨테이너가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와 상기 플랫폼 컨테이너의 하면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와 상기 플랫폼 컨테이너의 하면 테두리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타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차폐부재 고정돌기;로서, 상기 차폐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차폐부재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 및 상기 플랫폼 컨테이너는 ISO 규격에 부합하는 규격품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며,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요철(凹凸)을 가지는 철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공냉식 응축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배관연결되어 상기 증발기로 열교환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냉수펌프(Chilled Water Pump)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천정 개방형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그 바닥면을 통한 액상의 유체 이동이 제한되도록 그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판상부재로 구획형성된 구획공간을 더 가지며,
    상기 냉수펌프는 상기 구획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KR1020130017428A 2013-02-19 2013-02-19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KR10143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428A KR101437635B1 (ko) 2013-02-19 2013-02-19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428A KR101437635B1 (ko) 2013-02-19 2013-02-19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92A true KR20140103692A (ko) 2014-08-27
KR101437635B1 KR101437635B1 (ko) 2014-09-05

Family

ID=5174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428A KR101437635B1 (ko) 2013-02-19 2013-02-19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7158A (zh) * 2017-05-08 2017-07-07 连云港大开瀛州工艺品有限公司 易挥发液体产品储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425B1 (ko) * 2020-12-01 2023-03-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컨테이너 체결 장치
KR102640480B1 (ko) 2022-06-13 2024-02-23 강인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6U (ja) * 1992-06-05 1994-01-14 コマツ物流株式会社 冷蔵装置付きボックス
JPH10157792A (ja) * 1996-11-29 1998-06-16 Daikin Ind Ltd コンテナ用冷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7158A (zh) * 2017-05-08 2017-07-07 连云港大开瀛州工艺品有限公司 易挥发液体产品储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635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9189B2 (en) Refrigerator
US20160138836A1 (en) Multi-compartment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evaporator isolation valve
US20100024439A1 (en) Cooling Device
KR101317284B1 (ko)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US20120085123A1 (en) Refrigeration module and refrigeration system
KR101437635B1 (ko) 컨테이너 일체형 터보냉동기
EP2951512B1 (en) Multi-compartment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economizer
US20160334142A1 (en) Adaptive control of multi-compartment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US10408523B2 (en) Component mounting in an integrated refrigerated container
CA2922269C (en) Modular low charge hydrocarbon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60058207A1 (en)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 common air plenum
US20160200505A1 (en) Refrigerated container assembly
KR200341847Y1 (ko) 복수의 증발기에 의한 구획공간별 개별 온도제어가가능한 냉동탑차
JP6071174B2 (ja) 冷蔵庫
KR20080000753U (ko) 냉각실을 갖는 쇼케이스
EP1800076B1 (en) Refrigerator
US20170343255A1 (en) Multi-circuit cooling element for a refrigeration system
JP2016223748A (ja) 冷凍装置
JP2003207250A (ja) 冷蔵庫
CN210772906U (zh) 一体式制冷机组及冷藏车
JP2002286360A (ja) コンテナ用冷凍ユニットおよびそれに用いる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
KR102322906B1 (ko) 냉동 컨테이너
JPH0694343A (ja) コンテナ用冷凍ユニット
JP2021139567A (ja) 輸送用冷凍装置、及び輸送用コンテナ
JP2977387B2 (ja) 輸送用冷凍ユニットにおけるコンプレッサ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