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601A -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601A
KR20140103601A KR1020130017179A KR20130017179A KR20140103601A KR 20140103601 A KR20140103601 A KR 20140103601A KR 1020130017179 A KR1020130017179 A KR 1020130017179A KR 20130017179 A KR20130017179 A KR 20130017179A KR 20140103601 A KR20140103601 A KR 2014010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silver
nanowires
silver salt
silver nano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580B1 (ko
Inventor
왕태준
이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든
Priority to KR102013001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58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00Compounds of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01P2004/16Nanowires or nanorods, i.e. solid nanofibres with two nearly equal dimensions between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투명전극 소재로서 요구되는 직경과 길이를 만족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은, (a) 상기 은염과 상기 폴리올 용매를 포함하는 제1용액과, 상기 캡핑시약, 상기 할로겐 촉매 및 상기 폴리올 용매를 포함하는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용액에 상기 제1용액을 혼합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부터 금속 환원력 제어를 통해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 및 장축단비를 제어함으로써 플렉시블한 투명도전막으로서 요구되는 평균 30nm 이하의 직경, 25~35㎛의 길이를 갖고, 높은 장축단비를 갖는 은 나노와이어를 투입되는 은염의 90몰% 이상으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SILVER NANOWIRE}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투명전극 소재로서 요구되는 직경과 길이를 만족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분야 및 태양전지 산업의 급속한 발달와 함께 투명도전막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현재 투명전극소재로 ITO(Indium Tin Oxide), CNT, Graphen, ZnO, PEDOT 등 다양한 소재가 개발되어 있고, 양산기술 및 용도에 대한 적합성으로 인해 이중 ITO가 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ITO 전극은 전극층의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용 투명전극으로 사용하기 쉽지 않고, 또한 ITO 전극은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원재료인 인듐(In)은 중국이 과점하고 있고 공급량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커다란 가격상승요인 가지고 있다.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수요가 증대되며 제조원가절감에 대한 시장요구가 커지면서 ITO 투명전극을 대체하기 위한 소재의 필요성이 적극 대두되어지고 있다. ITO 투명전극을 대체할 수단으로 은이 갖는 양호한 전기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을 지닌 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투명전극소재가 개발되고 있다.
새로운 투명전극소재로서 은 나노와이는, 금속 중에서 그 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가 매우 좋은 은의 특징과 나노와이어의 아주 작은 치수로 인해 나타나는 광학적 특성인 투명성까지 더해져 투명도전막을 제조하기 위한 전극소재이다. 이러한 은 나노와이어는 향후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 광학필터, 전자차폐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태양전지, LCD(liquid crystal display),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EL 키패드 등 전기, 자기, 광학 소자 및 센서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은 나노와이어가 다양하게 응용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응용되어지는 분야에서 요구하는 직경, 길이 및 장단축비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크기 편차를 작게 제어하며 완화된 조건으로 대량생산하는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
투명도전막은 가시광 영역(380~780㎚ 파장)에서 투명하고,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전극을 의미하며 최근 투명도전막의 광투과도와 면저항에 대한 요구조건이 강화되어지고 있다. 광투과도는 90%이상, 면저항은 150Ω/□ 이하가 요구된다.
나노와이어의 길이, 직경 및 장축단비는 전기전도도, 광투과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길이가 긴 나노와이어일수록 투명도전막의 목표하는 전도성을 획득하는데 보다 적은 나노와이어가 필요하므로, 더 높은 장축단비를 갖는 나노와이어가 유리하다. 또한 직경이 작은 나노와이어일수록 더 높은 광투과도와 더 낮은 헤이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은 나노와이어를 대규모로 제조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은 일명 '폴리올 공정 (polyol process)'이라고도 하는 액상화학법인데, 폴리올 용매에 캡핑 시약, 할로겐 촉매, AgNO3 등으로 전구체용액을 혼합 후 가열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폴리올 공정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논문과 특허가 알려져 있다.
- Sun, Y. et al., (2002) Science, 298, 2176; Sun, Y. et al., (2002) Nano Lett. 2, 165; Sun, Y. et al, (2002) Adv. Mater. 14, 833; Kim, F. et al., (2004) Angew. Chem. Int. Ed. 1 16, 3759
- 미국 공개특허출원 제2005/0056118호
이러한 폴리올 공정은, 폴리 비닐 피롤리돈(이하, 'PVP')의 존재하에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과 같은 폴리올에 의해 은염를 환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환원 공정은 160℃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이때 폴리올은 일반적으로 용매뿐만 아니라 환원제로서의 이중 기능을 가진다.
은염은 폴리올 용매에 의해 용액 상에서 은 원자로 환원된다. 일반적으로, 은 원자는 초기에 균질한 핵생성 과정을 통해 시드(Seed)를 형성한다. 이 시드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5nm인 결정체이다. 이들 시드 중 일부는 용액 상에서 성장을 계속하여 등방성 나노구조체들(나노 입자)을 형성한다. 나노입자는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성장이 진행된 결과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부 시드는 이방성 나노구조체들(나노튜브, 나노로드, 나노벨트, 나노와이어 등)로 성장하고, 이는 측면 방향을 따라 우선적으로 성장한 결과이다.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 및 길이는 PVP와 은염의 종류 및 상대적 양, PVP와 은염의 농도, 할로겐 촉매의 종류와 농도, 반응 시간 및 반응 온도를 포함하는 여러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상술한 폴리올 공정의 공통된 문제점은 은 나노와이어 이외에 은 나노입자, 은 나노벨트 등 여러 형상을 가진 나노구조체들의 혼합물이 수반되어 생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순수 은 나노와이어를 얻기 위해서는 정제 단계가 필요하다. 또한 길이가 길고 직경이 작으며 장단축비가 큰 은 나노와이어를 생성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AgNO3 은염을 이용한 폴리올 공정에 의한 경우, 반응 초기 과도한 은 핵의 생성되고, 과도하게 생성된 은 핵이 용해된 은 이온과 결합하여, 은 나노와이어가 일정 방향으로 성장하는 것을 저해함에 따라,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이 크고 길이가 짧아 플렉시블 투명도전막의 전극소재로서 요구되는 광투과도와 헤이즈, 전기전도도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은, 반응 초기 과도한 은 핵 생성을 조절함으로써 은 나노와이어의 성장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AgNO3 를 대체하는 다른 은염을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은, 은염, 폴리올 용매, 캡핑 시약, 할로겐 촉매를 혼합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은염은 Agx(EDTA), AgClO4, Ag(pyridine)2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a) 상기 은염과 상기 폴리올 용매를 포함하는 제1용액과, 상기 캡핑시약, 상기 할로겐 촉매 및 상기 폴리올 용매를 포함하는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용액에 상기 제1용액을 혼합한 반응 혼합 용액으로부터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올 용매는,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혼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핑 시약은, PVP K90, PVP K30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혼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할로겐 촉매는, AgCl, KBr, SnCl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혼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응 혼합 용액을 기준으로, 상기 은염은 0.01M 내지 0.2M이고, 상기 캡핑 시약은 0.01M 내지 1M이고, 상기 할로겐 촉매는 0.001M 내지 0.5M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할로겐 촉매는 상기 은염과의 상대적 몰비가 0.1~30%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2용액은 50 내지 200℃로 가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1용액의 부피를 기준으로 0.1 내지 2 부피%/sec로 제2용액에 점적 투입한다.
본 발명의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에 의하면, 은염으로서 Agx(EDTA), AgClO4, Ag(pyridine)2 를 사용함에 따라 금속 환원력 제어를 통해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 및 장축단비를 제어함으로써 플렉시블한 투명도전막으로서 요구되는 평균 30nm 이하의 직경, 25~35㎛의 길이를 갖고, 높은 장축단비를 갖는 은 나노와이어를 투입되는 은염의 90몰% 이상으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2는 각각 실시예 1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3, 4는 각각 실시예 2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5, 6은 각각 실시예 3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7, 8은 각각 비교예 1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9, 10은 각각 비교예 2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은, 은염, 폴리올 용매, 캡핑 시약, 할로겐 촉매를 혼합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은염으로서 Agx(EDTA), AgClO4, Ag(pyridine)2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을 높이고, 목표하는 직경과 길이 및 장축단비를 얻기 위하여 적합한 폴리올용매, 은염, 촉매, 캡핑 시약을 선택하였고, 반응 농도,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한다.
"은염"은 양전하를 띠는 은 이온과 음전하를 띠는 카운터이온을 갖는 중성 화합물을 말한다. 카운터이온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은염은, Agx(EDTA) 또는 AgClO4 또는 Ag(pyridine)x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은염은 환원 용매(예: 폴리올)에 용해되어 반대 전하를 띠는 금속 이온과 카운터이온으로 분해된다. 반응 혼합물 중 은염의 환원으로 은이 생성되며 이 은은 결정화되거나 나노와이어들로 성장한다.
"캡핑 시약"은 나노와이어의 횡단면 표면이 결정화될 수 있도록 성장 나노와이어의 측면 표면과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이에 부착되는 화학적 제제를 말한다. 이 캡핑 시약은 횡단면 표면과 상호작용하는 것보다 더 강하게 측면 표면과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측면 표면은 부동태화되는 반면, 횡단면 표면은 추가의 결정화에 이용되어 나노와이어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캡핑 시약은,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PVP K90, PVP K30, PVP K90/PVP K30의 혼합 시약이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 용매"는 은염, 할로겐 촉매 및 캡핑 시약이 용해되는 극성 용매를 말한다. 추가로, 폴리올 용매는 환원제로서 기능하여 은염을 원소 금속으로 변형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환원 용매는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화학적 시약이다. 이러한 폴리올 용매는,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 용매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등을 단독 또는 임의로 혼합한 것이다.
"할로겐 촉매"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 첨가제를 말한다. 양이온 및 음이온은 이온 결합되고, 물, 알코올, 디올 및 폴리올(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롤 및 글루코스를 포함)과 같은 극성 용매 중에 이온으로 분리된다. 이때 양이온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일 수 있다. 음이온은 일반적으로 무기물이며, 할로겐 이온(Cl-, Br-, F- 등)을 포함한다. 촉매제의 존재로 인해 이방성 나노구조체들이 우선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이로써 상대적으로 고수율 및 상대적으로 높은 단분산도를 가진 나노와이어들이 수득된다. 이러한 할로겐 촉매는, AgCl, KBr, SnCl 등과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상술한 반응 혼합물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먼저 은염과 폴리올 용매를 포함하는 제1용액과, 캡핑시약, 할로겐 촉매 및 폴리올 용매를 포함하는 제2용액을 준비한다.
제1용액은 20 내지 160℃의 폴리올 용매(예: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중에 은염을 혼합하여 구성한다. 제2용액은 폴리올 용매 중에 PVP, 할로겐 촉매를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구성한다.
이때 제1, 제2용액의 구성요소들의 농도는 나노구조체들의 형성 및 이의 수율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은 나노와이어의 최적의 수율을 위해 반응 혼합물 중 은염, PVP, 할로겐 촉매의 농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은염은 0.01M 내지 0.2M, 바람직하게는 0.05M 내지 0.1M이다. PVP의 농도는 0.01M 내지 1M, 바람직하게는 0.1M 내지 0.7M이다. 은염이 너무 많은 경우 은 나노와이어가 급격히 성장하여 직경이 커지고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너무 적은 경우 은 파티클이 급격히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할로겐 촉매의 농도는 0.001M 내지 0.5M, 바람직하게 0.01M 내지 0.3M에서 침전을 피할 수 있다. 할로겐 촉매가 너무 많은 경우 은 파티클이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너무 적은 경우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가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할로겐 촉매는 은염과의 상대적 몰비가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이다. 상대적 몰비가 작은 경우 은 나노와이어가 급격히 성장하여 직경과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너무 큰 경우 은 파티클이 대량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b) 다음으로 제2용액을 50 내지 200℃로 가열한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40℃로 가열하면서 교반한다.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은 나노와이어 성장에 저해 요소가 되어 은 파티클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너무 높은 경우 급격한 성장으로 직경과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제2용액의 온도는 후술하는 혼합 단계에서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 및 길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c) 다음으로 제2용액의 가열 상태를 유지하면서 에 제1용액을 혼합하여 반응 혼합 용액 중에서 은 나노와이어를 생성한다.
이때, 가열된 제1용액의 부피(V1)를 기준으로 0.1 내지 2 부피%/sec로 제2용액에 점적 투입하면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 시간과 교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 및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투입 속도가 너무 낮은 경우 은 타티클이 대량 생성되는 문제가 있고, 너무 높은 경우 은 파티클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반응 시간은 2 내지 8시간으로 하고, 교반 속도는 20~300rpm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응 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 은 나노와이어의 생성 수율에 문제가 있고, 너무 긴 경우 생산 비용 증가 및 생산량에 문제가 있다.
(d) 마지막으로 반응이 종료된 반응 혼합물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1회 이상 아세톤과 초순수로 정제함으로써 은 나노와이어를 수득한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침으로서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은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수율은 은염 형성시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 은에 대하여 최종 수득된 은 나노와이어의 양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비교예와 대비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Agx(EDTA)(x=1,2,3,4) 2 g을 상온에서 에틸렌글리콜 70㎖에 용해시켜 제1용액을 제조하고, 300ml 반응기에 에틸렌글리콜 150mL를 넣고 가열을 시작하고 이 폴리올 용매에 폴리비닐피롤리돈 6g, NaCl 60mg을 첨가한 후 80~ 160℃에서 1시간여에 걸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녹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2용액을 130℃로 가열하고, 250 rpm으로 교반하면서 가열된 제2용액에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0.5 mL/sec의 속도로 제1용액을 점적 투입하였다.
제1용액의 첨가가 완료되고 5시간 후, 혼합된 용액의 색이 은회색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후, 반응이 종료된 용액에 과량의 아세톤 용매를 공급하여 침전을 형성시킨 후 분리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침강시키고 나서 용매을 버린 다음, 다시 아세톤을 공급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재분산 시킨 후에 용매를 버리는 과정을 2회 반복 수행하여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1, 2와 같다.
(실시예 2)
은염을 AgClO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수득한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3, 4와 같다.
(실시예 3)
은염을 Ag(pyridine)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실험하였고, 수득한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5, 6과 같다.
(비교예 1)
AgNO3 1.7g을 상온에서 에틸렌글리콜 70에 용해시켜 제1용액을 제조하고, 300ml 반응기에 에틸렌글리콜 150mL를 넣고 가열을 시작하고 이 폴리올 용매에 폴리비닐피롤리돈 6g, NaCl 60mg을 첨가한 후 80~ 160에서 1시간여에 걸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녹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2용액을 130로 가열하고, 250 rpm으로 교반하면서 가열된 제2용액에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0.5 mL/sec의 속도로 제1용액을 점적 투입하였다.
제1용액의 첨가가 완료되고 5시간 후, 혼합된 용액의 색이 은회색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후, 반응이 종료된 용액에 과량의 아세톤 용매를 공급하여 침전을 형성시킨 후 분리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침강시키고 나서 용매을 버린 다음, 다시 아세톤을 공급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재분산 시킨 후에 용매를 버리는 과정을 2회 반복 수행하여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7, 8과 같다.
(비교예 2)
AgNO3 1.7g을 상온에서 에틸렌글리콜 70에 용해시켜 제1용액을 제조하고, 300ml 반응기에 에틸렌글리콜 150mL를 넣고 가열을 시작하고 이 폴리올 용매에 폴리비닐피롤리돈 6g, KBr 60mg과 AgCl 0.35g 을 첨가한 후 80~ 160에서 1시간여에 걸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녹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2용액을 130로 가열하고, 250 rpm으로 교반하면서 가열된 제2용액에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0.5 mL/sec의 속도로 제1용액을 점적 투입하였다.
제1용액의 첨가가 완료되고 5시간 후, 혼합된 용액의 색이 은회색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후, 반응이 종료된 용액에 과량의 아세톤 용매를 공급하여 침전을 형성시킨 후 분리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침강시키고 나서 용매을 버린 다음, 다시 아세톤을 공급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재분산 시킨 후에 용매를 버리는 과정을 2회 반복 수행하여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나노와이어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9, 10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2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평균 직경과 평균 길이 및 장축단비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특성 비교
평균 직경 평균 길이 장축단비
실시예 1 24nm 30um 1250
실시예 2 27nm 30um 1110
실시예 3 28nm 25um 890
비교예 1 60nm 25um 415
비교예 2 45nm 20um 444
위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 2, 3, 비교예 2, 1 장축단비가 우수함으로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은나노와이어를 잉크로 제조하여 PET필름에 코팅한 후 헤이즈는 약 0.35%이었으며, 실시예 2의 은나노와이어는 0.34%, 실시예 3의 은나노와이어의 헤이즈는 약 0.43%였다. 비교예 2와 1의 헤이즈는 각각 0.8% 및 1.5%으로 직경이 얇고 종횡비가 클수록 우수한 헤이즈 값을 나타냈다.
부호 없음

Claims (9)

  1. 은염, 폴리올 용매, 캡핑 시약, 할로겐 촉매를 혼합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은염은 Agx(EDTA), AgClO4, Ag(pyridine)2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은염과 상기 폴리올 용매를 포함하는 제1용액과, 상기 캡핑시약, 상기 할로겐 촉매 및 상기 폴리올 용매를 포함하는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용액에 상기 제1용액을 혼합한 반응 혼합 용액으로부터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용매는,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 시약은, PVP K90, PVP K30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촉매는, AgCl, KBr, SnCl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혼합 용액을 기준으로, 상기 은염은 0.01M 내지 0.2M이고, 상기 캡핑 시약은 0.01M 내지 1M이고, 상기 할로겐 촉매는 0.001M 내지 0.5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촉매는 상기 은염과의 상대적 몰비가 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2용액은 50 내지 20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1용액의 부피를 기준으로 0.1 내지 2 부피%/sec로 제2용액에 점적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20130017179A 2013-02-18 2013-02-18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KR10144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79A KR101441580B1 (ko) 2013-02-18 2013-02-18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79A KR101441580B1 (ko) 2013-02-18 2013-02-18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778A Division KR20140104933A (ko) 2014-05-26 2014-05-26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KR1020140062780A Division KR20140104935A (ko) 2014-05-26 2014-05-26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KR1020140062779A Division KR20140104934A (ko) 2014-05-26 2014-05-26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01A true KR20140103601A (ko) 2014-08-27
KR101441580B1 KR101441580B1 (ko) 2014-09-23

Family

ID=5174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179A KR101441580B1 (ko) 2013-02-18 2013-02-18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5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6636A (ko) * 2014-12-26 2017-06-14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은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은 나노 와이어 및 상기 은 나노 와이어를 함유하는 잉크
KR20200098013A (ko) *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씨엔피솔루션즈 염화은 용액을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KR20210044042A (ko) * 2019-10-14 2021-04-2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염기성 용액 분사 공정을 통해 전도성이 향상된 투명 전도성 전극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10067217A (ko) * 2019-11-29 2021-06-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13 박테리오파지를 기반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20220083978A (ko) * 2020-08-19 2022-06-21 주식회사 디케이티 투명 전극 용액용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 방법
WO2022209613A1 (ja) * 2021-03-31 2022-10-06 昭和電工株式会社 銀ナノワイヤー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299B1 (ko) * 2008-11-18 2011-12-02 광 석 서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금속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1326952B1 (ko) * 2011-07-29 2013-11-13 주식회사 나노픽시스 나노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6636A (ko) * 2014-12-26 2017-06-14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은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은 나노 와이어 및 상기 은 나노 와이어를 함유하는 잉크
KR20200098013A (ko) *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씨엔피솔루션즈 염화은 용액을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KR20210044042A (ko) * 2019-10-14 2021-04-2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염기성 용액 분사 공정을 통해 전도성이 향상된 투명 전도성 전극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10067217A (ko) * 2019-11-29 2021-06-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13 박테리오파지를 기반으로 하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20220083978A (ko) * 2020-08-19 2022-06-21 주식회사 디케이티 투명 전극 용액용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 방법
WO2022209613A1 (ja) * 2021-03-31 2022-10-06 昭和電工株式会社 銀ナノワイヤ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580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80B1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US9655252B2 (en) Low haze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in et al. Effect of silver nitrate concentration of silver nanowires synthesized using a polyol method and their application as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CN102744417B (zh) 一种高长径比纳米银线的制备方法
JP5611220B2 (ja) イオン性液体を用いた金属ナノワイヤの製造方法
CN102303124A (zh) 一种pH值调节的溶剂热法制备高长径比纳米银线的方法
KR101554927B1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KR20140104935A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CN114029499B (zh) 一种超长纳米银线材料的制备方法
TW201816133A (zh) 使用有機自由基之超薄金屬奈米線的合成
KR20150097152A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CN113878127B (zh) 一种以格氏试剂为助剂辅助合成超细纳米银线的方法
KR101536633B1 (ko)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CN107841791B (zh) 单晶铟纳米线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KR101532578B1 (ko) 이온 액체를 이용한 초 미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필름의 제조방법
KR20160027564A (ko) 고압 폴리올 공법을 이용한 초미세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전극필름
KR20160117905A (ko) 광소결에 의한 구리 나노와이어 네트워크 형성용 조성물, 구리 나노와이어 네트워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전극
KR20140104934A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KR20140104933A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KR102313100B1 (ko) 은 나노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8584A (k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4183B1 (ko) 고압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전극 필름
Tran et al. Enhancement of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silver nanowire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by Ag coating
KR101200857B1 (ko) 브랜치드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전도성 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20210124954A (ko) 메탈 나노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