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401A -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401A
KR20140101401A KR1020147018112A KR20147018112A KR20140101401A KR 20140101401 A KR20140101401 A KR 20140101401A KR 1020147018112 A KR1020147018112 A KR 1020147018112A KR 20147018112 A KR20147018112 A KR 20147018112A KR 20140101401 A KR20140101401 A KR 20140101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seat
display device
support member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글라스 씨. 캠프벨
제임스 비. 프라이스
스티븐 지. 슐츠
데오도레 제이. 스토크스
에릭 비. 미샤락
요셉 에프. 프로스니에우스키
알란 지. 그리네
데이비드 피. 딤
준 케이. 리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4010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2360/143
    • B60K2360/14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5Back-rests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좌석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결합된 조정 기구와, 조정 기구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제공된다. 지지 부재는 머리 받침 뒤에서 그리고 머리 받침에 인접한 위치에서 좌석등받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외팔보형 빔 또는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식으로 수용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로드일 수 있다. 조정 장치는 전후방 경사 기구, 측방향 피봇 기구 및 상하 이송 기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 좌석 착석자를 위한 시야각을 좌석이 통상 조정 범위에 걸쳐서 최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SEATBACK ENTERTAINMENT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예를 들어, 승용차와 트럭 등 같은 자동차, 항공기, 선박, 열차, 버스 등)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좌석등받이와 머리 받침의 재배치에 대한 적응 또는 조절과, 차량 내의 관찰자를 위한 시야각의 최적화를 위한 목적의 광범위한 조정을 허용하는 하이-마운트 배열(high-mount arrangement)을 갖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좌석 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DVD 플레이어, 스피커, 광원[예를 들어, 환경등(ambient), 전용등(task), 독서등(reading) 등], 접속 용이성 포트, 헤드폰 잭(들), 보조 입력부(들), 무선 송신기/수신기 등 같은 매우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동차 같은 차량의 좌석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통상 좌석등받이의 일부 또는 좌석등받이의 머리 받침 부분에 장착 또는 고정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그러나 좌석등받이에 사용하기 위한 이런 공지된 디스플레이는 특정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경사진 위치와 직립 또는 전향 절첩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 같은) 좌석등받이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관찰되는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비최적 위치(less-than-optimum position)로 변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좌석등받이 또는 머리 받침 내에 장착되는 이런 공지된 디스플레이는 좌석등받이와 머리 받침의 높이(elevation)에 의해 결정되는 높이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높이는 좌석의 승객에 의해 좌석이나 머리 받침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공지된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은 제한적인 경향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찰하는 다양한 크기의 승객(예를 들어, 성인, 아동 등)에게 쉽게 적응할 수 없다. 다른 예로서, 공지된 좌석등받이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오프셋된 관계로 앉아 있는 디스플레이의 후방 좌석 관찰자(차량 내의 후방 좌석열의 "중앙"에 앉은 관찰자 같은)의 관찰 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측방향으로(side-to-side) 조정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록, 좌석등받이에 장착된 공지된 후방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는 약간의 조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런 조정 기능은 일반적으로 제한적이며,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공지된 좌석등받이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극복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석의 머리 받침 뒤쪽에서 좌석등받이의 상단부로부터 외팔보형으로 배치된 "하이 마운트" 배열을 갖는 차량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전방 및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게 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측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게 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향식 및 하향식으로 수직방향으로 병진할 수 있게 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석의 승객에 의한 좌석등받이 및/또는 머리 받침의 조정 범위에 대체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관찰자를 위해 필요한 시야각을 조절 또는 그에 적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가 경사, 피봇 또는 병진될 수 있게 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VD 플레이어, 스피커, 광원(예를 들어, 환경등, 전용등, 독서등 등), 접속 용이성 포트, 헤드폰 잭(들), 보조 입력부(들), 무선 송신기/수신기 등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석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구조체(예를 들어, 브래킷, 로드 쌍 등)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가동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를 고정식으로 통합하고, 머리 받침을 가동식으로 통합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들 중 하나 이상 또는 다른 유리한 특징을 갖는 차량용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좌석등받이 및 머리 받침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등받이 프레임을 갖는 차량 좌석을 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어 머리 받침 뒤쪽에서 머리 받침에 인접하게 연장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조정 장치는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정 기구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좌석등받이와 머리 받침을 구비한 차량 좌석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차량 좌석의 좌석등받이를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 프레임은 머리 받침 뒤쪽에서 좌석등받이 위로 연장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조정 장치가 제공되고, 조정 장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부분은 지지 부재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정 장치의 제2 부분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차량용 좌석은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된 좌석 저면 프레임과, 좌석등받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된 머리 받침을 포함한다. 지지 부재는 좌석등받이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머리 받침에 인접하게 연장한다. 조정 장치는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조정 장치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차량용 좌석은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된 좌석 저면 프레임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가 좌석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다. 본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스크린 부분은 복수의 관찰 위치 중 임의의 하나로의 이동을 위해 스크린 부분의 상단 에지를 따라 본체부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다. 머리 받침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부와 좌석등받이에 대한 지정된 조정 범위 내에서의 위치설정을 위해 지지 부재에 가동적으로 결합된다.
좌석등받이에 장착된 공지된 후방 좌석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는 약간의 조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런 조정 기능은 일반적으로 제한적이며,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에 반해, 본원 발명은 공지된 좌석등받이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극복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a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일 위치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2b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동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부분을 구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2c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함께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2d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동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부분과, 스크린 뒤쪽에 배치된 액세서리 물품(들)을 위한 격실 및 드라이브를 구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6a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6b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좌석등받이의 절첩을 가능하게 하도록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도6a의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8a 내지 도8d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머리 받침을 위한 로드로서 도시됨)와 일체화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1 내지 도7은 차량[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스포츠 다용도 차량(sport utility vehicle), 미니밴, 버스 등 같은 자동차, 항공기, 선박, 기차 등]에 사용하기 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이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예로서, 전방 좌석 뒤에 착석한 차량의 승객("관찰자")에 의한 관찰을 위해 차량의 전방 좌석의 좌석등받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되어 있다. 이런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우 다양한 크기, 형상, 구성요소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은 관찰자가 다른 좌석의 뒤에 착석하는 임의의 좌석(기차, 항공기, 버스 등 같은) 내에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이런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7을 참조하면, 차량을 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이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좌석등받이 프레임(20), 지지 부재(30), 조정 장치(40) 및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포함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도2a 내지 도4에 예로서 예시된 바와 같은 매우 다양한 부가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좌석등받이 프레임(20)은 매우 다양한 차량 중 임의의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좌석 프레임일 수 있다. 지지 부재(30)는 용접, 납땜(brazing), 나사형 체결구, 좌석등받이 프레임과의 일체 형성 등의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좌석등받이 프레임(20)의 상부(22)에 또는 대체로 그 부근에 장착(연결, 결합, 부착, 일체 형성 등)된 저단부(32)를 갖는 것으로 예시된다. 지지 부재(30)는 프레임의 일부가 좌석등받이에 부착된 머리 받침 뒤로 연장하도록 좌석등받이 프레임(20)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예를 들어, 측부, 배면부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도2a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30)는 디스플레이 장치(50)를 위한 "하이 마운트" 배열을 제공하도록, 좌석등받이 프레임(20)의 상부(22) 부근의 위치로부터 좌석등받이의 머리 받침(24)에 인접하게 머리 받침(24) 뒤쪽에서 상향 연장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지지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강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같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석등받이의 제조중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의 상단부(34)는 조정 장치(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이 조정 장치(40)는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상부로서 예시된 부분을 부착 지점에서 지지 부재(30)에 상호연결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플라스틱 코팅 또는 피복되어 있지만, 지지 부재는 도장(painted), 양극산화(anodized), 에폭시 코팅, 수지가공(plasticized), 비닐 코팅, 직물-외피형성, 가죽-외피형성 등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차량의 다른 내부 장식 특징부와 조화 또는 대비(필요에 따라)되도록 마감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 부재에 대해 "보관(stowed)" 위치에 있을 때(도1 내지 도2a 참조), 지지 부재(30)는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 뒤에 실질적으로 "가려진" 또는 은닉된 상태로 남아있도록 설계된 형상을 갖는 지지 부재(30)도 도시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드 마운티드(hard mounted)"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과 유사한 외관을 유지하지만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의 바람직한 조정 특징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집어넣어졌을 때 가시적인 상태로 남아 있도록 크기설정 및 성형될 수 있으며, 좌석등받이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어울리는 또는 대비되는 심미적 외관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30)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지지 부재가 받을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의도된 하중 시나리오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강도를 갖는 대체로 강성인 부재로서 예시되어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조정 기구 및/또는 지지 부재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특정 지정된 양을 초과하는 하중 또는 충격의 경우에(예를 들어, 사람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당기"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대"거나,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지지 부재에 응력을 부여하는 경우), "절첩" 또는 접혀지도록 설계된 복원가능한 "파괴 방지(break-free)"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기구(40)는 약 0° 내지 60°의 범위 같은 바람직한 조정 범위를 통해 전진-후진[예로서, 뒤집기(tipping), 기울임(tilting), 절첩(folding), 앞으로 당김, 뒤로 밈 등]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그리고, 도2a 내지 도4에 도시된 것들 같은 다른 구성요소)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보호가 필요할 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좌석등받이를 "절첩되어 평탄한" 위치로 이동시킬 때 등), 차량 좌석의 위치설정을 조절하도록 약 180°상향 피봇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조정 기구(40)는 약 0°내지 30°의 범위 같은 소정의 조정 범위에 걸쳐 측방향 이동[예를 들어, 피봇, 스윙(swinging), 활주 등] 방식(즉, 수직 축에 대한 회전)과, 상하 이동(예를 들어, 상승, 하강 등-도4 참조) 방식 및 측방향 이동 방식(도3 참조)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실질적으로 지지 부재 또는 조정 장치에 의해 형성된 평면을 따라(대략 지지 부재(30)의 높이에 상당하는 이동 거리를 따라) 병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정 기구는 특정 용례 또는 고객에 부합하도록 이들 조정 특징 중 단 하나(또는 특정 몇몇)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기구는 지지 부재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기계적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 연결부는 다른 위치에서의 사용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그리고, 그 연계된 구성요소)가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신속-분리 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및 그 연계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교체를 허용하기 위해 상호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조정 기구(40)는 소정의 운동 범위를 허용하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제품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 조정 특징을 위한 "토크 힌지" 또는 토크 와셔 또는 카운터 밸런스형 스프링 등 같은) "마찰 생성" 또는 "토크 저항" 상호작용부를 포함하거나, 소정의 특징 또는 특징들의 조합을 통합하도록 맞춤형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조정 기구는 관찰자에 의한 필요한 관찰 각도로의 조정 이후, 그리고, 관찰자에 의한 후속 재배치시까지, 소정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유지" 또는 "보유"하는 경향이 있는 "보유" 특징부(예로서, 점성 또는 마찰 계면(interface), 댐퍼, 스프링 보조 장치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유 특징부는 정상 사용 및 차량의 이동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보유 강도를 갖는다. 그러나, 보유 특징부의 강도는 승객 또는 차량 내의 다른 대상물과의 충격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해제"하기에 충분하게 낮아지도록,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리한 수동 조정을 허용하기에 충분하게 낮아지도록 설계된다. 조정 기구(40)의 수평축 피봇 특징 및 수직축 피봇 특징은 힌지, 핀-및-소켓, 베어링, 부싱 등 같은 임의의 적절한 회전 장치[예로서, 수평축 둘레에서의 조정을 위한 힌지(42)로서 예시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하 및 측방향 병진 조정 특징은 조정 기구(40)와 디스플레이 장치(50) 또는 지지 부재(30)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상호 연결된(또는 통합된) 활주부, 트랙, 레일 등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조정은 지지 부재(30) 내에 제공되어 조정 기구(40)로부터 연장하는 대응 돌출부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트랙(36)에 의해 제공된다(도7 참조). 측방향 조정은 조정 기구(40) 상의 힌지(42)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 또는 탭[탱(tang; 46)으로 예시됨]과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0) 상의 트랙(52)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도7 참조).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기구의 피봇/회전 특징부는 해제 기구(스프링-편의식 버튼, 레버, 래치 등)를 구비한 래칫 및 포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특징들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삽통식이고 관절식일 수 있게 하는 등의) 볼 및 소켓 장치, 점성 결합 장치, 연동 장치(linkage)와 같은 다른 적절한 장치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는 [예를 들어 "축소(miniature)" 크기 등의] 적절한 모터, 서보, 액추에이터 등을 통해 원격적으로 조정 가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상에서의 제어를 통해서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된 미디어 장치를 작동시키는 원격 제어부와 같은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기동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기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측방향 운동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기구 (또는 그 부착점)에는 예컨대, 보안을 목적으로 또는 (호텔 또는 다른 적절한 용도 또는 위치와 같이) 차량으로부터의 원격 사용을 위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는 신속-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신속 해제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제거를 최소화하기 위해 (키 등과 같은) 체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2b에 도시된 일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50)는 화상을 보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더 넓은 조정 범위를 허용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본체부(56)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크린부(54)를 포함하는 2부분의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스크린부(54)는 토크 힌지 등의 사용에 의한 것과 같이 상부 에지를 따라 본체부(56)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다. [핑거 릴리프(58)로서 도시된] 본체부의 만입부(indentation)가 스크린의 위치 선정 시에 차량의 탑승자에 의한 사용의 용이함을 개선되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부 에지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장치는 좌석등받이의 머리 받침 뒤쪽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키지 공간을 최소화하는 (예를 들어 얇고, 가늘고, 좁은 등의) 낮은 프로파일(low profile) 장치로서 구성된다. 지지 부재(30)와 조합되는 조정 장치(40)는 (예를 들어 키가 작거나 큰 등의) 특정 관찰자, (예를 들어 좌석 바로 뒤, 좌석으로부터 오프셋 되는 등의) 관찰자의 위치를 수용하기 위해 관찰자가 거의 무한한 개수의 위치들 중 임의의 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시야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리고 좌석의 운전자에 의해 좌석등받이 및/또는 머리 받침이 조정되거나 또는 재위치 선정될 때 소정의 시야각을 유지하기 위해 조정을 허용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차량 좌석의 운전자가 좌석등받이에 기대면, 관찰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정(예를 들어 경사시킴)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소정의 시야각을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어올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머리 받침과 독립적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좌석의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변경 없이 소정 위치 상승 또는 경사로 머리 받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2a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다양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부들을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사용자에게 음성을 전파하기 위한 스피커들(6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화상과 조화를 이루는 복수 색의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연부 (또는 측부 또는 후방부)를 따라 장착된 LED(64)와 같은 광원에 의해 환경 조명(ambient lighting)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66)로서 도시된 미디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부 또는 상부를 따라 제공된 바와 같이 도시된 액세스 도어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접속 용이성 포트(68)(예를 들어 USB 등), 헤드폰 잭(70) 및 (예를 들어 RCA용 또는 1/8" 잭용 등의) 보조 입력부(72)가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독서용 램프(74)가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에지를 따라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소정 위치로 광선을 지향하도록 위치 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 또는 다른 적절한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적외선 송수신기(76)를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블루투쓰(WiFi 등)와 같은 무선 통신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둘레의 트림(trim)은 또한 "발광(glow)"하는 하나 이상의 "밴즈(bands)"의 형태와 같은 장식 강조 조명(decorative accent lighting)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스크린 상의 화상과는 독립적이거나 또는 스크린 상의 화상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장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2c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69)(예를 들어 버튼, 노브, 다이얼 등)는 디스플레이 장치(50)의 국부적인 작동을 허용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2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시적인 제어 장치 없이 제공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75)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다른 아이템들 중에서 원격 제어 장치, 영화 미디어, 배터리, 배터리 팩, USB 아이템들 등과 같은 액세서리 아이템들을 넣어두거나 또는 보관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뒤에 위치된 격실(73)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또한 SD 카드 슬롯 등과 같은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뒤에 배치된(또는 숨겨진)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2d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뒤에 배치된 (DVD 플레이어 드라이브로서 도시된) 드라이브 장치(66)가 더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또는 교환 가능한 면판 또는 트림 베즐(51)(도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환 베즐은 색, 조직(예를 들어 나무결, 카페트, 섬유 등), 그래픽(예를 들어 선호하는 팀 로고, 캐릭터, 위치, 조직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주문 제작 스타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콤팩트 거울(vanity mirror)" 등으로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치된 카메라(53)(도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미디어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관찰자에게 화상을 전송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LCD, 플라즈마, OLED, 방사형 또는 반투과형 장치, 필드 방사 장치(field emission devices)를 포함할 수 있고, 색 또는 단색 디스플레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스크린에는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상호 작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스크린 기술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8a 내지 도8d를 참조하면, 머리 받침(124)용 지지 부재[로드(130)로 도시됨)와 통합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110)이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로드들(130)은 좌석등받이 및 머리 받침 상의 개구들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등받이(120)는 [로드(130)의 하향 돌출 하부 세그먼트(131)로서 도시된] 지지 부재들을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개구가 제공된다. 로드(130)의 하부 세그먼트(131)는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좌석등받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본체부(152)는 또한 머리 받침(124)을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로드(130)의 상향 돌출 세그먼트(134)를 포함한다.
로드(130)는 각각이 하부 돌출 세그먼트(131), 중간 세그먼트(132) 및 상부 돌출 세그먼트(134)를 갖는 단일 로드이다. 대안적으로, 로드(130)는 본체부(152)와 일체로 된 개별 세그먼트들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머리 받침(124) 뒤의 위치에서 로드(130)에 의해 좌석등받이(120)에 고정된다. 본체부(152)는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좌석등받이(120)에 장착하는 일반적인 고정 방식으로 [로드의 중간 세그먼트(132)에 도시된] 로드(130)에 연결되고, 이때, 로드(130)의 하부 세그먼트(131)는 개구들 내에 삽입되고 좌석등받이(120)에 고정된다.(도8b 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의 중간 세그먼트(132)는 고정 위치에서 본체부(152)의 보유를 돕는, 사실상 수평 "벤드부(bend)" 또는 오프셋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머리 받침 뒤의 고정 위치에서 좌석등받이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는 임의의 바람직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는 하나의 분기부가 머리 받침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분기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며 하부 레그는 좌석등받이에 고정되는 "Y" 형상을 각각 갖는다.
또한, 도8c를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 받침(124)은 머리 받침(124)이 디스플레이 장치(150)에 인접하게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로드(130)의 상향 세그먼트(134) 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머리 받침(124)은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본체부(152)로부터 독립적으로, 좌석등받이(120) 및 로드(130)에 대해 사실상 고정을 유지하는 로드(130)의 상부 세그먼트(134)를 따라 조정 범위를 거쳐 수직으로 위치 선정 가능하다. 머리 받침은 또한 특정 사용자들에 적응하도록 위치 선정을 개선하기 위해 로드 세그먼트에 대해 수평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본체부(152)는 머리 받침 뒤의 인접한 위치에서 좌석등받이(120)에 대해 사실상 고정되어 유지되는 반면에, 머리 받침(124)은 조정 가능하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부는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받침이 서로에 대해 그리고 좌석등받이에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8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본체부(152)에 스크린의 상부 에지를 따라 피봇식으로 연결된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54)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좌석등받이(120) 또는 머리 받침(124)의 위치로부터 독립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154)의 시야각을 피봇식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도2a 내지 도4의 디스플레이 장치(50)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다양한 특징부들, 특성부들 및 성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 받침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7에 도시된 지지 부재와 같이 브라켓을 이용하여 함께 일체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봇식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부재에 고정식으로 고정된 본체부를 가질 수 있고, 한 쌍의 로드들은 지지 부재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체로 된다. 로드는 소정 범위 내에서 좌석등받이에 대해 머리 받침의 수직 조정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에서 머리 받침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배치된다.
임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후방 시트 디스플레이 장치(50, 150)에 대한 시야각의 조정을 최적호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관찰자가 좌석등받이 상의 머리 받침의 위치, 또는 좌석등받이의 위치(경사짐, 직립 등) 및 좌석등받이의 상승(상승, 하강 등)과 상관 없이 임의의 소정 시야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 150)를 조절하는 것을 허용한다. 시스템은 또한 매우 다른 것들 중에서 다양한 좌석등받이 프레임 상에서 사용 가능한 비교적 표준화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려는 의도이다.
바람직한 그리고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요소들의 구성 및 배치는 도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들만이 본 개시에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를 검토하는 당업계의 숙련자들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 주제의 신규한 교시 및 이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많은 수정들(예를 들어 크기, 치수, 구조, 다양한 요소들의 형상 및 비율, 파라미터들의 값, 장착 배열, 배치, 재료의 사용, 색, 배향 등의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예를 들어 다양한 조정 특징부들이 임의의 소정 용도에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되고 조합될 수 있는 있음). 예를 들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요소들은 복수의 부품들 또는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요소들의 위치는 역전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변경될 수 있으며, 별개 요소들의 본성 또는 개수는 바뀌거나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부재의 요소들 및/또는 조립체들은 매우 다양한 색들, 조직들 및 조합들 중 임의의 것에서 (고 충격 플라스틱과 같은) 성형 가능한 매우 다양한 플라스틱 재료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충분한 강도 또는 내구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대체, 변경, 수정 및 생략은 본 발명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바람직한 그리고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계, 작동 조건 및 배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임의의 공정 또는 방법의 순서 또는 배열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변경되거나 재배열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임의의 수단에 덧붙여진 기능 조항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조들이 기술된 기능과 구조적 등가뿐만 아니라 등가 구조를 수행하는 것으로 망라된다. 다른 대체, 수정, 변형 및 생략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양호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계, 작동 구조 및 배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20: 좌석등받이 프레임
30: 지지 부재
40: 조정 장치
5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40)

  1. 좌석등받이 및 머리 받침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등받이 프레임을 갖는 차량 좌석용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며,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머리 받침에 사실상 인접하여 머리 받침 뒤에서 연장하는 강성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결합된 조정 장치와,
    조정 장치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지지 부재는 머리 받침이 재배치되거나 조정될 때에 상기 강성 지지 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강성이고 머리 받침으로부터 독립적인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좌석등받이의 상부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외팔보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전후방 경사 형상부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측방향 피봇 형상부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상하 병진 형상부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측방향 병진 형상부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 및 지지 부재는 차량의 후방 좌석의 탑승자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좌석등받이 및 머리 받침의 조정 범위에 걸쳐서 최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디어 장치, 스피커, 접속 용이성 포트, 헤드폰 잭 및 보조 입력부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독서 램프, 작업 램프, 장식용 강조 램프 및 주변 조명 램프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좌석등받이 및 머리 받침을 갖는 차량 좌석에 사용하기 위한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며,
    좌석등받이 위로 그리고 머리 받침 뒤에서 연장하는 강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좌석의 좌석등받이용 프레임과,
    지지 부재에 결합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조정 장치와,
    조정 장치의 제2 부분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지지 부재는 머리 받침이 재배치되거나 조정될 때에 상기 강성 지지 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강성이고 머리 받침으로부터 독립적인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점성 커플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마찰 생성 장치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마찰 생성 장치는 사실상 수평인 축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봇을 조정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토크 힌지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토크 힌지는 사실상 수직인 축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봇을 조정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의 제1 부분은 지지 부재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의 제2 부분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복원 가능한 파괴 방지 기구를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을 따라 통합된 환경 조명원을 포함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크린부와 본체부를 포함하고, 스크린부는 본체부에 이동식으로 결합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21. 제11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거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결점을 제공하는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22. 차량용 좌석이며,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된 좌석 바닥 프레임과,
    좌석등받이 프레임의 상부에 인접하여 결합된 머리 받침과,
    좌석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그리고 머리 받침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강성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결합된 조정 장치와,
    조정 장치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지지 부재는 머리 받침이 재배치되거나 조정될 때에 상기 강성 지지 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강성이고 머리 받침으로부터 독립적인 차량용 좌석.
  23. 제22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일부가 좌석등받이 프레임의 상부를 넘어 상향 연장하는 외팔보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24. 제22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사실상 수평인 축 및 수직인 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동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25. 제22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조정 장치 상의 돌출부를 활주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트랙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26.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정 장치로부터 연장하는 탱을 활주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트랙을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27.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갖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28.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좌석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거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좌석.
  29.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디어 장치, 스피커, 접속 용이성 포트, 헤드폰 잭 및 보조 입력부, 조명 장치,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30. 제29항에 있어서, 미디어 장치는 DV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31.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화상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32.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교체 가능한 트림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33.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버튼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34.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뒤에 배치된 드라이브 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보관 위치 내에 있을 때 상기 드라이브 장치가 숨겨지는 차량용 좌석.
  35. 제2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세서리 장치를 위한 구획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보관 위치 내에 있을 때 숨겨지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뒤에 배치되는 차량용 좌석.
  36. 제22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보관 위치에 대한 좌석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180도 허용하는 차량용 좌석.
  37. 차량용 좌석이며,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된 좌석 바닥 프레임과,
    좌석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 지지 부재와,
    본체부와 스크린부를 가지며, 본체부는 사실상 고정된 위치에서 지지 부재에 결합되고, 스크린부는 복수의 관찰 위치 중 임의의 하나로의 이동을 위해 스크린부의 상단 에지를 따라 본체부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와,
    좌석등받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부에 대해 미리 설정한 조정 범위 내에서 머리 받침을 위치 설정하기 위해 본체부 및 강성 지지 부재 중 하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강성 지지 부재는 머리 받침이 재배치되거나 조정될 때에 상기 강성 지지 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강성이고 머리 받침으로부터 독립적인 차량용 좌석.
  38. 차량용 좌석이며,
    한 쌍의 개구를 갖는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된 좌석 바닥 프레임과,
    본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좌석등받이 프레임의 개구 내에서 수용되어 고정된 한 쌍의 제1 로드 세그먼트와, 머리 받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2 로드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머리 받침은 한 쌍의 제2 로드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좌석등받이 프레임에 대해 조정 가능하고,
    한 쌍의 제1 로드 세그먼트는 머리 받침이 재배치되거나 조정될 때에 한 쌍의 제1 로드 세그먼트가 이동하지 않도록 강성이고 머리 받침으로부터 독립적인
    한 차량용 좌석.
  39. 제38항에 있어서, 머리 받침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부의 전방에, 그리고 인접하여,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차량용 좌석.
  40. 제3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상부 에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좌석.
KR1020147018112A 2005-12-22 2006-12-18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401014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308005P 2005-12-22 2005-12-22
US60/753,080 2005-12-22
PCT/US2006/048006 WO2007075461A2 (en) 2005-12-22 2006-12-18 Seatback entertainment display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242A Division KR101457225B1 (ko) 2005-12-22 2006-12-18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401A true KR20140101401A (ko) 2014-08-19

Family

ID=381159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242A KR101457225B1 (ko) 2005-12-22 2006-12-18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47018112A KR20140101401A (ko) 2005-12-22 2006-12-18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242A KR101457225B1 (ko) 2005-12-22 2006-12-18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25034B2 (ko)
EP (1) EP1966006B1 (ko)
JP (1) JP5555427B2 (ko)
KR (2) KR101457225B1 (ko)
CN (1) CN101374693B (ko)
AT (1) ATE502815T1 (ko)
DE (1) DE602006020920D1 (ko)
PL (1) PL1966006T3 (ko)
WO (1) WO200707546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482A (ko) * 2019-05-21 2020-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0282B2 (en) * 2003-11-07 2014-07-15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US20050235327A1 (en) * 2003-11-07 2005-10-20 Vitito Christopher J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US20080143892A1 (en) * 2006-12-15 2008-06-19 Vustar, Llc Mobile control system
US20080249682A1 (en) * 2007-04-06 2008-10-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ouch control bezel for display devices
JP2010052489A (ja) * 2008-08-26 2010-03-11 Victor Co Of Japan Ltd パネル着脱機構
JP4701278B2 (ja) * 2008-10-08 2011-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モニタ位置調整装置
US20100225654A1 (en) * 2009-03-06 2010-09-09 Theis Robert J Theatre Seatback Display
FR2948082B1 (fr) * 2009-07-17 2011-11-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ffichage de vehicile automobile
DE102009043767A1 (de) * 2009-09-30 2011-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efestigungssystem zum Befestigen von Gegenständen an einer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FR2960493B1 (fr) * 2010-05-28 2012-06-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ppui-tete et dispositif de montage d'accessoires sur ledit appui -tete
DE102010053344A1 (de) * 2010-12-03 2012-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ildschirm in einem Fahrzeuginnenraum
US20130107449A1 (en) * 2011-10-28 2013-05-02 Yuan Zi Su Tablet computer enclosure
JP5330483B2 (ja) * 2011-10-28 2013-10-3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9131783B2 (en) * 2011-10-31 2015-09-15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Removable control mechanism for use in upholstered furniture
JP5851943B2 (ja) * 2012-06-13 2016-02-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JP5851945B2 (ja) * 2012-06-21 2016-02-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CN102846069B (zh) * 2012-09-27 2015-01-14 赵延宁 一种可旋转调节式座椅靠枕
DE102013002846B3 (de) * 2013-02-20 2014-07-03 Audi Ag Fahrzeug mit einem Vordersitz und einem Fondsitz mit Ruhesitzfunktion
DE102013006484A1 (de) 2013-04-15 2014-10-16 Audi A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verstellbares Komfortteil eines Fahrzeugs
US9272671B2 (en) * 2013-06-28 2016-03-01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Display screen arrangement and method of assembly
DE102013015291A1 (de) * 2013-09-14 2015-03-19 Man Truck & Bu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zeige von visuelle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insbesondere in einem Nutzfahrzeug
KR102125451B1 (ko) 2013-11-15 2020-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TWM487864U (zh) * 2014-03-14 2014-10-11 Chi-Yuan Wen 車輛a柱視野死角顯示裝置
KR101562956B1 (ko) 2014-04-11 2015-10-23 (주)대인테크 다기능 차량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CN103960902A (zh) * 2014-05-16 2014-08-06 苏州谊恒印务有限公司 多功能凳子
FR3023229B1 (fr) * 2014-07-01 2016-07-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encement d'un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equipe d'une tablette destinee a accueillir un appareil multimedia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dossier
CN104210433A (zh) * 2014-08-07 2014-12-17 雷耀明 座椅椅背平板显示器支架及其方法
US10406919B2 (en) * 2014-09-11 2019-09-10 Kojima Industries Corporation Display audio device
GB2524132B (en) 2014-10-16 2016-03-16 Bentley Motors Ltd Display screen mount
EP3015313B1 (en) * 2014-11-03 2017-04-26 Volvo Car Corporation A display assembly for an interior panel in a vehicle
CN105644454B (zh) * 2014-11-20 2020-02-21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固定装置应用及该固定装置的汽车座椅
US9421892B1 (en) * 2015-01-29 2016-08-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eadrest with retainer
US20160297301A1 (en) * 2015-04-07 2016-10-13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Modular unit identification in a modular upgradeabl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US9452718B1 (en) 2015-04-20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rest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1618573B1 (ko) 2015-05-28 2016-05-09 (주)대유플러스 자동차용 시트
CN104908666A (zh) * 2015-05-28 2015-09-16 常州泰勒维克今创电子有限公司 用于高铁座椅的报站显示屏
US10556549B2 (en) 2015-07-08 2020-02-11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drest-integrated entertainment system
US20170024062A1 (en) * 2015-07-21 2017-01-26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cratch resistant layer of ultra-thin glass on a substrate for touch sensitive display
WO2017020070A1 (en) 2015-07-31 2017-02-09 Victor Harris Vehicle seat accessory mounting system
US9586532B1 (en) 2015-09-03 2017-03-07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with entertainment system
CN105150950A (zh) * 2015-09-10 2015-12-16 姜超 一种车载电视
US10793038B2 (en) 2015-09-22 2020-10-06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drest integrated entertainment system
CN105799604A (zh) * 2016-03-11 2016-07-2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载显示器的定位装置
US9695972B1 (en) 2016-05-25 2017-07-04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Quick-release mounting system for removably attaching a panel instrument to a structure
US9945509B2 (en) 2016-08-02 2018-04-17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Quick-release mounting system for removably attaching a panel instrument to a structure
EP3354570B1 (en) * 2017-01-31 2020-08-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nitor and attaching-detaching device therefor
US10035443B1 (en) * 2017-02-01 2018-07-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ad restrain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display
JP6949135B6 (ja) * 2017-03-24 2021-11-24 サフラン パッセンジャー イノベ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固定された画面を備える旋回内部表示ユニット
CN106864323B (zh) * 2017-04-07 2019-02-1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
KR102094956B1 (ko) 2018-05-21 2020-03-30 주식회사 브이터치 자율주행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9215197B4 (de) 2019-10-02 2022-09-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Positionierungssystem zur Positionierung einer Anzeige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ein Kraftfahrzeug
US11052831B1 (en) * 2019-12-11 2021-07-06 Hyundai Motor Company Display moving apparatus
CN111347982B (zh) * 2020-03-25 2021-05-11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车载显示屏调节装置
WO2022137683A1 (ja) * 2020-12-22 2022-06-3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発光制御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1291304B1 (en) * 2021-04-02 2022-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and headrest assembly
US11590903B1 (en) * 2021-08-09 2023-02-28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Vehicle seat having a docking station for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1151U (ko) * 1985-03-29 1986-10-06
US4720146A (en) * 1986-08-28 1988-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eat headrest apparatus and method
JPH0335754U (ko) * 1989-08-15 1991-04-08
JP2530647Y2 (ja) 1991-01-25 1997-03-26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テレビ付きシート
JPH11151986A (ja) * 1997-11-21 1999-06-08 Ikeda Bussan Co Ltd モニター付きシートバック
EP1260407B1 (de) * 2001-05-25 2012-01-11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mit integriertem Bildschirmgerät
TW549269U (en) * 2001-12-28 2003-08-21 Sheng-Tau Jou Fixed type vehicular interior accessories with several setting positions
JP2003327051A (ja) 2002-05-14 200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US6669285B1 (en) * 2002-07-02 2003-12-30 Eric Park Headrest mounted video display
DE10244100B4 (de) 2002-09-23 2006-05-04 Johnson Controls Gmbh Bildschirm, insbesondere für den Sitz eines Kraftfahrzeugs
DE10258306B4 (de) 2002-12-13 2007-01-11 Daimlerchrysler Ag Fahrersitzintegrierter Monitor für Fondinsassen
US6871356B2 (en) * 2002-10-28 2005-03-22 Johnson Safety, Inc. Mobile video system
US6739654B1 (en) * 2003-04-24 2004-05-25 Hexa-Chain Co., Ltd. Headrest-mount display mounting structure
FR2855472B1 (fr) * 2003-05-27 2005-08-05 Faurecia Sieges Automobil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muni d'un moniteur de television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dossier
US7472458B2 (en) * 2003-06-13 2009-01-06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Tilter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bias assembly
US8780282B2 (en) * 2003-11-07 2014-07-15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US7360833B2 (en) * 2003-11-07 2008-04-22 Vitito Christopher J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with backside loading DVD player
US7040699B2 (en) * 2003-12-11 2006-05-09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towable seat mounted display screen
US7201354B1 (en) * 2003-12-24 2007-04-10 Ktv Usa, Inc. Video monitor mounting system
DE202004000292U1 (de) 2004-01-09 2004-04-15 Techcom Carcommunikation Ag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mit Flachbildschirm
US20050174498A1 (en) * 2004-02-10 2005-08-11 Tai-Hsiung Wu In-vehicle video/audio display device
US7201356B2 (en) * 2004-05-07 2007-04-10 Kai-Cheng Huang Mounting apparatus of displayer suitable for external installation and inset installation
DE202004008205U1 (de) 2004-05-18 2004-08-26 Techcom Carcommunikation Ag DVD-Unterhal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R2870800B1 (fr) 2004-05-27 2007-09-07 Faurecia Sieges Automobile Equipement d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t dossier muni d'un tel equipement
JP4870676B2 (ja) * 2004-10-14 2012-02-08 シンガポール エアラインズ リミテッド 読書灯を備えた表示モニタを有する航空機座席
JP5226316B2 (ja) * 2004-10-19 2013-07-03 エルゴトロ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ディスプレイ取付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02004053452B3 (de) 2004-11-05 2006-08-03 Dr.Ing.H.C. F. Porsche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Monitor an einem Fahrzeugsitz
US7758116B2 (en) * 2007-02-23 2010-07-20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Monitor unit for a vehicle se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482A (ko) * 2019-05-21 2020-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US11562579B2 (en) 2019-05-21 2023-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4693A (zh) 2009-02-25
EP1966006A2 (en) 2008-09-10
KR20080082653A (ko) 2008-09-11
US20090316057A1 (en) 2009-12-24
PL1966006T3 (pl) 2011-09-30
US8625034B2 (en) 2014-01-07
WO2007075461A2 (en) 2007-07-05
EP1966006B1 (en) 2011-03-23
DE602006020920D1 (de) 2011-05-05
JP5555427B2 (ja) 2014-07-23
JP2009521268A (ja) 2009-06-04
ATE502815T1 (de) 2011-04-15
WO2007075461A3 (en) 2008-07-17
KR101457225B1 (ko) 2014-10-31
CN101374693B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225B1 (ko) 좌석등받이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US7290833B2 (en) Headrest mounted video display
US7114755B1 (en) Automotive console having a double hinged lid
US7641252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9016778B2 (en) Inflatable/deflatable seat with stowable collapsing frame
CN208947133U (zh) 车辆座椅总成
WO2002044646A2 (en) System, method, and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objects
US20070205642A1 (en) Automotive center console with combination rear wall and articulated armrest
US10906444B2 (en) Multi-function connectivity module
CN113401015A (zh) 一种多功能车内娱乐和办公系统、方法及电子设备
US20160272120A1 (en) Rear Seat Accessible Vehicle Storage Compartment
CN113799670A (zh) 机动车辆的中央控制台
US20020140632A1 (en) Console lid mounted screen
EP3551498B1 (en) Convertible seat assembly for a truck cab
JP2003180482A (ja) アームレスト
KR10078429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4576261B2 (ja) 車両の画像表示装置
JP4232611B2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CN215284628U (zh) 一种副驾屏幕的支架机构及车辆
JP3102679U (ja) 角度を調整可能なヘッドレスト式携帯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JP5534465B2 (ja) 車両の荷室構造
JP2004322749A (ja) 乗り物における機能部品の保持構造
JP2018016173A (ja) 乗物用シート
CN115339396A (zh) 用于车辆的车载显示系统和车辆
JP2001269245A (ja) 車両用リ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