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257A - 개미 독이제 용기 - Google Patents
개미 독이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9257A KR20140099257A KR1020147014908A KR20147014908A KR20140099257A KR 20140099257 A KR20140099257 A KR 20140099257A KR 1020147014908 A KR1020147014908 A KR 1020147014908A KR 20147014908 A KR20147014908 A KR 20147014908A KR 20140099257 A KR20140099257 A KR 201400992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wall
- partition
- container body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개미 독이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10)는, 평탄한 바닥부(10B); 복수의 장소에 출입구(10E)가 형성된 주벽부(10A); 주벽부(10A)의 내측 공간에 형성된 제방부(10D); 및 제방부(10D)로 둘러싸인 독이제 수납부(10P)를 가진다. 각 출입구(10E) 근방의 주벽부(10A)와 제방부(10D) 사이의 바닥부(10B)에는, 뚜껑체(20)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낮은 칸막이(10G)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미 등의 해충 구제용의 독이제(poison bait)를 수납하는 개미 독이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개미 독이제 용기>
지금까지 용기의 주변둘레 하부에 해충의 출입구를 구비하고, 용기의 내부에 개미 독이제 수납부를 가지는 개미 독이제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개미 독이제 수납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제방부(bank part)가 형성되어 있는 개미 독이제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미 독이제 용기>
도 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미 독이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독이제 용기는 개미 독이제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main body)(100)와 이 용기 본체(100)의 윗부분을 덮는 커버(cover)로 구성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 본체(100)>
용기 본체(100)는 평탄한 바닥판부(바닥부)(100B); 바닥판부(100B)의 에지부의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세로로 배치되고, 복수의 장소에 출입구(100E)가 형성된 외벽(주벽부, peripheral wall part)(100A); 외벽(100A)의 내측 공간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된 주벽부(제방부, bnak part)(100D); 및 주벽부(100D)에 의해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둘러싸인 독이제 수납부(100P1, 100P2)를 포함한다.
주벽부(100D)는 바닥판부(100B)로부터 용기 중앙에 향해 경사지게 세로로 배치된 경사벽(100S); 경사벽(100S)의 정상부(top)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되고, 중앙에 돌출부(projection)(100T)를 구비한 상면판(평탄부, flat part)(100H); 및 상면판(100H)의 에지부(경사벽(100S)의 반대측 에지부)로부터 바닥판부(100B)를 향해 형성된 세로벽(수납벽)(100W)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기 본체(100)는 뚜껑체(lid body)로 덮여, 개미 독이제 용기로서 사용된다.
또한, 운송중에 개미 독이제가 독이제 수납부(100P1, 100P2)의 상부로부터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주벽부(100D)의 상부를 실링재(seal)로 덮는다. 돌출부(100T)는 사용 직전에 이 실링재를 벗겨 사용할 때, 실링재를 쉽게 벗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개미 독이제 용기의 사용법>
개미 독이제 용기의 독이제 수납부(100P1, 100P2) 각각에 개미의 종류(곰개미(Formica japonica ),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 등)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먹이(독이제)를 넣어, 개미가 지나다니는 길에 둔다. 개미가 개미 독이제 용기의 출입구(100E)로부터 용기 내부로 들어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주벽부(100D) 위로 기어올라, 독이제 수납부(100P1, 100P2)에 도달하고, 먹이를 먹고, 주벽부(100D)를 넘어 바닥판부(100B)로 돌아가고, 출입구(100E)로 나가며, 먹이를 운반하면서 개미집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미 독이제 용기에서는, 주벽부(100D)를 넘는 개미 및 독이제 수납부(100P1, 100P2)에 들어가는 개미의 수가 적어서, 제방부를 넘는 비율이 낮다는 문제 등이 있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파행 곤충(crawling insect)용 포충기(bait station)(201)>
도 10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파행 곤충용(crawling insect) 포충기(bait station)(개미 독이제 용기)(201)의 분해 사시도이다.
파행 곤충용 포충기(201)는, 각각 일체로서 형성된 베이스(용기 본체)(200)와 베이스(200)에 고정된 커버(뚜껑체)(210)를 가진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베이스(200)>
베이스(200)는, 먹이를 수납하는 먹이컵(독이제 수납부)(208), 둘레 플랜지(peripheral flange)(202), 폐쇄된 형상을 규정하는 먹이컵 벽(203)(제방부), 먹이컵 벽(203)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측부 지지물(side support)(206); 측부 지지물(206)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베이스(200)로부터 위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단부 지지물(end support)(209)들을 포함하고 있다.
먹이컵(208)은 중앙 바닥(central floor)(207)을 가지고, 중앙 바닥(207)은 벌레가 기어오를 수 있는 먹이컵 벽(20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먹이컵 벽(203)은 최상 연장부(upwardmost extension) 쪽으로 위 방향으로 확장되는 램프(ramp)(경사벽)(205)를 포함한다.
둘레 플랜지(202)의, 원위(distal)에 있고 먹이컵(208)에 인접하는 일부분은, 둘레 바닥(peripheral floor )(바닥부, bottom part)(204)가 된다.
커버(210)는, 베이스(200)의 둘레 플랜지(202)에 장착되는 커버 플랜지(211)와, 쉘(shell) 벽(214)을 포함하는 쉘(213)을 가진다.
쉘 벽(214)은 먹이컵(20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주변 바닥(204)을 포함하는 통로를 구획한다. 쉘(213)은 루프(217)를 포함하고, 루프(217)는 측부 지지물(side support)(206) 및 단부 지지물(end support)(20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측부 지지물(206)에 대응하는 쉘 벽(214)의 일부는, 대기실 쉘 벽((antechamber shell wall)218)을 구성한다. 대기실 쉘 벽(218)에는 대기실 도어(2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쉘 벽(214)에는, 추가적인 도어(216)도 설치되어 있다.
대기실 도어(antechamber door)(215)는, 측부 지지물(206)에 대하여, 대기실 도어(215)를 통해 먹이컵(208)에 대한 직선 접근((straight-line access)이 측부 지지물(206)에 의해 차단되거나 적어도 제한되도록 위치한다.
특허문헌 2의 베이스(200)가 특허문헌 1의 용기 본체(100)와 다른 점은, 대기실 도어(215)의 근방에서의 먹이컵 벽(203)의 상부에, 루프(217)를 지지하는 측부 지지물(206) 및 단부 지지물(209)이 여러 곳에 형성되어 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2의 파행 곤충용 포충기(201)의 사용법>
파행 곤충용 포충기(201)의 먹이컵(208)에 도시하지 않은 먹이를 넣어, 개미의 지나다니는 길에 두면, 개미가 파행 곤충용 포충기(201)의 대기실 도어(215)를 통해 파행 곤충용 포충기(201)로 들어가, 측부 지지물(206)을 피하여, 먹이컵 벽(203)을 기어올라 먹이컵(208) 속에 들어 있는 먹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파행 곤충용 포충기(201)에서는, 대기실 도어(215)의 근방에 측부 지지물(206)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먹이컵 벽(203)을 타고 넘어 먹이컵(208)에 들어가는 개미는 얼마 안 되고,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미용 포충기와 유사하게 제방부를 타고 넘는 비율이 낮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 많은 개미가 제방부를 타고 넘어 독이제 수납부에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개미 독이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하기 구성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1) 개미 독이제 용기는 개미 독이제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위를 덮는 뚜껑체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평탄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에지부의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세로로 배치되고, 복수의 출입구(entrance and exit opening)가 형성된 주벽부(peripheral wall part ); 상기 주벽부의 내측 공간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된 제방부; 및 상기 제방부에 의해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둘러싸인 독이제 수납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출입구 근방의 상기 주벽부와 상기 제방부 사이의 상기 바닥부에, 낮은 칸막이(low partition)를 형성하여 상기 뚜껑체와 상기 낮은 칸막이 사이에 공간을 두어 개미가 상기 제방부를 타고 넘도록 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독이제 용기에 있어서, 독이제 수납부가 중앙 칸막이 벽에 의해 복수의 독이제 수납부로 분할되어 있다.
(3) 상기 (2)에 기재된 독이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낮은 칸막이의 높이는, 상기 주벽부와 상기 중앙 칸막이 벽에 의해 분할된 독이제 수납부를 각각 둘러싸는 상기 제방부의 부분들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낮은 칸막이에서 상이하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독이제 용기에 있어서, 낮은 칸막이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약 2∼5㎜ 범위이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1 (B)는 도 1 (A)의 정면도이며; 도 1 (C)는 도 1 (A)의 측면도이고; 도 1 (D)는 도 1 (A)의 D-D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1 (E)는 도 1 (A)의 E-E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 (F)는 도 1 (A)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3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뚜껑체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3 (B)는 도 3 (A)의 B-B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도 3 (C)는 도 3 (A)의 저면도이다.
도 4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기 본체와 뚜껑체로 이루어지는 개미 독이제 용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4 (B)는 도 4(A)의 정면도이며; 도 4 (C)는 도 4 (A)의 4C-4C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 (D)는 도 4 (A)의 4D-4D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5 (B)는 도 5(A)의 정면도이고; 도 5 (C)는 도 5 (A)의 측면도이며; 도 5 (D)는 도 5(A)의 D-D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 (E)는 도 5 (A)의 E-E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5 (F)는 도 5 (A)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개미의 전체 높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파행 곤충용 포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3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뚜껑체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3 (B)는 도 3 (A)의 B-B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도 3 (C)는 도 3 (A)의 저면도이다.
도 4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기 본체와 뚜껑체로 이루어지는 개미 독이제 용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4 (B)는 도 4(A)의 정면도이며; 도 4 (C)는 도 4 (A)의 4C-4C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 (D)는 도 4 (A)의 4D-4D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5 (B)는 도 5(A)의 정면도이고; 도 5 (C)는 도 5 (A)의 측면도이며; 도 5 (D)는 도 5(A)의 D-D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 (E)는 도 5 (A)의 E-E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5 (F)는 도 5 (A)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개미의 전체 높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파행 곤충용 포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개미 독이제 용기(30)>
개미 독이제 용기(30)(도 4 참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기 본체(10)(도 1 및 도 2 참조)와 용기 본체(10)를 덮는 뚜껑체(20)(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이하, 용기 본체(10)와 뚜껑체(20)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용기 본체(10)>
용기 본체(도 1, 도 2 참조)(10)는, 평탄한 바닥부(10B); 바닥부(10B)의 에지부의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세로로 배치되고, 복수의 출입구(10E)를 가지는 주벽부(10A); 주벽부(10A)의 내측 공간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된 제방부(10D); 및 제방부(10D)에 의해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둘러싸인 독이제 수납부(10P)를 가진다.
<<제방부(10D)>>
제방부(10D)는, 용기 본체(10)의 바닥부(10B)에 설치되는 독이제 수납부(10P)로부터 독이제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형성되는 높은 칸막이(high partition)이다. 제방부(10D)는 바닥부(10B)로부터 용기 중앙에 향해 경사지게 세로로 배치되는 경사벽(10S); 경사벽(10S)의 정상부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되고, 중앙에 작은 돌출부(10T)를 구비한 평탄부(10H); 및 평탄부(10H)의 에지부(경사벽(10S)의 반대측 에지부)로부터 바닥부(10B)를 향해 형성된 수납벽(10W)을 포함한다.
제방부(10D)의 높이는 개미 독이제가 흘러나지 않도록 바닥부(10B)에서부터 약 10㎜이고; 경사벽(10S)의 경사면은 15°∼45°의 각도가 바람직하다.
<<독이제 수납부(10P)>>
용기 본체(10) 내의 바닥부(10B)에 형성되는 독이제 수납부(10P)는, 도시하지 않은 독이제를 수납하는 것이며, 바닥부(10B)와 제방부(10D)로 둘러싸인 독이제 수납부(10P)의 공간은 중앙 칸막이벽(10C)에 의해 두 개로 분할되어, 2개의 독이제 수납부(10P1, 10P2)를 형성한다. 2개의 독이제 수납부(10P1, 10P2)에는 상이한 종류의 독이제가 수납되고, 식성(feeding habit)이 상이한 개미를 방제 대상으로 한다.
<<보조 바(10L)>>
또한, 용기 본체(10)의 바닥부(10B)는, 뚜껑체(20)의 맞물림 부재(engagement member)(20G)의 선단의 맞물림 돌출부(engagement projection )(20K)가 용기 본체(10)의 주벽부(10A)의 맞물림 오목부(engagement recess)(10K)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바(10L)를 여러 곳(도 1에서는 4곳)에 가진다.
<<실링재>>
운송중에 독이제가 독이제 수납부(10P1, 10P2)의 상부로부터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방부(10D)의 상부를 실링재(도시하지 않음)로 덮고, 사용 시에 실링재를 벗기고 독이제 용기를 사용한다. 실링재를 벗기기 쉽게 하기 위해, 제방부(10D)의 상부의 평탄부(10H)에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부(10T)를 형성하여, 실링재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 1에 의해 형성되는 낮은 칸막이(10G)>
그리고, 본 실시예 1에 따르면, 각각의 출입구(10E)의 근방의 주벽부(10A)와 제방부(10D)의 경사벽(10S) 사이의 바닥부(10B)에는, 개미가 제방부(10D)를 타고 넘도록, 보행중인 개미(300)의 전체 높이(H)(도 7 참조)와 대략 같은 높이인 약 2∼5㎜의 높이이고(본 실시예에서는 3.3㎜) 뚜껑체(20)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낮은 칸막이(10G)가 형성되어 있다(도 4(D) 참조).
여기서, 낮은 칸막이(10G)는 용기 본체(10) 내의 바닥부(10B)의 제방부(10D)의 둘레와 주벽부(10A)와의 사이에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별체(separate body)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낮은 칸막이(10G)의 재질의 예로는 합성 수지, 금속, 고무 등을 포함한다.
또, 낮은 칸막이(10G)의 사이즈는, 제방부(10D)의 높이(약 10㎜)의 약 1/4∼1/2(즉, 약 2∼5㎜의 범위)이면 된다. 그 형상은 구형(球形), 반구형, 원기둥, 타원 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다각기둥, 원판, 타원판, 삼각판, 직사각형판, 다각판, 및 이들의 중공체(hollow bod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낮은 칸막이(10G)는 포획 대상으로 하는 개미(300) 종류의 그 전체 높이(H)에 따라, 상이한 높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미(300)의 전체 높이(H)란 여기서, 보행중의 개미(300)의 머리(302)의 정상부까지의 높이(보행중에 정면을 향한 개미의 시선의 높이)이며, 촉각(303)의 선단도 대략 같은 높이이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용기 본체(10)와 같이,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독이제 수납부(10P1, 10P2)에 상이한 종류의 독이제가 수납되고, 식성이 상이한 개미(체격이 상이한 개미)를 방제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중앙 칸막이벽(10C)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독이제 수납부(10P1, 10P2)를 둘러싸는 제방부(10D)의 일부분과 주벽부(10A)와의 사이에 복수 형성된 낮은 칸막이(10G)마다, 높이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낮은 칸막이(10G)의 높이를 방제 대상으로 하는 개미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각각의 독이제 수납부(10P1, 10P2)에 수납된 독이제에 의해 유인된 체격이 상이한 개미(300)가, 각각의 독이제 수납부(10P1, 10P2)에 인접하는 출입구(10E)로부터 들어왔을 때, 보행중인 개미의 전체 높이(H)와 대략 같은 높이로 설정된 낮은 칸막이(10G)와 마주치게 되고, 각각 체격이 상이한 개미(300)가 제방부(10D)를 타고넘기가 쉬워진다.
<뚜껑체(20)>
도 3 (A)∼도 3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체(20)는 용기 본체(10)를 덮는다. 맞물림 부재(20G)는 전술한 용기 본체(10)의 주벽부(10A)의 맞물림 오목부(10K)에 대응하는 뚜껑체(20)의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맞물림 오목부(10K)와 맞물리리는 맞물림 돌출부(20K)는 맞물림 부재(20G)의 선단에 설치된다.
뚜껑체(20)의 맞물림 부재(20G)를 주벽부(10A)와 보조 바(10L) 사이에 삽입하여, 맞물림 부재(20G)의 선단의 맞물림 돌출부(20K)를 용기 본체(10)의 주벽부(10A)의 맞물림 오목부(10K)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10)와 뚜껑체(20)는 서로 걸려, 개미 독이제 용기(30)가 완성된다.
<용기 본체(10)와 뚜껑체(20)의 재료 등>
본 실시예의 개미 독이제 용기(30)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10)와 뚜껑체(20)는 각각,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등)로 이루어지고, 투명, 반투명, 불투명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와 뚜껑체(20)의 재료는 상이해도 된다.
또, 전술한 합성 수지에는, 대전 방지제(antistatic agent), 자외선 흡수제(ultraviolet light absorber), 살균제(bactericide), 살진균제(fungicide), 해충 방제제, 향료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용기 본체(10)와 뚜껑체(20)는 각각, 형상 및 크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한 변 또는 직경이 4cm∼10cm이고, 상면(하면)이 12cm2∼150cm2인 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높이가 약 0.5cm∼5.0cm인 것이 적합하다.
그 형태에 관한 한, 용기 본체(10)의 측 둘레면(side peripheral surface)에 출입구(10E)가 설치되고, 관통 구멍이나 통체(cylindrical body)가 바닥부(10B)의 바닥면과 통하고, 용기 본체(10)가 개미 둥지 내에 놓이거나 삽입됨으로써, 개미가 먹이를 둥지 내로 직접 운반할 수 있게 해도 된다.
또, 뚜껑체(20)의 형상의 예로는 판형, 돔형, 그릇을 뒤집은 형상(reverse bowl shape) 등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0)와 뚜껑체(20)의 접합에 대해 설명하면, 용기 본체(10)와 뚜껑체(20)는 접합부를 통하여 서로 접합 일체화되거나, 또는 개폐 가능한 방식 또는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접합 방법은, 끼워맞춤, 초음파 용접, 힌지에 의한 연결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실시예 2)
도 5 (A)∼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2가 전술한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용기 본체(10) 내의 바닥부(10B)에 형성되는 독이제 수납부(10P)의 공간이, 그 공간을 2 분할하는 중앙 칸막이벽(10C)(실시예 1)을 설치하지 않고 넓게 사용하고 있는 점(실시예 2)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전부 동일하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설명한다.
(참고예)
<참고예의 용기 본체(400)>
용기 본체(400)는 평탄한 바닥부(400B); 바닥부(400B)의 에지부의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세로로 배치되고, 복수의 장소에 출입구(400E)가 형성된 주벽부(400A); 주벽부(400A)의 내측 공간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된 제방부(400D); 및 제방부(400D)에 의해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둘러싸인 독이제 수납부(400P1, 400P2)를 가진다.
제방부(400D)는, 바닥부(400B)로부터 용기 중앙에 향해 경사지게 세로로 배치되는 경사벽(400S); 경사벽(400S)의 정상부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되고, 중앙에 작은 돌출부(400T)를 구비한 평탄부(400H); 및 평탄부(400H)의 에지부(경사벽(400S)의 반대쪽 에지부)로부터 바닥부(400B)를 향해 형성된 수납벽(400W)을 포함한다.
참고예의 용기 본체(400)가 전술한 실시예 1의 용기 본체(10)와 다른 점은, 출입구(400E)의 근방에서 주벽부(400A)와 제방부(400D)의 상부와의 사이에, 제방부(400D)의 상부보다 높고 뚜껑체와의 사이에 공간이 없는 칸막이벽(400K)이 복수의 장소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칸막이벽(400K)의 높이는 약 12mm이고, 이 값은 개미(300)의 전체 높이(H)와 대략 같은 높이인 3.3㎜의 낮은 칸막이(10G)보다 높은 값이다.
약 12㎜의 높이를 가지고 커버의 내면에 이르고 있다.
<개미 방제제(ant-controlling agent)>
개미 방제제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각종 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해충 방제제, 또는 해충 방제제와 그 공력제(synergist)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한 독이제를 대상 해충(subject harmful insect )이 섭취하여 그 치사량 이상이 체내에 섭취되도록 하는 양으로 배합되는 한, 아무런 제한은 없다. 그리고, 해충 방제제의 예로는, (1) 피레트로이드계(pyrethroid-based) 살충제, (2) 유기인계(organophosphorus-based ) 살충제, (3) 카바메이트계(carbamate-based) 살충제, (4) 곤충 성장 조절제, (5) 키틴 합성 저해형(chitin synthesis-inhibiting) 곤충 성장 조절제, (6) 그 외의 살충제 및 공력제 등을 들 수 있다.
<(1)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
알레트린(allethrin), 엑스트린(exthrin), 프탈트린(phthalthrin), 레스메트린(resmethrin), 퍼메트린(permethrin), 페노트린(phenothrin), 펜발러레이트(fenvalerate), 펜프로판트린(fenpropathrin), 엠펜트린(empenthrin), 펜플루트린(fenfluthrin), 프랄레트린(prallethrin), 트랜스플루트린(transfluthrin), 테플루트린(tefluthrin), 사이페노트린(cyphenothrin), 테라레트린(terrarethrin),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등.
<(2) 유기 인계 살충제>
DDVP,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디아지온(diazinon), 말라티온(malathion), 아세페이트(acephate),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등
<(3)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프로포설(propoxur), 카바릴(carbaryl), 벤푸라카르브(benfuracarb), 알라니카르브(alanycarb), 등
<(4) 곤충 성장 조절제>
메소프렌(methoprene), 하이드로플레인(hydroplane),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및 페녹시카르브(fenoxycarb).
<(5) 키틴 합성 저해형 곤충 성장 조절제>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클로르플루아주론(chlorfluazuron), 플루페녹수론(flufenoxuron), 헥사플루론(hexafluron), 시로마진(cyromazine), 등.
<(6) 그 외의 살충제>
메톡사디아존(metoxadiazone), 하이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아바멕틴(abamectin), 붕산(boric acid), 설플루라미드(sulfluramid), 피프로닐(fipronil) 등.
이상의 물질을 해충 방제제로 예시할 수 있지만, 물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살충제 및 공력제의 각종 이성체, 유도체, 유사체(analogue) 등 도 포함된다.
또, 예를 들면, 사회성를 가지는 해충인 개미류를 예로 들면, 일 개미가 둥지 이외의 장소에서 먹이를 찾아내면, 그 먹이를 입에 물거나 몸에 비축하여, 둥지에 돌아와서 그 먹이를 유충과 나누는 것과 같은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살충제에 사용된 어떤 해충 방제 성분이, 일 개미가 먹이와 유사한 개미 독이제를 둥지에 가지고 돌아가는 동안에는 일 개미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대부분의 둥지 전체에 그 살충제가 도달하는 동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한, 축적성이 있는 해충 방제 성분 또는 성장 저해를 일으킬 수 있는 해충 방제 성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충제에 있어서, 구성 조성물 중의 먹이 성분량에 대한 해충 방제 성분의 첨가 비율은, 0.001∼50 질량%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유인제>
<<동물성 먹이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 유인제의 동물성 먹이 성분으로는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지방질 등이 있다. 이들은 먹이 성분의 기본 재료(base material)로 사용될 수도 있다.
<<식물성 먹이 성분>>
식물성 먹이 성분으로서는, 탄수화물(주로, 당류), 식물성 단백질이나 식물성 지방질 등이 있다. 이들은 먹이 성분의 기본 재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 섭식을 촉진하는 물질로서, 호박, 옥수수의 건조체, 양송이, 표고버섯, 다시마, 양배추, 양파의 건조 분말 및 추출물, 그 추출물 또는 혼합물 등이 있다. 이들은 또한 전술한 식물성 먹이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전술한 분말은 그 자체가 식물성 먹이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섭식 촉진 물질(ingestion promoter )과 식물성 먹이 성분을 겸할 수 있다.
전술한 동물성 먹이 성분과 식물성 먹이 성분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두 종류 이상을 조합하거나 단백질, 아미노산, 탄수화물(주로, 당류) 및 지방질로부터 선택된 것을 적당한 비율에 있어서 배합한 조성물일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동물성 먹이 성분과 식물성 먹이 성분은 각각, 섭식을 촉진하는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섭식을 촉진하는 물질의 첨가 비율은, 각각의 먹이 성분에 대하여 0.9∼90 질량%, 바람직하게는 1∼50질량%의 범위 할 수 있다.
<해충 유인 물질>
또, 전술한 물질들과 병용할 수 있는 해충 유인 물질(attractant)의 예로는, 지방산의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 포화 또는 불포화 알코올; 비환원성 전분 가수분해물; 시클로헥실기를 가지는 카르본산 에스테르; 방향성을 가지는 지방산 케톤, 알코올, 알데히드, 락톤, 에스테르; 및 추적 페로몬(trail pheromone)로서 알려진 물질, 즉 (3S, 4R, 6E, 10Z)-3,4,7,11-테트라메틸-트리데카-6,10-디에날,Z-9-헥사데세날, 2,5-디메틸피라진, 3-메틸-2,5-디메틸피라진, Z,E-α-푸라네센, E,E-α-푸라네센 등을 포함한다. 그 사용량은 5 질량% 이하이다.
<그 외의 첨가제>
또한, 제재를 위해, 필요에 따라, 전술한 먹이 성분, 섭식 촉진 물질, 해충 유인 물질, 및 증량제(extender)와 함께, 산화 방지제, 결합제, 흡수제, 보존제, 오식 방지제(accidental ingestion prevention agent), 해충에 대한 유인성을 증강하는 향료 등을 첨가해도 된다.
이하의 시험예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30)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시험예>
<<시험 대상 곤충>>
곰개미(Formica japonica ),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
<<검체(specimen)>>
시험 1에서는, 검체 용기로서 실시예 1의 높이 3.3㎜의 낮은 칸막이(10G)를 구비한 용기 본체(10G)(도 2 참조)를 사용하였고, 대조 검체(control specimen) 용기(1)로서 특허문헌 1의 낮은 칸막이를 구비하지 않는 용기 본체(100)(도 9 참조)를 사용하였다.
시험 2에서는, 검체 용기로서 실시예 1의 높이 3.3㎜의 낮은 칸막이(10G)를 구비한 용기 본체(10G)(도 2 참조)를 사용하고, 대조 검체 용기기(2)로서 참고예의 칸막이벽(400K)을 구비한 용기 본체(400)(도 8 참조)를 사용하였다.
<<방법>>
시험 방법을 이하의 (1)∼(4)에 나타낸다.
(1) 플라스틱 케이스(직경 60cm, 높이 30cm)에 시험대상 곤충 약 50 마리를 방출한다.
(2) 전술한 플라스틱 케이스 내의 바닥면에, 시험 1에서는 검체 용기 및 대조 검체 용기(1)를 배치하고, 시험 2에서는 검체 용기 및 대조 검체 용기(2)를 배치한다.
(3) 전술한 용기 내에 들어온 곤충 수 및 용기 내의 제방부를 넘어 독이제 수납부에 도달한 곤충 수(X)를 카운트한다.
(4) 시험대상 곤충 중 10마리가 들어올 때까지 관찰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 제방 넘은 비율(D)을 산출한다.
제방 넘은 비율(D)={(독이제 수납부 도달 곤충 수 X)/용기 내 들어온 곤충 10마리)}×100
(5)
1) 시험 1에서는,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를 사용하여 2회 실시하고, 평균값을 취하였다.
또한, 곰개미(Formica japonica)를 사용하여 3회 실시하고, 평균값을 취하였다.
2) 시험 2에서는,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를 사용하여 2회 실시하고, 평균값을 취하였다.
<시험 1의 결과>
제방 넘은 비율(D)(%)은 다음과 같았다.
검체 용기(도 2 참조)의 경우,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 D=80, 곰개미(Formica japonica ): D=60
대조 검체 용기(1)(도 9 참조)의 경우,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 D=15, 곰개미(Formica japonica ): D=40
<시험 2의 결과>
제방 넘은 비율(D)(%)은 다음과 같았다.
검체 용기(도 2 참조)의 경우,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 D=80
대조 검체 용기(2)(도 8 참조)의 경우,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 D=20
<도 6의 용기 본체(10)의 경우>
이상은, 검체 용기로서 실시예 1에서의 도 2의 용기 본체(10)를 사용하였으나, 검체 용기로서 실시예 2에서의 도 6의 용기 본체(10)를 사용해도, 도 2의 용기 본체(10)를 사용한 경우와 거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요약>
이상의 시험 1 및 시험 2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본 실시예 1, 2 각각에 따른 용기 본체(10)를 구비한 개미 독이제 용기(30)를 개미의 출몰하는 장소에 설치하면, 개미가 출입구(10E)로부터 개미 독이제 용기(30) 내로 들어가고; 뚜껑체(20)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낮은 칸막이(10G)가 통로 내에 있는 경우에, 놀랍게도 개미는 낮은 칸막이(10G)을 넘지만 제방부(10D)의 주위를 보행하는 행동을 하지 않고, 또한 U턴 하지도 않으며, 많은 수의 개미가 제방부(10D)를 오르기 시작한다. 그 결과, 높은 비율(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80%, 곰개미(Formica japonica) 69%)의 제방을 넘는 개미가 독이제 수납부(10P)에 다리를 넣고, 독이제 수납부(10P) 밖으로 운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어다.
한편, 낮은 칸막이(10G)를 통로 내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도 9의 종래의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100)의 경우에는, 개미가 제방부(100D)의 경사벽(100S)을 오르려고 하는 계기가 없는 납득 가능한 이유는, 개미는 주벽부(100A)와 제방부(100D) 사이의 바닥부(100B)를 통로로 사용하면서 계속 빙빙 보행할 뿐이고, 제방부(100D)의 경사벽(100S)을 오르려고 하는 개미는 적었다는 것이다(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15%, 곰개미(Formica japonica) 40%).
또, 주벽부(400A)와 제방부(400D)의 평탄부(400H) 사이에서, 뚜껑체(20)와의 사이에 공간이 없고 평탄부(400H)의 둘레 방향의 통로를 차단하는 높은 칸막이벽(400K)을 설치한 도 8의 참고예의 개미 독이제 용기의 용기 본체(400)의 경우에는, 개미가 제방부(400D)의 둘레 방향으로 보행할 수 없고, 자신의 전체 높이(H)보다 훨씬 더 높고 우뚝 솟은 칸막이벽(400K)이 개미에게 경계심을 부여하여 U턴하게 만들어, 제방부(400D)의 경사벽(400S)을 오르려고 하는 개미는 적었다(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20%).
이상을 고려하여, 주벽부(10A)와 제방부(10D) 사이에, 개미의 전체 높이(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의 일개미는 체장(body length) 2.5㎜∼3.5㎜, 그리고 곰개미(Formica japonica)의 일개미는 체장 4㎜∼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예를 들면,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s) 등의 소형 개미에는 약 3㎜, 곰개미(Formica japonica)와 같은 대형의 개미는 약 5㎜의 높이이고, 약 2∼5㎜의 범위에서 조절 가능함)로, 뚜껑체(20)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낮은 칸막이(10G)가 형성되는 경우, 많은 개미가 제방부(10D)를 오르기 시작하고, 제방 넘는 비율이 높아진다. 이것은, 개미(300)가 낮은 칸막이(10G)에 맞닥뜨렸을 때, 자신의 전체 높이(H)보다 높은 낮은 칸막이(10G)를 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상부에 공간이 있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칸막이벽(400K)에 맞닥뜨렸을 때와는 달리, 개미는 U턴하지는 것도 낮은 칸막이(10G)을 타고 넘는 것도 아니지만, 옆으로 이동하여 낮은 칸막이(10G)을 우회하는 행동을 취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한 개미 독이제 용기의 실시예의 특징을 각각 이하 [i]∼[iv] 항목에 간결하게 요약하여 열거한다.
[i] 개미 독이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위를 덮는 뚜껑체(20)를 포함하는 개미 독이제 용기(30)로서, 용기 본체(10)는, 평탄한 바닥부(10B); 바닥부(10B)의 에지부의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세로로 배치되고, 복수의 출입구(10E)가 형성된 주벽부(10A); 주벽부(10A)의 내측 공간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된 제방부(10D); 및 제방부(10D)에 의해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둘러싸인 독이제 수납부(10P)를 가지고, 각 출입구(10E) 근방의 주벽부(10A)와 제방부(10D) 사이의 바닥부(10B)에는, 개미가 제방부(10D)를 타고넘도록, 뚜껑체(20)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낮은 칸막이(10G)가 형성되어 있다.
[ii] 상기 [i]에 기재된 개미 독이제 용기는, 독이제 수납부(10P)가 중앙 칸막이벽(10C)에 의해 복수의 독이제 수납부(10P1, 10P2)에 분할되어 있다.
[iii] 상기 [ii]에 기재된 개미 독이제 용기는, 낮은 칸막이(10G)의 높이가 중앙 칸막이벽(10C)에 의해 분할된 독이제 수납부(10P1, 10P2)를 각각 둘러싸는 제방부(10D)의 일부와 상기 주벽부(10A) 사이에 형성된 낮은 칸막이(10G) 각각에서 상이하다.
[iv] [i]∼[ii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미 독이제 용기는, 칸막이(10G)의 높이가 바닥부(10B)로부터 약 2∼5㎜의 범위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이 실시예들은 예시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각각의 구성 요소 및 그 조합에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고 그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 본 출원은 2011년 12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출원번호: 제2011-267273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에 비추어, 본 발명에 따른 개미 독이제 용기는, 출입구 근방에 개미가 제방부를 타고 넘도록 뚜껑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낮은 칸막이를 설치함으로써, 낮은 칸막이가 개미의 보행 행동의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낮은데도 불구하고, 이것이 통로에 있는 것만으로, 놀랍게도 개미는 낮은 칸막이를 타고 넘지만 제방부의 주위를 보행하는 행동을 하지도 않고 U턴하지도 않는다. 그 결과 제방부를 타고 넘는 비율을 높일 수 있다.
10: 용기 본체
10A: 주벽부
10B: 바닥부
10C: 중앙 칸막이 벽
10D: 제방부
10E: 출입구
10G: 낮은 칸막이
10H: 평탄부
10K: 맞물림 오목부
10L: 보조 바
10P, 10P1, 10P2: 독이제 수납부
10S: 경사벽
10T: 돌출부
10W: 수납벽
20: 뚜껑체
20G: 맞물림 부재
20K: 맞물림 돌출부
30: 개미 독이제 용기
10A: 주벽부
10B: 바닥부
10C: 중앙 칸막이 벽
10D: 제방부
10E: 출입구
10G: 낮은 칸막이
10H: 평탄부
10K: 맞물림 오목부
10L: 보조 바
10P, 10P1, 10P2: 독이제 수납부
10S: 경사벽
10T: 돌출부
10W: 수납벽
20: 뚜껑체
20G: 맞물림 부재
20K: 맞물림 돌출부
30: 개미 독이제 용기
Claims (4)
- 개미 독이제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위를 덮는 뚜껑체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평탄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에지부의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세로로 배치되고, 복수의 출입구가 형성된 주벽부(peripheral wall part); 상기 주벽부의 내측 공간에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형성된 제방부; 및 상기 제방부에 의해 전체 둘레의 360도에 걸쳐 둘러싸인 독이제 수납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출입구 근방의 상기 주벽부와 상기 제방부 사이의 상기 바닥부에, 낮은 칸막이(low partition)를 형성하여 상기 뚜껑체와 상기 낮은 칸막이 사이에 공간을 두어 개미가 상기 제방부를 넘도록 하는,
개미 독이제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이제 수납부는 중앙 칸막이 벽에 의해 복수의 독이제 수납부로 분할되어 있는, 개미 독이제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칸막이의 높이는, 상기 주벽부와, 상기 중앙 칸막이 벽에 의해 분할된 독이제 수납부를 각각 둘러싸는 상기 제방부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낮은 칸막이에서 상이한, 개미 독이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칸막이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약 2∼5㎜ 범위인, 개미 독이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67273 | 2011-12-06 | ||
JPJP-P-2011-267273 | 2011-12-06 | ||
PCT/JP2012/081686 WO2013085002A1 (ja) | 2011-12-06 | 2012-12-06 | アリ毒餌剤容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9257A true KR20140099257A (ko) | 2014-08-11 |
Family
ID=4857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4908A KR20140099257A (ko) | 2011-12-06 | 2012-12-06 | 개미 독이제 용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856560B2 (ko) |
KR (1) | KR20140099257A (ko) |
CN (1) | CN103974613B (ko) |
TW (1) | TWM459709U (ko) |
WO (1) | WO20130850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88310A1 (en) * | 2008-05-08 | 2011-04-21 | Christie Parker | Crawling insect bait station with internal bait reservoir seal and simultaneously adjustable insect access port and crawlspace dimensions |
US9713326B2 (en) * | 2014-10-09 | 2017-07-25 | Glenn William Miller | Insect bait application device |
USD912195S1 (en) | 2019-10-23 | 2021-03-02 | S. C. Johnson & Son, Inc. | Bait station |
USD1028165S1 (en) | 2020-11-20 | 2024-05-21 | United Industries Corporation | Insect bait device |
CN116473057B (zh) * | 2023-06-15 | 2023-09-08 | 广东省林业科学研究院 | 油酸乙酯在引诱红火蚁中的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30783U (ko) * | 1974-08-30 | 1976-03-05 | ||
JPH0224470Y2 (ko) * | 1985-07-10 | 1990-07-04 | ||
JPH025746Y2 (ko) * | 1985-08-30 | 1990-02-13 | ||
JPH0423413Y2 (ko) * | 1987-11-26 | 1992-06-01 | ||
US4837969A (en) * | 1988-09-27 | 1989-06-13 | S. C. Johnson & Son, Inc. | Bait station |
JPH04100392U (ko) * | 1991-01-31 | 1992-08-31 | ||
US6216384B1 (en) * | 1995-05-04 | 2001-04-17 | The Clorox Company | Insect bait station |
JP3635593B2 (ja) * | 1996-01-23 | 2005-04-06 | アース製薬株式会社 | 毒餌剤容器 |
US5802761A (en) * | 1996-09-18 | 1998-09-08 | S. C. Johnson & Son, Inc. | Bait station for crawling insects |
JP3755789B2 (ja) * | 1998-05-13 | 2006-03-15 | アース製薬株式会社 | 毒餌剤容器 |
JP2001136888A (ja) * | 1999-11-11 | 2001-05-2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殺蟻剤用容器 |
JP3746016B2 (ja) * | 2002-03-06 | 2006-02-15 |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 ゴキブリ毒餌剤容器 |
JP4480983B2 (ja) * | 2002-11-11 | 2010-06-16 | アース製薬株式会社 | アリ用毒餌剤容器 |
US7043873B2 (en) * | 2003-07-01 | 2006-05-16 | S.C. Johnson & Son, Inc. | Insect dual bait station |
US7165353B2 (en) * | 2003-10-29 | 2007-01-23 | Ecolab Inc. | Insect suppression station |
JP3930009B2 (ja) * | 2004-09-29 | 2007-06-13 | アース製薬株式会社 | アリ用毒餌剤容器 |
WO2005043998A1 (ja) * | 2003-11-07 | 2005-05-19 | Earth Chemical Co., Ltd. | アリ用毒餌剤容器および食餌体用アリ誘引剤組成物 |
JP2009148177A (ja) * | 2007-12-19 | 2009-07-09 | Earth Chem Corp Ltd | 毒餌剤容器 |
-
2012
- 2012-12-06 JP JP2012267351A patent/JP5856560B2/ja active Active
- 2012-12-06 KR KR1020147014908A patent/KR2014009925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12-06 CN CN201280060491.8A patent/CN10397461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2-06 TW TW101223664U patent/TWM459709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2-06 WO PCT/JP2012/081686 patent/WO201308500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856560B2 (ja) | 2016-02-10 |
WO2013085002A1 (ja) | 2013-06-13 |
CN103974613A (zh) | 2014-08-06 |
CN103974613B (zh) | 2016-08-17 |
JP2013138669A (ja) | 2013-07-18 |
TWM459709U (zh) | 2013-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02348B2 (en) | Reusable pesticide bait station | |
US7310908B2 (en) | Insect bait station | |
JP4463325B2 (ja) | 害虫捕獲器 | |
AU756754B2 (en) | Insect bait-and-switch delivery apparatus | |
US20050252074A1 (en) | Bait stations | |
JPH06508506A (ja) | 昆虫監視システム | |
US20080104882A1 (en) | Insect bait station | |
US20110258907A1 (en) | Baited trap | |
KR20140099257A (ko) | 개미 독이제 용기 | |
US20020069579A1 (en) | Liquid bait station with internal wicking action | |
US20080256843A1 (en) | Insect Bait Station | |
JP2004033177A (ja) | 害虫監視駆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監視駆除方法 | |
WO1994022297A1 (en) | Multiple component pest control systems | |
JP3930009B2 (ja) | アリ用毒餌剤容器 | |
JP7079961B2 (ja) | 鼠の駆除方法 | |
WO2005043998A1 (ja) | アリ用毒餌剤容器および食餌体用アリ誘引剤組成物 | |
JP2021078518A (ja) | 飛翔害虫捕獲器 | |
JPH10201408A (ja) | 害虫毒餌収納容器 | |
JPH0453593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