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009A - 홀 플러그 - Google Patents
홀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7009A KR20140097009A KR1020140008228A KR20140008228A KR20140097009A KR 20140097009 A KR20140097009 A KR 20140097009A KR 1020140008228 A KR1020140008228 A KR 1020140008228A KR 20140008228 A KR20140008228 A KR 20140008228A KR 20140097009 A KR20140097009 A KR 20140097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body member
- plug
- hole plug
- flang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02—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 F16J13/14—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attached exclusively by spring action or elastic a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보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10)이다. 홀 플러그(10)는 플랜지부(50)와,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삽입부(60)와, 삽입부(60)에 장착되며 플랜지부(50)와 보디 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용융 가능 부재(4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60)의 외주면에는 보디 부재(20)와 걸어 맞추기 위한 걸림부(64)와,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하는 리브(65)를 가진다.
(해결수단) 보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10)이다. 홀 플러그(10)는 플랜지부(50)와,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삽입부(60)와, 삽입부(60)에 장착되며 플랜지부(50)와 보디 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용융 가능 부재(4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60)의 외주면에는 보디 부재(20)와 걸어 맞추기 위한 걸림부(64)와,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하는 리브(65)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디 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의 보디 패널인 판형상 부재와 홀 플러그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용융 가능 부재를 개재하고서 밀봉하는 홀 플러그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의 2쪽 4란(우측) 8∼26행 및 도 4∼6 참조}.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홀 플러그에서는 용융 가능 부재와 홀 플러그의 삽입부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갈 간극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걸림부에 대응하는 둘레면에 두께를 얇게 한 박육부(薄肉部)를 형성함으로써, 걸림부를 휘어지기 쉽게 할 수 있어 홀 플러그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바닥면의 중앙부에 압압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리브와 걸림부를 삽입부의 외주면에 교호로 배치함으로써, 리브와 걸림부의 역할 분담을 명확화하여 걸림부의 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괄호 내의 부호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부호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도면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예를 들면 도 1∼도 3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10)이다.
둘째로, 홀 플러그(10)는, 예를 들면 도 1∼도 3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플랜지부(50)
(2) 삽입부(60)
삽입부(60)는, 예를 들면 도 1∼도 3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것이다.
(3) 용융 가능 부재(40)
용융 가능 부재(40)는, 예를 들면 도 1∼도 3, 도 17∼도 2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에 장착되며, 플랜지부(50)와 보디 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
셋째로, 삽입부(60)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도 5, 도 10, 도 11,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가진다.
(4) 걸림부(64)
걸림부(64)는, 예를 들면 도 5, 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와 걸어 맞추기 위한 것이다.
(5) 리브(65)
리브(65)는, 예를 들면 도 5, 도 10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하는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삽입부(60)의 바닥면에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64)에 대응하는 둘레면에 박육부(66)를 형성하였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에서 플랜지부(50)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된 압압 볼록부(63)를 형성하였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리브(65)와 걸림부(64)를, 예를 들면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의 외주면에 교호로 배치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걸림부에 대응하는 둘레면에 박육부를 형성함으로써, 걸림부를 휘어지기 쉽게 할 수 있어 홀 플러그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의 중앙부에 압압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브와 걸림부를 삽입부의 외주면에 교호로 배치함으로써, 리브와 걸림부의 역할 분담을 명확화하여 걸림부의 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홀 플러그를 구성하는 플러그 본체와 용융 가능 부재의 측면도 및 보디 부재의 측면도
도 2는 홀 플러그를 구성하는 플러그 본체와 용융 가능 부재의 사시도 및 보디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홀 플러그 및 보디 부재의 측면도
도 4는 플러그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플러그 본체의 측면도
도 6은 플러그 본체의 평면도
도 7은 플러그 본체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C부 확대도
도 11은 도 7의 D부 확대도
도 12는 용융 가능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용융 가능 부재의 측면도
도 14는 용융 가능 부재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F부 확대도
도 17은 홀 플러그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홀 플러그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홀 플러그의 측면도
도 20은 홀 플러그의 평면도
도 21은 홀 플러그의 저면도
도 22는 보디 부재의 측면도
도 23은 홀 플러그의 부착상태의 단면도
도 24는 보디 부재의 리브와 용융 가능 부재의 일부 확대도
도 25는 홀 플러그의 부착상태의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F-F선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보디 부재의 리브와 용융 가능 부재의 일부 확대도
도 2는 홀 플러그를 구성하는 플러그 본체와 용융 가능 부재의 사시도 및 보디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홀 플러그 및 보디 부재의 측면도
도 4는 플러그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플러그 본체의 측면도
도 6은 플러그 본체의 평면도
도 7은 플러그 본체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C부 확대도
도 11은 도 7의 D부 확대도
도 12는 용융 가능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용융 가능 부재의 측면도
도 14는 용융 가능 부재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F부 확대도
도 17은 홀 플러그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홀 플러그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홀 플러그의 측면도
도 20은 홀 플러그의 평면도
도 21은 홀 플러그의 저면도
도 22는 보디 부재의 측면도
도 23은 홀 플러그의 부착상태의 단면도
도 24는 보디 부재의 리브와 용융 가능 부재의 일부 확대도
도 25는 홀 플러그의 부착상태의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F-F선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보디 부재의 리브와 용융 가능 부재의 일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홀 플러그(10)의 구조〉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홀 플러그를 나타내며, 도 1∼도 3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에 삽입되어 당해 관통구멍(21)을 폐색하기 위한 것이다.
관통구멍(21)은, 도 1∼도 3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의 표면과 이면을 관통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21)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장원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홀 플러그(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플러그 본체(30)
(2) 용융 가능 부재(40)
또한, 홀 플러그(10)의 부품은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러그 본체(30)〉
플러그 본체(30)는, 도 1∼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에 장착되며, 상기 관통구멍(21)을 후술하는 용융 가능 부재(40)와 협동하여 폐색하기 위한 것이다.
플러그 본체(30)는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플러그 본체(30)를 TPE에 의해서 성형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러그 본체(30)는, 도 4∼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플랜지부(50)
(2) 삽입부(60)
또한, 플러그 본체(30)의 각 부분은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융 가능 부재(40)〉
용융 가능 부재(40)는, 도 1∼도 3, 도 12∼도 2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에 장착되며, 플랜지부(50)와 보디 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
용융 가능 부재(40)는 열연화성을 가지는 열연화성 수지, 예를 들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 수지(EVA)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용융 가능 부재(40)를 EVA에 의해서 성형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융 가능 부재(40)는, 도 12∼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판형상이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링 형상 내지는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심구멍(41)을 형성하고 있다.
중심구멍(41)의 내경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30)의 후술하는 삽입부(60)의 외경보다 한층 더 작게 설정하고 있다. 또, 용융 가능 부재(40)의 외경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30)의 후술하는 플랜지부(50)의 외경보다 한층 더 크게 설정하고 있다.
또, 용융 가능 부재(40)에는, 도 12, 도 13, 도 17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태브(tab)(42)를 형성하고 있다. 태브(42)는 용융 가능 부재(40)의 직경방향으로 1쌍 형성되며, 플랜지부(50)의 외주보다 크게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50)〉
플랜지부(50)는, 도 4∼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흡판(빨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융 가능 부재(40)를 사이에 두고서 보디 부재(20)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것이다.
플랜지부(50)는, 도 4∼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후술하는 원통형의 외주벽(61)의 상단부에서 보디 부재(20)의 표면으로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삽입부(60)〉
삽입부(60)는, 도 4∼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것이다.
삽입부(60)는, 도 4∼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외주벽(61)
(2) 바닥벽(62)
(3) 압압 볼록부(63)
(4) 걸림부(64)
(5) 리브(65)
(6) 박육부(66)
또한, 삽입부(60)의 각 부분은 상기한 (1)∼(6)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주벽(61)〉
외주벽(61)은, 도 5 및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가 플랜지부(50)에 연접되어 있다.
외주벽(61)의 외경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의 내경과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벽(61)은,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62)〉
바닥벽(62)은, 도 4 및 도 6∼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링 형상 내지는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外周緣)이 원통형의 외주벽(61)의 하단부에 연이어 형성된다.
〈압압 볼록부(63)〉
압압 볼록부(63)는, 도 4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되 바닥면에서 플랜지부(50)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삽입부(60)를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에 압입할 때에 사용된다.
압압 볼록부(63)는 그 상면이 폐색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링 형상 내지는 도너츠 형상의 바닥벽(62)의 내주연에 연이어 형성된다.
〈걸림부(64)〉
걸림부(64)는, 도 5, 도 7, 도 9, 도 1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보디 부재(20)와 걸어 맞추기 위한 것이다.
걸림부(6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벽(61)의 외주면에서 돌조 형상으로 돌출되며,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예를 들면 5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64)는, 도 9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플랜지부(50)의 하면에서부터 하측으로 떨어져서 대향하고, 그 경사면을 하측으로 향하게 한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부(6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하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64)를 5개 형성하였으나, 적어도 배향되게 1쌍 이상 있으면 좋고, 2∼4개 혹은 6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리브(65)〉
리브(65)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외주면에 위치하되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즉, 삽입부(60)의 외주면과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하는 것이다.
리브(65)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외주면에 걸림부(64)와 교호로 배치되며, 걸림부(64)와 마찬가지로 5개 형성되어 있다.
리브(6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플랜지부(50)의 하면에 연접되고, 하측으로 향해서 삽입부(60)의 높이의 도중까지 연장되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선상(線狀)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리브(65)의 돌출방향의 높이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일정하고, 그 하단부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薄肉部)(66)〉
박육부(66)는, 도 4,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0)의 바닥면에 위치하되 걸림부(64)에 대응하는 둘레면에 형성되며, 걸림부(64)를 휘어지기 쉽게 하는 것이다.
박육부(66)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벽(61)의 하단부에 연접하는 바닥벽(62)의 외주연부에 위치하며, 바닥벽(62)의 상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다. 박육부(66)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외주벽(61)으로 향해서 넓어지는 부채꼴 형상 내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66)는, 걸림부(64)와의 관계에서는 외주벽(61)을 사이에 두고서 내주측에 위치하며, 걸림부(64)와 마찬가지로 5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박육부(66)를 걸림부(64)와 마찬가지로 5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걸림부(64)를 1개씩 건너뛰어서 형성하는 등 걸림부(64)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하여도 좋다. 또, 리브(65)는 휨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박육부(66)를 형성하지 않았으나, 리브(65)를 휘어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박육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홀 플러그(10)의 장착방법〉
이어서, 상기 구성을 구비한 홀 플러그(10)를 사용하여, 도 17∼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을 폐색하는 장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 본체(30)의 삽입부(60)에 용융 가능 부재(40)를 장착한다. 즉, 용융 가능 부재(40)의 중심구멍(41)에 플러그 본체(30)의 삽입부(60)를 맞추고서 끼워 넣는다.
플러그 본체(30)의 삽입부(60)를 끼워 넣으면, 용융 가능 부재(40)의 내경이 삽입부(60)의 외경보다 한층 더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60)가 중심구멍(41)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외측으로 벌리면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용융 가능 부재(40)가 걸림부(64)를 타고 넘어서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64)에 의해서 용융 가능 부재(40)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용융 가능 부재(40)는 플러그 본체(30)의 플랜지부(50)의 하측까지, 즉 플랜지부(50)와 맞닿는 위치까지 깊이 끼워지게 된다.
삽입부(60)를 끼워 넣는 힘을 해제하면, 용융 가능 부재(40)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서 그 중심구멍(41)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삽입부(6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삽입부(6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 다음, 플러그 본체(30)의 삽입부(60)를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에 맞추고서 삽입한다.
삽입부(60)를 삽입하면, 그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64)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30)의 압압 볼록부(63)를 손으로 밀어 넣으면, 걸림부(64)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눌려져서 박육부(66)의 개소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즉 삽입부(60)의 직경이 축소되게 됨으로써 걸림부(64)가 관통구멍(21)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리브(65)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눌려져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어지게 됨으로써,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즉, 삽입부(60)의 외주면과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에} 공극(70)이 발생한다.
걸림부(64)가 관통구멍(21)을 통과하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걸림부(64)가 복원(돌출)되어 보디 부재(20)의 이면(즉, 도 23에 있어서의 하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삽입부(60)가 관통구멍(21)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보디 부재(20)의 표면(즉, 도 23에 있어서의 상면)에는 용융 가능 부재(40)를 사이에 두고서 플랜지부(50)가 탄성적으로 맞닿게 된다.
따라서, 보디 부재(20)는 플랜지부(50)와 걸림부(64)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되게 된다.
그리고,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 근방을 전체적으로 가열한다.
보디 부재(20)를 가열하면, 용융 가능 부재(40)가 용융되어 플랜지부(50)의 하면과 보디 부재(20)의 표면의 사이 및 삽입부(60)의 외주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사이로 용융 수지가 흘러들어가게 되고, 그 후 응고됨으로써, 플러그 본체(30)와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의 사이를 밀봉함과 아울러, 플러그 본체(30)를 보디 부재(20)에 고정한다.
또, 용융 수지는 삽입부(60)의 외주면과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에 발생 한 공극(70)(도 26 참조)으로 흘러들어가서 상기 공극(70)을 폐색한다.
또한, 용융 수지는 삽입부(60)의 외주면과 용융 가능 부재(40)의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면, 이 "간극"으로도 흘러들어가서 이 "간극"을 폐색한다.
공극(70)으로 흘러들어간 용융 수지는, 그 후 응고됨으로써, 플랜지부(50)의 하면, 삽입부(60)의 외주면 및 보디 부재(20)의 표면에 밀착되며, 삽입부(60)의 외주면과 관통구멍(21)의 내연부의 사이를 밀봉함과 아울러, 보디 부재(20)에 대해서 플러그 본체(30)를 고정한다.
또한, 용융 가능 부재(40)가 용융되어 연화되면, 플랜지부(50)가 초기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기 때문에, 용융 수지가 플랜지부(50)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사이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매우 적합하게 유지된다.
이때, 플랜지부(50)의 복원력에 의해서 용융 수지가 압압되어 상기 플랜지부(50)와 관통구멍(21)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사이를 매우 적절하게 충색(充塞)되기 때문에, 양자의 사이를 확실하기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는, 보디 부재(20)가 자동차의 보디 패널인 경우, 디핑 도장의 건조시의 가열과정에서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용융 가능 부재(40)의 단독 가열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7의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도 2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24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리브(65)가 휘어지지 않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상태를 유지한 경우에도 용융 가능 부재(40)의 중심구멍(41)의 개구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보디 부재(20)의 관통구멍(21)의 내경이 큰 경우나 리브(65)의 강성이 높은 경우에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65)가 돌출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용융 가능 부재(40)의 중심구멍(41)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리브(65)를 타고 넘음으로써, 양자의 사이에 공극(70)이 발생한다. 발생한 공극(70)에는 가열시에 용융 가능 부재(40)의 용융된 용융 수지가 흘러들어가서 상기 공극(70)을 폐색함으로써 밀봉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0 - 홀 플러그 20 - 보디 부재
21 - 관통구멍 30 - 플러그 본체
40 - 용융 가능 부재 41 - 중심구멍
42 - 탭 50 - 플랜지부
60 - 삽입부 61 - 외주벽
62 - 바닥벽 63 - 압압 볼록부
64 - 걸림부 65 - 리브
66 - 박육부 70 - 공극
21 - 관통구멍 30 - 플러그 본체
40 - 용융 가능 부재 41 - 중심구멍
42 - 탭 50 - 플랜지부
60 - 삽입부 61 - 외주벽
62 - 바닥벽 63 - 압압 볼록부
64 - 걸림부 65 - 리브
66 - 박육부 70 - 공극
Claims (4)
- 보디 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로서,
상기 홀 플러그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보디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용융 가능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디 부재와 걸어 맞추기 위한 걸림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플러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둘레면에 박육부(薄肉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플러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된 압압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플러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걸림부를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교호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12861 | 2013-01-28 | ||
JP2013012861A JP6067390B2 (ja) | 2013-01-28 | 2013-01-28 | ホールプラ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7009A true KR20140097009A (ko) | 2014-08-06 |
KR101528095B1 KR101528095B1 (ko) | 2015-06-10 |
Family
ID=5122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8228A KR101528095B1 (ko) | 2013-01-28 | 2014-01-23 | 홀 플러그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67390B2 (ko) |
KR (1) | KR101528095B1 (ko) |
CN (1) | CN104937316B (ko) |
WO (1) | WO201411587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46132B2 (ja) * | 2020-03-13 | 2024-03-08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ホールプラグ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67253A (en) * | 1980-01-11 | 1981-07-22 | United Carr Ltd | Aperture plug |
DE3713503C1 (de) * | 1987-04-22 | 1988-01-14 | United Carr Gmbh Trw | Verschlussdeckel aus Kunststoff |
JPH01106374U (ko) * | 1988-01-07 | 1989-07-18 | ||
JPH0714692Y2 (ja) * | 1989-09-20 | 1995-04-10 | 株式会社ニフコ | ホールプラグ |
FR2682072B1 (fr) * | 1991-10-04 | 1997-04-18 | Itw De France | Obturateur a souder par collage pour ouverture pratiquee dans une tole, notamment de carrosserie automobile. |
FR2731984B1 (fr) * | 1995-03-21 | 1997-04-30 | Rapid Sa | Bouchon d'obturation d'une ouverture quelcon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bouchon |
DE60204131T2 (de) * | 2002-06-19 | 2006-02-02 | I.T.W. España, S.A., Las Franquesas del Valles | Verschlussdeckel zum Verschliessen von Öffnungen |
DE10231274A1 (de) * | 2002-07-10 | 2004-01-22 | Newfrey Llc, Newark | Einsatzteil für eine Wandöffnung, insbesondere an einer Fahrzeugkarosserie |
US7048486B2 (en) * | 2002-07-10 | 2006-05-23 | Newfrey Llc | Insert part for a wall opening, in particular on a vehicle body |
JP4896679B2 (ja) * | 2006-11-24 | 2012-03-14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ホールプラグ |
JP5243914B2 (ja) * | 2008-10-08 | 2013-07-24 | 株式会社ニフコ | ホールプラグ |
JP2011064296A (ja) * | 2009-09-18 | 2011-03-31 | Nifco Inc | ホールプラグ |
JP5832186B2 (ja) * | 2010-09-03 | 2015-12-16 | 株式会社ニフコ | ホールプラグ |
ES2415758B1 (es) * | 2011-06-20 | 2014-09-09 | Illinois Tool Works, Inc. | Tapón obturador de orificios |
-
2013
- 2013-01-28 JP JP2013012861A patent/JP6067390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1-23 KR KR1020140008228A patent/KR1015280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1-27 WO PCT/JP2014/051697 patent/WO201411587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1-27 CN CN201480005620.2A patent/CN104937316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15877A1 (ja) | 2014-07-31 |
CN104937316A (zh) | 2015-09-23 |
JP2014145382A (ja) | 2014-08-14 |
KR101528095B1 (ko) | 2015-06-10 |
JP6067390B2 (ja) | 2017-01-25 |
CN104937316B (zh) | 2019-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62166B2 (en) | Hole plug | |
US20140182928A1 (en) | Sealing element and connecting housing having a sealing element | |
US9290210B2 (en) | Hot melt plug | |
US20160264186A1 (en) | Hole plug | |
WO2014021274A1 (ja) | ホールプラグ | |
JP2013048019A (ja) | 防水型コネクタ | |
JP2015032560A (ja) | フェライトコア内蔵防水コネクタ | |
KR101528095B1 (ko) | 홀 플러그 | |
US9209536B2 (en) | Mounting structure for board connector | |
WO2014088043A1 (ja) | ホールプラグ | |
JP2012237381A (ja) | ホールプラグ | |
JP2011028988A (ja) | コネクタ | |
JP5242509B2 (ja) | ホールプラグ | |
WO2019097952A1 (ja) | 組み立て体 | |
JP6285681B2 (ja) | 取付孔への係止具 | |
JP2015032497A (ja) | 機器用コネクタ | |
JP2009290974A (ja) | クランプ | |
JP2017107758A (ja) | 電池保持装置 | |
JP6530190B2 (ja) | 二重筒体 | |
KR20120132329A (ko) | 전해 콘덴서용 밀봉체 및 전해 콘덴서 | |
JP5996369B2 (ja) | プレート一体ガスケット | |
JP2012248574A (ja) | 電解コンデンサ用封口体及び電解コンデンサ | |
JP5496785B2 (ja) | 素子の取付構造 | |
KR20130004907U (ko) | Led 전구용 소켓 | |
CN112392955A (zh) | 密封塞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