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957A -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와, 이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 - Google Patents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와, 이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957A
KR20140096957A KR1020130089750A KR20130089750A KR20140096957A KR 20140096957 A KR20140096957 A KR 20140096957A KR 1020130089750 A KR1020130089750 A KR 1020130089750A KR 20130089750 A KR20130089750 A KR 20130089750A KR 20140096957 A KR20140096957 A KR 20140096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verflow
tank
vacuum breaker
automatic fl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 첸
지시옹 핑
웨이민 잉
Original Assignee
듀라비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라비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듀라비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9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10Device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pipes, e.g. means for aerating 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C1/106Device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pipes, e.g. means for aerating self-closing flushing valves using two or more check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10Device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pipes, e.g. means for aerating 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C1/108Device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pipes, e.g. means for aerating self-closing flushing valves having an aerating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와, 이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가 개시된다.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는 탱크의 또는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를 변기에 연결하는 오버플로우 통로를 갖는다. 오버플로우 통로는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림 출구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오버플로우 라인 및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제트 출구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과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문제가 해결되며, 오버플로우 발생시 진공 브레이커 내의 거품 발생 문제도 해결된다.

Description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와, 이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AUTOMATIC FLUSHING SYSTEM FOR TOILET AND ELECTRONIC BIDET TOIL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기용 자동 플러싱(flushing) 장치와, 이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electronic bidet toilet; EBT)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EBT)의 탱크에 있어서, 물의 추가적인 증가로 인해 물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도록 탱크 내의 수위가 플러싱 과정 후 낮아질 때, 전자기식 입구 밸브를 작동시키고, 수위가 기설정된 레벨로 상승할 때 전자기식 입구 밸브를 비작동시키는,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가 제공된다. 플로트 스위치 또는 전자기식 입구 밸브가 기능 불량인 경우에, 탱크 내의 물은 탱크 커버를 갖는 인터페이스(interface) 또는 탱크의 측벽 내의 통기구(vent hole)로부터 누출될 수 있다.
게다가, 진공 브레이커(vacuum breaker)는 폐수의 역류(reflux)를 방지하기 위해 변기의 워터 인렛 라인(water inlet line)에 배치되고, 또한 진공 브레이커는 오버플로우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문제에 있어서, 종래의 해결책은 진공 브레이커 내의 과잉수가 오버플로우 관(overflow tube)을 통해 탱크 내로 유동하도록 오버플로우 관을 통해 진공 브레이커의 공기 주입구를 탱크의 통풍구와 연결시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해결책은 탱크 및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또한, 오버플로우 발생시 진공 브레이커 내에서 거품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의 탱크 및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탱크 및 진공 브레이커를 포함하고,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 또는 진공 브레이커를 변기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통로를 더 포함하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통로는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overflow port)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림 출구(rim outlet)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오버플로우 라인, 및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제트 출구(jet outlet)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통로는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제트 출구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오버플로우 라인, 및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림 출구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제1 오버플로우 라인은 상기 제1 오버플로우 라인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의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1 체크 밸브를 구비하고,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은 상기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의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체크 밸브를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 제1 체크 밸브는 수직하게 장착되며, 그 단부는 상향으로 배치된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로 개방되고, 제2 체크 밸브는 수직하게 장착되며, 그 단부는 상향으로 배치된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로 개방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체크 밸브 각각은 밸브 시트(valve seat) 및 밸브 시트 하부의 플로우팅 볼(floating ball)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전술한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EBT)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 또는 림 출구를 갖는 진공 브레이커 또는 변기의 제트 출구를 연결시키는 오버플로우 통로(overflow passage)가 배치됨으로써, 탱크 또는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오버플로우 발생시 진공 브레이커 내의 거품도 제거된다.
게다가, 오버플로우 통로 내의 체크 밸브, 특히 진공 브레이커용 오버플로우 라인이 배치됨으로써 플러싱 시에(during flushing) 오버플로우 통로를 경유하는 폐수의 역류가 방지된다.
게다가, 플로우팅 볼 상에 배치된 밸브 시트를 갖는 오버플로우 라인에서 체크 밸브가 수직하게 장착됨으로써, 역류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 내에 이용된 체크 밸브의 구조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화장실 사용 후 자동 플러싱이 가능한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EBT)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실 사용 후 사용자가 막 떠났다는 것을 감지할 때 적외선 유도 프로브(infrared inductive probe)는 플러싱을 시작하기 위해 탱크의 전면 측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압력 센서는 변기 시트 상의 착석 상태와 사용자의 떠남을 감지하고 그에 맞춰 플러싱을 시작하기 위해 변기 시트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는 탱크(1)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1) 내부의 플로우트(float)와 연결된, 플로우트 스위치(2)는 탱크(1)에 부착된다. 플러싱 후, 탱크(1) 내의 수위는 낮아지고, 그에 맞춰 플로우트는 중력으로 인해 하강한다. 그 후, 플로우트 스위치(2)가 켜지고, 전자기식 입구 밸브(3)는 상응하여 개방되며, 물 공급 파이프로부터의 수돗물은 워터 인렛 라인(4)을 통해 탱크(1) 내로 유동한다. 탱크(1) 내부의 물이 증가하면서, 부력이 중력을 초과할 때, 플로우트 스위치는 상승한다. 플로우트 스위치가 기설정된 수위로 상승할 때, 플로우트 스위치(2)는 꺼지고 전자기식 주입구 밸브(3)는 상응하여 차단되며 탱크(1)의 물의 유입은 중단된다.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부압 발생 시에 워터 인렛 라인(4) 내에서 폐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진공 브레이커(5)는 워터 인렛 라인(4) 내에 배치된다. 정상 상태에서, 진공 브레이커(5)는 플레이트에 의해 덮인 공기 주입구(6)를 갖는다. 워터 인렛 라인(4) 내에서 부압 발생시, 플레이트는 외부 대기압의 작용하에 밀려나고, 외부 공기는 워터 인렛 라인(4) 내에서 부압을 보충하기 위해 공기 주입구(6)를 통해 진공 브레이커(5)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마스터 차단 밸브(7), 필터(8) 및 역류 방지용 유동 조절 장치(9)는 물 공급 라인과 진공 브레이커(5) 사이에 배치되고,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구조와 기능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그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탱크(1)의 출구 또는 플러싱 포트는 압력 펌프(10)를 통해 분배 밸브(11)에 연결된다. 분배 밸브(11)는 스텝 모터(M)의 제어하에 탱크(1)로부터 물을 전환시키고, 물은 제1 어댑터(12)와 제1 호스(13)를 통해 변기의 림 출구로 선택적으로 유동하거나 제2 어댑터(14)와 제2 호스(15)를 통해 변기의 제트 출구로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스텝 모터(M)와 분배 밸브(11)는 탱크(1)로부터의 물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물은 변기의 림 출구와 변기의 제트 출구로 유동하며, 그 사이의 유량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연결된 탱크(1) 또는 플로우트 스위치(2)에서 플로우트가 기능 불량인 경우, 또는 전자기식 입구 밸브(3)가 기능 불량인 경우, 물은 탱크(1) 내로 계속 유동할 수 있으며, 탱크(1) 내의 과잉수는 탱크 커버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누출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는 탱크(1) 내의 탱크 오버플로우 포트 및 탱크 오버플로우 포트와 제1 어댑터(12)를 연결하는 제1 오버플로우 라인(16)을 포함한다. 탱크 오버플로우 포트는 플로우트 스위치(2)가 꺼진, 기설정된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탱크 내부에 배치된다.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가 정상적인 작동상태일 때, 탱크(1) 내의 수위는 기설정된 수위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고, 제1 오버플로우 장치는 작동되지 않는다. 플로우트 및 유사한 제품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탱크(1)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초과하고 탱크 오버플로우 포트에 도달할 때, 과잉수는 탱크 오버플로우 포트로부터 제1 오버플로우 라인(16)을 통해 제1 어댑터(12)로 유동하며, 그 후 제1 호스(13)를 통해 변기의 림 출구로 유동하고 변기 내로 유입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오버플로우 장치는 제1 오버플로우 라인(16) 내에 제1 체크 밸브를 더 제공한다. 제1 체크 밸브(17)는 탱크 오버플로우 포트로부터 제1 어댑터(12)의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개방되고, 제1 어댑터(12)로부터 탱크 오버플로우 포트의 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한다.
진공 브레이커(5)의 오버플로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는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와 제2 어댑터(14)에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가 연결된 제2 오버플로우 라인(18)을 포함하는, 제2 오버플로우 장치가 더 제공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오버플로우 장치는 제2 오버플로우 라인(18) 내에서 제2 체크 밸브(19)를 제공한다. 제2 체크 밸브(19)는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로부터 제2 어댑터(14)의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개방되고 제2 어댑터(14)로부터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 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한다. 진공 브레이커(5) 내의 과잉수는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로부터 유출되고 제2 오버플로우 라인(18)을 통해 제2 어댑터(14)로 유동하며, 그 후 제2 호스(15)를 통해 변기의 제트 출구로 유동하며 변기 내로 유입된다.
도 2는 제1 체크 밸브(17) 및 제2 체크 밸브(19)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체크 밸브는 수직하게 장착되며 밸브 시트(20)와 밸브 시트(20) 하부에 위치된 플로우팅 볼(21)을 구비한다. 탱크 오버플로우 포트로 개방되는 제1 체크 밸브(17)의 일단부는 상향으로 배치되고, 변기의 림 출구로 개방되는 다른 하나의 단부는 하향으로 배치된다. 탱크(1) 또는 진공 브레이커(5)로부터의 물의 오버플로우 현상은 플로우팅 볼(21)을 밸브 시트(20)로부터 하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체크 밸브는 변기의 림 출구 또는 제트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플러싱 시에 제1 오버플로우 라인(16) 또는 제2 오버플로우 라인(18) 내로 유동하는 플러싱 물(flushing water)은 밸브 시트(20)에 대해 상향으로 플로우팅 볼(21)에 압력을 가한다. 비플러싱 상태(non-flushing state) 또는 워터 인렛 라인(4) 내의 부압으로 인해 역류가 발생할 때라도, 제1 오버플로우 라인(16) 또는 제2 오버플로 라인(18)에서의 폐수의 부력은 밸브 시트(20)에 대해 플로우팅 볼(21)에 압력을 가할 것이다. 따라서, 체크 밸브는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 또는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를 향한 방향으로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의해 오버플로우 장치를 통해 탱크 또는 진공 브레이커 내로의 폐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기재된 전술한 실시예에서, 탱크(1)의 오버플로우 포트는 제1 오버플로우 라인(16)을 통해 변기의 림 출구에 연결되고, 진공 브레이커(5)의 오버플로우 포트는 제2 오버플로우 라인(18)을 통해 변기의 제트 출구에 연결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오버플로우 라인(16)은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와 변기의 제트 출구를 연결시킬 수 있고, 제2 오버플로우 라인(18)은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와 변기의 림 출구를 연결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는 제1 탱크(1)용 오버플로우 장치 및 제2 진공 브레이커(5)용 오버플로우 장치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를 림 출구와 연결시키거나 변기의 제트 출구와 연결시키는 단지 하나의 오버플로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를 변기의 제트 출구 또는 림 출구와 연결시키는 단지 하나의 오버플로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전술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개선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를 참조하여 획득될 수 있다. 기술된 내용 및 실시예들은 단지 모범적으로 고려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 및 그의 동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1. 탱크
2. 플로우트 스위치
3. 전자기식 입구 밸브
4. 워터 인렛 라인
5. 진공 브레이커
6. 공기 주입구
7. 마스터 차단 밸브
8. 필터
9. 역류 방지용 유동 조절 장치
10. 압력 펌프
11. 분배 밸브
12. 제1 어댑터
13. 제1 호스
14. 제2 어댑터
15. 제2 호스
16. 제1 오버플로우 라인
17. 제1 체크 밸브
18. 제2 오버플로우 라인
19. 제2 체크 밸브
20. 밸브 시트
21. 플로우팅 볼

Claims (7)

  1. 탱크 및 진공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통로가 상기 탱크 또는 상기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를 변기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통로는,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림 출구(rim outlet)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오버플로우 라인; 및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제트 출구(jet outlet)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통로는,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변기의 제트 출구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1 오버플로우 라인; 및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와 상기 변기의 림 출구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버플로우 라인은 상기 제1 오버플로우 라인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의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1 체크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은 상기 제2 오버플로우 라인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의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는 수직하게 장착되며, 그 단부는 상향으로 배치된 상기 탱크의 오버플로우 포트로 개방되고,
    상기 제2 체크 밸브는 수직하게 장착되며, 그 단부는 상향으로 배치된 상기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포트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크 밸브 각각은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시트 하부의 플로우팅 볼(floating ball)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
KR1020130089750A 2013-01-28 2013-07-29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와, 이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 KR20140096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0456123U CN203200865U (zh) 2013-01-28 2013-01-28 座便器自动冲水系统及电子座便器
CN201320045612.3 2013-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57A true KR20140096957A (ko) 2014-08-06

Family

ID=4887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750A KR20140096957A (ko) 2013-01-28 2013-07-29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와, 이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08496A1 (ko)
EP (1) EP2759645A3 (ko)
JP (1) JP2014145246A (ko)
KR (1) KR20140096957A (ko)
CN (1) CN203200865U (ko)
TW (1) TW2014301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6452B1 (es) * 2014-10-09 2016-10-13 Roca Sanitario, S. A. Dispositivo para un asiento de un inodoro con funciones de bidé, e inodoro y asiento de inodoro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CN109235579B (zh) * 2018-10-22 2023-09-19 恒洁智能卫浴(深圳)有限公司 冲水压力损失阻止组件和水箱
JP7475237B2 (ja) 2020-08-04 2024-04-26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6508B2 (ja) * 1999-12-22 2008-12-17 Toto株式会社 洗浄水供給装置
TW200533813A (en) * 2004-03-31 2005-10-16 Toto Ltd Vacuum breaker, feed valve device with the vacuum breaker, and flush toilet stool
KR101356186B1 (ko) * 2006-08-31 2014-01-24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JP4110578B1 (ja) * 2006-12-28 2008-07-0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013316B2 (ja) * 2007-06-28 2012-08-29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130802B2 (ja) * 2007-06-28 2013-01-30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200865U (zh) 2013-09-18
US20140208496A1 (en) 2014-07-31
EP2759645A2 (en) 2014-07-30
TW201430193A (zh) 2014-08-01
JP2014145246A (ja) 2014-08-14
EP2759645A3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0845A (en) Float valve assembly with flow control and volume balancing means
PT1979552E (pt) Instalação para a reciclagem de águas sanitárias
US9637899B2 (en) Vacuum breaker, automatic flushing system for toilet and electronic bidet toilet
JP5130802B2 (ja) 水洗便器
CA2372076C (en) Flush control apparatus
US2271419A (en) Valve construction
US2324084A (en) Backflow preventer
KR20140096957A (ko) 변기용 자동 플러싱 장치와, 이를 갖는 전자식 비데 장착형 변기
KR10120814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JP2009002075A (ja) 水洗便器
GB2505744A (en) Toilet cistern for capturing condensate from air conditioning units
JP2006077531A (ja) 全自動排水再利用装置
CN107975117B (zh) 一种马桶
CN109083234B (zh) 一种利用虹吸的下水排放装置及排放方法
JP2015068121A (ja) 水洗大便器装置
JP2014070415A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
CN210315847U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JP2018100574A (ja) 水洗大便器
CN207037490U (zh) 马桶用溢水传感总成
US6205595B1 (en) Supplemental tank for use with low flow volume toilet
WO2015035104A1 (en) Siphonic overflow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JP7321425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便器装置
CN108442082B (zh) 智能洗衣机的泡沫防溢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3029018A (ja) 水洗大便器
CN215858047U (zh) 一种马桶水箱节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