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025A -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 Google Patents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025A
KR20140096025A KR1020147007905A KR20147007905A KR20140096025A KR 20140096025 A KR20140096025 A KR 20140096025A KR 1020147007905 A KR1020147007905 A KR 1020147007905A KR 20147007905 A KR20147007905 A KR 20147007905A KR 20140096025 A KR20140096025 A KR 2014009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holding portion
rotation
shaft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후쿠시마
타로 후쿠나가
Original Assignee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01C10/36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structurally combined with switc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조작부(110)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부(100S)를 형성하도록 외경이 작게 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유지부(120)와 그 유지부(120)로부터 더욱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부(130)를 가지는 회동 조작축(100)과, 유지부(120)가 삽입통과되고 그것을 회동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축 구멍(230)을 가지고 일단이 단차부(100S)와 대향하는 베어링(200)을 포함하고, 베어링(200)의 타단에, 구동부(130)에 고정된 회전자(700)의 회동에 의해 신호 제어를 행하는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600)가 설치되어 있고, 베어링(200)은 그 일단에 있어서 축 구멍(230)의 내주 가장자리에, 외측을 향하여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200T)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면(200T)과 단차부(100S)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탄성 링(300)이 유지부(120)에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 구조.

Description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BEARING STRUCTURE FOR ROTARY CONTROL-TYPE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주로 무선 기기와 같은 휴대형 전자 기기의 회전형 스위치나 가변 저항기로서 사용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형 스위치나 가변 저항기 등에서 채용하고 있는 베어링 구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에 샤프트가 삽입되기만 한 구조였다. 그 때문에 축의 스러스트 방향이나 래디얼 방향의 덜컥거림을 저감하는 구성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덜컥거림은 베어링과 축의 치수 정밀도에 의해 결정되고 있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케이스의 내벽면과 회동체의 외주면 사이에 방수를 위한 O링을 끼운 베어링 구조를 가지는 로터리 스위치가 나타나 있다. 그 베어링 구조는 래디얼 방향의 덜컥거림을 억제할 수 있지만, 축방향의 덜컥거림을 억제할 수 없다.
일본 특허공보 제4759071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2-168607호 일본 특허공보 제3698270호
휴대형 전자 기기의 회전형 스위치는 소형화가 요구되면서도, 그 조작 손잡이는 조작 용이성을 만족할 정도로 큰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손잡이 조작 위치에서의 축 덜컥거림은 손잡이의 크기에 의해 증대되고, 조작자에 대하여 손잡이 조작시에 원활한 감촉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서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축방향 및 래디얼 방향의 덜컥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는, 원기둥 형상의 조작부와 그 조작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부를 형성하여 외경이 작게 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유지부와 유지부로부터 더욱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동 조작축과, 유지부가 삽입통과되고 그것을 회동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축 구멍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단차부와 대향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베어링의 타단은, 상기 구동부에 고정된 회전자의 회동에 의해 신호 제어를 행하는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고, 베어링은 그 일단에 있어서 축 구멍의 내주(內周) 가장자리에, 외측을 향하여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테이퍼면과 상기 단차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탄성 링이 유지부에 장착되어 있고, 유지부의 구동부측 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 홈에 고정 링이 장착되고 베어링의 타단과 걸어맞춰짐으로써 회동 조작축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또는, 상기 테이퍼면을 회동 조작부와 유지부 사이의 단차부에 형성하고, 축 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내경이 확대된 받이 홈을 형성하고, 받이 홈과 테이퍼면 사이에 탄성 링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구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차부를 형성하는 각부에 대하여, 테이퍼면에 의해 탄성 링을 압압하는 외력은 축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분배되므로, 축방향 및 반경 방향의 덜컥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예인 회전형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홀더(6)의 수용 오목부(23)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예인 가변 저항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있어서의 홀더(6')의 수용 오목부(23)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5에 있어서의 홀더(6')의 수용 오목부(23)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전자(7')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예인 회전형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회전 스위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에 있어서의 클릭 스프링과 그것을 부착하기 전의 클릭 스프링 지지판의 사시도이며, 도 11B는 클릭 스프링을 부착한 후의 클릭 스프링 지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0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상면도이며, 도 12B는 도 10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단면도이며, 도 12C는 도 10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하면도이다.
도 13A는 도 10에 있어서의 상측 및 하측 접촉편의 연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B는 연결 패턴을 접어 겹쳐 형성한 슬라이딩 접촉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하측 홀더의 하면도이며, 도 14B는 상측 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스위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베어링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6B는 도 16A의 베어링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구조를 적용한 회전형 스위치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 1에 나타내고, 그 축방향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이 회전형 스위치는 원기둥 형상의 회동 조작축(10)과, 그 회동 조작축(10)이 삽입통과되는 베어링(20)과, 회동 조작축(10)에 장착 고정되어 회동되는 회전자(7)와, 홀더(6)를 가지고 있다.
회동 조작축(10)은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모따기된 외주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조작부(11)와, 조작부(11)의 일단으로부터 직경이 작게 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유지부(12)와, 유지부(12)의 일단으로부터 직경이 더욱 작게 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구동부(13)를 동일 축에 가지고 있다. 조작부(11)의 유지부(12)측 단면과 유지부(12)의 외주면은 직교하고, 단차부(10S)를 형성하고 있다. 유지부(12)의 조작부(11)로부터 반대측의 단면에 인접하여 외주에 환형상 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3)는 축 중심선을 끼우고 양측이 축방향과 평행하게 모따기되고, 따라서 축 중심선과 직각인 단면은 사변형의 대향 2변이 원호로 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베어링(20)은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회동 조작축(10)의 조작부(1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유지부(12)가 삽입통과되는 축 구멍(24)을 가지는 원통부(21)와, 원통부(21)의 일단에 일체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의 하우징부(22)를 가진다. 원통부(21)의 외주면에는 회전형 스위치가 사용되는 기기의 광체(筐體)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1)의 선단부에 있어서 축 구멍(24)의 내주(內周) 가장자리에 축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5°의 테이퍼면(20T)이 축 구멍(24)의 외측을 향하여 내경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22)에는 축 구멍(24)에 연통하고, 축 구멍(24)과 동심에 그것보다 직경이 큰 원형의 수용 오목부(23)가 형성되고, 원통부(21)와 반대측의 면에 개방되어 있다.
내경이 유지부(1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고, 외경이 회동 조작축(10)의 조작부(11)의 외경보다 작으며, 고무재로 형성된 단면이 원형의 탄성 링(3)이 회동 조작축(10)의 단차부(10S)와 대접하도록 유지부(12)에 장착되고, 유지부(12)가 베어링(20)의 축 구멍(24)에 삽입통과되고, 그 상태에서 수용 오목부(23) 내에 돌출된 유지부(12)의 단부의 환형상 홈(12a)에 외경이 축 구멍(24)의 내경보다 크고, 환이 절단된 스프링성 금속의 고정 링(4)이 끼워맞춰지고, 축 구멍(24)과 인접하는 수용 오목부(23)의 바닥면(23a)과 걸어맞춰져서 회동 조작축(10)이 빠짐 방지된다. 이 때, 단차부(10S)와 테이퍼면(20T) 사이에 끼워진 탄성 링(3)은 테이퍼면(20T)에 의해 단차부(10S)와 유지부(12)의 외주면과의 교차하는 각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압되어 변형되어 있다. 회동 조작축(10)에 축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의 외력이 주어지면, 탄성 링(3)은 더욱 변형하여 그 탄성력으로 외력에 저항한다. 이것에 의해, 회동 조작축(10)의 베어링(20)에 대한 축방향 및 반경 방향의 덜컥거림이 탄성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매끄러운 회동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탄성 링(3)의 재료로서는 윤활성을 가지는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회전자(7)는 수지로 형성되고, 회동 조작축(10)의 구동부(13)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의 축 구멍(7D)이 형성된 회동축(7A)과, 회동축(7A)과 동일 축에 일체 형성되고 그 일단에 축방향과 직각인 판면을 가지는 디스크부(7B)를 가지고, 하우징부(22)의 수용 오목부(23) 내에 회동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디스크부(7B)의 베어링(20)과 반대측의 판면에 그 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금속판을 형 빼기하여 형성한 슬라이딩 접촉편(7C)이 일체 성형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홀더(6)는 수지로 형성되고, 축방향과 직각인 단면 형상이 하우징부(22)와 동일한 직육면체이며, 회전자(7) 위로부터 하우징부(22) 위에 씌워진다. 도 3에 하우징부(22)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6)는 하우징부(22)측의 면에 그 수용 오목부(23)를 연장하도록 원형의 수용 오목부(6A)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홀더(6)를 관통하는 축 구멍(6D)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6A)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탄성 콘택트(6C1, 6C2)와 2개의 탄성 콘택트(6C3)가 돌출되고, 탄성 콘택트(6C1)와 일방의 탄성 콘택트(6C3)의 세트와 탄성 콘택트(6C2)와 타방의 탄성 콘택트(6C3)의 세트가 축 구멍(6D)을 끼우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이들 탄성 콘택트(6C1, 6C2, 6C3)는 그들의 선단부가 수용 오목부(6A)의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접어 구부러져 있다. 탄성 콘택트(6C1과 6C2)의 타단은 홀더(6)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각 단자(6T1, 6T2)로 되어 있다. 2개의 탄성 콘택트(6C3)는 타단이 일체가 되고, 단자(6T3)로서 홀더(6)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3) 내에 돌출된 구동부(13)를 회전자(7)의 축 구멍(7D)에 삽입통과시켜 회전자(7)의 디스크부(7B)를 수용 오목부(23) 내에 배치하고, 구동부(13)의 선단이 홀더(6)의 축 구멍(6D)으로부터 회동이 자유롭게 돌출되고, 또한 회전자(7) 위로부터 수용 오목부(23)를 막도록 홀더(6)를 싣고, 고정 핀(8)을 홀더(6)의 고정 구멍(6a), 하우징부(22)의 고정 구멍(22a)에 삽입통과하여 선단을 리벳에 의해 코킹하여 회전형 스위치가 완성된다.
회동 조작축(10)의 조작부(11)를 회동함으로써 회전자(7)가 회동한다. 홀더(6)에 설치한 탄성 콘택트(6C1과 6C2, 6C3)의 선단부는 회동 조작축(10)의 축 중심으로부터 상이한 반경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이 예에서는 단자(6T3)를 공유하는 2개의 탄성 콘택트(6C3)는 회전자(7)의 회동축(7A)을 끼우고 양측에 위치하고, 그들보다 더욱 반경 방향 외측에 탄성 콘택트(6C1과 6C2)의 선단부가 각각 위치하고, 회전자(7)의 회동에 의해 디스크부(7B)의 판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접촉편(7C)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슬라이딩 접촉편(7C)은 회전자(7)의 제1의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복수여도 됨)에 있어서 단자(6T1과 6T3) 사이를 도통시키고, 제2의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복수여도 됨)에서 단자(6T2와 6T3) 사이를 도통시키도록, 슬라이딩 접촉편(7C)의 수, 각각의 원호각, 반경 방향의 위치와 폭 등이 정해져 있다.
환형상 홈(12a)의 축방향 위치, 따라서 고정 링(4)의 축방향 위치를 원하는대로 정함으로써 테이퍼면(20T)이 탄성 링(3)에 주는 압압력을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회동 조작축(10)과 테이퍼면(20T) 사이에 있어서 탄성 링(3)과의 마찰력을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고, 조작자에 대하여 적절한 회동 조작 감각을 줄 수 있다. 또, 탄성 링(3)의 재료로서 시일용 고무재를 사용하면, 베어링(20)과 회동 조작축(10) 사이의 시일의 효과도 얻어진다.
[제2 실시예]
도 1, 2, 3은 본 발명의 베어링 구조를 회전형 스위치에 적용한 제1 실시예를 나타냈지만, 가변 저항기에 적용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 4에, 그 축방향 단면을 도 5에 나타낸다. 이 가변 저항기는 회동 조작축(10)과, 베어링(20)과, 회전자(7')와, 홀더(6')와, 탄성 링(3)과, 고정 링(4)과, 고정 핀(8)을 가지고, 도 1, 2, 3의 제1 실시예와는 회전자(7')와 홀더(6')가 상이할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는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가능한 한 생략한다.
회전자(7')는 도 1의 회전자(7)와 마찬가지로 회동축(7A)과 디스크부(7B)를 가지고 있지만, 도 1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접촉편(7C) 대신에 슬라이딩 접촉편(7'C)이 디스크부(7B)의 판면에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딩 접촉편(7'C)은 탄성 금속판으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대략 반달 형상의 기부(7'Cb)와, 기부(7'Cb)의 회동축(7A)측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회동축(7A)을 끼우도록 연장되고, 또한 디스크부(7B)의 판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접어 구부러진 2개의 콘택트(7'C1)와, 2개의 콘택트(7'C1)의 외측에서 기부(7'Cb)의 상기 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디스크부(7B)의 판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접어 구부러진 콘택트(7'C2)를 가지고 있다.
기부(7'Cb)는 기부에 형성된 고정 구멍(7'Aa)에 디스크부(7B)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도시하지 않는 돌기를 압입하여 고정된다. 콘택트(7'C1, 7'C2)의 선단부는 디스크부(7B)의 판면측에 되접혀, 홀더(6')측으로 볼록한 굴곡부(7'C1a, 7'C2a)가 형성되고, 각각의 콘택트의 슬라이딩점이 된다. 이들 굴곡부(7'C1a, 7'C2a)는 회전 중심선과 직교하는 직선 형상으로 늘어서 있고, 2개의 콘택트(7'C1)의 굴곡부(7'C1a)는 회동축(7A)에 인접하여 양측에 위치하고, 그 일방의 콘택트의 굴곡부(7'C1a)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콘택트(7'C2)의 굴곡부(7'C2a)가 위치하고 있다.
홀더(6')는 회전자(7')측에서 본 사시도를 도 6A에, 그 평면도를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6A)의 바닥면(6B) 상에 축 구멍(6D)을 둘러싸도록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공통 도체 링(6C)과, 그 공통 도체 링(6C)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동심 형상으로 설치된 원호 띠형상의 저항체(6R)가 부착되어 있다. 저항체(6R)의 양단은 각각 단자(6T1, 6T2)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체(6R)의 양단 사이를 통과하여 공통 도체 링(6C)으로부터 일체로 단자(6T3)가 연장되어 있다.
홀더(6')를 하우징부(22)에 씌운 상태에서 슬라이딩 접촉편(7'C)의 2개의 콘택트(7'C1)의 굴곡부(7'C1a)는 공통 도체 링(6C)과 탄성 접촉하고, 콘택트(7'C2)의 굴곡부(7'C2a)는 저항체(6R)와 탄성 접촉한다. 따라서, 회전자(7')가 회동하면, 단자(6T1과 6T3) 사이의 전기 저항 및 단자(6T2와 6T3) 사이의 전기 저항이 변화한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5에 축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20)의 원통부(21)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축 구멍(24)의 내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이퍼면(20T)이 탄성 링(3)을 단차부(10S)와 유지부(12)의 외주면과의 교차각을 향하여 압압 변형하므로, 베어링(20)에 대한 회동 조작축(10)의 축방향 및 래디얼 방향의 덜컥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1]
제2 실시예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6')의 수용 오목부(6A)의 바닥면(6B)에 저항체(6R)와 공통 도체 링(6C)을 설치하고, 회전자(7')의 디스크부(7B)에 콘택트(7'C1, 7'C2)를 가지는 슬라이딩 접촉편(7'C)을 설치했다. 변형예 로서 반대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자(7')의 디스크부(7B)의 판면에 원호 띠형상의 저항체(7R)와, 그 내측에 공통 도체 링(7Cc)을 설치하고, 홀더로서는 도 2의 홀더(6)를 사용하고, 탄성 콘택트(6C1, 6C3)에 대하여 각각 저항체(7R), 공통 도체 링(7Cc)을 슬라이딩 접촉시킨다. 단, 탄성 콘택트(6C2)와 단자(6T2)는 설치하지 않는다. 이 경우, 회전자(7')에 있어서는, 저항체(7R)의 일단은 공통 도체 링(7Cc)과 접속되어 있다.
[변형예 2]
상기 서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베어링(20)의 축 구멍(24)의 선단부에 테이퍼면(20T)을 형성하여 탄성 링(3)을 단차부(10S)에 압압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조작축(10)의 단차부(10S)의 반경 방향 중간 위치로부터 유지부(12)의 선단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고 유지부(12)의 외주면에 이르는 테이퍼면(10T)을 형성하고, 베어링(20)의 선단부에 있어서, 축 구멍(24)의 내주 가장자리에 내경이 확대된 받이 홈(20G)을 형성하고, 그 받이 홈(20G)에 장착한 탄성 링(3)을 단차부(10S)에 형성한 테이퍼면(10T)으로 압압하도록 해도 된다. 이 변형은 제2 실시예 및 이하에 설명하는 제3 및 제4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구조를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회전형 스위치에 적용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0은 그 회전형 스위치의 축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회전형 스위치는 도 1, 2, 3의 회전형 스위치에 있어서, 회동 조작축(10)의 원하는 회전 각도 간격마다 클릭감을 조작자에게 줌과 아울러, 스위치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회전형 스위치는 회동 조작축(10)과, 탄성 링(3)과, 베어링(20)과, 클릭 원판(30)과, 클릭 스프링(40)과, 클릭 스프링 지지판(50)과, 하측 홀더(80)와, 회전자(70)와, 상측 홀더(60)와, 커버(90)와, 그 밖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측 홀더(60)와 커버(90)를 조합한 것이 도 1에 있어서의 홀더(6)에 대응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탄성 콘택트를 가지는 하측 홀더(80)를 설치하고, 스위치수를 증가시키고 있다.
회동 조작축(10)은 도 1의 회동 조작축(10)과 동일한 구조이며, 금속 막대를 가공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작부(11)와, 그 선단으로부터 동일 축으로 연장되고, 조작부(11)보다 직경이 가는 유지부(12)와, 유지부(12)의 선단으로부터 동일 축으로 연장되고, 유지부(12)보다 직경이 가는 구동부(13)를 가지고 있다. 유지부(12)의 선단에 인접하여 외주면에 환형상 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3)에는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잘려 형성된 적어도 1개의 평면(13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회동 조작축(10)의 회전 중심을 끼우고 대칭으로 2개의 서로 평행한 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20)은 부착용 나사가 외주에 형성된 원통부(21)와, 원통부(2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하우징부(22)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20)에는 중심에 회동 조작축(10)의 유지부(12)가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통과되는 축 구멍(24)이 원통부(2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22)의 상면에는 1세트의 대각 각부에 고정 구멍(22a)과, 또 다른 1세트의 대각 각부에 위치 결정 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22)의 상면 중앙에는 원통부(21)와 동일 축에 원형의 수용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 축 구멍(24)이 동심에 개통되어 있다. 탄성 링(3)이 회동 조작축(10)의 단차부(10S)에 대접하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링(20)에 삽입통과된 회동 조작축(10)의 유지부(12)의 선단부가 수용 오목부(23)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선단부의 환형상 홈(12a)에 고정 링(4)을 장착하여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22)는 클릭 원판(30)을 수용한다. 클릭 원판(30)은 그 중심부에 축부(31)를 가지고, 그 축부(31)의 외측의 상면에는 방사 형상으로 뻗는 볼록조(32)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축부(31)에는 축방향으로 회전자(70)의 회동축(71)이 삽입되는 축 구멍(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 구멍(33)의 내주의 1개소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뻗는 걸어맞춤 키(34)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키(34)의 중심을 향한 선단면은 구동부(13)의 평면(13a)과 접촉하여 걸어맞춰지는 평면으로 되어 있고, 회동 조작축(10)이 회동되면 축 구멍(33)에 삽입통과된 구동축부(13)의 평면(13a)과 걸어맞춤 키(34)의 선단 평면을 걸어맞추어 클릭 원판(30)을 회동시킨다.
환형상의 클릭 스프링(40)은 스프링성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형성하고, 환형상부의 1개의 직경 상의 2개소에 클릭 원판(30)을 향하여 돌출된 걸어맞춤 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직경과 직각인 또 하나의 직경 상의 2개소로부터 그 직경의 연장선 상을 서로 외측으로 연장된 2개의 고정 단자(42)를 가지고 있다. 고정 단자(42)는 중간부에서 판면에 대하여 대략 45°로 클릭 원판(30)과 반대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클릭 스프링(40)은 45° 구부러져 있고, 그것에 의해, 후술하는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걸음 홈(55)에 대한 걸어맞춤을 얕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클릭 스프링(40)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하면에 부착된다. 도 11A, 11B는 클릭 스프링(40)의 부착 전과 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단, 여기서는 도 9에 있어서의 클릭 스프링(40)과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세트를, 중심선(5X)을 중심으로 180° 회전하여 나타내고 있다.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은 하우징부(22)와 동일한 직사각형이며, 그 하면에 링형상의 클릭 스프링(40)을 받는 환형상 오목부(52)가 형성되고, 중앙에 축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51)의 직경은 후술하는 회전자(70)의 회동축(71)이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1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 결정 구멍(53b)이 형성되고, 1세트의 대각 각부 근방에는 각각 고정 구멍(53a)이 형성되고, 또 다른 1세트의 대각 각부 근방의 하면에는 각각 위치 결정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클릭 스프링(40)의 2개의 고정 단자(42)는 지지판(50)의 고정 구멍(53a)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음 홈(55)에 삽입되어 걸린다. 그 상태에서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은 그 축 구멍(51)에 구동부(13)를 삽입통과시키고, 클릭 원판(30)을 수용한 수용 오목부(23)를 위에서 막고 하우징부(22)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 때,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위치 결정 돌기(54)는 하우징부(22)의 상면의 위치 결정 구멍(22b)에 압입 고정된다.
도 12A는 회전자(70)의 상면도, 도 12B는 도 12A에 있어서의 12B-12B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C는 도 12A에 있어서의 12B-12B선을 중심으로 180° 회전한 하면 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 가능한 스위치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회전자의 디스크부의 일방의 면과 타방의 면의 양쪽에 있어서 각각 탄성 콘택트와 슬라이딩 접촉편의 접촉,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자(70)는 회동축(71)과, 회동축(71)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회동축(71)과 동일 축의 디스크부(72)와, 디스크부(72)에 유지된 슬라이딩 접촉편(7C)이 일체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71)에는 클릭 원판(30)의 축 구멍(33)과 동일한 단면 형상의 축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71)의 하단의 하나의 원호부가 하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절제된 절결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74)는 회동축(71)이 축 구멍(51)을 통과하여 클릭 원판(30)의 축 구멍(33) 내의 걸어맞춤 키(34)와 끼워맞춰지고, 이것에 의해 회동축(71)이 절결부(74)의 축방향 길이만큼 축 구멍(33a)에 삽입된다.
슬라이딩 접촉편(7C)은 상측 접촉편(7C1)과 하측 접촉편(7C2)으로 이루어지고,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장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지는 서로 연결된 상측, 하측 접촉편(7C1, 7C2)의 패턴을 도 13B와 같이 연결부(7Cc)에서 접어 구부리고, 하측 접촉편(7C2)을 상측 접촉편(7C1)의 하측에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측, 하측 접촉편(7C1, 7C2)은 도 13B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공통의 원(C1)에 내접하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그 원(C1)과 동심이며, 직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원(C2, C3, C4)에 의해 각각 끼워진 폭을 가지는 서로 인접한 환형상 띠(B1, B2, B3)를 규정하고, 이들 환형상 띠(B1, B2, B3) 내에서 각각 둘레 방향으로 원하는 길이(각도 범위)의 원하는 수의 원호 영역을 각각 접촉편 영역으로 하는 접촉편의 패턴이 미리 정해져 있다.
도 12A의 상측 접촉편(7C1)에서는, 환형상 띠(B1)는 미리 정한 각도 범위의 1개의 접촉편 영역(C1a)과, 나머지 각도 범위의 공영역(G1a)에 의해 메워져 있다. 환형상 띠(B2)는 각각 미리 정한 각도 범위의 2개의 접촉편 영역(C1b1, C1b2)과, 그들 2개의 접촉편 영역의 인접간의 공영역(G1b1, G1b2)에 의해 메워져 있다. 환형상 띠(B3)는 1개(360°)의 공영역(G1c)에 의해 메워져 있다. 접촉편 영역(C1a, C1b1, C1b2)은 접촉편(7C1)의 금속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며, 공영역(G1a, G1b1, G1b2, G1c)은 접촉편 영역의 표면과 동일면 내에 있는 디스크부(72)의 절연체 표면이다.
한편, 도 12C에 나타내는 하측 접촉편(7C2)에서는, 환형상 띠(B1)는 각각 미리 정한 각도 범위의 4개의 접촉편 영역(C2a1, C2a2, C2a3, C2a4)과, 그들 4개의 접촉편 영역의 인접간의 공영역(G2a1, G2a2, G2a3, G2a4)에 의해 메워져 있다. 환형상 띠(B2)는 각각 미리 정한 각도 범위의 2개의 접촉편 영역(C2b1, C2b2)과, 그들 2개의 접촉편 영역의 인접간의 공영역(G2b1, G2b2)에 의해 메워져 있다. 환형상 띠(B3)는 1개(360°)의 접촉편 영역(C2c)에 의해 메워져 있다. 접촉편 영역(C2a1, C2a2, C2a3, C2a4, C2b1, C2b2, C2c)은 접촉편의 금속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며, 공영역(G2a1, G2a2, G2a3, G2a4, G2b1, G2b2)은 접촉편 영역의 표면과 동일면 내에 있는 디스크부(72)의 절연체 표면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측 홀더(60)와 하측 홀더(80)는 완전히 동일한 구조이며, 동일한 부품으로서 형성한 홀더를 상하의 방향을 바꾸어서 상측용, 하측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90)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은 완전히 동일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동일 구조로 함으로써 스위치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4A는 하측 홀더(80)의 하면과, 그 위에 보이는 회전자(70)의 하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하측 홀더(80)의 상면에는 원형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82)가 형성되고, 그 회전자 수용 오목부(82)의 바닥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창(81)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홀더(80)의 일측변에 인접하는 회전자 수용 오목부(82)의 측벽부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상측 홀더(60)의 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85)(도 9도 참조)와, 그 걸어맞춤 볼록부(85)와 인접하여 동일 폭으로 측벽부가 절취된 걸어맞춤 오목부(86)(도 9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홀더(80)의 1세트의 대각 각부 근방에는 고정 구멍(84a)이 형성되고, 또 다른 1세트의 대각 각부 근방에는 위치 결정 구멍(8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8T1, 8T2, 8T3)가 도출되어 있는 일측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 결정 돌기(83)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홀더(80)는 3개의 탄성 콘택트(8C1, 8C2, 8C3)와 그것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하측 홀더(80)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8T1, 8T2, 8T3)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3개의 탄성 콘택트(8C1, 8C2, 8C3)는 창(8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선단은 각각 회전자(70)의 슬라이딩 접촉편(7C)에 규정한 환형상 띠(B1, B2, B3) 위에 위치하고 있다. 각 탄성 콘택트(8C1, 8C2, 8C3)는 각각 2개의 분기 암을 가지고, 각 환형상 띠에 있어서 2점 접촉함으로써 접촉의 안정성(신뢰성)과 수명을 높이고 있다.
도 14B는 상측 홀더(60)의 상면과, 그 아래에 보이는 회전자(70)의 상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측 홀더(60)의 구조는 하측 홀더(80)와 완전히 동일하다. 하우징부(22)와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의 상측 홀더(60)의 하면에는 원형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62)가 형성되고, 그 회전자 수용 오목부(62)의 천정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창(61)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홀더(60)의 일측변에 인접하는 회전자 수용 오목부(62)의 측벽부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측 홀더(80)의 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65)와, 그 걸어맞춤 볼록부(65)와 인접하여 동일한 폭으로 측벽부가 절취된 걸어맞춤 오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홀더(60)의 1세트의 대각 각부에는 고정 구멍(64a)이 형성되고, 또 다른 1세트의 대각 각부에는 위치 결정 구멍(6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6T1, 6T2, 6T3)가 도출되어 있는 일측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 결정 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홀더(60)는 3개의 탄성 콘택트(6C1, 6C2, 6C3)와 그들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측 홀더(60)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6T1, 6T2, 6T3)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3개의 탄성 콘택트(6C1, 6C2, 6C3)는 창(6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선단은 각각 회전자(70)의 슬라이딩 접촉편(7C)에 규정한 환형상 띠(B1, B2, B3)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각 탄성 콘택트(6C1, 6C2, 6C3)는 각각 2개의 분기 암을 가지고, 각 환형상 띠에 있어서 2점 접촉한다.
도 9로 되돌아가, 하측 홀더(80)의 위치 결정 돌기(83)(도 14A 참조)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위치 결정 구멍(53b)에 끼워맞춰지고, 클릭 스프링 지지판(50) 위에 하측 홀더(80)가 위치 결정 고정된다. 그 위로부터 하측 홀더(80)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82) 내에 회전자(70)의 디스크부(72)의 대략 하반분을 배치하도록, 회전자(70)의 축 구멍(73)에 회동 조작축(10)의 구동부(13)를 삽입통과시키면서, 회동축(71)의 하단부를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축 구멍(51)을 통과하여 클릭 원판(30)의 축 구멍(33)에 삽입하여 걸어맞춘다.
그 회전자(70)의 디스크부(72)의 대략 상반분을 상측 홀더(60)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62)에 수용하도록, 회전자(70) 위로부터 상측 홀더(60)를 씌우고, 하측 홀더(80)에 겹쳐서 고정한다. 이 때 상측 홀더(60)의 걸어맞춤 볼록부(65)와 걸어맞춤 오목부(66)(도 14B 참조)가 하측 홀더(80)의 걸어맞춤 오목부(86)와 걸어맞춤 볼록부(85)에 각각 끼워맞춰지고, 서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커버(90)의 축 구멍(91)에 회전자(70)의 회동축(71)의 상단부를 삽입시켜 상측 홀더(60) 위로부터 커버(90)를 겹쳐서 위치 결정 돌기(94)를 위치 결정 구멍(64b)에 끼워맞추고, 위치 결정 구멍(93b)에 위치 결정 돌기(63)를 끼워맞춘다. 이것에 의해 하측 홀더(80)의 탄성 콘택트(8C1, 8C2, 8C3)는 회전자(70)의 디스크부(72)의 하면과 탄성적으로 접촉 유지되고, 상측 홀더(60)의 탄성 콘택트(6C1, 6C2, 6C3)는 회전자(70)의 디스크부(72)의 상면과 탄성적으로 접촉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부품을 합체한 상태에서, 커버(90)의 고정 구멍(93a), 상측 홀더(60)의 고정 구멍(64a), 하측 홀더(80)의 고정 구멍(84a),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고정 구멍(53a), 베어링(20)의 고정 구멍(22a)에 2개의 고정 핀(8)을 삽입통과시켜 핀(8)의 선단을 리벳으로 찌그러뜨리고, 서로 일체로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회전형 스위치를 조립함으로써, 구동부(13)는 클릭 원판(30),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을 삽입통과시킨 회전자(70)의 회동축(71)의 축 구멍(73)에 삽입통과되고, 커버(90)의 축 구멍(91) 내에서 지지된다. 회전자(70)의 축 구멍(73)의 축심과 직각인 단면은 구동부(13)의 단면과 동일하게 원의 호를 직선으로 절취한 형상을 하고 있고, 따라서, 회동 조작축(10)의 회동에 의해 회전자(70)가 회동됨과 아울러 클릭 원판(30)도 회동된다. 그 결과,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 스프링(40)의 돌기(41)가 회동하는 클릭 원판(30)의 방사 형상 요철과 걸어맞춰져 회동 조작축(10)의 회동 조작시에 클릭감을 발생시키고, 또, 회전자(70)의 상측 및 하측면의 접촉편(7C1, 7C2)과, 상측 및 하측 홀더의 탄성 콘택트(6C1, 6C2, 6C3 및 8C1, 8C2, 8C3) 사이에서 슬라이딩 접촉, 괴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제3 실시예에서는 회전자(70)의 디스크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있어서 따로따로 반경 방향으로 상이한 환형상 영역에 있어서 각각 따로따로 360° 내에서 접촉편 영역을 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즉, 복수의 스위치의 개폐의 각도 범위, 상대 타이밍을 요구에 따라 설계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다.
상기 서술한 제3 실시예에서는, 회전자(70)의 상측 및 하측면의 접촉편(7C1, 7C2)에 대하여 공통으로 환형상 띠(B1, B2, B3)를 규정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환형상 띠의 수, 및 폭을 상측 및 하측에 대하여 따로따로 규정하고, 상측 홀더(60) 및 하측 홀더(80)의 탄성 콘택트의 수, 및 배치를 각각의 측의 환형상 띠에 맞추어 정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제4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스위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제3 실시예에서는, 하측 홀더(80)를 탄성 콘택트(8C1, 8C2, 8C3)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하고나서 창(81) 내에서 탄성 콘택트(8C1, 8C2, 8C3)를 원하는 각도로 접어 구부리기 때문에, 하측 홀더(80)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은 별체로 했지만, 탄성 콘택트(8C1, 8C2, 8C3)를 미리 소정의 각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하측 홀더(80)를 인서트 성형할 수 있는 경우는, 도 15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홀더(80)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을 서로 일체로 한 하측 홀더(제1 홀더)(80')로서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측 홀더(60)와 커버(90)도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한 상측 홀더(제2 홀더)(60')로서 형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발명의 개념]
도 16A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구조를 적용한 상기 서술한 각종 실시예 및 변형예를 개념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원기둥 형상의 회동 조작축(100)은 회동 조작을 받는 조작부(110)와, 조작부(110)보다 직경이 작게 되어 동일 축으로 연장된 유지부(120)와, 유지부(120)로부터 더욱 외경이 작게 되어 동일 축으로 연장된 구동부(130)를 가지고, 조작부(130)와 유지부(120)의 경계가 단차부(110S)를 형성하고 있다. 베어링(200)의 일단측으로부터 베어링의 축 구멍(230)에 회동이 자유롭게 유지부(120)가 삽입통과되고, 유지부(120)의 후단부 외주 상에 고정된 고정 링(400)이 베어링(200)의 타단에 있어서 축 구멍(230)의 외주 가장자리와 걸어맞춰진다. 유지부(120)로부터 연장 돌출된 구동부(130)가 베어링(200)의 타단에 설치된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600) 내의 회전자(700)를 회동한다.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600)는 회전자(700)의 회동에 의해, 콘택트와 저항체 사이의 슬라이딩에 의한 저항 변화를 발생시키는 가변 저항 기구, 또는 탄성 콘택트와 접촉 슬라이딩편 사이의 접촉, 이탈에 의한 스위치 동작을 행하는 회전 스위치 기구를 포함하고, 전기 기계적 제어에 의해 단자(6T)에 주어진 신호를 제어한다.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600)는 도 1 및 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홀더(6, 6')와, 회전자(7, 7')와, 그것을 수용하는 하우징부(22)를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하고, 도 9, 15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측 홀더(80, 80'), 하측 홀더(60, 60'), 그들 사이에 수용되는 회전자(70)를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베어링 구조는 회동 조작축(100)의 단차부(100S)와 대향하는 베어링의 축 구멍의 단부 내주 가장자리에 형성한 외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200T)에 의해 탄성 링(300)을 단차부(100S)에 압압하는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단차부(100S)의 면과 유지부(120)의 외주면은 직각으로 교차하고, 테이퍼면(200T)이 유지부(120)의 외주면에 대하여 45°로 교차하는 것으로 한다. 테이퍼면(200T)과 단차부(100S)와 유지부 외주면이 축방향 단면에 있어서 이루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반경(r)은 r=L/2tan67.5°이다. 단, L은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사변의 길이(이하, 테이퍼면의 길이라고 함)이다. 따라서, 탄성 링(300)이 회동 조작축(100)에 대한 축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의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을 받기 위해서는, r>L/2tan67.5°일 필요가 있다. 또, 테이퍼면의 길이(L)는 단차부(100S)의 반경 방향 길이를 D로 하면, D>Lsin45°이다.
테이퍼면(200T)은 45°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경사 각도를 바꿈으로써 테이퍼면(200T)으로부터 탄성 링(300)에 주어지는 응력을 축방향 성분과 반경 방향 성분에 분배하는 비율을 바꿀 수 있다.
도 16A의 변형으로서,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구멍(230) 단부의 내주 가장자리에 형성한 내경이 크게 된 받이 홈(200G)에 장착한 탄성 링(300)을 단차부(100S)에 형성한 테이퍼면(100T)으로 압압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 밖에는 도 16A와 마찬가지이다.

Claims (5)

  1.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로서,
    원기둥 형상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부를 형성하여 외경이 작게 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더욱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동 조작축과,
    상기 유지부가 삽입통과되고 상기 유지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축 구멍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단차부와 대향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타단에는, 상기 구동부에 고정된 회전자의 회동에 의해 신호 제어를 행하는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은 그 상기 일단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외측을 향하여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단차부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탄성 링이 상기 유지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구동부측 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 홈에 고정 링이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의 타단과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회동 조작축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2.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로서,
    원기둥 형상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부를 형성하여 외경이 작게 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더욱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동 조작축과,
    상기 유지부가 삽입통과되고 상기 유지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축 구멍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단차부와 대향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타단은, 상기 구동부에 고정된 회전자의 회동에 의해 신호 제어를 행하는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에는 그 반경 방향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방향으로 외경이 감소하여 상기 유지부의 외주에 이르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은 그 상기 일단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내경이 크게 된 받이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받이 홈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탄성 링이 상기 유지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구동부측 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 홈에 고정 링이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의 타단과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회동 조작축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는 회동 스위치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계 신호 제어부는 가변 저항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은 고무재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KR1020147007905A 2011-11-04 2012-10-19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KR201400960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1995 2011-11-04
JP2011241995 2011-11-04
PCT/JP2012/077115 WO2013065506A1 (ja) 2011-11-04 2012-10-19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の軸受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025A true KR20140096025A (ko) 2014-08-04

Family

ID=4819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905A KR20140096025A (ko) 2011-11-04 2012-10-19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852668B2 (ko)
KR (1) KR20140096025A (ko)
CN (1) CN103843095B (ko)
HK (1) HK1194200A1 (ko)
TW (1) TWI505312B (ko)
WO (1) WO20130655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398A (ko) * 2017-03-02 2019-08-28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조작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3677B2 (ja) * 2013-05-01 2017-05-24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WO2015033373A1 (ja) * 2013-09-05 2015-03-12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005Y2 (ja) * 1990-07-13 1997-03-26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型電子部品
JPH0452704U (ko) * 1990-09-10 1992-05-06
JP3698270B2 (ja) * 1995-04-13 2005-09-21 朝日松下電工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2000082360A (ja) * 1998-07-07 2000-03-21 Yazaki Corp 操作スイッチの操作内容表示装置
JP4976180B2 (ja) * 2007-04-02 2012-07-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JP4759071B2 (ja) * 2009-03-17 2011-08-31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回転型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398A (ko) * 2017-03-02 2019-08-28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조작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43095B (zh) 2015-10-14
JP5852668B2 (ja) 2016-02-03
WO2013065506A1 (ja) 2013-05-10
TWI505312B (zh) 2015-10-21
TW201327609A (zh) 2013-07-01
HK1194200A1 (en) 2014-10-10
JPWO2013065506A1 (ja) 2015-04-02
CN103843095A (zh)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9071B2 (ja) 回転型スイッチ
KR101662825B1 (ko)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KR101900897B1 (ko)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JP4891654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JP2007123459A (ja) 回転型電気部品
KR20140096025A (ko)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WO2019087608A1 (ja) 入力装置
KR101947762B1 (ko)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US10566153B2 (en) Lever device
WO2013065447A1 (ja)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TWI636477B (zh) 旋轉式電子零件
JP6376837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7187066B2 (ja) 回転式電子部品用摺動子
JP4357353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4297764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8159907A (ja) 回転式電子部品
JP6165573B2 (ja) 電子部品
JP2020136023A (ja) ダイヤル式操作スイッチ装置
JP2018156781A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2019114621A (ja) 2連形接触式ポテンショメータ
JP2008177095A (ja) モードダイア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