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295A -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295A
KR20140094295A KR1020130006929A KR20130006929A KR20140094295A KR 20140094295 A KR20140094295 A KR 20140094295A KR 1020130006929 A KR1020130006929 A KR 1020130006929A KR 20130006929 A KR20130006929 A KR 20130006929A KR 20140094295 A KR20140094295 A KR 20140094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ease
alzheimer
beta
soluble polysaccha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일
조항수
최두진
정미자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295A/ko
Publication of KR2014009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2Flameproof or explosion-proof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에서 유래된 수용성 다당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츠하이머 약학적 조성물 및 알츠하이머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의 생성 및 축적과 관련 있는 베타 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소재인 수용성 다당체를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이나 알츠하이머병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High-Molecular Weight Polysaccharides Obtained from Phellinus linteus Fruit Body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본 발명은 식물체 유래의 생물질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이러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노인성 치매는 뇌혈전, 뇌출혈 등에 의한 뇌혈관의 장애로 생기는 뇌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에 의한 것으로 구분된다. 뇌혈관성 치매의 원인은 규명되었으며 진단도 용이하며 고혈압을 예방하면 발병을 방지할 수 있는데 반하여, 알츠하이머병은 현재로서는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병에 대해서 살펴보면, 알츠하이머병은 노인성 치매의 주요 원인의 하나인 퇴행성 뇌질환의 하나로서, 병리조직학적으로 보면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변(neurofibrillary tangle)과 초로성 반점(neuritic plaque) 등의 특징을 보인다. 임상적인 특징으로는 단기 기억능력 상실, 판단, 언어 능력 등 지적인 기능의 점진적인 감퇴에서부터 장기간 기억능력 상실로 이어지며, 일상생활능력, 인격, 행동 양상의 장애 등이다. 이와 함께 우울증세, 인격의 황폐, 격한 행동과 같은 정신의학적인 증세가 동반되는데, 이러한 증상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결국에는 죽음에 이른다.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은 더 이상 노인성 질병이라고 보기 곤란할 정도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알츠하이머병이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발병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노령화, 고령화 사회가 지속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서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계 뇌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사회적, 국제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부 보고에 따르면, 2050년경에는 85명당 1명꼴로 알츠하이머병에 발병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현대인에게 위협적인 퇴행성 질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일부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할 수 있는 후보 물질에 대한 연구 및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나 예방은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는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Aβ)라고 불리는 펩타이드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즉,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펩타이드가 인체에 과도하게 생성되어, 이 펩타이드가 뇌신경 세포에 축적되어 노인반을 형성함에 따라, 뇌의 신경세포 기능이 감소하여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한다는 아밀로이드 가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연구에 따르면, 뇌세포에 축적된 베타 아밀로이드는 신경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마비시키거나 왜곡하고, 미토콘드리아에서 배출되는 활성산소를 증가시킨다. 증가된 활성산소는 세포 내 단백질이나 DNA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게 되고 결국 뇌세포의 손상 또는 사멸(apoptosis)을 초래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인 유전자가 확인되지 않고 있어,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확실한 예방법이나 치료 대책은 없다.
한편, 종래 다양한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과 관련하여 개발, 사용되었던 화학적 합성에 의한 성분을 포함하는 약품을 장기 복용하는 경우, 부작용이나 독성을 나타내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질병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 성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식물을 비롯한 천연물로부터 탐색하는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생리 활성 성분은 종래의 화학적 합성에 의하여 제조되는 성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독성이 적다. 따라서 기존의 화학 합성 의약품에 비하여 장기간 섭취하여도 안전하기 때문에, 천연물 유래의 생리 활성 성분은 각종 질병의 치료제 및 치료보조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천연물 유래의 생리 활성 소재 중에서도 버섯류는 오랫동안 인간에 의하여 식용 또는 민간요법으로 섭취하여 왔기에 비교적 안전성이 높아, 천연물 유래 신규 의약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특히,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분류학적으로 민주름버섯목(Aphylloph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ae) 진흙버섯속 (Phellinus)에 속하는 백색부후균(White Rot Fungi, WRF)의 일종이다. 대한민국, 중국 및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 상황버섯은 예전부터 위장 장애, 염증성 림프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소재로 사용되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상황버섯에서 얻어진 추출물 및 추출 성분과 관련해서, 항암 효과, 항-돌연변이 효과, 장내 유해효소 저해효과, 면역증진 효과, 활성산소종(ROS)을 감소시키는 항산화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황버섯 유래의 추출 성분, 그 중에서도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류에 대한 생리활성 기능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한민국에서 자생하는 천연물 소재의 하나인 상황버섯으로부터 특정 질환에 효능이 있는 유효 성분을 발굴하여 의약품 및/또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새로운 생리활성 기능,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의약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개선을 위한 식품공학적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상황버섯에서 유래한 천연물 소재의 새로운 생리활성 기능으로서,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이나 알츠하이머병의 개선을 위한 생리 활성 기능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버섯 유래의 다당체 성분이 알츠하이머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베타 아밀로이드의 생성 또는 축적에 관여하는 베타-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가 천연 생리 활성 소재로서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의약품 및/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로서,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및 만노오스를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베타-1,3-결합 구조를 갖는 베타-1,3-글루칸 구조를 갖는 수용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유효 성분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는 1,629 kDa의 분자량, 1,294 kDa의 분자량 및 21 kDa의 분자량을 각각 가지는 3개의 수용성 다당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상기 수용성 다당체는 베타-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데, 이에 따라 인체 내에서 베타-세크레타아제에 의하여 생성되는 베타 아밀로이드의 생성 및 축적을 방지 및/또는 저해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상기 수용성 다당체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에 10 ~ 1000 ㎍/㎖, 바람직하게는 50 ~ 500 ㎍/㎖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로서,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및 만노오스를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베타-1,3-결합 구조를 갖는 베타-1,3-글루칸 구조를 갖는 수용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을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가 알츠하이머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거나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황버섯 자실체로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가 최근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제의 표적으로 주목받는 베타 세크레타아제(ㅯ-secretase)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황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에서 유래된 수용성 다당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항-알츠하이머 소재라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가 천연 소재로서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및 의약품의 유효 성분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황버섯 및 이의 달인 물 등은 민간에서 오랫동안 음용하여 온 것이고, 본 발명에 따라 상황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고분자 다당체 소재는 기존에 알려져 있던 베타-글루칸 (beta-(1,3)-glucans)의 일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체에 독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는, 인체에 안전한 항-알츠하이머 소재로서, 새로운 기능성 생리 활성 소재 및 치매 관련 신약이나 기능식품의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황버섯의 새로운 생리 활성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상황버섯을 이용하여 새로운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상황버섯을 재배하고 있는 농가의 소득 증대는 물론이고, 점차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질환을 치료, 예방할 수 있으므로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종래 뛰어난 항암 효과로 상황버섯이 의약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었던 것을 고려해 볼 때,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규명한 본 발명을 통하여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서 상황버섯의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천연 소재를 사용하였으므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응용 분야와 시장성은 매우 광범위하게 미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수용성 다당체를 추출, 정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도 1에서는 수용성 다당체를 추출, 정제하는 과정의 일예로서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열수추출물을 얻고, 에탄올 침전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을 통하여 열수추출물을 분리, 정제하여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를 얻는 과정을 도식화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EAE-cellulose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고분자의 활성 물질을 정제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크로마토그램(chromato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Et-P)의 성분당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HPAEC-PAD(High performance anionic exchange chromatography-PAD) 방법을 이용하여 수용성 다당체의 성분당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성분당 조성 분석과 관련하여, 표준 탄수화물 물질로는, 1) 푸코오스(Fucose); 2) 아라비노오스(Arabinose); 3) 람노오스(Rhamnose); 4) 갈락토오스(Galactose); 5) 글루코오스(Glucose); 6) 만노오스(Mannose); 7) 자일로오스(Xylose)를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DEAE-cellulose를 이용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정제된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를 구성하는 세 가지 활성 성분(A, Et-P1; B, Et-P2; C, Et-P3)에 대해 각각의 분자량을 크기-배제 HPLC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HPLC)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크로마토그램이다. 분자량 측정과 관련한 표준물질로는 덱스트란 dextran (a, 2,000 KDa)과 플루란(pullulan, b, 788; c, 404; d, 212; e, 22.8; f, 11.8 KDa)을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를 이용하여 정제된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의 구조를 분석한 스펙트럼이다. 분석 장비로는 IR Affinity-1 spectrophotometer (Shimadzu, Japan)를 이용하였고, spectral region 4,000-400 ㎝-1 (resolution 4 ㎝-1) 범위에서 밴드를 확인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정제된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 물질(Et-P)의 결합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다당체 물질을 laminarinase 효소로 가수분해 한 후, 가수분해물을 HPAEC-PAD (High performance anionic exchange chromatography-PAD) 법으로 분석한 결과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에서 A는 표준 탄수화물로 glucose와 gentiobiose를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분석한 결과이고, B는 laminarinase 효소로 가수분해된 표준 다당체 laminarin을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분석한 결과이고, C는 laminarinase에 의해 가수분해된 상황버섯 고분자 활성 다당체 (Et-P) 분해물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정제된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 물질 (Et-P)이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펩타이드를 생성하는 베타 세크레타아제(ㅯ-secretase) 효소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1~100 ㎍/㎖)으로 억제하는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유래된 수용성 다당체의 성분당 조성 및 구조를 분석하고, 이 수용성 다당체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베타 아밀로이드(beta amyloid, Aβ) 펩타이드의 뇌신경 세포에서의 생성 및/또는 축적과 관련이 있는 베타-세크레타제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유래된 수용성 다당체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품과 같은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알츠하이머병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과 같은 식품공학적 조성물 중에 유효 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의 분리, 정제 및 활성
본 발명에서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PL) 자실체(fruit body)로부터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열수추출물을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침전시킨 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고분자 다당체를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가 알츠하이머병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 Aβ) 펩타이드의 생성을 야기하는 베타-세크레타아제(β-secret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첨부하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수용성 다당체를 분리, 정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PL)의 자실체(fluid body)를 잘게 자른 뒤, 믹서기로 조분쇄하고 끓는 물을 이용하여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열수 추출물(PL-WE)을 얻는다. 추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열수는 90 ~ 100℃ 범위일 수 있으며, 열수를 이용한 추출 시간은 3 ~ 5시간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황버섯 자실체의 열수수출물을 적절한 여과지(예를 들어, Whatman No. 4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뒤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동결건조할 수 있다. 건조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열수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식용 가능한 에탄올(주정)을 전체의 70 ~ 90%가 되도록 넣고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성분이 함유된 침전물(pellet)과 저분자 성분이 함유된 상층액(supernatant)로 분리한다. 고분자 성분이 함유된 침전물을 동결 조하여 얻어진 분말을 적절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고분자의 수용성 다당체를 분리, 정제한다. 예를 들어 칼럼 성분으로서 DEAE(Diethylaminoethyl)-셀룰로오스(cellulose)와 같은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황버섯 자실체에서 유래하여 분리, 정제된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에 대해서 "Et-P"로 명명한다. 아울러, Et-P을 구성하는 각각의 분획 다당체에 대해서는 각각 "Et-P1", "Et-P2","Et-P3"로 명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한 Et-P는 분자량이 다른 세 가지 수용성 다당류(Et-P1, Et-P2, Et-P3)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하기 실시예 2 및 도 2 참조), 크기-배제 (size-exclusion) HPLC chromatography (SEC)로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Et-P1, Et-P2 및 Et-P3 분획 다당체는 각각 ~1,629, 1,294, 21 KDa인 고분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실시예 4 및 도 4 참조).
계속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 정제된 고분자 물질 (Et-P)의 성분과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TFA)로 산-가수분해 한 후, HPAEC-PAD(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ric Detection)를 이용하여 산가수분해물을 분석하고 정성 및 정량하였다. 성분당 분석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상황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수용성 다당체인 Et-P는 glucose, galactose, mannose가 주성분이며 fucose, xylose도 소량 함유된 다당체 물질임을 확인하였다(하기 실시예 3 및 도 3 참조). 본 명세서에서 주성분이란 다당체 성분당을 이루는 단당 성분 중에서 적어도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및 95% 이하, 바람직하게는 90% 이하를 의미할 수 있다.
성분당 분석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상황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수용성 다당체 물질 (Et-P)에 대한 원소 분석 결과, 이 수용성 다당체는 황산기와 단백질이 거의 없는 탄수화물 다당류라는 점을 확인하였다(하기 실시예 5의 표 1 참조). 아울러 정제된 다당체 (Et-P)를 FT-IR을 이용한 구조분석 결과, 페놀성 물질 및 다당체(polysaccharides)의 복합체로서 전형적인 다당류가 가지는 β-linkage들이 발견되었다(하기 실시예 6 및 도 5 참조). 한편, Laminarinase에 의한 분해와 HPAEC-PAD 분석 결과로부터 이 다당류들은 β-(1,3)-결합 구조를 갖는 일종의 β-(1,3)-glucan(베타 1,3-글루칸)인 것으로 판단된다(하기 실시예 7 및 도 6 참조).
한편, 노인성 치매의 가장 중요한 원인 질환이 되는 알츠하이머병은 노인성 치매의 주요 원인이다. 알츠하이머병에 기인하는 노인성 치매 질환은 아직까지 발병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신경퇴행질환 중 대표적인 질환으로서, 1차 증상은 학습과 기억력 감퇴현상이다.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하여 검시 해부 소견에서 나타나는 주요 병변으로는 대뇌 피질과 해마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비정상적으로 과인산화 되어 나타나 있는 tau 단백질이 주성분인 신경섬유 덩어리와, 뇌신경 세포 밖에 축적되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주성분인 노인반(senile plaque)이 발견된다.
최근까지 치매 질환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하여 분자유전학적인 연구는 물론이고 여러 가지 다양한 분야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특히 알츠하이머 질환의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아서 치료제 개발에도 상당히 어려움이 많은 상태이다. 수십 년 동안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발병 원인 규명과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학계는 물론 대형 제약회사들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으나 불행하게도 아직까지는 치료제로써 확실하게 인정받고 있는 약물은 개발되고 있지 않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주요 병변들과 인지학습기능의 손상을 예방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은 대부분 인정하고 있지만, 현재 환자에게 투여되고 있는 치료제들은 발병 초기에 일시적인 임상증상개선 효과에 그치는 것들이 대부분이고 부작용까지 나타나고 있어 실제 이용에 문제점이 많은 상황이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원인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합성이 감소되어 일어난다는 콜린성 가설(cholinergic hypothesis), 베타 아밀로이드(beta amyloid) 펩타이드가 뇌신경 세포에 생성, 축적되어 야기된다는 아밀로이드 가설(amyloid hypothesis), 과-인산화(hyper-phosphorylated) 타우(tau) 단백질에 의하여 알츠하이머병이 발병된다는 타우 가설(tau hypothesis)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원인으로 가장 폭 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아밀로이드 가설에 따르면, 노인반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인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아밀로이드 베타라고도 함, Aβ)가 뇌신경 세포에 생성, 축적되는 것이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의 대표적인 병리학적 특징이라고 보고 있다. 즉, AD의 발병 원인과 관련하여 아밀로이드 가설에 따르면 뇌신경 세포에서 생성, 축적되는 베타 아밀로이드(Aβ)가 알츠하이머병을 야기한다.
아밀로이드 가설에 따른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타 아밀로이드(Aβ) 펩타이드의 피브릴 형태가 알츠하이머병(AD) 환자들의 뇌에서 발견되는 senile plaques의 주요 성분으로서, AD의 신경 독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β는 36-4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서, 신경 막을 관통하는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이 베타 세크레타아제(β-secretase)에 의해 절단되어 생성되는 펩타이드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세포 밖에 축적되는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거나 분해할 수 있는 약물개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즉 APP의 비정상 대사로 인하여 독성 대사물인 베타 아밀로이드와 신경 세포막에 결합되어 있는 'C99'로 알려진 C 말단 단백질 등이 생성되는데, 이들이 뇌신경 세포에 독성을 일으켜 알츠하이머 질환이 발병된다는 여러 가지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APP의 비정상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베타-세크레타아제(β-secretase)와 감마-세크레타아제(γ-secretase)가 AD 치료제 개발의 표적이 되고 있다.
특히, memapsin-2(membrane-associated aspartic protease 2) 및 ASP2(aspartyl protease 2)로도 알려져 있는 베타-세크레타아제(BACE)는 APP의 비정상 대사를 야기하여 베타 아밀로이드를 생성하는 1차적 원인이 되기 때문에,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치료 등을 위해서 베타-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최근 일부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CTS-21166, MK-8931 등과 같은 베타-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베타 아밀로이드의 생성 및 축적을 방지하는 의약 후보 물질에 대한 연구 개발과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제로서 시장에 출시된 것은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의 새로운 생의학적 효과 내지는 용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법에 따라 얻어진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가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의 생성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베타-세크레타아제(β-secre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지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β-secretase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질로는 Sigma사에서 구입한 7-methoxycoumarin-4-acetyl-[Asn670,Leu671]-amyloidβ/A4 precursor protein 770 fragment 667-676-(2,4-dinitrophenyl)Lys-Arg-Arg amide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β-secretase의 저해제(inhibitor)를 처리하지 않은 군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정제된 고분자 다당체 (Et-P)를 농도별 (1, 10 그리고 100 ㎍/㎖)로 나누어 처리한 결과 β-secretase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하기 실시예 8 및 도 7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분리, 정제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는 베타-세크레타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베타-세크레타아제에 의한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이라는 생리 활성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는 예를 들어 10 ~ 1000 ㎍/㎖, 바람직하게는 50 ~ 500 ㎍/㎖의 농도로 함유되면 베타-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크게 저해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2. 수용성 다당체의 약학적 및 식품공학적 응용
본 발명에 따르면,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가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 Aβ)를 생성하는 베타-세크레타아제(β-secretase)의 활성을 저해한다. 이러한 효과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에 따라서 그 기능이 확인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다당체는 뇌신경세포 세포막에 있는 APP(Amyloid precursor protein) 단백질로부터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라는 독성 펩타이드의 생성 및 축적에 의해 야기되는 뇌신경 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으로서 알츠하이머 예방, 치료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황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수용성 다당체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서의 약학적 조성물 및/또는 알츠하이머병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식품공학적 조성물 중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의약품으로서의 활용과 관련해서, 본 발명은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약품의 제형, 사용 방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션,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는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와 같은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유효성분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중에 상기 성분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및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 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로는 국소 투여제(크림, 연고, 드레싱 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국소 투여제의 제형의 일예로는, 유효성분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든 거즈 등의 담체에 함침시킨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약품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리모나데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크림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아울러, 상기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상기 수용성 다당체를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사용 방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설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척추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포유류는 인간, 돼지, 소 또는 염소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는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는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0.0001 ~ 10 g/㎎/㎏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0001 ~ 5 g/㎏이며, 하루 1 ~ 6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식품의 예로는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식품은,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 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명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 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알츠하이머병의 개선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공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명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 리듬조절, 질병 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수용성 다당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식품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 중에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음료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의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중에, 상기 수용성 다당체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의 경우 식품 전체의 부피 100 ㎖을 기준으로 0.001 g 내지 50 g, 바람직하게는 0.01 g 내지 10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로부터 유래된 상기 수용성 다당체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과 같은 식품 보조 첨가제 성분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과 같은 이당(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은 물론이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 또는 감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천연 향미제/감미제;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 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천연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식품공학적 조성물 중에는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다당체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이와 등가 및 균등인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물의 제조 및 에탄올 고분자 침전물 시료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PL)은 경북전문대에서 재배한 버섯 자실체를 구입하였다. 구입한 상황버섯의 자실체를 잘게 자른 뒤, 믹서기로 조분쇄하여 끓는 물에서 4 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Whatman No.4로 여과한 뒤 동결건조하였다. 동결건조한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뒤, 에탄올을 전체의 75%가 되도록 넣은 후 4℃에서 밤새 침전시켰다. 다음 날, 30분 동안 18,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침전물(고분자물)과 상층액(에탄올에 의해 침전되지 않은 저분자물)을 분리하였다. 얻어진 에탄올 침전물을 동결건조(Ilshin Lab. Co., Ltd., Yangju, Korea)하여 고분자 침전물 분말을 제조하고, -20℃에 보관하였다(도 1 참조). 75% 에탄올 침전으로 열수추출물 건량 대비 약 27.22%의 수율로 고분자 침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2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 수용성 고분자물의 정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을 통하여 에탄올 침전에 의해 얻어진 고분자 침전물을 증류수에 녹여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DE52, Catalogue No. 4057050, Whatman)로 분획하여 상황버섯 자실체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정제하였다. 10 ㎎의 샘플을 1 ㎖의 증류수에 녹이고 DEAE-cellulose column (3 x 20 ㎝)에 주입한 후 증류수로 세척한 뒤, 염화암모늄(NaCl) 용액 (0-1.5 M)으로 용출시키고, 각 분획에 대해 phenol-sulfuric acid method로 탄수화물을 정성 및 정량하여 가장 큰 분획을 모아 증류수로 4℃에서 72 시간 투석(MWCO 1,000)한 후, 동결건조하여 Et-P라 명명하고 -20℃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마토그램이 도 2에 제시되어 있다.
도 2의 크로마토그램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조정제 고분자 물질을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한 결과 약 0.25 M NaCl에서 용출된 가장 큰 탄수화물성 peak(carbohydrate positive peaks)를 관측하였다. 이 peak에는 작은 peak가 2개 정도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나 3개의 탄수화물성 고분자가 혼재해 있는 분획으로 판단되었다. 이 분획 (fraction tube number 55-66)을 합화하여 투석 후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성 고분자 물질을 정제하고 Et-P(Et-P1, Et-P2, Et-P3의 혼합체)라 명시하였다.
실시예 3 :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 고분자물 (Et-P)의 성분당 조성 분석 HPAEC-PAD 분석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에서 정제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 수용성 고분자물 (Et-P)의 성분당 조성을 확인하고자, HPAEC-PAD(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PAD) 법으로 성분당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제된 고분자 다당체인 (Et-P) 시료 10 ㎎을 증류수 1 ㎖에 용해시킨 후, 동량의 4 M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TFA)을 첨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산 가수분해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실린지 필터 (DISMIC-13cp, Advantec, 0.45 ㎛)로 여과한 후 Speed Vac(Module spin 40, Biotron, Korea)으로 진공 건조하였다. 성분당 분석을 위해 산-가수분해된 샘플을 Dionex사 제품의 CarboPac PA-1 column(4 x 250 ㎜)을 장착한 Bio-LC(DX 500 Chromatography System, Dionex, USA) 시스템에서 HPAEC-PAD법으로 분석하였다. 검출기는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ED50, Dionex, USA)를 사용하였으며, 1.0 ㎖/min의 속도로 용출시켰다. 시료는 10 ㎕를 주입하였으며 표준물질은 Sigma사로부터 구입한 fucose(1), arabinose(2), rhamnose(3), galactose(4), glucose(5), mannose(6), xylose(7) 혼합물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샘플에서 유래한 미지의 당은 기지 농도의 상기 표준 당의 RT (retention time)값을 비교하여 동정하고, 정량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HPAEC-PAD 분석 결과인 크로마토그램이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성분당 분석 결과, 정제된 상황버섯 탄수화물성 고분자물 (Et-P)의 산가수분해물에서 표준 탄수화물 물질인 galactose, glucose, mannose의 RT 값과 일치하는 주요 피크가 나타나,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고분자 수용성 다당체인 Et-P는 galactose, glucose, mannose가 주요 성분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fucose, xylose등이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헤테로 다당류이고 glucose(48% in mole percentag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글루칸(glucans)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 상황버섯 자실체에서 분리, 정제된 수용성 다당류 (Et-P)의 분자량 결정
실시예 2에서 정제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류 (Et-P)의 분자량 (molecular mass) 측정은 Shodex OHpak column (SB-806HQ, 8.0 x 300 mm, Showa Denko, Japan)을 장착한 HPLC (Dionex, USA) system으로 분석하였다. 검출기는 ELSD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Alltech)를 사용하였으며, 1% 농도의 시료 10 ㎕를 주입하고 용출용매인 증류수를 60℃로 유지하며 0.8 ㎖/min의 속도로 용출하면서 검출하였다. 표준 분자량 다당류는 Sigma사로부터 구입한 Blue dextran (2,000 kDa)과 Pullulans (각각 788, 404, 212, 22.8, and 11.8 kDa)을 사용하였다. 이들 표준 분자량 다당류들의 RT 값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그려 정제된 Et-P의 RT 값을 추세식에 대입하여 분자량을 결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HPLC 분석 크로마토그램이 도 4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 정제된 다당체 Et-P는 세 가지 다당체(Et-P1(A), Et-P2(B), Et-P3(C)로 각각 명명하였음)의 혼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자량은 1,629 kDa, 1,294 kDa, 21 KDa인 고분자 다당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 정제된 고분자 다당체 (Et-P)의 원소분석
실시예 2의 정제 다당체 (Et-P)의 원소분석 (Elemental analysis)은 탄소 (carbon), 수소 (hydrogen), 질소 (nitrogen), 황 (sulfur) 원자에 대해 CHNS-Porapack PQS가 장착된 EA1112 (CE Instrument, Ital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약 1 ㎎의 샘플을 주입하고 He으로 용출하면서 TCD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CE Instrument, Italy)로 검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Et-P의 성분 원소 분석
원소 N C H S
실험 조성(w/v%) 1.1899 35.9227 5.3409 0.4056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소분석의 결과, Et-P 다당체는 주로 탄소(carbon, 35.92 w/w%), 수소(hydrogen, 5.34 w/w%), 질소 (nitrogen, 1.19 w/v%), 황 (sulfur, 0.41 w/v%) 원자로 이루어져 있어, 단백질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당단백이 아닌 탄수화물성 다당류인 것으로 판단되었고, 황산기 또한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탄소와 수소의 비가 매우 큰 것으로 보아 phenolic 화합물과 복합체 형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6 : FT-IR을 이용한 고분자 다당체 (Et-P)의 구조분석
Et-P 시료를 증류수에 용해하고 Fourier-Transform Infrared(FT-IR)를 이용하여 정제된 상황버섯 고분자 다당체 물질 (Et-P)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장비는 IR Affinity-1 spectrophotometer (Shimadzu, Japan)를 이용하였고, spectral region 4,000-400 ㎝-1 (resolution 4 ㎝-1) 범위에서 밴드를 확인하였다. 밴드 확인은 기존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Pereira 등, 2009; Barrㅹ 등, 2007; Edwards 등, 1998).
본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는 도 5에 제시되어 있다. FT-IR spectrum 분석 결과, 1550-1800 ㎝-1에서는 대부분 폴리페놀성 방향족 화합물의 존재를 나타내며 3350 ㎝-1에서는 polysaccharide나 물의 전형적인 특징인 hydroxyl group의 OH stretching 진동을 나타냈다. 1411 ㎝-1과 1311 ㎝-1에서는 당의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 hydroxyl group의 α(OH)와 ω(OH)를 나타내고 있으며 1265 ㎝-1와 1145 ㎝-1에서는 알킬-아릴과 아릴-아릴 에스테르의 COC stretching 진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900-1200 ㎝-1의 강한 신호는 carbohydrate의 특징이며 1172, 1085, 1010 ㎝-1에서 glycoside bond와 pyranoside ring을 가지는 polysaccharide의 CO와 CC의 stretching 그리고 COH bending 진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FT-IR 밴드를 분석한 결과 상황버섯 자실체에서 분리된 수용성 다당체들인 Et-P는 페놀성 물질(phenolics) 및 polysaccharide의 복합체로 구성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는 상기의 원소분석 결과에서 탄소와 수소의 비가 매우 크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77 ㎝-1에서의 약한 밴드는 beta-polysaccharide의 특징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버섯 자실체의 polysaccharide는 일반적으로 beta-glucan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분리된 상황버섯 자실체 수용성 다당류인 Et-P가 최소한 일정 부분 beta-glucan 구조를 갖는 다당류의 일종일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실시예 7: Laminarinase 분해를 통한 Et-P 다당류의 결합구조 분석
실시예 2에서 정제된 다당체 (Et-P)가 버섯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베타-글루칸과 유사한 구조의 다당류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1-3 결합의 베타-글루칸을 분해하는 효소로 알려진 laminarinase로 효소 가수분해 후, 유리된 효소 분해물 당류를 HPAEC-PAD로 조사하였다.
Et-P 다당체 시료 5 ㎎을 50 mM sodium acetate buffer (pH 5.0) 500 ㎕에 용해시키고 laminarinase (2.5U,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첨가하여 37℃에서 4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aminarinase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베타-글루칸으로 알려진 laminarin (Sigma)을 control로 사용하였다. 반응 종료 후 효소 분해물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CarboPac PA-1 column (4ⅹ250 mm)을 장착한 Bio-LC 시스템에서 HPAEC-PAD법으로 분석하였다. 검출기는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ED50, Dionex, USA)를 사용하였으며 용출용매로는 75 mM NaOH를 isocratic mode로 40분 동안 1.0 ㎖/min의 속도로 검출하였다. 시료는 10 ㎕로 주입하였으며 표준물질로는 Sigma사로부터 구입한 glucose와 glucose 두 분자가 beta-(1,6)로 연결된 gentiobiose를 사용하였다. 효소분해로 얻어진 분해물의 RT값과 표준물질의 RT값을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는 도 6에 제시되어 있다. Beta-(1,3)-linkage로만 연결된 laminarin은 laminarinase로 분해되었을 때 glucose와 같은 RT 값만 가질 뿐 gentiobiose와 같은 RT 값을 가지는 피크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laminarinase의 활성이 정상임을 보였고 이 효소로 분해된 상황버섯 에탄올 추출물 역시 glucose와 같은 RT 값을 가지는 피크를 보이며 beta-(1,3)(1,6)-glucan이 아닌 beta-(1,3)-glucan임을 알 수 있었다.
도 6에서 A는 표준 탄수화물로 glucose와 gentiobiose를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분석한 결과이고, B는 laminarinase 효소로 가수분해된 표준 다당체 laminarin을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분석한 결과이고, C는 laminarinase에 의해 가수분해된 상황버섯 고분자 활성 다당체 (Et-P) 분해물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구 다당류로 사용한 laminarin은 beta-(1,3)-linkage 구조를 갖는 베타-글루칸으로서 laminarinase로 분해하였을 때, glucose peak 만을 나타내어, 실험에 사용한 laminarinase 효소의 활성이 정상임을 보였다. 한편, 도 6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효소로 Et-P 다당류체 분해한 후 HPAEC-PAD로 분석한 결과, 현저히 많은 양의 glucose peak가 나타났다. 그러나, 2분자의 glucose가 beta-(1,6)-결합구조로 형성된 이당류인 gentiobiose peak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t-P는 최소한 일정 부분 beta-(1,3)-결합구조를 갖는 beta-glucans 들의 일종이고, beta-(1,6)-결합의 분지를 갖는 beta-(1,3)(1,6)-glucan은 아닌 beta-(1,3)-glucans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정제된 상황버섯 고분자 다당체 (Et-P)의 beta-secretase 저해 효과 측정
실시예 2에서 정제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다당체 (Et-P)를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베타-세크레타아제(β-Secret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β-Secretase 효소 활성은 8 Units의 베타-세크레리타제 (ㅯ-secretase,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와 10 μM 7-methoxycoumarin-4-acetyl-[Asn670, Leu671]-amyloid β/A4 precursor protein 770 fragment 667-676-(2,4-dinitrophenyl)Lys-Arg-Arg amide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기질로 하여, 시료 및 0.1% Triton X-100을 포함한 20 mM sodium acetate (pH 4.5) 완충액의 총 부피가 100 ㎕가 되도록 하여 섞은 후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Excitation 320 ㎚, Emission 405 ㎚에서 형광세기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로서, 기지의 저해제인 ㅯ-secretase inhibitor 1 (ANASPEC, San Jose, CA, Catalog No. 23958)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는 도 7에 제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 수용성 고분자 다당체 (Et-P)를 농도별 (1, 10, 100 ㎍/㎖)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베타 세크레타아제(β-secretase)를 저해하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시료 100 ㎍/㎖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대조군 (Control)과 비교하여 약 48%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Et-P가 β-secretase를 현저히 저해함을 보였다.
종래의 보고에 따르면, 인삼과 홍삼 추출물의 β-secretase 저해 활성을 검토한 결과 인삼보다는 홍삼이 더 효과적으로 β-secretase 활성을 저해하였다. 1차 증포 처리한 홍삼 추출물의 β-secretase 활성 저해율이 약 30%였으나 7차 증포 처리한 홍삼 추출물의 β-secretase 활성 저해율이 약 50%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 수용성 다당류인 Et-P는 1차 증포 처리한 홍삼 추출물보다 가장 최적 증포 조건인 7차 증포 처리한 홍삼 추출물의 β-secretase 저해 효과와 유사한 수준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 사상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점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Claims (5)

  1.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로서,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및 만노오스를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베타-1,3-결합 구조를 갖는 베타-1,3-글루칸 구조를 갖는 수용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다당체는 각각 1,629 kDa의 분자량, 1,294 kDa의 분자량 및 21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3개의 수용성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다당체는 베타-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다당체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에 10 ~ 1000 ㎍/㎖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상황버섯 자실체 열수추출물 유래의 수용성 다당체로서,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및 만노오스를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베타-1,3-결합 구조를 갖는 베타-1,3-글루칸 구조를 갖는 수용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을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KR1020130006929A 2013-01-22 2013-01-22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94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929A KR20140094295A (ko) 2013-01-22 2013-01-22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929A KR20140094295A (ko) 2013-01-22 2013-01-22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295A true KR20140094295A (ko) 2014-07-30

Family

ID=5174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929A KR20140094295A (ko) 2013-01-22 2013-01-22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2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51A1 (ko) * 2014-12-08 2016-06-16 이노팜 주식회사 생체적합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506B1 (ko) * 2016-10-05 2018-07-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으로부터 베타글루칸의 추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51A1 (ko) * 2014-12-08 2016-06-16 이노팜 주식회사 생체적합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99626A (zh) * 2014-12-08 2017-08-01 怡诺株式会社 生物相容性组合物以及制备方法
US10414833B2 (en) 2014-12-08 2019-09-17 Inno Pharm Co., Ltd. Biocompatibl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879506B1 (ko) * 2016-10-05 2018-07-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으로부터 베타글루칸의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249B2 (en) Polysaccharide suitable to modulate immune response
EP2701714B1 (en) Method for isolation of polysaccharides
KR101320631B1 (ko)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한국산 오디 유래의 다당류 및 이를 함유하는 약리적 조성물
KR101774564B1 (ko) 효소처리 인삼유래 면역기능 증강용 다당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20264340A1 (en) Method of preparing noni fruit extract containing high iridoid content or a fraction thereof, method of preparing noni fruit extract containing high content of immune-enhancing active substance or a fraction thereof and use of noni frui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KR101449804B1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20180120915A (ko) 오미자 추출물과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WO2005095427A1 (ja) 血栓症の予防又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KR20140094295A (ko)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의 고분자 다당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5653B1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20180017755A (ko)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16786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8493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5471A (ko) 오미자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0580B1 (ko) 빅벨리해마 알칼레이즈 가수분해물, 그 분획물 또는 그 유효 펩타이드를 이용한 항고혈압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94288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3916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6509B1 (ko)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89980B1 (ko) 청귤 추출박 또는 청피 유래의 항암 또는 면역활성 다당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83915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151738B1 (ko) 빅벨리해마 프로타멕스 가수분해물, 그 분획물 또는 그 유효 펩타이드를 이용한 항고혈압용 조성물
KR102652214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36860B1 (ko) 몰로키아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20230163185A (ko) 산수유 미성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1826A (ko) 인삼박 유래 갈락토유로노글루코올리고당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